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08456B1 -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 및 체결 구조 - Google Patents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 및 체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8456B1
KR101108456B1 KR1020100011438A KR20100011438A KR101108456B1 KR 101108456 B1 KR101108456 B1 KR 101108456B1 KR 1020100011438 A KR1020100011438 A KR 1020100011438A KR 20100011438 A KR20100011438 A KR 20100011438A KR 101108456 B1 KR101108456 B1 KR 1011084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vibration actuator
support mechanism
stator
b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1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1119A (ko
Inventor
간지 에라미
아키히로 스즈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27608A external-priority patent/JP531604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27603A external-priority patent/JP531604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41275A external-priority patent/JP5316075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00091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1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4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45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005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non-specific motion; Details common to machines covered by H02N2/02 - H02N2/16
    • H02N2/005Mechanical details, e.g. housings
    • H02N2/0055Supports for driving or driven bodies; Means for pressing driving body against driven bod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4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8Mounts; Supports; Enclosures; Casings
    • H10N30/883Additional insulation means preventing electrical, physical or chemical damage, e.g. protective coatings

Landscapes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Abstract

지지 기구는, 기저 부재와, 그 상단측에 배치된 コ 형상의 협지 부재로 구성되는 음차형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기저 부재와 협지 부재 사이에는 중간 부재가 배치되고, 이로써 지지 기구에 잘록한 부분이 형성된다. 진동 액츄에이터의 스테이터는 협지 부재의 선단 부분에 의해 협지 고정된다. 진동 액츄에이터가 진동할 때, 지지 기구의 기저 부재와 협지 부재 사이가 진동의 마디 위치가 되고, 이 부분에서 진동이 절연되기 때문에, 기저 부재는 거의 진동하지 않는다.

Description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 및 체결 구조{SUPPORT MECHANISMS AND TIGHTENING STRUCTURES FOR VIBRATION ACTUATOR}
본 발명은,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 및 체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초음파 진동을 이용하여 로터를 회전시키는 진동 액츄에이터가 실용화되어 있다. 진동 액츄에이터는, 압전 소자를 사용하여 스테이터의 표면에 정재파 또는 진행파를 발생시키고, 스테이터에 로터를 가압 접촉시킴으로써, 이들 양자 사이의 마찰력을 통하여 로터를 회전시킨다.
진동 액츄에이터를 실제 산업 용도에 적용할 때에는, 진동 액츄에이터를 어떠한 장착 대상 부재에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 진동 액츄에이터의 진동에 미치는 영향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Z 축 방향의 종진동, X 축 방향의 휨 진동, 및 Y 축 방향의 휨 진동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스테이터를 구비함으로써, 다자유도의 구동력을 생성시키는 원통 형상의 진동 액츄에이터가 기재되어 있다. 이 진동 액츄에이터에서는, 설계 단계에 있어서 Z 축 방향의 종진동의 마디 위치와 횡방향의 휨 진동의 마디 위치를 거의 일치시킴과 함께, 도 20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플랜지 형상의 지지 기구 (4530) 의 기부 (4530a) 를 진동 액츄에이터의 진동의 마디 위치 부근에 배치하고, 진동 액츄에이터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4 개의 박판 형상 아암부 (4530b ~ 4530e) 의 선단 부분을 장착 대상 부재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진동 액츄에이터가 진동할 때, 지지 기구 (4530) 의 박판 형상 아암부 (4530b ~ 4530e) 가 휨으로써, 장착 대상 부재에 고정시켰을 때의 진동 액츄에이터의 진동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하고자 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20892호
그러나,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지지 기구 (4530) 에서는, 아암부 (4530b ~ 4530e) 는, 진동 액츄에이터의 종진동에 대해서는, 박판의 굽힘을 이용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충분히 휠 수 있지만, 횡방향의 휨 진동에 대해서는, 박판의 신장 및 압축을 이용하는 형태가 되기 때문에 충분히 휠 수 없다. 그 때문에, 아암부 (4530b ~ 4530e) 의 선단 부분을 장착 대상 부재에 고정시켰을 때, 진동 액츄에이터의 진동에 대한 영향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장착 대상 부재에 고정시켰을 때에 진동 액츄에이터의 진동에 미치는 영향이 억제되는,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 및 체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에 의하면, 로터 및 스테이터를 구비하는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로서, 지지 기구는, 기저 부재와, 기저 부재의 일 단측 (端側) 에 배치됨과 함께 기저 부재에서 진동 액츄에이터를 향하여 연장되는 소정의 방향을 향하여 개구되는 수직 단면을 갖는 협지 부재로 구성되는 음차형의 형상이고, 협지 부재가 진동 액츄에이터의 스테이터를 협지 고정시킴으로써, 진동 액츄에이터를 지지한다.
이로써, 장착 대상 부재에 고정시켰을 때에 진동 액츄에이터의 진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진동 및 외력에 대하여 높은 강성을 가짐과 함께, 진동 액츄에이터의 설계 자유도에 제한을 주지도 않는다.
지지 기구의 협지 부재는, 적어도 2 개 이상으로 나뉘어져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도 된다.
지지 기구의 협지 부재는, 적어도 2 개 이상으로 나뉘어져 소정의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고, 추가로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도 된다.
지지 기구의 협지 부재는, 적어도 2 개 이상으로 나뉘어져 소정의 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며 연장되고, 추가로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도 된다.
지지 기구의 협지 부재는, 적어도 2 개 이상으로 나뉘어져 만곡하면서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어도 된다.
지지 기구의 협지 부재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이어도 된다.
지지 기구의 기저 부재와 협지 부재 사이에는 중간 부재가 배치되고, 중간 부재의 기저 부재와 접하는 면의 치수는, 기저 부재 일 단측의 면의 치수보다 작아도 된다.
지지 기구의 협지 부재의 선단 부분에 의해, 진동 액츄에이터의 스테이터가 협지 고정되고, 지지 기구의 협지 부재의 기단 (基端) 부분과 진동 액츄에이터의 스테이터는 떨어져 있어도 된다.
지지 기구의 협지 부재는, 지지 기구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 형상이어도 된다.
진동 액츄에이터의 스테이터는, 복수의 압전 소자를 포함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에 의하면, 종진동 및 횡방향의 휨 진동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를 구비하는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로서, 지지 기구는, 진동 액츄에이터에 장착되는 기부와, 기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됨과 함께 장착 대상 부재에 고정되는 아암부를 갖고, 기부는, 진동 액츄에이터의 종진동 및 횡방향의 휨 진동 중 적어도 1 개의 진동 마디에 일치하는 지점에 배치되고, 기부와 아암부 사이에는 틈이 형성된다.
이로써, 장착 대상 부재에 고정시켰을 때, 진동 액츄에이터의 종진동 및 횡방향의 휨 진동 중 적어도 1 개의 진동에 미치는 영향이 억제된다. 또한, 사이즈도 작아 공간 절약이 된다.
종진동 및 횡방향의 휨 진동의 마디 위치가 거의 일치하는 스테이터여도 된다.
이로써, 장착 대상 부재에 고정시켰을 때, 진동 액츄에이터의 종진동 및 횡방향의 휨 진동에 미치는 영향이 모두 억제된다.
아암부는 장착 대상 부재에 고정되는 장착 부분을 갖고, 틈은 기부의 중심과 아암부의 장착 부분을 연결하는 직선 상을 횡단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이로써, 장착 대상 부재에 고정시켰을 때, 진동 액츄에이터의 횡방향의 휨 진동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억제된다.
아암부의 수는 적어도 3 개여도 된다.
아암부는 기부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어도 된다.
이로써, 사이즈가 더욱 작아 공간 절약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체결 구조에 의하면, 로터 및 스테이터를 구비하는 진동 액츄에이터의 체결 구조로서, 진동 액츄에이터를 장착 대상 부재에 체결하는 체결 부재와, 스테이터의 기부 블록과 장착 대상 부재 사이에 협지되는 제 1 진동 절연 부재를 구비한다.
이로써, 장착 대상 부재에 체결하여 고정시켰을 때에 진동 액츄에이터의 진동에 미치는 영향이 억제된다. 또한, 진동 액츄에이터의 설계 자유도에 제한을 주지도 않는다.
장착 대상 부재와 체결 부재 사이에 협지되는 제 2 진동 절연 부재를 구비해도 된다.
이로써, 장착 대상 부재에 체결하여 고정시켰을 때에 진동 액츄에이터의 진동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억제된다.
제 1 진동 절연 부재는 박판 형상이어도 된다.
이로써, 진동 액츄에이터를 체결하여 고정시킬 때에 매우 작아 공간 절약이 된다.
제 2 진동 절연 부재는 박판 형상이어도 된다.
이로써, 진동 액츄에이터를 체결하여 고정시킬 때에 매우 작아 공간 절약이 된다.
기부 블록의 바닥부가 장착 대상 부재에 체결되어도 된다.
기부 블록의 측부가 장착 대상 부재에 체결되어도 된다.
체결 부재는 볼트이고, 기부 블록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장착 대상 부재에는 볼트가 관통하기 위한 볼트 관통공이 형성되어도 된다.
체결 부재는 볼트 및 너트이고, 기부 블록 및 장착 대상 부재에는 볼트가 관통하기 위한 볼트 관통공이 형성되어도 된다.
이로써, 기부 블록과 체결 부재가 직접 나선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진동 액츄에이터가 진동할 때에 체결 부재를 포함하지 않는 진동계가 되어, 체결 부재가 진동 액츄에이터의 진동에 미치는 영향이 억제된다. 또한, 기부 블록과 체결 부재 사이에서 진동 에너지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진동 액츄에이터의 스테이터는 복수의 압전 소자를 포함해도 된다.
기부 블록의 외경은 스테이터의 진동자의 외경보다 커도 된다.
이로써, 진동 액츄에이터가 진동할 때에 스테이터의 기부 블록의 변위가 로터와 접촉하는 부분의 변위에 비해 작아져, 장착 대상 부재에 체결하여 고정시켰을 때에 진동 액츄에이터의 진동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억제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 및 체결 구조에 의하면, 장착 대상 부재에 고정시켰을 때에 진동 액츄에이터의 진동에 미치는 영향이 억제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 및 지지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4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5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6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 및 지지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7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8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 및 지지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8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9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1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체결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체결 구조를 나타내는 바닥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체결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17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체결 구조를 나타내는 바닥면도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4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체결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 부분 단면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4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체결 구조를 나타내는 바닥면도이다.
도 20 은 종래 기술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의 구성에 대해, 도 1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먼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 (1010) 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진동 액츄에이터 (1010) 는, 기부 블록 (1011) 과 고정자 (1012) 사이에 진동자 (1013) 가 협지되어 있고, 이들에 의해 대략 원기둥 형상의 외형을 갖는 스테이터 (1014) 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자 (1012) 에는, 진동자 (1013) 에 접하는 면과는 반대측에 오목부 (1015)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 (1015) 내에 구체 형상 로터 (1016) 의 거의 하반부가 수용되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고정자 (1012) 의 상부에는, 지지 부재 (1017) 가 배치되어 있다. 이 지지 부재 (1017) 는 고정자 (1012) 의 상면 상에 고정되는 고리형부 (1018) 와, 고리형부 (1018) 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역 L 자형의 앵글부 (1019) 를 갖고, 앵글부 (1019) 의 선단에 예압부 (1020) 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기부 블록 (1011) 에서 고정자 (1012) 를 향하는 스테이터 (1014) 의 중심축을 Z 축으로 규정하고, Z 축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X 축이, Z 축 및 X 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Y 축이 각각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예압부 (1020) 는, 로터 (1016) 의 +Z 축 방향의 최고점인 정점 부근에 접촉되어 있다. 지지 부재 (1017) 의 앵글부 (1019) 는 탄성을 갖고, 이로써 예압부 (1020) 가 로터 (1016) 에 가압되어, 로터 (1016) 에 ?Z 축 방향의 예압을 부여하고 있다.
진동자 (1013) 는 고정자 (1012) 에 초음파의 진동을 발생시켜 로터 (1016) 를 X 축 둘레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Z 축 방향의 종진동을 발생시키는 제 1 압전 소자 (1013a) 및 Y 축 방향의 휨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 2 압전 소자 (1013b) 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지지 기구 (1030) 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지지 기구 (1030) 는 음차형의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음차형의 형상이란, 기저 부재와, 그 일 단측에 배치됨과 함께 기저 부재에서 진동 액츄에이터 (1010) 를 향하여 연장되는 소정의 방향을 향하여 개구되는 수직 단면을 갖는 협지 부재로 구성되는 형상이다. 즉,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 기구 (1030) 는, 사각 기둥 형상의 외형을 갖는 기저 부재 (1031) 와, 기저 부재 (1031) 의 일단인 상단측에 배치되고, 2 개로 나뉘어져 기저 부재 (1031) 에서 진동 액츄에이터 (1010) 를 향하여 연장되는 소정의 방향인 +Z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고, 추가로 +Z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コ 형상의 협지 부재 (1032) 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협지 부재 (1032) 를 YZ 평면에서 절단한 수직 단면은 +Z 축 방향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또한, 협지 부재 (1032) 는, 지지 기구 (1030) 의 중심축 (O) 에 대하여 대칭인 형상 (중심축 (O) 의 둘레로 180 도 회전시켰을 때에 원래의 협지 부재 (1032) 에 겹쳐지는 2 회 대칭인 형상) 이다. 또한, 기저 부재 (1031) 와 협지 부재 (1032) 사이에는 사각 기둥 형상의 중간 부재 (1033) 가 배치되어 있다. 중간 부재 (1033) 의 기저 부재 (1031) 와 접하는 면의 치수는, 기저 부재 (1031) 상단측의 면의 치수보다 작고, 이로써 지지 기구 (1030) 에 잘록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진동 액츄에이터 (1010) 의 스테이터 (1014) 는 협지 부재 (1032) 의 선단 부분 (1032a) 에 의해 협지 고정되고, 협지 부재 (1032) 의 기단 부분 (1032b) 과 진동 액츄에이터 (1010) 의 스테이터 (1014) 는 떨어져 있다. 또한, 제 2 압전 소자 (1013b) 에 의한 Y 축 방향의 휨 진동에 대응하기 위해, 협지 부재 (1032) 와 진동 액츄에이터 (1010) 의 접촉면 (1040) 이 Y 축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심축 (O) 의 방향은 Z 축 방향과 평행 관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이제 진동 액츄에이터 (1010) 의 스테이터 (1014) 에 있어서의 제 1 압전 소자 (1013a) 와 제 2 압전 소자 (1013b) 에 위상차 90 도의 교류 전압을 각각 인가하면, 제 1 압전 소자 (1013a) 에 의한 Z 축 방향의 종진동과 제 2 압전 소자 (1013b) 에 의한 Y 축 방향의 휨 진동이 조합되어 로터 (1016) 와 접촉하는 고정자 (1012) 에 YZ 면내의 타원 운동이 발생하고, 로터 (1016) 가 X 축 둘레로 회전한다. 이 때, 지지 기구 (1030) 의 기저 부재 (1031) 와 협지 부재 (1032) 사이가 진동의 마디 위치가 되고, 이 부분에서 진동 액츄에이터 (1010) 의 진동이 절연되기 때문에, 기저 부재 (1031) 는 거의 진동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에 의하면, 진동 액츄에이터 (1010) 가 진동할 때, 기저 부재 (1031) 와 협지 부재 (1032) 사이에서 진동이 절연되어, 기저 부재 (1031) 는 거의 진동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기저 부재 (1031) 를 장착 대상 부재에 고정시켰다 하더라도, 진동 액츄에이터 (1010) 의 진동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또한, 협지 부재 (1032) 와 진동 액츄에이터 (1010) 의 접촉면 (1040)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진동 액츄에이터 (1010) 의 진동 및 외력에 대하여 높은 강성을 갖는다.
또한, 제 1 압전 소자 (1013a) 에 의한 Z 축 방향의 종진동의 마디부와 제 2 압전 소자 (1013b) 에 의한 Y 축 방향의 휨 진동의 마디부를 일치시킬 필요는 없기 때문에, 진동 액츄에이터 (1010) 의 설계 자유도가 제한을 받지는 않는다.
또한, 진동 액츄에이터 (1010) 의 직경 방향 (+Z 축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 즉 XY 평면 내) 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거의 갖지 않기 때문에, 작아 공간 절약이 된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에 대해 도 2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후의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도 1 의 참조 부호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지지 기구 (1230) 는,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コ 형상 협지 부재 (1032) 대신에, 2 개로 나뉘어져 +Z 축 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며 연장되고, 추가로 +Z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V 자형의 협지 부재 (1232) 를 사용하여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V 자형의 협지 부재 (1232) 를 YZ 평면에서 절단한 수직 단면은 +Z 축 방향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또한, 협지 부재 (1232) 는 지지 기구 (1230) 의 중심축 (O) 에 대하여 대칭인 형상 (2 회 대칭) 이다. 그리고, 진동 액츄에이터의 스테이터 (1014) 는 협지 부재 (1232) 의 선단 부분 (1232a) 에 의해 협지 고정된다.
이와 같은 V 자형의 협지 부재 (1232) 를 사용하여 지지 기구 (1230) 를 구성해도, 실시형태 1 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협지 부재 (1232) 는 선단 부분 (1232a) 과 기단 부분 (1232b) 의 이음매 부분, 및 중간 부재 (1033) 와 접하는 부분에 합계 3 개의 모서리부를 갖는데, 더 많은 모서리부를 갖도록 협지 부재 (1232) 를 형성해도 된다.
실시형태 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3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에 대해 도 3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3 에 관련된 지지 기구 (1330) 는,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コ 형상 협지 부재 (1032) 대신에, 2 개로 나뉘어져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면서 +Z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U 자형의 협지 부재 (1332) 를 사용하여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U 자형의 협지 부재 (1332) 를 YZ 평면에서 절단한 수직 단면은 +Z 축 방향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또한, 협지 부재 (1332) 는 지지 기구 (1330) 의 중심축 (O) 에 대하여 대칭인 형상 (2 회 대칭) 이다. 그리고, 진동 액츄에이터의 스테이터 (1014) 는 협지 부재 (1332) 의 선단 부분 (1332a) 에 의해 협지 고정된다.
이와 같은 U 자형의 협지 부재 (1332) 를 사용하여 지지 기구 (1330) 를 구성해도, 실시형태 1 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4.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4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에 대해 도 4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중간 부재 (1033) 는 단일의 기둥 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었다. 이에 대하여, 실시형태 4 에 관련된 지지 기구 (1430) 에서는, 중간 부재 (1433) 는 2 개의 기둥 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2 개의 기둥 형상 부재로 구성되는 중간 부재 (1433) 를 사용하여 지지 기구 (1430) 를 구성해도, 실시형태 1 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중간 부재 (1433) 를 구성하는 기둥 형상 부재의 수는 3 개 이상이어도 된다.
실시형태 5.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5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에 대해 도 5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기저 부재 (1031) 는 단일의 기둥 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었다. 이에 대하여, 실시형태 5 에 관련된 지지 기구 (1530) 에서는, 기저 부재 (1531) 는 2 개의 기둥 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2 개의 기둥 형상 부재로 구성되는 기저 부재 (1531) 를 사용하여 지지 기구 (1530) 를 구성해도, 실시형태 1 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저 부재 (1531) 를 구성하는 기둥 형상 부재의 수는 3 개 이상이어도 된다.
실시형태 6.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6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의 구성에 대해 도 6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먼저 실시형태 6 에 있어서의 진동 액츄에이터 (1610) 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진동 액츄에이터 (1610) 의 스테이터 (1614) 는, Z 축 방향의 종진동을 발생시키는 제 1 압전 소자 (1013a) 및 Y 축 방향의 휨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 2 압전 소자 (1013b) 에 추가하여, X 축 방향의 휨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 3 압전 소자 (1613c) 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진동 액츄에이터 (1610) 의 제 1 ~ 제 3 압전 소자 중 어느 2 개를 선택하여 위상차 90 도의 교류 전압을 각각 인가하면, 스테이터 (1614) 가 진동하여 로터 (1016) 가 X, Y, Z 축 중 어느 둘레로 회전한다.
상기와 같은 Z 축 방향의 종진동 및 Y 축 방향의 휨 진동에 추가하여 X 축 방향의 휨 진동도 발생시키는 진동 액츄에이터 (1610) 에 대응하기 위해, 실시형태 6 에 관련된 지지 기구 (1630) 는,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コ 형상 협지 부재 (1032) 대신에, 4 개로 나뉘어져 +Z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고, 추가로 +Z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협지 부재 (1632) 를 사용하여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협지 부재 (1632) 를 YZ 평면에서 절단한 수직 단면 및 ZX 평면에서 절단한 수직 단면은, 각각 +Z 축 방향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또한, 협지 부재 (1632) 는 지지 기구 (1630) 의 중심축 (O) 에 대하여 대칭인 형상 (중심축 (O) 의 둘레로 90 도 회전시켰을 때에 원래의 협지 부재 (1632) 에 겹쳐지는 4 회 대칭인 형상) 이다. 그리고, 진동 액츄에이터 (1610) 의 스테이터 (1614) 는 협지 부재 (1632) 의 선단 부분 (1632a) 에 의해 협지 고정되고, 협지 부재 (1632) 의 기단 부분 (1632b) 과 진동 액츄에이터 (1610) 의 스테이터 (1614) 는 떨어져 있다. 또한, 제 2 압전 소자 (1013b) 에 의한 Y 축 방향의 휨 진동에 대응하기 위해, 협지 부재 (1632) 와 진동 액츄에이터 (1610) 의 접촉면 (1640a) 이 Y 축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됨과 함께, 제 3 압전 소자 (1613c) 에 의한 X 축 방향의 휨 진동에 대응하기 위해, 접촉면 (1640b) 이 X 축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4 개로 나뉘어진 협지 부재 (1632) 를 사용하여 지지 기구 (1630) 를 구성함으로써, Z 축 방향의 종진동, Y 축 방향의 휨 진동 및 X 축 방향의 휨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액츄에이터 (1610) 의 경우에도, 실시형태 1 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7.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7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에 대해 도 7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6 의 참조 부호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형태 7 에 관련된 지지 기구 (1730) 는, 실시형태 6 에 있어서의 4 개로 나뉘어진 협지 부재 (1632) 대신에,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협지 부재 (1732) 를 사용하여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협지 부재 (1732) 를 Z 축을 포함하는 임의의 평면에서 절단한 수직 단면은 +Z 축 방향을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진동 액츄에이터의 스테이터 (1614) 는 협지 부재 (1732) 의 선단 부분 (1732a) 에 의해 협지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협지 부재 (1732) 를 사용하여 지지 기구 (1730) 를 구성해도, 실시형태 6 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협지 부재 (1732) 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이면 되고, 바닥이 있는 사각통 등의 바닥이 있는 다각통 형상이어도 된다.
그 밖의 실시형태.
실시형태 1 ~ 7 에 있어서, 진동 액츄에이터 (1010, 1610) 의 스테이터 (1014, 1614) 는 복수의 압전 소자 (1013a, 1013b, 1613c) 를 포함하고 있었지만, 1 개의 압전 소자만을 포함하는 스테이터를 구비하는 진동 액츄에이터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1 ~ 7 에 관련된 지지 기구를 사용해도 된다.
실시형태 1 ~ 7 에 있어서, 기저 부재 (1031, 1531) 는 사각 기둥 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었지만, 원기둥 형상 부재, 삼각 기둥 등의 다각 기둥 형상 부재, 원뿔 형상 부재, 다각뿔 형상 부재 또는 구 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또한, 장착 대상 부재의 형상에 맞춰 더욱 복잡한 형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실시형태 1 ~ 5 에 있어서, 협지 부재 (1032, 1232, 1332) 는 2 개로 나뉘어지고, 실시형태 6 에 있어서, 협지 부재 (1632) 는 4 개로 나뉘어져 있었지만, 이들은 3 개, 5 개 또는 8 개 등으로 나뉘어져 있어도 된다.
실시형태 1 ~ 7 에 있어서, 협지 부재 (1032, 1232, 1332, 1632, 1732) 는 중심축 (O) 에 대하여 대칭인 형상이었지만, 진동 액츄에이터로의 장착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이들을 중심축 (O) 에 대하여 비대칭인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중심축 (O) 의 방향은 Z 축 방향과 비평행 관계여도 된다.
실시형태 1 ~ 7 에 있어서, 협지 부재 (1032, 1232, 1332, 1632, 1732) 의 두께, 길이, 단면 형상은 도 1 ~ 도 7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정하였지만, 이들에 변화를 갖게 해도 된다.
실시형태 1 ~ 7 에 있어서, 중간 부재 (1033, 1433) 는 사각 기둥 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었지만, 원기둥 형상 부재 또는 삼각 기둥 등의 다각 기둥 형상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실시형태 1 ~ 7 에 있어서, 기저 부재 (1031, 1531) 에 구멍을 뚫어도 된다.
실시형태 1 ~ 7 에 있어서, 기저 부재 (1031, 1531), 협지 부재 (1032, 1232, 1332, 1632, 1732) 및 중간 부재 (1033, 1433) 는 각각 별도의 부재로 해도 되고,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실시형태 1 ~ 7 에 있어서, 진동 액츄에이터와 지지 기구의 접촉면을 고정시키는 수단으로는, 볼트 및 너트, 접착, 용접 등의 다양한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 7 에 있어서, 지지 기구의 상기 서술한 효과는, 지지 기구의 재질에는 그다지 의존하지 않고, 주로 그 형상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지지 기구의 재질로는, 철,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등의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진동 액츄에이터의 기부 블록과 동일한 재질로 해도 된다. 또한, 진동 액츄에이터의 기부 블록과 지지 기구를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실시형태 1 ~ 7 및 상기 서술한 그 밖의 실시형태를 조합해도 된다.
실시형태 8.
본 발명의 실시형태 8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의 구성에 대해 도 8 및 도 9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먼저 실시형태 8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 (2010) 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8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진동 액츄에이터 (2010) 는, 기부 블록 (2011) 과 고정자 (2012) 사이에 진동자 (2013) 가 협지되어 있고, 이들에 의해 대략 원기둥 형상의 외형을 갖는 스테이터 (2014) 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자 (2012) 에는, 진동자 (2013) 에 접하는 면과는 반대측에 오목부 (2015)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 (2015) 내에 구체 형상 로터 (2016) 의 거의 하반부가 수용되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고정자 (2012) 의 상부에는, 지지 부재 (2017) 가 배치되어 있다. 이 지지 부재 (2017) 는, 고정자 (2012) 의 상면 상에 고정되는 고리형부 (2018) 와, 고리형부 (2018) 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역 L 자형의 앵글부 (2019) 를 갖고, 앵글부 (2019) 의 선단에 예압부 (2020) 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기부 블록 (2011) 에서 고정자 (2012) 를 향하는 스테이터 (2014) 의 중심축을 Z 축으로 규정하고, Z 축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X 축이, Z 축 및 X 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Y 축이 각각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예압부 (2020) 는 로터 (2016) 의 +Z 축 방향의 최고점인 정점 부근에 접촉되어 있다. 지지 부재 (2017) 의 앵글부 (2019) 는 탄성을 갖고, 이로써 예압부 (2020) 가 로터 (2016) 에 가압되어, 로터 (2016) 에 ?Z 축 방향의 예압을 부여하고 있다.
진동자 (2013) 는 고정자 (2012) 에 초음파의 진동을 발생시켜 로터 (2016) 를 X 축 둘레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Z 축 방향의 종진동을 발생시키는 제 1 압전 소자 (2013a) 및 Y 축 방향의 휨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 2 압전 소자 (2013b) 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설계 단계에 있어서, Z 축 방향의 종진동 및 Y 축 방향의 휨 진동 중 적어도 1 개의 진동 마디가, 진동자 (2013) 와 기부 블록 (2011) 사이 부근에 위치하도록 조정되어 있고, 그 지점에 플랜지 형상의 지지 기구 (2030) 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Z 축 방향의 종진동 및 Y 축 방향의 휨 진동의 마디 위치가 거의 일치하도록 조정되고, 그 지점에 지지 기구 (2030) 가 배치되어 있으면 더욱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지지 기구 (2030) 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지지 기구 (2030) 는 원판 형상의 형상을 갖는 기부 (2030a) 와, 기부 (2030a) 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4 개의 박판 형상 아암부 (2030b ~ 2030e) 로 구성되어 있다.
기부 (2030a) 의 중심에는 볼트 관통공이 뚫려져 있고, 기부 (2030a) 는 진동 액츄에이터 (2010) 의 진동자 (2013) 와 기부 블록 (2011) 사이에 협지되고, 도시되지 않은 볼트에 의해 진동 액츄에이터 (2010) 에 고정되어 있다.
아암부 (2030b 및 2030c) 는, 기부 (2030a) 의 일단으로부터 그 외주를 따라 각각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아암부 (2030d 및 2030e) 는, 기부 (2030a) 의 타단으로부터 그 외주를 따라 각각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아암부 (2030b ~ 2030e) 에 있어서의 기부 (2030a) 와 연결되는 연결 부분 (A1, B1) 은, 기부 (2030a) 의 중심과 아암부 (2030b ~ 2030e) 의 장착 부분 (2032) (도시되지 않은 장착 대상 부재에 고정되는 부분) 을 연결하는 직선 상을 피하는 위치에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기부 (2030a) 와 아암부 (2030b ~ 2030e) 사이에는 슬릿 (2031) 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기부 (2030a) 의 중심과 아암부 (2030b ~ 2030e) 의 장착 부분 (2032) 을 연결하는 직선 상을 횡단하고 있다. 또한, 아암부 (2030b ~ 2030e) 의 장착 부분 (2032) 에는 도시되지 않은 장착 대상 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 관통공이 뚫려져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 8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이제 진동 액츄에이터 (2010) 의 스테이터 (2014) 에 있어서의 제 1 압전 소자 (2013a) 와 제 2 압전 소자 (2013b) 에 위상차 90 도의 교류 전압을 각각 인가하면, 제 1 압전 소자 (2013a) 에 의한 Z 축 방향의 종진동과 제 2 압전 소자 (2013b) 에 의한 Y 축 방향의 휨 진동이 조합되어 로터 (2016) 와 접촉하는 고정자 (2012) 에 YZ 면내의 타원 운동이 발생하고, 로터 (2016) 가 X 축 둘레로 회전한다. 이 때, 지지 기구 (2030) 에는 슬릿 (2031)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지지 기구 (2030) 가 배치되어 있는 지점에 Z 축 방향의 종진동 및 Y 축 방향의 휨 진동 중 어느 진동의 마디가 위치하는 경우에도, 그 진동에 대하여 아암부 (2030b ~ 2030e) 는 충분히 휠 수 있다.
특히, 지지 기구 (2030) 가 배치되어 있는 지점에 Z 축 방향의 종진동 및 Y 축 방향의 휨 진동의 마디 위치가 거의 일치하도록 조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Z 축 방향의 종진동 및 Y 축 방향의 휨 진동의 양방에 대하여 아암부 (2030b ~ 2030e) 는 충분히 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8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에 의하면, 지지 기구 (2030) 에는 슬릿 (2031)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 액츄에이터 (2010) 가 진동할 때, Z 축 방향의 종진동 및 Y 축 방향의 휨 진동 중 적어도 1 개의 진동 (지지 기구 (2030) 가 배치되어 있는 지점에 진동 마디가 위치하는 진동) 에 대하여 아암부 (2030b ~ 2030e) 는 충분히 휠 수 있다. 이로써, 지지 기구 (2030) 의 아암부 (2030b ~ 2030e) 의 장착 부분 (2032) 을 도시되지 않은 장착 대상 부재에 고정시켰다 하더라도, 진동 액츄에이터 (2010) 의 진동에 미치는 영향이 억제된다.
또한, 진동 액츄에이터 (2010) 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을 거의 갖지 않아도, 아암부 (2030b ~ 2030e) 의 길이 (L1) 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즈도 작아 공간 절약이 된다.
실시형태 9.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9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에 대해 도 10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후의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도 8 및 도 9 의 참조 부호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형태 9 에 관련된 지지 기구 (2230) 는, 원판 형상의 형상을 갖는 기부 (2230a) 와, 기부 (2230a) 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4 개의 박판 형상 아암부 (2230b ~ 2230e) 로 구성되어 있다.
아암부 (2230b 및 2230c) 는, 기부 (2230a) 의 일단으로부터 그 접선 방향을 따라 각각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아암부 (2230d 및 2230e) 는, 기부 (2230a) 의 타단으로부터 그 접선 방향을 따라 각각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아암부 (2230b ~ 2230e) 에 있어서의 기부 (2230a) 와 연결되는 연결 부분 (A2, B2) 은, 기부 (2230a) 의 중심과 아암부 (2230b ~ 2230e) 의 장착 부분 (2232) 을 연결하는 직선 상을 피하는 위치에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기부 (2230a) 와 아암부 (2230b ~ 2230e) 사이에는 슬릿 (2231) 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기부 (2230a) 의 중심과 아암부 (2230b ~ 2230e) 의 장착 부분 (2232) 을 연결하는 직선 상을 횡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지 기구 (2230) 를 사용해도, 슬릿 (2231) 에 의해 아암부 (2230b ~ 2230e) 가 충분히 휠 수 있음과 함께, 그 길이 (L2) 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형태 8 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10.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0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에 대해 도 11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0 에 관련된 지지 기구 (2330) 는, 원판 형상의 형상을 갖는 기부 (2330a) 와, 기부 (2330a) 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6 개의 박판 형상 아암부 (2330b ~ 2330g) 로 구성되어 있다.
아암부 (2330b 및 2330c) 는 기부 (2330a) 로부터 그 접선 방향을 따라 각각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아암부 (2330d 및 2330e) 도, 기부 (2330a) 로부터 그 접선 방향을 따라 각각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아암부 (2330f 및 2330g) 도, 기부 (2330a) 로부터 그 접선 방향을 따라 각각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아암부 (2330b ~ 2330g) 에 있어서의 기부 (2330a) 와 연결되는 연결 부분 (A3, B3, C3) 은, 기부 (2330a) 의 중심과 아암부 (2330b ~ 2330g) 의 장착 부분 (2332) 을 연결하는 직선 상을 피하는 위치에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기부 (2330a) 와 아암부 (2330b ~ 2330g) 사이에는 슬릿 (2331) 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기부 (2330a) 의 중심과 아암부 (2330b ~ 2330g) 의 장착 부분 (2332) 을 연결하는 직선 상을 횡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지 기구 (2330) 를 사용해도, 슬릿 (2331) 에 의해 아암부 (2330b ~ 2330g) 가 충분히 휠 수 있음과 함께, 그 길이 (L3) 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형태 8 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11.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1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에 대해 도 12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1 에 관련된 지지 기구 (2430) 는, 원판 형상의 형상을 갖는 기부 (2430a) 와, 기부 (2430a) 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3 개의 박판 형상 아암부 (2430b ~ 2430d) 로 구성되어 있다.
아암부 (2430b ~ 2430d) 는, 기부 (2430a) 로부터 그 외주를 따라 각각 반시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아암부 (2430b ~ 2430d) 에 있어서의 기부 (2430a) 와 연결되는 연결 부분 (A4, B4, C4) 은, 기부 (2430a) 의 중심과 아암부 (2430b ~ 2430d) 의 장착 부분 (2432) 을 연결하는 직선 상을 피하는 위치에 균등하게 배치되어 있다.
기부 (2430a) 와 아암부 (2430b ~ 2430d) 사이에는 슬릿 (2431) 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기부 (2430a) 의 중심과 아암부 (2430b ~ 2430d) 의 장착 부분 (2432) 을 연결하는 직선 상을 횡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지 기구 (2430) 를 사용해도, 슬릿 (2431) 에 의해 아암부 (2430b ~ 2430d) 가 충분히 휠 수 있음과 함께, 그 길이 (L4) 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실시형태 8 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실시형태 8 ~ 11 에 있어서, 로터 (2016) 가 X 축의 둘레로 회전하는 진동 액츄에이터 (이른바 초음파 모터) 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그 밖의 진동 액츄에이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 8 ~ 11 에 관련된 지지 기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Z 축 방향의 종진동, X 축 방향의 휨 진동 및 Y 축 방향의 휨 진동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를 구비하는 진동 액츄에이터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8 ~ 11 에 관련된 지지 기구를 사용해도 된다.
실시형태 8 ~ 11 에 있어서, 진동 액츄에이터의 Z 축 방향의 종진동 및 Y 축 방향의 휨 진동의 마디 위치가 상이한 경우나, 고차의 진동 모드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진동의 마디가 복수 지점에 존재하게 된다. 그러한 경우에는, 지지 기구 (2030, 2230, 2330, 2430) 를 진동 액츄에이터의 복수의 진동 마디 위치에 각각 배치해도 된다.
실시형태 8 및 9 에 있어서 지지 기구 (2030, 2230) 의 아암부의 수는 2 개이고, 실시형태 10 에 있어서 지지 기구 (2330) 의 아암부의 수는 6 개이고, 실시형태 11 에 있어서 지지 기구 (2430) 의 아암부의 수는 3 개였지만, 더 많은 수의 아암부를 가져도 된다.
실시형태 8 및 9 에 있어서, 진동 액츄에이터 (2010) 의 제 2 압전 소자 (2013b) 에 의한 Y 축 방향의 휨 진동에 대응하기 위해, 지지 기구 (2030, 2230) 는, 아암부 (2030b ~ 2030e, 2230b ~ 2230e) 에 있어서의 연결 부분 (A1, A2) 과 연결 부분 (B1, B2) 이 X 축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들을 Y 축과 평행이 되도록 배치해도 된다.
실시형태 8 ~ 11 에 있어서, 지지 기구 (2030, 2230, 2330, 2430) 의 기부 (2030a, 2230a, 2330a, 2430a) 를 진동 액츄에이터 (2010) 에 장착하여 고정시키는 수단으로는, 협지 및 볼트에 의한 고정 이외에도 접착, 용접 등의 다양한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8 ~ 11 에 있어서, 지지 기구 (2030, 2230, 2330, 2430) 의 아암부 (2030b ~ 2030e, 2230b ~ 2230e, 2330b ~ 2330g, 2430b ~ 2430d) 의 장착 부분 (2032, 2232, 2332, 2432) 을 장착 대상 부재에 고정시키는 수단으로는, 볼트에 의한 고정 이외에도 접착, 협지, 용접 등의 다양한 수단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8 ~ 11 에 있어서, 지지 기구 (2030, 2230, 2330, 2430) 의 재질로는, 철, 알루미늄, 스테인리스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진동 액츄에이터 (2010) 의 스테이터 (2014) 의 기부 블록 (2011) 과 동일한 재질로 해도 된다. 또한, 진동 액츄에이터 (2010) 의 스테이터 (2014) 의 기부 블록 (2011) 과 지지 기구 (2030, 2230, 2330, 2430) 를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실시형태 12.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체결 구조에 대해 도 13 ~ 도 15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먼저 실시형태 12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 (3010) 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3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진동 액츄에이터 (3010) 는, 기부 블록 (3011) 과 고정자 (3012) 사이에 진동자 (3013) 가 협지되어 있고, 이들에 의해 대략 원기둥 형상의 외형을 갖는 스테이터 (3014) 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자 (3012) 에는, 진동자 (3013) 에 접하는 면과는 반대측에 오목부 (3015)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오목부 (3015) 내에 구체 형상 로터 (3016) 의 거의 하반부가 수용되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고정자 (3012) 의 상부에는, 지지 부재 (3017) 가 배치되어 있다. 이 지지 부재 (3017) 는, 고정자 (3012) 의 상면 상에 고정되는 고리형부 (3018) 와, 고리형부 (3018) 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역 L 자형의 앵글부 (3019) 를 갖고, 앵글부 (3019) 의 선단에 예압부 (3020)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터 (3014) 의 기부 블록 (3011) 의 외경은 진동자 (3013) 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고, 기부 블록 (3011) 의 바닥부에는, 암나사가 절삭된 탭 구멍 (3011a) 이 스테이터 (3014) 의 중심축 (O) 둘레의 동일 원주 상에 균등하게 4 지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기부 블록 (3011) 에서 고정자 (3012) 를 향하는 스테이터 (3014) 의 중심축 (O) 을 Z 축으로 규정하고, Z 축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X 축이, Z 축 및 X 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Y 축이 각각 연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예압부 (3020) 는 로터 (3016) 의 +Z 축 방향의 최고점인 정점 부근에 접촉되어 있다. 지지 부재 (3017) 의 앵글부 (3019) 는 탄성을 갖고, 이로써 예압부 (3020) 가 로터 (3016) 에 가압되어, 로터 (3016) 에 ?Z 축 방향의 예압을 부여하고 있다.
진동자 (3013) 는 고정자 (3012) 에 초음파의 진동을 발생시켜 로터 (3016) 를 X 축 둘레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Z 축 방향의 종진동을 발생시키는 제 1 압전 소자 (3013a) 및 Y 축 방향의 휨 진동을 발생시키는 제 2 압전 소자 (3013b) 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 (3010) 를 장착 대상 부재에 체결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 및 도 1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판 형상의 고정판 (3030) 에는, 볼트 (3040) 의 축부 (3040a) 를 관통시키기 위한 볼트 관통공 (3031) 이 스테이터 (3014) 의 중심축 (O) 둘레의 동일 원주 상에 균등하게 4 지점 형성되어 있고, 볼트 (3040) 의 축부 (3040a) 선단에는 수나사가 절삭되어 있다. 그리고, 4 개의 볼트 (3040) 의 축부 (3040a) 가, 각각 고정판 (3030) 의 볼트 관통공 (3031) 을 관통하여 진동 액츄에이터 (3010) 의 기부 블록 (3011) 의 탭 구멍 (3011a) 에 나선 결합됨으로써, 진동 액츄에이터 (3010) 의 기부 블록 (3011) 의 바닥부가 고정판 (3030) 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기부 블록 (3011) 과 고정판 (3030) 사이에는, 원판 형상이고 내부가 원형으로 도려내진 박판 형상 (즉 시트 형상) 의 진동 절연 시트 (3050) 가 협지되고, 고정판 (3030) 과 볼트 (3040) 의 헤드부 (3040b) 사이에는, 동일하게 원판 형상이고 내부가 원형으로 도려내진 박판 형상의 진동 절연 시트 (3060) 가 협지되어 있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체결 구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이제 진동 액츄에이터 (3010) 의 스테이터 (3014) 에 있어서의 제 1 압전 소자 (3013a) 와 제 2 압전 소자 (3013b) 에 위상차 90 도의 교류 전압을 각각 인가하면, 제 1 압전 소자 (3013a) 에 의한 Z 축 방향의 종진동과 제 2 압전 소자 (3013b) 에 의한 Y 축 방향의 휨 진동이 조합되어 로터 (3016) 와 접촉하는 고정자 (3012) 에 YZ 면내의 타원 운동이 발생하고, 로터 (3016) 가 X 축 둘레로 회전한다. 이 때, 진동 액츄에이터 (3010) 의 진동은, 진동 절연 시트 (3050, 3060) 에 있어서 감쇠됨으로써 절연되기 때문에, 고정판 (3030) 은 거의 진동하지 않는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체결 구조에 의하면, 진동 액츄에이터 (3010) 가 진동할 때, 진동 절연 시트 (3050, 3060) 에 의해 진동이 절연되기 때문에, 고정판 (3030) 은 거의 진동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고정판 (3030) 에 체결하여 고정시켰을 때의 진동 액츄에이터 (3010) 의 진동에 미치는 영향이 억제된다.
또한, 진동 액츄에이터 (3010) 의 기부 블록 (3011) 은 볼트 (3040) 에 의해 고정판 (3030) 에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체결력을 갖는다. 그 때문에, 진동 액츄에이터 (3010) 의 진동 및 외력에 대하여 높은 강성을 갖는다.
또한, 고정판 (3030) 을 포함시킨 진동계를 고려하여 진동 액츄에이터 (3010) 를 설계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진동 액츄에이터 (3010) 의 설계 자유도가 제한을 받지는 않는다.
또한, 특별한 지지 기구 등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작아 공간 절약이 된다.
또한, 진동 액츄에이터 (3010) 의 기부 블록 (3011) 의 외경은 진동자 (3013) 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부 블록 (3011) 의 변위는 로터 (3016) 와 접촉하는 부분의 변위에 비해 작아진다. 이 점도 고정판 (3030) 에 체결하여 고정시켰을 때의 진동 액츄에이터 (3010) 의 진동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하는 것에 기여하고 있다.
실시형태 1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3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체결 구조에 대해 도 16 및 도 17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후의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도 13 ~ 도 15 의 참조 부호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이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형태 12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체결 구조에서는, 진동 액츄에이터의 기부 블록의 바닥부가 장착 대상 부재에 체결되어 있었다. 이에 대하여, 실시형태 13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체결 구조에서는, 진동 액츄에이터의 기부 블록의 측부가 장착 대상 부재에 체결된다.
상세하게는, 도 16 및 도 17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진동 액츄에이터 (3210) 에 있어서, 스테이터 (3214) 의 기부 블록 (3211) 의 측부에는 탭 구멍 (3211a) 이 스테이터 (3214) 의 중심축 (O) 둘레에 균등하게 4 지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가 개구된 상자 형상 부재 (3230) 가 진동 액츄에이터 (3210) 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자 형상 부재 (3230) 각 변의 중앙부에는 볼트 관통공 (3231)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4 개의 볼트 (3240) 의 축부 (3240a) 가 각각 상자 형상 부재 (3230) 의 볼트 관통공 (3231) 을 관통하여 진동 액츄에이터 (3210) 의 기부 블록 (3211) 의 탭 구멍 (3211a) 에 나선 결합됨으로써, 진동 액츄에이터 (3210) 의 기부 블록 (3211) 의 측부가 상자 형상 부재 (3230) 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기부 블록 (3211) 과 상자 형상 부재 (3230) 사이에는 진동 절연 시트 (3250) 가 협지되고, 상자 형상 부재 (3230) 와 볼트 (3240) 의 헤드부 (3240b) 사이에는 진동 절연 시트 (3260) 가 협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진동 액츄에이터의 체결 구조를 사용해도, 실시형태 12 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형태 14.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14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체결 구조에 대해 도 18 및 도 19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2 및 13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체결 구조에서는, 볼트가 장착 대상 부재를 관통하여 진동 액츄에이터의 기부 블록의 바닥부 또는 측부에 형성된 탭 구멍에 나선 결합됨으로써, 진동 액츄에이터가 장착 대상 부재에 체결되어 있었다. 이에 대하여, 실시형태 14 에 관련된 진동 액츄에이터의 체결 구조에서는, 볼트가 장착 대상 부재 및 진동 액츄에이터의 기부 블록의 측부를 관통하여 너트와 나선 결합됨으로써, 진동 액츄에이터가 장착 대상 부재에 체결된다.
상세하게는, 도 18 및 도 19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진동 액츄에이터 (3310) 에 있어서, 스테이터 (3314) 의 기부 블록 (3311) 의 측부에는 Y 축 방향을 따라 볼트 관통공 (3311a)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하가 개구된 상자 형상 부재 (3330) 가 진동 액츄에이터 (3310) 의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자 형상 부재 (3330) 의 Y 축 방향에 수직인 대향하는 2 변의 중앙부에는, 볼트 관통공 (3331a, 3331b)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1 개의 볼트 (3340) 의 축부 (3340a) 가, 상자 형상 부재 (3330) 의 볼트 관통공 (3331a), 진동 액츄에이터 (3310) 의 기부 블록 (3311) 의 볼트 관통공 (3311a), 및 상자 형상 부재 (3330) 의 볼트 관통공 (3331b) 을 관통하여 너트 (3370) 와 나선 결합됨으로써, 진동 액츄에이터 (3310) 의 기부 블록 (3311) 이 상자 형상 부재 (3330) 에 체결되어 있다. 또한, 기부 블록 (3311) 과 상자 형상 부재 (3330) 사이에는 진동 절연 시트 (3350) 가 협지되고, 상자 형상 부재 (3330) 와 볼트 (3340) 의 헤드부 (3340b) 및 너트 (3370) 사이에는 진동 절연 시트 (3360) 가 협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진동 액츄에이터의 체결 구조에서는, 진동 액츄에이터 (3310) 의 기부 블록 (3311) 과 볼트 (3340) 및 너트 (3370) 가 직접 나선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진동 액츄에이터 (3310) 가 진동할 때에 볼트 (3340) 및 너트 (3370) 를 포함하지 않는 진동계가 된다. 그 때문에, 볼트 (3340) 및 너트 (3370) 가 진동 액츄에이터 (3310) 의 진동에 미치는 영향이 억제된다. 또한, 진동 액츄에이터 (3310) 의 기부 블록 (3311) 과 체결 부재 사이에서 진동 에너지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그 밖의 실시형태.
실시형태 12 ~ 14 에 있어서, 로터 (3016) 가 X 축의 둘레로 회전하는 진동 액츄에이터 (이른바 초음파 모터) 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그 밖의 진동 액츄에이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 ~ 14 에 관련된 체결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Z 축 방향의 종진동, X 축 방향의 휨 진동 및 Y 축 방향의 휨 진동을 발생시키는 스테이터를 구비하는 진동 액츄에이터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 ~ 14 에 관련된 체결 구조를 사용해도 된다.
실시형태 12 ~ 14 에 있어서, 진동 액츄에이터 (3010, 3210, 3310) 는 복수의 압전 소자 (3013a ~ 3013b) 를 포함하는 스테이터 (3014, 3214, 3314) 를 구비하고 있었지만, 1 개의 압전 소자만을 포함하는 스테이터를 구비하는 진동 액츄에이터에 대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 ~ 14 에 관련된 체결 구조를 사용해도 된다.
실시형태 12 ~ 14 에 있어서, 진동 액츄에이터 (3010, 3210, 3310) 에 있어서의 스테이터 (3014, 3214, 3314) 의 기부 블록 (3011, 3211, 3311) 의 외경은 진동자 (3013) 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동일하게 또는 작게 형성되어도 된다.
실시형태 12 ~ 14 에 있어서, 진동 절연 시트 (3050, 3250, 3350, 3060, 3260, 3360) 의 직경은, 도 14, 도 16, 도 18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볼트 (3040, 3240, 3340) 의 헤드부 (3040b, 3240b, 3340b) 의 직경보다 작지만, 그것보다 커도 된다. 또한, 진동 절연 시트 (3050, 3250, 3350, 3060, 3260, 3360) 의 형상은 장방형 형상 등의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실시형태 12 ~ 14 에 있어서, 진동 절연 시트 (3050, 3250, 3350, 3060, 3260, 3360) 의 재질로는 고무, 수지, 펠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12 ~ 14 에 있어서, 진동 절연 시트 (3060, 3260, 3360) 는 생략해도 된다.
실시형태 12 및 13 에 있어서, 체결 부재는 볼트 (3040, 3240) 이외에 핀이나 리벳 등이어도 된다.
실시형태 12 ~ 14 를 조합하여, 진동 액츄에이터의 기부 블록의 바닥부 및 측부가 모두 장착 대상 부재에 체결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실시형태 13 에 있어서의 상자 형상 부재 (3230) 의 바닥부에 직사각형판을 배치하고, 진동 액츄에이터 (3210) 의 기부 블록 (3211) 의 바닥부가 직사각형판에 체결되도록 해도 된다.

Claims (25)

  1. 로터 및 스테이터를 구비하는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로서,
    상기 지지 기구는, 기저 부재와, 상기 기저 부재의 일 단측 (端側) 에 배치됨과 함께 상기 기저 부재에서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를 향하여 연장되는 소정의 방향을 향하여 개구되는 수직 단면을 갖는 협지 부재로 구성되는 음차형의 형상이고,
    상기 협지 부재가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의 상기 스테이터를 협지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의 상기 협지 부재는, 적어도 2 개 이상으로 나뉘어져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의 상기 협지 부재는, 적어도 2 개 이상으로 나뉘어져 상기 소정의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연장되고, 추가로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의 상기 협지 부재는, 적어도 2 개 이상으로 나뉘어져 상기 소정의 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며 연장되고, 추가로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의 상기 협지 부재는, 적어도 2 개 이상으로 나뉘어져 만곡하면서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의 상기 협지 부재는, 바닥이 있는 통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의 상기 기저 부재와 상기 협지 부재 사이에는 중간 부재가 배치되고, 상기 중간 부재의 상기 기저 부재와 접하는 면의 치수는, 상기 기저 부재의 상기 일 단측의 면의 치수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의 상기 협지 부재의 선단 부분에 의해,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의 상기 스테이터가 협지 고정되고,
    상기 지지 기구의 상기 협지 부재의 기단 (基端) 부분과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의 상기 스테이터는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구의 상기 협지 부재는, 상기 지지 기구의 중심축에 대하여 대칭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액츄에이터의 상기 스테이터는, 복수의 압전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KR1020100011438A 2009-02-09 2010-02-08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 및 체결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11084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27603 2009-02-09
JP2009027608A JP5316046B2 (ja) 2009-02-09 2009-02-09 振動アクチュエータの支持機構
JPJP-P-2009-027608 2009-02-09
JP2009027603A JP5316045B2 (ja) 2009-02-09 2009-02-09 振動アクチュエータの支持機構
JPJP-P-2009-041275 2009-02-24
JP2009041275A JP5316075B2 (ja) 2009-02-24 2009-02-24 振動アクチュエータの締結構造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497A Division KR20110092244A (ko) 2009-02-09 2011-06-24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 및 체결 구조
KR1020110061496A Division KR101166006B1 (ko) 2009-02-09 2011-06-24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 및 체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1119A KR20100091119A (ko) 2010-08-18
KR101108456B1 true KR101108456B1 (ko) 2012-01-31

Family

ID=4275644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1438A Expired - Fee Related KR101108456B1 (ko) 2009-02-09 2010-02-08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 및 체결 구조
KR1020110061497A Abandoned KR20110092244A (ko) 2009-02-09 2011-06-24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 및 체결 구조
KR1020110061496A Expired - Fee Related KR101166006B1 (ko) 2009-02-09 2011-06-24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 및 체결 구조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497A Abandoned KR20110092244A (ko) 2009-02-09 2011-06-24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 및 체결 구조
KR1020110061496A Expired - Fee Related KR101166006B1 (ko) 2009-02-09 2011-06-24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 및 체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11084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95293B (zh) * 2013-11-21 2015-06-24 河北大学 双环型压电超声电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4244A (ja) * 2003-08-29 2005-03-24 Yutaka Ishizuka 振動アクチュエー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74244A (ja) * 2003-08-29 2005-03-24 Yutaka Ishizuka 振動アクチュエ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2243A (ko) 2011-08-17
KR101166006B1 (ko) 2012-07-16
KR20100091119A (ko) 2010-08-18
KR20110092244A (ko) 201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1619B2 (en) Vibration type actuator, vibrator, and vibrator manufacturing method
JP4027090B2 (ja) 振動体および振動波駆動装置
US11356040B2 (en) Piezo actuator device and motor
WO2007069682A1 (ja) 超音波アクチュエータ
KR101108456B1 (ko) 진동 액츄에이터의 지지 기구 및 체결 구조
CN101227157A (zh) 采用兰杰文振子结构的压电螺纹驱动器
US5581143A (en) Twist vibrator
JP5583528B2 (ja) 超音波振動ユニットと超音波圧入装置と超音波圧入方法
US20140077658A1 (en) Piezoelectric motor with efficient transfer of energy
JP2008312308A (ja) 振動型アクチュエータ
JP5316045B2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の支持機構
JP2008022662A (ja) 超音波モータ駆動装置
JP5724452B2 (ja) 圧電発電装置
JP5316046B2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の支持機構
JPH0150195B2 (ko)
JP5316075B2 (ja) 振動アクチュエータの締結構造
JP2021109747A (ja) 回転振動機及び振動搬送装置
JP4624750B2 (ja) 超音波複合振動装置
JP2008113536A (ja) ねじりー拡縮振動変換装置
US7019437B2 (en) High-efficiency piezoelectric single-phase uni-polar ultrasonic actuators with a notched PZT back disc
JP4626292B2 (ja) 超音波ホーンとこれを用いたボンディング装置
JP2001145376A (ja) 振動波駆動装置
JP4229379B2 (ja) 縦−ねじり振動変換子およびねじり振動子
JP2004289894A (ja) 超音波モータ
JP6005573B2 (ja) 弾性連結具及び振動発電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62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