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1976B1 -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on device - Google Patents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11976B1 KR101111976B1 KR1020100045930A KR20100045930A KR101111976B1 KR 101111976 B1 KR101111976 B1 KR 101111976B1 KR 1020100045930 A KR1020100045930 A KR 1020100045930A KR 20100045930 A KR20100045930 A KR 20100045930A KR 101111976 B1 KR101111976 B1 KR 10111197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dth correction
- side member
- maxilla
- maxillary
- dental arc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0—Devices having means to apply outwardly directed force, e.g. expand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악 치열궁의 폭교정을 위한 교정력을 발생시키는 폭교정 몸체유닛; 그리고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에 구비되며, 상기 상악 치열궁이 양측으로 확장되도록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에 의해 좌우 양측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상악골에 확장력을 가하는 푸싱유닛(Pushing Unit)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를 개시한다. 여기서 상기 푸싱유닛은 상기 상악골의 양측 구개사면을 밀어서 상기 상악 치열궁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에 의하면, 상악골에 직접 교정력을 적용함으로써 치근의 손상이나 치아에 가해지는 부담감을 최소화할 수 있고 시술이 편리하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idth correction body unit for generating a correction force for the width correction of the maxillary dental arch; And the maxillary dentition provided in the width correction body unit, and including a pushing unit to apply the expansion force to the maxilla while open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width correction body unit so that the maxillary dental arch expands to both sides. Start the arch width correction device. Wherein the pushing unit is configured to extend the maxillary arch by pushing the palatal slope of the maxilla.
According to the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the corrective force directly to the maxilla,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root and the burden on the teeth and the procedure is convenient.
Description
본 발명은 악골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개(입천장)에 설치되어 상악골의 좌우측 사면에 직접 교정력을 적용함으로써, 상기 상악골의 교정을 통해 상악 치열궁의 폭을 확장시키는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aw correction device, more specifically, is installed in the palate (palate) by applying a straightening force directly to the left and right slopes of the maxilla, the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on to expand the width of the maxillary dental arch through the correction of the maxilla Relates to a device.
현대인에게 있어서 외모, 특히 인상은 취업이나 입학 등의 면접시 사람을 판단하는 하나의 기준으로서 작용하며, 대인관계에서도 큰 비중을 차지하는 등 사회생활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For modern people, appearance, especially impression, serves as a criterion for judging people during job interviews and admissions, and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social life, taking up a large proportio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이에 따라 남녀노소를 불구하고 인체에 대한 인공적인 성형수술이 크게 유행하고 있는 실정이며, 그 중에서 얼굴의 주요기관, 예를 들면 눈, 코, 입 등에 대한 성형수술이 각광받고 있다. 한편 치열 및 악골은 인상을 전체적으로 좌우하게 되는데, 근래에는 상기 치열을 고르게 하기 위한 치열교정시술이 성행하고 있다.As a result, artificial plastic surgery on the human body is becoming popular in spite of men and women of all ages. Among them, plastic surgery on major organs of the face, for example, eyes, nose, and mouth, has been in the spotlight. On the other hand, orthodontics and jaw control the impression as a whole, in recent years the orthodontic surgery to even the teeth is popular.
그러나 아래위 치아의 맞물림에 대한 이상이나 안면 골격구조(턱뼈의 골격구조)에 대한 이상이 너무나 심해 치열교정술, 즉 치아의 이동에 의한 교정치료만으로는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이 얼굴의 골격 자체의 이상을 수술로 바로잡아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얼굴을 만들기 위해 악교정 수술이 적용되고 있다. However, the abnormality of the upper and lower teeth meshing or facial skeletal structure (jawbone skeletal structure) is so severe that orthodontic treatment, that is, orthodontic treatment by movement of the teeth cannot be treated. Orthognathic surgery is being applied to correct the abnormalities to make a functional and aesthetic face.
다시 말해서, 상기 악교정 수술은 치아에 점진적인 힘을 가하여 치열을 고르게 하는 치열교정치료만으로는 얼굴모양의 개선과 치아기능의 개선이 불완전할 때 상기 치열교정치료와 병행하여 또는 단독으로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악골의 성장이 종료된 성인의 경우는 치열교정만으로는 부정교합의 치료나 골격개선이 어려운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상기 악교정 수술이 사용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orthodontic surgery may be applied alone or in parallel with the orthodontic treatment when the orthodontic treatment for applying gradual force to even the teeth is incomplete in improving the shape of the face and the improvement of the dental function. In particular, the adult growth of the jaw bones may be difficult to treat malocclusion or skeletal improvement by orthodontics alone. In this case, the orthodontic surgery may be used.
그리고 상기 악교정 수술 후에는 전치부의 함입이나 추가적인 치열 이동, 치아의 정출방지를 통한 치열 교정 등의 치열교정치료가 수반될 수 있는데, 상기 치열교정치료는 일반적으로 메탈이나 세라믹 재질의 브라켓과 와이어를 이용한 치열교정장치를 이용하여 수행되며, 치열이 이동할 수 있도록 고무줄이나 스프링 등과 같이 탄성을 갖는 견인부재가 치열교정용 고정원에 연결된다.After the orthodontic surgery, orthodontic treatment such as orthodontic treatment by indentation of the anterior part, additional orthodontic movement, and prevention of tooth alignment may be involved. Orthodontic treatment is generally performed using metal or ceramic brackets and wires. It is performed using an orthodontic device, and an elastic traction member such as a rubber band or a spring is connected to the orthodontic fixed source so that the orthodontic teeth can move.
여기서, 상기 치열교정용 고정원은 구강 내부 특히 상악이나 하악에 고정된 후에 상기 견인부재, 즉 교정력을 부가하는 교정부재와 연결되는 구성이다.Here, the orthodontic fixing member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traction member, that is, the correction member for applying orthodontic force after being fixed in the oral cavity, especially the upper or lower jaw.
한편, 상기 악골을 절골하여 악골을 교정하는 악교정 수술의 경우에 환자에게 신체적 고통과 비용적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있기에, 상기 악골을 절골하여 교정하는 악교정 수술방식 이외에 악골에 교정력을 가하여 골격을 점진적으로 개선하거나 치열의 부정교합을 개선하는 악교정시술법이 치과교정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성장중인 아이들의 경우 악골의 교정치료를 통해 골격적인 개선을 하는 등의 방법으로 상기 악교정 수술을 피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orthodontic surgery to correct the jaw by severing the jaw bon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hysical pain and cost burden to the patient, in addition to the orthodontic surgery method to stiffen the jaw bone correction by applying the corrective force to the jaw bone gradually Orthodontic treatment to improve or improve the malocclusion of the orthodontics has been applied to the orthodontic field, especially in the case of growing children can be avoided by orthodontic treatment such as skeletal improvement through orthodontic treatment of the jaw.
상기 악교정 시술법의 일 예로서 상악골 확장술 수행되고 있는데, 상기 상악골 확장술은 상악골을 양측으로 벌려서 상악골의 폭을 넓힘으로써 윗니의 폭을 확대시키는 교정시술을 말한다.As an example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method, the maxillary dilatation is performed, and the maxillary dilatation refers to an orthodontic procedure that expands the width of the upper teeth by widening the maxilla by opening the maxilla to both sides.
상기 상악골 확장술을 위하여 근래에는 구강내 장치와 구강외 장치 등 다양한 치과용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구강외 장치는 생활에 큰 불편함을 주고 시각적인 혐오감을 주며, 상기 구강내 장치는 상악골 확장을 위하여 치아에 장치를 직접 적용하기 때문에 치근에 무리를 주고, 상악골의 확장과정에서 작용과 반작용에 의해 상악의 치열이 오히려 삐뚤어지는 위험이 있으며, 와이어가 여러 개의 치아들을 와이어가 묶어서 상악골에 확장력을 가해기 때문에 부피가 크고 이물감이 발생하고 시술이 복잡한 문제점 등이 있다. Recently, various dental devices such as an intraoral device and an extraoral device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for the maxillary dilatation. The extraoral device gives great discomfort and visual disgust, and the intraoral device is for maxillary expansion. Because the device is applied directly to the teeth for the purpose, it imposes a strain on the root, and there is a risk that the teeth of the maxilla are rather skewed by the action and reaction during the expansion of the maxilla, and the wire binds several teeth to the maxilla Because of the volum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ulky, foreign body occurs and the procedure is complicated.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상악골의 양측 구개사면에 직접 확장력을 가하여 상악 치열궁의 폭을 교정함으로써, 치아에 직접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악의 급속확대량을 얻을 수 있는 상악 치열궁 폭 교정장치를 개발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apply a dilation force directly to both palatal slopes of the maxilla to correct the width of the maxillary dental arch, thereby preventing the direct force from being applied to the teeth, and thereby providing a rapid enlargement of the maxillary dental arch width. The device was developed.
본 발명은, 상악골의 구개사면에 직접 폭 교정력을 가하여 상악 치열궁의 폭을 조절함으로써 상악골의 개선을 통해 상악 치열궁을 교정하는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ng device for correcting the maxillary dental arch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maxillary bone by applying the width correction force directly to the palatal slope of the maxilla.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악의 양측 구개사면에 고르게 확장력을 전달할 수 있는 구조의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ng devic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evenly transmitting the expansion force to both palatal slopes of the maxilla.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개에 적용이 용이하며 시술작업이 간편한 구조의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on device having a structure that is easy to apply to the palate and easy to operat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가 쉽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이물감이 최소화될 수 있는 구조의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ng apparatus having a structure in which manufacturing is easy,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nd foreign matter is minimized.
상술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악 치열궁의 폭교정을 위한 교정력을 발생시키는 폭교정 몸체유닛; 그리고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에 구비되며, 상기 상악 치열궁이 양측으로 확장되도록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에 의해 좌우 양측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상악골에 확장력을 가하는 푸싱유닛(Pushing Unit)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idth correction body unit for generating a corrective force for the width correction of the maxillary dental arch; And the maxillary dentition provided in the width correction body unit, and including a pushing unit to apply the expansion force to the maxilla while open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width correction body unit so that the maxillary dental arch expands to both sides. Provide palace width correction device.
여기서 상기 푸싱유닛은 상기 상악골의 양측 구개사면을 밀어서 상기 상악 치열궁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된다.Wherein the pushing unit is configured to extend the maxillary arch by pushing the palatal slope of the maxilla.
상기 푸싱유닛은; 상기 상악골의 일측 구개사면에 고정되며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1사이드부재, 그리고 상기 상악골의 타측 구개사면에 고정되며,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에 의해 상기 사이드부재의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사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ushing unit is; At least one first side member fixed to one palatal slope of the maxilla and movable in one direction by the width correcting body unit, and fixed to the other palatal slope of the maxilla, the side member by the width correcting body unit At least one second side member is provided that is movabl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configuration.
상기 제1사이드부재는, 상기 상악골의 일측 구개사면에 정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정착부재에 결합되는 판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2사이드부재는, 상기 상악골의 타측 구개사면에 정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정착부재에 결합되는 판형상을 가진다.The first side member has a plate shape coupled to at least one first fixing member fixed to one palatal slope of the maxilla; The second side member has a plate shape coupled to at least one second fixing member fixed to the other palatal slope of the maxilla.
여기서, 상기 제1사이드부재와 제2사이드부재는 수지재질을 갖는다. 예를 들면, 상기 제1사이드부재와 제2사이드부재는, 아크릴 수지(Polymethyl methacrylate:PMMA) 재질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Here, the first side member and the second side member has a resin material. For example, the first side member and the second side member may be molded into a plate shape having an acrylic resin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material.
그리고 상기 제1사이드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정착부재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관통홀을 가지고; 상기 제2사이드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정착부재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제1정착부재와 제2정착부재에 대한 상기 제1사이드부재와 제2사이드부재의 위치정렬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은 상기 제1정착부재와 제2정착부재의 둘레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first side member has at least one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at least one first fixing member passes; The second side member has at least one second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at least one second fixing member passes;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may include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so that the first side member and the second side member may be alig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It is preferable to form larger than the circumference.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에 경화수지가 도포됨에 따라 상기 제1사이드부재와 제2사이드부재가 상기 제1정착부재와 제2정착부재에 고정된다.As the hardening resin is applied to the at least on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the first side member and the second side member are fixed to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상술한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에 의하면, 양단부가 좌우 양측방향으로 확장가능한 폭교정 몸체유닛과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푸싱유닛에 의하여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의 확장에 의한 가압력 즉, 교정력을 상기 푸싱유닛를 통해 상악골에 제공함으로써, 상악 치열궁의 폭교정시에 치근이 약화되거나 치열이 원치않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irst, according to the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correction body unit by both the width correction body unit and the pushing unit is provided on both ends of the width correction body unit extends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providing the pressing force, that is, the corrective force to the maxilla through the pushing uni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oot weakness or movement in the unwanted direction during the width correction of the maxillary dental arch.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에 의하면, 상기 상악골의 확장시에 상기 상악골의 구개 양측사면에 교정력을 균일하게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상악골의 급속확대량을 얻을 수 있다.Second, according to the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rrective force can be applied uniformly and efficiently to both sides of the palate of the maxilla at the time of expansion of the maxilla, it is possible to obtain a rapid enlargement of the maxilla.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에 의하면, 시술이 간편하며 시술시에 구강조직에 대한 부담감과 이물감이 최소화되며, 구개사면의 전방과 후방에 고르게 교정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시술작업의 정밀성 및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Third, according to the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dure is simple and the burden and foreign body feeling on the oral tissue is minimized during the procedure, the precision of the operation can be applied evenly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palatal slope And convenience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가 좌우 양측방향으로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가 상악의 구개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에 상악골이 좌우로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axillary arch width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on device of FIG. 1 is extended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on device of FIG. 1 is applied to the palate of the maxilla.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xilla is extended from side to side in the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on device of FIG.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pecifically realiz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embodiment, the same nam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bel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가 좌우 양측방향으로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가 상악의 구개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1의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에 상악골이 좌우로 확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maxillary arch width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on device of FIG. 1 is extended in both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FIG.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where the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on device of FIG. 1 is applied to the palate of the maxilla,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xilla is extended from side to side in the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on device of FIG.
본 발명에 따른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는 구개에 직접 확장력을 가하여 상악 치열궁의 폭을 교정하는 장치로서, 치아에 대한 부담감을 최소화하고 치열궁의 급속확대량을 얻을 수 있다.The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correcting the width of the maxillary dental arch by applying a dilatation force directly to the palat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burden on the teeth and obtain a rapid enlargement of the dental arch.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의 일 실시예는, 교정력 발생을 위한 폭교정 몸체유닛(100)과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100)에 의해 좌우 양측방향으로 벌어지도록 구성되는 푸싱유닛(200; Pushing Unit)을 포함하여 구성된다.First, referring to Figures 1 to 3, one embodiment of the maxillary arch width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eft and right by the width
여기서 상기 푸싱유닛(200)은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100)에 구비되어 양방향으로 벌어지는데,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푸싱유닛(200)은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100)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100)이 신축함에 따라 확장되거나 축소되며, 상기 푸싱유닛(200)은 상기 상악골의 양측 구개사면을 좌우 양방향으로 밀어서 상기 상악 치열궁을 양측으로 확장시키게 된다. Here, the pushing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100)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좌우방향의 길이가 신장된다.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100)은 좌우 양측방향으로 확장/축소되는 신축식 몸체(110)와 상기 신축식 몸체의 신축을 위한 폭조절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싱유닛(200)는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100)의 신축식 몸체(110)에 구비되어 상기 신축식 몸체(110)가 좌우방향으로 신축됨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좁아지게 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idth
상기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는 상기 푸싱유닛(200)이 상기 상악골의 구개(입천장)에 고정됨에 따라 상악골에 설치되는데, 상기 푸싱유닛(200)은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사이드부재(210)와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2사이드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on device is installed in the maxilla as the pushing
상기 상악 치열궁의 교정을 위하여, 상기 제1사이드부재(210)는 상기 상악골의 양측 구개사면 중에서 일측 구개사면(좌측 또는 우측 구개사면)에 고정되며, 상기 제2사이드부재(220)는 타측 구개사면(우측 또는 좌측 구개사면)에 고정된다.In order to correct the maxillary dental arch, the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사이드부재(210)는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100)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의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일측 구개사면을 밀어주게 되며, 상기 제2사이드부재(220)는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100)에 의해 상기 제1사이드부재(21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타측 구개사면을 밀어주게 된다.In more detail, the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100)의 신축식 몸체(110)는 중심부를 기준으로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몸체(111)와 상기 제1몸체(111)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몸체(1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그리고 상기 제1몸체(111)에는 상기 제1사이드부재(210)가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112)에는 상기 제2사이드부재(22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몸체(111)와 제2몸체(112) 사이가 벌어지면 상기 제1사이드부재(210)와 제2사이드부재(220)의 사이가 확장되면서 상악골 자체에 확장력을 부여하게 되며, 상기 상악골이 양측으로 확장됨에 따라 상기 상악 치열궁도 동시에 확장된다.The
상기 신축식 몸체(110)의 폭조절, 즉 확장/축소를 위한 상기 폭조절부(120)는, 상기 상악골의 확장을 위하여 상기 제1몸체(111)와 상기 제2몸체(112) 사이를 벌려준다. 상기 폭조절부(120)는 나사 구동방식으로 작동되어 상기 제1몸체(111)와 상기 제2몸체(112)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게 된다.The
상기 폭조절부(120)의 일 예로서, 상기 제1몸체(111)와 제2몸체(112)를 연결하는 나사축(121)이 개시되나 상기 폭조절부(120)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나사축(121)의 일측에는 상기 제1몸체(111)가 나사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2몸체(112)가 나사결합된다. As an example of the
이때, 상기 나사축(121)에는 상기 나사축(121)을 회전시키기 위한 축회전구(12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축회전구(122)는 상기 나사축(121)의 중간부에 일체로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축회전구(122)는 상기 나사축(121)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데, 예를 들면 원통형상으로 구성되는 상기 나사축(121)의 중간부를 상기 축회전구(122)가 둘러싸는 형상이 된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축회전구(122)의 표면에는 복수개의 홀이나 홈들이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데, 시술자가 상기 홀에 상기 축회전구(122)의 조작기구(미도시)가 끼워져서 상기 축회전구(122)를 돌리면 상기 나사축(121)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나사축(121)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신축식 몸체의 폭이 조절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holes or groov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이를 위하여, 상기 나사축(121)의 중간부, 다시 말해서 상기 축회전구(122)를 기준으로 상기 나사축(121)의 일측부(121a)와 타측부(121b)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나사산)가 형성되는데, 상기 나사축(121)의 일측부(121a)에 형성된 수나사와 상기 나사축(121)의 타측부(121b)에 형성된 수나사는 상호 반대방향의 나사산으로서, 상기 나사축의 일측부(121a)에 오른쪽 나선방향의 수나사가 형성되면 상기 나사축의 타측부(121b)에는 왼쪽 나선방향의 수사나가 형성된다.To this end, a male screw (threaded thread)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one
그리고 상기 나사축(121)의 양측에 나사결합되는 상기 제1몸체(111)와 상기 제2몸체(112)는 상기 나사축(121)의 일측부와 타측부의 나사산에 대응되는 암나사홀(미도시)이 형성된다.The
상기 나사축(121)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제1몸체(111)와 상기 제2몸체(112)의 가이드를 위하여, 상기 제1몸체(111)와 상기 제2몸체(112)에는 바(bar) 형상의 슬라이드 가이드(140)가 삽입된다.Bars are provided on the
한편, 상기 푸싱유닛(200)는, 상기 상악 치열궁이 양측으로 확장되도록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100)에 의해 좌우 양측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상기 상악골에 확장력을 가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상악골의 양측 구개사면을 밀어서 상기 상악 치열궁을 확장시킨다. On the other hand, the pushing
그리고, 상기 푸싱유닛(200)의 제1사이드부재(210)는 판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악골의 일측 구개사면에 정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정착부재(410)에 결합된다. 상기 제2사이드부재(220)는 판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악골의 타측 구개사면에 정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정착부재(420)에 결합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제1몸체(111)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1사이드부재(210)가 고정되고, 상기 제2몸체(112)에는 하나 또는 복수개의 상기 제2사이드부재(220)가 고정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몸체(111)에 하나의 상기 제1사이드부재(210)가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112)에도 하나의 상기 제2사이드부재(220)가 구비된다. One or a plurality of
상기 제1사이드부재(210)는 상기 일측 구개사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사이드부재(220)는 상기 타측 구개사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사이드부재(210)와 제2사이드부재(220)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The
이에 따라 상기 상악골(501)의 좌/우측 구개사면은 넓은 영역에 걸쳐서 전체적으로 고르게 확장력을 적용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100)과 상기 푸싱유닛(200)은 좌우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사이드부재(210)와 상기 제2사이드부재(220)는 수지재질을 갖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아크릴 수지(Polymethyl methacrylate:PMMA) 재질을 이용하여 성형된다.Accordingly, the left / right palate slope of the
상기 아크릴 수지는 투명성이 뛰어나 교정시술이 용이하고, 성형성이 뛰어나 다양한 형상과 구조의 상악골에 대응이 가능하며, 경도가 높아서 제1몸체(111) 및 제2몸체(112)의 확장에 의한 가압력을 상기 상악골(501)의 양측 구개사면에 비교적 균일하게 제공할 수 있는 등 상기 푸싱유닛의 재질로서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The acrylic resin is excellent in transparency, easy to correct the corrective procedure, excellent in formability, it is possible to cope with the maxilla of various shapes and structures, the hardness is high, the pressing force by the expansion of the
상기 제1사이드부재(210)와 상기 제2사이드부재(220)의 재질로는 치과기공분야에 공지된 다양한 종류의 치과용 레진(Resin)이 적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치과교정부재의 제조, 특히 치과교정 시술 후에 교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현재 치과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수지재질의 교정유지장치의 제조에 독일 Dentaurum 사의 제품(제품명: Orthocryl)을 이용한 제조방식이 일반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므로, 상기 Orthocryl을 이용하여 기존과 동일한 제조방식으로 수지재질의 상기 사이드부재들을 제조할 수 있다.As a material of the
여기서, 상기 푸싱유닛(200)는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100),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신축식 몸체(110)의 양단부에 직접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신축식 몸체에 구비되는 연결부재(130)를 매개로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100)과 일체화된다.Here, the pushing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몸체(111)에는 제1연결부재(131)가 구비되고, 상기 제2몸체(112)의 단부에는 제2연결부재(132)가 구비되며, 상기 제1연결부재(131)에는 상기 제1사이드부재(210)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제2연결부재(132)에는 상기 제2사이드부재(220)가 일체로 구비된다. In more detail, the
상기 제1사이드부재(210)와 제2사이드부재(220)는 상기 상악골의 양측 구개사면에 대응하여 경사지게, 더 나아가 곡률진 플레이트 형상인 것이 좋으며, 상기 제1연결부재(131)와 상기 제2연결부재(132)는 상기 제1사이드부재(210)와 제2사이드부재(2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몸체(111)와 제2몸체(112)의 단부에 경사지게 연장 형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제1연결부재(131)와 상기 제2연결부재(132)는 상기 제1사이드부재(210)와 제2사이드부재(220)의 내부에 매립되어 일체화된다. 상기 제1사이드부재(210)와 상기 제2사이드부재(220)의 제조를 위하여, 상기 환자의 상악골 모형에 상기 제1연결부재(131)와 상기 제2연결부재(132)를 갖는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100)을 좌우 대칭되게 설치하고, 상기 제1연결부재(131)와 상기 제2연결부재(132)에 상기 제1사이드부재(210)와 제2사이드부재의 성형을 위한 수지를 입혀서 경화시키면 상악골의 양측 구개사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푸싱유닛(200)을 얻을 수 있다.The
상기 제1사이드부재(210)와 상기 제2사이드부재(220)에는 각각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정착부재(410, 420)와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211, 221)이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through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1사이드부재(210)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착부재(410)를 제1정착부재라 칭하고, 상기 제2사이드부재(220)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정착부재(420)를 제2정착부재라 칭할 때, 상기 제1사이드부재(210)에는 상기 제1정착부재(410)에 대응되는 수의 관통홀(211, 이하 제1관통홀이라 칭함)이 형성되고, 상기 제2사이드부재(220)에는 상기 제2정착부재(420)에 대응되는 수의 관통홀(221, 이하 제2관통홀이라 칭함)이 형성된다.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t least one fixing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관통홀(211)은 상기 제1사이드부재(210)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하나씩 형성되고, 상기 제2관통홀(221)은 상기 제2사이드부재(220)의 앞부분과 뒷부분에 하나씩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상악골의 양측 구개사면에 고르게 힘을 전달할 수 있는 정도의 수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through
그리고 상기 정착부재들(410, 420)은 각각, 상기 상악골(501)의 구개사면의 점막을 뚫고 상악골에 식립되는 몸통부(411a, 421a)와 상기 몸통부(411a, 421a)에 결합되어 구개 점막의 외부로 노출되는 헤드부(411b, 42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fixing
상기 헤드부(411b, 421b)에는 치열교정을 위한 견인부재(미도시)가 적용될 수 있도록 홀이나 홈 또는 후크 형상의 걸이부(미도시)가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악 치열궁의 확대와 동시에 치열 자체에 다양한 교정력을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정착부재들은 치열교정시 고정원으로 작용하는 임플란트로서 티타늄 재질로 구성되며 나사형태로 상기 상악골에 식립된다.The
상기 제1관통홀(211)과 제2관통홀(221)은, 상기 제1사이드부재(210)와 상기 제2사이드부재(220)이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100)에 형성된 이후에 상기 제1사이드부재(210)와 제2사이드부재(220)에 홀가공을 함으로써 형성된다. The first through
그리고 상기 제1정착부재(410)와 상기 제2정착부재(420)가 상기 제1관통홀(211)과 상기 제2관통홀(221)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1사이드부재와 제2사이드부재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1관통홀(211)과 제2관통홀(221)에 고정용 수지(R)가 도포되어 경화되면, 상기 제1사이드부재(210)와 상기 제1정착부재(410)가 상호 고정되고 상기 제2사이드부재(220)와 상기 제2정착부재(420)가 상호 고정된다. 상기 고정용 수지는 치과분야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Duralay resin(두랄레이 레진)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인체에 무해하다면 다른 종류의 접착성 레진을 사용할 수도 있다.The
상기 제1정착부재(410)는 상기 상악골(501) 일측 구개사면에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식립되어 정착되고, 상기 제2정착부재(420)는 상기 상악골(501) 타측 구개사면에 전후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개가 식립되어 정착된다.The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악골(501)의 교정력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양측 윗니의 견치(303a, 303b)와 제1소구치(304a, 304b)의 치근들 사이와 제2소구치와 제1대구치의 치근들 사이에 상기 제1정착부재(410)와 상기 제2정착부재(420)가 상호 대칭되게 식립된다.In particular, 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optimize the corrective force of the maxilla (501), between the root teeth of the dog teeth (303a, 303b) and the first premolar (304a, 304b) of both upper teeth and the root of the second premolar and the first molar The
시술자가 상기 상악골의 양측 구개사면에 상기 정착부재들(410, 420)을 식립한 후에 상기 정착부재들(410, 420)이 상기 관통홀들(211, 221)에 끼워지도록 상기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를 구강 내에 설치하고, 상기 고정용 수지(R)을 상기 관통홀들에 도포함으로써 상기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가 구강 내에 설치완료되며, 상기 폭조절부(120), 특히 상기 축회전구(122)를 이용하여 상기 나사축(121)을 회전시켜서 상기 제1사이드부재(210)와 제2사이드부재(220) 사이를 서서히 확장시키면서 상악 치열궁의 폭을 확대시킨다.The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on so that the fixing
한편, 상기 제1정착부재(410)와 제2정착부재(420)에 대한 상기 제1사이드부재(210)와 제2사이드부재(220)의 위치정렬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관통홀(211)과 제2관통홀(221)은 상기 제1정착부재(410)와 제2정착부재(420)의 둘레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through
다시 말해서 상기 정착부재들(410, 420)의 식립위치와 상기 관통홀들(211, 221)의 중심위치가 실제 시술과정에서 다소 어긋나더라도, 상기 제1사이드부재(210)와 상기 제2사이드부재(220)를 구개사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상기 관통홀들(211, 221)에 조립 공차를 허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even if the placement position of the fixing
상기 제1사이드부재(210)와 상기 제2사이드부재(220)는 상기 구개사면의 점막표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구개사면의 점막표면과 틈새를 두고 적용됨으로써 상기 정착부재들(410, 420)을 통해 상기 상악골의 구개사면에 교정력을 적용할 수 있다. The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의 시술과정의 일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an example of a procedure of the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우선, 상악 모형의 구개에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100)을 좌우 대칭되게 위치시키고,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100)의 제1연결부재(131)와 제2연결부재(132)에 아크릴 수지를 도포하여 경화시키는 작업을 통해, 상기 상악골의 구개사면의 소정부위를 커버하는 제1사이드부재(210)와 제2사이드부재(220)를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100)에 일체로 성형한다.First, the width
그리고 상기 정착부재들(410, 420)이 끼워질 위치에 상기 관통홀들(211, 221)을 드릴 가공하여 형성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에 따른 폭교정장치를 상기 상악 모형에서 제거하면 상기 상악 치열궁 확장시술을 위한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가 준비된다.In addition, the through
그리고 상기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를 환자에게 적용하기 위하여, 환자의 일측 구개사면과 타측 구개사면에 각각 상기 제1정착부재(410)와 제2정착부재(420)를 식립한 후에, 상기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정착부재들이 관통하여 설치되는 상기 관통홀들(211, 221)에 상기 고정용 수지를 도포하여 경화시키면 상기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의 구강 내 설치가 완료된다.And after applying the first fixing
그리고 상기 폭조절부(120)를 점진적으로 조절하면서 상기 상악골의 양측 구개사면에 직접 교정력을 적용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악 치열궁의 확장이 수행된다.And when the straightening force is directly applied to both palatal slopes of the maxillary bone while gradually adjusting th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Having looked at the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fac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em.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regarded as illustrative rather than restrictive,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may be modified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0: 폭교정 몸체유닛 110: 신축식 몸체
111: 제1몸체 112: 제2몸체
120: 폭조절부 130: 연결부재
140: 슬라이드 가이드 200: 푸싱유닛
210: 제1사이드부재 220: 제2사이드부재
410, 420: 정착부재100: width correction body unit 110: telescopic body
111: first body 112: second body
120: width adjustment unit 130: connecting member
140: slide guide 200: pushing unit
210: first side member 220: second side member
410, 420: fixing member
Claims (5)
상기 푸싱유닛은;
상기 상악골의 일측 구개사면에 고정되는 판형상을 가지며,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에 의해 일측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1사이드부재, 그리고
상기 상악골의 타측 구개사면에 고정되는 판형상을 가지며, 상기 폭교정 몸체유닛에 의해 상기 제1사이드부재의 반대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2사이드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악 치열궁의 폭교정장치.Width correction body unit for generating a correction force for the width correction of the maxillary dental arch; And a pushing unit provided in the width correction body unit and pushing both palatal slopes of the maxilla while opening in both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by the width correction body unit in order to extend the maxillary arch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s the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on device is configured to;
The pushing unit is;
At least one first side member having a plate shape fixed to one palatal slope of the maxilla, and movable in one direction by the width correction body unit, and
Width correction device of the maxillary dental arch having a plate shape fixed to the other palatal slope of the maxilla, comprising at least one second side member movabl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first side member by the width correction body unit .
상기 제1사이드부재는 상기 상악골의 일측 구개사면에 정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정착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2사이드부재는 상기 상악골의 타측 구개사면에 정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정착부재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side member is coupled to at least one first fixing member fixed to one palatal slope of the maxilla; The second side member is a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at least one second fixing member is fixed to the other palatal slope of the maxilla.
상기 제1사이드부재와 제2사이드부재는 수지재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ide member and the second side member has a resin material.
상기 제1사이드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정착부재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관통홀을 가지고; 상기 제2사이드부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정착부재가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제1정착부재와 제2정착부재에 대한 상기 제1사이드부재와 제2사이드부재의 위치정렬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관통홀과 제2관통홀은 상기 제1정착부재와 제2정착부재의 둘레보다 크게 형성되는 상악 치열궁 폭교정장치.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side member has at least one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at least one first fixing member passes; The second side member has at least one second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at least one second fixing member passes; The first through hole and the second through hole may include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so that the first side member and the second side member may be alig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fixing member and the second fixing member. Maxillary arch width correction device that is formed larger than the circumferenc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5930A KR101111976B1 (en) | 2010-05-17 | 2010-05-17 |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on device |
PCT/KR2011/003624 WO2011145863A2 (en) | 2010-05-17 | 2011-05-17 | Apparatus for correcting the width of the maxillary dental arc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45930A KR101111976B1 (en) | 2010-05-17 | 2010-05-17 |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on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6318A KR20110126318A (en) | 2011-11-23 |
KR101111976B1 true KR101111976B1 (en) | 2012-02-14 |
Family
ID=44992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45930A KR101111976B1 (en) | 2010-05-17 | 2010-05-17 |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on devic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111976B1 (en) |
WO (1) | WO2011145863A2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6590B1 (en) | 2016-12-21 | 2017-04-13 | 김중한 | An orthodontic device for moving maxillary teeth |
KR20180055168A (en) | 2016-11-16 | 2018-05-25 | 김병국 | Class iii malocclusion orthodontic appliance |
KR20210020548A (en) * | 2019-08-16 | 2021-02-24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Maxilla expanding apparatus |
KR20230072813A (en) * | 2021-11-18 | 2023-05-25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Orthodontic support appliance including maxillary extension functio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60320Y1 (en) * | 2011-12-12 | 2012-05-21 | 윤성원 | Orthodontic Appliance |
KR101466158B1 (en) * | 2014-10-07 | 2014-12-01 | 정성락 | 3-Dimensional Corrector for maxillary dentition |
US10111730B2 (en) * | 2014-11-12 | 2018-10-30 | Align Technology, Inc. | Orthodontic aligner with isolated segments |
EP3641690B1 (en) * | 2017-06-20 | 2023-07-05 | Betaline Orthodontics Pty Ltd | Orthodontic appliance |
US10575926B2 (en) | 2017-11-24 | 2020-03-03 | Craniofacial Technologies, Inc. | Maxillary expander |
EP3713509A1 (en) | 2017-11-24 | 2020-09-30 | Craniofacial Technologies Inc. | Improved maxillary expander and protraction device |
AU2018371846B2 (en) * | 2017-11-24 | 2024-11-21 | Facegenics Inc. | Improved maxillary expander and protraction device |
US12226126B2 (en) | 2018-07-13 | 2025-02-18 | Facegenics, Inc. | Cantilever protraction device |
US11786346B2 (en) | 2019-01-11 | 2023-10-17 | Trion Concepts, Inc. | Bone-mounted dental arch veneer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and utilizing the same |
KR20220032380A (en) * | 2020-09-07 | 2022-03-15 | 유한회사 인터메디 | Patient-specific rapid maxillary expanders |
CN114209455B (en) * | 2022-01-05 | 2023-11-03 |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 A multi-directional expand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44643A (en) | 1977-01-19 | 1979-03-20 | Krygier Stanley J | Maxillary orthopedic suture separating orthodontic appliance |
KR20060086753A (en) * | 2005-01-27 | 2006-08-01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Device for lateral enlargement of maxilla by fixing directly to the skeleton |
US7357633B2 (en) | 2005-08-09 | 2008-04-15 | Mayadontics, Llc | Device for correction of the form of upper jaw |
US20090130620A1 (en) | 2007-11-19 | 2009-05-21 | Mohamadreza Yazdi | Bone supported palatal expansion applianc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51238B1 (en) * | 1998-02-21 | 2000-04-15 | 곽흥구 | Recorder of centric jaw relationship |
-
2010
- 2010-05-17 KR KR1020100045930A patent/KR101111976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1
- 2011-05-17 WO PCT/KR2011/003624 patent/WO2011145863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144643A (en) | 1977-01-19 | 1979-03-20 | Krygier Stanley J | Maxillary orthopedic suture separating orthodontic appliance |
KR20060086753A (en) * | 2005-01-27 | 2006-08-01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Device for lateral enlargement of maxilla by fixing directly to the skeleton |
US7357633B2 (en) | 2005-08-09 | 2008-04-15 | Mayadontics, Llc | Device for correction of the form of upper jaw |
US20090130620A1 (en) | 2007-11-19 | 2009-05-21 | Mohamadreza Yazdi | Bone supported palatal expansion appliance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55168A (en) | 2016-11-16 | 2018-05-25 | 김병국 | Class iii malocclusion orthodontic appliance |
KR101726590B1 (en) | 2016-12-21 | 2017-04-13 | 김중한 | An orthodontic device for moving maxillary teeth |
KR20210020548A (en) * | 2019-08-16 | 2021-02-24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Maxilla expanding apparatus |
WO2021034018A1 (en) * | 2019-08-16 | 2021-02-25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Maxillary bone expansion device |
KR102251677B1 (en) | 2019-08-16 | 2021-05-12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Maxilla expanding apparatus |
KR20230072813A (en) * | 2021-11-18 | 2023-05-25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Orthodontic support appliance including maxillary extension function |
KR102649595B1 (en) * | 2021-11-18 | 2024-03-19 |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 Orthodontic support appliance including maxillary extension function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26318A (en) | 2011-11-23 |
WO2011145863A2 (en) | 2011-11-24 |
WO2011145863A3 (en) | 2012-04-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1976B1 (en) | Maxillary dental arch width correction device | |
KR102095105B1 (en) | Masticatory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 |
JP4350528B2 (en) | Straightening aligner assist system | |
EP3445272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bruxism and occlusal forces | |
JP5758396B2 (en) | Adjustable intraoral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to prevent epilepsy and sleep apnea | |
US9844424B2 (en) | Dental appliance with repositioning jaw elements | |
JP2020179302A (en) | Dental appliance with repositioning jaw elements | |
US20110005527A1 (en) | Orthodontic appliances | |
US20130095446A1 (en) | Direct Manufacture of Orthodontic Aligner Appliance | |
EP1323393A1 (en) | Mouthpiec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device for orthodontic treatment using the mouthpiece | |
US20130122448A1 (en) | Direct manufacture of orthodontic aligner appliance | |
US11911235B2 (en) | Occlusal splint arrangement with a fixing band | |
EP2754407A1 (en) | Direct manufacture of orthodontic aligner appliance | |
TWM615022U (en) | Orthodontic appliance | |
KR20190070298A (en) |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 |
KR102455244B1 (en) | Thermal deformation orthodontic appli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it | |
KR102379569B1 (en) | Clear align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for dentistry using thermoplastic shape-memory polymer | |
CN215458810U (en) | Dentition correcting tooth socket | |
TWM608387U (en) | Dental instrument, dental instrument kit and dental orthodontic system for treatment of malocclusion | |
KR20240019082A (en) | Shell-type dental instruments | |
ITTO20100798A1 (en) | ORTHODONTIC APPARATUS. | |
TWI814548B (en) | Orthodontic device | |
TWI830228B (en) | Orthodontic applian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CN221470024U (en) | Dental appliance system | |
Halabi | Retainers: A Comparative Guid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201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14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0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