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11285B1 -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 - Google Patents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1285B1
KR101111285B1 KR1020110014010A KR20110014010A KR101111285B1 KR 101111285 B1 KR101111285 B1 KR 101111285B1 KR 1020110014010 A KR1020110014010 A KR 1020110014010A KR 20110014010 A KR20110014010 A KR 20110014010A KR 101111285 B1 KR101111285 B1 KR 101111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ead
mouse
external devic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4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일
장민선
Original Assignee
이성일
아큐케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일, 아큐케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성일
Priority to KR1020110014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1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1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1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9Trackba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06F3/0312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for tracking the rotation of a spherical or circular member, e.g. optical rotary encoders used in mice or trackballs using a tracking ball or in mouse scroll whe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3Ergonomic shaped mouse for one ha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와, 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를 포함하고, 몸체에 외부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명령을 각각 출력하도록 좌측버튼과 우측버튼이 각각 마련되며, 헤드와 몸체 사이에 신호 전달을 위한 신호전달부가 마련됨으로써 헤드와 몸체의 결합 또는 분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본체와, 헤드의 상단에 외부 기기의 화면에서 커서를 이동시키도록 조작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트렉볼과, 트렉볼의 회전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로 출력하는 포지션센서와, 본체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감지신호로 출력하는 가속도센서와, 좌측버튼과 우측버튼의 조작에 의해 각각 발생되는 조작신호와 포지션센서 및 가속도센서의 감지신호를 각각 수신받으며, 조작신호 및 감지신호에 따라 커서의 이동이나 외부 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와,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외부 기기로 전달하는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한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동이 불편한 지체장애인이나 노약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좁은 장소에서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며,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사용 방법을 변경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MOUSE HAVING BODY OF PARTITION TYPE FOR THE HANDICAPPED PEOPLE}
본 발명은 일반인은 물론 거동이 불편한 지체장애인이나 노약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우스는 컴퓨터, 노트북, 워크스테이션에 사용되는 입력장치의 일종으로서, 화면상에서 커서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거나, 엔터(enter) 등의 기능과 같은 실행 명령을 내리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마우스는 어떠한 종류의 컴퓨터에서도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위해 없어서는 아니되는 중요한 장치이며, 외관과 크기가 쥐를 닮았다고 해서 이름이 붙여졌다.
이와 같은 마우스는 볼 마우스 형태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외에도 노트북에 많이 사용되는 트랙복(Track-Ball), 터치패드(Tuch-Pad), 그리고, 볼을 대신하여 광센서를 이용하는 광 마우스 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종래의 볼 마우스는 케이스와, 케이스의 저면에 일부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볼과, 케이스 상에 설치된 버튼과, 컴퓨터 등과의 연결을 위하여 케이스로부터 인출되는 케이블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볼 마우스를 비롯한 마우스는 거동이 불편한 지체장애인이나 노약자가 커서의 이동 및 버튼의 클릭 등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불편하며, 사용에 필요한 공간이 요구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의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볼 마우스는 동작을 위하여 손으로의 파지와 손목과 팔목을 이용한 본체의 이동과 같은 일정한 사용 방법을 요구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지체장애인이나 노약자가 편리한 사용을 위하여 사용 방법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마우스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거동이 불편한 지체장애인이나 노약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좁은 공간에서의 사용이 가능하며,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사용 방법을 변경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마우스에 있어서, 헤드와, 상기 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 외부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명령을 각각 출력하도록 좌측버튼과 우측버튼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헤드와 상기 몸체 사이에 신호 전달을 위한 신호전달부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헤드와 상기 몸체의 결합 또는 분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본체; 상기 헤드의 상단에 외부 기기의 화면에서 커서를 이동시키도록 조작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트렉볼; 상기 트렉볼의 회전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로 출력하는 포지션센서; 상기 본체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감지신호로 출력하는 가속도센서; 상기 좌측버튼과 상기 우측버튼의 조작에 의해 각각 발생되는 조작신호와 상기 포지션센서 및 상기 가속도센서의 감지신호를 각각 수신받으며, 상기 조작신호 및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커서의 이동이나 외부 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달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가 제공된다.
상기 본체는, 상기 헤드에 상기 포지션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측부에 상기 좌측버튼과 상기 우측버튼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몸체에 상기 가속도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몸체가 상기 헤드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면에 수직되게 놓이는 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상기 트렉볼이 상기 헤드의 상단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센서의 감지신호를 통해서, 상기 본체가 좌측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진 경우 외부 기기에 설치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실행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본체가 우측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진 경우 외부 기기의 화면에 단축메뉴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전원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스위치의 온(on)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에서 상기 본체의 자세를 기준으로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속도센서의 축 데이터를 초기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에 의하면, 거동이 불편한 지체장애인이나 노약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좁은 장소에서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며,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사용 방법을 변경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를 도시한 정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의 사용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의 다른 사용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의 또 다른 사용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를 도시한 정면사시도 및 배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100)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상단에 마련되는 트렉볼(120)과, 트렉볼(120)의 회전을 감지하는 포지션센서(131,132)와, 본체(110)의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센서(140)와, 포지션센서(131,132) 및 가속도센서(140)의 감지신호를 각각 수신받는 제어부(150)와, 제어부(150)의 제어신호를 외부 기기로 전달하는 송신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기기는 컴퓨터, 노트북, 워크스테이션을 비롯한 제어명령의 수행이나 프로그램의 실행 등을 위한 각종 기기가 적용될 수 있다.
본체(110)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지면에 수직되게 놓이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지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트렉볼(120)이 설치되는 헤드(111)와, 헤드(111)의 하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후술하게 될 좌측버튼(171)과 우측버튼(172)이 측부에 각각 마련됨과 아울러 가속도센서(140; 도 3에 도시)가 설치되는 몸체(112)와, 헤드(111)와 몸체(112) 사이에 신호 전달을 위하여 마련되는 신호전달부(1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헤드(111)와 몸체(112) 사이에 신호전달부(113)가 마련됨으로써 헤드(111)와 몸체(112)의 결합 또는 분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헤드(111)와 몸체(112)는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서로의 결합부위에 결합부(112a)가 각각 마련될 수 있고, 일례로 억지 끼움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결합부(112a) 각각이 끼움홈과 끼움돌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신호전달부(113)는 헤드(111)와 몸체(112)가 분리됨으로써 이들에 각각 분리 설치되는 포지션센서(131,132), 가속도센서(140), 제어부(150)간에 조작신호와 감지신호를 각각 전달하도록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제어부(150)가 제어신호를 외부기기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처럼 헤드(111)와 몸체(112)를 서로 연결시키는 케이블로 이루어져서 헤드(111) 또는 몸체(112)의 내측에 수납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헤드(111)와 몸체(112)에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는 케이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신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코일 형태로 감겨진 케이블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신호전달부(113)는 헤드(111)와 몸체(112) 간의 신호 전달을 유선이 아닌 무선, 예컨대 RF, 블루투스 등을 이용하여 전달할 수도 있다. 한편, 일례로, 헤드(111)에는 포지션센서(131,132)가, 몸체(112)에는 가속도센서(140)와 제어부(150)가 위치할 수 있으며, 이와 다른 배치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체(110)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트렉볼(120)이 헤드(111)의 상단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114)에 설치될 수 있고, 이로 인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렉볼(120)의 조작을 용이하도록 한다.
트렉볼(120)은 본체(110)의 상단에 상방으로 돌출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외부 기기의 화면에서 커서를 이동시키도록 회전 조작될 수 있다.
포지션센서(131,132)는 헤드(111)에 설치되는데, 예컨대 트렉볼(120)의 일측에 접촉하도록 설치된 제 1 포지션롤러(131a)의 회전량을 측정하여 트렉볼(120)의 X축 방향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제 1 포지션센서(131)와, 트렉볼(120)의 다른 일측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제 2 포지션롤러(131b)의 회전량을 측정하여 트렉볼(120)의 Y축 방향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제 2 포지션센서(13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센서(140)는 본체(110)의 몸체(112) 내에 설치되고, 본체(110)의 기울기 방향 및 정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본체(110), 구체적으로 몸체(112)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감지신호로 출력하며, 일례로 3차원 가속도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제어부(150)는 포지션센서(131,132) 및 가속도센서(140)의 감지신호를 각각 수신받으며, 감지신호에 따라 커서의 이동이나 외부 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데, 가속도센서(140)의 감지신호로부터 얻어지는 가속도를 1차 적분 및 2차 적분하여 본체(110)의 가속도를 정보를 획득하며, 특히, 본체(110)의 기울기 방향 및 기울기 정도를 각각 산출하여 산출된 값에 해당하는 명령을 외부 기기가 수행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즉, 제어부(150)는 가속도센서(140)의 감지신호를 통해서 본체(110)가 좌측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진 경우 외부 기기에 설치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실행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본체(110)가 우측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진 경우 외부 기기의 화면에 단축메뉴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체(110)의 외측면, 예컨대 몸체(112)의 측부에 외부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명령을 각각 출력하도록 각각 마련되는 좌측버튼(171)과 우측버튼(17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좌측버튼(171)은 일례로 외부 기기에 설치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실행시키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하며, 우측버튼(172)은 외부 기기의 화면에 단축메뉴를 표시하도록 하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50)는 좌측버튼(171)과 우측버튼(172)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는 조작신호를 각각 수신받아 외부 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좌측버튼(171)과 우측버튼(172)에서 좌측과 우측은 본체(110)에서 좌.우 위치에 따라 붙여진 명칭이 아니라, 기존의 마우스에서 좌측버튼 및 우측버튼과 동일 내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의미로 붙여진 명칭이다. 또한, 좌측버튼(171)과 우측버튼(172)은 사용 형태에 따라 그 위치를 바꾸어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 기기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로의 기능을 바꿀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100)는 본체(110)의 외측면, 예컨대 저면에 설치되는 전원스위치(180; 도 3에 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전원스위치(180)의 온(on)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에서 본체(110)의 자세를 기준으로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가속도센서(140)의 축 데이터를 초기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스위치(180)를 온(on)시키면, 제어부(150)는 바로 그 시점에서의 본체(110) 자세를 기준으로 하여, 본체(110)의 좌측과 우측간의 기울기 또는 본체(110)의 좌측과 우측간의 회전운동 등을 통해서 좌측일 경우에는 좌측버튼(171), 우측일 경우에는 우측버튼(172)을 각각 조작할 때와 동일한 작용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송신부(160)는 제어부(15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외부 기기로 전달하고, 일방향 뿐만 아니라, 양방향 수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처럼 외부 기기에 접속되기 위한 PS2 또는 USB 형식의 커넥터를 가지는 케이블로 이루어지거나, 블루투스, RF 방식 등을 이용한 무선 통신에 의해 외부 기기와 제어신호의 전달을 위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100)는 송신부(160)가 케이블인 경우 이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송신부(160)가 무선인 경우 본체(110)의 몸체(112)에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가 내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배터리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충전되는 충전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으로 파지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일례로 엄지손락은 트렉볼(120)의 회전 조작에 이용될 수 있고, 집게손가락과 가운뎃손가락은 좌측버튼(171)과 우측버튼(172)의 조작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거동이 불편한 장애인 또는 노약자는 본체(110)의 기울이면, 이를 제어부(150)가 가속도센서(140)를 통해서 알게 되고, 이에 따라 해당하는 명령을 외부 기기에 출력하도록 한다. 예컨대 본체(110)를 좌측으로 기울이면 좌측버튼(171)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본체(110)를 우측으로 기울이면 우측버튼(172)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가속도센서(14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간단한 제스처만으로 기존 마우스의 버튼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지체장애인이나 노약자들이 보다 쉽고 편리하게 마우스(1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좁은 공간에서의 마우스(100) 사용을 가능하도록 한다.
헤드(111)와 몸체(112)를 분리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렉볼(120)과 좌측버튼(171) 및 우측버튼(172)을 양손으로 각각 사용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렉볼(120)과 가속도센서(140)를 양손으로 각각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전원스위치(180)를 누르는 시점의 가속도센서(140)의 3축 데이터를 초기값으로 잡도록 하고, 이로 인해 세로 그립과 가로 그립 모두를 사용할 수 있으며, 누워있는 자세에서도 본체(110)의 기울이기로 클릭 기능을 구현할 수 있고, ㄷ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개인의 특성에 따라 사용 방법을 변경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본체 111 : 헤드
112 : 몸체 112a : 결합부
113 : 신호전달부 114 : 경사부
120 : 트렉볼 131,132 : 포지션센서
131a,132b : 포지션롤러 140 : 가속도센서
150 : 제어부 160 : 송신부
171 : 좌측버튼 172 : 우측버튼
180 : 전원스위치

Claims (6)

  1. 마우스에 있어서,
    헤드와, 상기 헤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에 외부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명령을 각각 출력하도록 좌측버튼과 우측버튼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헤드와 상기 몸체 사이에 신호 전달을 위한 신호전달부가 마련됨으로써 상기 헤드와 상기 몸체의 결합 또는 분리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본체;
    상기 헤드의 상단에 외부 기기의 화면에서 커서를 이동시키도록 조작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트렉볼;
    상기 트렉볼의 회전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로 출력하는 포지션센서;
    상기 본체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감지신호로 출력하는 가속도센서;
    상기 좌측버튼과 상기 우측버튼의 조작에 의해 각각 발생되는 조작신호와 상기 포지션센서 및 상기 가속도센서의 감지신호를 각각 수신받으며, 상기 조작신호 및 상기 감지신호에 따라 커서의 이동이나 외부 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외부 기기로 전달하는 송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헤드에 상기 포지션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몸체의 측부에 상기 좌측버튼과 상기 우측버튼이 각각 마련되며, 상기 몸체에 상기 가속도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몸체가 상기 헤드의 하부에 결합되어 지면에 수직되게 놓이는 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트렉볼이 상기 헤드의 상단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가속도센서의 감지신호를 통해서, 상기 본체가 좌측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진 경우 외부 기기에 설치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실행시키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본체가 우측으로 미리 정해진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진 경우 외부 기기의 화면에 단축메뉴를 표시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전원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스위치의 온(on) 신호를 수신하는 시점에서 상기 본체의 자세를 기준으로 기울기를 측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가속도센서의 축 데이터를 초기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
KR1020110014010A 2011-02-17 2011-02-17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 KR101111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010A KR101111285B1 (ko) 2011-02-17 2011-02-17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4010A KR101111285B1 (ko) 2011-02-17 2011-02-17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1285B1 true KR101111285B1 (ko) 2012-02-22

Family

ID=45840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4010A KR101111285B1 (ko) 2011-02-17 2011-02-17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12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934B1 (ko) * 2012-06-15 2014-07-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기능성 마우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1752A (ja) * 1996-10-07 1998-04-28 Sony Corp コンピュータ用入力装置
KR20000060917A (ko) * 1999-03-22 2000-10-16 구자홍 컴퓨터용 키보드 장치
JP2003029921A (ja) * 2001-07-03 2003-01-31 Hiroshi Tei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2008226220A (ja) * 2007-03-09 2008-09-25 Primax Electronics Ltd 分離式の変形マウ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1752A (ja) * 1996-10-07 1998-04-28 Sony Corp コンピュータ用入力装置
KR20000060917A (ko) * 1999-03-22 2000-10-16 구자홍 컴퓨터용 키보드 장치
JP2003029921A (ja) * 2001-07-03 2003-01-31 Hiroshi Tei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
JP2008226220A (ja) * 2007-03-09 2008-09-25 Primax Electronics Ltd 分離式の変形マウス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934B1 (ko) * 2012-06-15 2014-07-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기능성 마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94196B (zh) 用于增强的基于姿势的交互的系统和方法
US8570273B1 (en) Input device configured to control a computing device
US8810514B2 (en) Sensor-based pointing device for natural input and interaction
EP2145244B1 (en) Mouse
KR100674090B1 (ko) 착용형 범용 3차원 입력 시스템
JP2014509768A (ja) 親指に装着可能なカーソル制御及び入力デバイス
JP2012508408A (ja) 空中での指の動きを通じて制御されるマウス
US20060125789A1 (en) Contactless input device
KR20140060818A (ko)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8027121A (ja) 遠隔制御装置
EP2752831B1 (en) Input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EP3190483A1 (en) A spherical hand-held unit for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interaction in a wireless interaction system
KR20110044391A (ko)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111285B1 (ko) 본체가 분리되는 장애인용 마우스
KR20130038523A (ko) 마우스 기능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US20160085311A1 (en) Control unit and method of interacting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50002486A1 (en) Multifunctional pencil input peripheral computer controller
CN102135794A (zh) 掌指互动变化的3d无线鼠标
KR20170091959A (ko) 블루투스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스마트 기기와 연동되는 스마트 글러브
EP2645204B1 (en) Accessory cover for an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KR20170130989A (ko) 아이 볼 마우스
KR200369111Y1 (ko) 상하좌우 스크롤링이 가능한 마우스
WO2013032410A1 (en) Multifunctional pencil input peripheral computer controller
KR200370864Y1 (ko) 마우스 포인터의 제어장치
KR101548075B1 (ko)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