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11539B1 - 기록 재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기록 재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539B1
KR101111539B1 KR1020050080785A KR20050080785A KR101111539B1 KR 101111539 B1 KR101111539 B1 KR 101111539B1 KR 1020050080785 A KR1020050080785 A KR 1020050080785A KR 20050080785 A KR20050080785 A KR 20050080785A KR 101111539 B1 KR101111539 B1 KR 101111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display
video
photographing
st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0882A (ko
Inventor
겐이치 이이다
이즈루 다나카
후미히코 가토
사토시 미하라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50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53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04Direct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 H04N5/9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04N7/142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terminal equipment, e.g. arrangements of the camera and the display
    • H04N2007/145Handheld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6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ultimedia information, e.g. a sound signal
    • H04N2201/326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ultimedia information, e.g. a sound signal of sound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하고 쉬운 조작으로 음성의 기록을 행하면서 정지 화상을 기록할 수 있는 기록 재생 장치를 제안한다.
기록 매체에 소정 정보를 기록 재생하는 휴대형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외부음을 집음(集音)하고, 집음 결과에 따른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집음 수단과, 외부를 촬영하고, 촬영 결과에 따른 동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촬영 수단과, 동영상 정보에 따른 동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촬영 수단을 촬영 가능한 상태 또는 촬영 불가능한 수납 상태로 가변적으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유지 수단에 의해 촬영 수단이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음성 정보의 기록을 개시했을 때, 검지 수단에 의해 촬영 수단이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검지했을 때는, 동영상 정보에 따른 동영상을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기록 매체, 정지 화상, 음성 정보, 촬영 수단, 동영상.

Description

기록 재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CONTROL METHOD}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의 외관 구성(1)을 나타낸 약선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의 외관 구성(2)을 나타낸 약선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의 외관 구성(3)을 나타낸 약선도이다.
도 4는 카메라 커버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약선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의 회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은 용건 폴더 선택 화면 등의 구성을 나타낸 약선도이다.
도 7은 녹음 시에 있어서의 자동 동영상 표시 제어 처리 순서를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 2: 본체부
3: CCD 카메라 4: LCD 커버부
6: 조작부 6A: 녹음 버튼
6B: 라이브 뷰 버튼 6C: 카메라 셔터 버튼
6D: 메뉴 버튼 6E: 조그 레버
6F: 정지 버튼 6G: 볼륨 스위치
6H: 음성 업 스위치 6I: 매크로 스위치
7: LCD 8: 카메라 커버
20A, 20B: 마이크로폰 23: 데이터 처리 및 제어부
24: CPU 25: ROM
26: RAM 27: 타이머
28: 제어부 29: DSP
30: 플래시 메모리 S1, S6: 음성 신호
S2: 조작 입력 신호 S3: LCD 커버 상태 신호
S4: 카메라 커버 상태 신호 S5: 화상 신호
D1: 음성 데이터 D2: 압축 음성 데이터
D3: 화상 데이터 D4: 압축 화상 데이터
RT: 녹음 시에 있어서의 자동 동영상 표시 제어 처리 순서
일본국 특개 2001-69453 공보
본 발명은 기록 재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며, 예를 들면 카메라가 부착된 IC(Integrated Circuit) 레코더에 적용하기에 바람직한 것이다.
종래, 휴대형 음성 기록 재생 장치로서 IC 레코더가 있다. 이 IC 레코더는 내장하는 마이크로폰에 의해 외부 음성을 집음(集音)하여, 얻어진 음성 데이터를 압축 부호화 처리하여 내장하는 반도체 메모리나 장전된 메모리 스틱(MEMORY STICK)(소니 주식회사 등록 상표) 등의 외부 메모리에 기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IC 레코더는 소형 경량으로 구성되며, 휴대성도 우수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회의나 협의 등의 비지니스 장면(business scene)에서 사용되는 한편, 비지니스 신 이외에도 개인용 음성 메모 기기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또, 최근에는 이와 같은 IC 레코더에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 등의 카메라가 장착되고, CCD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정지(靜止) 화상의 화상에 따른 화상 데이터를, 집음된 음성에 따른 음성 데이터에 관련시킴으로써, 음성을 재생할 때, 음성의 재생을 행하면서, 화상 데이터가 관련된 타이밍으로 정지 화상의 화상도 재생하는 정지 화상 카메라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문헌 정보 참조).
그런데, 이와 같은 정지 화상 카메라에 있어서는, CCD 카메라의 카메라 렌즈에 흠이 생김으로써, 이러한 카메라 렌즈가 손상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이와 같은 정지 화상 카메라에 있어서는, 카메라 렌즈를 차폐하는 등에 의해 보호하는 기구를 설치함으로써, 해당 카메라 렌즈를 흠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고려되지만,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카메라 렌즈를 노출시키거나, CCD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을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등의 조작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어, 번잡한 조작이 필요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간단하고 쉬운 조작으로 음성의 기록을 행하면서 정지 화상을 기록할 수 있는 기록 재생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기록 매체에 소정 정보를 기록 재생하는 휴대형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외부음을 집음하고, 집음 결과에 따른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집음 수단과, 외부를 촬영하고, 촬영 결과에 따른 동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촬영 수단과, 동영상 정보에 따른 동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촬영 수단을 촬영 가능한 상태 또는 촬영 불가능한 수납 상태로 가변적으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유지 수단에 의해 촬영 수단이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음성 정보의 기록을 개시했을 때, 검지 수단에 의해 촬영 수단이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검지했을 때는, 동영상 정보에 따른 동영상을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설치하도록 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번잡한 조작을 행하게 하지 않고, 녹음 동작 시에, 즉시 동영상에 따른 정지 화상을 보존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기록 매체에 소정 정보를 기록 재생하는 휴대형 기록 재 생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음을 집음함으로써 얻어진 음성 정보의 기록을 개시하는 제1 스텝과, 촬영 가능한 상태 또는 촬영 불가능한 수납 상태로 가변적으로 유지되는 촬영 수단이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제2 스텝과, 음성 정보의 기록을 개시했을 때, 촬영 수단이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검지했을 때는, 외부를 촬영함으로써 얻어진 동영상 정보에 따른 동영상을 표시하는 제3 스텝을 포함하도록 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번잡한 조작을 행하게 하지 않고, 녹음 동작 시에, 즉시 동영상에 따른 정지 화상을 보존 가능한 상태할 수 있다.
이하 도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1) 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1)의 구성
도 1~도 3에서, (1)은 전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1)를 나타내고, 전체적으로 둥그스름하고 세로로 긴 형상의 본체부(2) 상부에,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3)가 장착된 LCD(Liquid Crystal Display) 커버부(4)가 상 방향(화살표 z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2)에서는, 배면(2A)의 상부 좌우 양측에 각각 집음(集音) 구멍(5A, 5B)이 뚫려 형성되는 동시에, 이들 집음 구멍(5A, 5B)에 각각 대응시켜 그 내부에 마이크로폰(20A, 20B)(도 5)이 수납되어 있고, 이렇게 하여 이들 마이크로폰(20A, 20B)이 대응하는 집음 구멍(5A, 5B)을 통해 외부 음성을 집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체부(2)의 앞면(2B) 중단 위치에는, 녹음 버튼(6A)이 설치되어 있고, 이 녹음 버튼(6A)을 가압 조작함으로써, 각 마이크로폰(20A, 20B)에 의해 집음된 외부 음성의 녹음 동작을 개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2)의 앞면(2B) 상단 위치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해상도의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지는 LCD(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LCD(7)의 하측에는, 라이브 뷰 버튼(6B)이 설치되어 있고, 이 도 3과 같이 LCD 커버부(4)를 상 방향으로 꺼내 열린 상태로 하고,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LCD 커버부(4)의 카메라 커버(8)를 CCD 카메라(3)가 노출되도록 회전시킨 열린 상태로 한 상태에서, 이 라이브 뷰 버튼(6B)을 가압 조작함으로써, 그 때 CCD 카메라(3)에 의해 촬상되고 있는 동영상을 LCD(7)에 표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2)의 앞면(2B) 중단에 있어서의 라이브 뷰 버튼(6B)의 좌측 옆에는, 카메라 셔터 버튼(6C)이 설치되어 있고, LCD(7)에 동영상이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이 카메라 셔터 버튼(6C)을 가압 조작함으로써, LCD(7)에 표시되고 있던 동영상 중 카메라 셔터 버튼(6C)을 가압 조작한 순간의 1 프레임분의 정지 화상을 수납하여 보존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1)에서는, LCD(7)에 표시된 동영상을 관찰 확인하면서, 원하는 정지 화상을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본체부(2)의 우측면(2C)에는, 메뉴 버튼(6D)이 설치되어 있고, 이 메뉴 버튼(6D)을 가압 조작함으로써, LCD(7)에 소정 메뉴 화면을 표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체부(2)의 우측면(2C)에 있어서의 메뉴 버튼(6D)의 하측에는 조그 레버(6E)가 설치되어 있고, 이 조그 레버(6E)를 상하 좌우 방향으로 넘어뜨리도 록 조작하거나, 이 조그 레버(6E)를 가압 조작함으로써, 메뉴 화면 내에 표시된 각종 선택 사항 중 원하는 선택 사항을 선택하거나, 그 선택 사항을 선택 대상으로 하여 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2)의 우측면(2C)에 있어서의 조그 레버(6E)의 하측에는, 정지 버튼(6F)이 설치되는 동시에, 해당 정지 버튼(6F)의 하측에는 볼륨 버튼(6G))이 설치되어 있고, 이 정지 버튼(6F)을 가압 조작함으로써 녹음 동작이나 재생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고, 또 재생 동작 시에 볼륨 버튼(6G)의 상측 또는 하측을 가압 조작함으로써, 이 때 LCD(7)의 뒤쪽에 설치된 스피커(32)(도 5)로부터 출력되는 재생 음성의 음량을 올리고 또는 내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2)의 우측면(2C)에 있어서의 볼륨 버튼(6G)의 하측에는, 음성 업 스위치(6H)가 설치되어 있고, 이 음성 업 스위치(6H)를 재생 동작 시에 온 설정하여 둠으로써, 녹음 동작 시에 큰 음량으로 녹음된 음성의 음량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작은 음량으로 녹음된 음성을 큰 음량으로 출력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른 한편, 본체부(2)의 좌측면(2D)에는, 전원 커넥터(9)가 설치되어 있고, 소정 전원 공급 키트의 플러그를 이 전원 커넥터(9)에 삽입함으로써, 이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1)에 전원 전압을 공급하거나, 해당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1) 내에 내장된 전지(도시하지 않음)에 대한 충전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본체부(2)의 좌측면(2D)에 있어서의 전원 커넥터(9)의 하측에는, USB(Universal Serial Bus) 커넥터(10)가 설치되어 있고, 이 USB 커넥터(10)를 통해 퍼스널 컴퓨터 등의 외부 기기와 USB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1)에서는, 이러한 USB 접속된 외부 기기 사이에서 이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1)에 보존된 녹음 음성의 음성 데이터나 녹화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출력하거나, 해당 외부 기기로부터 주어지는 음성 데이터나 화상 데이터를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부(2)의 앞면(2B)에 있어서의 LCD(7)의 바로 아래에는, 충전 시에 점등(点燈)하는 충전용 LED(Light Emitting Diode)(11)와, 녹음 동작 시나 재생 동작 시에 점등하는 오퍼레이션용 LED(12)가 설치되어 있고, 이렇게 하여 사용자가 이들 충전용 LED(11) 및 오퍼레이션용 LED(12)의 점멸 상태에 따라 충전이나 녹음 등이 확실하게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2)의 하측면(2E)에는, 마이크로폰 잭(13) 및 헤드폰 잭(14)이 설치되어 있고, 이렇게 하여 마이크로폰 잭(13)에 외부 마이크로폰(도시하지 않음)의 출력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해당 마이크로폰에 의해 집음된 외부 음성을 수납하여 녹음할 수 있고, 또 헤드폰 잭(14)에 외부 헤드폰(도시하지 않음)의 입력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재생 동작 시에 재생된 녹음 음성을 해당 헤드폰에 의해 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LCD 커버부(4)에서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닫혀진 닫힌 상태 시에 있어서 본체부(2)의 LCD(7)의 2/3 정도를 덮도록 그 외형 형상이 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1)에서는, 미사용 시에는 LCD 커버부(4)를 닫힌 상태로 함으로써 LCD(7)를 해당 LCD 커버부(4)에 의해 보호할 수 있는 한편, 사용 시에는 도 3과 같이 이 LCD 커버부(4)를 상 방향으로 꺼내 열린 상 태로 함으로써, LCD(7)를 노출시켜 해당 LCD(7)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 등을 사용자가 관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LCD 커버부(4)의 상부에는, 원주 형상의 카메라 커버(8)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이 카메라 커버(8)의 소정 위치에는, 전술한 CCD 카메라(3)가 그 광학축을 해당 카메라 커버(8)의 중심축과 수직 방향을 향해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카메라 커버(8)는 도 4 (A)와 같이 CCD 카메라(3)가 LCD 커버부(4) 내에 숨은 회전 위치(이하, 이 회전 위치를 원점 위치라고 함)로부터 도 4 (D)와 같이 CCD 카메라(3)의 광학축이 본체부(2) 앞면(2B)의 법선 방향과 대략 일치하는 회전 위치(이하, 이 회전 위치를 종점 위치라고 함)까지의 범위 내에서 화살표 a 방향 또는 이것과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1)에서는, 도 4 (A)와 같이 카메라 커버(8)를 원점 위치에 위치시킨 닫힌 상태로 함으로써 미사용 시의 CCD 카메라(3)를 보호하는 한편, 이 상태로부터 카메라 커버(8)을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4 (B)와 같이 CCD 카메라(3)가 본체부(2)의 배면(2A) 측에 노출된 열린 상태로 함으로써, LCD(7)에 표시되는 동영상을 관찰하면서 원하는 화상을 촬영할 수 있고, 이 상태로부터 다시 카메라 커버(8)를 종점 위치까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도 4 (C)와 같이 LCD(7)에 표시되는 동영상을 관찰하면서 사용자 자신의 얼굴도 촬영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카메라 커버(8)에는 매크로 스위치(6I)가 설치되어 있고, 이 매크로 스위치(6I)를 온 설정함으로써, CCD 카메라(8)를 피사체에 근접시킨 근접 촬영에도 대응할 수 있는 매크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매크로 스위치(6I)의 설치 위치는 CCD 카메라(3)와 180〔°〕어긋난 위치에 선정되어 있고, 이에 따라 LCD에 표시되는 동영상에 따라 매크로 모드의 필요성을 판단한 후에, 필요하다고 판단했을 때 사용자가 매크로 스위치(6I)를 용이하게 온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2)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1)의 내부 구성
여기에서 도 5는 이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1)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이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1)에서는, 전원 투입 시, 마이크로폰(20A, 20B)이 외부 음성을 집음하여, 얻어진 음성 신호 S1을 증폭기(21)를 통해 AD(Analog Digital)/(DA(Digital Analog) 컨버터(22)에 송출한다. 또 AD/DA 컨버터(22)는 마이크로폰(20A, 20B)으로부터 주어지는 음성 신호 S1을 차례로 디지털 변환 처리하여, 얻어진 음성 데이터 D1를 데이터 처리 및 제어부(23)에 차례로 송출한다.
데이터 처리 및 제어부(23)는 이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1) 전체의 제어를 담당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4), 각종 프로그램이 저장된 ROM(Read Only Memory)(25), 해당 CPU(24)의 워크 메모리로서의 RAM(Random Access Memory)(26) 및 내장 타이머(2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마이크로 컴퓨터 구성의 제어부(28)와, 음성 데이터 D1 및 후술하는 화상 데이터 D3에 대한 데이터 압축 신장 기능을 가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29)로 구성된다.
그리고 데이터 처리 및 제어부(23)의 제어부(28)에는, 조작부(6)를 구성하는 전술한 녹음 버튼(6A), 라이브 뷰 버튼(6B), 카메라 셔터 버튼(6C), 메뉴 버튼(6D), 조그 레버(6E), 정지 버튼(6F), 볼륨 스위치(6G), 음성 업 스위치(6H) 및 매크로 스위치(6I) 중 어느 하나가 조작되었을 때, 이에 따른 조작 입력 신호 S2가 조작부(6)로부터 주어진다.
또 제어부(28)에는, LCD 커버부(4) 내에 설치된 대응하는 센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LCD 커버부(4)가 닫힌 상태(도 1 및 도 2) 및 열린 상태(도 3)의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LCD 커버 상태 신호 S3과, 카메라 커버(8)가 닫힌 상태(도 4 (A)) 및 열린 상태(도 4 (B) 및 4(C))의 어느 상태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카메라 커버 상태 신호 S4가 각각 부여된다.
이렇게 하여 제어부(28)의 CPU(24)는 조작 입력 신호 S2에 따라 사용자 조작의 조작 내용을 인식하는 동시에, LCD 커버 상태 신호 S3 및 카메라 커버 상태 신호 S4에 따라 현재의 LCD 커버부(4) 및 카메라 커버(8) 상태를 검지하고, 이들 인식 및 검지 결과와 ROM(25)에 저장된 각종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대응하는 각종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실제 상, CPU(24)는 조작 입력 신호 S2에 따라 조작부(6)의 녹음 버튼(6A)이 가압 조작된 것을 인식하면, LCD 커버 상태 신호 S3 및 카메라 커버 상태 신호 S4에 따라 LCD 커버부(4) 및 카메라 커버(8) 상태를 판단하고, LCD 커버부(4) 및 카메라 커버(8)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닫힌 상태에 있는 것을 검지했을 때는, 이에 따라 동작 모드를 녹음 모드로 천이(遷移)하여 DSP(29)를 제어한다. 이렇게 하여 이 때 DSP(29)는 이러한 CPU(24)의 제어 하에, AD/DA 컨버터(22)로부터 주어지는 음성 데이터 D1에 대하여 LPEC(소니 주식회사 등록 상표) 등의 소정 음성 압축 방식에 따른 음성 압축 처리를 실행하여, 얻어진 압축 음성 데이터 D2를 차례로 플래시 메모리(30)에 저장한다.
또 CPU(24)는 이후 조작 입력 신호 S2에 따라 정지 버튼(6F)이 가압 조작된 것을 인식하면, DSP(29)를 제어함으로써, AD/DA 컨버터(22)로부터 주어지는 음성 데이터 D1에 대한 음성 압축 처리를 정지시키는 한편, 그 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있던 폴더 내에 새로운 용건 폴더를 생성하고, 이러한 압축 음성 데이터 D2를 기존의 IC 레코더에서 채용되고 있는 음성 파일 포맷과 동일 파일 포맷으로 파일화하고, 이렇게 하여 얻어진 음성 파일을 그 용건 폴더에 수납하고, 그 용건 폴더의 관리 정보를 소정 관리 파일에 저장한다.
또 CPU(24)는 LCD 커버 상태 신호 S3 및 카메라 커버 상태 신호 S4에 따라 LCD 커버부(4) 및 카메라 커버(8)의 양쪽이 열린 상태로 된 것을 검지하면, 동작 모드를 카메라 모드로 천이시켜, CCD 카메라(3)를 제어함으로써 CCD 카메라(3)를 기동시킨다. 이 결과, 그 때 CCD 카메라(3)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광경에 대한 화상 신호 S5가 해당 CCD 카메라(3)로부터 차례로 출력되고, 이것이 데이터 처리 및 제어부(23)에 주어진다.
그리고 CPU(24)는 이 상태에서 조작 입력 신호 S2에 따라 라이브 뷰 버튼(6B)이 가압 조작된 것을 인식하면, 이에 따라 DSP(29)를 제어한다. 이렇게 하여 이 때 DSP(29)는 이러한 CCD 카메라(3)로부터 주어지는 화상 신호 S5를 차례로 디 지털 변환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 D3을 LCD(7)에 송출한다. 이 결과, 이 화상 데이터 D3에 따른 그 때 CCD 카메라(3)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광경의 동영상이 리얼 타임으로 LCD(7)에 표시된다.
또한 CPU(24)는 이후 이 상태에서 조작 입력 신호 S2에 따라 카메라 셔터 버튼(6C)이 가압 조작된 것을 인식하면, 이에 따라 DSP(29)를 제어한다. 이렇게 하여, 이 때 DSP(29)는 화상 데이터 D3에 따라 얻어지는 그 카메라 셔터 버튼(6C)이 가압된 순간의 1 프레임분의 정지 화상의 화상 데이터 D3을 수납하고, 이 수납한 화상 데이터 D3에 대하여, 예를 들면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등의 소정 화상 압축 방식에 따른 화상 압축 처리를 실행하여, 얻어진 압축 화상 데이터 D4를 플래시 메모리(30)에 저장한다.
그리고 CPU(24)는 이후 그 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있던 폴더 내에 새로운 용건 폴더를 생성하고, 이러한 압축 화상 데이터 D4로 이루어지는 화상 파일을 그 용건 폴더에 수납하고, 그 용건 폴더의 관리 정보를 전술한 관리 파일에 저장한다.
한편, CPU(24)는 조작 입력 신호 S2에 따라 녹음 버튼(6A)이 가압 조작된 것을 인식하면, LCD 커버 상태 신호 S3 및 카메라 커버 상태 신호 S4에 따라 LCD 커버부(4) 및 카메라 커버(8) 상태를 판단하고, LCD 커버부(4) 및 카메라 커버(8)의 양쪽이 열린 상태에 있는 것을 검지했을 때는, 동작 모드를 녹음 녹화 모드로 천이시키는 동시에, 이에 따라 DSP(29)를 제어한다.
이 때 DSP(29)는 전술한 녹음 모드 시와 동일하게 AD/DA 컨버터(22)로부터 주어지는 음성 데이터 D1에 대하여 차례로 소정 음성 압축 처리를 실행하여, 얻어진 압축 음성 데이터 D2를 플래시 메모리(30)에 저장한다. 또 이 때 DSP(29)는 전술한 카메라 모드 시와 동일하게, CCD 카메라(3)로부터 주어지는 화상 신호 S5를 차례로 디지털 변환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 D3을 LCD(7)에 송출한다. 이 결과 LCD(7)에는, 이 화상 데이터 D3에 따른 그 때 CCD 카메라(3)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광경의 동영상이 리얼 타임으로 표시된다.
또한 CPU(24)는 이후 이 상태에서 조작 입력 신호 S2에 따라 카메라 셔터 버튼(6C)이 가압 조작된 것을 인식하면, 이에 따라 DSP(29)를 제어한다. 이 때 DSP(29)는 카메라 모드 시와 동일하게, CCD 카메라(3)로부터 주어지는 화상 신호 S5에 따라 얻어지는 그 카메라 셔터 버튼(6C)이 가압된 순간의 1 프레임분의 정지 화상의 화상 데이터 D3을 수납하고, 이 수납한 화상 데이터 D3에 대하여 화상 압축 처리를 실행한다.
또 DSP(29)는 이후 이러한 화상 압축 처리에 의해 얻어진 압축 화상 데이터 D4를, 그 카메라 셔터 버튼(6C)이 가압 조작된 순간을 후에 검색할 때의 표적이 되는 화상(이하, 이것을 북마크 화상이라고 함)의 압축 화상 데이터 D4로 하고, 그 때 플래시 메모리(30)에 차례로 저장하고 있는 압축 음성 데이터 D2가 대응하는 위치와 관련시켜 플래시 메모리(30)에 저장한다.
그리고 CPU(24)는 이후 조작 입력 신호 S2에 따라 정지 버튼(6F)이 가압 조작된 것을 인식하면, 그 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있던 폴더 내에 새로운 용건 폴더를 생성하고, 이러한 압축 음성 데이터 D2로 이루어지는 음성 파일과, 해당 음 성 파일과 관련된 전술한 각 압축 화상 데이터 D4로 이루어지는 각 화상 파일을 그 용건 폴더에 수납하고, 그 용건 폴더의 관리 정보를 전술한 관리 파일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하여 이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1)에서는, 음성 및 정지 화상을 각각 독립적으로 기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지 화상을 녹음 중의 음성과 관련시켜 북마크 화상으로서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1)에서는, 이와 같이 음성과 관련시켜 기록된 북마크 화상에 따라, 원하는 용건 폴더나 용건 폴더 내의 원하는 음성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
실제 상, CPU(24)는 조그 레버(6E)가 가압 조작되어, 원하는 폴더 내의 원하는 용건 폴더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이하, 이것을 용건 폴더 선택 화면이라고 함) 또는 그 용건 폴더 내의 원하는 북마크 화상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이하, 이것을 북마크 화상 선택 화면이라고 함)의 표시 명령이 입력된 것을 조작 입력 신호 S2에 따라 인식하면,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D3을 ROM(25)으로부터 판독하여 LCD(7)에 송출함으로써,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용건 폴더 선택 화면(33)이나, 해당 용건 폴더 선택 화면(33)과 동일 구성의 북마크 화상 선택 화면(34)(도 6)을 LCD(7)에 표시시킨다.
이 경우에 있어서 CPU(24)는 용건 폴더 선택 화면(33)을 LCD(7)에 표시시키는 데 있어서는, 그 폴더 내의 용건 폴더마다 각각 그 용건 폴더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대표적인 북마크 화상(이하, 이것을 대표 화상이라고 함)의 화상 파일(압축 화상 데이터 D4)을 플래시 메모리(30)로부터 판독하고, 이것을 DSP(29)에 복호화 처리시켜, 얻어진 화상 데이터 D3에 따라 소정 사이즈의 썸네일(thumbnail) 화상 P1~P6를 작성한다.
그리고 CPU(24)는 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렇게 하여 얻어진 용건 폴더마다의 썸네일 화상 P1~P6를 용건 폴더 선택 화면(33) 내에 일람 표시시킨다. 그리고, 이 때 음성만의 정지 화상을 포함하지 않는 용건 폴더에 대해서는, 썸네일 화상에 대신하여 소정 아이콘이 표시된다.
또 CPU(24)는 그 후 조그 레버(6E)가 조작되어, 용건 폴더 선택 화면(33) 내의 1개의 썸네일 화상 P1~P6가 선택되면, 전술한 관리 파일에 따라, 대응하는 용건 폴더 내의 음성 파일(압축 음성 데이터 D2)을 플래시 메모리(30)로부터 판독하고, 이것을 DSP(29)에 복호화 처리시킨다.
이 결과, 이러한 복호화 처리에 의해 얻어진 음성 데이터 D1이 DSP(29)로부터 출력되고, 이것이 AD/DA 컨버터(22)에서 아날로그 변환되어, 얻어진 음성 신호 S6이 증폭기(31)를 통해 스피커(32)에 주어진다. 이에 따라, 이 때 이 음성 신호 S6에 따른 음성이 스피커(32)로부터 출력된다.
이와 동일하게, CPU(24)는 북마크 화상 선택 화면(34)(도 6)을 LCD(7)에 표시시킬 때는, 이러한 관리 파일에 따라, 대응하는 용건 폴더 내의 각 북마크 화상의 화상 파일(압축상 데이터 D4)을 플래시 메모리(30)로부터 판독하고, 이들을 DSP(29)에 복호화 처리시켜, 얻어진 각 화상 데이터 D3에 따라 소정 사이즈의 썸네 일 화상 P1~P6를 각각 작성한다. 그리고 CPU(24)는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북마크 화상마다의 썸네일 화상 P1~P6를 북마크 화상 선택 화면(34) 내에 일람 표시시킨다.
또 CPU(24)는 그 후 조그 레버(6E)가 조작되어, 북마크 화상 선택 화면(34) 내의 1개의 썸네일 화상 P1~P6가 선택되면, 플래시 메모리(30)로부터 대응하는 음성 파일에 있어서의 그 썸네일 화상 P1~P6의 원래의 북마크 화상과 대응한 음성 부분 이후의 압축 음성 데이터 D2를 판독하고, 이것을 DSP(29)에 복호화 처리시킨다.
이 결과, 이러한 복호화 처리에 의해 얻어진 음성 데이터 D1이 DSP(29)로부터 출력되고, 이것이 AD/DA 컨버터(22)에서 아날로그 변환되어, 얻어진 음성 신호 S6가 증폭기(31)를 통해 스피커(32)에 주어진다. 이에 따라, 이 음성 신호 S6에 따라, 선택된 용건 폴더에서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북마크 화상과 대응한 음성 위치 이후의 음성이 스피커(32)로부터 출력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이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1)에서는, 용건 폴더의 대표 화상이나 용건 파일 내의 각 북마크 화상에 따라, 원하는 용건 폴더나, 용건 폴더 내의 원하는 음성 위치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더하여 이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1)의 경우, 음성 파일을 포함하는 용건 폴더에 대해서는, 해당 음성 파일의 재생 시에 새로운 북마크 화상을 기록할 수 있고, 또 화상 파일만을 포함하는 용건 폴더에 대해서는, 나중에 음성을 관련시켜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실제 상, CPU(24)는 LCD 커버 상태 신호 S3 및 카메라 커버 상태 신호 S4에 따라 LCD 커버부(4) 및 카메라 커버(8)의 양쪽이 열린 상태에 있는 것을 검지하고 있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용건 폴더의 음성 파일을 전술한 바와 같이 재생하고 있는 상태에서, 조작 입력 신호 S2에 따라 카메라 셔터 버튼(6C)이 가압 조작된 것을 인식하면, 이에 따라 DSP(29)를 제어한다.
이 때 DSP(29)는 이러한 CPU(24)의 제어 하에, CCD 카메라(3)로부터 주어지는 화상 신호 S5에 따라 얻어지는 그 카메라 셔터 버튼(6C)이 가압된 순간의 1 프레임분의 정지 화상의 화상 데이터 D3을 수납하고, 이 수납한 화상 데이터 D3에 대하여 화상 압축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DSP(29)는 이후 이러한 화상 압축 처리에 의해 얻어진 압축 화상 데이터 D4를, 그 카메라 셔터 버튼(6C)이 가압 조작된 순간의 북마크 화상의 화상 파일로 하고, 그 때 재생하고 있는 음성 파일과 관련시켜 플래시 메모리(30)에 저장한다.
한편, CPU(24)는 LCD(7)에 표시된 용건 폴더 선택 화면(33)(도 6)에서, 화상 파일만으로 이루어지는 용건 폴더가 선택되고, 조그 레버(6E)를 사용한 소정 조작에 의해 해당 용건 폴더에 대하여 추가 녹음하는 취지의 명령이 입력된 후에, 녹음 버튼(6A)이 가압 조작된 것을 조작 입력 신호 S2에 따라 인식하면, 이에 따라 DSP(29)를 제어한다.
이렇게 하여 이 때 DSP(29)는 이러한 CPU(24)의 제어 하에, AD/DA 컨버터(22)로부터 주어지는 음성 데이터 D1에 대하여 음성 압축 처리를 실행하여, 얻어진 압축 음성 데이터 D2를 음성 파일로서 그 화상 파일과 관련시켜 플래시 메모리(30) 에 저장한다. 또한 이 경우, 원래의 화상 파일에 따른 정지 화상은 추가 기록된 음성의 선두 위치의 북마크 화상에 자동 설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이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에서는, 기록 음성의 원하는 위치에 나중에 자유롭게 북마크 화상을 추가 기록하거나, 기록된 정지 화상에 나중에 음성을 관련시켜 추가 기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록 음성의 원하는 부분의 검색성을 향상시키거나, IC 레코더로서의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3) 녹음 동작 시에 있어서의 자동 동영상 표시 기능
다음에, 이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1)에 탑재되어 있는 자동 동영상 표시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1)에서는, LCD 커버부(4) 및 카메라 커버(8)의 양쪽이 열린 상태인 촬영 가능한 상태 또는 LCD 커버부(4) 및 카메라 커버(8)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이 닫힌 상태인 촬영 불가능한 수납 상태를 가변적으로 유지하도록 되어 있어, 녹음 버튼(6A)이 가압 조작되었을 때, LCD 커버부(4) 및 카메라 커버(8)가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을 때는 자동적으로 동영상을 LCD(7)에 표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실제 상, CPU(24)는 조작 입력 신호 S2에 따라 녹음 버튼(6A)이 가압 조작된 것을 인식하면, LCD 커버부(4) 및 카메라 커버(8)가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검지했을 때는, 동작 모드를 녹음 녹화 모드로 천이시키는 동시에, CCD 카메라(3)를 제어함으로써 CCD 카메라(3)를 기동시킨다. 이 결과, 그 때 CCD 카메라(3)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광경에 대한 화상 신호 S5가 해당 CCD 카메라(3)로부터 차례로 출력되고, 이것이 데이터 처리 및 제어부(23)에 주어진다.
그리고 CPU(24)는 그 후 이에 따라 DSP(29)를 제어함으로써, 이러한 CCD 카메라(3)로부터 주어지는 화상 신호 S5를 차례로 디지털 변환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 D3을 LCD(7)에 송출한다. 이 결과, 이 화상 데이터 D3에 따른 그 때 CCD 카메라(3)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광경의 동영상이 즉시 LCD(7)에 표시된다.
또, 이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1)에서는, LCD 커버부(4) 및 카메라 커버(8)가 촬영 불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동작 모드가 녹음 모드로 천이된 후에, LCD 커버부(4) 및 카메라 커버(8)가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었을 때는 동작 모드가 녹음 녹화 모드로 천이되는 동시에, 자동적으로 동영상을 LCD(7)에 표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실제 상, CPU(24)는 조작 입력 신호 S2에 따라 조작부(6)의 녹음 버튼(6A)이 가압 조작된 것을 인식하면, LCD 커버부(4) 및 카메라 커버(8)가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촬영 가능한 수납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검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에 따라 동작 모드를 녹음 모드로 천이하여 DSP(29)를 제어한다. 이렇게 하여 이 때 DSP(29)는 전술한 녹음 모드 시와 동일하게 AD/DA 컨버터(22)로부터 주어지는 음성 데이터 D1에 대하여 차례로 소정 음성 압축 처리를 실행하여, 얻어진 압축 음성 데이터 D2를 플래시 메모리(30)에 저장한다.
그리고 그 후 CPU(24)는 LCD 커버부(4) 및 카메라 커버(8)가 촬영 가능한 상 태로 유지된 것을 검지했을 때는, 동작 모드를 녹음 녹화 모드로 천이시키는 동시에, 이에 따라 DSP(29)를 제어한다.
이 때 DSP(29)는 CCD 카메라(3)를 제어함으로써 CCD 카메라(3)를 기동시킨다. 이 결과, 그 때 CCD 카메라(3)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광경에 대한 화상 신호 S5가 해당 CCD 카메라(3)로부터 차례로 출력되고, 이것이 데이터 처리 및 제어부(23)에 주어진다.
그리고 CPU(24)는 그 후 이에 따라 DSP(29)를 제어함으로써, 이러한 CCD 카메라(3)로부터 주어지는 화상 신호 S5를 차례로 디지털 변환하여, 얻어진 화상 데이터 D3을 LCD(7)에 송출한다. 이 결과 LCD(7)에는, 이 화상 데이터 D3에 따른 그 때 CCD 카메라(3)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광경의 동영상이 즉시 표시된다.
이 때 CPU(24)는 동영상이 LCD(7)에 표시되었을 때, 제어부(28) 내의 타이머(27)에서, LCD(7)에 동영상의 표시를 개시하고 나서 경과한 시간(이하, 이것을 동영상 표시 시간이라고 함)을 카운트하고, 이 카운트 결과가 예를 들면 5분을 경과한 것을 인식하면, LCD(7)를 제어함으로써 LCD(7)에 있어서의 동영상의 표시를 종료시키고, 해당 LCD(7)를 슬립 상태로 시킴으로써, 이렇게 하여 이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1)의 전력 소비를 유효하게 경감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 때 CPU(24)는 전술한 바와 같이 LCD(7)를 슬립 상태로 시켰을 때, 제어부(28) 내의 타이머(27)에서, LCD(7)를 슬립 상태로 시키고 나서 경과한 시간(이하, 이것을 LCD 슬립 시간이라고 함)을 카운트하고, 이 카운트 결과가 예를 들면 5분을 경과한 것을 인식하면, 다시 LCD(7)에 동영상을 표시시킴으로써, 이렇게 하여 사용자에게 소정 시간마다 카메라 셔터 버튼(6C)의 가압 조작을 환기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4) 녹음 동작 시에 있어서의 자동 동영상 표시 제어 처리 순서
여기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녹음 동작 시에 있어서의 CPU(24)의 제어 처리는 제어부(28) 내의 ROM(25)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도 7에 나타낸 녹음 동작 시에 있어서의 자동 동영상 표시 제어 처리 순서 RT에 따라 행해진다.
즉 CPU(24)는 조작 입력 신호 S2에 따라 녹음 버튼(6A)이 가압 조작된 것을 인식하면, 이 녹음 동작 시에 있어서의 자동 동영상 표시 제어 처리 순서 RT를 스텝 SP0에서 개시하고, 계속되는 스텝 SP1에서, LCD 커버부(4) 및 카메라 커버(8)가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CPU(24)는 이 스텝 SP1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스텝 SP2로 진행되어 동작 모드를 녹음 모드로 천이시켜, 녹음 동작을 행하게 한다.
계속해서 CPU(24)는 이후 스텝 SP3으로 진행되어, 이 녹음 동작을 정지해야 할 조작인 정지 버튼(6F)이 가압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부정 결과를 얻으면 스텝 SP1로 복귀하고, 이후 스텝 SP1~스텝 SP3에 대하여 동일한 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CPU(24)는 곧 사용자가 정지 버튼(6F)을 가압 조작함으로써 스텝 SP3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스텝 SP12로 진행되어 이 녹음 동작 시에 있어서의 자동 동영상 표시 제어 처리 순서 RT를 종료한다.
이에 대하여 CPU(24)는 스텝 SP1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스텝 SP4로 진행되어, 동작 모드를 녹음 녹화 모드로 천이시켜, 녹음 동작을 행하게 한다. 계속해서 CPU(24)는 이후 스텝 SP5로 진행되어, 그 때 CCD 카메라(3)에 의해 촬영되고 있는 광경의 동영상을 LCD(7)에 표시시킨다.
계속해서 CPU(24)는 이후 스텝 SP6으로 진행되어, 카메라 셔터 버튼(6C)이 가압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CPU(24)는 이 스텝 SP6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스텝 SP7로 진행되어 해당 카메라 셔터 버튼(6C)이 가압 조작된 순간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 D3을 압축 화상 데이터 D4로서 압축 음성 데이터 D2가 대응하는 위치와 관련시켜 플래시 메모리(30)에 저장한 후, 스텝 SP6으로 복귀하고, 이후 스텝 SP6~스텝 SP7에 대하여 동일한 처리를 반복한다.
곧 CPU(24)는 이후 스텝 SP8로 진행되어, LCD(7)를 제어함으로써 LCD(7)에서의 동영상 표시를 종료하여, LCD(7)를 슬립 상태로 한다. 계속해서 CPU(24)는 이후 스텝 SP9로 진행되어, 라이브 뷰 버튼(6B)이 가압 조작된, 또는 슬립 상태 시간이 5분을 경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CPU(24)는 이 스텝 SP9에서 부정 결과를 얻으면 스텝 SP10으로 진행하고, 이에 대하여 긍정 결과를 얻으면 스텝 SP5로 복귀하고, 이후 스텝 SP5~스텝 SP10에 대하여 동일한 처리를 반복한다.
곧 CPU(24)는 이후 스텝 SP11로 진행되어, 정지 버튼(6F)이 가압 조작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부정 결과를 얻으면 스텝 SP10으로 복귀하고, 이후 스텝 SP10~스텝 SP11에 대하여 동일한 처리를 반복한다. 그리고 CPU(24)는 곧 사용자가 정지 버튼(6F)을 가압 조작함으로써 스텝 SP11에서 긍정 결과를 얻으면, 스텝 SP12로 진행되어 이 녹음 동작 시에 있어서의 자동 동영상 표시 제어 처리 순서 RT를 종료한다.
(5) 본 실시예에 의한 동작 및 효과
이상의 구성에서, 이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1)에서는, 녹음 버튼(6A)이 가압 조작되었을 때, LCD 커버부(4) 및 카메라 커버(8)가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을 때는 자동적으로 동영상을 LCD(7)에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번잡한 조작을 행하게 하지 않고, 녹음 동작 시에, 즉시 동영상에 따른 정지 화상을 보존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녹음 버튼(6A)이 가압 조작되었을 때, LCD 커버부(4) 및 카메라 커버(8)가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을 때는 자동적으로 동영상을 LCD(7)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번잡한 조작을 행하게 하지 않고, 녹음 동작 시에, 즉시 동영상에 따른 정지 화상을 보존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고, 이렇게 하여 간단하고 쉬운 조작으로 녹음을 행하면서 정지 화상을 기록할 수 있다.
(6) 다른 실시예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1)에 적용하도록 한 경우에 대하여 기술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 밖에 여러 가지의 기록 재생 장치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용건 파일 선택 화면(33)이나 북마크 화상 선택 화면(34)에서, 용건 파일의 대표 화상으로서 설정된 화상의 썸네일 화상 P1~P6를 6개 표시하도록 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용건 파일 선택 화면(33) 등에 표시하는 이러한 썸네일 화상 P1~P6의 수는 6개 이외라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압축 음성 데이터 D2 및 압축 화상 데이터 D4를 내장한 플래시 메모리(30)에 저장하여 기록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1)에 대하여 장착 및 분리 가능한 플래시 메모리를 적용하도록 해도 되고, 또 플래시 메모리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메모리 스틱(소니 주식회사 등록 상표)이나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반도체 메모리, 자기 디스크 등 여러 가지의 내부 또는 외부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LCD 커버부(4) 및 카메라 커버(8)의 양쪽이 열린 상태인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동영상을 LCD(7)에 표시시킨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 밖에 여러 가지의 CCD 카메라가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 경우에, 자동적으로 동영상을 LCD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LCD 커버 상태 신호 S3 및 카메라 커버 상태 신호 S4에 따라 LCD 커버부(4) 및 카메라 커버(8)의 양쪽 상태를 판단하고, LCD 커버부(4) 및 카메라 커버(8)가 열림 또는 닫힌 상태에 있는 것을 검지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LCD 커버부 및 카메라 커버가 열린 상태에 있는 것만을 검지하도록 해도 되고, 요점은 CCD 카메라가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 것을 검지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LCD 커버부(4) 및 카메라 커버(8)의 양쪽이 열린 상태인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동영상을 LCD(7)에 표시시킨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항상 LCD가 촬영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CCD 카메라만이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 것을 검지하여, 자동적으로 동영상을 LCD에 표시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동영상 표시 시간을 카운트하고, 이 카운트 결과가 예를 들면 5분을 경과했을 때, LCD(7)에 있어서의 동영상의 표시를 종료시켜, 해당 LCD(7)를 슬립 상태로 시킨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영상 표시 시간이 소정 시간을 경과했을 때, LCD(7)에 있어서의 동영상의 표시를 종료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LCD 슬립 시간을 카운트하고, 이 카운트 결과가 예를 들면 5분을 경과했을 때, 다시 LCD(7)에 동영상을 표시시킨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LCD 슬립 시간이 소정 시간을 경과했을 때, 다시 LCD(7)에 동영상을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동영상이 LCD(7)에 표시되었을 때, 동영상 표시 시간을 카운트하고, 이 카운트 결과가 예를 들면 5분을 경과했을 때, LCD(7)에 있어서의 동영상의 표시를 종료시켜, 해당 LCD(7)를 슬립 상태로 시킨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정 전원 공급 키트의 플러그를 이 전 원 커넥터(9)에 삽입함으로써, 이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1)에 외부로부터 전원 전압이 공급되고 있는 경우에는, 항상 LCD(7)에 동영상을 표시시키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 매체에 소정 정보를 기록 재생하는 휴대형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외부음을 집음하고, 집음 결과에 따른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집음 수단과, 외부를 촬영하고, 촬영 결과에 따른 동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촬영 수단과, 동영상 정보에 따른 동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촬영 수단을 촬영 가능한 상태 또는 촬영 불가능한 수납 상태로 가변적으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유지 수단에 의해 촬영 수단이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음성 정보의 기록을 개시했을 때, 검지 수단에 의해 촬영 수단이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검지했을 때는, 동영상 정보에 따른 동영상을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번잡한 조작을 행하게 하지 않고, 녹음 동작 시에, 즉시 동영상에 따른 정지 화상을 보존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고, 이렇게 하여 간단하고 쉬운 조작으로 음성의 기록을 행하면서 정지 화상을 기록할 수 있는 기록 재생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 매체에 소정 정보를 기록 재생하는 휴대형 기록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음을 집음함으로써 얻어진 음성 정보의 기록을 개시하는 제1 스텝과, 촬영 가능한 상태 또는 촬영 불가능한 수납 상태로 가변적으로 유지되는 촬영 수단이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 는 제2 스텝과, 음성 정보의 기록을 개시했을 때, 촬영 수단이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검지했을 때는, 외부를 촬영함으로써 얻어진 동영상 정보에 따른 동영상을 표시하는 제3 스텝을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번잡한 조작을 행하게 하지 않고, 녹음 동작 시에, 즉시 동영상에 따른 정지 화상을 보존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고, 이렇게 하여 간단하고 쉬운 조작으로 음성의 기록을 행하면서 정지 화상을 기록할 수 있는 기록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카메라가 부착된 IC 레코더 등의 기록 재생 장치 외에, 디지털 카메라 등 여러 가지의 촬상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기록 매체에 소정 정보를 기록 재생하는 휴대형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
    외부음을 집음(集音)하고, 집음 결과에 따른 음성 정보를 출력하는 집음 수단과,
    외부를 촬영하고, 촬영 결과에 따른 동영상 정보를 출력하는 촬영 수단과,
    상기 동영상 정보에 따른 동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촬영 가능한 상태인 제1 위치와 촬영 불가능한 수납 상태인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촬영 수단을 가변적으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과,
    상기 유지 수단에 의해 상기 촬영 수단이 상기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상기 음성 정보의 기록을 개시했을 때,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촬영 수단이 상기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검지했을 때는, 상기 동영상 정보에 따른 상기 동영상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 및
    상기 동영상 정보에 따른 상기 동영상의 표시 시간을 카운트하는 카운트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카운트 수단은,
    상기 동영상 정보에 따른 상기 동영상의 표시가 종료된 후의 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카운트 수단에 의해 카운트된 상기 표시 시간이 소정 시간을 경과했을 때,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된 상기 동영상 정보에 따른 상기 동영상의 표시를 종료하도록 제어하며, 또한
    상기 카운트 수단에 의해 카운트된 상기 동영상 정보에 따른 상기 동영상의 표시가 종료된 후의 시간이 소정 시간을 경과했을 때, 상기 동영상 정보에 따른 상기 동영상을 다시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기록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촬영 수단 및 상기 표시 수단의 양쪽을 촬영 가능한 상태인 제1 위치와 촬영 불가능한 수납 상태인 제2 위치로 가변적으로 유지하고,
    상기 검지 수단은,
    상기 유지 수단에 의해 상기 촬영 수단 및 상기 표시 수단의 양쪽이 상기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음성 정보의 기록을 개시했을 때,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촬영 수단 및 상기 표시 수단의 양쪽이 상기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검지했을 때는, 상기 동영상 정보에 따른 상기 동영상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음성 정보의 기록을 개시한 후,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해 상기 촬영 수단이 상기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 것을 검지했을 때, 상기 동영상 정보에 따른 상기 동영상을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
  4. 기록 매체에 소정 정보를 기록 재생하는 휴대형 기록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음을 집음함으로써 얻어진 음성 정보의 기록을 개시하는 제1 스텝과,
    촬영 가능한 상태인 제1 위치와 촬영 불가능한 수납 상태인 제2 위치로 가변적으로 유지되는 촬영 수단이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는 제2 스텝과,
    상기 음성 정보의 기록을 개시했을 때, 상기 촬영 수단이 상기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검지했을 때는, 외부를 촬영함으로써 얻어진 동영상 정보에 따른 동영상을 표시하는 제3 스텝
    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스텝에서는,
    상기 동영상 정보에 따른 상기 동영상의 표시 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표시 시간이 소정 시간을 경과했을 때, 표시 수단에 표시된 상기 동영상 정보에 따른 상기 동영상의 표시를 종료하고, 또한,
    상기 동영상 정보에 따른 상기 동영상의 표시가 종료된 후의 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동영상 정보에 따른 상기 동영상의 표시가 종료된 후의 시간이 소정 시간을 경과했을 때, 상기 동영상 정보에 따른 상기 동영상을 다시 표시하는,
    기록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텝에서는,
    상기 촬영 수단, 및 촬영 가능한 상태인 제1 위치와 촬영 불가능한 수납 상태인 제2 위치로 가변적으로 유지되는 표시 수단의 양쪽이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고,
    상기 제3 스텝에서는,
    상기 음성 정보의 기록을 개시했을 때, 상기 촬영 수단 및 상기 표시 수단의 양쪽이 상기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검지했을 때는, 상기 동영상 정보에 따른 동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스텝에서는,
    상기 음성 정보의 기록을 개시한 후, 상기 촬영 수단이 상기 촬영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 것을 검지했을 때, 상기 동영상 정보에 따른 상기 동영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재생 장치의 제어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50080785A 2004-09-01 2005-08-31 기록 재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1115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54568 2004-09-01
JP2004254568A JP4066378B2 (ja) 2004-09-01 2004-09-01 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882A KR20060050882A (ko) 2006-05-19
KR101111539B1 true KR101111539B1 (ko) 2012-02-24

Family

ID=35943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785A Expired - Fee Related KR101111539B1 (ko) 2004-09-01 2005-08-31 기록 재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11508B2 (ko)
JP (1) JP4066378B2 (ko)
KR (1) KR1011115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51440A1 (en) * 2008-04-03 2009-10-08 Livescribe, Inc. Audio Bookmarking
CN104683677B (zh) * 2013-11-26 2019-06-1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为照片增加语音描述的系统及方法
KR20170010485A (ko) * 2015-07-20 2017-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5108A1 (en) * 1999-03-26 2004-08-26 Tatsuo Okuda Digital camera with improved portability and ease of u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5108A1 (en) * 1999-03-26 2004-08-26 Tatsuo Okuda Digital camera with improved portability and ease of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74381A (ja) 2006-03-16
JP4066378B2 (ja) 2008-03-26
US20060045490A1 (en) 2006-03-02
US7911508B2 (en) 2011-03-22
KR20060050882A (ko) 200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988B1 (ko)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02374447A (ja) 情報機器用クレードル、デジタルカメラ用クレードル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2002223401A (ja) デジタルカメラのデータ処理方法
JP4232746B2 (ja) 再生装置、表示制御方法
JP3955540B2 (ja) 画像処理装置
JP3881168B2 (ja)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ならびに画像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4500465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111539B1 (ko) 기록 재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4032717A (ja) データ処理装置
JP2004282605A (ja) 携帯電子機器システム、携帯電子機器、携帯電子機器の充電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60050927A (ko) 기록 재생 장치 및 방법
CN100527813C (zh) 记录和再现设备以及记录和再现方法
JP4565276B2 (ja) カメラ及びそのモード切換方法
JP3097743B2 (ja) 撮影信号電送方法及び電送装置
JP2004201226A (ja) 電子カメラ
JP2004104600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におけるデータ処理方法、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3913046B2 (ja) 撮像装置
JPH09331494A (ja) 情報入力装置
JP2001245248A (ja) 画像記録方法及び装置
JP2003209725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5252797A (ja) デジタルカメラ
JP4656395B2 (ja) 記録装置、記録方法および記録プログラム
US20020003946A1 (en) Portable image playback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same, portable image pick-up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operation of same
JP4296501B2 (ja) 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
JP2006238011A (ja) 記録再生装置、撮像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501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5012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