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04512B1 -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를 이용하는 랙바의 스트로크조절방법, 장치 및 그를 위한 전자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를 이용하는 랙바의 스트로크조절방법, 장치 및 그를 위한 전자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512B1
KR101104512B1 KR1020060079568A KR20060079568A KR101104512B1 KR 101104512 B1 KR101104512 B1 KR 101104512B1 KR 1020060079568 A KR1020060079568 A KR 1020060079568A KR 20060079568 A KR20060079568 A KR 20060079568A KR 101104512 B1 KR101104512 B1 KR 101104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now chain
rack bar
steering angle
detection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9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7846A (ko
Inventor
최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60079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512B1/ko
Publication of KR20080017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7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62D5/04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including housing for electronic control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0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 B62D6/08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 B62D6/10Arrangement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steering depending on driving conditions sensed and responded to, e.g. control circuits responsive only to driver input torqu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ensing or determining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6Arrangement of linkage connections
    • B62D7/163Arrangement of linkage connections substantially in axial direction, e.g. between rack bar and tie-r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를 이용하는 랙바의 스트로크 조절방법, 장치 및 그를 위한 전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향축 및 모터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있어서, 조향축의 하단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조향 조작에 의한 회전 운동에 따라 직선 운동을 하는 랙바(Rackbar)를 포함하는 기어박스(GearBox); 및 모터를 제어하며, 스노우체인의 장착여부를 감지하여 온/오프 되는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를 구비하고, 스노우체인의 장착으로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가 작동하면 운전자의 조향 조작에 의한 조향각이 설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조향각이 설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모터에 전달하는 전류를 제어하여 랙바의 스트로크를 조절하는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를 이용하여 랙바의 스트로크를 조절하는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랙바의 스트로크 조절장치는 스노우체인의 장착여부에 따라 조향시 랙바의 스트로크를 제어할 수 있어 스노우체인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최대의 조향각을 확보하여 차량을 운행하되, 스노우체인 장착시에만 최대 조향각을 감소시킴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자 제어 장치, 랙바,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 조향 장치

Description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를 이용하는 랙바의 스트로크 조절방법, 장치 및 그를 위한 전자 제어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Rackbar Stroke with Detecting Switch of Snowchain and ECU Therefor}
도 1은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를 이용하는 랙바의 스트로크 조절방법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조향계통 102: 조향 휠
104: 조향 108: 타이로드
112: 바퀴 118:랙바
120: 전자 제어 장치 122: 차속 센서
124: 조향각 센서 126: 토크 센서
130: 모터 140: 전동 장치
210: 연산 수단 212: 제어 수단
220: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
본 발명은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를 이용하는 랙바의 스트로크 조절방법, 장치 및 그를 위한 전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와 로직(Logic)만 추가하여 랙바의 스트로크를 조절하도록 하여,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구조 변경 없이 조향각의 크기를 조절하는 전자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조향장치(Steering System)는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운전자가 조향휠을 돌려 자유로이 바꾸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조향장치는 앞차축이나 앞바퀴 정렬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브레이크 장치와 함께 자동차 주행의 안전상 매우 중요한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조향장치는 선회반경이 되도록 작고 고속주행에서 차량의 선회가 안정하게 되어야 하며 또한 조향 조작이 가볍게 되고 자유로와야 한다.
자동차가 점차 고급화됨에 따라 저압타이어가 이용되고, 대형차량의 자동화로 전륜의 접지 저항이 증대하여 조향핸들의 조작력이 필요하게 되어, 조향장치에 동력원을 설치하여 조향핸들의 조작력을 보조하는 동력 보조 조향장치(Power Steering Appratus)가 출현하였다.
자동차의 동력 보조 조향장치로는 일반적으로 유압 펌프의 유압을 이용한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Hydraulic Power Steering Apparatus)가 사용되고 있지만, 1990년대 이후 전기 모터를 이용한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가 점차로 보편화 되어 가고 있다.
기존의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동력을 보조해 주는 동력원인 유압 펌프가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조향 휠의 회전 여부와 관계없이 항상 에너지를 소모하는데 비해서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조향 휠이 회전하여 토크가 발생되면 전기 에너지로 구동되는 모터가 조향 보조 동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유압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비해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의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조향 휠(102)로부터 양측 바퀴(112)까지 이어지는 조향 계통(100) 및 조향 계통에 조향 보조 동력을 제공하는 보조 동력 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조향 계통(100)은 일측이 조향 휠(102)에 연결되어 조향 휠(102)과 함께 회전하고 타측은 피니언축(106)에 연결되는 조향 축(10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피니언축(106)은 랙-피니언 기구부를 통해 랙바(Rackbar)(118)에 연결되고, 랙바(118)의 양단은 타이로드(108)와 너클암(110)을 통해 차량의 양쪽 바퀴(112)에 연결된다.
랙-피니언 기구부는 피니언축(106)에 형성되어 있는 피니언 기어부(114)와 랙바(118)의 외주면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랙 기어부(115)가 서로 맞물려서 형성되므로, 운전자가 조향 휠(102)을 조작하면 조향 계통(100)에서 토크가 발생하고, 발 생한 토크에 의해서 랙-피니언 기구부와 타이로드(108)를 통하여 바퀴를 조향하게 된다.
보조 동력 기구는 차속을 감지하여 감지된 차속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차속 센서(122), 조향각을 감지하여 감지된 조향각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조향각 센서(124), 운전자가 조향 휠(102)에 가하는 토크를 감지하고 감지된 토크에 비례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토크 센서(126) 그리고 차속 센서(122), 조향각 센서(124) 및 토크 센서(126)가 감지하는 각각의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전자 제어 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120), 전자 제어 장치(120)로부터 전해지는 제어 신호로 보조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130) 및 모터(130)에서 발생한 보조 동력을 랙바(118)에 전달하는 전동장치(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자동차의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는 조향 휠(102)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토크가 랙-피니언 기구부를 거쳐서 랙바(118)에 전달되고, 토크에 따라 모터에서 발생한 보조 동력이 전동장치에 의해 볼 스크류부(150)를 거쳐서 랙바(118)에 전달되도록 형성된다. 즉, 조향 계통(100)에서 발생한 토크와 모터(130)에서 발생한 보조 동력이 합쳐져서 랙바(118)를 축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조향 휠(102)의 토크, 차량의 속도, 조향각 정보로부터 전자 제어 장치(120)에서 모터 제어전류를 산출하고 모터(130)에 실제로 흐르는 전류 값을 검출하여, 산출한 모터 제어전류와 실제 모터의 전류를 비교하여 그 차이만큼의 전류를 모터(130) 로 전달해서 모터(130)를 구동하여 운전자의 조향 조작을 보조한다. 운전자가 조향 휠(102)에 토크를 크게 가할수록 운전자의 조향 조작을 보조하기 위하여 모터(130)에 전달되는 전류는 증가하게 된다.
자동차의 조향모드는 운전자의 조향 조작에 따라 일반 조향모드와 최대 조향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 장치에는 일정범위의 한도내에서 조향조작이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어, 일반 조향모드에서는 운전자가 조향장치의 조향한도내에서 조향조작을 하는 것을 의미하며, 최대 조향모드에서는 운전자가 풀턴(Full turn)으로 조향조작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최대 조향모드에서의 조향각은 운전자가 유턴이나 주차를 할 때 필요한 차량의 회전반경과 직접적인 연관을 갖는다. 즉, 최대 조향모드에서 풀턴으로 조향 휠을 조작하였을때 형성되는 최대 조향각의 크기가 클수록 차량 앞바퀴의 사이각 크기도 커져서 차량의 회전반경은 줄어드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 운행의 기동성은 최대 조향모드에서의 조향각이 크면 클수록 높아진다.
이러한 최대 조향모드에서의 조향 조작은 겨울철에 스노우 체인을 타이어에 장착한 상태에서 최대 조향각이 타 부품과의 간섭 또는 안정성을 이유로, 스노우 체인을 장착하지 않은 경우의 최대 조향각보다 작도록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겨울철 스노우체인이 장착되는 경우에 최대 조향각을 통상적인 상태로 유지하면 스노우체인의 두께(높이)로 인하여 타이어와 타 부품간에 간섭이 발생될 수 있고, 스노우체인 장착으로 인하여 타이어와 지면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므로, 큰 조향각이 발생되는 경우 차량 전체 및 조향장치에 인가되는 하중이 지나치게 증가 되어 고장 등을 일으킬 소지가 있어 통상적인 상태의 최대 조향각보다 작게 설정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한편, 겨울철 스노우체인을 장착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연중 내내 최대 조향각을 낮게 설정하면, 이는 통상적인 상태에서의 주행 성능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즉, 스노우체인 장착에 따른 최대 조향각 제어가 필요한 경우는 겨울철 눈과 얼음으로 인하여 도로사정이 일시적으로 악화되는 경우에 한정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최대 조향각도를 불필요하게 제한하여 차량을 운행하게 된다는 점에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스노우체인 장착시에만 스노우체인의 두께만큼 랙바의 스트로크를 제한하여 최대 조향각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스토퍼 사이의 길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기어를 추가하여 랙바의 스트로크를 조절하도록 하였다. 이런 경우 직접적인 조향장치의 구조 변경을 요구하는 작업을 유발하여, 스노우체인을 설치할 때마다 번거롭게 기어를 조작하여 랙바의 스트로크를 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VRS(Variable Rack Stroke) 시스템으로 조향각을 높여 운전자의 기동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있다. VRS 시스템은 겨울철 타이어체인 장착을 위하여 사륜구동 차량의 앞바퀴 안쪽에 확보되어 있는 공간을 활용하여, 조향장치의 랙바의 스트로크를 스노우체인의 장착 유무에 따라 변화시켜 줌으로써 앞바퀴의 최소 회전반경을 줄여주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이러한 VRS 시스템은 고가의 설치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와 로직(Logic)만 추가하여 랙바의 스트로크를 조절하도록 하여,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구조 변경 없이 조향각의 크기를 조절하는 전자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그 주된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향축 및 모터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있어서, 조향축의 하단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조향 조작에 의한 회전 운동에 따라 직선 운동을 하는 랙바(Rackbar)를 포함하는 기어박스(GearBox); 및 모터를 제어하며, 스노우체인의 장착여부를 감지하여 온/오프 되는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를 구비하고, 스노우체인의 장착으로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가 작동하면 운전자의 조향 조작에 의한 조향각이 설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조향각이 설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모터에 전달하는 전류를 제어하여 랙바의 스트로크를 조절하는 전자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를 이용하여 랙바의 스트로크를 조절하는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 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제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전자 제어 장치(120)는 각 센서와 스위치로부터 전해지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조향력을 보조하는 모터(130)를 제어한다. 도 2에 도시된 차속 센서(122), 조향각 센서(124) 및 토크 센서(126)는 각각 차속을 감지하고, 조향각을 감지하며, 운전자가 조향 휠에 가하는 토크를 감지하여 전자 제어 장치(120)로 관련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220)가 스노우체인의 장착을 인식하여 온으로 작동되면 전자 제어 장치(120)는 운전자의 조향 조작에 의한 조향각이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운전자의 조향 조작에 의한 조향각이 설정값 이상이면 전자 제어 장치에서는 모터(130)의 조향력 보조 기능이 차단되거나 감소되도록 제어한다.
전자 제어 장치(120)는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220)가 작동되면 다수의 센서에 의한 조향각 정보를 설정값과 비교하는 연산 수단(210) 및 조향각 정보가 설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모터(130)에 전달하는 전류를 감소시키거나, 차단하거나, 역방향 전류를 인가하는 제어 수단(212)으로 이루어진다.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220) 설정은 별다른 구조변경이나 장비의 투입없이 로직(Logic)을 이용하여 할 수 있다.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220)가 스노우체인의 장착을 감지하는 방식은 기계적인 스위치 방식이 일반적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노우체인 장착에 따라 타이어 높이가 변경되거나 무게가 변경되는 것을 감지하는 방식이나, 소음을 감지하는 방식 등 여러 가지 방식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조향장치에서는 스노우체인을 설치하는 경우를 감안해서 앞바퀴의 조향각도를 설정하는데 비하여,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220)를 구비하는 경우 평소에는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220)를 오프시켜 스노우 체인이 장착될 수 있는 범위만큼 운전자의 조향조작을 전달하는 랙바의 스트로크가 커지도록 하고, 겨울에 스노우 체인을 장착하는 경우에만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220)를 작동시켜 조향각 범위를 제한하여 차량을 운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노우체인 스위치(220)가 오프된 경우에는 운전자의 조향 휠 조작에 의한 조향각의 범위가 -600도에서 +600도까지 가능하고, 스노우체인이 장착되어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220)가 켜지는 경우에는 조향각의 범위는 -540도에서 +540도로 제한된다. 운전자의 조향 휠 조작으로 조향각이 설정값인 ±540도를 벗어나게 되면 전자 제어 장치(120)에서는 모터(130)의 조향력 보조기능을 차단한다. 여기서, 스노우체인 미장착시의 최대 조향각인 -600도에서 +600도나, 스노우체인 장착시 제어 기준이 되는 최대 조향각인 -540도에서 +540도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기타 다른 각도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를 이용하는 랙바의 스트로크 조절방법의 흐름도이다.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에서 타이어에 스노우체인이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310). 일반적인 차량의 최대 조향각 설정과는 달리 타이어에 스노우체인 을 장착하지 않은 상태를 기준으로 최대 조향각을 설정하기 위해서, 스노우체인의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또한 타이어에 스노우체인을 장착한 상태에서 랙바의 스트로크를 스노우체인의 두께에 따른 타부품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한하여 조작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스노우체인이 장착되지 않으면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가 오프되고(S320), 운전자에 의하여 최대 조향각은 설정값의 제한없이 조향 조작된다(S330).
스노우체인 장착이 되지 않은 경우 차량이 가질 수 있는 최대 조향각은 차량의 회전반경을 감소시켜 운전자의 차량에 대한 기동성을 높인다. 즉, 최대 조향모드에서 최대 조향각의 크기가 클수록 차량 앞바퀴의 사이각 크기도 커져서 운전자가 유턴이나 주차를 할 때 필요한 차량의 회전반경이 줄어드는 것이다.
스노우체인이 장착되어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가 온되면(S340), 전자 제어 장치에서는 조향각 센서로 감지되는 운전자의 조향조작에 의한 조향각이 설정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50).
운전자의 조향 휠 조작에 의한 조향각이 설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전자 제어 장치에서는 모터의 조향 보조기능을 차단한다(S360).
여기서 모터의 조향 보조기능을 차단한다는 것은, 조향 보조를 위하여 모터로 인가되는 전류를 감소시키거나 차단하는 것은 물론, 설정값을 초과하는 조향 조작에 대하여 초과 조향각 또는 초과 토크에 비례하는 역전류값을 모터로 인가하여 강제로 조향 휠을 정지시키는 구성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스노우체인이 타이어에 장착되면, 운전자가 최대 조향모드로 조향 휠을 조작하는 경우 랙바의 스트로크가 스노우체인의 두께에 따른 타부품과의 간섭을 일으킬 수 있어서, 전자 제어 장치의 제어로 이를 방지하는 것이다. 조향각이 설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전자 제어 장치에서는 모터의 조향력 보조기능을 차단하여 타부품과의 간섭으로 인한 조작불량을 방지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랙바의 스트로크 조절장치는 스노우체인의 장착여부에 따라 조향시 랙바의 스트로크를 제어할 수 있어 스노우체인이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최대의 조향각을 확보하여 차량을 운행하되, 스노우체인 장착시에만 최대 조향각을 감소시킴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와 로직만을 이용하여 차량에 직접적인 구조변 경을 가하는 경우보다 저가의 경비로 랙바의 스트로크 조절을 운용할 수 있다.

Claims (2)

  1. 조향축 및 모터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향축의 하단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조향 조작에 의한 회전 운동에 따라 직선 운동을 하는 랙바(Rackbar)를 포함하는 기어박스(GearBox); 및
    상기 모터를 제어하며, 스노우체인의 장착여부를 감지하여 온/오프 되는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노우체인의 장착으로 상기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가 작동하면 상기 운전자의 조향 조작에 의한 조향각이 설정값 이상인지를 판단하여, 상기 조향각이 설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상기 모터에 전달하는 전류를 제어하여 상기 랙바의 스트로크를 조절하는 전자제어장치;
    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제어장치는 상기 조향각이 설정값 이상으로 판단되면 조향 보조 전류값을 감소시키는 제1방식, 조향 보조 전류값을 차단하는 제2방식, 설정값을 초과하는 조향 각도 또는 조향 토크에 비례하는 역방향 전류를 인가하는 제3방식 중 하나 이상에 따라 상기 모터에 전달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전기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
  2. 삭제
KR1020060079568A 2006-08-22 2006-08-22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를 이용하는 랙바의 스트로크조절방법, 장치 및 그를 위한 전자 제어 장치 KR101104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568A KR101104512B1 (ko) 2006-08-22 2006-08-22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를 이용하는 랙바의 스트로크조절방법, 장치 및 그를 위한 전자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9568A KR101104512B1 (ko) 2006-08-22 2006-08-22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를 이용하는 랙바의 스트로크조절방법, 장치 및 그를 위한 전자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846A KR20080017846A (ko) 2008-02-27
KR101104512B1 true KR101104512B1 (ko) 2012-01-12

Family

ID=39385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9568A KR101104512B1 (ko) 2006-08-22 2006-08-22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를 이용하는 랙바의 스트로크조절방법, 장치 및 그를 위한 전자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5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231B1 (ko) * 2008-10-27 2010-08-11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일체형 가변 랙 스트로크 제어 장치
CN103847787B (zh) * 2012-11-29 2017-06-23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电动转向系统的控制方法
CN110104058B (zh) * 2019-04-26 2024-06-11 淮阴工学院 一种基于电磁直线执行器的汽车助力转向系统
EP3909830A1 (en) * 2020-04-20 2021-11-17 KA Group AG Enhanced driving control system for snowmobil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217A (ko) * 2000-11-24 2002-05-30 밍 루 차량용 나사 기어식 가변 조향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0217A (ko) * 2000-11-24 2002-05-30 밍 루 차량용 나사 기어식 가변 조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7846A (ko) 2008-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6363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 steering apparatus
US8364347B2 (en) Left-right independent steering device for steering left and right wheels independently
JP3521249B2 (ja) 自動車の舵取り装置
KR102389170B1 (ko) 조향 보조 모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US7703571B2 (en) Determination of the absolute position of a steering system through a linear sensor on the rack
KR101477855B1 (ko) 전동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감속기
KR100767185B1 (ko) 차량의 조향각 보정 장치 및 방법
CN106218710B (zh) 一种汽车转向系统
KR101104512B1 (ko) 스노우체인 감지 스위치를 이용하는 랙바의 스트로크조절방법, 장치 및 그를 위한 전자 제어 장치
WO2008059731A1 (fr) Dispositif de direction de véhicule
KR20150051596A (ko) 전기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의 전자 제어 유닛 및 전자 제어 유닛의 조향 보조 동력 제어방법
KR101896313B1 (ko) 가변 랙 스트로크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 제어장치 및 방법
CN1696000A (zh) 电动机驱动的助力转向系统
US2019027048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urning steerable vehicle wheels
KR100651144B1 (ko)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1697201B1 (en) Method and computer product in a steer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KR100854765B1 (ko) 인터락 회로를 이용하는 모터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628128B1 (ko) 차량용 전동식 파워 스티어링 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10062635A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 장치
KR101148591B1 (ko) 자동차의 충격 조향모드에서 과전류를 방지하는 모터제어방법 및 장치
KR20070104054A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 시스템의 스티어링 휠 턴수 가변장치
KR101189627B1 (ko) 스티어 바이 와이어 조향장치
KR20070065579A (ko) 차량의 조향장치
KR100738398B1 (ko) 자동차의 능동 전륜 조향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569070B1 (ko) 능동 가변형 랙스트로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5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08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