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08702B1 - Touch screen device,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ouch panel - Google Patents

Touch screen device,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ouch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8702B1
KR101108702B1 KR1020100038174A KR20100038174A KR101108702B1 KR 101108702 B1 KR101108702 B1 KR 101108702B1 KR 1020100038174 A KR1020100038174 A KR 1020100038174A KR 20100038174 A KR20100038174 A KR 20100038174A KR 101108702 B1 KR101108702 B1 KR 101108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 mode
capacitor
driving
voltage
digital valu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81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118520A (en
Inventor
권오진
윤일현
김경대
이재민
신형철
고승훈
장홍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니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니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니틱스
Priority to KR1020100038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8702B1/en
Publication of KR20110118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52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70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 G01R27/26Measuring inductance or capacitance; Measuring quality factor, e.g. by using the resonance method; Measuring loss factor; Measuring dielectric constants ; Measuring impedance or related variab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비트 시퀀스 노이즈 필터링 기술이 적용된 터치스크린장치 및 터치패널의 구동방법이 개시된다.
터치패널은 다수의 동작신호선, 상기 다수의 동작신호선에 절연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감지신호선, 및 각각 대응하는 동작신호선과 대응하는 감지신호선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노드 커패시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터치패널을 구동하기 위해 상기 다수의 동작신호선 중 하나 이상의 동작신호선에 상기 노드 커패시터를 양의 제1 전압으로 충전하기 위한 제1 모드의 구동파형 또는 상기 노드 커패시터를 음의 제2 전압으로 충전하기 위한 제2 모드의 구동파형의 조합이 소정 시퀀스로 인가된다.
이와 같이 구동함으로써, 외부의 노이즈에 의해 터치스크린 장치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isclosed are a touch screen device and a method of driving a touch panel to which bit sequence noise filtering technology is applied.
The touch panel includes a plurality of operation signal lines, a plurality of detection signal lines insulated from the plurality of operation signal lines, and a plurality of node capacitors formed by the corresponding operation signal lines and the corresponding detection signal lines, respectively. In order to drive the touch panel, a driving waveform of a first mode for charging the node capacitor with a positive first voltage or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operation signal lines is charged with a negative second voltage. The combination of the driving waveforms of the second mode is applied in a predetermined sequence.
By driving in this mann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ouch screen device from malfunctioning due to external noise.

Description

터치스크린 장치, 터치패널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A touch screen device, a driving device and a driving method for a touch panel}A touch screen device, a driving device and a driving method for a 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장치, 터치패널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터치패널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creen device, a drive device and a driving method of the touch pan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uch screen device, a touch device driving device and a driving method for preventing malfunction due to noise.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의 표시 장치, 휴대용 전송 장치, 그 밖의 정보 처리 장치 등은 다양한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 이러한 입력 장치로서 터치스크린(touch screen) 장치가 휴대폰, 스마트폰, 팜 사이즈 PC(Palm-Size PC), ATM(Automated Teller Machine) 기기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Display device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s,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s, portable transmission devices, and other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perform functions using various input devices. Recently, as such an input device, a touch screen device is widely used for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alm-size PC, an automated teller machine (ATM) device, and the like.

터치스크린 장치는 화면 위에 손가락 또는 터치 펜(touch pen, stylus) 등을 접촉해 문자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고, 아이콘을 실행시켜 원하는 명령을 수행시킨다. The touch screen device touches a finger or a touch pen (stylus) on the screen to write a character, draw a picture, and execute an icon to execute a desired command.

터치스크린 장치는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 등과 같은 표시장치 위에 설치되어 표시장치의 입력수단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표시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 또는 사람에 의해 생성되는 노이즈에 의해 터치스크린 장치가 오동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Since the touch screen device is generally installed on a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used as an input means of the display devi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ouch screen device malfunctions due to noise generated by an external device or a person such as a display device. .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외부 노이즈에 의한 터치 스크린 장치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터치스크린 장치, 터치패널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screen device, a drive device of the touch panel and a driving method for preventing a malfunction of the touch screen device due to external noise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는 Touch screen device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수의 동작신호선, 상기 다수의 동작신호선에 절연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감지신호선, 및 대응하는 동작신호선과 감지신호선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노드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상기 다수의 동작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동작신호선 중 하나 이상의 동작신호선에 상기 노드 커패시터를 양의 제1 전압으로 충전하기 위한 제1 모드의 구동파형 또는 상기 노드 커패시터를 음의 제2 전압으로 충전하기 위한 제2 모드의 구동파형의 조합을 소정 시퀀스로 인가하는 구동회로; 및 상기 다수의 감지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노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를 측정하는 감지회로를 포함한다. A touch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operation signal lines, a plurality of sensing signal lines insulated from the plurality of operating signal lines, and a plurality of node capacitors respectively formed by corresponding operation signal lines and sensing signal lines; A driving waveform of a first mode or a second negative terminal capacitor configured to charge the node capacitor with a positive first voltage to at least one operation signal line of the plurality of operation signal lines; A driving circuit for applying a combination of driving waveforms of the second mode for charging with a voltage in a predetermined sequence; And a sensing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nsing signal lines and measuring capacitance of the node capacitor.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터치패널의 구동장치는 Driving device for a touch panel 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수의 동작신호선, 상기 다수의 동작신호선에 절연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감지신호선, 및 대응하는 동작신호선과 감지신호선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노드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로서, A driving device for driving a touch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operation signal lines, a plurality of sensing signal lines insulated from the plurality of operating signal lines, and a plurality of node capacitors respectively formed by corresponding operation signal lines and sensing signal lines,

상기 다수의 동작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동작신호선 중 하나 이상의 동작신호선에 상기 노드 커패시터를 양의 제1 전압으로 충전하기 위한 제1 모드의 구동파형 또는 상기 노드 커패시터를 음의 제2 전압으로 충전하기 위한 제2 모드의 구동파형의 조합을 소정 시퀀스로 인가하는 구동회로; 및 상기 다수의 감지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노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를 측정하는 감지회로를 포함한다. A driving waveform of a first mode or a second negative terminal capacitor configured to charge the node capacitor with a positive first voltage to at least one operation signal line of the plurality of operation signal lines; A driving circuit for applying a combination of driving waveforms of the second mode for charging with a voltage in a predetermined sequence; And a sensing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nsing signal lines and measuring capacitance of the node capacitor.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터치패널의 구동방법은 The driving method of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다수의 동작신호선, 상기 다수의 동작신호선에 절연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감지신호선, 및 대응하는 동작신호선과 감지신호선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노드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구동하는 방법으로서, , A method of driving a touch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operation signal lines, a plurality of sensing signal lines insulated from the plurality of operating signal lines, and a plurality of node capacitors respectively formed by corresponding operation signal lines and sensing signal lines,

상기 동작신호선 또는 상기 감지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구동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상기 노드 커패시터에 양의 제1 전압을 충전하기 위한 제1 동작모드 또는 상기 노드 커패시터에 음의 제2 전압을 충전하기 위한 제2 동작모드로 선택적으로 구동하되, 상기 제1 동작모드와 상기 제2 동작모드는 서로 번갈아 구동되지 않는 제1 시퀀스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n / off operation of a plurality of driving switch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signal line or the detection signal line may be performed in a first operation mode for charging a positive first voltage to the node capacitor or a negative second voltage to the node capacitor. Selectively driving to a second operation mode for charging, wherein the first operation mode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is arranged in a first sequence that is not alternately driven.

여기서, 상기 제1 동작모드의 구동방법은 Here, the driving method of the first operation mode is

상기 노드 커패시터를 상기 양의 제1 전압으로 충전하는 단계; 상기 노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의 크기에 대응하는 단위충전전압을 상기 노드 커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준 커패시터에 충전하는 단계; 상기 기준 커패시터에 충전된 상기 단위충전전압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이전 동작모드까지의 누적 디지털 값에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로부터 변환된 현재 동작모드의 디지털 값을 가산하여, 현재 동작모드까지의 누적 디지털 값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커패시터에 충전된 상기 단위충전전압을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Charging the node capacitor to the positive first voltage; Charging a unit charge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capacitance of the node capacitor to a reference capaci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ode capacitor; Converting the unit charge voltage charged in the reference capacitor into a digital value; Adding the digital value of the current operation mode converted from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to the cumulative digital value up to the previous operation mode to obtain a cumulative digital value up to the current operation mode; And initializing the unit charge voltage charged in the reference capacitor.

또한, 상기 제2 동작모드의 구동방법은 In addition, the driving method of the second operation mode is

상기 노드 커패시터를 상기 음의 제2 전압으로 충전하는 단계; 상기 노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의 크기에 대응하는 단위충전전압을 상기 노드 커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준 커패시터에 충전하는 단계; 상기 기준 커패시터에 충전된 상기 단위충전전압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이전 동작모드까지의 누적 디지털 값에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로부터 변환된 현재 동작모드의 디지털 값을 감산하여, 현재 동작모드까지의 누적 디지털 값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Charging the node capacitor to the negative second voltage; Charging a unit charge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capacitance of the node capacitor to a reference capaci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ode capacitor; Converting the unit charge voltage charged in the reference capacitor into a digital value; And subtracting the digital value of the current operation mode converted from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to the cumulative digital value up to the previous operation mode to obtain the cumulative digital value up to the current operation mod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장치의 구동장치를 -1 또는 1의 시퀀스에 의해 동작시킨 후 감지부에서 이의 후처리 과정을 수행함으로써, 외부 노이즈에 의해 터치스크린 장치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touch screen device from malfunctioning by external noise by operating the driving device of the touch screen device by a sequence of -1 or 1 and then performing the post-processing process in the sensing uni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 및 감지회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제1 동작모드에 따른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제2 동작모드에 따른 구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노이즈 제거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touch scree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riving circuit and a sensing circu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6 are diagrams illustrating a driving method according to a first operation mode.
7 to 10 are diagrams illustrating a driving method according to a second operation mode.
11 to 14 are diagrams illustrating a noise removing eff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he terms used below are merely for referring to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lso, the singular forms used below include the plural forms unless the phrases clearly indicate the opposite meanings.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외부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비트 시퀀스 노이즈 필터링 기술을 사용한다. 비트 시퀀스란 1과 0(또는 -1)처럼 두 가지의 상태로만 이루어지는 수열을 말한다. 비트 시퀀스 노이즈 필터링 기술이란 구동 값을 비트 단계로 변화시키면서 후처리를 통해 아날로그 단에서 이산적인(discrete) FIR(Finite Impulse Response) 특성의 노이즈 필터링 효과를 얻는 기술을 말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을 1 또는 -1의 시퀀스에 의해 동작시킨 후 감지부에서 이의 후처리 과정을 통해 노이즈 필터링 효과를 갖는다.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uses a bit sequence noise filtering technique to prevent malfunction due to external noise. A bit sequence is a sequence of only two states, such as 1 and 0 (or -1). Bit sequence noise filtering technology refers to a technology that obtains a noise filtering effect of discrete FIR (Finite Impulse Response) characteristics in the analog stage through post-processing while changing the driving value to bit step.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later, the driving is operated by a sequence of 1 or -1 and then the sensing unit has a noise filtering effect through its post-processing process.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 장치는 터치를 감지하는 방법에 따라 크게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과 정전 용량 방식(capacitive type)으로 분류할 수 있다.In general, a touch screen device may be classified into a resistive type and a capacitive type according to a method of sensing a touch.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 장치는 유리나 투명 플라스틱판 위에 저항 성분의 물질을 코팅하고 그 위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덮어씌운 구조를 가진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스크린 장치는 스크린을 터치하는 경우 변하는 저항값의 변화를 검출하여 터치 지점을 감지한다. The resistive touch screen device has a structure in which a resistive material is coated on a glass or transparent plastic plate and a polyester film is covered thereon. The resistive touch screen device detects a touch point by detecting a change in a resistance value that changes when the screen is touched.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장치는 유리나 투명 플라스틱의 양면 또는 일면에 전극을 형성하고 두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한 후, 손가락 등의 물체가 스크린에 접촉하는 경우 변하는 두 전극 사이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분석하여 터치 지점을 감지한다. The capacitive touch screen device forms electrodes on both sides or one side of glass or transparent plastic, applies a voltage between the two electrodes, and analyzes the amount of capacitance change between two electrodes that changes when an object such as a finger contacts the screen. Detect touch points.

이하에서는 터치스크린 장치의 예로서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장치를 예로서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방식의 터치스크린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장치를 예로서 설명하나 본 발명에 적용되는 사상은 다른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Hereinafter, a capacitive touch screen devic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touch screen devi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other touch screen devices. In addition,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s a touch screen device as an example, the idea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other devic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를 나타낸다.1 illustrates a touch scree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는 터치 패널(100), 구동회로(200), 감지회로(300) 및 타이밍제어기(40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a touch scree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uch panel 100, a driving circuit 200, a sensing circuit 300, and a timing controller 400.

터치 패널(100)은 서로 절연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동작신호선(X1, X2, X3,..Xn)과 다수의 감지신호선(Y1, Y2, Y3,...Ym)을 포함한다. 도 1에서는 편의상 동작신호선과 감지신호선을 각각 선으로 표시하였으나, 실제로는 전극패턴으로 구현된다. 본 명세서에서, 감지신호선은 감지 라인, 감지선, 감지 전극 등의 용어와 혼용될 수 있고, 동작신호선은 동작 라인, 동작선, 동작 전극 등의 용어와 혼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다수의 동작신호선과 다수의 감지신호선이 서로 절연되어 교차하는 것으로 표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작신호선과 감지신호선이 교차하지 않을 수도 있다. The touch panel 100 includes a plurality of operation signal lines X1, X2, X3, .. Xn and a plurality of sensing signal lines Y1, Y2, Y3,... In FIG. 1, the operation signal lines and the detection signal lines are respectively indicated by lines for convenience, but are actually implemented as electrode pattern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ensing signal line may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erms such as sensing line, sensing line, sensing electrode, and the like, and the operation signal line may be mixed with terms such as operating line, operating line, and operating electrode. In addition, in FIG. 1, the plurality of operation signal lines and the plurality of detection signal lines are shown to cross each other by being insulated from each oth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operation signal lines and the detection signal lines may not cross each other.

터치 지점을 나타내는 센싱 노드(110)는 하나의 감지신호선과 하나의 동작신호선에 의해 정의되며, 각 센싱노드(110)는 노드 커패시터(112)를 포함한다. 노드 커패시터(112)는 서로 절연되어 분리되는 동작신호선과 감지신호선에 의해 형성된다. 도 1에서는 i번째 동작신호선과 j번째 감지신호선에 의해 형성되는 노드 커패시터(112)의 커패시턴스를 Cij로 표기하였다. The sensing node 110 representing the touch point is defined by one sensing signal line and one operation signal line, and each sensing node 110 includes a node capacitor 112. The node capacitor 112 is formed by an operation signal line and a detection signal line that are insulated from and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FIG. 1, the capacitance of the node capacitor 112 formed by the i-th operation signal line and the j-th detection signal line is denoted by Cij.

구동회로(200)는 다수의 동작신호선(X1, X2, X3,..Xn)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구동파형을 다수의 동작신호선에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인가한다. 이때, 구동파형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양의 전원전압(또는 음의 전원전압)과 접지전압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인 구동파형은 구동회로(200)의 구동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 순서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200)는 두 가지 모드의 동작파형(즉, 제1 모드의 구동파형과 제2 모드의 구동파형)을 소정 시퀀스로 다수의 동작신호선(X1, X2, X3,..Xn)에 출력한다. 이때, 제1 모드의 구동파형은 양의 전압(VDD)과 접지 전압으로 이루어지며, 제2 모드의 구동파형은 음의 전압(-VDD)과 접지 전압으로 이루어진다. The driving circuit 2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operation signal lines X1, X2, X3, .. Xn, and applies driving waveforms to the plurality of operation signal lines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At this time, the driving waveform is made of a combination of a positive power supply voltage (or negative power supply voltage) and ground voltage as described later, the specific drive waveform is determined by the on / off operation sequence of the drive switch of the drive circuit 200. do. The driving circuit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lurality of operation signal lines X1, X2, and X3 in a predetermined sequence using two modes of operating waveforms (ie, a driving waveform of the first mode and a driving waveform of the second mode). , .. Xn). In this case, the driving waveform of the first mode is composed of a positive voltage VDD and a ground voltage, and the driving waveform of the second mode is composed of a negative voltage (-VDD) and a ground voltage.

감지회로(300)는 다수의 감지신호선(Y1, Y2, Y3,...Ym)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구동파형이 인가되는 감지신호선에 대응하는 노드 커패시터(112)의 커패시턴스(Cij)를 측정한다. 이때, 각 노드 커패시터(112)의 커패시턴스(Cij) 측정은 감지회로(300)의 감지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구현된다. The sensing circuit 3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nsing signal lines Y1, Y2, Y3, ... Ym, and measures the capacitance Cij of the node capacitor 112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signal line to which a driving waveform is applied. do. At this time, the capacitance (Cij) measurement of each node capacitor 112 is implemented by the operation of the sensing switch of the sensing circuit (300).

타이밍제어기(400)는 구동회로(200) 및 감지회로(300)에 각각 구동스위치 제어신호(Sx)와 감지스위치 제어신호(Sy)를 출력하여, 구동회로(200)의 구동스위치와 감지회로(300)의 감지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제어한다. The timing controller 400 outputs the driving switch control signal Sx and the sensing switch control signal Sy to the driving circuit 200 and the sensing circuit 300, respectively, so that the driving switch and the sensing circuit of the driving circuit 200 (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sensing switch of 300 is controlled.

다음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200) 및 감지회로(3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Next, the driving circuit 200 and the sensing circuit 3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에서는 편의상 i 번째 동작신호선(Xi)과 j 번째 감지신호선(Yj)에 각각 연결되는 구동회로(200)와 감지회로(300)만을 도시하였으나, 실제로는 n개의 동작신호선과 m개의 감지신호선에 각각 구동회로(200)와 감지회로(3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In FIG. 2, only the driving circuit 200 and the sensing circuit 300 connected to the i-th operation signal line Xi and the j-th detection signal line Yj are shown for convenience, but in practice, n operation signal lines and m detection signal lines are illustrated. The driving circuit 200 and the sensing circuit 3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구동회로(200)는 양의 전원전압(VDD), 음의 전원전압(-VDD), 제1 내지 제3 구동 스위치(S1, S2, S3)를 포함하며, 노드 커패시터(112)의 일단인 동작신호선(Xi)에 제1 모드의 구동파형과 제2 모드의 구동파형을 소정 시퀀스로 출력한다. The driving circuit 200 includes a positive power supply voltage VDD, a negative power supply voltage (-VDD), and first to third driving switches S1, S2, and S3, and is an end of the node capacitor 112. The driving waveform of the first mode and the driving waveform of the second mode are output to the signal line Xi in a predetermined sequence.

도 2에서 제1 구동 스위치(S1)는 양의 전원전압(VDD)과 노드 커패시터(112)의 일단인 동작신호선(Xi)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구동 스위치(S2)는 접지와 노드 커패시터(112)의 일단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3 구동 스위치(S3)는 음의 전원전압(-VDD)과 노드 커패시터(112)의 일단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In FIG. 2, the first driving switch S1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positive power supply voltage VDD and the operation signal line Xi which is one end of the node capacitor 112, and the second driving switch S2 is connected to the ground and the node. The third driving switch S3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one end of the capacitor 112 and the third driving switch S3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negative power supply voltage -VDD and one end of the node capacitor 112.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구동 스위치(S1), 제2 구동 스위치(S2), 제3 구동 스위치(S3)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양의 전원전압(VDD)과 접지 전압의 조합으로 구성된 제1 모드의 구동파형 또는 음의 전원전압(-VDD)과 접지 전압의 조합으로 구성된 제2 모드의 구동파형이 동작신호선(Xi)에 출력된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ve power voltage VDD and the ground voltage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switch S1, the second driving switch S2, and the third driving switch S3. The driving waveform of the first mode composed of the combination or the driving waveform of the second mode composed of the combination of the negative power supply voltage -VDD and the ground voltage is output to the operation signal line Xi.

감지회로(300)는 제1 및 제2 감지스위치(S4, S5), 기준 커패시터(310), 리셋 스위치(S6),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330, 이하 'ADC'라고 함) 및 디지털 신호 처리기(340, 이하 'DSP'라 함)를 포함한다. The sensing circuit 300 includes first and second sensing switches S4 and S5, a reference capacitor 310, a reset switch S6,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33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DC'), 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340. , Hereinafter referred to as 'DSP'.

제1 감지스위치(S4)는 노드 커패시터(112)의 타단인 감지신호선(Yj)과 접지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first sensing switch S4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sensing signal line Yj, which is the other end of the node capacitor 112, and the ground.

증폭기(320)는 차동 증폭기(differential amplifier)이며, 반전단자는 노드 커패시터의 타단인 감지신호선(Yj)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비반전단자는 접지된다. 이하에서는 증폭기(320)의 예로서 통상의 연산 증폭기(OP AMP)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외의 다른 차동 증폭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The amplifier 320 is a differential amplifier. The inverting termina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ing signal line Yj, which is the other end of the node capacitor, and the non-inverting terminal is grounded. Hereinafter, a typical operational amplifier (OP AMP)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amplifier 32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differential amplifiers may be used.

기준 커패시터(310)는 연산증폭기(320)의 반전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기준 커패시터(310)는 연산증폭기(320)의 출력을 연산증폭기(320)의 입력으로 부귀환(negative feedback)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reference capacitor 310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inverting terminal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320. That is, the reference capacitor 310 serves to negative feedback the output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320 to the input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320.

제2 감지스위치(S5)는 노드 커패시터(112)의 타단과 기준 커패시터(310)(즉, 연산 증폭기(320)의 반전단자)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노드 커패시터(112)에 충전된 전압이 기준 커패시터에 전달되는 것을 스위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second sensing switch S5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node capacitor 112 and the reference capacitor 310 (that is, the inverting terminal of the operational amplifier 320), and the voltage charged in the node capacitor 112 is It serves to switch what is delivered to the reference capacitor.

리셋 스위치(S6)는 기준 커패시터(310)의 양단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기준 커패시터(310)에 충전된 전압의 초기화(리셋)를 스위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reset switch S6 is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both ends of the reference capacitor 310, and serves to switch the initialization (reset) of the voltage charged in the reference capacitor 310.

ADC(330)는 기준 커패시터(310)에 충전된 전압을 대응하는 디지털값으로 변환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커패시터(310)에 충전된 전압이 양의 전압인 경우에는 양의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고, 기준 커패시터(310)에 충전된 전압이 음의 전압인 경우에는 음의 디지털 값으로 변환한다. The ADC 330 converts the voltage charged in the reference capacitor 310 into a corresponding digital value. 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oltage charged in the reference capacitor 310 is a positive voltage, it is converted to a positive digital value, and when the voltage charged in the reference capacitor 310 is a negative voltage Convert to a negative digital value.

DSP(340)는 ADC(330)로부터 출력된 누적된 디지털 값에 기초하여, 노드 커패시터(112)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감지한다. The DSP 340 senses a capacitance change amount of the node capacitor 112 based on the accumulated digital value output from the ADC 33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준 커패시터(310)의 양단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노드 커패시터(112)의 충방전 동작에 응답하여, 노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Cij)에 대응하는 전압이 충전된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capacitance Cij of the node capacitor is charged at both ends of the reference capacitor 310 in response to the charge / discharge operation of the node capacitor 112 as described below.

다음은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구동방법을 설명한다. Next, a method of driving a touch scree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장치의 구동방법은 제1 동작모드 또는 제2 동작모드를 소정 횟수 반복해서 구동한다. 제1 동작모드와 제2 동작모드는 도 6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드 커패시터 충전단계, 기준 커패시터로의 전달단계, 기준 커패시터 판독단계 및 기준 커패시터의 리셋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6 및 도 10에서 "충전" 및 "방전"은 각각 노드 커패시터의 충전 및 방전 동작을 의미하며, "전달"은 기준 커패시터에 단위충전전압이 충전(전달)되는 동작을 의미한다. In the method for driving a touch scree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peration mode or the second operation mode is repeatedly drive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s shown in FIGS. 6 and 10, the first operation mode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include a node capacitor charging step, a transfer to a reference capacitor, a reference capacitor reading step, and a reset step of the reference capacitor. 6 and 10, "charge" and "discharge" refer to charging and discharging operations of a node capacitor, respectively, and "delivery" refers to an operation of charging (delivering) unit charging voltage to a reference capacitor.

제1 동작모드는 양의 전압(VDD)과 접지 전압으로 이루어지는 구동파형을 노드 커패시터(112)에 인가하는 모드를 말하며, 제2 동작모드는 음의 전압(-VDD)과 접지 전압으로 이루어지는 구동파형을 노드 커패시터(112)에 인가하는 모드를 말한다. The first operation mode refers to a mode in which a driving waveform consisting of a positive voltage VDD and a ground voltage is applied to the node capacitor 112,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is a driving waveform consisting of a negative voltage (-VDD) and a ground voltage. Refers to a mode in which the node capacitor 112 is applied.

먼저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해서 제1 동작모드의 동작을 설명한다. First, the operation of the first operation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제1 동작모드에 따르면, 제3 동작스위치(S3)는 오프상태를 유지하며, 다른 스위치(S1, S2, S4, S5)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노드 커패시터(112)가 충전되거나 방전된다.
According to the first operation mode, the third operation switch S3 maintains the off state, and the node capacitor 112 is charged or discharged according to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other switches S1, S2, S4, and S5.

(1)노드 커패시터의 충전단계(1) charging stage of node capacitor

먼저 노드 커패시터(112)의 충전 동작을 설명하면, 제1 구동스위치(S1)와 제1 감지스위치(S4)가 온되고, 제2 구동스위치(S2)와 제2 감지스위치(S5)가 오프된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드 커패시터(112)의 양단(Vx)은 양의 전원전압(VDD)으로 충전된다.
First,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node capacitor 112 will be described. The first driving switch S1 and the first sensing switch S4 are turned on, and the second driving switch S2 and the second sensing switch S5 are turned off. .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6, both ends Vx of the node capacitor 112 are charged to the positive power supply voltage VDD.

(2) 기준 커패시터로의 전달단계 (노드 커패시터 방전단계)(2) Transfer to reference capacitor (node capacitor discharge step)

노드 커패시터(112)의 양단(Vx)이 양의 전원전압(VDD)으로 충전되고 나서, 노드 커패시터(112)의 방전 동작이 수행되는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구동스위치(S1)와 제1 감지스위치(S4)가 오프되고 제2 구동스위치(S2)와 제2 감지스위치(S5)가 온된다. 이 경우, 노드 커패시터(112)의 양단(Vx)은 접지 전위까지 방전되며, 기준 커패시터(310)의 양단(Vy)에는 단위충전전압(Vd)이 충전(전달)된다. After both ends Vx of the node capacitor 112 are charged to the positive power supply voltage VDD, the discharge operation of the node capacitor 112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4, the first driving switch S1 and The first sensing switch S4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driving switch S2 and the second sensing switch S5 are turned on. In this case, both ends Vx of the node capacitor 112 are discharged to the ground potential, and the unit charge voltage Vd is charged (transmitted) at both ends Vy of the reference capacitor 310.

이때, 단위충전전압(Vd)은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결정된다. At this time, the unit charge voltage (Vd) is determ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10026476415-pat00001
Figure 112010026476415-pat00001

(여기서, Vd는 단위충전전압, Cij는 노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Ct는 기준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VDD는 전원전압)Where Vd is the unit charge voltage, Cij is the capacitance of the node capacitor, Ct is the capacitance of the reference capacitor, and VDD is the supply voltage.

수학식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기준 커패시터(310)의 양단에 충전된 단위 충전전압(Vd)의 크기는 노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에 비례하므로, 단위 충전 전압의 크기의 변화량를 통해 노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의 변화량(즉, 센싱노드에의 접촉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Equation 1, since the magnitude of the unit charging voltage Vd charged across the reference capacitor 310 is proportional to the capacitance of the node capacitor, the amount of change in the capacitance of the node capacitor through the amount of change in the magnitude of the unit charging voltage ( That is, the contact with the sensing node) can be detect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동작모드에서 노드 커패시터(112)의 충전 단계 이후에 기준 커패시터로의 전달 단계 동작이 수행되나, 이와 달리 노드 커패시터(112)의 충전 단계와 기준 커패시터로의 전달 단계 동작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harging step of the node capacitor 112 is performed in the first operation mode, the step of transferring to the reference capacitor is performed. Alternatively, the charging step of the node capacitor 112 and the transfer to the reference capacitor are performed. It is also possible to allow step operations to be performed simultaneously.

(3) 기준 커패시터 판독단계 (3) reference capacitor reading step

기준 커패시터(310)로의 전달단계 이후에는 ADC(330)는 기준 커패시터(310)에 충전(전달)된 전압을 대응하는 양의 디지털 값(X[n])으로 변환한다. After the transfer to the reference capacitor 310, the ADC 330 converts the voltage charged (delivered) to the reference capacitor 310 into a corresponding positive digital value X [n].

그리고나서, DSP(340)는 다음의 수학식 2와 같이 이전 동작모드까지의 누적된 디지털 값과 현재 동작모드에서 변환된 디지털 값(X[n])에 기초해서, 현재 동작모드까지 누적된 디지털 값(Y[n])을 계산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누적된 디지털 값"이란 디지털 값을 단순히 합산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 동작모드에서 변환된 디지털 값의 크기(즉, 디지털 값의 절대값)를 합산하는 것을 의미한다.Then, the DSP 340 accumulates the digital accumulated up to the current operation mode based on the accumulated digital value up to the previous operation mode and the digital value X [n] converted from the current operation mode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Calculate the value Y [n]. At this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umulated digital values" does not mean simply adding up digital values, but adding up the magnitudes (ie, absolute values of digital values) of digital values converted in each operation mode. it means.

Figure 112010026476415-pat00002
Figure 112010026476415-pat00002

여기서, Y[n]은 현재 동작모드까지 누적된 디지털 값을 의미하고, Y[n-1]은 이전 동작모드까지 누적된 디지털 값을 의미하며, X[n]은 현재 동작모드의 기준 커패시에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는 디지털 값을 의미한다. Here, Y [n] means the digital value accumulated up to the current operation mode, Y [n-1] means the digital value accumulated up to the previous operation mode, and X [n] is the reference capacitance of the current operation mode. A digital value corresponding to the voltage charged in the.

이때, 제1 동작모드에 따르면, ADC(330)는 양의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므로(즉, 기준 커패시터(310)에 충전된 전압이 양의 전압이므로), 이전 동작모드까지 누적된 디지털 값(Y[n-1])에 현재 동작모드에서 변환된 디지털 값(X[n])을 가산하여 현재 동작모드까지 누적된 디지털 값(Y[n])을 구한다.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first operation mode, the ADC 330 converts the positive digital value (that is, since the voltage charged in the reference capacitor 310 is the positive voltage), and thus the digital value Y accumulated up to the previous operation mode (Y [n-1]) is added to the digital value X [n] converted in the current operation mode to obtain the digital value Y [n] accumulated up to the current operation mode.

(4) 기준 커패시터 리셋단계 (4) Resetting the Reference Capacitor

기준 커패시터를 판독한 이후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셋 스위치(S6)가 온되어 기준 커패시터(310)에 충전된 전압을 초기화(리셋)한다.
After reading the reference capacitor, as shown in FIG. 5, the reset switch S6 is turned on to initialize (reset) the voltage charged in the reference capacitor 310.

다음에는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2 동작모드의 동작을 설명한다. Next, the operation of the second operation mod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제2 동작모드에 따르면, 제1 동작스위치(S1)는 오프상태를 유지하며, 다른 스위치(S2, S3, S4, S5)의 온/오프 동작에 따라 노드 커패시터(112)가 충전되거나 방전된다.
According to the second operation mode, the first operation switch S1 maintains the off state, and the node capacitor 112 is charged or discharged according to the on / off operation of the other switches S2, S3, S4, and S5.

(5) 노드 커패시터의 충전단계(5) charging stage of node capacitor

먼저 노드 커패시터(112)의 충전 동작을 설명하면, 제3 구동스위치(S3)와 제1 감지스위치(S4)가 온되고, 제2 구동스위치(S2)와 제2 감지스위치(S5)가 오프된다. 이 경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드 커패시터(112)의 양단(Vx)은 음의 전원전압(VDD)으로 충전된다.
First, the charging operation of the node capacitor 112 will be described. The third driving switch S3 and the first sensing switch S4 are turned on, and the second driving switch S2 and the second sensing switch S5 are turned off. .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0, both ends Vx of the node capacitor 112 are charged to the negative power supply voltage VDD.

(6) 기준 커패시터로의 전달단계 (노드 커패시터 방전단계)(6) Transfer to reference capacitor (node capacitor discharge step)

노드 커패시터(112)의 양단(Vx)이 음의 전원전압(-VDD)으로 충전되고 나서, 노드 커패시터(112)의 방전 동작이 수행되는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구동스위치(S3)와 제1 감지스위치(S4)가 오프되고 제2 구동스위치(S2)와 제2 감지스위치(S5)가 온된다. 이 경우, 노드 커패시터(112)의 양단(Vx)은 접지 전위까지 방전되며, 기준 커패시터(310)의 양단(Vy)에는 음의 단위충전전압(-Vd)이 충전(전달)된다. After both ends (Vx) of the node capacitor 112 is charged to a negative power supply voltage (-VDD), the discharge operation of the node capacitor 112 is performed. As shown in FIG. 8, the third driving switch S3 is performed. And the first sensing switch S4 is turned off and the second driving switch S2 and the second sensing switch S5 are turned on. In this case, both ends Vx of the node capacitor 112 are discharged to the ground potential, and a negative unit charge voltage (-Vd) is charged (transmitted) at both ends Vy of the reference capacitor 3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동작모드에서 노드 커패시터(112)의 충전 단계 이후에 기준 커패시터로의 전달 단계 동작이 수행되나, 이와 달리 노드 커패시터(112)의 충전 단계와 기준 커패시터로의 전달 단계 동작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harging step of the node capacitor 112 is performed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the step of transferring to the reference capacitor is performed. Alternatively, the charging step of the node capacitor 112 and the transfer to the reference capacitor are performed. It is also possible to allow step operations to be performed simultaneously.

(7) 기준 커패시터 판독단계 (7) reference capacitor reading step

기준 커패시터(310)로의 전달단계 이후에는 ADC(330)는 기준 커패시터(310)에 충전(전달)된 전압을 대응하는 음의 디지털 값(X[n])으로 변환한다. After the transfer to the reference capacitor 310, the ADC 330 converts the voltage charged (delivered) to the reference capacitor 310 into a corresponding negative digital value X [n].

그리고나서, DSP(340)는 다음의 수학식 3와 같이 이전 동작모드까지 누적된 디지털 값과 현재 동작모드에서 변환된 디지털 값(X[n])에 기초하여, 현재 동작모드까지 누적된 디지털 값(Y[n])을 계산한다. Then, the DSP 340 accumulates the digital value accumulated up to the current operation mode based on the digital value accumulated up to the previous operation mode and the digital value X [n] converted from the current operation mode as shown in Equation 3 below. Calculate (Y [n]).

Figure 112010026476415-pat00003
Figure 112010026476415-pat00003

이때, 제2 동작모드에 따르면, 제1 동작모드와는 달리 ADC(330)가 음의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므로(즉, 기준 커패시터(310)에 충전된 전압이 음의 전압이므로), 이전 동작모드까지 누적된 디지털 값(Y[n-1])에 현재 동작모드에서 변환된 디지털 값(X[n])을 감산하여 현재 동작모드까지 누적된 디지털 값(Y[n])을 구한다.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second operation mode, unlike the first operation mode, since the ADC 330 converts to a negative digital value (that is, since the voltage charged in the reference capacitor 310 is a negative voltage), the previous operation mode The digital value Y [n-1] accumulated in the current operation mode is subtracted from the accumulated digital value Y [n-1] to obtain the digital value Y [n] accumulated up to the current operation mode.

현재 동작모드까지 누적된 디지털 값(Y[n])에는 노드 커패시터(112)의 커패시턴스 값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동작모드 또는 제2 동작모드를 소정 횟수(예컨대, 16) 반복구동하여 누적된 디지털 값(Y[n])에 기초하여 센싱 노드의 접촉여부를 최종적으로 판단한다. Since the digital value Y [n] accumulated up to the current operation mode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apacitance value of the node capacitor 11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operation mode or the second operation mode may be used for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For example, 16) it is finally determined whether the sensing node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digital value Y [n] accumulated by repeated driving.

(8) 기준 커패시터 리셋단계 (8) Reset Reference Capacitor

기준 커패시터를 판독한 이후에는, 리셋 스위치(S6)가 온되어 기준 커패시터(310)에 충전된 전압을 초기화(리셋)한다.
After reading the reference capacitor, the reset switch S6 is turned on to initialize (reset) the voltage charged in the reference capacitor 3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 및 감지회로는 스위치드 커패시터(switched capacitor)를 이용한 것이므로, 기본적으로 FIR(Finite Impulse Response) 필터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터치스크린 장치를 제1 동작모드 또는 제2 동작모드로 구동시키는 것을 1회로 하였을 때, N회 구동시 N 탭을 가진 FIR 필터로 동작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 및 감지회로는 제1 동작모드 또는 제2 동작모드의 소정 조합 또는 구동횟수(N)에 따라 여러 가지 필터링특성을 갖는 필터로서 동작할 수 있다. Since the driving circuit and the sensing circu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 a switched capacitor, the driving circuit and the sensing circuit basically have characteristics of a finite impulse response (FIR) filter. That is, when the touch screen device is driven in the first operation mode or the second operation mode in one circuit, the touch screen device operates as an FIR filter having N taps after N drivings. In this case, the driving circuit and the sensing circui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erate as a filter having various filter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mbination or driving frequency N of the first operation mode or the second operation mode.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노드 커패시터(112)를 양의 전원전압(+VDD)으로 충전한 후 이에 대응하는 양의 전압(+Vd)을 기준 커패시터(310)에 전달하는 제1 동작모드(비트값 1)와, 노드 커패시터(112)를 음의 전원전압(-VDD)으로 충전한 후 이에 대응하는 음의 전압(-Vd)을 기준 커패시터에 전달하는 제2 동작모드(비트값 -1)를 소정 시퀀스로 조합하여 터치스크린 장치를 구동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을 억제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ode capacitor 112 is charged with the positive power supply voltage (+ VDD), and then the first operation mode for transmitting the corresponding positive voltage (+ Vd) to the reference capacitor 310 ( Bit value 1) and a second operation mode (bit value -1) that charges the node capacitor 112 with a negative power supply voltage (-VDD) and transfers a corresponding negative voltage (-Vd) to the reference capacitor. By combining the in a predetermined sequence to drive the touch screen device, it is possible to suppress malfunction due to noise from the outside.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트 시퀀스 노이즈 필터링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 11 and 14 illustrate bit sequence noise filter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1은 제1 동작모드(비트값 1)로만 동작시킨 경우의 노이즈 필터링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동작모드로만 터치 스크린 장치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LPF)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noise filtering characteristics when operating only in the first operation mode (bit value 1). FIG. As shown in FIG. 11, when the touch screen device is driven only in the first operation mod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low pass filter (LPF) plays a role.

도 12는 제1 동작모드(비트값 1)과 제2 동작모드(비트값 -1)을 교대로 동작시킨 경우의 노이즈 필터링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와 같이 구동하는 경우에는 고역 통과 필터(high pass filter; HPF)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알 수 있다.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noise filtering characteristics when the first operation mode (bit value 1)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bit value -1) are operated alternately. FIG. 12 shows a high pass filter when driving in this manner. It can be seen that it performs the role of filter (HPF).

도 13 및 도 14는 각각 제1 동작모드(비트값 1)과 제2 동작모드(비트값 -1)을 각각 바커 시퀀스(barker sequence)와 랜덤 코드로 동작시킨 경우의 노이즈 필터링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에 따르면, 전 주파수 대역에 걸쳐 주파수 필터링 특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13 and 14 are diagrams illustrating noise filtering characteristics when the first operation mode (bit value 1)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bit value -1) are operated with a barker sequence and a random code, respectively. . 13 and 14, it can be seen that the frequency filtering characteristic is improved over the entire frequency band.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동작모드와 제2 동작모드를 소정 조합으로 적절하게 구동함으로써 표시장치와 같은 외부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노이즈에 의해 터치스크린 장치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operly driving the first operation mode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in a predetermined combin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touch screen device from malfunctioning due to noise generated by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isplay device. .

이상 본 발명이 양호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속하는 자들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readily occur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and that the true scope of the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by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

100: 터치패널 200: 구동회로
300: 감지회로 400: 타이밍제어기
112: 노드 커패시터 310: 기준 커패시터
320: 연산증폭기 S1, S2, S3: 구동스위치
S4, S5: 감지스위치 S6: 리셋스위치
100: touch panel 200: driving circuit
300: detection circuit 400: timing controller
112: node capacitor 310: reference capacitor
320: operational amplifier S1, S2, S3: drive switch
S4, S5: Detection switch S6: Reset switch

Claims (18)

다수의 동작신호선, 상기 다수의 동작신호선에 절연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감지신호선, 및 대응하는 동작신호선과 감지신호선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노드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동작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동작신호선 중 하나 이상의 동작신호선에 상기 노드 커패시터를 양의 제1 전압으로 충전하기 위한 제1 모드의 구동파형 또는 상기 노드 커패시터를 음의 제2 전압으로 충전하기 위한 제2 모드의 구동파형의 조합을 소정 시퀀스로 인가하는 구동회로; 및
상기 다수의 감지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노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를 측정하는 감지회로를 포함하는 터치패널의 구동장치.
A driving apparatus for driving a touch panel comprising a plurality of operation signal lines, a plurality of sensing signal lines insulated from the plurality of operating signal lines, and a plurality of node capacitors respectively formed by corresponding operation signal lines and sensing signal lines. ,
A driving waveform of a first mode or a second negative terminal capacitor configured to charge the node capacitor with a positive first voltage to at least one operation signal line of the plurality of operation signal lines; A driving circuit for applying a combination of driving waveforms of the second mode for charging with a voltage in a predetermined sequence; And
And a sensing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nsing signal lines and measuring capacitance of the node capaci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과 상기 제2 전압은 크기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의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irst voltage and the second voltage have the same magnitu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는
상기 노드 커패시터의 일단과 상기 제1 전압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구동스위치,
상기 노드 커패시터의 일단과 접지 전압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구동 스위치, 및
상기 노드 커패시터의 일단과 상기 제2 전압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구동 스위치를 포함하는 터치패널의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driving circuit
A first driving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one end of the node capacitor and the first voltage;
A second drive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one end of the node capacitor and a ground voltage, and
And a third driving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one end of the node capacitor and the second voltag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회로는
상기 노드 커패시터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노드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는 단위충전전압이 전달되어 충전되는 기준 커패시터; 및
상기 노드 커패시터의 타단과 상기 기준 커패시터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단위충전전압이 상기 기준 커패시터에 전달되는 것을 스위칭하는 제1 감지스위치;
상기 기준 커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기준 커패시터에 충전된 상기 단위충전전압을 초기화하는 리셋 스위치;
상기 기준 커패시터에 충전된 상기 단위충전전압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값을 누적한 값인 누적 디지털 값에 기초하여, 상기 노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감지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는 터치패널의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ensing circuit
A reference capaci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node capacitor to receive and charge a unit charge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voltage charged in the node capacitor; And
A first sensing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node capacitor and the reference capacitor and switching the transfer of the unit charge voltage to the reference capacitor;
A reset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ference capacitor and initializing the unit charge voltage charged in the reference capacitor;
An analog-digita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unit charge voltage charged in the reference capacitor into a digital value; And
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sense a capacitance change amount of the node capacitor based on a cumulative digital value which is a value obtained by accumulating a digital value output from the analog to digital convert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회로는
상기 노드 커패시터의 타단과 접지 전압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감지 스위치; 및
상기 기준 커패시터의 일단과 접지가 각각 제1 입력단자 및 제2 입력단자에 연결되고, 상기 기준 커패시터의 타단이 출력단자에 연결되는 차동 증폭기를 포함하는 터치패널의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nsing circuit
A second sensing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node capacitor and a ground voltage; And
And a differential amplifier having one end and a ground of the reference capacitor connected to a first input terminal and a second input terminal, respectively, and the other end of the reference capacitor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스위치는 상기 제1 모드의 구동파형에 대응하는 제1 동작모드 또는 상기 제2 모드의 구동파형에 대응하는 제2 동작모드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의 구동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The first to third driving switches selectively operate in a first opera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waveform of the first mode or a second opera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waveform of the second mode. Drive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모드 또는 상기 제2 동작모드의 조합은 번갈아 동작하지 않는 제1 시퀀스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의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6,
And a combination of the first operation mode or the second operation mode operates in a first sequence which does not alternately opera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상기 제1 동작모드의 경우, 이전 동작모드까지의 누적 디지털 값에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로부터 출력된 현재 동작모드의 디지털 값을 가산하여 현재 동작모드까지의 누적 디지털 값을 구하고,
상기 제2 동작모드의 경우, 이전 동작모드까지의 누적 디지털 값에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로부터 출력된 현재 동작모드의 디지털 값을 감산하여 현재 동작모드까지의 누적 디지털 값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의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In the first operation mode, the cumulative digital value up to the current operation mode is obtained by adding the digital value of the current operation mode output from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to the cumulative digital value up to the previous operation mode,
In the second operation mode, a cumulative digital value up to the current operation mode is obtained by subtracting the digital value of the current operation mode output from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to the cumulative digital value up to the previous operation mode. Drive syste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퀀스는 바커 시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의 구동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first sequence is a Barker sequence.
다수의 동작신호선, 상기 다수의 동작신호선에 절연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감지신호선, 및 대응하는 동작신호선과 감지신호선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노드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을 구동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작신호선 또는 상기 감지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구동 스위치의 온/오프 동작을 상기 노드 커패시터에 양의 제1 전압을 충전하기 위한 제1 동작모드 또는 상기 노드 커패시터에 음의 제2 전압을 충전하기 위한 제2 동작모드로 선택적으로 구동하되, 상기 제1 동작모드와 상기 제2 동작모드는 서로 번갈아 구동되지 않는 제1 시퀀스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의 구동방법.
A method of driving a touch panel comprising a plurality of operation signal lines, a plurality of detection signal lines insulated from the plurality of operation signal lines, and a plurality of node capacitors respectively formed by corresponding operation signal lines and the detection signal lines.
The on / off operation of a plurality of driving switche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peration signal line or the detection signal line may be performed in a first operation mode for charging a positive first voltage to the node capacitor or a negative second voltage to the node capacitor. And selectively driving to a second operation mode for charging, wherein the first operation mode and the second operation mode are arranged in a first sequence which is not alternately drive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모드의 구동방법은
상기 노드 커패시터를 상기 제1 전압으로 충전하는 단계;
상기 노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의 크기에 대응하는 단위충전전압을 상기 노드 커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준 커패시터에 충전하는 단계;
상기 기준 커패시터에 충전된 상기 단위충전전압을 제1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이전 동작모드까지의 누적 디지털 값에 상기 변환된 제1 디지털 값을 가산하여, 현재 동작모드까지의 누적 디지털 값을 구하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커패시터에 충전된 상기 단위충전전압을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패널의 구동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driving method of the first operation mode is
Charging the node capacitor to the first voltage;
Charging a unit charge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capacitance of the node capacitor to a reference capaci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ode capacitor;
Converting the unit charge voltage charged in the reference capacitor into a first digital value;
Calculating the cumulative digital value up to the current operation mode by adding the converted first digital value to the cumulative digital value up to a previous operation mode; And
And initializing the unit charge voltage charged in the reference capacito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동작모드의 구동방법은
상기 노드 커패시터를 상기 제2 전압으로 충전하는 단계;
상기 노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의 크기에 대응하는 단위충전전압을 상기 노드 커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준 커패시터에 충전하는 단계;
상기 기준 커패시터에 충전된 상기 단위충전전압을 제1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이전 동작모드까지의 누적 디지털 값에 상기 변환된 제1 디지털 값을 감산하여, 현재 동작모드까지의 누적 디지털 값을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패널의 구동방법.
The method of claim 10,
The driving method of the second operation mode is
Charging the node capacitor to the second voltage;
Charging a unit charge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magnitude of the capacitance of the node capacitor to a reference capaci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node capacitor;
Converting the unit charge voltage charged in the reference capacitor into a first digital value;
And subtracting the converted first digital value to a previous operation mode to obtain a cumulative digital value up to a current operation mode.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동작모드까지의 누적 디지털 값에 기초하여, 상기 노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감지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터치패널의 구동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or 12, wherein
And detecting a capacitance change amount of the node capacitor based on the cumulative digital value up to the current operation mode.
다수의 동작신호선, 상기 다수의 동작신호선에 절연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감지신호선, 및 대응하는 동작신호선과 감지신호선에 의해 각각 형성되는 다수의 노드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상기 다수의 동작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다수의 동작신호선 중 하나 이상의 동작신호선에 상기 노드 커패시터를 양의 제1 전압으로 충전하기 위한 제1 모드의 구동파형 또는 상기 노드 커패시터를 음의 제2 전압으로 충전하기 위한 제2 모드의 구동파형의 조합을 소정 시퀀스로 인가하는 구동회로; 및
상기 다수의 감지신호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노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를 측정하는 감지회로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장치.
A touch panel including a plurality of operation signal lines, a plurality of sensing signal lines insulated from the plurality of operating signal lines, and a plurality of node capacitors respectively formed by corresponding operation signal lines and sensing signal lines;
A driving waveform of a first mode or a second negative terminal capacitor configured to charge the node capacitor with a positive first voltage to at least one operation signal line of the plurality of operation signal lines; A driving circuit for applying a combination of driving waveforms of the second mode for charging with a voltage in a predetermined sequence; And
And a sensing circui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sensing signal lines and measuring capacitance of the node capacitor.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는
상기 노드 커패시터의 일단과 상기 제1 전압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구동스위치,
상기 노드 커패시터의 일단과 접지 전압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구동 스위치, 및
상기 노드 커패시터의 일단과 상기 제2 전압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 구동 스위치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장치.
The method of claim 14,
The driving circuit
A first driving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one end of the node capacitor and the first voltage;
A second drive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one end of the node capacitor and a ground voltage, and
And a third driving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one end of the node capacitor and the second voltage.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회로는
상기 노드 커패시터의 타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노드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에 대응하는 단위충전전압이 전달되어 충전되는 기준 커패시터; 및
상기 노드 커패시터의 타단과 상기 기준 커패시터 사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단위충전전압이 상기 기준 커패시터에 전달되는 것을 스위칭하는 제1 감지스위치;
상기 기준 커패시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기준 커패시터에 충전된 상기 단위충전전압을 초기화하는 리셋 스위치;
상기 기준 커패시터에 충전된 상기 단위충전전압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는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 및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값을 누적한 값인 누적 디지털 값에 기초하여, 상기 노드 커패시터의 커패시턴스 변화량을 감지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장치.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sensing circuit
A reference capacit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node capacitor to receive and charge a unit charge voltage corresponding to the voltage charged in the node capacitor; And
A first sensing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node capacitor and the reference capacitor and switching the transfer of the unit charge voltage to the reference capacitor;
A reset switch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ference capacitor and initializing the unit charge voltage charged in the reference capacitor;
An analog-digital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unit charge voltage charged in the reference capacitor into a digital value; And
And a digital signal processor configured to sense a capacitance change amount of the node capacitor based on a cumulative digital value which is a value obtained by accumulating a digital value output from the analog to digital converter.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구동스위치는 상기 제1 모드의 구동파형에 대응하는 제1 동작모드 또는 상기 제2 모드의 구동파형에 대응하는 제2 동작모드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5 or 16,
Wherein the first to third driving switches selectively operate in a first opera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waveform of the first mode or in a second operation mode corresponding to the driving waveform of the second mode.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상기 제1 동작모드의 경우, 이전 동작모드까지의 누적 디지털 값에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로부터 출력된 현재 동작모드의 디지털 값을 가산하여 현재 동작모드까지의 누적 디지털 값을 구하고,
상기 제2 동작모드의 경우, 이전 동작모드까지의 누적 디지털 값에 상기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로부터 출력된 현재 동작모드의 디지털 값을 감산하여 현재 동작모드까지의 누적 디지털 값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장치.
The method of claim 17,
The digital signal processor
In the first operation mode, the cumulative digital value up to the current operation mode is obtained by adding the digital value of the current operation mode output from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to the cumulative digital value up to the previous operation mode,
In the case of the second operation mode, the cumulative digital value up to the previous operation mode is subtracted from the digital value of the current operation mode output from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to obtain the cumulative digital value up to the current operation mode. .
KR1020100038174A 2010-04-23 2010-04-23 Touch screen device,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ouch panel Active KR1011087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174A KR101108702B1 (en) 2010-04-23 2010-04-23 Touch screen device,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ouch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8174A KR101108702B1 (en) 2010-04-23 2010-04-23 Touch screen device,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ouch pan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520A KR20110118520A (en) 2011-10-31
KR101108702B1 true KR101108702B1 (en) 2012-01-30

Family

ID=45032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8174A Active KR101108702B1 (en) 2010-04-23 2010-04-23 Touch screen device,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ouch pa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8702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796B1 (en) 2013-03-07 2015-08-31 삼성전기주식회사 Touch sensing apparatus and touchscreen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7847B1 (en) 2012-07-09 2014-06-27 삼성전기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capacitance, and touchscreen apparatus
KR102441160B1 (en) * 2021-10-06 2022-09-07 주식회사 지2터치 Sensing method and device in panel with large line resistan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657A (en) * 1992-07-28 1994-02-25 Canon Inc Heater and fixing device
JP2006330669A (en) 2005-05-25 2006-12-07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device and driving device thereof
JP2010020302A (en) 2008-07-10 2010-01-28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1657A (en) * 1992-07-28 1994-02-25 Canon Inc Heater and fixing device
JP2006330669A (en) 2005-05-25 2006-12-07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device and driving device thereof
JP2010020302A (en) 2008-07-10 2010-01-28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8796B1 (en) 2013-03-07 2015-08-31 삼성전기주식회사 Touch sensing apparatus and touchscreen apparatus
US9389735B2 (en) 2013-03-07 2016-07-1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Touch sensing device and touchscree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520A (en) 2011-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8359B1 (en) A touch screen device, a driving device and a driving method for a touch screen device
TWI475450B (en) Picture input type image display system
CN102289332B (en) Reduction of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in capacitive touchscreen system
JP5324297B2 (en) Coordinate input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182399B1 (en) A touch screen device, a driving device and a driving method for a touch panel
KR101388906B1 (en) Capacitive Sensing Device, Capacitive Sensing Method, and Touch Screen Device
KR101169253B1 (en) integrator circuit with inverting integrator and non-inverting integrator
KR101108703B1 (en) Touch screen device,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ouch panel
US20110163768A1 (en) Touch screen device, capacitance measuring circuit thereof, and method of measuring capacitance
KR101198358B1 (en) A touch screen device, a driving device and a driving method for a touch panel
US9417741B2 (en) Capacitance sensing apparatus and touchscreen apparatus
KR10137686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capacitance, and touchscreen apparatus
KR101548796B1 (en) Touch sensing apparatus and touchscreen apparatus
US9030429B2 (en) Touchscreen having a capacitance sensing apparatus
KR101135703B1 (en) A capacitance measurement circuit and a capacitance measurement method for touch screen device
US8976149B2 (en) Capacitance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touch screen apparatus
US20140035653A1 (en) Capacitance sensing device and touchscreen
KR10137686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etection of capacitance, and touchscreen apparatus
KR10139784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capacitance, and touchscreen apparatus
KR101108702B1 (en) Touch screen device,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of touch panel
JP5642847B2 (en) Coordinate input device
US20130093700A1 (en) Touch-control communication system
KR101514517B1 (en) Apparatus for sensing capacitance, and touchscreen apparatus
CN101788873A (en) Switched capacitor circuit of capacitive touch pad and dete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23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10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4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