KR101113711B1 - Free Stop Hinge Modules for Mobile Devices - Google Patents
Free Stop Hinge Modules for Mobile Devic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13711B1 KR101113711B1 KR1020100131352A KR20100131352A KR101113711B1 KR 101113711 B1 KR101113711 B1 KR 101113711B1 KR 1020100131352 A KR1020100131352 A KR 1020100131352A KR 20100131352 A KR20100131352 A KR 20100131352A KR 101113711 B1 KR101113711 B1 KR 1011137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shaft
- torsion spring
- portable terminal
- fixing me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휴대단말기를 개방하여 고정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은, 휴대단말기의 제1바디에 장착되는 제1하우징과; 휴대단말기의 제2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제2바디를 상기 제1바디에 대해 회전시키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2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제2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밀착되게 감싸면서 삽입되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하우징의 회전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샤프트와 토션스프링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제2바디가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로 유지되되,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제1하우징의 일단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제1하우징의 타단에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e stop hing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capable of opening and fixing the portable terminal at a desired angle by a user.
The free stop hing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ousing mounted to a first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A second housing mounted to a second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to rotate the second body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A shaft rotatably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to rotate together with the second housing; And a torsion spring which is inserted while wrapp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first housing. When the second housing is rotated, the second housing is formed by the frictional force acting between the shaft and the torsion spring. The two bodies are maintained in an obliquely rotated state,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is fixedly mounted to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other end is fixedly moun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hous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휴대단말기를 개방하여 고정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e stop hing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capable of opening and fixing the portable terminal at a desired angle by a user.
최근에는 노트북, 휴대폰, 전자사전 등 다양한 휴대단말기가 사용되고 있다.Recently, various portable terminals such as laptops, mobile phones, and electronic dictionaries have been used.
그 중에서 노트북은 컴퓨터 사용의 증가와 제조기술의 발전에 따라 성능 및 휴대성이 향상되었으며 보급이 확산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Among them, notebooks have been improved in performance and portability due to the increase in the use of computers and development of manufacturing technology.
이러한 노트북은 휴대의 편리성을 위하여 메인보드, CPU, 각종 칩셋,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장치와, 키보드와 터치패드 등의 데이터 입력수단과,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온라인 기능을 위한 랜카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의 조작 및 작동에 의해 각종 화면이 디스플레이되는 LCD패널을 포함하는 제2바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바디에 대하여 제2바디의 일단이 힌지로 결합되어 상호 접히거나 벌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Such notebooks include main boards, CPUs, various chipsets, storage devices such as hard disks, data input means such as keyboards and touch pads, power supply batteries, and LAN cards for online functions. And a second body including an LCD panel configured to display various screens by operating and operating the first body, wherein one end of the second body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by a hinge. It consists of a folded or unfolded structure.
노트북뿐만 아니라 다양한 휴대단말기에 적용할 수 있는 이러한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은 등록특허공보 제10-0595022호에 나타나 있는 구성으로 알 수 있다.Such a hing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can be applied to various portable terminals as well as a laptop, can be seen by the configuration shown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0595022.
도 1은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고정캠 및 회동캠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inge module for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Figure 2 is a view showing a fixed cam and a rotating cam of a hinge module for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30), 베이스바(12), 고정캠(50), 회동캠(60), 판스프링(70) 및 너트(9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hing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상기 브래킷(30)은 휴대단말기의 제1바디에 고정 장착된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브래킷(30)은 제1브래킷(32)과 제2브래킷(38)으로 이루어진다.In detail, the
상기 제1브래킷(32)에는 통공(34)이 형성되고, 상기 제2브래킷(38)은 상기 제1브래킷(32)의 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1바디에 고정 장착된다.A through
상기 베이스바(12)는 휴대단말기의 제2바디에 장착되고 일단에 샤프트(20)가 돌출 형성된다.The
상기 샤프트(20)는 상기 통공(34)을 관통한다.The
상기 고정캠(50)은 상기 제1브래킷(32)의 측면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샤프트(20)가 회전 가능하게 관통한다.The
그리고 상기 고정캠(50)에는 캠면(51)이 형성되고, 상기 캠면(51)에 오목하게 함몰된 캠홈(56a,56b)이 형성된다.A
상기 회동캠(60)은 상기 고정캠(50)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20)에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20)와 함께 회전한다.The
그리고 상기 회동캠(60)에는 상기 고정캠(50)의 캠면(51)과 마주보는 캠면(61)이 형성되고, 상기 캠면(61)에 상기 캠홈(56a,56b)에 삽입되는 캠(64a,64b)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상기 판스프링(70)은 상기 회동캠(60)의 측면 즉, 상기 캠면(61)의 반대 면에 배치되고, 상기 회동캠(60)을 상기 고정캠(50) 방향으로 탄성지지하여 상기 고정캠(50)의 캠면(51)과 상기 회동캠(60)의 캠면(61)이 상호 접하도록 한다.The
또한, 상기 판스프링(70)은 상기 샤프트(20)에 삽입되어 상기 샤프트(20)와 함께 회전한다.In addition, the
상기 너트(90)는 상기 샤프트(20)의 끝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캠(60)과 판스프링(70)을 상기 샤프트(20)에 고정시킨다.The
상기와 같은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은 상기 제2바디를 회전시켜 휴대단말기를 개방할 때, 상기 판스프링(70)에 의해 상기 고정캠(50)의 캠면(51)과 상기 회동캠(60)의 캠면(61)이 상호 밀착되게 접한 상태에서 상기 회동캠(60)이 회전하며 상기 고정캠(50)과 회동캠(60)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게 된다.The hing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opened by rotating the second body, the
상기 제2바디를 회전시켜 상기 캠(64a,64b)이 상기 캠홈(56a,56b)에 삽입되면 상기 제2바디를 회전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다.When the
그러나 상기 캠(64a,64b)이 상기 캠홈(56a,56b)에 삽입되지 않고 상기 회동캠(60)의 캠면(61)과 접할 때는 상기 고정캠(50)과 회동캠(6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상기 제2바디를 경사지게 유지하기 부족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각도로 상기 제2바디를 유지하기 어려워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바디에 대해 회전하는 제2바디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의 각도로 경사지게 유지하여 휴대단말기를 더욱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he free terminal for a mobile terminal which can use the mobile terminal more efficiently and conveniently by keeping the second body rotating relative to the first body at an angle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top hinge modu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은, 휴대단말기의 제1바디에 장착되는 제1하우징과; 휴대단말기의 제2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제2바디를 상기 제1바디에 대해 회전시키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2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제2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밀착되게 감싸면서 삽입되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하우징의 회전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샤프트와 토션스프링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제2바디가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로 유지되되,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제1하우징의 일단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제1하우징의 타단에 고정 장착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ree stop hing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housing mounted to a first body of a portable terminal; A second housing mounted to a second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to rotate the second body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A shaft rotatably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to rotate together with the second housing; And a torsion spring which is inserted while wrapp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first housing. When the second housing is rotated, the second housing is formed by the frictional force acting between the shaft and the torsion spring. The two bodies are maintained in an inclined rotation state,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is fixedly mounted to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the other end is fixedly moun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housing.
상기 토션스프링은 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상기 샤프트를 감싸면서 상기 제1하우징에 삽입되어 고정된다.The torsion spring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rst housing while surrounding the shaft in a compressed state in a direction of decreasing diameter.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제1바디에 장착되고, 내부에 상기 토션스프링이 내장되며, 일단에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단이 고정 장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타단이 고정 장착되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토션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의 회전에 의해 압축된다.The first housing may include: a fixing member mounted to the first body, having the torsion spring embedded therein, and having one end fixedly mounted at one end thereof; It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xing member,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spring consists of a coupling member fixedly mounted, the torsion spring is compressed by the rotation of the coupling member in one end fixed to the fixing member.
상기 제1하우징의 일단에는 상기 제2하우징 방향으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접하는 상기 제2하우징의 타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다.A locking groov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in the second housing direction, and a locking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econd hous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housing.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제1하우징의 타단 방향에 고정링이 결합되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고정링에 의해 상기 고정링 방향으로 이동이 저지되고, 상기 결합홈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회전이 저지된다.A coupling groove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xing member, a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member, and the coupling ring is coupled to the shaft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coupling member is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Movement of the fixing ring is prevented by the fixing ring,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to prevent rotation of the fixing member.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부재에 대해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상기 제1하우징에 장착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토션스프링의 축방향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하우징 방향으로 탄성지지된다.The fixing member is movably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and the torsion spring is mounted to the first housing in a compressed stat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wherein the fixing member is the torsion spring. It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second housing direction by the axial elastic force of the.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2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되,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샤프트에 대해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하우징을 상기 제1하우징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가압스프링이 삽입 배치된다.The shaft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second housing, the second housing is coupled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with respect to the shaft, the inside of the second housing so that the engaging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The pressing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econd housing in the first housing direction is inserted.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free stop hing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제1바디에 대해 회전하는 제2바디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의 각도로 경사지게 유지함으로써, 휴대단말기를 더욱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By keeping the second body rotating relative to the first body inclined at an arbitrary angl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and conveniently.
또한, 토션스프링은 압축된 상태로 제1하우징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토션스프링이 샤프트를 강하게 압박하여 제2바디를 경사지게 유지시키는 마찰력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orsion spring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first housing in a compressed state, thereby increasing the friction force of the torsion spring to strongly press the shaft to keep the second body inclined.
또한,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결합부재의 회전에 의해 토션스프링을 압축시킴으로써, 압축된 토션스프링을 제1하우징에 장착시키기 용이하다.In addition, by compressing the torsion spring by the rotation of the coupling member coupled to the fixing member, it is easy to mount the compressed torsion spring in the first housing.
또한, 고정부재는 결합부재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토션스프링의 축방향 탄성력에 의해 제2하우징 방향으로 탄성지지됨으로써, 제2하우징의 회전시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삽입 및 이탈하면서 휴대단말기의 개폐시 클릭감을 부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is movably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in the axial direction,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second housing direction by the axial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so that the locking projections when the second housing is rotated are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locking groove. A click feeling may be added when the mobile terminal is opened or closed.
또한, 가압스프링은 제2하우징에 삽입 배치되어 걸림돌기가 걸림홈에 삽입되도록 제2하우징을 탄성지지함으로써,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sing spring is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and elastically supports the second housing so that the locking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thereby increasing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도 1은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힌지모듈의 고정캠 및 회동캠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의 일방향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3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hinge module for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2 is a view showing a fixed cam and a rotating cam of a hinge module for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ee stop hinge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one-wa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ee stop hinge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direction of the free stop hing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의 일방향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ee stop hinge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one-wa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ee stop hinge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directio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ree stop hing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100), 제2하우징(200), 샤프트(300), 토션스프링(400) 및 가압스프링(500)으로 이루어진다.Free stop hinge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3 to 6, the
상기 제1하우징(100)은 키패드가 장착되는 휴대단말기의 제1바디(미도시)에 장착된다.The
이러한 상기 제1하우징(100)은 고정부재(110)와 결합부재(120)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고정부재(1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샤프트(300)가 관통되게 삽입되는 원형의 제1삽입공(111)이 형성되며, 상기 제1바디에 고정 장착된다.The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10)의 외주면에는 사각형 형상의 장착편(101)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바디에 고정 장착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 3,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10)의 일단에는 상기 제2하우징(200) 방향으로 걸림홈(112)이 형성된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즉, 상기 걸림홈(11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200)이 배치된 방향인 상기 고정부재(110)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오목하게 함몰 형성된다.That is, the
또한, 상기 걸림홈(112)은 다수개가 상기 고정부재(110)의 일단의 외주면을 따라 원형으로 배치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e
이러한 상기 걸림홈(112)에는 후술할 걸림돌기(212)가 삽입된다.The
또한, 상기 고정부재(110)의 일단에는 상기 토션스프링(400)의 일단이 삽입되는 제1고정홀(113)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상기 제1고정홀(113)은 상기 고정부재(110)의 일단에서 상기 제1삽입공(111)과 걸림홈(112) 사이에 배치된다.The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10)의 타단에는 안착홈(114)이 형성된다.And the other end of the fixing
상기 안착홈(114)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10)의 타단에서 일단 방향으로 함몰되어 원형으로 형성된다.The
상기 안착홈(114)에는 상기 결합부재(120)가 안착되어 상기 고정부재(110)에 결합된다.The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10)의 타단에는 상기 안착홈(114)과 연통되는 결합홈(115)이 형성된다.And the other end of the fixing
상기 결합홈(11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가 상기 고정부재(110)의 타단 내주면에 각각 동일한 각도로 배치된다.As shown in FIG. 4, three
상기 결합홈(115)은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상기 결합부재(12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10)의 타단에 결합된다.The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20)는 상기 안착홈(114)에 안착되어 상기 고정부재(110)에 결합된다.That is, as described above, the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120)에는 상기 결합홈(115)에 삽입되는 결합돌기(121)가 형성된다.The
상기 결합돌기(12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20)의 외주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120)가 상기 안착홈(114)에 안착되면 상기 결합홈(115)에 삽입되어 상기 결합부재(120)를 상기 고정부재(110)에 결합시킨다.As shown in FIG. 4, the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110)는 상기 결합부재(120)에 대해 상기 샤프트(300)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110)와 결합부재(120)는 상호 회전하지 못한다.Accordingly, the fixing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110)에 상기 결합홈(115)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재(120)에 상기 결합돌기(121)를 형성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110)에 상기 결합돌기(121)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재(120)에 상기 결합홈(115)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부재(110)와 결합부재(120)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또한,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120)에는 상기 토션스프링(400)의 타단이 삽입되는 제2고정홀(122)이 형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or 5, the
상기 제2하우징(20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샤프트(300)가 관통되게 삽입되는 제2삽입공(211)이 형성되며, LCD패널이 장착되는 휴대단말기의 제2바디(미도시)에 장착된다.The
이러한 상기 제2하우징(200)은 상기 제2바디에 고정 장착되고, 상기 제1하우징(100)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제2바디를 상기 제1바디에 대해 회전시킨다.The
상기 제2하우징(200)에는 상기 고정부재(110)와 같이 외주면에 사각형 형상의 장착편(201)이 도출 형성되어 상기 제2바디에 고정 장착된다.In the
그리고 상기 제2삽입공(21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술할 상기 샤프트(300)의 일단이 삽입된다.And the
상기 제2삽입공(211)에 상기 샤프트(300)의 일단이 삽입되어 상기 제2하우징(200)은 상기 샤프트(300)와 함께 회전하고 상기 샤프트(300)에 대해 상기 샤프트(300)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One end of the
이에 따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2하우징(200)이 회전하면 상기 샤프트(300)는 상기 제2하우징(200)과 함께 회전하고, 상기 제2하우징(200)은 상기 걸림돌기(212)가 상기 걸림홈(112)을 이탈하기 위해서 상기 샤프트(300)의 일단 방향으로 상기 걸림돌기(212)가 돌출된 길이만큼 이동하게 된다.Accordingly, as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삽입공(211)의 타단은 상기 샤프트(300)와 직경이 같은 원형으로 형성된다.And, as shown in Figure 4, the other end of the
또한, 상기 제2하우징(200)의 타단에는 외주면 방향으로 상기 걸림홈(112)에 삽입되는 걸림돌기(212)가 돌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부재(110)에 상기 걸림홈(112)을 형성하고 상기 제2하우징(200)에 상기 걸림돌기(212)를 형성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상기 고정부재(110)에 상기 걸림돌기(212)를 형성하고 상기 제2하우징(200)에 상기 걸림홈(112)을 형성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locking
상기 샤프트(300)는 원기둥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100) 즉, 상기 제1삽입공(11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상기 제2하우징(200) 즉, 상기 제2삽입공(211)에 삽입되어 상기 제2하우징(200)과 함께 회전한다.The
구체적으로 상기 샤프트(300)의 일단 양측은 상기 제2삽입공(211)과 같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삽입공(211)에 삽입되며, 상기 샤프트(300)의 일단의 외주면은 상기 제2하우징(200)의 내주면에 접하게 된다.Specifically, both ends of one end of the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300)는 상기 제2하우징(200)이 회전할 때, 상기 제2하우징(200)과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2하우징(200)은 상기 샤프트(300)에 대해 상기 샤프트(300)의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Accordingly,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상기 샤프트(300)에는 상기 제1하우징(100)의 타단 방향에 고정링(310)이 결합된다.In addition, a fixing
상기 고정링(310)은 상기 결합부재(120)가 상기 고정링(31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여 상기 결합부재(120)가 상기 샤프트(30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fixing
상기 토션스프링(400)은 상기 제1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된다.The
즉, 상기 토션스프링(400)은 상기 제1삽입홈(100)에 삽입된다.That is, the
그리고 상기 토션스프링(400)은 일단이 상기 제1하우징(100)의 일단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제1하우징(100)의 타단에 고정 장착된다.One end of the
즉, 상기 토션스프링(400)의 일단은 상기 고정부재(110)의 일단에 형성된 상기 제1고정홀(113)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결합부재(120)에 형성된 상기 제2고정홀(12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That is, one end of the
이러한 상기 토션스프링(400)은 도 4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이 연속적으로 증감되도록 형성된다.The
경우에 따라 상기 토션스프링(400)의 직경을 일정하게 할 수도 있다.In some cases, the diameter of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삽입홈(111)에 삽입된 상기 토션스프링(400)은 상기 샤프트(300)의 외주면을 밀착되게 감싼다.As shown in FIG. 6, the
이에 따라 상기 토션스프링(400)은 상기 샤프트(300)를 압박하게 되고, 상기 제2하우징(200)의 회전시 상기 샤프트(300)와 토션스프링(400) 사이에 마찰력이 발생하게 된다.Accordingly, the
또한, 상기 토션스프링(400)은 상기 샤프트(300)의 축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가하여 상기 고정부재(110)를 상기 제2하우징(200) 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In addition, the
이에 따라 상기 걸림홈(112)이 형성된 상기 고정부재(110)의 일단이 상기 제2하우징(200)의 타단을 강하게 지지하여 상기 걸림홈(112)과 걸림돌기(212)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ly, one end of the fixing
상기 토션스프링(400)은 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상기 샤프트(300)를 감싸면서 상기 제1하우징(10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다.The
즉, 상기 토션스프링(400)의 일단을 상기 고정부재(110)에 고정시키고 타단을 상기 결합부재(120)에 고정시킨 후, 상기 토션스프링(400)을 상기 샤프트(300)에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직경이 작아지며 상기 샤프트(300)를 압박하게 된다.That is, when one end of the
이와 같이 상기 토션스프링(400)을 압축된 상태로 상기 제1하우징(100)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토션스프링(400)이 상기 샤프트(300)를 강하게 압박하여 상기 제2바디를 경사지게 유지시키는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By inserting the
상기 가압스프링(500)은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하우징(200)의 내부 즉, 상기 제2삽입홈(211)에 삽입 배치된다.The
이러한 상기 가압스프링(500)은 상기 걸림돌기(212)가 상기 걸림홈(112)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하우징(200)을 상기 제1하우징(100) 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The
이하, 상술한 구성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의 결합 및 작동방법에 대해 알아본다.Hereinafter, the coupling and operation of the free stop hinge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상기 샤프트(300)에 상기 가압스프링(500)과 제2하우징(200)을 삽입하여 상기 샤프트(300)의 일단에 배치시킨다.The
그리고 상기 토션스프링(400)의 일단을 상기 고정부재(110)의 제1고정홀(113)에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타단을 상기 결합부재(120)의 제2고정홀(122)에 삽입하여 고정한 후 상기 토션스프링(400)이 고정 장착된 상기 제1하우징(100)을 상기 샤프트(300)에 삽입한다.One end of the
이 후, 상기 결합부재(120)를 회전시켜 상기 토션스프링(400)이 상기 샤프트(300)의 외주면을 가압하게 하고, 회전된 상기 결합부재(120)를 상기 고정부재(110)의 타단에 삽입하여 결합시킨다.Thereafter, the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10)에 결합되는 상기 결합부재(1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토션스프링(400)을 압축시킴으로써, 압축된 상기 토션스프링(400)을 상기 제1하우징(100)에 장착시키기 용이하다.By compressing the
상기 결합부재(120)를 상기 고정부재(110)에 결합시킨 후, 상기 고정링(310)을 상기 샤프트(300)의 타단에 결합시켜 상기 결합부재(120)가 상기 고정링(310)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여 상기 제1하우징(100)을 상기 샤프트(100)에 결합시킨다.After the
상기와 같이 결합된 힌지모듈은 상기 제1하우징(100)을 상기 제1바디에 고정 장착시키고, 상기 제2하우징(200)을 상기 제2바디에 고정 장착시킨다.The hinge module coupled as described above fixedly mounts the
한편, 사용자가 상기 제1바디에 대해 상기 제2바디를 회전시켜 휴대단말기를 개방하면 상기 제2하우징(200)이 상기 제1하우징(100)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Meanwhile, when the user opens the portable terminal by rotating the second body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the
상기 제2하우징(200)이 회전하면 상기 샤프트(300)가 함께 회전하게 되고, 상기 샤프트(300)와 토션스프링(400) 사이에는 상기 토션스프링(400)의 압박에 의해 마찰이 발생하게 된다.When the
또한, 상기 제2하우징(20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212)는 상기 걸림홈(112)을 이탈하여 다음 걸림홈(112)에 삽입된다.In addition, as the
상기 걸림돌기(212)가 상기 걸림홈(112)을 이탈하기 위해서 상기 제2하우징(200)은 상기 샤프트(300)에 대해 상기 샤프트(300)의 일단 방향 즉, 도 6에서 좌측 방향으로 상기 걸림돌기(212)의 돌출 길이만큼 이동하고, 상기 제2하우징(200)이 더 회전하면 상기 가압스프링(500)에 의해 상기 제2하우징(200)이 상기 샤프트(300)의 타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걸림돌기(212)가 상기 걸림홈(112)에 다시 삽입된다. In order for the locking
사용자가 상기 제2바디를 회전시키는 동안에 상기 걸림돌기(212)는 상기 걸림홈(112)에 대해 이탈과 삽입을 반복하며 휴대단말기의 개폐시 클릭감을 부가하게 된다.While the user rotates the second body, the locking
동시에 상기 토션스프링(400)은 상기 고정부재(110)를 상기 제2하우징(200)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At the same time, the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2바디의 회전이 멈추게 되면 상기 샤프트(300)를 가압하는 상기 토션스프링(400)에 의해 상기 제2하우징(200)은 상기 제2바디가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로 유지된다.When the rotation of the second body by the user is stopped,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바디에 대해 상기 제2바디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의 각도로 경사지게 유지함으로써, 휴대단말기를 더욱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holding the second body inclined at an arbitrary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and conveniently.
본 발명인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The free stop hing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thin the allowable rang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제1하우징, 101 : 장착편, 110 : 고정부재, 111 : 제1삽입홈, 112 : 걸림홈, 113 : 제1고정홀, 114 : 안착홈, 115 : 결함홈, 120 : 결합부재, 121 : 결합돌기, 122 : 제2고정홀, 200 : 제2하우징, 201 : 장착편, 211 : 제2삽입홈, 212 : 걸림돌기, 300 : 샤프트, 310 : 고정링, 400 : 토션스프링, 500 : 가압스프링,100: first housing, 101: mounting piece, 110: fixing member, 111: first insertion groove, 112: locking groove, 113: first fixing hole, 114: seating groove, 115: defect groove, 120: coupling member, 121: engaging projection, 122: second fixing hole, 200: second housing, 201: mounting piece, 211: second insertion groove, 212: locking projection, 300: shaft, 310: fixing ring, 400: torsion spring, 500 : Pressurized spring,
Claims (7)
휴대단말기의 제2바디에 장착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해 회전하여 상기 제2바디를 상기 제1바디에 대해 회전시키는 제2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제2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제2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는 샤프트와;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을 밀착되게 감싸면서 삽입되는 토션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하우징의 회전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샤프트와 토션스프링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기 제2바디가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로 유지되되,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제1하우징의 일단에 고정 장착되고, 타단은 상기 제1하우징의 타단에 고정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A first housing mounted to the first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A second housing mounted to a second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to rotate the second body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A shaft rotatably inserted into the first housing and inserted into the second housing to rotate together with the second housing;
It consists of a torsion spring inserted while wrapping close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in the interior of the first housing,
When the second housing is rotated, the second housing is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body is inclinedly rotated by a friction force acting between the shaft and the torsion spring,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is fixedly mounted to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housing free stop hinge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상기 토션스프링은 직경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상기 샤프트를 감싸면서 상기 제1하우징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The method of claim 1,
The torsion spring is a free stop hing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 is fixed to the first housing while wrapping the shaft in a compressed state in a direction of decreasing diameter.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제1바디에 장착되고, 내부에 상기 토션스프링이 내장되며, 일단에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단이 고정 장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의 타단이 고정 장착되는 결합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토션스프링은 일단이 상기 고정부재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의 회전에 의해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housing,
A fixing member mounted to the first body and having the torsion spring embedded therein and having one end fixedly mounted at one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xing member,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spring is made of a coupling member fixedly mounted,
The torsion spring is a free stop hing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pressed by the rotation of the coupling member in the state fixed to the fixing member.
상기 제1하우징의 일단에는 상기 제2하우징 방향으로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접하는 상기 제2하우징의 타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The method of claim 3,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is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in the second housing directi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hous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housing free stop hinge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jection projecting to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is formed.
상기 고정부재의 타단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제1하우징의 타단 방향에 고정링이 결합되되,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고정링에 의해 상기 고정링 방향으로 이동이 저지되고, 상기 결합홈에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회전이 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4,
The other end of the fixing member is formed with a coupling groove,
The coupling member has a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A fixing ring is coupled to the shaft in the other end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The coupling member is a stop-stop module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is prevented by the fixing r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ring, the coupling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is prevented from rotating relative to the fixing member.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부재에 대해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상기 제1하우징에 장착되되,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토션스프링의 축방향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2하우징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xing member is coupled to the coupling member so as to be movabl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The torsion spring is mounted to the first housing in a compressed stat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The fixing member is a free stop hinge module for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support in the second housing direction by the axial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2하우징과 함께 회전하되,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샤프트에 대해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제2하우징을 상기 제1하우징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가압스프링이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프리스탑 힌지모듈.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haft rotates with the second housing,
The second housing is movably coupled to the shaft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shaft,
And a pressing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second housing in the first housing direction so that the lock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groove in the second hous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1352A KR101113711B1 (en) | 2010-12-21 | 2010-12-21 | Free Stop Hinge Modules for Mobile Devic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31352A KR101113711B1 (en) | 2010-12-21 | 2010-12-21 | Free Stop Hinge Modules for Mobile Devic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13711B1 true KR101113711B1 (en) | 2012-02-27 |
Family
ID=45840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31352A Expired - Fee Related KR101113711B1 (en) | 2010-12-21 | 2010-12-21 | Free Stop Hinge Modules for Mobile Devic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13711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54986A1 (en) * | 2020-09-10 | 2022-03-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KR20230055844A (en) * | 2021-10-19 | 2023-04-26 | 주식회사 파츠텍 | Foldable hinge module for mobile terminal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52918A (en) * | 2007-11-22 | 2009-05-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Hinge device of a mobile terminal |
KR20090058623A (en) * | 2007-12-05 | 2009-06-10 |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 Clamshell one-touch hinge module and one-touch foldabl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
KR20100016877A (en) * | 2008-08-05 | 2010-02-16 | (주)엘티엠에이피 | Damping Hinge |
KR20100024242A (en) * | 2008-08-25 | 2010-03-05 | 삼성전기주식회사 | Hinge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
-
2010
- 2010-12-21 KR KR1020100131352A patent/KR10111371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52918A (en) * | 2007-11-22 | 2009-05-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Hinge device of a mobile terminal |
KR20090058623A (en) * | 2007-12-05 | 2009-06-10 |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 Clamshell one-touch hinge module and one-touch foldable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
KR20100016877A (en) * | 2008-08-05 | 2010-02-16 | (주)엘티엠에이피 | Damping Hinge |
KR20100024242A (en) * | 2008-08-25 | 2010-03-05 | 삼성전기주식회사 | Hinge apparatu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54986A1 (en) * | 2020-09-10 | 2022-03-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KR20230055844A (en) * | 2021-10-19 | 2023-04-26 | 주식회사 파츠텍 | Foldable hinge module for mobile terminal |
KR102542067B1 (en) | 2021-10-19 | 2023-06-12 | 주식회사 파츠텍 | Foldable hinge module for mobile terminal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192024B2 (en) | Mounting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 |
CN101566189B (en) | Two-axis hinge device and mobile terminal apparatus | |
CN209375705U (en) | Rotary shaft mechanism and foldable electronic equipment | |
CN102655536B (en) | Slim type support unit for portable terminal | |
US8136206B2 (en) | Biaxial hinge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 |
US8091180B2 (en) | Hinge assembly | |
EP2150032B1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 |
CN110515426B (en) | Rotating shaft mechanism and electronic equipment | |
CN102454692B (en) | Hinge structur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 |
US9841785B2 (en) | Electronic device | |
US20080047104A1 (en) | Rotation hinge | |
KR100658462B1 (en) |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JP5473976B2 (en) | Touch pen | |
US20120140388A1 (en) | Swivel hinge apparatus for an electronic device | |
KR101113711B1 (en) | Free Stop Hinge Modules for Mobile Devices | |
EP2482528A2 (en) | Cradling apparatus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 |
KR101113712B1 (en) | Free Stop Hinge Modules for Mobile Devices | |
US8797730B2 (en) | Sliding module for electronic device | |
US8078236B2 (en) | Rotary cover mechanis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 |
CN101321199B (en) | Gemel device of portable equipment and portable equipment | |
KR101124414B1 (en) | Free-stop hinge module for portable device | |
US20040106314A1 (en) | Portable apparatus with inward-pushing triggered mechanism for ejecting add-on device | |
US20110001405A1 (en) | Foldable handheld device | |
CN221858022U (en) | Connecting support and electronic equipment | |
CN111526230B (en) | Flexible Chassis Components and Electronic Devic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