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789B1 - Transparent film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 Google Patents
Transparent film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03789B1 KR101103789B1 KR1020100086047A KR20100086047A KR101103789B1 KR 101103789 B1 KR101103789 B1 KR 101103789B1 KR 1020100086047 A KR1020100086047 A KR 1020100086047A KR 20100086047 A KR20100086047 A KR 20100086047A KR 101103789 B1 KR101103789 B1 KR 1011037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cognition code
- coordinate recognition
- code pattern
- transparent film
- display pane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2905 input fun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72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42 Polyim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1 electroluminesc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 for ex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59 patter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230 polya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721 polyim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12266 Poly(ether sulfone) PES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77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AMGQUBHHOARCQH-UHFFFAOYSA-N indium;oxotin Chemical compound [In].[Sn]=O AMGQUBHHOARC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412 polyar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87 thermosetting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34 thermosetting 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05 unsaturated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입력 기능이 가능하도록 투명 필름에 좌표를 인식할 수 있는 좌표 인식 코드를 형성하고, 이 투명 필름이 표시 패널에 부착된다. 그리고, 좌표 인식 코드를 적외선 펜 등과 같은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인식함으로써, 좌표 입력 기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방식의 표시 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ordinate recognition code capable of recognizing coordinates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film to enable an input function, and the transparent film is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In addition, a touch screen display device having a coordinate input function may be implemented by recognizing a coordinate recognition code by using an external device such as an infrared pen.
Description
본 발명은 투명 필름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 필름상에 좌표를 인식할 수 있는 좌표 인식 코드를 형성하여, IR pen 등과 같은 외부기기를 이용하여 상기 코드를 인식함으로써, 터치 스크린 기능을 수행하는 투명 필름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nsparent film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by forming a coordinate recognition code for recognizing coordinates on a transparent film, by recognizing the code using an external device such as an IR pen, A transparent film performing a touch screen function and a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터치 패널은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ce) 등과 같은 화상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화상표시장치를 보면서 터치패널의 ITO(Indium Tin Oxide) 필름을 가압하여 컴퓨터에 미리 정해진 정보를 입력하는 컴퓨터 주변장치이다.In general, the touch panel is installed on the display surface of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cathode ray tube (CRT),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plasma display panel (PDP), an electroluminescence (EL), and the like. It is a computer peripheral device that inputs predetermined information into a computer by pressing an indium tin oxide (ITO) film.
이러한 종래의 터치 패널의 경우, 입력(input)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위치 인식을 위한 ITO 등의 투명 전극 소재가 이용된다. 그런데, ITO 등의 투명 전극 소재는 그 투과율이 80~90% 정도여서 전자책 등 외부 광을 이용하거나 투과율이 낮은 디바이스에 적용하는 경우에서는 시인성을 저하시켜 적용하는데 문제가 있다.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touch panel, in order to implement an input function,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such as ITO for location recognition is used. However, a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such as ITO has a transmittance of about 80% to 90%, and when applied to a device using external light such as an e-book or a low transmittanc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application is reduced in visibility.
또한 종래의 터치 패널의 경우, 상기와 같은 투명 전극 소재 이외에 보호 필름 등 여러 층이 추가로 필요하여 제조 단가를 상승시킨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touch panel, several layers such as a protective film are additionally required in addition to the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as described above, thereby increasing the manufacturing cos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스크린을 구현하는 데 있어, 시인성을 저하시키지않고, 동시에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투명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nsparent film tha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t the same time without lowering the visibility in implementing a touch screen.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투명 필름을 갖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having the transparent film.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투명 필름은 터치 스크린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 영역이 정의된 표시 패널 상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투명한 소재의 베이스 필름과 상기 베이스 필름상에 패터닝 되고, 상기 표시 패널에 정의된 화소 영역과 화소 영역 사이에 패터닝 되는 좌표 인식 코드 패턴을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transparent film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a display panel on which a plurality of pixel regions arranged in a matrix form are defined in order to implement a touch screen function. And a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patterned on the film and the base film and patterned between the pixel area and the pixel area defined in the display panel.
이 투명 필름에서,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인식 코드 패턴은 상기 베이스 필름상에 단차를 갖는 형태로 패터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단차를 갖는 형태로 패터닝 된 상기 좌표 인식 코드 패턴은 상기 베이스 필름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is transparent film, the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is patterned in a form having a step on the base film. In this case, the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patterned in the form having the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film is made of a one-piece.
또한 상기 베이스 필름은 제1 굴절률을 가지며, 상기 좌표 인식 코드 패턴은 상기 제1 굴절률과 다른 제2 굴절률 갖는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 필름상에 단차를 갖는 형태로 패터닝 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base film has a first refractive index, and the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econd refractive index different from the first refractive index, it may be patterned in the form having a step on the base film.
또한 상기 좌표 인식 코드 패턴은 상기 표시 패널에 정의된 화소 영역과 화소 영역 사이에 정의된 블랙 매트릭스 영역 상에 패터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may be patterned on a black matrix area defined between the pixel area defined in the display panel and the pixel area.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표시 장치는, 화소 영역과 상기 화소 영역에 인접한 블랙 매트릭스 영역이 정의된 표시 패널과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블랙 매트릭스 영역 상에 형성되어, 외부 기기를 통해 위치 좌표로 인식되는 좌표 인식 코드 패턴이 형성된 투명 필름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device includes a pixel area and a black matrix area adjacent to the pixel area defined on a display panel and the black matrix area of the display panel, and are recognized as position coordinates through an external device. It includes a transparent film formed with a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여기서, 상기 좌표 인식 코드 패턴은 상기 투명 필름상에 인쇄 기법에 따라 바코드 형태로 인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표 인식 코드 패턴은 상기 투명 필름 위에 단차진 형태로 마이크로 패터닝 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Here, the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is characterized in that printed on the transparent film in the form of a bar code according to a printing technique. In addition, the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may be formed by micro-patterning in a stepped form on the transparent film.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좌표 인식 코드 패턴에 광을 조사하여 상기 좌표 인식 코드 패턴이 형성된 위치의 좌표를 인식하는 외부 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일례로 적외선 펜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xternal device that recognizes the coordinates of the position where the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is formed by irradiating light to the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for example, may be an infrared pen. .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좌표 인식 코드 패턴이 형성된 투명 필름을 기조의 표시 패널 위에는 단순히 부착하는 방식을 통해 적외선 펜 등과 같은 외부 기기를 통해 상기 좌표 인식 코드 패턴을 인식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의 입력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nput of a touch screen capable of recognizing the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throug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n infrared pen by simply attaching a transparent film on which a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a key display panel. The functionality can be implemented.
따라서, 터치 스크린 방식의 표시 장치를 구현하는 데 있어, 본 발명의 투명 필름을 표시 패널상에 부착하기만 하면 되므로, 그 제조가 용이하고, 뿐만 아니라 전체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좌표 인식 코드 패턴을 상기 투명 필름 전제 면적에 밀도 높게 고루 분포시켜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표시 패널에서 정의된 화소 영역의 위치를 고려하여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 시킴으로써, 투과율이 저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touch screen display device, the transparent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needs only to be attached on the display panel, so that the manufacturing is easy and the overall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is not formed evenly and uniformly distribut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transparent film, and i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 of the pixel area defined in the display panel, thereby preventing a decrease in transmittance.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 필름을 갖는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표시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절단선 I1-I2 에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좌표 인식 코드 패턴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투명 필름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having a transparent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device cut along the cutting lines I1-I2 illustrated in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ransparent fil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shown in FIGS. 1 to 3.
본 발명은 입력 기능이 가능하도록 투명 필름에 좌표를 인식할 수 있는 좌표 인식 코드를 형성하고, 형성된 좌표 인식 코드를 적외선 펜 등과 같은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인식함으로써, 터치스크린의 역할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이 일반 표시 장치 및 전자 종이(e-Paper) 등에 적용되는 경우, 위치 인식을 위해 사용되는 투명 전극 소재 및 각종 보호 필름 대신 단순히 좌표 인식 코드가 형성화 되어 있는 단순한 구조의 본 발명의 투명 필름을 기존의 표시 패널 상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터치 스크린의 역할인 입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oordinate recognition code for recognizing coordinates on the transparent film to enable an input function, and recognizes the formed coordinate recognition code by using an external device such as an infrared pen, thereby enabling the role of a touch screen.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general display device, an e-paper, or the like, the transparen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in which a coordinate recognition code is formed instead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and various protective films used for position recognition. By simply attaching a film on an existing display panel, an input function that is a role of a touch screen may be implement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좌표 인식 코드가 형성된 투명 필름을 표시 패널에 접착제와 같은 접착 수단을 이용하여 부착하기만 되므로, 제조 단가 및 전체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As such, since the transparent film having the coordinate recognition cod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only to the display panel using an adhesive means such as an adhesive, the manufacturing cost and the entir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implified.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 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었으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to ensure that the disclosed subject matter is thorough and complete, and that the spirit of the invention will be ful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layer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투명 필름을 갖는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의 절단선 I1-I2 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having a transparent fil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display device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 cut line I 1 -I 2 of FIG. 2. It is the cross section which cut according to.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00)는 크게 표시 패널(100)과, 상기 표시 패널 위에 형성되어, 좌표 인식 코드 패턴(210된 투명 필름(200)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표시 패널이 액정 표시 패널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1 to 3, the display device 30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formed on the
표시 패널(100)에는 화소 영역과(PEA), 상기 화소 영역(PEA)과 인접한 블랙 매트릭스(BM1) 영역이 정의된다. 이 정의된 블랙 매트릭스(BM1) 영역에 근거하여 투명 필름(200)에 좌표 인식 코드 패턴을 형성하는 위치가 결정된다. In the
구체적으로, 표시 패널(100)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대향 배치된 제1 기판(110) 및 제2 기판(170)을 포함한다. 제1 기판(110)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T1) 및 화소 전극(PE1)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기판(170) 상에는 컬러필터(CF1)와 공통전극(CE1)이 구비될 수 있다. 제1기판(100)과 제2기판(170) 사이에는 다수의 액정분자로 구성된 액정층(140)이 개재될 수 있다.In detail, th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기판(100) 상에 게이트 전극(G1)이 구비될 수 있고, 게이트전극(G1)을 덮는 게이트 절연층(GI1)이 구비될 수 있다. 게이트전극(G1) 위쪽의 게이트 절연층(GI1) 상에 채널층(C1)이 구비될 수 있고, 채널층(C1)의 양단에 각각 접촉된 소오스 전극(S1) 및 드레인 전극(D1)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게이트전극(G1), 게이트 절연층(GI1), 채널층(C1), 소오스전극(S1) 및 드레인전극(D1)이 박막트랜지스터(T1)가 구성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gate electrode G1 may be provided on the
박막 트랜지스터(T1)의 소오스 전극(S1)에는 화소 전극(PE1)이 연결된다. 화소전극(PE1)은 소오스 전극(S1) 일측으로 연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화소 전극(PE1)이 화소 영역을 정의하게 된다.The pixel electrode PE1 is connected to the source electrode S1 of the thin film transistor T1. The pixel electrode PE1 may have a structure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source electrode S1. The pixel electrode PE1 defines a pixel area.
도 3에는 바텀-게이트(bottom gate) 구조의 박막트랜지스터(T1)를 도시하였지만, 박막트랜지스터(T1)는 탑-게이트(top gate) 또는 더블-게이트(double gate)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T1)와 화소전극(PE1)의 연결 방식도 달라질 수 있다. Although FIG. 3 illustrates a thin film transistor T1 having a bottom gate structure, the thin film transistor T1 may be transformed into a top gate or double gate structure. The connection method between the thin film transistor T1 and the pixel electrode PE1 may also vary.
제2 기판(200) 하면에 소정의 개구 영역을 갖는 블랙매트릭스(BM1)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블랙 매트릭스(BM1)의 상부에 투명 필름(200) 상에 형성되는 좌표 인식 코드 패턴(210)이 위치한다. 블랙매트릭스(BM1)가 형성되지 않은 제2기판(200)의 하면에 컬러필터(CF1)가 구비될 수 있다. 컬러필터(CF1)는 블랙매트릭스(BM1) 상으로 확장될 수 있다. 컬러 필터(CF1) 하면에 공통전극(CE1)이 구비될 수 있다. 공통전극(CE1)과 화소전극(PE1) 및 이들 사이의 액정층(150)은 일종의 커패시터를 구성할 수 있다. A black matrix BM1 having a predetermined opening area may be provided on a lower surface of the
이러한 표시 패널(100)에 터치 스크린 기능을 부가하기 위하여, 상기 표시 패널(200) 상에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투명 필름(200)이 부착된다. In order to add a touch screen function to the
상기 투명 필름(200)은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의 투명 소재일 수 있으며, 예컨대, 광학특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PES),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PEN),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사이클로올레핀 코폴리머(cycloolefin copolymer) 등의 열가소성 고분자 수지와 에폭시, 불포화 폴리에스터 등의 열경화성 고분자 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The
상기 투명 소재 상에는 좌표 인식 코드 패턴이 형성된다. 이 좌표 인식 코드 패턴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코드(bar code) 등과 같이 좌표를 식별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 바 코드 형태의 좌표 인식 코드는 소정 인쇄 기법에 따라 상기 투명 소재 상에 프린팅(인쇄)될 수 있다.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s are formed on the transparent material. As shown in FIG. 2, the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is formed in a form capable of identifying coordinates, such as a bar code. Coordinate recognition codes in the form of bar codes may be printed (printed) on the transparent materi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inting technique.
바 코드 형태의 좌표 인식 코드 패턴을 이용하여 좌표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은 적외선 센서 등과 같은 적외선 펜 등과 같은 외부기기를 통해 인식할 수 있다. 즉, 적외선 펜에서 조사되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상기 바코드 형태의 좌표 인식 코드 패턴을 스캐닝하고, 스캐닝 된 결과를 해당 좌표 인식 데이터로서 획득하는 것이다.A method for identifying coordinates using a bar code type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may be recognized through an external device such as an infrared pen such as an infrared sensor. That is, the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in the barcode form is scanned by using the infrared light emitted from the infrared pen, and the scanned result is obtained as the corresponding coordinate recognition data.
한편 이러한 좌표 인식 코드 패턴(210)이 형성된 투명 필름(200)이 표시 패널(100) 상에 부착되는 경우, 좌표 인식 코드 패턴(210)에 의해 표시 패널(100)과 본 발명의 투명 필름이 결합에 의한 표시 장치(300)의 전체 투과율이 저하될 여지가 있다.Meanwhile, when the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좌표 인식 코드 패턴(21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쪽에 배치된 표시 패널(100)의 화소 영역(PEA)과 오버래 되지 않도록 투명 필름(200)의 특정 위치에 규칙적으로 배열되도록 패터닝 된다. 예컨대, 표시 패널(100)의 화소 영역에 인접한 블랙 매트릭스 영역(BM1) 상에 형성되도록 규칙적으로 배열함으로써, 전체 투과율을 저하시키지 않고도 좌표 입력 기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ordinate
도 4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좌표 인식 코드 패턴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투명 필름의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ransparent fil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shown in FIGS. 1 to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표 인식 코드 패턴은 인쇄 기법을 통해 투명 소재 상에 형성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좌표 인식 코드 패턴과는 달리 투명 필름의 제조 과정에서 적외선 펜과 같은 외부 기기가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단차가 형성된 패턴으로 패터닝 한 것이다. 즉, 베이스 필름에 해당하는 투명소재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좌표 인식 코드 패턴이 일체형으로 패터닝 되는 것이다. 이 경우,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좌표 인식 코트 패턴을 형성하는 인쇄공정을 생략할 수 있어 전체 제조 공정의 수 또는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illustrated in FIGS. 1 to 3 formed on a transparent material through a printing technique,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a transparent film. It is patterned in a pattern with a step that can be recognized by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pen. That is, the transparent material corresponding to the base film and the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grally patterned. In this case, the printing process for forming the coordinate recognition coat pattern shown in Figs. 1 to 3 can be omitted, so that the number or processing time of the entir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hortened.
또 다른 실시예로서, 베이스 필름의 굴절률과 다른 굴절률을 갖는 소재를 투명 소재인 베이스 필름 상에 바 코드 형태로 패터닝 하는 방식으로 적외선 펜과 같은 외부기기가 좌표 인식 코드를 인식하게끔 할 수도 있다. 즉, 제1 굴절률을 갖는 베이스 필름을 마련하고,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상기 제1 굴절률과 다른 굴절률을 갖는 제2 굴절률을 갖는 소재를 좌표 인식 코드 패턴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좌표를 인식할 수 있는 구조물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경우, 좌표 인식을 위해 투명 소재 위에 형성된 굴절률을 달리하는 좌표 인식 코드 패턴에 의해 빛의 산란이 일부 있을 수 있겠으나, 굴절률이 다른 좌표 인식 코드가 베이스 필름 전체 밀도 높게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적외선 펜과 같은 외부 기기가 인식할 수 있는 수준 내에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기 때문에 투과율을 크게 저하시키지 않고, 좌표 입력 기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an external device such as an infrared pen may recognize a coordinate recognition code by patterning a material having a refractive index different from that of the base film in a bar code form on a transparent base film. That is, a structure capable of recognizing coordinates by providing a base film having a first refractive index and forming a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on a material having a second refractive index having a refractive index different from the first refractive index on the base film. To form. In this case, some scattering of light may be caused by a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formed on the transparent material for coordinate recognition, but the coordinate recognition codes having different refractive indices are not formed with a high overall density of the base film, but with an infrared pen. As shown in FIGS. 1 and 2 within a level that can be recognized by the same external device, the coordinate input function can be enabled without greatly reducing the transmittanc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입력 기능이 가능하도록 투명 필름에 좌표를 인식할 수 있는 좌표 인식 코드를 형성하고, 이 투명 필름이 표시 패널에 부착된다. 그리고, 좌표 인식 코드를 적외선 펜 등과 같은 외부 기기를 이용하여 인식함으로써, 좌표 입력 기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 방식의 표시 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a coordinate recognition code for recognizing coordinates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film so as to enable an input function, and the transparent film is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In addition, a touch screen display device having a coordinate input function may be implemented by recognizing a coordinate recognition code by using an external device such as an infrared pen.
이러한 본 발명이 일반 표시 장치 및 전자 종이(e-Paper) 등에 적용되는 경우, 위치 인식을 위해 사용되는 투명 전극 소재 및 각종 보호 필름 대신 단순히 좌표 인식 코드가 형성화 되어 있는 단순한 구조의 본 발명의 투명 필름을 기존의 표시 패널 상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터치 스크린의 역할인 입력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터치 스크린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에 비해 제조 단가를 낮추고, 제조 공정의 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좌표 인식 코드 패턴이 투과율이 저하되지 않도록 표시 패널의 블랙 매트릭 영역 상에서 형성되므로, 시인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터치 스크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general display device, an e-paper, or the like, the transparen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in which a coordinate recognition code is formed instead of the transparent electrode material and various protective films used for position recognition. By simply attaching a film on an existing display panel, an input function that is a role of a touch screen may be implemented.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lowered and the number of manufacturing processes can be low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screen function. In addition, since the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is formed on the black matrix area of the display panel so that the transmittance does not decrease, the touch screen function may be performed without degrading the visibility.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 및 첨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기술 분야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투명 필름상에 형성되는 패턴이 바코드 형태로 형성되는 예를 설명하고 있으나, 바코드 형태 대신 투명 필름의 표면을 전체적으로 확산판 처럼 랜덤 무늬 패턴으로 형성하면, 각 위치마다 형성된 랜덤 무늬 패턴이 고유의 좌표 인식 코드 패턴으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해당 위치를 인식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thr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se are only examples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from thi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or exampl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pattern formed on the transparent film is described in the form of a barcode. However, when the surface of the transparent film is formed in a random pattern like a diffusion plate as a whole instead of the barcode, a random pattern formed at each position is provided. The pattern can function as a unique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It can also be used to recognize the location. Therefore,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10)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블랙 매트릭스 영역 상에 형성되어, 외부 기기를 통해 위치 좌표로 인식되는 바코드 형태의 좌표 인식 코드 패턴이 형성된 투명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좌표 인식 코드 패턴은,
상기 화소 영역과 오버랩되는 영역을 제외한 상기 블랙 배트릭스 영역 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A display panel in which a pixel area and a black matrix area adjacent to the pixel area are defined; And
A transparent film formed on the black matrix area of the display panel and having a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in the form of a barcode recognized as position coordinates through an external device,
The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is,
And a black matrix area except for an area overlapping the pixel area.
The display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is micro patterned in a stepped shape on the transparent film.
상기 외부 기기는 적외선 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external device that recognizes coordinates of a position at which the recognition pattern is formed by irradiating light onto the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And the external device is an infrared pen.
투명한 소재의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상에 패터닝 되고, 상기 표시 패널에 정의된 상기 화소 영역들 사이에 패터닝 되는 바코드 형태의 좌표 인식 코드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좌표 인식 코드 패턴은,
상기 표시 패널에 정의된 상기 화소 영역들 사이에 정의되어, 상기 화소 영역들과 오버랩되는 영역을 제외한 블랙 매트릭 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필름.
In the transparent film attached to the display panel in which the pixel regions arranged in a matrix form to implement a touch screen function,
Transparent base film; And
A pattern recognition code pattern in the form of a barcode patterned on the base film and patterned between the pixel areas defined in the display panel,
The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is,
The display is defined between said pixel regions defined on the panel, the transparent film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black matrix formed in the region except for the area in which overlap the pixel region.
The transparent film of claim 6, wherein the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is patterned to have a step on the base film.
The transparent film of claim 7, wherein the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and the base film patterned in the shape having the step are integral.
상기 베이스 필름은 제1 굴절률을 가지며,
상기 좌표 인식 코드 패턴은 상기 제1 굴절률과 다른 제2 굴절률 갖는 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 필름상에 단차를 갖는 형태로 패터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필름.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base film has a first refractive index,
The coordinate recognition code pattern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econd refractive index different from the first refractive index, and the transparent film, characterized in that patterned in the form having a step on the base fil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6047A KR101103789B1 (en) | 2010-09-02 | 2010-09-02 | Transparent film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86047A KR101103789B1 (en) | 2010-09-02 | 2010-09-02 | Transparent film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03789B1 true KR101103789B1 (en) | 2012-01-06 |
Family
ID=45613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86047A Active KR101103789B1 (en) | 2010-09-02 | 2010-09-02 | Transparent film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03789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170449B2 (en) | 2013-01-28 | 2015-10-27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WO2025138335A1 (en) * | 2023-12-29 | 2025-07-03 |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Touch display device and touch method therefo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72715A (en) * | 2004-01-07 | 2005-07-12 |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 Universal computing device |
KR100557474B1 (en) * | 2002-09-26 | 2006-03-07 | 요시다 켄지 | Information reproducing, input / output method, information reproducing device, portable information input / output device and electronic toy using dot pattern |
KR20080113832A (en) * | 2007-06-26 | 2008-12-31 | (주)이에스비 | An electronic pen that reads the location with a built-in camera that captures a specific pattern on the LCD, and an electronic blackboard using the same |
KR20090077350A (en) * | 2008-01-11 | 2009-07-15 | 정병주 | Transparent film and input device coated with transparent position pattern in specific wavelength band and its use |
-
2010
- 2010-09-02 KR KR1020100086047A patent/KR10110378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57474B1 (en) * | 2002-09-26 | 2006-03-07 | 요시다 켄지 | Information reproducing, input / output method, information reproducing device, portable information input / output device and electronic toy using dot pattern |
KR20050072715A (en) * | 2004-01-07 | 2005-07-12 |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 Universal computing device |
KR20080113832A (en) * | 2007-06-26 | 2008-12-31 | (주)이에스비 | An electronic pen that reads the location with a built-in camera that captures a specific pattern on the LCD, and an electronic blackboard using the same |
KR20090077350A (en) * | 2008-01-11 | 2009-07-15 | 정병주 | Transparent film and input device coated with transparent position pattern in specific wavelength band and its us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170449B2 (en) | 2013-01-28 | 2015-10-27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US9495041B2 (en) | 2013-01-28 | 2016-11-15 | Samsung Display Co., Ltd. | Display device |
WO2025138335A1 (en) * | 2023-12-29 | 2025-07-03 |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 Touch display device and touch method theref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860669B2 (en) | Touch screen panel integrated into liquid crystal display,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touch sensing method | |
TWI559197B (en) |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US8947368B2 (en) | Touch screen panel | |
US8911097B2 (en) | Display device | |
US20160370904A1 (en) | Color filter substrate, arr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 |
KR101181342B1 (en) | Touch screen | |
US20100182267A1 (en) | Touch screen panel with a window | |
KR102220783B1 (en) | Display device including fingerprint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 same | |
US20140132861A1 (en) | Touch panel and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 |
CN103676271B (en) | Display device and cap assembly | |
KR20170063878A (en) | Conductive film and touch panel sensor provided with same | |
US20170228075A1 (en) | Pressure sensing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US20120098791A1 (en) | Touch panels, method for fabricating touch panels, display devices, and method for fabricating display devices | |
US9983707B2 (en) | Touch panel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 |
KR20170123482A (en) | Color Filter Having Touch Sensor Integrated Therein and Fabrication Method for the Same | |
US20150185959A1 (en) | Touch light shielding substrate and touch display apparatus | |
CN105094392A (en) | Touch display panel | |
US11481064B2 (en) | Display device including a touch sensor having lines of a non-uniform width | |
KR102268372B1 (en) | Touch sens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
KR101103789B1 (en) | Transparent film and display device having same | |
KR101970578B1 (en) | Touch sensor device using coating film having high hardne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20130154954A1 (en) | Touch Control Panel Structure Having A Dummy Pattern | |
US20160320881A1 (en) | Using Touch Sensors as an Electromagnetic Shield | |
KR20070103143A (en) | Touch screen pan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102555404B1 (en) | Flexibl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