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03820B1 - 증기발생기 2차측 듀얼타입 랜싱장치 - Google Patents

증기발생기 2차측 듀얼타입 랜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3820B1
KR101103820B1 KR1020090088700A KR20090088700A KR101103820B1 KR 101103820 B1 KR101103820 B1 KR 101103820B1 KR 1020090088700 A KR1020090088700 A KR 1020090088700A KR 20090088700 A KR20090088700 A KR 20090088700A KR 101103820 B1 KR101103820 B1 KR 101103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generator
guide rail
cleaning robot
rail
lancing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8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1000A (ko
Inventor
박정민
김철효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8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3820B1/ko
Priority to US12/613,639 priority patent/US8468981B2/en
Priority to EP09014222.5A priority patent/EP2299173B1/en
Priority to CN2009101801928A priority patent/CN102019279B/zh
Priority to JP2009261425A priority patent/JP5070267B2/ja
Publication of KR20110031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1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3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382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8Devices or arrangements for removing water, minerals or sludge from boilers ; Arrangement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 F22B37/483Devices or arrangements for removing water, minerals or sludge from boilers ; Arrangement of cleaning apparatus in boilers; Combinations thereof with boilers specially adapted for nuclear steam generator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5/00Cooling arrangements within the pressure vessel containing the core; Selection of specific coo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00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 F28G1/16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 F28G1/166Non-rotary, e.g. reciprocated, appliances using jets of fluid for removing debris from external surfaces of heat exchange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GCLEANING OF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OF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CONDUITS, e.g. WATER TUBES OR BOILERS
    • F28G15/00Details
    • F28G15/02Supports for cleaning appliances, e.g. fram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Nuclear Rea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홀 양방향에서 2대의 가이드 레일과 세정로봇을 설치하여, 증기발생기 중심부에서부터 각각의 세정로봇이 침적물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침적물이 반대편으로 넘어가는 현상을 제거하여 침적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한 랜싱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증기발생기 2차측 듀얼타입 랜싱장치{DUAL TYPE EQUIPMENT FOR WATER JET CLEANING ON THE TOP OF THE TUBE SHEET OF STEAM GENERATOR IN NUCLEAR POWER PLANT}
본 발명은 듀얼타입 랜싱장치에 관한 것으로, 핸드홀 양방향에 2대의 가이드 레일과 세정로봇을 설치하여, 증기발생기 중심부에서부터 양 방향으로 각각의 세정로봇이 침적물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침적물이 반대편으로 넘어가는 현상을 제거하여 침적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듀얼타입 랜싱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자력 발전소 증기발생기는 원자로에서 생성된 열에너지를 열교환을 통하여 터빈/발전기를 구동하는 증기를 생산하는 기능과 외부로의 방사능 누출을 막아주는 압력 경계 역할을 수행하는 원자력 발전소 주요 설비이다.
원자력 발전소에서는 우라늄의 핵분열 시 발생하는 열로 물을 가열하여 발생한 증기의 힘으로 터빈을 회전시키고 이 회전력으로 발전기를 돌려 전기를 생산한다. 증기 발생기의 내부는 전열관에 조밀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전열관의 내부로는 방사능에 오염된 고온의 물이 흐르고 외부에는 오염되지 않은 저온의 물이 흐르면서 열 교환이 일어나 오염되지 않은 물이 고온 고압의 증기로 변환되며, 이 증기의 힘으로 터빈 및 발전기를 회전시켜 발전한다.
그런데 이 증기 발생기의 내부에는 운전 경과 년수에 따라 슬러지가 축적되어 증기 발생기 내부 전열관의 열효율을 저하시키고 전열관의 손상을 초래하여 증기 발생기 전체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슬러지의 성분은 주로 산화철, 산화구리로서 제거하지 않으면 응집되어 전열관 사이에 고착되고, 열 응력을 발생하며, 슬러지가 물과 함께 유동하면서 전열관을 마모시키기도 한다.
이렇게 증기 발생기의 수명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슬러지의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증기 발생기의 운전 중에 내부의 냉각수를 일정량 밖으로 방출하기 위한 설비 및 운전절차를 가지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이러한 방법만으로는 슬러지가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않고 계속적으로 침적되는 현상이 발견되고 있다.
따라서 증기 발생기 내부를 효과적으로 세정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며, 또한 증기 발생기 내부를 세정하는데 소요되는 72시간의 작업시간을 감소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마련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증기발생기 중심부로부터 양방향으로 세정 수행을 행하는 랜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핸드홀 양방향에 2대의 가이드레일과 세정로봇을 설치하여, 증기발생기 중심부에서부터 2개의 세정로봇이 침적물을 제거하도록 함으로써 침적물이 반대편으로 넘어가는 현상을 제거하여 침적물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랜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증기발생기 2차측 듀얼타입 랜싱장치는, 증기발생기 하부 일측에 형성된 제1개구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개구부로부터 고정지지봉 사이에 형성되며, 양 단이 마운트 플랜지와 레일 스탠더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세정로봇을 포함하여 형성된 제1랜싱부; 및 증기발생기 하부 타측에 형성된 제2개구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2개구부로부터 고정지지봉 사이에 형성되며, 양 단이 마운트 플랜지와 레일 스탠더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제2가이드레일과, 상기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세정로봇을 포함하여 형성된 제2랜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 플랜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증기발생기의 핸드홀에 결합되고, 타단은 가이드레일의 일단을 고정하며, 상기 레일스탠더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봉형상의 부재로, 고정지지봉을 중심으로 양 측에 수직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 1 직류 서보 모터 축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제 1 미터기어와, 상기 제 1 미터기어와 연결되어 회전하되 상하위치로 형성된 한쌍의 스퍼기어, 및 상기 상단에 위치한 스퍼기어축에 형성되어 가이드레일과 치합되는 랙기어를 포함하여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직류 서보 모터 축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제 2 미터기어와 상기 제 2 미터기어의 하단에 형성되며, 반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로봇미터기어를 포함하여 세정로봇을 회전시키는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세정로봇의 노즐부 끝단에 형성된 노즐; 상기 노즐 후단에는 카메라 및 램프가 설치되며,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과 제1 및 제2 세정로봇은 더브테일(dove tail)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1 및 제2 세정로봇은 원격제어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발생기 2차측 듀얼타입 랜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기 2차측 듀얼타입 랜싱장치는 두개의 세정로봇이 동시에 세정을 시행하기 때문에 세정시간이 단축된다는 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기 2차측 듀얼타입 랜싱장치는 원자력 발전소 모든 종류의 증기발생기에 적용가능하여 호환성이 높다는 점에서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기 2차측 듀얼타입 랜싱장치는 원격제어가 가능하며, 세정로봇에 설치된 램프 및 카메라를 통하여 위치 및 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효율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의 서술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한 것으로,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기를 도시한다.
상기 증기발생기(10)는 원자로에서 생성된 열에너지를 열교환을 통하여 터빈발전기를 구동하는 증기를 생산하는 기능과 외부로의 방사능 누출을 막아주는 압력 경계 역할을 수행하는 원자력 발전소 주요 설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기 2차측 듀얼타입 랜싱장치는 상기 증기발생기(10)의 튜브 시트 상부에 침적된 산화철을 주기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으로, 상기 증기발생기의 개구부를 통하여 증기발생기 내측에 형성된 양쪽 핸드홀에 가이드 레일과 세정로봇을 포함한 랜싱장치를 설치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에 결합된 세정로봇이 이동하면서 고압의 세정수를 분사하여 바닥물의 침적물을 제거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핸드홀에서 중심부까지 가이드레일 및 세정로봇을 형성한 제 1 랜싱장치와, 반대편 핸드홀에서 중심부까지 가이드레일 및 세정로봇을 형성한 제 2 랜싱장치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 1 랜싱장치 및 제 2 랜싱장치는 그 구성 및 구동방법이 동일하여 하나의 랜싱장치에 대해서 서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레일에 결합된 세정로봇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레일에 세정로봇이 결합된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기 2차측 듀얼타입 랜싱장치(100)는 상기 증기발생기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20)에 형성된 양쪽 핸드 홀(21)에 마운트 플랜지(22)를 구비하고, 상기 증기발생기 중앙부에 2개의 레일 스탠더(23)를 형성한다.
상기 마운트 플랜지(22)의 일단은 증기발생기 핸드홀(21) 상단에 고정되고 상기 마운트 플랜지(22)의 타단은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가이드레일의 일단을 고정하고, 상기 레일 스탠더(23)는 가이드레일의 타단을 지지하기 위한 봉형상의 부재로 고정 지지봉(23)을 중심으로 양 측에 수직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 스탠더(23)와 마운트 플랜지(22) 상단에 고정형성된 제1가이드레일 및 제 2가이드레일에 세정로봇을 2개 이상 설치함으로써 증기발생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2대의 랜싱장치가 동시에 세정을 수행하여 종래의 작업시간을 반으로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로봇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5는 세정로봇의 이송부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노즐부의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로봇은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이동이 가능하고, 또한 노즐이 회전하여 침적물을 세정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바, 이를 중점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세정로봇(200)은 이송부 및 노즐부로 구성되며, 이송부는 세정로봇(200)을 가이드 레일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노즐부는 세정로봇(200)이 왕복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우선, 세정로봇의 이송부는 상기 세정로봇(200)이 제 1 직류 서보 모터(210)에 의해 구동되어 가이드 레일(30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직류 서보 모터(211) 축에 장착된 제 1 미터기어(212)와 상기 제 1 미터기어(212)에 맞물려 구동하되 상하로 위치한 한쌍의 스퍼기어(211)가 서로 맞물려 회전한다.
상기 상측에 위치한 스피어기어(211)와 같은 축에 위치하여 구동력을 전달받은 랙기어(310)가 상기 가이드 레일(300)를 따라 맞물려 회전하면서 세정로봇을 전후방향으로 움직이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세정로봇(200)은 제 2 직류 서보 모터(220)에 의해 구동되어 노즐(250)이 회전하여 침적물을 세정하도록 한다. 상기 세정로봇(200)에 형성된 노즐(250)은 약 250bar의 세정수가 토출되며 세정을 위하여 다수개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로 세정로봇(200)에 3개의 노즐(250)이 2열로 배열되며, 노즐(250)의 회전 각도는 약 ±74도 내지 ±85도이다.
상기 세정로봇의 노즐부는 상기 이송부 내부에 안착되는 제 2 직류 서보 모 터(220)와, 상기 제 2 직류 서보 모터의 축에 장착된 제 2 미터기어(221)와, 상기 제 2 미터기어(221) 하단에 위치하며 제 2 미터기어(221)와 맞물려 구동하는 로봇미터기어(222)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로봇미터기어(222)는 반 원주 방향으로 장착되어 상기 제 2 미터기어(221)와 서로 맞물려 세정로봇의 몸통은 원주방향으로 이동하고 노즐을 통하여 고압수를 분사한다.
또한, 상기 세정로봇의 로봇미터기어(222)와 연결되는 세정로봇 몸통 끝단 일면에는 노즐을 형성되고, 상기 노즐 후단에는 카메라 및 램프가 설치된다. 또한, 노즐부에 세정고압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공급호스(미도시)가 연결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세정로봇의 로봇 미터기어(222)의 양측면으로 다수개의 부싱이 형성하여 이송부 및 노즐부를 구동하는 모터등을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부싱(230)표면에 가이드 피스(GUIDE PIECE)를 형성하여, 상기 이송부를 포함하는 세정로봇의 몸통과 더브테일 방식으로 결합시킨다. 상기와 같이 더브테일(dove tail) 방식으로 결합시켰을 때는 그 결합력이 강하여 분리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결합이 간단하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정로봇(200)과 가이드 레일(300) 역시 더브테일(dove tail) 방식으로 결합한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세정로봇은 증기 발생기 하부 양방향 개구부에 각각 형성되어 2대의 세정로봇을 동시에 제어 가능하기 때문에, 세정 시간이 상당히 단축되고 단방향 세정시 침적물이 반대로 넘어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다는 점에서 그 기술적 효과는 매우 크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기 2차측 듀얼타입 랜싱 장치는 원격제어 및 현장 제어시스템을 구비하여 작업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바,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격제어부는 세정로봇의 운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원자력 발전소 격납용기 외부에 설치된 현장 수행용 사무실에 설치되어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원격제어부는 세정로봇의 동작 정보 및 비디오 정보를 현장 제어 시스템에서 받아 작업자에 제공한다.
원격제어를 위하여, 상기 세정로봇(200)의 노즐(250) 후단에 추가적으로 카메라(240)와 램프(미도시)를 포함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기록된 증기발생기 내부에서 분사 및 세정로봇의 움직임은 테이블화하여 모니터에 표시되며 구체적으로, 세정로봇의 위치와 세정로봇의 노즐 회전 각도의 값 등을 표시하여 작업자에게 제공된다.
상기 카메라는 일 실시 예로 내시경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제어부와 원격제어부에 의해 세정로봇 운전을 제어하며, 침적물 처리부에 설치된 고압 펌프에 의해 세정 고압수가 공급호스를 통해 상기 세정로봇 노즐까지 전달되어 증기발생기 전열관 사이로 토출되도록 한다.
증기발생기 양방향 원주 외곽으로 쓸려나간 침적물은 회수펌프 및 호스를 통해 다시 침적물 처리부로 보내어지며 이는 필터에 의해 침적물만 걸러지고 다시 깨끗한 세정수로 바뀌어 고압펌프를 통해 로봇에 전달되는 폐순환 운전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기 2차측 듀얼타입 랜싱장치는 증기 발생기 하부 양방향 2대의 세정로봇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세정 시간을 단축시키고, 아울러 단방향 세정시 침적물이 반대로 넘어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술적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기 2차측 듀얼타입 랜싱장치는 원격제어 및 및 현장제어가 가능하여 세정로봇의 세정 위치 및 노즐 회전 각도를 파악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킨다는 점에서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증기발생기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레일에 결합된 세정로봇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 레일에 세정로봇이 결합된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로봇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면 부호*
10 : 증기발생기
20 : 양쪽 개구부 21 : 핸드홀 22 : 마운트 플랜지
23 : 레일 스탠더
100 : 랜싱장치 200 : 세정로봇
210 : 제 1 직류 서보 모터 211 : 스퍼기어
212 : 제 1 미터 기어
220 : 제 2 직류 서보 모터 221 : 제 2 미터 기어
222 : 로봇 미터 기어 230 : 부싱
240 : 카메라 250 : 노즐
300 : 가이드 레일 310 : 랙기어

Claims (5)

  1. 증기발생기 하부 일측에 형성된 제1개구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1개구부로부터 고정지지봉 사이에 형성되며, 양 단이 마운트 플랜지와 레일 스탠더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세정로봇을 포함하여 형성된 제1랜싱부; 및
    증기발생기 하부 타측에 형성된 제2개구부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제2개구부로부터 고정지지봉 사이에 형성되며, 양 단이 마운트 플랜지와 레일 스탠더에 의해 지지되도록 형성되는 제2가이드레일과, 상기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제2세정로봇을 포함하여 형성된 제2랜싱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운트 플랜지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은 증기발생기의 핸드홀에 결합되고, 타단은 가이드레일의 일단을 고정하며,
    상기 레일 스탠더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지지하기 위한 봉형상의 부재로, 고정지지봉을 중심으로 양 측에 수직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증기발생기 2차측 듀얼타입 랜싱장치.
  2. 삭제
  3.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세정로봇은,
    제 1 직류 서보 모터 축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제 1 미터기어와, 상기 제 1 미터기어와 연결되어 회전하되 상하위치에 형성된 한쌍의 스퍼기어, 및 상기 한쌍의 스퍼기어 중 상측에 위치한 스퍼기어의 스퍼기어축에 형성되어 가이드레일과 치합되는 랙기어를 포함하며 가이드 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 내부 일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 2 직류 서보 모터 축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제 2 미터기어와 상기 제 2 미터기어의 하단에 형성되며, 반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는 로봇미터기어를 포함하여 세정로봇을 회전시키는 노즐부를 포함하며,
    상기 노즐부 끝단에는 노즐을 형성하고, 노즐 후단에는 카메라 및 램프를 포함하는 증기발생기 2차측 듀얼타입 랜싱장치.
  4.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과 제1 및 제2 세정로봇은 더브테일(dove tail)방식으로 결합되는 증기발생기 2차측 듀얼타입 랜싱장치.
  5. 청구항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세정로봇은 원격제어부를 구비하는 증기발생기 2차측 듀얼타입 랜싱장치.
KR1020090088700A 2009-09-18 2009-09-18 증기발생기 2차측 듀얼타입 랜싱장치 Active KR101103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700A KR101103820B1 (ko) 2009-09-18 2009-09-18 증기발생기 2차측 듀얼타입 랜싱장치
US12/613,639 US8468981B2 (en) 2009-09-18 2009-11-06 Dual type lancing device of secondary side of steam generator
EP09014222.5A EP2299173B1 (en) 2009-09-18 2009-11-13 Dual type lancing device of secondary side of steam generator
CN2009101801928A CN102019279B (zh) 2009-09-18 2009-11-16 蒸汽发生器二次侧对偶型清洗装置
JP2009261425A JP5070267B2 (ja) 2009-09-18 2009-11-17 蒸気発生器二次側デューアル型ランシング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8700A KR101103820B1 (ko) 2009-09-18 2009-09-18 증기발생기 2차측 듀얼타입 랜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1000A KR20110031000A (ko) 2011-03-24
KR101103820B1 true KR101103820B1 (ko) 2012-01-06

Family

ID=43063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8700A Active KR101103820B1 (ko) 2009-09-18 2009-09-18 증기발생기 2차측 듀얼타입 랜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68981B2 (ko)
EP (1) EP2299173B1 (ko)
JP (1) JP5070267B2 (ko)
KR (1) KR101103820B1 (ko)
CN (1) CN1020192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89909A (en) 2011-03-28 2012-10-17 Tube Tech Int Ltd Apparatus suitable for cleaning an exterior of tubes of a heat exchanger
KR101654362B1 (ko) * 2014-11-04 2016-09-06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증기발생기의 분리판, 그가 적용된 증기발생기 및 그의 세정방법
CN105805253B (zh) * 2014-12-30 2018-02-13 中核武汉核电运行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泥渣冲洗设备的双轴摆动减速器
US20160209135A1 (en) * 2015-01-21 2016-07-21 Brad R. Moring Lance apparatus
RU2692748C2 (ru) * 2015-06-10 2019-06-27 Фраматом Гмбх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и способ для очистки внутренней зоны теплообменника
CN106679496A (zh) * 2015-11-10 2017-05-17 江苏海鸥冷却塔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冷却塔的换热器的在线清洗系统
CN106513389B (zh) * 2016-05-12 2019-03-26 苏州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蒸汽发生器的清洗装置及清洗方法
CN105964595A (zh) * 2016-06-27 2016-09-28 苏州市灵通玻璃制品有限公司 一种装夹式清洗机
CN107152886B (zh) * 2017-05-03 2019-01-08 苏州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蒸汽发生器全段式清洗装置及清洗方法
CN109482583B (zh) * 2018-10-24 2021-04-13 广东核电合营有限公司 蒸汽发生器的清洗方法
JP7360990B2 (ja) * 2020-04-24 2023-10-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蒸気発生器の検査装置、及び、蒸気発生器の検査方法
EP4394304A4 (en) * 2021-12-03 2025-03-12 Suzhou Nuclear Power Research Institute Co., Ltd. Guide rail mechanism, assembly method therefor, steam generator cleaning device with guide rail mechanism and cleaning method therefor
CN114321876B (zh) * 2021-12-03 2023-08-22 苏州热工研究院有限公司 蒸汽发生器清洗装置及清洗方法
CN114234168B (zh) * 2021-12-03 2023-08-22 苏州热工研究院有限公司 适用于蒸汽发生器清洗的导轨机构及其安装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889B1 (ko) * 2005-08-26 2007-04-17 한국전력공사 고압수 분사를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세정장치
KR100820236B1 (ko) * 2006-10-31 2008-04-08 한국전력공사 가요성 판상 구조의 증기발생기 세정장비
KR20100033121A (ko) * 2008-09-19 2010-03-29 한국전력공사 원자력발전소의 증기발생기를 세정하는 수압구동 전열관 다발 부분 삽입형 세정장비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06428A1 (fr) * 1981-05-22 1982-11-26 Framatome Sa Procede et dispositif de decolmatage de la face superieure de la plaque tubulaire d'un generateur de vapeur
FR2514108B1 (fr) * 1981-10-06 1986-06-13 Framatome Sa Procede et dispositif d'elimination des boues sur la plaque tubulaire des generateurs de vapeur
US4620881A (en) * 1983-08-26 1986-11-04 Innus Industrial Nuclear Services S.A. Method for cleaning a steam generator
US4848278A (en) * 1985-11-26 1989-07-18 Apex Technologies, Inc. Nuclear steam generator sludge lancing method and apparatus
JPH0792357B2 (ja) * 1986-03-24 1995-10-09 中部電力株式会社 自動洗浄装置
US5036871A (en) * 1989-02-22 1991-08-06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Flexible lance and drive system
US5286154A (en) * 1987-03-18 1994-02-15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Inc. In bundle foreign object search and retrieval apparatus
USH1115H (en) * 1990-07-02 1992-12-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Robot arm apparatus
US5564371A (en) * 1994-05-06 1996-10-15 Foster Miller, Inc. Upper bundle steam generator cleaning system and method
US6672257B1 (en) * 1994-05-06 2004-01-06 Foster-Miller, Inc. Upper bundle steam generator cleaning system and method
US5782209A (en) * 1995-09-20 1998-07-21 The Babcock & Wilcox Company Segmented automated sludge lance
FR2742858B1 (fr) * 1995-12-22 1998-03-06 Framatome Sa Procede et dispositif de nettoyage d'une plaque tubulaire d'un echangeur de chaleur depuis l'interieur du faisceau de l'echangeur de chaleur
US5638415A (en) * 1996-06-24 1997-06-10 Nafziger; Mark W. Multiple port probe delivery system
JP3986172B2 (ja) 1998-08-06 2007-10-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蒸気発生器用スケール除去装置
JP3794839B2 (ja) * 1998-10-29 2006-07-1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用スケール除去装置及び同装置のためのフレキシブルランス
KR100621837B1 (ko) * 2005-05-27 2006-09-19 한국전력공사 고압수 분사방식을 이용한 증기발생기 세정장치
JP2007127351A (ja) * 2005-11-04 2007-05-24 Mitsubishi Heavy Ind Ltd 原子力発電プラント用蒸気発生器のスケール除去装置
US7464670B2 (en) * 2006-07-26 2008-12-16 Framatome Anp, Inc. System for cleaning, inspection and tooling delivery in the secondary side of a steam generator
US8238510B2 (en) * 2007-07-03 2012-08-07 Westinghouse Electric Company Llc Steam generator dual head sludge lance and process lanc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889B1 (ko) * 2005-08-26 2007-04-17 한국전력공사 고압수 분사를 이용한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세정장치
KR100820236B1 (ko) * 2006-10-31 2008-04-08 한국전력공사 가요성 판상 구조의 증기발생기 세정장비
KR20100033121A (ko) * 2008-09-19 2010-03-29 한국전력공사 원자력발전소의 증기발생기를 세정하는 수압구동 전열관 다발 부분 삽입형 세정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19279A (zh) 2011-04-20
EP2299173A1 (en) 2011-03-23
KR20110031000A (ko) 2011-03-24
EP2299173B1 (en) 2013-04-10
US8468981B2 (en) 2013-06-25
JP5070267B2 (ja) 2012-11-07
US20110067651A1 (en) 2011-03-24
JP2011064442A (ja) 2011-03-31
CN102019279B (zh) 2013-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3820B1 (ko) 증기발생기 2차측 듀얼타입 랜싱장치
KR100575110B1 (ko) 원자력 발전소의 증기 발생기 전열관 검사 및 세정이가능한 랜싱장치
JP7130286B2 (ja) 熱交換器バンドルの自動洗浄装置
KR20100033121A (ko) 원자력발전소의 증기발생기를 세정하는 수압구동 전열관 다발 부분 삽입형 세정장비
KR102190488B1 (ko) 열교환기 번들 자동 세척 장치
KR101046589B1 (ko) 증기발생기의 슬러지 세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384234B1 (ko) 증기발생기 슬러지 세정 장비
KR101147356B1 (ko) 증기발생기 튜브시트 전구간 세정용 세정로봇
CN110371506B (zh) 一种基于icows的大型原油储罐清洗喷射方法
CN202582363U (zh) 蒸发器换热管清洗机
KR100431560B1 (ko) 증기발생기의 침전물 제거장치
CN109433705B (zh) 一种用于蒸汽发生器支撑板泥渣冲洗的枪体
CN103033088B (zh) 用于凝汽器的多功能在线清洗装置
CN111715626A (zh) 一种自动化二氧化碳清洗设备
CN114383127A (zh) 一种火电厂用锅炉除垢装置
CN203024648U (zh) 用于凝汽器的多功能在线清洗装置
KR20050028099A (ko) 고압수 분사 방식의 증기발생기 슬러지 세정장비
CN110048669A (zh) 一种具有防冰雹功能的清洁型太阳能电池
CN212264051U (zh) 一种自动化二氧化碳清洗设备
CN222378070U (zh) 一种锅炉内壁清洗用刮除设备
KR102645849B1 (ko) W-f s/g 전구간 고압분사용 세정로봇
CN211865955U (zh) 一种核电站用清洗装置
CN217489879U (zh) 一种膜格栅内部清洗装置
CN216409341U (zh) 一种带有水垢清除功能的太阳能热水箱
EA044140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теплообменных труб парогенератора атомной электростан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2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