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04072B1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4072B1
KR101104072B1 KR1020090132622A KR20090132622A KR101104072B1 KR 101104072 B1 KR101104072 B1 KR 101104072B1 KR 1020090132622 A KR1020090132622 A KR 1020090132622A KR 20090132622 A KR20090132622 A KR 20090132622A KR 101104072 B1 KR101104072 B1 KR 101104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holder
cover plate
housing
stato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2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6031A (ko
Inventor
최홍식
신용환
Original Assignee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리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리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2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4072B1/ko
Publication of KR20110076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6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4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4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38Brush holders
    • H01R39/385Means for mechanical fixation of the brush hold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3/00Structural associations of current collectors with motors or generators, e.g. brush mounting plates or connections to windings; Disposition of current collectors in motors or generators; Arrangements for improving commutation
    • H02K13/006Structural associations of commu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이 있는 중공 통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회전자와 고정자,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끼워지는 금속재의 덮개판,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판에 대향하여 결합하는 브러시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브러시 홀더의 중앙에는 축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 관통홀의 내측 테두리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판에는 상기 이웃하는 슬릿 사이의 지지부에 접촉하는 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르면 덮개판 중앙부에서의 진동을 억제함으로써 모터 작동시 덮개판의 진동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모터, 브러시, 홀더, 덮개판, 정류자, 회전자, 고정자, 돌출, 진동

Description

모터{A MOTOR}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으로서, 브러시의 진동에 의한 모터의 소음 및 진동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는 자동차용 공조기기, 사무 자동화 기기, 및 음향영상기기 등 광범위한 영역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작동시 발생하는 소음을 줄여서 주변 환경을 정숙하게 할 것이 요구된다.
종래의 일반적인 모터 구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그 개략적인 구성을 기술하면 아래와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모터(1)는 하우징(2)과 덮개판(3)를 포함하는 케이스(4), 상기 케이스(4)의 내주면에 설치된 고정자(5), 상기 케이스(4)의 내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된 회전자(6), 베어링(7,8)을 통해 상기 케이스(4)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회전축(9), 상기 회전자(6)에 설치된 정류자(10), 상기 정류자(10)에 미끄럼이 가능하게 설치된 브러시(11), 및 덮개판(3)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시(11)를 지지하는 브러시 홀더(12)를 포함한다.
그런데, 상기 모터(1)의 회전자(6)가 회전하면 브러시(11)와 정류자(10)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브러시(11)가 진동하여 덮개판(3)이 떨림으로써 모터(1)의 기계적 소음이 크게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브러시의 진동으로 인한 소음을 줄여서 정숙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바닥이 있는 중공 통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회전자와 고정자,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끼워지는 금속재의 덮개판,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판에 대향하여 결합하는 브러시 홀더를 포함하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홀더의 중앙에는 축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 관통홀의 내측 테두리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판에는 상기 이웃하는 슬릿 사이의 지지부에 접촉하는 돌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슬릿은 브러시 홀더의 축 관통홀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판의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자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홈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돌부가 등간격으로 형 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브러시 홀더의 슬릿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그 바닥부에 상기 슬릿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판의 이웃하는 돌부와 돌부 사이에는 조립시 상기 원형 홈에 결합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끼움돌기와 원형 홈은 축 관통홀의 직경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는 고정자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자를 대향하는 브러시 홀더의 단면(端面)에는 제1돌출결합부가 형성되어, 조립시 상기 고정자의 상기 브러시 홀더와 대향하는 단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브러시 홀더의 제1돌출결합부는 상기 고정자의 단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러시 홀더의 외주면에는 제2돌출결합부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어, 조립시 상기 제2돌출결합부가 하우징의 내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브러시 홀더의 중앙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판에는 상기 이웃하는 슬릿 사이의 지지부에 접촉하는 돌부가 형성되어 있어 덮개판 중앙부에서의 진동을 억제함으로써 덮개판의 진동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고정자에 대향하는 브러시 홀더의 단면(端面)에는 제1돌출결합부 가 형성되어, 조립시 상기 고정자의 상기 브러시 홀더와 대향하는 단면에 접촉하므로 브러시 홀더의 진동을 고정자에 전달함으로써 실제 덮개판에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 홀더의 외주면에 제2돌출결합부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조립시 상기 제2돌출결합부가 하우징의 내면에 접하도록 하여 브러시 홀더로부터 발생하는 진동을 하우징이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실제 덮개판에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정숙한 작동이 가능한 모터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와 도 5는 각각 도 3에서 브러시 홀더와 덮개판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관련된 모터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20)는 내주면(21)에 고정자(22)가 설치된 케이스(23), 상기 케이스(23) 내에 설치되는 회전자(24), 상기 회전자(24)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케이스(23)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25), 및 상기 회전축(25)을 회전 지지하는 베어링(26)(27)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23)는 바닥이 있는 중공의 통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내부에 회전자(24)가 설치되는 하우징(28)과, 상기 하우징(28)의 개구부(29)에 끼워지는 덮개판(3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8)은 일반적으로 금속제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덮개판(30)은 금속제 또는 수지제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26)(27) 중 하나는 하우징(28)에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는 덮개판(30)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회전자(24)는 회전축(25), 전기자(31) 및 정류자(32)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축(25)은 모터의 중심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상기 전기자(31)는 회전축(25)에 설치되는 철심(33)에 코일(34)이 감겨진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정류자(32)는 코일(34)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미도시)를 포함하며, 그 외면에는 브러시(36)가 미끄럼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브러시(36)는 덮개판(30)에 설치되는 브러시 홀더(3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브러시 홀더(37)에는 접속단자(39)가 설치되어 있고, 브러시(36)는 접속단자(3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접속단자(39)의 단부는 덮개판(30)의 표면(40)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배선 등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접속단자(39)로부터 브러시(36)와 정류자(32)를 이용하여 전기자(31)의 코일(34)에 전류를 통하게 하면, 고정자(22)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자계 (磁界) 가운데 존재하는 회전자(24)에 회전력이 부여되어 회전자(24)가 회전 운동한다. 이것에 의해 모터는 회전축(25)의 출력부를 이용하여 소정의 장치를 구동한다.
다음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브러시 홀더(37)와 덮개판(30)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a)와 도 4(b)는 브러시 홀더(37)의 전방 및 후방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덮개판(30)의 전방 및 후방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판(30)에는 복수의 관통공(57)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관통공(57)은 바깥 테두리부(58)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덮개판(30)의 중앙부는 모터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부(47)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출부(47)의 반대면, 즉 코일을 감싸는 내면에는 베어링(27)이 수납되는 지지홈(48)이 형성되어 있다. 바깥 테두리부(58)의 부근에는 한 쌍의 장공(59)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덮개판(30)의 지지홈(48)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 돌부(3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부(35)는 후술하는 브러시 홀더(37)의 대향면에 접촉하는 부분이다.
한편, 브러시 홀더(37)는 그 바깥테두리의 부근에 배치되는 복수의 걸림부재(56)를 구비하고 있어, 상기 걸림부재(56)를 상기 관통공(57)에 끼움으로써 바깥 테두리의 부근에서 덮개판(30)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브러시 홀더(37)에는 상기 접속단자(39)의 단부가 설치되는 비교적 기다란 단자설치용 돌기(33)가 형성되어, 상기 장공(59)에 끼워져 흔들림 없이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브러시 홀더(37)의 중심에는 회전자(24)를 설치하기 위한 축 관통홀(6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축 관통홀(61)은 원형 외에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브러시 홀더(37)의 축 관통홀(61)의 내측 테두리(62)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슬릿(64)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둘레를 따라 8개 형성되어 있으나 그 갯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이웃하는 상기 슬릿(64)과 슬릿(64) 사이의 지지부(67)가 각각 개별적으로 상기 덮개판(30)의 돌부(35)와 접촉하기 때문에 개별적인 탄력지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브러시 홀더(37)의 슬릿(64)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그 바닥부에 상기 슬릿(64)의 폭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 홈(6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판(30)의 이웃하는 돌부(35)와 돌부(35) 사이에는 조립시 상기 원형 홈(66)에 결합하는 끼움돌기(3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끼움돌기(38)와 원형 홈(66)은 축 관통홀(61)의 직경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조립시 상기 끼움돌기(38)와 원형 홈(66)이 서로 결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지부(67)와 돌부(35)의 접촉이 한층 견고해진다.
또한, 상기 고정자(22)를 향하는 상기 브러시 홀더(37)의 단면(端面)에는 제1돌출결합부(71)가 형성되어, 상기 브러시 홀더(37)와 대향하는 상기 고정자(22)의 단면(72)에 강하게 접촉하게 되어 브러시 홀더(37)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고정 자(22)가 흡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브러시 홀더(37)의 제1돌출결합부(71)가 고정자(22)의 단면(72)에 형성된 끼움홈(72a)에 끼워지면 방진효과는 한층 상승하게 된다.
또한, 브러시 홀더(37)의 외주면에는 제2돌출결합부(73)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어, 브러시 홀더(37)가 하우징(28)에 끼워질 때 상기 제2돌출결합부(73)가 하우징(28)의 내면에 강하게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브러시 홀더(37)의 진동을 하우징(28)에 전달하는 것이 한층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모터(20)의 구동시 회전자(24)가 회전하면 정류자(32)와 브러시(36)의 접촉에 의해 브러시(36)가 진동하게 되고, 상기 브러시(36)의 진동에 의해 브러시 홀더(37)가 진동하며, 이 진동은 브러시 홀더(37)로부터 덮개판(30)에 전달되는데, 덮개판(30)의 중심 근방에서 덮개판(30)에 형성된 돌부(35)가 브러시 홀더(37)의 지지부(67)를 강하게 누르고 있으므로 덮개판(30)의 진동이 현저하게 저감된다.
또한, 브러시 홀더(37)의 진동이 무거운 금속제 하우징(28)과 고정자(22)에 전달되어 흡수되기 때문에 브러시 홀더(37)로부터 덮개판(30)으로 전달되는 진동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결국, 브러시(36)의 진동에 의한 덮개판(30)과 브러시 홀더(37)의 진동이 크게 줄어들어 모터(20)로부터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3a는 도 2의 전방 분해 사시도.
도 3b는 도 2의 후방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브러시 홀더를 나타내며, (a)는 전방 사시도, (b)는 후방 사시도.
도 5는 도 2에서 덮개판을 나타내며, (a)는 전방 사시도, (b)는 후방 사시도.
<주요 구성부호의 설명>
20... 모터
22... 고정자
24... 회전자
30... 덮개판
35... 덮개판의 돌부
37... 브러시 홀더
60... 축 관통홀
61... 축 관통홀의 내측 테두리

Claims (7)

  1. 바닥이 있는 중공 통상의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회전자와 고정자,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 끼워지는 금속재의 덮개판, 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판에 대향하여 결합하는 브러시 홀더를 포함하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홀더의 중앙에는 축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 관통홀의 내측 테두리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방사상으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판에는 상기 이웃하는 슬릿 사이의 지지부에 접촉하는 돌부가 형성되되,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고정자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자에 대향하는 브러시 홀더의 단면(端面)에는 제1돌출결합부가 형성되어, 조립시 상기 고정자의 상기 브러시 홀더와 대향하는 단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브러시 홀더의 축 관통홀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판의 중앙부에는 상기 회전자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홈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돌부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홀더의 슬릿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그 바닥부에 상기 슬릿의 폭 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원형 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덮개판의 이웃하는 돌부와 돌부 사이에는 조립시 상기 원형 홈에 결합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돌기와 원형 홈은 축 관통홀의 직경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홀더의 제1돌출결합부는 상기 고정자의 단면에 형성된 끼움홈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홀더의 외주면에 제2돌출결합부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어, 조립시 상기 제2돌출결합부가 하우징의 내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KR1020090132622A 2009-12-29 2009-12-29 모터 KR101104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622A KR101104072B1 (ko) 2009-12-29 2009-12-29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2622A KR101104072B1 (ko) 2009-12-29 2009-12-29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031A KR20110076031A (ko) 2011-07-06
KR101104072B1 true KR101104072B1 (ko) 2012-01-12

Family

ID=44915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2622A KR101104072B1 (ko) 2009-12-29 2009-12-29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40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2220B1 (ko) * 2017-09-27 2019-03-26 우리산업 주식회사 Dc 모터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572A (ja) * 1993-07-15 1995-01-31 Fujitsu Ltd ネットワークの監視情報の通信回路
KR200150557Y1 (ko) 1994-12-08 1999-07-01 전성원 모터의 브러시 장착용 구조물
KR20010050557A (ko) * 1999-09-29 2001-06-15 타이도 나오카타 아졸 유도체 또는 그의 염
JP2002142413A (ja) * 2000-10-31 2002-05-17 Mabuchi Motor Co Ltd 小型モータ
JP2006149020A (ja) 2004-11-17 2006-06-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572A (ja) * 1993-07-15 1995-01-31 Fujitsu Ltd ネットワークの監視情報の通信回路
KR200150557Y1 (ko) 1994-12-08 1999-07-01 전성원 모터의 브러시 장착용 구조물
KR20010050557A (ko) * 1999-09-29 2001-06-15 타이도 나오카타 아졸 유도체 또는 그의 염
JP2002142413A (ja) * 2000-10-31 2002-05-17 Mabuchi Motor Co Ltd 小型モータ
JP2006149020A (ja) 2004-11-17 2006-06-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6031A (ko)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8419B1 (ko) 외측회전자형 브러시레스 dc전동기
US8552605B2 (en) Dynamo-electric machine
EP1202436B1 (en) Miniature electric motor with reduced noise emission
EP3001546B1 (en) An axial flux electrical machine bearing mount system and methods
CN108075583B (zh) 一种外转子电机及应用该电机的滚刷吸尘器
EP3456977B1 (en) Blower device
JP4705122B2 (ja) モータおよび送風ファン
KR101024312B1 (ko) 브러시리스 모터의 코어 어셈블리 지지구조
KR20120094771A (ko) 내전형 bldc 모터
JP2014171365A (ja) ステータ、電動モータ、及び減速機付モータ
KR101104072B1 (ko) 모터
KR101216588B1 (ko) 아웃로터형 팬 모터
EP3456976B1 (en) Blower device
KR101463817B1 (ko) 모터 및 팬-모터 조립체
JP2022159167A (ja) ブラシ付きモータ及び電気製品
JP5250069B2 (ja) モータおよび送風ファン
JPH0847203A (ja) 電動機の回転子
KR20140145996A (ko) 전기 모터
CN113675985B (zh) 旋转电机及风机
JPH07163117A (ja) アウターロータ型ブラシレスdcモータ
JP2019057967A (ja) ハウジング取付ユニット、モータ、および送風装置
JP2019054599A (ja) 送風装置
KR100564521B1 (ko) 회전 전기기계
KR101265778B1 (ko) 브러시레스 직류 모터
JP2023013114A (ja) ファ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1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04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