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09724B1 - 사면 존재 영역 또는 도심 평지 영역에서의 복개도로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사면 존재 영역 또는 도심 평지 영역에서의 복개도로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724B1
KR101109724B1 KR1020110048411A KR20110048411A KR101109724B1 KR 101109724 B1 KR101109724 B1 KR 101109724B1 KR 1020110048411 A KR1020110048411 A KR 1020110048411A KR 20110048411 A KR20110048411 A KR 20110048411A KR 101109724 B1 KR101109724 B1 KR 101109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slab
area
cip
slab
roa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경
정인혁
Original Assignee
(주)나우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우이앤씨 filed Critical (주)나우이앤씨
Priority to KR1020110048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7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Making large underground spaces, e.g. for underground plants, e.g. stations of underground railways; Construction or layout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개도로 시공 방법에 있어서,
복개도로 영역에서 상부슬래브(300)가 설치되는 끝단으로부터 토공 굴착이 사면을 따라 계단식으로 토공 굴착하고, 복개도로 영역의 폭을 이루는 양단측을 따라 CIP구근(100)이 삽입되어 내벽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홀(101)을 천공하는 토공굴착 및 CIP 천공 단계(S10),
상기 토공굴착 및 CIP 천공단계(S10)를 거쳐 CIP구근(100)의 삽입이 완성되면, CIP구근(100)의 내측 방향으로의 벽체부 터파기 작업 후, 상기 CIP구근(100)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Earth Anchor를 형성하는 벽체부 시설단계(S20),
하부에 양생되는 하부거더(210)로부터 수직상방향으로 기둥부(200)를 구성하고, 상기 기둥부(200)의 상면으로는 상부슬래브(3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20)를 구성하는 기둥부 시설단계(S30),
다수개의 단위편재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양생 구조물로 원호형태를 갖는 구조물을 이용하여 상호 접하는 상태로 설치되도록 하되, 각 단위편재로 이루어지는 상부슬래브(300)를 서로 얼기설기 엇갈리며 설치되도록 하는 상부 슬래브 설치 단계(S40),
상기 상부슬래브 설치단계(S40)에 의해 설치 시공되는 상부슬래브(300)들에서 선택되는 영역을 관통하며 복개도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순환 배출되도록 하는 환기탑 설치 단계(S50),
기초바닥이 양생된 후 하부슬래브 철근을 조립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양생 후 아스팔트를 시설하고, 하부슬래브(500)를 설치 하는 하부 슬래브 설치단계(S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산과 같은 지형 지물에 형성되는 복개도로를 시공할 때, 절토 되는 영역을 최소화하면서도 복개도로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여 복개도로 시공에 따른 공기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복개도로 시공 후 절토 되는 영역이 전부 복토 가능하도록 하여 환경과 생태계 보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사면 존재 영역 또는 도심 평지 영역에서의 복개도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사면 존재 영역 또는 도심 평지 영역에서의 복개도로 시공 방법{A SLOPE TERRITORY OR HEAT OF CITY LEVEL GROUND ROAD CONSTRUCTION WORK METHOD}
본 발명은 복개도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산과 같은 지형지물이 존재하면서 사면을 갖는 구간의 영역으로 도로를 건설하기 위한 복개도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산과 같은 지형 지물이 존재하는 구간에 도로를 건설 할 때 특히, 산 허리나 산 아래 영역에 걸쳐지는 도로를 건설할 때에는 일반적으로 도로의 공사 영역으로부터 산의 정상 방향으로 계단식 대절토를 행한 후, 도로를 건설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도로 건설 방법의 경우, 도로 폭의 끝 지점에서부터 좌상향 또는 우상향의 방향으로 일정각도를 이루며 대절토를 하게 되고, 도로 완공 후에는 대절토 된 영역이 완전하게 복구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환경은 물론 생태계 파괴의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 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산과 같은 지형 지물에 형성되는 도로를 건설 할 때, 대절토되는 영역을 최소화하면서도 도로 건설이 가능하도록 하여 도로 건설에 따른 공기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도로 건설 후 대절토 되는 영역의 필요부분에 복토 가능하도록 하여 환경과 생태계를 보호하도록 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토공굴착 및 CIP 천공 단계(S10), 벽체부 시설단계(S20), 기둥부 시설단계(S30), 상부 슬래브 설치 단계(S40), 환기탑 설치 단계(S50), 하부 슬래브 설치단계(S60)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산과 같은 지형 지물에 형성되는 도로를 건설할 때, 대절토되는 영역을 최소화하면서도 도로 건설이 가능하도록 하여 도로 건설에 따른 공기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도로 건설 후 대절토 되는 영역의 필요부분 에 복토가 가능하도록 하여 환경과 생태계 보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정 흐름도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도로를 형성하는 영역으로부터 사선방향으로 사면을 굴착하여 도로가 형성되는 상방 영역이 노출되도록 하는 토공 굴착을 하는 과정을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CIP구군의 내부를 도시한 개괄적 도면
도 4는 벽체부의 터파기 작업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벽체부 시설단계가 완료된 후, 복개도로를 이루는 중앙 부분을 터파기 하여 기둥부가 시공되도록 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의한 기둥부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상부슬래브가 설치된 상태의 개괄적 단면도
도 8 내지 도 9는 상부슬래브 및 환기탑이 설치된 후 상부슬래브의 상면을 복토하고 하부슬래브를 시설한 상태를 도시한 개괄적 도면
도 10은 도 9의 "A"부분 확대 도면
도 11은 상부슬래브와 상부슬래브간 단부가 접하며 이루어지는 부분을 연결하기 위한 중앙연결부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상부슬래브와 CIP구근 및 벽체간 접하는 부분을 고정 연결하는 일실시예를 도시한 확대도면
도 13 내지 도 14는 상부슬래브와 CIP구근 및 벽체간 접하는 부분을 연결하는 각각 다른 실시예로 힌지 회동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도시한 확대도면
도 15는 상기와 같이 상부슬래브(300)의 측면을 상호 연결하게 되는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5에서의 상부슬래브와 상부슬래브 측면간 접하는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17은 상부슬래브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8은 복개 지하도가 완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토공굴착 및 CIP 천공 단계(S10), 벽체부 시설단계(S20), 기둥부 시설단계(S30), 상부 슬래브 설치 단계(S40), 환기탑 설치 단계(S50), 하부 슬래브 설치단계(S60)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진다.
토공굴착 CIP 천공 단계 - S10
본 단계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로를 형성하는 영역으로부터 사선방향으로 사면을 굴착하여 도로가 형성되는 상방 영역이 노출되도록 하는 토공 굴착을 하게 된다.
도로 영역에서 측도 부분으로부터 사면을 굴착할 경우에는 그 토공 작업량이 상당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복개 지하도 영역에서 상부 슬래브가 설치되는 끝단으로부터 토공 굴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토공 작업량을 절감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산이 존재하는 경사지를 통과하는 영역에 도로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사면 방향으로 굴착하는 작업을 수행한 후 복개 지하도의 폭에 해당되는 양단측에 각각 CIP구근(100)이 삽입될 수 있는 홀(101)을 천공하여 내벽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CIP구근(100)을 이용하여 내벽체로 형성하되, 중앙부의 벽체는 별도의 구성을 통해 실현되도록 하였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상기한 CIP(Cast-in-place pile) 구근(10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수의 철근(110)이 구형상으로 배열 배치되고 그 철근(110)의 외주측을 감싸는 사각 형태를 갖도록 하는 띠철근(120)을 등간격 이격 시키며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CIP구근(100)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 처리하므로서, 하나의 유닛으로 이루어지는 원기둥 형태의 CIP구근(100)을 형성할 수 있고, 이와는 달리 CIP구근(100)이 삽입되기 위한 홀(101)을 천공한 후 그 홀(101)에 CIP구근(100)을 삽입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여 완성된 CIP구근(100)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기반암층이 높을 경우에는 CIP구근(100)을 토사층에만 형성되도록 하고, 기반암층이 더욱 높을 경우에는 CIP구근(100)을 형성치 않을 수 있다.
벽체부 시설단계 - S20
본 단계는 상기한 토공굴착 및 CIP 천공단계(S10)를 거쳐 CIP구근(100)의 삽입이 완성되면, CIP구근(100)의 내측 방향으로 벽체부 터파기 작업을 하게 된다.
도 4 은 상기한 벽체부의 터파기 작업이 이루어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벽체부 터파기 작업이 완료된 후 CIP구근(100)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Earth Anchor를 형성하여 CIP구근(100)의 외측방향에서 제공되는 토사압을 견딜 수 있도록 한다.
도면부호 102는 벽체를 나타내는 것으로 전술한 CIP구근(100)의 내측으로 콘크리트 구조물로 양생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기반암층이 높을 경우에는 CIP구근(100) 이하의 암을 절취하여 벽체를 시설하거나 기반암층이 더욱 높을 경우에는 바로 암을 절취하여 벽체를 시설할 수 있다.
기둥부 시설단계 - S30
본 단계는 벽체부 시설단계(S20)가 완료된 후, 복개도로를 이루는 중앙 부분을 터파기 하여 기둥부(200)가 시공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기둥부(20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에 하부거더(210)가 양생되도록 하고, 하부거더(210)로부터 수직상방향으로 양생되는 기둥부(200)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기둥부(200)는 벽체로 형성하거나 원형 또는 구형의 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바, 작업 현장 조건 등에 따라 선택적인 설치 시공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기둥부(200)의 내측으로는 상부슬래브(3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20)가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220)는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실시할 수 있는데, 단면상 "○"자 이루며 중공(中空) 형태를 갖는 한조의 고정부재(221)를 상호 대향 되며 활개 되는 형태를 갖도록 기둥부(200) 내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부재(221)와 고정부재(221)간을 PC강봉(222)을 이용하여 연결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한 PC강봉(222)을 이용하여, 고정부재(221)와 고정부재(221)간을 긴장되도록 연결 하는 것은, 상부슬래브(300)가 한조로 이루어지며 "Y"자 형태로 활개되어 있는 고정부재(221) 상면에 안착되어질 때 상부슬래브(300)의 자중에 의해 고정부재(221)가 점차 활개 각도가 넓어지며 파단되거나 파손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하고, 상부슬래브(300)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조의 고정부재(221)와 측면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또 다른 한 조의 고정부재(221)간을 횡간연결강관(223)을 이용하여 연결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횡간연결강관(223)이 고정부재(221)와 측면방향 즉 복개도로 진행방향으로 이격되며 기둥부(200)의 지지부(220) 상면에 고정되는 타 고정부재(221)간을 상호 연결하기 위해, 상기 횡간연결강관(223)을 고정부재(221)와 고정부재(221)를 걸쳐 접하는 부분에 용접 및 볼트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도록 하였다.
상기 횡간연결강관(223)에 의해 한 조의 고정부재(221)와 측면으로 이격 구성되는 다른 한 조의 횡간연결강관(223)간을 고정 연결하므로서, 상부슬래브(300)가 고정부재(221)에 안착 시공 된 후 상부슬래브(300)의 자중에 의해 고정부재(221)가 비틀어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221)와 측방향으로 이격 되는 타 고정부재(221)의 단부측으로 평플레이트(224)를 불연속으로 구비하되 평플레이트(224)의 하방면에 상기한 횡간연결강관(223)의 상면이 접하도록 하여 상기 평플레이트(224)를 상향 지지 구성하고, 상기 평플레이트(224) 상면으로는 무수축패드(225)를 구비하여, 상기 상부슬래브(300)와의 접촉 지지시 안정적 지지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슬래브 설치 단계 - S40
본 단계는 상기와 같이 기둥부(200)의 지지부(220) 상면에 등간격 이격 되며 복개 지하도 진행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고정부재(221)의 상면으로 단위편재로 이루어지는 상부슬래브(300)를 도 7 에서와 같이 안착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상부슬래브(300)는 다수개의 단위편재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양생 구조물로 원호형태를 갖는 구조물을 이용하여 상호 접하는 상태로 설치되도록 하되, 각 단위편재로 이루어지는 상부슬래브(300)를 서로 얼기설기 엇갈리며 설치되도록 하되, 서로 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5, 도 17 내지 도 18 참조)
또한, 상부슬래브(300)들을 각 측면으로 벽체(102)와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한 바, 도 1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슬래브(300)와 상부슬래브(300) 측면간을 상호 철근(310,320)을 이용하여 연결한다.
상기 철근(310,320)은, 하나의 상부슬래브(300) 측면에서 일직선상으로 돌출되는 철근(310)의 단부를 절곡하여 절곡부(311)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철근(320)은 타 상부슬래브(300)의 측면에 요홈(330)을 형성한 후 수직상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철근(310)의 절곡부(311)가 상기 철근(320)을 파지하도록 한 후, 상기 요홈(330) 내부를 몰탈 처리하여 상부슬래브(300)들의 측면 부분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도 15 내지 도 16 참조)
또한, 상기 상부슬래브(300)와 상부슬래브(300)가 접하는 부분의 상면으로는 방수시트 및 수밀성시트 등을 이용하여 상부슬래브(300)를 통해 유입되는 물기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부슬래브(300)와 상부슬래브(300)가 원호형태를 이루며 상호 접하게 되는 중앙부분을 연결하기 위한 중앙연결부(340)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성하게 되는데, 상기 중앙연결부(340)는 상부슬래브(300)간 접하는 부분 내부에 콘크리트로 양생 된 고정블럭(342)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블럭(342)과 상부슬래브(300)간을 고정구(343)를 이용하여 연결 고정하고, 상기 고정구(343) 상단측을 몰탈(344)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슬래브(300)와 상부슬래브(300)간 접하는 중앙 부분은 상기한 중앙연결부(340)에 의해 각각 고정 연결되도록 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슬래브(300)는 상호 교호 되며 접하는 상태로 설치되므로 상기한 중앙연결부(340)는 상부슬래브(300)가 중앙부분 전체에 걸쳐, 즉 복개도로의 진행 방향에 걸쳐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상부슬래브(300)와 벽체(102)의 상단측이 접하며 고정되어야 한다.
상부슬래브(300)와 CIP구근(100) 및 벽체(102)의 상단간 상호 연결하는 방법은 고정식과 힌지식으로 나누어 실시가능하게 되는데, 도 12는 상부슬래브(300)와 CIP구근(100) 및 벽체(102)의 고정식 연결 방법을 도시한 것이고, 도 13 내지 도 14는 상부슬래브(300)와 CIP구근(100) 및 벽체(102)의 힌지식 연결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상부슬래브(300)와 CIP구근(100) 및 벽체(102)간의 고정식 연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CIP구근(100) 내측으로는 벽체(102) 내부에 구비되는 철근(110)이 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고, 상부슬래브(300) 내부에 구비되는 철근(351)과 연결고정되도록 하고, 외측으로는 상부슬래브(3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철근(350)이 상부슬래브(300)의 단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CIP구근(100) 내부에서 상방향으로 연장된 CIP구근주철근(108)과 철근(350)이 용접 및 겹이음 등의 방법에 의해 연결 고정되도록 하게 되는데, 상기 상부슬래브(300) 단부와 CIP구근(100) 및 벽체(102) 상단간에는 상기한 CIP구근주철근(108)과 철근(110)(350)이 상호 고정되도록 하는 작업을 위해 공간(130a, 130b)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야 하고, 상기 CIP구근주철근(108)과 철근(110)(350)의 고정 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2차 콘크리트를 타설토록 한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4는 상부슬래브(300)와 CIP구근(100) 및 벽체(102)간의 힌지식 연결 방법에 대하여 도시한 것인바, 도 12는 상부슬래브(300)의 단부측이 라운딩되도록 라운드부(360)를 형성하되 그 라운드부(360)에는 원호상 감싸지는 라운드플레이트(361)가 형성된다.
한편 이와 대응되는 CIP구근(100) 및 벽체(102)의 상단면은 원호형태로 이루어지는 원호홈(140)을 형성하고 그 원호홈(140) 내주면으로 원호플레이트(141)를 고정하여, 상기 상부슬래브(300)의 라운드부(360)와 상기 원호홈(140)이 상호 접하도록 하여 상부슬래브(300)를 설치하면서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슬래브(300)와 상부슬래브(300)간 중앙 부분을 연결하는 작업이 이루어거나 상부슬래브(300)의 중앙부분을 맞추는 작업을 수행할 때 일정각도 회동 가능한 범위를 제공할 수 있어 작업의 유용성과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호플레이트(141)가 CIP구근(100) 상면상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이유는, 외부의 방수시트(370)가 손상되어 지하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상기 벽체(102) 상면상의 돌출된 원호플레이트(141)와 전면에 설치되는 브라켓(142)은 상부슬래브(300)의 회동시 변형방지 및 상부슬래브(300)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상부슬래브(300)가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회동되어질 때 상부슬래브(300)와 CIP구근(100)간 외측면을 통해 외부로부터 물기 등이 스며들 우려가 있게 되는데,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슬래브(300)의 외측면으로부터 CIP구근(100)의 상단측 외측면을 커버하게 되는 방수시트(370)를 구성하고, 상기 상부슬래브(300)의 단부 외측면과 상기 CIP구근(100)의 상단 외측 부분의 경계부분에는 상기 방수시트(370)가 자바라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상부슬래브(300)의 회동시 유연성을 갖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원호홈(140)내의 원호플레이트(141)와 커버플레이트(161)간 마찰작용을 돕고, 녹이 발생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호홈(140) 내부에 윤할제를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방법과는 달리 도 14에서 보는 바와 같은 힌지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4에서 보듯이 벽체(102) 상면에 반원형태의 고정부재(150)를 한조로 구성하여 이격되도록 고정하고, 상기 고정부재(150) 사이에 끼워지면서 힌지(381)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회동부재(380)를 상기 상부슬래브(300)의 단부측에 삽입 고정하여, 상부슬래브(300)의 설치시 벽체(102) 상면과 접하면서도 상부슬래브(300)간의 중앙 부분의 접합 과정에서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환기탑 설치 단계 ; S50
본 단계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슬래브(300)의 설치 시공이 완료된 후, 도 17 내지 도 18에서와 같은 환기탑(400)을 설치하여, 복개 지하도 내부의 혼탁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환기탑(400)의 경우, 일반적으로 알려진 설치 공법에 의해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복개 지하도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슬래브(300)들의 상단 부분에 환기탑(400)이 설치될 수 있는 영역이 관통되도록 절개 시공한 후, 별도로 제작되는 환기탑(400)을 얹어 설치하거나 현장에서 직접 제작하는 방법으로 시공할 수 있다.
한편, 환기탑(400)이 설치되는 부위에 해당되는 상부슬래브(300) 부위는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되도록 절개 시공하게 되는데 환기탑(400)이 설치되기 전에 그 절개되는 부위측을 횡단하는 형강(600)을 다수개 설치하여, 서로 마주보며 형성되는 상부슬래브(300)와 상부슬래브(300)간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강(600)에 의해 상부슬래브(300)간의 지지가 이루어진 후, 환기탑(400)이 설치에 따라 환기탑(400)과 상부슬래브(300) 상면간 연결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한 형강(600)은 철거하도록 한다.
아울러, 상부슬래브(300)의 상면측, 상부슬래브(300)간의 측면 연결 부위와 상부슬래브(300)와 상부슬래브(300)간 단부측이 접하게 되는 중앙 부분에 각각 방수시트(370)와 수밀성방수제(도면부호 미기재) 등을 반복 실시하여 방수처리를 하게 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완성된 복개 지하도 형태를 갖출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사면이 존재하는 영역에서 복개 지하도의 상부 및 벽체 시공이 완료되면, 복개 지하도의 상면측을 복토하여 최초 시공 단계에서 복개 지하도를 형성하기 위해 대절토하였던 영역을 원상 복귀되도록 한다.
이때, 기반암층의 경우 암을 절취하게 되는데, 암 절취시 무진동 또는 미진동의 방법을 이용, 굴착하여 구조물에 피해가 없도록 하여야 하며, 하부슬래브(500)를 설치할 필요없이 도로에 아스팔트 포장 후 기타 보도나 난간, 전기등의 내부 시설물을 설치하여 마무리할 수 있다.
하부 슬래브 설치단계 - S60
본 발명을 이용하여 복개도로를 시공할 때 그 시공되는 지역이 토사로 이루어져 있을 경우에는 하부슬래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단계는 복개도로로 시공되는 지역의 성질이 토사등으로 이루어져 있을 때, 상술한 각 단계를 복개 지하도의 형태를 형성한 후 복개 지하도의 하부측의 하부슬래브(500)를 설치하여 마무리 하기 위한 단계로 먼저, 기초바닥이 양생된 후 하부슬래브 철근을 조립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양생 후 아스팔트를 시설함과 아울러 기타 내부 시설물(보도, 난간, 전기 등)을 설치하여 완성된 복개도로를 이룰 수 있다.
100; CIP구근 101; 홀
102; 벽체 108; CIP구근 주철근
110; 철근 120; 띠철근
130a,b; 공간 140; 원호홈
141; 원호플레이트 142; 브라켓
150; 고정부재 200; 기둥부
210; 하부거더 220; 지지부
221; 고정부재 222; PC강봉
223; 횡간연결강관 224; 평플레이트
225; 무수축패드 300; 상부슬래브
310, 320; 철근 311; 절곡부
330; 요홈 340; 중앙연결부
342; 고정블럭 343; 고정구
344; 몰탈 350, 351; 철근
360; 라운드부 361; 라운드플레이트
370; 방수시트 380; 회동부재
381; 힌지 400; 환기탑
500; 하부슬래브 600; 형강

Claims (9)

  1. 복개 지하도를 굴착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개 지하도 영역에서 상부슬래브(300)가 설치되는 끝단으로부터 토공 굴착이 사면을 따라 계단식으로 토공 굴착하고, 복개지하도 영역의 폭을 이루는 양단측을 따라 CIP구근(100)이 삽입되어 내벽체로 형성될 수 있도록 홀(101)을 천공하는 토공굴착 및 CIP 천공 단계(S10),
    상기 토공굴착 및 CIP 천공단계(S10)를 거쳐 CIP구근(100)의 삽입이 완성되면, CIP구근(100)의 내측 방향으로의 벽체부 터파기 작업 후, 상기 CIP구근(100)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Earth Anchor를 형성하는 벽체부 시설단계(S20),
    하부에 양생되는 하부거더(210)로부터 수직상방향으로 기둥부(200)를 구성하고, 상기 기둥부(200)의 내측으로는 상부슬래브(3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20)를 구성하는 기둥부 시설단계(S30),
    다수개의 단위편재로 이루어지는 콘크리트 양생 구조물로 원호형태를 갖는 구조물을 이용하여 상호 접하는 상태로 설치되도록 하되, 각 단위편재로 이루어지는 상부슬래브(300)를 서로 얼기설기 엇갈리며 설치되도록 하는 상부 슬래브 설치 단계(S40),
    상기 상부슬래브 설치단계(S40)에 의해 설치 시공되는 상부슬래브(300)들에서 선택되는 영역을 관통하며 복개 지하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순환 배출되도록 하는 환기탑 설치 단계(S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면 존재 영역 또는 도심 평지 영역에서의 복개도로 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220)는 단면상 "○"자를 이루며 중공(中空) 형태를 갖는 한조의 고정부재(221)를 상호 대향 되며 활개 되는 형태를 갖도록 기둥부(200) 내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부재(221)와 고정부재(221)간을 PC강봉(222)을 이용하여 연결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면 존재 영역 또는 도심 평지 영역에서의 복개도로 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조의 고정부재(221)와 측면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또 다른 한 조의 고정부재(221)간을 횡간연결강관(223)을 이용하여 연결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면 존재 영역 또는 도심 평지 영역에서의 복개도로 시공 방법.
  4. 제 2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220)의 고정부재(221)와 횡간연결강관(223) 상측에 불연속성 평플레이트(224)를 고정하고, 상기 평플레이트(224) 상면에 무수축패드(225)를 구비하여, 상기 무수축패드(225) 상면에 상부슬래브(300) 저면이 접하며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면 존재 영역 또는 도심 평지 영역에서의 복개도로 시공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슬래브(300)의 각 측면을 연결하기 위해, 상부슬래브(300)와 상부슬래브(300) 측면간을 상호 철근(310,320)을 이용하여 연결하되, 하나의 상부슬래브(300) 측면에서 일직선상으로 돌출되는 철근(310)의 단부를 절곡하여 절곡부(311)를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철근(320)은 타 상부슬래브(300)의 측면에 요홈(330)을 형성한 후 돌출되는 부분이 수직상태로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철근(310)의 절곡부(311)가 상기 철근(320)을 파지하도록 한 후, 상기 요홈(330) 내부를 몰탈 처리하여 상부슬래브(300)들의 측면 부분이 고정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면 존재 영역 또는 도심 평지 영역에서의 복개도로 시공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슬래브(300)와 상부슬래브(300)가 원호형태를 이루며 상호 접하게 되는 중앙부분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부슬래브(300)간 접하는 부분 내부에 콘크리트로 양생 된 고정블럭(342)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블럭(342)과 상부슬래브(300)간을 고정구(343)를 이용하여 연결 고정하고, 상기 고정구(343) 상단측을 몰탈(344)처리하여서 되는 중앙연결부(340)에 의해 상부슬래브(300)와 상부슬래브(300)간 단부측으로 상호 접하는 중앙부분을 연결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면 존재 영역 또는 도심 평지 영역에서의 복개도로 시공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IP구근(100) 상면으로 상기 상부슬래브(300)의 단부측이 얹혀지며 고정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내측으로는 벽체(102) 내부의 철근(110)이 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상기 상부슬래브(300) 내부에 구비되는 철근(351)과 연결 고정되도록 하고, 외측으로는 상부슬래브(300) 내부에 구비되는 철근(351)의 단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CIP구근(100) 내부에서 상방향으로 연결된 철근(108)(350)을 연결 고정한 후, 2차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 하는 사면 존재 영역 또는 도심 평지 영역에서의 복개도로 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슬래브(300)의 단부측이 라운딩되도록 라운드부(360)를 형성하되 그 라운드부(360)에는 원호상 감싸지는 라운드플레이트(361)가 형성되도록 하고, 이와 대응되는 CIP구근(100) 및 벽체(102)의 상단면은 원호형태로 이루어지는 원호홈(140)을 형성하고 상기 원호홈(140) 내주면으로 원호플레이트(141)를 고정하여, 상기 상부슬래브(300)의 라운드부(360)와 상기 원호홈(140)이 상호 접하도록 하여 상부슬래브(300)를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면 존재 영역 또는 도심 평지 영역에서의 복개도로 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부 시설단계(S20)에 의해 시설되는 벽체(102) 상면에 반원형태의 고정부재(150)를 한조로 구성하여 이격되도록 고정하고, 상기 고정부재(150) 사이에 끼워지면서 힌지(381)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회동부재(380)를 상기 상부슬래브(300)의 단부측에 삽입 고정하여, 상부슬래브(300)의 설치시 벽체(102) 상면과 접하면서도 상부슬래브(300)간의 중앙 부분의 접합 과정에서의 용이성이 확보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면 존재 영역 또는 도심 평지 영역에서의 복개도로 시공 방법.
KR1020110048411A 2011-05-23 2011-05-23 사면 존재 영역 또는 도심 평지 영역에서의 복개도로 시공 방법 Active KR101109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411A KR101109724B1 (ko) 2011-05-23 2011-05-23 사면 존재 영역 또는 도심 평지 영역에서의 복개도로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411A KR101109724B1 (ko) 2011-05-23 2011-05-23 사면 존재 영역 또는 도심 평지 영역에서의 복개도로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9724B1 true KR101109724B1 (ko) 2012-02-24

Family

ID=45839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411A Active KR101109724B1 (ko) 2011-05-23 2011-05-23 사면 존재 영역 또는 도심 평지 영역에서의 복개도로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7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59367A (zh) * 2017-02-24 2017-05-31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明挖基坑的临时道路铺设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1355A (ko) * 2004-03-12 2005-09-15 주식회사 후레씨네코리아 아치형 세그멘트를 가지는 터널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01633B1 (ko) * 2005-06-01 2007-03-30 윤석렬 투아치 터널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하중분배판 및 이를 이용한 투아치 터널의 시공방법
KR20100088974A (ko) * 2009-02-02 2010-08-11 바스코코리아(주) 터널 상부 보강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강방법
KR101033621B1 (ko) * 2009-03-30 2011-05-11 삼성물산 주식회사 지하차도의 풍도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1355A (ko) * 2004-03-12 2005-09-15 주식회사 후레씨네코리아 아치형 세그멘트를 가지는 터널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01633B1 (ko) * 2005-06-01 2007-03-30 윤석렬 투아치 터널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하중분배판 및 이를 이용한 투아치 터널의 시공방법
KR20100088974A (ko) * 2009-02-02 2010-08-11 바스코코리아(주) 터널 상부 보강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강방법
KR101033621B1 (ko) * 2009-03-30 2011-05-11 삼성물산 주식회사 지하차도의 풍도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759367A (zh) * 2017-02-24 2017-05-31 中铁大桥勘测设计院集团有限公司 明挖基坑的临时道路铺设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974B1 (ko) 흙막이 겸용 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640716B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KR101973565B1 (ko) 종방향 플레이트가 부착된 phc 말뚝에 차수용 플레이트를 용접으로 접합하여 흙막이 벽체와 차수벽을 동시에 조성하는 흙막이 공법
KR101149895B1 (ko) 터널 필라부 보강블록
JP6186267B2 (ja) 地下トンネルの構築方法
KR10111826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한 우수 저류조 및 이 시공 공법
CN112211199A (zh) 一种大型深基坑支护施工结构及其方法
KR101632840B1 (ko) 가시설 겸 영구벽체의 배수구조체를 갖는 지하차도 시공방법
KR100806867B1 (ko) 강관루프 구조체 및 그 강관루프 구조체를 이용한터널구조체 시공방법
KR101187369B1 (ko) 씨아이피를 이용한 지하도로 시공방법
KR20090028964A (ko) 배수시설을 구비한 옹벽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109724B1 (ko) 사면 존재 영역 또는 도심 평지 영역에서의 복개도로 시공 방법
JP5280150B2 (ja) 山留擁壁及び山留擁壁形成方法
KR101169437B1 (ko) 트라프를 이용한 구조물 설치구조 및 시공공법
JP2011157719A (ja) 山留め工法
KR101234270B1 (ko) 강관과 유공관을 이용한 비개착 굴착공법
KR200420394Y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KR100758231B1 (ko) 환경 친화적인 조경용 비탈면의 블럭 구조물
KR100493516B1 (ko) 현장 마이크로 파일과 조립식 브라켓을 이용한 교각용조립식 기초보강 구조체 및 그의 구축방법
KR20130004811A (ko) 흄관 받침부재, 수로 형성부재 및 그 시공방법
JP5480745B2 (ja) 構造物用既設基礎の補強方法
KR101524302B1 (ko) 무가시설의 지중 구조물 시공방법
JPH06330529A (ja) 現場打ちコンクリート布基礎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壁版との取付け方法
KR200390421Y1 (ko) 데크 현수식 역타설 지하 구조물
KR101516746B1 (ko) 거더의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가시설의 지중 구조물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