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8001B1 - Grass bloc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Google Patents
Grass bloc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08001B1 KR101108001B1 KR1020090048106A KR20090048106A KR101108001B1 KR 101108001 B1 KR101108001 B1 KR 101108001B1 KR 1020090048106 A KR1020090048106 A KR 1020090048106A KR 20090048106 A KR20090048106 A KR 20090048106A KR 101108001 B1 KR101108001 B1 KR 1011080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grass
- culture
- manufacturing
- ste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9/00—Special pavings; Pavings for special parts of roads or airfields
- E01C9/004—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allowing vegetation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완전하게 잔디로 이루어지면서도 다양한 형상의 블럭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잔디 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잔디 블럭은, 블럭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가지며, 투수성이 우수한 반정형의 마대 블럭; 상기 마대 블럭의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배양토; 및 상기 배양토에 뿌리를 두고, 상기 마대 블럭의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으로 잎과 줄기가 배치되는 잔디;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ss block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are completely made of grass and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of blocks, and the grass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space therein and is made of a block shape and has a pitcher. Semi-formed hemp block with excellent properties; Cultured soil fill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stem block; And a grass having roots in the culture soil and having leaves and stems disposed on the remaining surfaces except for the bottom of the stem block.
블럭, 잔디 블럭, 제조방법, 시공 방법 Block, grass block, manufacturing method, construction method
Description
본 발명은 잔디 블럭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완전하게 잔디로 이루어지면서도 다양한 형상의 블럭 형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잔디 블럭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ss block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grass block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is made of completely grass, but can be produced in various shapes.
차도 주변에 마련된 인도에는 대부분 콘크리트로 제작된 보도 블럭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보도 블럭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지만 삭막한 도심의 녹지 환경 조성에는 도움이 되지 못하며 콘크리트로 제작되기 때문에 파손되기 쉬운 문제점도 있다. Sidewalks near the driveways have mostly sidewalk blocks made of concrete. These sidewalk blocks are produced in a variety of forms, but it does not help to create a green environment in a dull urban area, and because of being made of concrete, there is also a problem that is easy to break.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콘크리트 블럭 또는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진 구조물에 일정 두께의 배양층을 형성한 후 잔디를 파종 또는 모종하는 방식으로 잔디 블럭을 제작하는 기술들이 다수 개시되어 있다. (예 : 한국 특허 제337712호, 한국 특허 제314544호 등)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number of techniques for producing grass blocks are disclosed in such a manner as to seed or seed the grass after forming a culture layer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on a structure made of a concrete block or a plastic resin. (E.g. Korean Patent No. 337712, Korean Patent No. 314544, etc.)
그러나 이러한 잔디 블럭은 콘크리트 블럭이나 플라스틱 수지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친환경적이지 못하며 설치후에 일반 보도 블럭 처럼 교체나 보수 작업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grass blocks contain concrete blocks or plastic resins, which are not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require replacement or repair work after installa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로 토양과 잔디로 이루어져 시공후에 완전히 지면과 일체화되어 친환경적이면서도 그 형상이 견고하게 유지되어 설치 및 시공이 간편한 잔디 블럭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ss block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is mainly made of soil and grass and completely integrated with the ground after construction to maintain the environment, yet its shape is easy to install and construction.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잔디 블럭은, 블럭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가지며, 투수성이 우수한 반정형의 마대 블럭; 상기 마대 블럭의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배양토; 및 상기 배양토에 뿌리를 두고, 상기 마대 블럭의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으로 잎과 줄기가 배치되는 잔디;를 포함한다. Grass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 is made of a block shape has a constant space therein, the semi-permeable hemp block excellent in water permeability; Cultured soil filled in the interior space of the stem block; And a grass having roots in the culture soil and having leaves and stems disposed on the remaining surfaces except for the bottom of the stem block.
본 발명에서 상기 마대 블럭은 PE(Poly Ethylene)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lock is preferably made of PE (Poly Ethylene) material.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잔디 블럭 제조방법은, 1) 블럭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이 개방된 마대 블럭을 배양 몰드에 준비하는 단계; 2) 배양토에 잔디씨를 혼합하는 단계; 3) 잔디씨가 혼합된 배양토를 상기 마대 블럭 내에 채우는 단계; 4) 상기 마대 블럭의 상면을 덮고, 상기 마대 블럭과 결합하는 단계; 5) 상기 마대 블럭 및 배양토에 주기적으로 물을 주면서 잔디를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And grass block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made of a block shape, the step of preparing a stool block with an open top surface in the culture mold; 2) mixing the grass seed in the culture soil; 3) filling the culture block mixed with grass seed in the stool block; 4) covering the top surface of the spigot block, and engaging with the spigot block; 5) growing grass while periodically watering the spigot block and the culture soil.
본 발명에서 상기 배양 몰드는 하측에 배수구가 형성되고, 투명한 소재로 이 루어지는 것이, 투수성이 우수하면서도 태양광을 잔디에 조사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ulture mold is preferably formed with a drain hole on the lower sid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t is preferable because it can irradiate the sunlight to the grass while excellent water permeability.
그리고 상기 배양 몰드에는 상기 마대 블럭 및 배양토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항온 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And the culture mold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constant temperature device that can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of the bed block and the culture soil.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잔디블럭 제조방법은, 1) 블럭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이 개방된 마대 블럭을 배양 몰드에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마대 블럭 내면 및 마대 블럭 상면에 잔디씨를 부착하는 단계; 3) 배양토를 상기 마대 블럭 내에 채우는 단계; 4) 상기 마대 블럭의 상면을 덮고, 상기 마대 블럭과 결합하는 단계; 5) 상기 마대 블럭 및 배양토에 주기적으로 물을 주면서 잔디를 성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nother grass block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1) made of a block shape, the step of preparing a stool block with an open top surface in the culture mold; 2) attaching grass seeds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tem block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tem block; 3) filling the culture soil into the spigot block; 4) covering the top surface of the spigot block, and engaging with the spigot block; 5) growing grass while periodically watering the spigot block and the culture soil.
상기 2) 단계는, a) 상기 마대 블럭의 내면 및 상면에 경접착성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b) 상기 경접착성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마대 블럭의 내면 및 상면에 잔디씨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tep 2) comprises the steps of: a) applying a hard adhesive adhesive on the inner and upper surfaces of the stem block; b) attaching the grass seed to the inner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tem block to which the hard adhesive adhesive is applied; preferably.
그리고 상기 경접착성 접착제는 곡물 가루로 제조되는 풀인 것이 바람직하다. And the light-adhesive adhesive is preferably a paste made of grain flour.
본 발명의 잔디 블럭은 반정형의 마대 블럭을 제외하고는 주로 토양과 잔디만으로 이루어지므로, 시공 후에 지면 또는 건물 외벽면과 완전히 일체화되어 친환 경적이며 마대 블럭 자체도 수년이 경과한 후에는 부식되어 사라지므로 결과적으로는 토양과 잔디만이 남게 되므로 별도의 철거 작업 등이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The grass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composed of soil and grass except for the semi-formed block, so it is completely integrated with the ground or the exterior wall of the building after construction and is eco-friendly, and the block itself is corroded and disappeared after several years. As a result, only soil and grass remain, so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demolition work.
또한 본 발명의 잔디 블럭은 토양과 잔디만으로 이루어지면서도 잔디 뿌리와 다져진 토양에 의하여 그 형상이 견고하게 유지되어 설치 및 시공이 간편한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the grass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only soil and grass, but the shape is maintained firmly by the grass roots and compacted soil has the advantage of easy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또한 본 발명의 잔디 블럭은 실제 토양과 잔디만으로 이루어지므로 건물 측벽 등에 시공하는 경우 건물 내부의 냉방 또는 보온 효과가 매우 우수한 장점도 있다. In addition, the grass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only the actual soil and grass, so when th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side, etc., there is also an advantage that the cooling or warming effect inside the building is very excellen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잔디 블럭(1)은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대 블럭(3), 배양토(5) 및 잔디(2)로 이루어진다.
먼저 마대 블럭(3)은 마대 재질로 이루어지고 블럭 형상을 가지며 내부에 일정한 공간을 가지며, 투수성이 우수한 반정형의 특성을 가진다. 이 마대 블럭(3)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3a)이 개폐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상면(3a)은 마대 블럭(3) 내부에 배양토(5) 및 잔디씨(6)를 채운 후, 마대 블럭(3)의 상부를 닫는 역할을 한다. First,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마대 블럭(3)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잔디씨(6)가 발아하여 잔디(2) 줄기 및 잎이 잘 통과할 수 있도록 다공성 재질, 예를 들어 마대 재질로 이루어지며, 물이 잘 통과할 수 있는 투수성이 우수한 소재로 이루어져야 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마대 블럭(3) 자체는 매우 플렉서블한 소재로 이루어져서 내부에 아무런 내용물이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어떠한 형태를 가지지 않는 반정형 성질을 가져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 '반정형'이라 함은, 내부 공간이 어떠한 물질로 채워지는 경우에는 특정한 형상을 가지지만, 내부 공간이 비어있는 경우에는 특정한 형상을 가지지 않는 것을 말한다. In addition, the stem block (3) itself is made of a very flexible material and should have a semi-formal property that does not have any form when no contents are filled insid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term “half-shape” refers to a certain shape when the internal space is filled with a material, but does not have a specific shape when the internal space is empty.
본 실시예에 따른 마대 블럭(3)은 일반적으로 마대자루를 제조하는 PE(Poly Ethylene) 재질로 이루어져서, 내부에 배양토(5) 등의 내용물이 채워지지 않는 경우에는 특정한 형상을 가지지 않는다. 그러나 내부에 배양토(5) 등이 채워지는 경우에는 마대 블럭(3)이 특정한 형상을 가지게 된다. 이렇게 배양토(5)가 채워진 상태의 마대 블럭(3) 형상이, 완성된 잔디 블럭(1)의 형상이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마대 블럭(3)의 형상은 일반적인 벽돌 형상에서부터 보도 블럭 또는 경계석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모두 마대 블럭(3)의 형상에 의하여 결정된다. The
다음으로 배양토(5)는 상기 마대 블럭(3)의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토양이며, 잔디의 생육을 위한 영양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양토(5)는 잔디의 발아 및 생육 과정에서 다져져서 일정한 경도를 가지는 흙으로 이루어지며, 이렇게 다져진 상태에 의하여 반정형의 마대 블럭(3)이 특정한 형상을 가지는 잔디 블럭(1)으로 바뀌는 것이다. 또한 마대 블럭(3) 내부의 배양토(5)는 서로 얽히는 잔디 뿌리(4)에 의하여 매우 견고하게 얽혀서 그 형상을 견고하게 유지하게 된다. Next, the cultured
본 실시예에서 이 배양토(5)는 잘 부스러지는 성질의 배양토가 아니라, 시간이 경과하면서 다져지고 경화되는 성질의 배양토인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다음으로 잔디(2)는 상기 배양토(5)에 뿌리(4)를 두고, 상기 마대 블럭(3)의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 중 적어도 일면으로 잎과 줄기가 배치되는 구성요소이다. 이 잔디(2)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잔디 블럭(1)의 6면 중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5면 중 적어도 일면으로 잎과 줄기가 배치되고, 뿌리(4)는 상기 마대 블럭(3)에 채워진 배양토(5)에 배치된다. 상기 배양토(5)에 배치되는 잔디 뿌리(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얽혀서 배양토(5)의 경화를 촉진하고, 경화된 배양토(5)의 형상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Next, the
상기 잔디(2)의 줄기 및 잎은 상기 마대 블럭(3)의 상면에만 배치될 수도 있고, 측면에도 배치될 수도 있다. 잔디(2)의 줄기 및 잎을 상기 마대 블럭(3)의 어느 면으로 배치할 것이가는 잔디(2)의 재배 과정에서 어느 면을 노출시키는가에 따라 결정된다. Stems and leaves of the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잔디 블럭(1) 제조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이 개방된 반정형의 마대 블럭(3)을 배양 몰드(10)에 준비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이 마대 블럭(3)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반정형 특성을 가지며, 상면(3a)이 개폐될 수 있는 구조 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마대 블럭(3)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마대 블럭 삽입홈을 가지는 배양 몰드(10)에 이 마대 블럭(3)의 상부가 상측을 향하도록 삽입하여 준비한다. First, as shown in FIG. 3, the step of preparing the
이때 상기 배양 몰드(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 다수개의 배수구(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배수구(12)는 잔디(2)의 발아 및 생육 과정에서 공급되는 물 중 일부가 하측으로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이 배양 몰드(10)는 잔디의 발아 및 생육 과정에서 잔디가 충분히 태양광을 조사받을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서는 잔디(2)를 마대 블럭(3)의 상면 방향 뿐만 아니라, 측면 방향으로도 자라게 하기 위해서, 뼈대만 가지고 나머지는 뚫려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배양 몰드가 뼈대만 가지는 구조인 경우에는 상기 마대 블럭(3)의 상측 꼭지점 및 모서리 부분을 지지할 수 있는 갈고리 형상의 걸쇠가 뼈대에 다수 지점에 형성되고, 그 걸쇠에 상기 마대 블럭(3)이 걸린 상태에서 잔디가 발아 및 생육된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배양 몰드(1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양 몰드(10) 및 배양토(5)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항온 장치(1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잔디를 생육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배양 몰드(10)의 온도를 잔디 생육에 적합한 온도로 유지하기 위하여 항온 장치(14)를 더 구비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다음으로는 배양토(5)에 잔디씨(6)를 혼합하는 단계가 진행된다. 잔디를 상기 마대 블럭(3)의 상면 방향으로만 자라도록 하는 경우에는 배양토(5)를 마대 블 럭(3)에 채운 상태에서 그 표면에 잔디씨(6)를 뿌리면 되지만, 잔디를 마대 블럭(3)의 측면 방향으로도 자라도록 하는 경우에는 잔디씨(6)와 배양토(5)를 고르게 혼합한 상태에서 마대 블럭(3)에 채우는 것이 바람직하다. Next, the step of mixing the
다음으로는 잔디씨(6)가 혼합된 배양토(5)를 상기 마대 블럭(3) 내에 채우는 단계가 진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상기 배양토(5)의 공극이 매워지도록 약간의 압력을 가하여 다져주는 것이 필요하다. Next, the step of filling the culture block (5) mixed with the grass seed (6) in the bed block (3). In this step, it is necessary to apply a little pressure to compact the pores of the culture soil (5).
다음으로는 잔디(2)를 발아시키고 생육하는 단계가 진행되는데, 이 단계에서는 상기 마대 블럭(3) 및 배양토(5)에 주기적으로 급수 장치(16)을 이용하여 물 또는 비료 등을 주면서 잔디를 성장시킨다. Next, a step of germinating and growing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잔디 블럭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잔디 블럭 제조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다만, 잔디씨(6)를 배양토(5)에 혼합하지 않고, 마대 블럭(3)에 부착하여 발아시키는 단계가 상이하다. 따라서 다른 단계는 반복하여 설명하지 않고, 잔디씨를 부착하는 단계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grass block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grass block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bstantially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owever, the step of adhering to the
본 실시예에서는 잔디씨(6)를 배양토(5)에 혼합하지 않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대 블럭(3)의 내면에 부착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마대 블럭(3)의 내면 또는 상면에 경접착성 접착제(7)를 먼저 도포하고, 도포된 경접착성 접착제(7)에 잔디씨(6)를 뿌려서 부착하는 것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여기에서 경접착성 접착제(7)는 일명 '풀'이라고 하는 것으로서, 쌀가루나 밀가루 같은 곡물 가루에 물을 넣고 가열하여 얻어지는 접착제를 말한다. 이 경접착성 접착제(7)는 접착력이 강하지는 않지만, 잔디씨(6)를 마대 블럭(3)에 고정시키기에는 충분한 접착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친환경적인 소재이므로 잔디씨(6)의 발아나 생육에 불리하지 않으며, 오히려 잔디씨(6)의 발아나 생육과정에서 비료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Herein, the
본 실시예에서는 이렇게 잔디씨(6)를 마대 블럭(3)의 내면에 먼저 부착한 후에, 마대 블럭(3)의 내부 공간에 배양토(5)를 채우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제외하고 나머지 과정은 전술한 실시예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잔디 블럭의 시공예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construction example of the grass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riefly.
본 실시예에 따른 잔디 블럭(1)은 매우 다양하게 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외벽(20)에 시공될 수 있다. 특히, 건물 외벽(20)이 흙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시공된 잔디 블럭(1)의 잔디 뿌리가 건물 외벽(20)으로 파고 들어서 잔디 블럭(1)과 건물 외벽(20)이 일체화될 수 있다. 물론 시공 초기에는 잔디 블럭(1)이 건물 외벽(20)으로부터 이탈되거나 잔디 블럭(1) 간에 분리되지 않도록 별도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잔디 블럭(1) 사이에 잔디 블럭을 고정하는 고정구(8)를 삽입하여 잔디 블럭(1) 간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The
이렇게 건물 외벽(20)에 잔디 블럭(1)을 시공하는 경우에는 건물의 보온 및 냉방 효과가 우수하여 전체적인 에너지 사용량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건물 외 관 디자인을 친환경적으로 우수하게 꾸밀 수 있다. When th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잔디 블럭(1)은 그 형상이 보도 블럭 또는 일반 벽돌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가지므로 일반적인 보도 블럭이나 벽돌 등이 시공되는 분야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도의 보도 블럭이나 경계석 또는 호안 등의 경사면 등에 용이하게 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블럭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grass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블럭의 구조를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이다. 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grass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대 블럭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hemp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 몰드와 마대 블럭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culture mold and the stem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양 몰드와 마대 블럭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culture mold and the stem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씨 부착 방법을 도시하는 일부 단면도이다.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grass seed attach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잔디 블럭의 시공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a construction example of a grass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8106A KR101108001B1 (en) | 2009-06-01 | 2009-06-01 | Grass bloc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8106A KR101108001B1 (en) | 2009-06-01 | 2009-06-01 | Grass bloc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9510A KR20100129510A (en) | 2010-12-09 |
KR101108001B1 true KR101108001B1 (en) | 2012-01-25 |
Family
ID=43506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8106A Active KR101108001B1 (en) | 2009-06-01 | 2009-06-01 | Grass bloc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08001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20007A (en) * | 2002-08-28 | 2004-03-06 |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 Game apparatus and saving method of game data |
KR200420007Y1 (en) * | 2006-03-27 | 2006-06-27 | 주식회사 계림엔지니어링 | Landscape planting structure of road rock cut slope |
KR100725736B1 (en) * | 2006-12-29 | 2007-06-08 | 김광호 | Manufacturing method of vegetation bag |
-
2009
- 2009-06-01 KR KR1020090048106A patent/KR10110800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020007A (en) * | 2002-08-28 | 2004-03-06 | 고나미 가부시끼가이샤 | Game apparatus and saving method of game data |
KR200420007Y1 (en) * | 2006-03-27 | 2006-06-27 | 주식회사 계림엔지니어링 | Landscape planting structure of road rock cut slope |
KR100725736B1 (en) * | 2006-12-29 | 2007-06-08 | 김광호 | Manufacturing method of vegetation ba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9510A (en) | 2010-1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8589743B (en) | Ecological geogrid for slope protection | |
CA2666659C (en) | Slope planting structure | |
CN102725450A (en) | Mixed turf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AU2004324295A1 (en) | Composite ceramic structure,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wall structure using such composite ceramic structure | |
CN105507333A (en) | Vegetation brick for realizing slope reinforcement and ecological restoration functions and making method thereof | |
KR101099361B1 (en) | panal structure having plural of holes for wall greening | |
KR101108001B1 (en) | Grass bloc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200460383Y1 (en) | Vegetation mat using of coconut | |
KR102017832B1 (en) | Method for afforesting face of slope in an eco-friendly way and eco-friendly compositon for afforestation thereby | |
KR20150134255A (en) | The planting construction structure and method to manufacture that | |
JP2014073105A (en) | Vegetation mat | |
KR101099252B1 (en) | Method for planting flowering plant using culture-molding and ecologic-block | |
KR101279958B1 (en) | Turf-block Equipped with Vegetation Lay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CN109383182B (en) | Lawn for three-dimensional decoration and cultiv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 |
KR101104956B1 (en) | Vegetation Block | |
CN205369272U (en) | Realize living brick of planting of domatic reinforcement and ecological recovery function | |
KR200185833Y1 (en) | A planting block for a embankment block plant community | |
CN213127217U (en) | Ecological flower bed | |
CN113892385B (en) | Arbor field planting technology with improved reverse pot bottom | |
CN112012166B (en) | An assembled pocket grass-planting concrete prefabricated member and construction method | |
JP7099779B2 (en) | Manufacturing method of moss growing hardened body, moss greening body, moss growing artificial stone, and moss growing hardened body | |
KR100519984B1 (en) | Vegetation na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JP7671264B2 (en) | Concrete blocks for planting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 | |
KR102665477B1 (en) | Hybrid type water-permeable grass block and lawn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20140073394A (en) | a planting plate of natural grass and the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planting plate of a green law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0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1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1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0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