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09696B1 -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 구조 - Google Patents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696B1
KR101109696B1 KR1020090005581A KR20090005581A KR101109696B1 KR 101109696 B1 KR101109696 B1 KR 101109696B1 KR 1020090005581 A KR1020090005581 A KR 1020090005581A KR 20090005581 A KR20090005581 A KR 20090005581A KR 101109696 B1 KR101109696 B1 KR 101109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tent
outer tube
guide wire
mo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5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6294A (ko
Inventor
신경민
이희선
Original Assignee
신경민
(주) 태웅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경민, (주) 태웅메디칼 filed Critical 신경민
Priority to KR1020090005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696B1/ko
Publication of KR20100086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6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69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9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placement or removal of stents or stent-graf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6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having means, e.g. stylets, mandrils, rods or wires to reinforce or adjust temporarily the stiffness, column strength or pushability of catheters which are already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질환으로 통로가 협소해진 혈관이나 신체기관의 병변부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스텐트를 병변부위로 안내하는 가이드와이어를 최소의 여유 길이로 인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시술시 튜브에 꺾임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강도가 보강된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지몸체에 연결되며 가이드와이어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외부튜브로 이루어진 외부튜브부와, 상기 외부튜브부의 파지몸체를 관통하여 외부튜브의 내부로 삽입되는 밀대 전방으로 연결되며 가이드와이어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이동튜브로 이루어진 이동튜브부와, 상기 이동튜브부의 이동튜브 선단에는 내부에 스텐트가 부피를 축소하여 삽입 장착된 상태로 후단부가 외부튜브의 전방 끝단에 일부 삽입되는 장착튜브로 이루어진 스텐트부와, 상기 외부튜브, 이동튜브의 배출홀 주변이 시술시 꺾임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배출홀이 노출되도록 각각 끼워져 접착 고정되는 보강부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혈관이나 신체기관의 병변부위에 스텐트 시술이나 기타 시술하기 위해 안내역할을 하도록 신체 내에 삽입 시술되는 가이드와이어의 길이를 최소화하여 시술의 편의성을 증대하였으며 환자의 활동성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스텐트, 파지몸체, 외부튜브, 이동튜브, 내시경, 카데터

Description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 구조{Catheter structure for stent surgical operation}
본 발명은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질환으로 통로가 협소해진 혈관이나 신체기관의 병변부위를 확장시키기 위한 스텐트를 병변부위로 안내하는 가이드와이어를 최소의 여유 길이로 인체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으며 시술시 튜브에 꺾임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강도가 보강된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도 등의 신체 협착진행 또는 협착부위에 외과적인 수술을 행하지 않고 치료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시되고 있는데, 그중 하나가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의 스텐트를 이용한 시술방법이다.
이때, 스텐트를 이용한 시술방법은 초탄성 형상기억합금 소재를 엮어 일정 길이를 갖는 중공식 원통형 몸체로 형성된 스텐트의 부피를 최소화한 상태로 신체의 협착진행 또는 협착부위인 병변부위로 삽입하여 그 부피(기관의 직경)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협착진행 또는 협착부위를 바깥으로 밀어 확장시키도록 시술하는 것 이다.
이러한, 스텐트를 이용한 시술방법은 스텐트를 신체 협착진행 또는 협착부위로 삽입하도록 시술하기 위해서 별도의 삽입장치가 요구된다.
이때, 스텐트를 삽입하기 위한 스텐트 삽입장치는 도 1a 내지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몸체(2)에 연결된 외부튜브(3) 내부로 외측에서 이동튜브(5)를 삽입하여 후단에서 전후 이동조절 가능케 구성하되, 상기 외부튜브(3)의 선단 내부에 부피를 축소하여 삽입 장착되는 스텐트(1)를 이동튜브(5) 선단이 밀어서 이동시켜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스텐트 삽입장치는 외부튜브(3)의 선단 내부에 스텐트(1)의 부피를 축소하여 삽입 장착한 상태로 혈관 등의 신체 협착진행 또는 협착부위로 삽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텐트(1)가 신체의 협착진행 또는 협착부위로 시술할 경우에는 별도로 삽입되는 내시경에 의해 확인하며 시술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텐트(1)를 설치 위치로 위치한 후에는 이동튜브(5)를 밀어 외부튜브(3)의 선단 내부에서 스텐트(1)를 밀어 내게 되는데, 상기 스텐트(1)의 선단부터 외부튜브(3)에서 밀려나오며 원래의 형태로 팽창 복원되면서 협착진행 또는 협착부위를 바깥으로 밀어내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텐트 삽입장치는 스텐트를 병변부위로 위치시키기 위해 시술할 때 가이드와이어에 의해 안내되는데 이때, 가이드와이어는 스텐트와 이동튜브의 내부를 관통하면서 파지몸체를 통해 끝단이 배출되며 스텐트를 시 술한 후 재 시술을 위해 가이드와이어를 신체에 삽입한 상태로 신체 외부로 배출시켜 유지할 경우 스텐트 삽입장치의 길이보다 약 2배 정도의 긴 길이를 유지해야함으로 신체 외부로 배출된 여유분을 권취시켜 환자의 신체에 부착시켜 보존하게 되어 환자의 자유로운 활동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상기 종래의 스텐트 삽입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국특허(US7,115,102 B2)로 스텐트 삽입장치가 제안되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텐트 삽입장치는 외부튜브(3) 및 이동튜브(5)의 일부분을 절개 개방하여 가이드와이어(1)가 배출되는 배출홀(3a,5a)이 형성되고, 배출홀(3a,5a)의 후방으로 외부튜브(3)에 일체되며 이동튜브(5)의 내부로 경사져 가이드와이어(1)의 배출을 유도하는 배출유도판(7)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텐트 삽입장치는 배출홀이 형성된 부분의 강도가 저하되어 시술시 외부튜브 및 이동튜브가 꺾임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으며, 배출유도판이 이동튜브의 내부에서 이격되어 이격된 틈새로 가이드와이어가 진행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가이드와이어의 배출을 위한 배출홀의 주변을 보강하여 시술시 꺾임현상이 방지되도록 하며 가이드와이어가 배출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개선된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가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혈관이나 신체기관의 병변부위에 스텐트 시술이나 기타 시술하기 위해 안내역할을 하도록 신체 내에 삽입 시술되는 가이드와이어의 여유분 길이가 최소되도록 하는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가이드와이어의 여유분 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카데터의 외부튜브, 이동튜브의 일부를 절개 개방한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데터의 시술시 일부를 절개 개방한 배출홀의 부분에 꺾임현상, 크랙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보강하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이드와이어가 배출홀이 형성된 외부튜브, 이동튜브의 후방 내부측으로 진행을 방지하며 원활한 배출이 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파지몸체에 연결되며 가이드와이어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외부튜브로 이루어진 외부튜브부와, 상기 외부튜브부의 파지몸체를 관통하여 외부튜브의 내부로 삽입되는 밀대 전방으로 연결되며 가이드와이어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형성된 이동튜브로 이루어진 이동튜브부와, 상기 이동튜브부의 이동튜브 선단에 위치되는 스텐트가 부피를 축소하여 삽입 장착된 상태로 후단부가 외부튜브의 전방 끝단에 일부 삽입되는 장착튜브로 이루어진 스텐트부로 이루어져 신체 협착진행부위나 협착부위와 같은 병변부위로 안내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와이어를 따라 스텐트를 이동시키기 위한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에 있어서, 상기 외부튜브의 배출홀 주변이 시술시 꺾임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배출홀이 노출되게 외부튜브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와이어가 배출되는 와이어홀이 형성된 원통 튜브형상의 보강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이동튜브부의 이동튜브는 배출홀의 형성된 후방 내부에 가이드와이어의 후방 진행을 방지하는 동시에 배출홀로 배출되게 안내하는 경사진 안내면(34)이 형성된 코킹이 메움되도록 UV접착제로 접착 고정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 구조.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혈관이나 신체기관의 병변부위에 스텐트 시술이나 기타 시술하기 위해 안내역할을 하도록 신체 내에 삽입 시술되는 가이드와이어의 여유분 길이를 최소화하여 시술의 편의성을 증대하였으며 환자의 활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카데터의 시술시 일부를 절개 개방한 배출홀의 부분에 꺾임현상, 크랙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보강하여 안정적인 시술이 가능하도록 하며 시술용 기자재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신체에 무해한 재질을 이용하여 유해성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가이드와이어가 배출홀 만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시술의 편리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 구조는 신체 협착진행부위나 협착부위와 같은 병변부위(200)로 안내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와이어(W)를 따라 스텐트(41)를 이동시키기 위한 카데터(100)가 구성된다.
먼저, 상기 가이드와이어(W)는 병변부위(200)를 확인하기 위한 내시경이 신체 내로 시술될 때 내시경과 함께 삽입 시술되는 것이다.
상기 카데터(100)는 파지몸체(10)에 연결되는 외부튜브부(20), 이동튜브부(30), 스텐트부(40), 보강부재(50)로 구성된다.
상기 파지몸체(10)는 카데터(100)를 시술하는 시술자(의사)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외부튜브부(20)는 파지몸체(10)에 연결되며 가이드와이어(W)가 배출되는 배출홀(21)이 형성된 외부튜브(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튜브부(30)는 외부튜브부(20)의 파지몸체(10)를 관통하여 외부튜브(22)의 내부로 삽입되는 밀대(31) 전방으로 연결되며 가이드와이어(W)가 배출되는 배출홀(32)이 형성된 이동튜브(3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밀대(31)는 스테인리스재질의 금속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후방으로는 시술자가 파지몸체(10)를 파지한 손 외에 나머지 손으로 파지하며 삽입,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손잡이(31a)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이동튜브부(30)의 이동튜브(33)는 배출홀(32)의 형성된 후방 내부에 가이드와이어(W)의 후방 진행을 방지하는 동시에 배출홀(32)로 배출되게 안내하는 경사진 안내면(34)이 형성된 코킹(35)이 메움되도록 UV접착제로 접착 고정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면(34)은 가이드와이어(W)의 원활한 배출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45~60°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튜브(33)는 가이드와이어(W)를 내부로 진입시킨 후 외부튜브(22) 및 이동튜브(33)의 배출홀(21,32)을 통해 끝단을 배출시킨 다음, 밀대(31)를 밀어 스텐트(41)가 병변부위(200)에 위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와어어(W)를 따라 이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외부튜브(22)와 이동튜브(33)는 플랙시블한 재질로 제작되어 시술시 방향이 쉽게 전환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스텐트부(40)는 이동튜브부(30)의 이동튜브(33) 선단에 위치되는 스텐트(41)가 부피를 축소하여 삽입 장착된 상태로 후단부가 외부튜브(22)의 전방 끝단에 일부 삽입되는 장착튜브(42)로 이루어진다.
삭제
여기서, 상기 보강부재(50)는 얇은 판의 중앙에 와이어홀(51)을 형상한 후 외부튜브(22)나 이동튜브(33)의 배출홀(21,32)에 와이어홀(51)이 일치되도록 하며 원통 튜브형상으로 외부튜브(22)나 이동튜브(33)의 외주면에 말아서 감싸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부재(50)의 결합된 형상은 원통 튜브의 외주면이 일부분 절개되어 개방된 와이어홀(51)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보강부재(50)는 신체에 무해한 스테인리스재나 합성수지재질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를 이용하는 스텐트 시술과정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데터(100)를 사용하여 스텐트(41)를 시술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병변부위(200)로 내시경(300)과 함께 가이드와이어(W)를 삽입시술 하여 내시경(300)을 통해 정확한 스텐트(41) 시술위치가 파악되면 내시경(300)을 인출 제거하고, 가이드와이어(W)는 병변부위(200)인 혈관이나 기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일부분이 환자의 신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시술된다.
이후, 신체 외부로 노출된 가이드와이어(W)의 끝단을 스텐트부(40)의 장착튜브(42) 및 스텐트(41)의 전방 끝단 내부로 삽입시킨 후 외부튜브(22), 이동튜브(33)의 내부를 통과하여 배출홀(21,32)과 보강부재(50)의 와이어홀(51)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 상태에서 외부튜브(22)를 전진시켜 이동튜브(33) 및 스텐트부(40)가 가이드와이어(W)를 따라 이동되도록 하여 스텐트(41)를 병변부위(200)에 위치시킨다.
이때, 스텐트(41)의 위치는 별도로 삽입되는 내시경에 의해 확인하며 혈관내 의 병변부위(200)로 외부튜브(22)를 삽입하여 장착튜브(42)의 전단부 및 스텐트(41)의 전단부가 병변부위(200)의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시술자는 한 손으로 파지몸체(10)를 파지한 상태에서 나머지 한 손으로 밀대(31)의 손잡이(31a)를 파지한 후 서서히 밀어넣게 되면 이동튜브(33)의 전방 끝단에 연결된 스텐트(41)가 서서히 전진하면서 장착튜브(42)의 전방으로 이탈함과 함께 스텐트(41)의 전방부터 노출된다.
즉, 상기 이동튜브(33)를 밀어주게 되면, 스텐트(41)가 장착튜브(42)의 전방 끝단에서 이탈 노출되어 원래의 상태로 팽창 복원되게 된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밀대(31)를 밀어주면 스텐트(41)가 전진하여 전방부터 점차 노출되면서 원래의 형태로 팽창 복원하여 병변부위(200)를 외측으로 밀어 협착진행 또는 협착부위를 확장시키며 설치되는 것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텐트(41)의 설치가 완료된 후 밀대(31)를 인출하면 이동튜브(33)는 스텐트(41)의 내부를 통해 신체 외부로 인출되여 분리하고, 가이드와이어(W)는 다음 시술을 위해 최소한의 여유 길이로 신체(피부) 외부로 노출시켜 의료용 테이프 등으로 접착시켜 보관하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카데터(100)에는 외부튜브(22),이동튜브(33)에 배출홀(21,32)를 형성시켜 가이드와이어(W)를 배출시킴으로써 외부튜브(22),이동튜브(33)의 전체 길이에 대비하여 약 절반 가량으로 여유 길이가 필요하게 되어 시술의 완료 후 환자의 신체에 여유분을 감아서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이 제거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외부튜브(22),이동튜브(33)에 배출홀(21,32)을 형성함으로써 강도가 취약하게 되는 점을 보강부재(50)를 이용하여 보강함으로써 시술시 배출홀(21,32)이 형성된 부분에 꺾임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꺾임현상으로 인한 카데터(100)의 외부튜브(22),이동튜브(33)의 파손을 방지하여 기자재의 수명을 연장시키며 취급 효율이 증대되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가이드와이어(W)가 이동튜브(33)에 형성된 배출홀(32)의 후방으로 진행현상을 코킹(34)으로 차단하며 안내면(35)을 따라 원활히 배출홀(21,32)로 배출될 수 있어 시술의 용이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스텐트 삽입장치용 카데터의 구성도,
도 1b 및 도 1c는 도 1a의 장치를 이용한 스텐트 시술 과정을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도 1d는 스텐트 삽입장치를 안내하는 여유분 가이드와이어를 신체에 보관하는 일예도,
도 2a는 종래의 스텐트 삽입장치용 카데터의 구성도,
도 2b는 도 2a의 장치의 가이드와이어를 배출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일부분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부튜브와 이동튜브에 보강부재가 각각 적용된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외부튜브, 이동튜브에 보강부재가 적용된 도 5의 A부분 확대 단면도,
삭제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를 이용한 스텐트 시술 과정을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도 9는 스텐트 삽입장치를 안내하는 여유분 가이드와이어를 신체에 보관하는 일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파지몸체 20 : 외부튜브부
21 : 배출홀 22 : 외부튜브
23 : 안내면 24 : 코킹
30 : 이동튜브부 31 : 밀대
32 : 배출홀 33 : 내부튜브
40 : 스텐트부 41 : 스텐트
42 : 장착튜브 50 : 보강부재
51 : 와이어홀 100 : 카데터
200 : 병변부위 300 : 내시경
W : 가이드와이어

Claims (4)

  1. 파지몸체(10)에 연결되며 가이드와이어(W)가 배출되는 배출홀(21)이 형성된 외부튜브(22)로 이루어진 외부튜브부(20)와, 상기 외부튜브부(20)의 파지몸체(10)를 관통하여 외부튜브(22)의 내부로 삽입되는 밀대(31) 전방으로 연결되며 가이드와이어(W)가 배출되는 배출홀(32)이 형성된 이동튜브(33)로 이루어진 이동튜브부(30)와, 상기 이동튜브부(30)의 이동튜브(33) 선단에 위치되는 스텐트(41)가 부피를 축소하여 삽입 장착된 상태로 후단부가 외부튜브(22)의 전방 끝단에 일부 삽입되는 장착튜브(42)로 이루어진 스텐트부(40)로 이루어져 신체 협착진행부위나 협착부위와 같은 병변부위로 안내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와이어(W)를 따라 스텐트(41)를 이동시키기 위한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에 있어서,
    상기 외부튜브(22)의 배출홀(21) 주변이 시술시 꺾임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배출홀(21)이 노출되게 외부튜브(22)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와이어(W)가 배출되는 와이어홀(51)이 형성된 원통 튜브형상의 보강부재(50)를 구성하고,
    상기 이동튜브부(30)의 이동튜브(33)는 배출홀(32)의 형성된 후방 내부에 가이드와이어(W)의 후방 진행을 방지하는 동시에 배출홀(32)로 배출되게 안내하는 경사진 안내면(34)이 형성된 코킹(35)이 메움되도록 UV접착제로 접착 고정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 구조.
  2. 파지몸체(10)에 연결되며 가이드와이어(W)가 배출되는 배출홀(21)이 형성된 외부튜브(22)로 이루어진 외부튜브부(20)와, 상기 외부튜브부(20)의 파지몸체(10)를 관통하여 외부튜브(22)의 내부로 삽입되는 밀대(31) 전방으로 연결되며 가이드와이어(W)가 배출되는 배출홀(32)이 형성된 이동튜브(33)로 이루어진 이동튜브부(30)와, 상기 이동튜브부(30)의 이동튜브(33) 선단에 위치되는 스텐트(41)가 부피를 축소하여 삽입 장착된 상태로 후단부가 외부튜브(22)의 전방 끝단에 일부 삽입되는 장착튜브(42)로 이루어진 스텐트부(40)로 이루어져 신체 협착진행부위나 협착부위와 같은 병변부위로 안내 삽입하기 위한 가이드와이어(W)를 따라 스텐트(41)를 이동시키기 위한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에 있어서,
    상기 이동튜브(33)의 배출홀(32) 주변이 시술시 꺾임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배출홀(32)이 노출되게 이동튜브(33)의 외주면을 감싸며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와이어(W)가 배출되는 와이어홀(51)이 형성된 원통 튜브형상의 보강부재(50)를 구성하고,
    상기 이동튜브부(30)의 이동튜브(33)는 배출홀(32)의 형성된 후방 내부에 가이드와이어(W)의 후방 진행을 방지하는 동시에 배출홀(32)로 배출되게 안내하는 경사진 안내면(34)이 형성된 코킹(35)이 메움되도록 UV접착제로 접착 고정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 구조.
  3. 삭제
  4. 삭제
KR1020090005581A 2009-01-22 2009-01-22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 구조 Active KR101109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581A KR101109696B1 (ko) 2009-01-22 2009-01-22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5581A KR101109696B1 (ko) 2009-01-22 2009-01-22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294A KR20100086294A (ko) 2010-07-30
KR101109696B1 true KR101109696B1 (ko) 2012-01-31

Family

ID=42644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5581A Active KR101109696B1 (ko) 2009-01-22 2009-01-22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6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524B1 (ko) * 2010-09-03 2012-03-20 신경민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
WO2012093825A2 (ko) * 2011-01-04 2012-07-12 (주)태웅메디칼 가이드와이어를 짧게 사용하는 스텐트 시술용 카테터의 구조
KR101298669B1 (ko) * 2011-01-04 2013-08-21 신경민 가이드와이어를 짧게 사용하는 스텐트 시술용 카테터의 구조
KR101241267B1 (ko) * 2011-08-24 2013-03-15 신경민 가이드와이어 안내 장치
KR101493766B1 (ko) * 2013-08-12 2015-02-17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카테터가 구비된 고주파 소작장치
KR101902781B1 (ko) 2016-11-16 2018-10-01 (주) 태웅메디칼 단극형 전기 소작 팁이 포함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KR101962598B1 (ko) * 2017-02-03 2019-03-27 주식회사 에스앤지바이오텍 스텐트 삽입장치
WO2020217463A1 (ja) * 2019-04-26 2020-10-2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テーテルおよびステントデリバリーシステム
KR102249950B1 (ko) * 2019-09-27 2021-05-1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스텐트가 결합된 배액용 카테터
KR102421723B1 (ko) * 2020-08-11 2022-07-15 (주)태웅메디칼 유연성이 향상된 스텐트 전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8982A (en) 1987-01-06 1988-06-07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Reinforced balloon dilatation catheter with slitted exchange sleeve and method
US5034001A (en) 1989-09-08 1991-07-23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Method of repairing a damaged blood vessel with an expandable cage catheter
KR100822045B1 (ko) * 2007-04-23 2008-04-15 (주) 태웅메디칼 신체 협착부위 시술용 스텐트 삽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8982A (en) 1987-01-06 1988-06-07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Reinforced balloon dilatation catheter with slitted exchange sleeve and method
US5034001A (en) 1989-09-08 1991-07-23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Method of repairing a damaged blood vessel with an expandable cage catheter
KR100822045B1 (ko) * 2007-04-23 2008-04-15 (주) 태웅메디칼 신체 협착부위 시술용 스텐트 삽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6294A (ko) 2010-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696B1 (ko) 스텐트 시술용 카데터 구조
US8109941B2 (en) Distal release retrieval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of use
AU647119B2 (en) Indwelling stent and method of use
KR100882365B1 (ko) 삽입 장치 및 그 사용 방법
EP2217156B1 (en) Tethered coil for treatment of body lumens
EP1861156B1 (en) Access catheter having dilation capability
US20050101836A1 (en) Medical guide wire
KR101298669B1 (ko) 가이드와이어를 짧게 사용하는 스텐트 시술용 카테터의 구조
US20020087100A1 (en) Medical guide wire
JP2022518108A (ja) ガイド延長カテーテル
US20030109916A1 (en) Distal protection double balloon catheter
JP2004512133A (ja) 医療用把持装置
EP4161626B1 (en) Devices for urethral treatment
EP3554607B1 (en) Medical probe
JP2017522081A (ja) ガイドワイヤー(guide wire)のための挿入補助具(insertion aid)を有するバルーン カテーテル
CN108289748B (zh) 支架
JP2010057770A (ja) カテーテル組立体
EP3238641B1 (en) Medical instrument
JP2016067369A (ja) 結石除去装置
CN221950030U (zh) 一种用于主动脉原位开窗与分支动脉支架置入的一贯式血管鞘
KR102807921B1 (ko) 내시경 카테터
TWI794026B (zh) 輸尿管導管組件及其推桿管
CN223009213U (zh) 取石装置
CN119384260A (zh) 用于可定制的分流器植入物的系统和方法
EP2842594A1 (en) Access shea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10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20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11103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00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1221

Appeal identifier: 2011101008487

Request date: 20111103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1103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103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40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1122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1206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16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2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