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09520B1 - 강관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강관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520B1
KR101109520B1 KR1020100086593A KR20100086593A KR101109520B1 KR 101109520 B1 KR101109520 B1 KR 101109520B1 KR 1020100086593 A KR1020100086593 A KR 1020100086593A KR 20100086593 A KR20100086593 A KR 20100086593A KR 101109520 B1 KR101109520 B1 KR 101109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pipe pile
support
construction method
constru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6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해곤
Original Assignee
삼정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정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정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6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5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52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61Production methods for working underwater
    • E02D2250/0069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팀보(15)와 토류판(18)을 이용한 현장의 흙막이 시공방법에 있어서: 케이싱(10) 항타를 이용하여 소요 깊이로 천공하는 제1단계; 상기 항타 천공부 내부에 다수의 강관파일(20)을 수용하는 제2단계; 상기 강관파일(20)의 내부에 충진재(30)를 채운 상태로 밀봉하고, 현장의 굴착을 수행하면서 지지대(40)를 부착하는 제3단계; 및 상기 강관파일(20)과 지지대(40)를 이용하여 버팀보(15)와 토류판(18)의 설치가 완료된 후에 충진재를 남긴 상태로 강관파일(20)을 제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H-파일 대신에 강관파일을 사용하여 토압에 대한 지지강도를 증대함에 따라 버팀보의 수량을 축소하면서 전체적인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강관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Method for constructing earth retaining wall using steel pipe}
본 발명은 강관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H-파일 대신에 강관파일을 사용하여 토압에 대한 지지강도를 증대함에 따라 버팀보의 수량을 축소하면서 전체적인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강관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흙막이 가설공법은 지하구조물을 만들기 위한 굴착에 있어서 주변의 토사나 지하수가 굴착지반 내에 침입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가설 구조물을 설치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종래에 이 가설 구조물은 공사완료 후 철거되는 점에서 그다지 주목받지 않았으나 근래에 공사가 복잡화되면서 전체 공사에 점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커짐에 따라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흙막이 공법의 종류는 H-파일(Pile) 및 토류판 공법, 사면개착(Open Cut) 공법, C.I.P(Cast in Place) 공법, S.C.W(Soil Cement Wall) 공법 등이 있으며, 도심지의 공사에 있어서 공기가 짧아 경제적이며 시공이 비교적 간단한 H-파일 및 토류판 공법이 선호된다. 이는 H-파일(어미말뚝)을 일정한 간격으로 박고 굴착과 동시에 토류판을 사이에 끼워 흙막이벽을 설치하는 공법으로 특히 지하수위가 낮고 지하수량이 적은 지반에 적합하다. 더구나 최근 구조물의 대형화와 도심지의 시공을 고려한다면 흙막이 구조 자체의 안정성뿐만 아니라 인접지반 및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도 최소화되어야 한다.
그러나 H-파일의 경우 강축과 약축의 구분이 있어 약축 방향은 좌굴에 불리하며 비틀림에 대한 강성도 제한적이므로 공사현장의 심도가 증가할수록 많은 수의 버팀보를 필요로 하여 공기를 증가시키는 폐단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H-파일 대신에 강관파일을 사용하여 토압에 대한 지지강도를 증대함에 따라 버팀보의 수량을 축소하면서 전체적인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강관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하 건축물 공사에서 버팀보와 토류판을 이용한 현장의 흙막이 시공방법에 있어서: 케이싱 항타를 이용하여 소요 깊이로 천공하는 제1단계; 상기 항타 천공부 내부에 다수의 강관파일을 수용하는 제2단계; 상기 강관파일의 내부에 충진재를 채운 상태로 밀봉하고, 현장의 굴착을 수행하면서 지지대를 부착하는 제3단계; 및 상기 강관파일과 지지대를 이용하여 버팀보와 토류판을 설치하고, 지하 건축물 공사가 완료된 후에 토류판과 버팀보를 제거한 다음 충진재를 남긴 상태로 강관파일을 제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계의 강관파일(20)은 하단에 가용접된 마감판을 구비하며, 상기 제3단계의 충진는 모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3단계에서 지지대는 앵글(Angle)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H-파일 대신에 강관파일을 사용하여 토압에 대한 지지강도를 증대함에 따라 버팀보의 수량을 축소하면서 전체적인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에 의하여 완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5는 도 4의 파일을 평면에서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버팀보(15)와 토류판(18)을 이용한 현장의 흙막이 시공방법에 관련된다. 도심지와 같은 비교적 복잡한 환경을 지닌 현장에서 20m 이상의 심도로 건축물을 시공하는 방법에 적절하게 적용된다. 버팀보(15)의 사용을 최소로 하면서도 토류판(18)에 의한 토압의 지탱에 무리가 없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단계는 케이싱(10) 항타를 이용하여 소요 깊이로 천공한다. 천공을 위한 항타의 일예로 외측오거와 내측오거를 상호 역회전하며 지반을 천공하는 공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외측오거에는 케이싱(10)을 내측오거에는 스크류(Screw)를 장착하여 2중 굴진함으로서 항타시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또, 본 발명의 제2단계는 상기 항타 천공부 내부에 다수의 강관파일(20)을 수용한다. 일정한 길이의 강관파일(20)을 용접으로 이음하면서 항타된 천공부에 삽입한다. 강관파일(20)은 H-파일에 비하여 강축/약축의 구분이 없고 좌굴과 비틀림에 대하여 유리하다.
이때, 상기 제2단계의 강관파일(20)은 하단에 가용접된 마감판(25)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마감판(25)은 강관파일(20)의 내부에 후술하는 충진재(30)를 채울 때 소실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시공완료후 강관파일(20)을 제거할 때 분리되기 쉽도록 가용접 상태로 부착한다.
또, 본 발명의 제3단계는 상기 강관파일(20)의 내부에 충진재(30)를 채운 상태로 밀봉하고, 현장의 굴착을 수행하면서 지지대(40)를 부착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천공부에 강관파일(20)의 삽입이 완료된 후 강관파일(20)의 내부에 충진재(30)를 채우고 상단을 용접하여 밀봉한다. 이어서 강관파일(20)이 둘러진 현장에 대한 굴착(터파기)을 일정 깊이 단위로 수행한다. 굴착의 깊이 단위는 대향하는 강관파일(20) 사이에 버팀보(15)를 설치하는 간격에 해당한다.
이때, 상기 제3단계의 충진재(30)는 모래 또는 이와 동등한 입도를 지닌 쇄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유기물을 비롯한 불순물을 함유하지 아니한 KSL5101 (표준제에 규정된 NO.8(25㎜))체에 100% 통과한 모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원석을 크랏샤 등으로 파쇄하여 소정의 입도분포가 되도록 체가름을 한 쇄석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모래에 단립도 쇄석, 크랏샤런, 입도조정 쇄석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3단계에서 지지대(40)는 앵글(Angle)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40)는 토류판(18)을 지지하는 부분으로서 앵글을 사용하여 강관파일(20)의 외주면에 용접한다. 앵글은 등변형이든 부등변형이든 무방하지만 강관파일(20)보다 상당히 작은 치수로 하는 것이 설치에 유리하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의하여 완성된 현장의 상태를 부분적으로 드러내어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의 제4단계는 상기 강관파일(20)과 지지대(40)를 이용하여 버팀보(15)와 토류판(18)을 설치하고, 지하 건축물 공사가 완료된 후에 토류판(18)과 버팀보(15)를 제거한 다음 충진재를 남긴 상태로 강관파일(20)을 제거한다. 전술한 것처럼 일정 깊이 단위로 굴착하면서 버팀보(15)와 토류판(18)을 설치하는 과정을 반복한다. 전체 터파기가 이루어지고 지하 건축물 공사가 완료된 후에는 장비를 이용하여 버팀보(15), 토류판(18), 강관파일(20)을 빼내며, 이 과정에서 강관파일(20)의 마감판(25)이 충진재(30)의 중량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분리된다. 마감판(25)이 상측으로 이동하여 분리되면서 충진재(30)가 그대로 남아 천공부를 메우게 된다.
이때, 상기 제4단계의 버팀보(15)는 8~10m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H-파일을 사용하는 경우 대략 2m 간격으로 버팀보(15)를 설치해야 하므로 재료비와 함께 공수가 증대되는 단점이 있었다. 반면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의하면 버팀보(15)를 8~10m 간격, 토질에 따라서 최악의 경우에도 5m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케이싱 15: 버팀보
18: 토류판 20: 강관파일
25: 마감판 30: 충진재
40: 지지대

Claims (5)

  1. 지하 건축물 공사에서 버팀보(15)와 토류판(18)을 이용한 현장의 흙막이 시공방법에 있어서:
    케이싱(10) 항타를 이용하여 소요 깊이로 천공하는 제1단계;
    상기 항타 천공부 내부에 다수의 강관파일(20)을 수용하는 제2단계;
    상기 강관파일(20)의 내부에 충진재(30)를 채운 상태로 밀봉하고, 현장의 굴착을 수행하면서 지지대(40)를 부착하는 제3단계; 및
    상기 강관파일(20)과 지지대(40)를 이용하여 버팀보(15)와 토류판(18)을 설치하고, 지하 건축물 공사가 완료된 후에 토류판(18)과 버팀보(15)를 제거한 다음 충진재를 남긴 상태로 강관파일(20)을 제거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계의 강관파일(20)은 하단에 가용접된 마감판(25)을 구비하며,
    상기 제3단계의 충진재(30)는 모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지지대(40)는 앵글(Angle)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
  5. 삭제
KR1020100086593A 2010-09-03 2010-09-03 강관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109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593A KR101109520B1 (ko) 2010-09-03 2010-09-03 강관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6593A KR101109520B1 (ko) 2010-09-03 2010-09-03 강관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9520B1 true KR101109520B1 (ko) 2012-01-31

Family

ID=45614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6593A Expired - Fee Related KR101109520B1 (ko) 2010-09-03 2010-09-03 강관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52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53385A (zh) * 2012-12-07 2013-03-06 天津住宅集团建设工程总承包有限公司 一种坡道异形处基坑换撑施工方法
CN103290850A (zh) * 2013-06-20 2013-09-11 江苏城市职业学院 一种拱形组合基坑支护体系及施工方法
CN104314082A (zh) * 2014-11-12 2015-01-28 云南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岩溶地质条件下的深基坑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696916B1 (ko) 2016-02-29 2017-01-16 (주)한국리페어엔지니어링 Phc 파일과 강관 파일을 혼용한 흙막이 겸 영구벽체의 시공 방법
KR20180137687A (ko) 2017-06-19 2018-12-28 하영판 흙막이벽체를 이용한 구조물 지하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구조물 지하벽체
KR20190028881A (ko) 2017-09-11 2019-03-20 하영판 선택적 응력보강이 가능한 흙막이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흙막이구조물
KR20230013454A (ko) * 2021-07-19 2023-01-26 고천석 메서플레이트를 활용한 개착터널 시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9588A (ja) * 1989-10-25 1991-06-13 Shiigeru:Kk せん断歪型リシコーンゲルインシユレータの製造方法
KR20030073276A (ko) * 2002-03-09 2003-09-19 (주)멜파스 지문신호의 시변화 특성을 이용한 지문감지장치 및지문감지방법
KR200373276Y1 (ko) 2004-08-26 2005-01-14 기묘중건설 주식회사 강관파일의 지지력 확장구조
KR100715563B1 (ko) 2002-12-17 2007-05-09 가부시기가이샤 데타ㆍ토 흙막이 지보공
KR20100035349A (ko) * 2008-09-26 2010-04-05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Cip 공법을 이용한 지하 연속 흙막이벽 구축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9588A (ja) * 1989-10-25 1991-06-13 Shiigeru:Kk せん断歪型リシコーンゲルインシユレータの製造方法
KR20030073276A (ko) * 2002-03-09 2003-09-19 (주)멜파스 지문신호의 시변화 특성을 이용한 지문감지장치 및지문감지방법
KR100715563B1 (ko) 2002-12-17 2007-05-09 가부시기가이샤 데타ㆍ토 흙막이 지보공
KR200373276Y1 (ko) 2004-08-26 2005-01-14 기묘중건설 주식회사 강관파일의 지지력 확장구조
KR20100035349A (ko) * 2008-09-26 2010-04-05 주식회사 한미파슨스건축사사무소 Cip 공법을 이용한 지하 연속 흙막이벽 구축공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53385A (zh) * 2012-12-07 2013-03-06 天津住宅集团建设工程总承包有限公司 一种坡道异形处基坑换撑施工方法
CN102953385B (zh) * 2012-12-07 2014-08-06 天津住宅集团建设工程总承包有限公司 一种坡道异形处基坑换撑施工方法
CN103290850A (zh) * 2013-06-20 2013-09-11 江苏城市职业学院 一种拱形组合基坑支护体系及施工方法
CN104314082A (zh) * 2014-11-12 2015-01-28 云南建工集团有限公司 一种岩溶地质条件下的深基坑支护结构及其施工方法
KR101696916B1 (ko) 2016-02-29 2017-01-16 (주)한국리페어엔지니어링 Phc 파일과 강관 파일을 혼용한 흙막이 겸 영구벽체의 시공 방법
KR20180137687A (ko) 2017-06-19 2018-12-28 하영판 흙막이벽체를 이용한 구조물 지하벽체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구조물 지하벽체
KR20190028881A (ko) 2017-09-11 2019-03-20 하영판 선택적 응력보강이 가능한 흙막이구조물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해 시공되는 흙막이구조물
KR20230013454A (ko) * 2021-07-19 2023-01-26 고천석 메서플레이트를 활용한 개착터널 시공방법
KR20230127961A (ko) * 2021-07-19 2023-09-01 고천석 메서플레이트를 활용한 개착터널 시공방법
KR102575701B1 (ko) * 2021-07-19 2023-09-06 고천석 메서플레이트를 활용한 개착터널 시공방법
KR102771443B1 (ko) * 2021-07-19 2025-02-20 고천석 메서플레이트를 활용한 개착터널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9520B1 (ko) 강관파일을 이용한 흙막이 시공방법
KR100964796B1 (ko) 암반 매립 일체화 구조의 강관-콘크리트 복합 말뚝 시공 방법 및 말뚝 구조물
KR101014796B1 (ko) 기성 콘크리트 기둥부재를 이용한 탑다운 시공방법
KR100957599B1 (ko) 가설흙막이 구조물을 이용한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CN102704480A (zh) 前端振动钢护筒处理桩基超厚流沙层施工方法
CN109208594B (zh) 钢护筒下沉遇孤石的处理方法、钢护筒结构及钻孔桩
KR102028182B1 (ko) 구조용 케이싱 매몰용 굴착시스템을 이용한 주상형 지중구조물 시공방법
JP5351125B2 (ja) オープンシールド工法のオープンシールド機発進方法
KR100898969B1 (ko) 쉬트 파일을 이용한 터널 굴착 공법 및 이에 의한 터널구조물
KR20070111440A (ko) 엘리베이터 지하층 연장 운행을 위한 공동부 시공방법
JP5378066B2 (ja) 山留め工法
JP3967473B2 (ja) 地下構造物の構築方法
JP5777435B2 (ja) 小規模建築物用基礎の補強工法
JP4485006B2 (ja) 地下構造物の施工法
KR20070036244A (ko) 엘리베이터 지하층 연장 운행을 위한 공동부 시공방법
JP6826820B2 (ja) 挿入杭式土留め壁
KR102059051B1 (ko) 수직구 굴착방법
JP2004218378A (ja) 既設杭の撤去方法
KR102289576B1 (ko) 흙막이판을 이용한 탑다운 방식 지하구조물 축조 공법
JP2017197910A (ja) 土留壁構造の構築方法および土留壁構造
KR102780266B1 (ko) 확장형 앵커를 이용한 자립공법
JP2005307688A (ja) 新設地下躯体用の山留壁の構築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利用した新設躯体の構築方法
JP3794097B2 (ja) 地下構造物の構築工法
JP2011043047A (ja) 既設重力式岸壁の改修補強構造
JP3896003B2 (ja) 立坑の連結方法および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6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3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Patent event date: 201101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10607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60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1125

Appeal identifier: 2011101003806

Request date: 2011060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607

Effective date: 20111125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11125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10607

Decision date: 20111125

Appeal identifier: 2011101003806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02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6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