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04567B1 - 냉장고 서랍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 서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567B1
KR101104567B1 KR1020090127256A KR20090127256A KR101104567B1 KR 101104567 B1 KR101104567 B1 KR 101104567B1 KR 1020090127256 A KR1020090127256 A KR 1020090127256A KR 20090127256 A KR20090127256 A KR 20090127256A KR 101104567 B1 KR101104567 B1 KR 101104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ualization
humidity
unit
induction
collec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7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0432A (ko
Inventor
소재현
오상호
김은정
박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7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567B1/ko
Priority to EP10165097.6A priority patent/EP2336685B1/en
Priority to US12/821,209 priority patent/US8336320B2/en
Priority to CN201010257541.4A priority patent/CN102102932B/zh
Publication of KR20110070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56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42Air treating means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5D2317/04111Control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17/00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Details or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17/04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 F25D2317/041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 F25D2317/0413Treating air flowing to refrigeration compartments by purification by humidification
    • F25D2317/04131Control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 서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는, 고내에 제공되며,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재; 상기 수납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 습도를 가시화하는 습도가시화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습도가시화 유닛은, 상기 수납부재에 구비되며, 표면에 물방울이 맺힐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부재와; 상기 유도부재 일측에서 상기 수납부재의 외측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가시화부재와; 상기 가시화부재에 형성되며,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유도부재로부터 이동되는 물이 표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여 습도상태를 가시화하는 가시화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습도의 확인 및 조절이 용이하여 저장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냉장고, 서랍, 습도, 가시화

Description

냉장고 서랍장치 { Drawer apparatus for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 서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 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의 추세에 있으며, 저장공간의 구성에 따라 그 형태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이러한 냉장고의 고내에 구비된 선반과 서랍, 바스켓 등에는 냉장 또는 냉동저장을 위한 다양한 식품들이 적절하게 보관될 수 있다. 이와같은 상기 서랍과 선반, 바스켓 등은 고내 공간에 다양하게 배치되어 다양한 크기와 저장조건을 가지는 식품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야채와 과일과 같은 식품들은 장기간 신선함을 유지하면서 저장되기 위해서는 다른 식품과 별도로 저장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다른 공간과 구획되는 서랍과 커버에 의해 야채실이 형성된다.
상기 야채실은 내부에 수납되는 야채 또는 과일과 같은 식품의 특성상 내부의 습도 유지가 필수적이며, 야채 과일 등의 호흡 등에 의해 발생되는 수분이 과다하게 되어 과습되는 경우 보관중인 야채나 과일에 수분이 묻어 짓무르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상기 야채실의 커버에 상기 야채실의 내부의 수분을 집수하는 집수홈(매직크리스퍼)이 형성되는 구조가 개발되었다. 그리고, 상기 야채실의 내부 습도에 따라 상기 야채실의 내부의 제습을 위한 운전이 가능한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수납부재의 내측에 물방울이 맺힐 수 있도록 하는 유도부재와, 유도부재에서 맺혀진 물방울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이동되어 수납부재의 내부 습도 상태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여, 수납부재 내부의 습도를 사용자에게 가시화할 수 있는 냉장고 서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 서랍장치는, 고내에 제공되며,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재; 상기 수납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 습도를 가시화하는 습도가시화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습도가시화 유닛은, 상기 수납부재에 구비되며, 표면에 물방울이 맺힐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부재와; 상기 유도부재 일측에서 상기 수납부재의 외측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가시화부재와; 상기 가시화부재에 형성되며, 모세관 현상에 의해 상기 유도부재로부터 이동되는 물이 표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여 습도상태를 가시화하는 가시화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도부재는, 금속소재로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저온인 상기 수납부재의 일측에서 상기 가시화 부재측으로 연장되어 결로를 위한 온도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도부재의 일측에는, 유리 또는 표면이 매끄러운 코팅으로 형성되어 맺혀진 물방울의 이동이 촉진되는 결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납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유도부재에서 이동된 물방울이 집수되는 집수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수부재는, 상기 유도부재의 일측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안내부와, 상기 가시화부재가 밀착되며, 상기 가시화부와의 사이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집수된 물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집수부재는 투명한 유리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부와 표시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시화부는 소정의 무늬 또는 패턴을 형성하도록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시화부재에는 상기 표시부와 밀착되도록 상기 가시화부보다 더 돌출된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시화부는 소정의 무늬 또는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도부재는 냉동실과 인접한 측에서 상기 가시화부재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도부재는 고내측으로 냉기가 토출되는 쪽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가시화부재 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시화 유닛은 상기 수납부재의 전면으로 상기 가시화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서랍장치에 의 하면, 수납부재 내부의 습도가 높아지게 되면, 상기 유도부재의 일측에서 물방울이 맺히게 되며, 유도부재에 맺힌 물방울은 이동되어 상기 가시화부재의 가시화부를 통해 이동되어 상기 가시화부가 외부로 나타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가시화부재를 확인하여 상기 가시화부가 외부로 드러나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납부재의 내부 습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가시화부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납부재의 내부 습도가 낮은 것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가시화부재를 통해 상기 수납부재 내부의 습도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수납부재 내부의 습도가 높은 경우에는 습도를 낮추기위한 작업을 능동적으로 실시하여 수납된 식품의 저장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냉장실과 냉동실이 좌우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랍장치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20)에 의해 외형이 형성된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는 베리어(12)에 의해 좌우로 구획되어 좌측에 냉동실(14)을 형성하고 우측에 냉장실(16)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냉동실(14)을 차폐하는 냉동실 도어(22)와, 상기 냉장실(16)을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24)로 구성된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및 상기 도어(20)의 배면에는 다수의 선반, 서랍, 바스켓 등이 구비되어, 다양한 식품을 적절한 공간에 적절한 상태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서랍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서랍장치(10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랍장치(100)는 야채 또는 과일과 같은 식품의 저장시 상기 서랍장치 내부의 습도 유지 및 탈기를 통한 식품의 호흡 지연을 가능하게 하여 식품을 신선하게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수납부재(110)의 인출입 조작만으로 내부의 수납 공간이 선택적으로 밀폐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서랍장치(100)는 통상 냉장실(16)의 하측에 구비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냉장실(16)의 하측 이외의 다른 위치에도 배치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이 다수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랍장치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납부재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서랍장치(100)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재(110), 상기 수납부재(110)의 상면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수납부재 커버(120), 상기 수납부재(110)의 전후방향 인출입과 상기 수납부재 커버(120)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부재(130)는 상기 캐비닛(10) 내측의 냉장실(16)의 내측에 장착된다. 상기 냉장실(16)의 내벽에는 상기 가이드부재(130)가 안착되기 위한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재(130)는 홈 또는 돌기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110)는 일반적인 서랍의 형상과 같이 상면이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식품의 수납이 가능한 수납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재(110)의 양측은 상기 가이드부재(130)에 안착되며, 상기 수납부재(110)는 상기 가이드부재(130)의 안내에 의해 전후방으로 인출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부재 커버(120)는 상기 수납부재(110)의 개구된 상면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재(130)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재(110)의 인출입 조작시에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수납부재(110)를 선택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재 커버(120)의 하면에는 상기 수납부재(110) 내부의 수 분을 잡아주기 위한 집수홈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집수홈은 상기 수납부재(110) 내부의 습도가 높아지게 되면, 집수홈 내부에 물방울이 맺힐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며, 다수개가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부재 커버(120)에는 탄성부재(122)가 제공된다. 상기 탄성부재(122)는 상기 수납부재 커버(120)와 가이드부재(13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수납부재 커버(120)가 하방으로 향하도록 강제하게 된다. 즉, 상기 수납부재(110)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재 커버(120)는 상기 탄성부재(122)의 탄성에 의해 상기 수납부재(110)측으로 밀착되어 상기 수납부재(110) 내측을 기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가이드부재(130)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수납부재 커버(120)가 상기 냉장실(16)의 내측에 장착되고, 상기 수납부재(110)의 슬라이딩 인출입에 따라 상기 수납부재(110)의 상면을 상기 수납부재 커버(120)가 차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납부재(110)의 전면에는 상기 수납부재(110) 내부의 습도를 표시하기 위한 습도 가시화 유닛(200)이 장착되는 장착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부(112)는 상기 습도 가시화 유닛(2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습도 가시화 유닛(200)은 상기 수납부재(110)의 내측에서 상기 장착부(112)에 삽입 장착되며, 상기 수납부재(110)의 전방에서 볼 때 상기 습도 가시화 유닛(200)의 전면이 외부에서 보여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습도 가시화 유닛(200)이 장착된 상기 수납부재(110)의 일측은 개구되어 형성되거나, 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재(110)의 전면에 별도의 커버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장착부(112)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대응하는 크기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납부재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습도 가시화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습도 가시화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습도 가시화 유닛(200)은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210)와, 물방울이 맺히는 유도부재(220), 물방울이 집수되는 집수부재(230) 그리고, 모세관현상에 의해 물이 이동되어 외부로 표시될 수 있는 가시화부재(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210)는 상기 장착부(112)의 형상과 대응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210)의 내측에 상기 유도부재(220)와 집수부재(230) 및 가시화부재(240)가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장기 케이스(210)의 전면에는 개구부(212)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212)를 통해 상기 가시화부재(240)가 노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10)의 후면 일부는 개구되어 냉기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210) 후면의 상단은 상기 집수부재(230)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210)의 후측에는 상기 유도부재(220)의 일부가 상방에서 삽입된 후 안착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부(2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14)는 상방에서 하방으로 개구되거나 함몰되어 형성되며, 아래에서 설명할 결 로부(224)가 완전히 상기 케이스(21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유도부재(220)는 상기 수납부재(110) 내부의 습도가 높아질 경우 표면에 결로 현상에 의해 물방울이 맺히도록 하는 것으로, 연장부(222)와 결로부(224)로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연장부(222)는 상기 결로부(224)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결로부(224)측으로 상기 수납부재(110)의 낮은측 온도를 전도를 통해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유도부재(220)의 전체 형상을 형성하며, 열 전도성이 우수한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22)는 상기 수납부재(110) 내측 중 온도가 가장 낮은 위치 또는 온도가 낮은 위치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며, 전도에 의해 상기 결로부(224)의 온도를 낮추어 상기 결로부(224)에서의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보다 촉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장부(222)는 상기 케이스(210)의 내측에서 상기 냉동실(14)과 가까운 수납부재(110)의 측벽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장부(222)는 상기 케이스(210)에서 수납부재(110)의 측벽까지 연장되는 제1부분(226)과 상기 제1부분(226)의 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수납부재(110)의 측벽과 면접촉하는 제2부분(228)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부분(228)은 상기 제1부분(226)보다 그 폭이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수납부재(110) 측벽 온도의 전도가 보다 잘 일어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부분(226)의 일부와 제2부분(228)은 상기 케이스(210)의 외 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납부재(110)의 일측과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부(222)는 상기 냉동실(14)과 인접한 상기 수납부재(110)의 측벽 외에도, 고내의 냉기 토출구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상기 수납부재(110) 내측의 온도가 낮은 다른 일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장부(222) 중 상기 케이스(210)의 내측에 위치하는 연장부(222)에는 결로부(224)가 형성된다. 상기 결로부(224)는 유리소재로 형성되어 표면에 물방울이 잘 맺히도록 함은 물론 맺힌 물방울이 하방으로 쉽게 낙하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로부(224)의 하단은 중앙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양측이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로부(224)에 맺혀진 물방울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중앙을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상기 결로부(224)는 유리소재로 형성되지 않고 표면이 매끄러운 필름 또는 코팅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유도부재(220) 하방의 상기 케이스(210) 내측에는 집수부재(230)가 구비된다. 상기 집수부재(230)는 상기 결로부(224)에서 낙하하는 물을 집수하는 한편, 상기 가시화부재(240)와 접하여 모세관현상이 발생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집수부재(230)는 물방울의 이동성을 좋게 하는 한편, 상기 가시화부(244)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유리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수부재(230)는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서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 폭과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집수부재(230)는 상기 결로부(224)의 하방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안내부(232)와, 상기 안내부(232)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표시부(234)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수부재(230)는 상기 케이스(210)의 내측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케이스(210)의 내측 좌우 측면에 양측방이 차폐되어 수분이 집수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된다.
상기 안내부(232)는 상기 케이스(210)의 후면 상단에 지지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210) 내측의 하면 전단까지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210)의 하면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232)의 하단에서 상기 케이스(210)의 내측 상면까지 상기 표시부(234)가 연장 형성된다. 상기 표시부(234)는 상기 케이스(210)의 하면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210)의 개구된 전면 즉, 장착부(112)의 전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내부(232)와 표시부(234)의 사이에는 연결부(236)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236)는 상기 가시화부재(240)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가시화부재(240)의 폭과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210)의 바닥과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기 가시화부재(240)가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연결부(236)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가시화부재(240)가 상기 안내부(232)와 표시부(234)가 서로 연결되는 부분에 위치하도록 고정 장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가시화부재(240)는 상기 집수부재(230)에 고정 장착된다. 상기 가시화 부재(240)는 상기 집수부재(230)의 표시부 배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사각형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집수부재(230)에 집수된 수분에 의해 실질적으로 가시화가 이루어지는 부분이 된다.
상기 가시화부재(240)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투명하지 않은 색상 예컨데 파란색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수분에 의한 가시화가 보다 명확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시화부재(240)의 하단을 제외한 전면 둘레에는 지지부(242)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242)는 상기 가시화부재(240)의 장착시 상기 표시부(234)의 배면과 접하는 부분으로, 상기 가시화부재(240)에 형성되는 가시화부(244)가 상기 표시부(234)의 배면과 이격될 수 있도록 더 높은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시화부재(240)의 전면에는 소정의 무늬 또는 패턴을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가시화부(244)가 형성된다. 상기 가시화부(244)는 상기 표시부(234)의 배면과 인접하도록 위치되어 모세관현상에 의해 수분이 이동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242)의 높이보다는 더 낮게 형성된다.
즉, 상기 가시화부재(240) 전면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부(242)의 돌출 높이가 상기 가시화부재(240)의 높이보다 더 높게 되어, 상기 가시화부재(240)를 상기 표시부(234) 배면에 밀착시키게 되면 자연스럽게 상기 표시부(234)의 배면과 상기 가시화부(244)의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242)와 상기 가시화부(244)의 높이차이 즉, 상기 가시화부(244)와 상기 표시부(234) 사이의 공간은 상기 집수부재(230)에 집수된 수분이 모세관현상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거리가 된다.
상기 가시화부(244)는 사용자에게 상기 수납부재(110) 내부의 습도상태를 표현할 수 있도록 소정의 무늬를 가지게 되며, 상기 가시화부재(240)의 전면 하단에서부터 이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시화부(244)를 따라서 상기 집수부재(230)에 집수된 물이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서랍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납부재 내부의 습도가 낮은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납부재 내부의 습도가 높은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고내가 냉각 중인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재(110)에는 저온 저장을 위한 과일 또는 야채 등이 보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납부재(110)의 내부 습도가 낮은 상태에서는 상기 습도 가시화 유닛(200)의 결로부(224)에 물방울이 잘 맺히지 않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집수부재(230)의 내측에 수분이 집수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시화부재(240)의 가시화부(244)를 따라 수분이 이동될 수 없게 되며, 상기 수납부재(110)의 외측에서 볼 때 상기 가시화부(244)는 도 7에서와 같이 명확하게 보이지 않게 되거나 전혀 보이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수납부재(110)를 통해 노출되는 상기 가시화부재(240)를 확인하여 상기 수납부재(110)의 내부 습도가 낮은 것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납부재(110)의 내부에 식품이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재(110)의 내부 습도가 높아지게 되면, 상기 유도부재(220)의 결로부(224)에 물방울이 맺히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유도부재(220)의 제2부분(228)이 접하는 상기 수납부재(110)의 측면은 상기 베리어(12)와 인접하는 부분으로 상기 냉동실(14)과 가깝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110)의 다른 부분과 비교할 때 상기 수납부재(110)의 측면 온도가 낮게 되며, 상기 유도부재(220)의 제2부분(228)과 제1부분(226)을 따라 낮은 온도가 전도되어 상기 결로부(224)의 온도가 낮아지게 된다.
상기 결로부(224)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면, 상기 결로부(224)의 표면과 상기 결로부(224)가 인접하는 상기 수납부재(110) 내부의 온도차에 의해 상기 결로부(224)에 물방울이 맺히는 것을 보다 더 촉진시키게 된다.
상기 결로부(224)에 맺힌 물방울의 양이 일정량 이상이 되면, 물방울은 상기 결로부(224)의 중앙측을 향해 하방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로부(224)에서 낙하되는 물방울은 상기 안내부(232)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집수부재(230)의 내측에 집수된다.
상기 집수부재(230)에 일정량의 물이 집수되면, 집수된 물은 상기 가시화부재(240)의 하단에 이르게 되고, 상기 가시화부(244)와 상기 표시부(234)의 배면 사이의 공간을 통해 모세관현상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집수부재(230)에 집수된 물은 상기 가시화부(244)를 따라서 이동되 어 상기 가시화부(244)와 상기 표시부(234)의 배면 사이의 공간을 물로 채우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110)의 외측에서 상기 가시화부재(240)를 바라보게 되면, 상기 가시화부(244)의 형상이 확연하게 나타나게 된다.
특히, 상기 가시화부(244)가 파란색과 같이 투명하지 않은 진한 색상을 가지게 되는 경우 수분에 의해 색상이 보다 진해지게 되며, 상기 수납부재(110)의 전면을 통해 그 형상이 보다 명확하게 표현되어 도 8에서와 같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수납부재(110)의 외측에서 바라볼 때, 도 8 에서와 같이 상기 가시화부(244)가 명확하게 보이게 되면, 상기 수납부재(110)의 내부 습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습도 가시화 유닛(200)을 통해 사용자가 상기 수납부재(110) 내부의 습도가 과도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수납부재(110) 내부의 식품이 상할 우려가 있으므로 사용자는 제습을 위한 운전을 조작하거나, 상기 수납부재(110) 내부의 습도를 낮추기 위한 작업을 수행하여 상기 수납부재(110)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게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가시화부(244)의 설정 여부에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110)의 내부가 적정 습도인 경우에 상기 가시화부(244)가 외부로 나타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랍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납부재를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납부재를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습도 가시화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습도 가시화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납부재 내부의 습도가 낮은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수납부재 내부의 습도가 높은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Claims (11)

  1. 고내에 제공되며,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재;
    상기 수납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수납공간의 내부 습도를 가시화하는 습도가시화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습도가시화 유닛은,
    상기 수납부재에 구비되며, 금속소재로 형성되어 표면에 물방울이 맺힐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도부재와;
    상기 유도부재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유도부재에서 이동되는 물방울이 집수되는 집수부재와;
    상기 집수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수납부재의 외측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가시화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시화부재에는,
    상기 집수부재와의 공간을 통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집수된 물이 표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여 습도상태를 가시화하는 가시화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냉장고 서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는,
    금속소재로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저온인 상기 수납부재의 일측에서 상기 가시화 부재측으로 연장되어 결로를 위한 온도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서랍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의 일측에는, 유리 또는 표면이 매끄러운 코팅으로 형성되어 맺혀진 물방울의 이동이 촉진되는 결로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서랍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재는,
    상기 유도부재의 일측에서 경사지게 연장되는 안내부와,
    상기 가시화부재가 밀착되며, 상기 가시화부와의 사이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집수된 물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서랍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재는 투명한 유리로 형성되며, 상기 안내부와 표시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서랍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화부는 소정의 무늬 또는 패턴을 형성하도록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시화부재에는 상기 표시부와 밀착되도록 상기 가시화부보다 더 돌출된 지지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서랍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화부는 소정의 무늬 또는 패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서랍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는 냉동실과 인접한 측에서 상기 가시화부재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서랍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재는 고내측으로 냉기가 토출되는 쪽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가시화부재 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서랍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시화 유닛은 상기 수납부재의 전면으로 상기 가시화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서랍장치.
KR1020090127256A 2009-12-18 2009-12-18 냉장고 서랍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104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256A KR101104567B1 (ko) 2009-12-18 2009-12-18 냉장고 서랍장치
EP10165097.6A EP2336685B1 (en) 2009-12-18 2010-06-07 Refrigerator and drawer for refrigerator
US12/821,209 US8336320B2 (en) 2009-12-18 2010-06-23 Refrigerator and drawer for refrigerator
CN201010257541.4A CN102102932B (zh) 2009-12-18 2010-08-17 冰箱用抽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7256A KR101104567B1 (ko) 2009-12-18 2009-12-18 냉장고 서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432A KR20110070432A (ko) 2011-06-24
KR101104567B1 true KR101104567B1 (ko) 2012-01-11

Family

ID=43639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7256A Expired - Fee Related KR101104567B1 (ko) 2009-12-18 2009-12-18 냉장고 서랍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336320B2 (ko)
EP (1) EP2336685B1 (ko)
KR (1) KR101104567B1 (ko)
CN (1) CN10210293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20864B2 (en) * 2008-11-14 2014-09-02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drawers with trim
KR101611283B1 (ko) * 2009-09-02 201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습도표시가 가능한 장식부재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냉장고용 장식부재의 제작방법
DE102013212384A1 (de) * 2013-06-27 2014-12-31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m Frischhaltebehälter und einem Bedienelement und einer Bewegungsführungseinrichtung
DE102014218274A1 (de) * 2014-09-12 2016-03-17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kältegerät mit einem mit integrierter Anzeigeeinheit ausgebildetem Bedienelement zum Betätigen eines Deckels eines Frischhaltebehälters
CN106568290A (zh) 2014-11-28 2017-04-19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一种冰箱用储藏盒及冰箱
WO2016169897A1 (en) * 2015-04-21 2016-10-27 BSH Hausgeräte GmbH Home appliance device
EP3286510B1 (en) * 2015-04-21 2020-08-12 BSH Hausgeräte GmbH Construction kit for constructing a home appliance device
CN109140880A (zh) * 2017-06-13 2019-01-04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用于冰箱的湿度控制设备、方法和冰箱
CN107166868A (zh) * 2017-06-29 2017-09-15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的控制系统及控制方法
CN107192197A (zh) * 2017-06-29 2017-09-22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4785B1 (ko) 2002-10-23 2005-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야채실 최적상태 보존 장치
KR20070020832A (ko) * 2005-08-17 200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0830463B1 (ko) 2006-03-03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와 이의 제어방법
KR100844329B1 (ko) 2002-05-28 2008-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밀폐식 야채실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2186A (en) * 1985-08-19 1987-05-05 Joon Park Refrigerator apparatus
US5540492A (en) * 1995-01-30 1996-07-30 Whirlpool Corporation Snap-in humidity control for crisper pans
US6116029A (en) * 1999-03-12 2000-09-12 Krawec; Victor Atmospheric control system for a humidor
JP2000274922A (ja) * 1999-03-26 2000-10-06 Sharp Corp 庫内環境表示機能付き冷蔵庫
CN2425332Y (zh) * 2000-05-18 2001-03-28 宜兴市联通净化材料有限公司 一种冰箱用湿度补偿器及保湿冰箱
US6691070B1 (en) * 2000-11-03 2004-02-10 Mack Information Systems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controlled environment
AU2002242831B2 (en) * 2001-03-13 2006-10-26 Applied Design And Engineering Limited Drawer storage
JP2003347186A (ja) * 2002-05-23 2003-12-05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基板処理装置
US6904761B2 (en) * 2003-03-11 2005-06-1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humidity in a refrigerator
US7137262B2 (en) * 2003-12-05 2006-11-21 Kendro Laboratory Products, Lp Supplemental hea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freezer/refrigeration equipment
US7325409B2 (en) * 2004-03-24 2008-02-05 Espinosa Edward P Vacuum storage apparatus with sliding drawers
US7845181B2 (en) * 2005-11-23 2010-12-07 Whirlpool Corporation Active moisture control barrier and active humidity controlled space
JP2008057917A (ja) * 2006-09-01 2008-03-13 Hitachi Appliances Inc 冷蔵庫
US20080115514A1 (en) * 2006-11-20 2008-05-22 Steimel John C Condensation preven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080159907A1 (en) * 2006-12-29 2008-07-03 Joshi Anand G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infecting and/or deodorizing an article
US20080178621A1 (en) * 2007-01-26 2008-07-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ITVA20070020A1 (it) * 2007-02-16 2008-08-17 Whirlpool Co Metodo per regolare l'umidita' all'interno di un frigorifero e frigorifero adatto all'implementazione di tale metodo
KR101611283B1 (ko) * 2009-09-02 201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습도표시가 가능한 장식부재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냉장고용 장식부재의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329B1 (ko) 2002-05-28 2008-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밀폐식 야채실 구조
KR100524785B1 (ko) 2002-10-23 2005-10-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야채실 최적상태 보존 장치
KR20070020832A (ko) * 2005-08-17 2007-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0830463B1 (ko) 2006-03-03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와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02932B (zh) 2014-02-05
EP2336685B1 (en) 2017-09-13
US20110146334A1 (en) 2011-06-23
KR20110070432A (ko) 2011-06-24
EP2336685A3 (en) 2016-12-28
US8336320B2 (en) 2012-12-25
EP2336685A2 (en) 2011-06-22
CN102102932A (zh) 201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4567B1 (ko) 냉장고 서랍장치
RU2529919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с контейнером для овощей
KR101810736B1 (ko) 냉장고
KR102629953B1 (ko) 냉장고
KR10156410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서랍장치
KR101995427B1 (ko) 냉장고
US10648723B2 (en) Refrigerator
KR101694534B1 (ko) 냉장고 및 냉장고 서랍장치
TW201730491A (zh) 冰箱
KR100727670B1 (ko) 수납장이 구비되는 냉장고
KR101038791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KR20060032439A (ko) 냉장고의 야채박스
KR101838065B1 (ko) 냉장고
KR101132434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수납부재 커버
KR100651307B1 (ko) 냉장고
JP2021099217A (ja) 冷蔵庫
KR20110051350A (ko) 냉장고
JP6864980B2 (ja) 冷蔵庫
JP6726488B2 (ja) 冷蔵庫
KR101432302B1 (ko) 김치냉장고
KR101988306B1 (ko) 냉장고
KR101432304B1 (ko) 김치냉장고
KR101085654B1 (ko) 냉장고
KR101432305B1 (ko) 김치냉장고
KR100614318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