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13136B1 - 회전식 탄성볼라드 - Google Patents

회전식 탄성볼라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136B1
KR101113136B1 KR1020090048352A KR20090048352A KR101113136B1 KR 101113136 B1 KR101113136 B1 KR 101113136B1 KR 1020090048352 A KR1020090048352 A KR 1020090048352A KR 20090048352 A KR20090048352 A KR 20090048352A KR 101113136 B1 KR101113136 B1 KR 101113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fixed shaft
elastic bollard
bollard
grou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9807A (ko
Inventor
이효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미래시아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미래시아건설 filed Critical 유한회사 미래시아건설
Priority to KR1020090048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136B1/ko
Publication of KR20100129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9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13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인도로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와 인도의 경계부위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차량진입 방지용 탄성볼라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회전식 탄성볼라드(100)는 지면(A)을 일정깊이로 파낸 시공바닥(B)에 설치되는 콘크리트구조물(C)에 하단이 매립 고정된 수직의 고정축(110); 고강도 스티로폼류나 발포성 고무류와 같이 내구성과 신축성을 겸비한 재질로 이루어진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축(110)에 하단이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볼라드 몸체(120); 상기 탄성볼라드 몸체(120)의 하단에 고정축(110)과 구름접촉하도록 설치된 베어링(130); 지면(A)과 동일 수평면 상에 위치한 탄성볼라드 몸체(12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환형의 굴곡홈(140); 상기 굴곡홈(140)의 외측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지면(A)에 고정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굴곡홈(140)에 대응되는 굴곡부(151)가 형성된 끼움판(150); 상기 고정축의 하단을 감싸는 축지지관(160); 및 상기 고정축과 축지지관 사이에 끼워져 고정축의 하단으로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볼라드, 탄성, 회전

Description

회전식 탄성볼라드{Rotating type elastic bollard}
본 발명은 차량의 인도로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와 인도의 경계부위에 직립되게 설치되는 차량진입 방지용 탄성볼라드에 관한 것으로서, 충격방향에 따라 양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외부충격을 최소화하도록 한 회전식 탄성블러드에 관한 것이다.
차도와 인도의 경계부위에는 인도로의 차량 진입을 막고 보행자의 인명의 보호를 위하여 차폭보다 좁은 간격으로 볼라드들이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볼라드는 단순히 차량의 진입을 규제하거나 안내하기 위해 앵커볼트로 바닥에 고정되는 차선규제봉과는 달리 대리석과 같이 단단한 재질로 이루어진 지주형태로서 바닥에 직립되게 매립하여 설치되는 구조물이다.
볼라드는 고중량인 관계로 다수의 설치인력과 장비사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최근에는 경량의 스테인레스 파이프나 충격흡수가 우수하고 복원력이 우수한 고강도 탄성재질로 대체되고 있다.
종래의 볼라드들은 모두 콘크리트구조물에 매립되도록 하는 동일한 매립구조를 갖는다.
즉, 시공바닥면을 일정깊이로 파낸 다음 여기에 볼라드를 직립상태로 세워둔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볼라드의 하단이 양생된 콘크리트구조물에 매립되어 시공바닥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볼라드는 자체 탄성만으로 충격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충격흡수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특허 제740552호에 개시된 충격흡수용 도로방호대가 있다.
상기 충격흡수용 도로방호대(이하, 회전식 탄성볼라드라 칭함)는 도로의 중앙선이나 도로변 상에 일정 간격으로 매설되어 고정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통 형태의 충격흡수통체와, 상기 충격흡수통체를 지주의 일정 높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통체회전지지수단 및 상기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지주의 상단에 볼트와 너트를 통해 결합되어 상기 충격흡수통체를 상기 지주에 구속하는 일정 길이의 지지레일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충격흡수통체는 상기 지주의 외경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회전지지관과, 차량의 충돌시 그 충격을 흡수 분산시키도록 상기 회전지지관에 끼워지는 원통형의 고강도 스티로폼과, 상기 고강도 스티로폼의 상부와 하부에 씌워져 상기 고강도 스티로폼의 외부를 마감하는 마감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 충돌시 자체탄성을 통해 1차 충격흡수가 이루어지고 충격방향으로 고강도 스티로폼이 회전하면서 충돌차량을 정상진행방향으로 자연스럽게 밀어내는 2차 충격흡수를 통해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대형사고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고정식 볼라드는 회전이 불가하므로 효과적인 충격흡수가 이루어지지 않고, 회전식 탄성볼라드는 펜스타입으로서 인도로의 차량 진입을 막기 위하여 통행로에는 설치하기 적합하지 않으므로 설치에 제약이 뒤따를 뿐만 아니라 설치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시공상의 어려움이 있다.
설령, 통행로에 설치하였다 하더라도 보행자들과의 접촉될 때마다 볼라드가 회전하게 되므로 보행에 불편함을 주게 된다.
또한, 종래의 회전식 탄성볼라드는 작은 외력이 가해져도 쉽게 회전되므로 충돌차량의 속도가 감소되지 않고 오히려 더 빠른 속도로 진행되면서 2차사고를 유발시키는 위험도 뒤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행에 지장이 없으면서 구조가 간단하여 시공이 간편하면서 차량과 같이 큰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만 회전됨으로써 보행에 불편함이 없는 회전식 탄성볼라드를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회전식 탄성볼라드는 지면을 일정깊이로 파낸 시공바닥면에 설치되는 콘크리트구조물에 하단이 매립 고정된 수직의 고정축과, 고강도 스티로폼류나 발포성 고무류와 같이 내구성과 신축성을 겸비한 재질로 이루어진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축에 하단이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볼라드 몸체와, 상기 탄성볼라드 몸체의 하단에 고정축과 구름접촉하도록 설치된 베어링과, 지면과 동일 수평면 상에 위치한 탄성볼라드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환형의 굴곡홈과, 상기 굴곡홈의 외측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지면에 고정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굴곡홈에 대응되는 굴곡부가 형성된 끼움판과, 상기 고정축의 하단을 감싸는 축지지관과, 상기 고정축과 축지지관 사이에 끼워져 고정축의 하단으로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끼움판은 좌,우측끼움판들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끼움판들의 일단은 힌지결합을 통해 좌우로 벌어지도록 상호연결되며, 상기 좌,우측끼움판들의 타단은 끼움결합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좌,우측끼움판들의 타단에는 볼트체결이 가능하도록 나사공이 일직선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볼라드 몸체의 중앙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고정축에 끼워지는 지지파이프가 더 설치되고, 상기 지지파이프의 상단에는 탄성볼라드 몸체의 상단을 마감하는 마감캡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볼라드 몸체의 하단을 감싸도록 끼워져 결합되는 하부받침캡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끼움판의 저부에는 지면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끼움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회전식 탄성볼라드는 종래와 같이 별도의 지지레일이 요구되지 않아 보행에 지장을 주지 않으므로 통행로는 물론 중앙차로에도 모두 적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볼라드 몸체가 통채로 회전되므로 종래와 같이 지주, 충격흡수통체, 통체회전지지수단과 같은 많은 부속물들이 요구되지 않아 구조가 간단하면서 그 설치도 매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탄성볼라드의 굴곡홈과 지지판의 굴곡부가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보행자에 의한 작은 외력에 의해서는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차량의 충돌과 같이 큰 외력이 작용해야 단위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므로 보행에 불편함이 없고 차량의 충돌시 충돌차량의 속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면서 2차사고를 유발을 저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 도로용 방음벽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식 탄성볼라드(100)는 지면(A)을 일정깊이로 파낸 시공바닥(B)에 설치되는 콘크리트구조물(C)에 하단이 매립 고정된 수직의 고정축(110)을 갖는다.
상기 고정축(110)의 하단은 콘크리트구조물(C)에 직접 매립되지 않고 축지지관(160)을 통해 감싸여진 상태로 콘크리트구조물(C)에 매립된 상태가 된다.
상기 축지지관(160)은 고정축(110)의 하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제작되며, 이 이격공간 즉 상기 축지지관(160)과 고정축(110) 사이에는 고정축(110)의 하단으로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170)가 위치된다.
상기 탄성부재(170)는 링형태로서 축지지관(160)의 내주면에 일정간격으로 부착된다. 상기 탄성부재(170)는 고정축(110)의 하단으로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을 균일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축지지관(160)의 바닥에서 축지지관(160)의 상부에 이르는 구간에 균일하게 복수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크리트구조물(C)은 시공바닥(B)에 타설되어 양생과정을 거쳐 시공현장에서 제작할 수도 있으며, 미리 제작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축지지관(160)은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에 매립시키고 콘크리트 양생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콘트리트 구조물(C)과 일체를 이루면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여도 좋고 콘크리트구조물(C)의 바닥에 홈을 형성시킨 후 여기에 끼워 설치하여도 좋다. 또는 고정축(110)의 하단에 미리 조립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상기 고정축(110)에는 탄성볼라드 몸체(120)가 회전가능하게 끼워진다. 탄성볼라드 몸체(120)는 고강도 스티로폼이나 발포성 고무 등과 같이 내구성과 신축성을 겸비한 재질로 이루어진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축(110)에 하단이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상기 탄성볼라드 몸체(120)의 상단 외주면에는 야간에 보행자들이 볼라드에 부딪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해 주는 반사스티커가 부착된다.
상기 반사스티커는 탄성볼라드 몸체(120)의 외주면을 따라 환형의 홈부를 형성시킨 다음, 상기 홈부에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반사스티커를 탄성볼라드 몸체(120) 외측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외부와의 접촉을 막음으로써 반사스티커가 탄성볼라드 몸체(120)로부터 쉽게 이 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탄성볼라드 몸체(120)의 하단에는 고정축(110)과 구름접촉하는 베어링(130)이 설치되어 탄성볼라드 몸체(12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돕는다.
또한, 상기 베어링(130)은 탄성볼라드 몸체(120)의 저면에 구름접촉되도록 콘크리트구조물(C)의 상단에 더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탄성볼라드 몸체(120)의 중앙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고정축(110)에 끼워지는 지지파이프(121)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파이프(121)는 탄성볼라드 몸체(120)의 강도를 보완해 주는 동시에 탄성볼라드 몸체(120)와 고정축(110)과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돕는다.
이 경우, 상기 지지파이프(121)의 상단에는 탄성볼라드 몸체(120)의 상단을 마감하는 마감캡(122)이 결합되어 지지파이프(121)의 내측으로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탄성볼라드 몸체(120)의 하단을 감싸도록 끼워져 결합되는 하부받침캡(123)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받침캡(123)의 중앙에는 고정축(110)이 통과하도록 통공(123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부받침캡(123)을 설치하는 이유는 지면(A)에 노출된 탄성볼라드(100)의 상부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이 외력이 탄성볼라드 몸체(120)의 하단으로 집중되고 이곳에 베어링(130)도 설치되어야 하므로 탄성볼라드 몸체(120)의 하부가 강도적으로 취약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하부받침캡(123)은 탄성볼라드 몸체(120)의 저부면을 수평면화시켜주므로 탄성볼라드 몸체(120)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도와준다.
한편, 지면(A)과 동일 수평면 상에 위치한 탄성볼라드 몸체(120)의 외주면에는 환형의 굴곡홈(140)이 형성된다. 이 굴곡홈(140)은 탄성볼라드 몸체(12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굴곡홈(140)의 외측으로는 탄성볼라드 몸체(120)를 감싸면서 볼트(156)를 통해 지면(A)에 고정되는 끼움판(150)이 설치된다.
상기 끼움판(150)의 내주면에는 상기 굴곡홈(140)에 대응되는 굴곡부(15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굴곡홈(140)과 끼움판(150)의 굴곡부(151)가 간섭되고 끼움판(150)이 볼트(156)를 통해 지면(A)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탄성볼라드 몸체(120)는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한해 회전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회전은 상기 굴곡홈(140) 단위로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굴곡부(151)는 완만한 곡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끼움판(150)의 굴곡부(151)가 베어링(130) 역할을 하면서 탄성볼라드 몸체(120)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탄성볼라드 몸체(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최소외력은 상기 굴곡홈(140)과 굴곡부(151)의 간섭량에 따라 결정되며, 단위 회전량은 굴곡홈(140)의 갯수에 따라 정해지게 되므로 시공장소에 적합하도록 상기 사항들을 적절히 고려하여 설계하여야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판(150)은 좌,우측끼움판(150a,150b)들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끼움판(150)을 탄성볼라드 몸체(120)에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상기 좌,우측끼움판(150a,150b)들의 일단은 힌지결합을 통해 좌우로 벌어지도록 상호연결되고, 상기 좌,우측끼움판(150a,150b)들의 타단은 끼움결합을 통해 결합되도록 끼움돌기(152)와 끼움홈(153)이 형성됨과 동시에 볼트체결이 가능하도록 나사공(154)을 일직선상으로 형성시켜 선택적으로 록킹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끼움판(150)이 구성되면, 작업자는 볼트(155)를 나사공(154)으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좌,우측끼움판(150)을 벌려서 탄성볼라드 몸체(120)의 굴곡홈(140)에 설치된 끼움판(150)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끼움판(150)은 탄성볼라드 몸체(120)와 시공바닥(B)과의 틈새를 막아주므로 이 틈새를 통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나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끼움판(150)의 저부에 끼움돌기(157)를 형성시킬 경우, 이 끼움돌기(157)가 지면(A)과 시공바닥(B) 사이에 끼워져 상호 밀착력을 향상시켜 주므로 끼움판(150)이 항상 정확한 위치에서 조립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회전식 탄성볼라드(100)는 다음과 같이 시공된다. 먼저, 시공바닥(B)에 설치된 콘크리트구조물(C)에 지지관(160)을 매립시키고 고정축(110)의 하단을 지지관(160)에 끼워 넣는다.
이때 고정축(110)은 지지관(160) 내주면에 부착된 탄성부재(170)에 의해 지지관(160)의 내측에서 안정된 상태로 지지된다.
그리고 고정축(110)의 상부에 베어링(130)과 탄성볼라드 본체(110)의 하단을 차례로 끼워 넣는다. 그리고 끼움판(150)을 좌우로 벌린 상태에서 지면(A)에 올려놓으면 탄성볼라드 몸체(120)의 굴곡홈(140)과 끼움판(150)의 굴곡부(151)가 동일 수평면상에 위치되는데, 작업자는 탄성볼라드 몸체(120)를 감싸도록 끼움판(150)을 오므려서 끼움판(150)의 굴곡부(151)가 탄성볼라드 몸체(120)의 굴곡홈(140)으로 끼워지도록 하면, 탄성볼라드 몸체(120)와 시공바닥(B)과의 틈새가 가려진다.
이 상태에서 끼움판(150)의 나사공(154)에 볼트(155)를 체결시켜 끼움판(150)이 다시 벌어지지 않도록 확실하게 록킹시키고, 볼트(156)를 이용하여 바닥에 끼움판(150)을 고정시키면 본 발명의 회전식 탄성볼라드(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본 발명의 회전식 탄성볼라드(100)는, 탄성볼라드(100)의 굴곡홈(140)과 지지판(150)의 굴곡부(151)가 서로 맞물려 있기 때문에 보행자에 의한 작은 외력에 의해서는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차량의 충돌과 같이 큰 외력이 작용해야 단위적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므로 보행에 불편함이 없고 차량의 충돌시 충돌차량의 속도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면서 2차사고를 유발을 저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110)은 탄성볼라드 몸체(120)가 회전되거나 차량의 충돌로 인해 탄성볼라드 몸체(120)로부터 외력을 인가받더라 도 지지관(160) 내부의 탄성부재(170)에 의해 상기 외력이 상당부분 흡수되므로 고정축(110)에 과도한 외력이 집중되면서 고정축(110)이 휘거나 하는 변형이 방지된다. 따라서, 탄성볼라드 몸체(120)의 회전이 항상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탄성볼라드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탄성볼라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탄성볼라드의 횡단면도로서, 탄성볼라드 몸체가 회전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지지판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탄성볼라드의 종단면도로서, 고정축 하단으로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을 탄성부재가 흡수하는 작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탄성볼라드 110...고정축
120...탄성볼라드 몸체 121...지지파이프
122...마감캡 123... 하부받침캡
130...베어링 140...굴곡홈
150...끼움판 150a...좌측끼움판
150b...우측끼움판 151....굴곡부
152,157...끼움돌기 153...끼움홈
154...나사공 155...볼트
160...축지지관 170...탄성부재
A...지면 B...시공바닥
C...콘크리트구조물

Claims (5)

  1. 지면을 일정깊이로 파낸 시공바닥에 설치되는 콘크리트구조물에 하단이 매립 고정된 수직의 고정축;
    고강도 스티로폼류나 발포성 고무류와 같이 내구성과 신축성을 겸비한 재질로 이루어진 원기둥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축에 하단이 끼워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볼라드 몸체;
    상기 탄성볼라드 몸체의 하단에 고정축과 구름접촉하도록 설치된 베어링;
    지면과 동일 수평면 상에 위치한 탄성볼라드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환형의 굴곡홈;
    상기 굴곡홈의 외측에 착탈가능하게 끼워져 지면에 고정되며, 내주면에는 상기 굴곡홈에 대응되는 굴곡부가 형성된 끼움판;
    상기 고정축의 하단을 감싸는 축지지관; 및
    상기 고정축과 축지지관 사이에 끼워져 고정축의 하단으로 전달되는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탄성볼라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판은 좌,우측끼움판들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좌,우측끼움판들의 일단은 힌지결합을 통해 좌우로 벌어지도록 상호연결되며, 상기 좌,우측끼움판들의 타단은 끼움결합을 통해 결합되고, 상기 좌,우측끼움판들의 타단에는 상호간의 볼트체결이 가능하도록 나사공이 일직선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탄성볼라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볼라드 몸체의 중앙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고정축에 끼워지는 지지파이프가 더 설치되고, 상기 지지파이프의 상단에는 탄성볼라드 몸체의 상단을 마감하는 마감캡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탄성볼라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볼라드 몸체의 하단을 감싸도록 끼워져 결합되는 하부받침캡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탄성볼라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판의 저부에는 지면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키는 끼움돌기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식 탄성볼라드.
KR1020090048352A 2009-06-02 2009-06-02 회전식 탄성볼라드 Expired - Fee Related KR101113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352A KR101113136B1 (ko) 2009-06-02 2009-06-02 회전식 탄성볼라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352A KR101113136B1 (ko) 2009-06-02 2009-06-02 회전식 탄성볼라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807A KR20100129807A (ko) 2010-12-10
KR101113136B1 true KR101113136B1 (ko) 2012-02-15

Family

ID=43506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352A Expired - Fee Related KR101113136B1 (ko) 2009-06-02 2009-06-02 회전식 탄성볼라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1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825B1 (ko) 2017-12-29 2019-04-17 김만호 폐플라스틱 및 합성고무 수지를 이용한 발광 볼라드의 제조방법
KR20240166090A (ko) 2023-05-16 2024-11-26 정헌표 커피찌꺼기와 홍삼찌꺼기를 활용한 친환경 축광 볼라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932B1 (ko) * 2020-06-01 2022-05-12 (주)도담산업 볼라드 하단캡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7149A (ja) 2000-05-23 2002-08-14 Nippon Light Metal Co Ltd 鋼材製施設体の防食具
KR20030094516A (ko) * 2002-05-13 2003-12-18 주식회사 태평양 베타-카르볼린 유도체 또는 그를 함유한 고련피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040013411A (ko) * 2002-08-06 2004-02-1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한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및장치
KR20040026102A (ko) * 2002-06-13 2004-03-27 에이에스엠엘 네델란즈 비.브이. 리소그래피 장치, 디바이스 제조방법 및 그것에 의해제조된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7149A (ja) 2000-05-23 2002-08-14 Nippon Light Metal Co Ltd 鋼材製施設体の防食具
KR20030094516A (ko) * 2002-05-13 2003-12-18 주식회사 태평양 베타-카르볼린 유도체 또는 그를 함유한 고련피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040026102A (ko) * 2002-06-13 2004-03-27 에이에스엠엘 네델란즈 비.브이. 리소그래피 장치, 디바이스 제조방법 및 그것에 의해제조된 디바이스
KR20040013411A (ko) * 2002-08-06 2004-02-1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무선 데이터 네트워크를 통한 단문 메시지 전송 방법 및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9825B1 (ko) 2017-12-29 2019-04-17 김만호 폐플라스틱 및 합성고무 수지를 이용한 발광 볼라드의 제조방법
KR20240166090A (ko) 2023-05-16 2024-11-26 정헌표 커피찌꺼기와 홍삼찌꺼기를 활용한 친환경 축광 볼라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9807A (ko) 201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948B1 (ko) 충격흡수용 도로 방호대
CN108431332B (zh) 吸收碰撞的可伸缩护柱系统
KR101113136B1 (ko) 회전식 탄성볼라드
KR100873011B1 (ko) 다기능 탄성 볼라드
KR20040004187A (ko) 도로 시설물 보호용 안전커버
KR101069445B1 (ko) 도로 방호대
KR102083904B1 (ko) 충격흡수롤러가 포함된 가드레일
KR101686541B1 (ko) 보수 및 설치가 용이한 친환경 가드레일
KR200467526Y1 (ko) 도로용 볼라드 조립구조
KR101090128B1 (ko) 볼라드
JP7080495B2 (ja) 車止め
KR200413411Y1 (ko) 차량 진입방지용 볼라드
KR20190049064A (ko) 이탈방지형 탄성 볼라드
JP4099370B2 (ja) 車止め支柱及び車止め支柱の設置方法
JP5417076B2 (ja) 弾性柱状体
KR20090105123A (ko) 충격 방호 구조물
KR101041364B1 (ko) 충격 방호 구조물
KR200453629Y1 (ko) 도로용 볼라드 조립구조
KR200433036Y1 (ko)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
CN207277193U (zh) 一种桥梁用防撞缓冲护栏
KR100526399B1 (ko)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겸용 난간
KR100762860B1 (ko) 터널진입차량의 안전을 위한 차량보호시설
KR102787565B1 (ko) 내구성이 강화된 경계 울타리
KR100533053B1 (ko) 가드레일 겸용 난간
KR200381752Y1 (ko) 시각장애인의 안전을 고려한 볼라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2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