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3682B1 - Biosensor - Google Patents
Biosensor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03682B1 KR101103682B1 KR1020090012320A KR20090012320A KR101103682B1 KR 101103682 B1 KR101103682 B1 KR 101103682B1 KR 1020090012320 A KR1020090012320 A KR 1020090012320A KR 20090012320 A KR20090012320 A KR 20090012320A KR 101103682 B1 KR101103682 B1 KR 10110368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od
- electrode
- reaction layer
- layer
- biosenso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0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0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238000006911 enzymatic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0000036770 blood suppl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108010015776 Glucose oxidas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4366 Glucose oxida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40116332 glucose oxidas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5000019420 glucose oxida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40088598 enzym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8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593 degra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3076 target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650 screen-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JVTAAEKCZFNVCJ-UHFFFAOYSA-M Lactate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607 Silver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491 ana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NOESYZHRGYRDHS-UHFFFAOYSA-N insulin Chemical compound N1C(=O)C(NC(=O)C(CCC(N)=O)NC(=O)C(CCC(O)=O)NC(=O)C(C(C)C)NC(=O)C(NC(=O)CN)C(C)CC)CSSCC(C(NC(CO)C(=O)NC(CC(C)C)C(=O)NC(CC=2C=CC(O)=CC=2)C(=O)NC(CCC(N)=O)C(=O)NC(CC(C)C)C(=O)NC(CCC(O)=O)C(=O)NC(CC(N)=O)C(=O)NC(CC=2C=CC(O)=CC=2)C(=O)NC(CSSCC(NC(=O)C(C(C)C)NC(=O)C(CC(C)C)NC(=O)C(CC=2C=CC(O)=CC=2)NC(=O)C(CC(C)C)NC(=O)C(C)NC(=O)C(CCC(O)=O)NC(=O)C(C(C)C)NC(=O)C(CC(C)C)NC(=O)C(CC=2NC=NC=2)NC(=O)C(CO)NC(=O)CNC2=O)C(=O)NCC(=O)NC(CCC(O)=O)C(=O)NC(CCCNC(N)=N)C(=O)NCC(=O)NC(CC=3C=CC=CC=3)C(=O)NC(CC=3C=CC=CC=3)C(=O)NC(CC=3C=CC(O)=CC=3)C(=O)NC(C(C)O)C(=O)N3C(CCC3)C(=O)NC(CCCCN)C(=O)NC(C)C(O)=O)C(=O)NC(CC(N)=O)C(O)=O)=O)NC(=O)C(C(C)CC)NC(=O)C(CO)NC(=O)C(C(C)O)NC(=O)C1CSSCC2NC(=O)C(CC(C)C)NC(=O)C(NC(=O)C(CCC(N)=O)NC(=O)C(CC(N)=O)NC(=O)C(NC(=O)C(N)CC=1C=CC=CC=1)C(C)C)CC1=CN=CN1 NOESYZHRGYRDH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484 reaction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479 redox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KZLPVFGJNLROG-UHFFFAOYSA-M silver mon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Ag+] HKZLPVFGJNLROG-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877 Insul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1061 Insul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854 Oxidoreductas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316 Oxidoreductas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87 electro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477 hydrophilic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5396 insu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811 non-condu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254 polymer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7756 respiratory electron transport cha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44 sputter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169 water-solubl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Bloo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or pH-value ;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or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28—Electrolytic cell compon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33/00—Assays involving biological materials from specific organisms or of a specific nature
- G01N2333/90—Enzymes; Proenzy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오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극이 형성된 기판 위에 효소반응층 및 상부 커버를 적층하되, 상기 효소반응층 및 상부 커버 사이에 혈액공급층을 삽입하여, 혈액공급층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혈액주입홈을 통해 혈액이 스며들면서 반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혈액의 양이 균일하게 유입되어 혈당을 쉽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효소반응층를 폭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센서들을 붙인 상태에서 반응부를 폭방향으로 연속해서 한꺼번에 제작할 수 있도록 한 바이오센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sensor, and more particularly, an enzyme reaction layer and an upper cover are stacked on a substrate on which an electrode is formed, and a blood supply layer is inserted between the enzyme reaction layer and the upper cover, and the blood supply layer i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By allowing the blood to penetrate and react through the blood injection grooves formed in the blood, the amount of blood is uniformly introduced to measure blood glucose easily and accurately, and by forming the enzyme reaction layer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state of attaching a plurality of sensor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iosensor capable of manufacturing the reaction part continuously in the width direction at once.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면에 복수의 전극이 평행하게 형성된 기판; 상기 기판의 전극 위에 폭방향으로 형성된 주 반응층; 상기 주 반응층에 혈액을 공급하기 위해 혈액주입홈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혈액공급층; 상기 혈액주입홈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주 반응층, 혈액공급층 및 상부 커버가 기판 위에 차례대로 적층되고, 상기 혈액주입홈을 통해 혈액이 흡입되며 혈액과 주 반응층의 반응에 의해 발생된 전류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센서를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bstrate formed with a plurality of electrodes in parallel on the upper surface; A main reaction layer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electrode of the substrate; A blood supply layer having a blood injection groove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to supply blood to the main reaction layer; And an upper cove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lood injection groove, wherein the main reaction layer, the blood supply layer, and the upper cover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substrate, and the blood is sucked through the blood injection groove, It provides a biosensor characteriz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current generated by the reaction.
혈당, 커버, 효소, 전류, 바이오센서, 콜레스테롤, 혈액, 전극 Blood sugar, cover, enzyme, current, biosensor, cholesterol, blood, electrode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이오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혈당을 쉽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osenso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osensor capable of measuring blood glucose easily and accurately.
최근 당뇨병을 진단하고 예방하는데 있어서 혈액내의 포도당(혈당)의 양을 주기적으로 측정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혈당 측정은 혈당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손쉽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In recent years, the need to periodically measure the amount of glucose (blood sugar) in the blood is increasing in diagnosing and preventing diabetes.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can be easily measured using a blood glucose measurement device.
하루에 2∼3번씩 실시간으로 혈당을 측정해야 하는 인슐린 의존형 환자의 경우 대개 손가락 끝 부분을 바늘 형태의 란셋(lancet)으로 찔러 채혈하는데, 혈당 측정 장치는 환자로부터 시료를 채취하고 채취된 시료(혈액)를 스트립 형태의 바이오 센서를 이용하여 바이오 센서 내의 화학 물질과의 전기 화학적 반응을 통해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혈당값을 측정하게 된다.In the case of insulin-dependent patients who need to measure blood glucose in real time 2-3 times a day, the fingertip is usually pierced with a needle-shaped lancet, and the blood glucose measuring device takes a sample from the patient and collects the sample (blood ) Using a strip-type biosensor to measure the blood glucose value by using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with the chemicals in the biosensor.
전술한 바와 같은 바이오 센서 및 바이오 센서를 이용한 혈당 측정 장치의 동작 원리 및 구조 등은 매우 다양하게 발전되고 개발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ng principle and structure of the biosensor and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apparatus using the biosensor are variously developed and developed.
바이오센서는 통상적으로, 절연성 기판상에 스크린 인쇄 등의 방법으로 복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전극계를 형성하고, 형성된 전극계상에 친수성 고분자와 산화환원효소 및 전자수용체로 이루어진 효소반응층을 형성하고 있다.Biosensors typically form an electrode system includ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on the insulating substrate by screen printing or the like, and form an enzyme reaction layer made of a hydrophilic polymer, a redox enzyme, and an electron acceptor on the formed electrode system. .
이러한 바이오센서의 시료 주입구를 통해 효소반응층에 기질(포도당(Glucose))을 포함한 시료를 주입하면, 효소반응층이 이를 용해하고 시료의 기질과 효소(Enzyme)가 반응하여 기질이 산화되고, 이에 따라 전자수용체가 환원된다.When a sample including a substrate (glucose) is injected into the enzyme reaction layer through the sample inlet of the biosensor, the enzyme reaction layer dissolves it and the substrate and the enzyme react with each other to oxidize the substrate. The electron acceptor is thus reduced.
이 환원된 전자수용체를 전기화학적으로 산화하여 얻어지는 산화전류를 측정장치를 통해 측정함으로써, 시료 중에 포함된 기질의 농도를 구할 수 있게 된다.By measuring the oxidation current obtained by electrochemically oxidizing the reduced electron acceptor through a measuring device, the concentration of the substrate contained in the sample can be obtained.
한편, 종래에는 전극 위에 다공성 효소반응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프레임 및 커버로 구성된 바이오센서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의 바이오센서는 혈액을 반응층에 도트식으로 떨어뜨려서 혈당을 검사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porous enzyme reaction layer is formed on the electrode, and provides a biosensor consisting of a fixed frame and a cover for fixing it. The biosensor having this structure drops blood in the reaction layer to test blood glucose.
그러나, 상기 바이오센서의 경우는 적하되는 혈액의 양에 따라 반응층에 도입되는 혈액 샘플의 양이 변화하게 되므로 혈당 검사시에 혈액의 양에 따른 측정오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biosensor, the amount of blood sample introduced into the reaction laye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blood dropped, thereby causing a measurement error according to the amount of blood during the blood sugar test.
또한 최근에 혈액주입홈에 주입하여 흡입식으로 측정하는 방식으로 발전되었지만, 센서의 제작과정에서 반응시약을 도트식으로 떨어뜨려서 제작하게 되어 센서간 반응 시약고정화의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although recently developed by the method of inhalation by injecting into the blood injection groove, it is produced by dropping the reaction reagent in the dot metho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sens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rror of the reaction reagent fixation between the sensors occurs.
그리고 이러한 기존의 제작방식으로는 하나의 센서에서 독립적으로 다수의 검사물질 측정용 반응시약층을 고정화하고, 단일 검체유입구를 통하여 측정하는 구조는 제작될 수 없다.In this conventional manufacturing method, a structure in which the reaction reagent layers for measuring a plurality of test substances are independently fixed in one sensor and measured through a single sample inlet cannot be manufactu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극이 형성된 기판 위에 효소반응층 및 상부 커버를 적층하되, 상기 효소반응층 및 상부 커버 사이에 혈액공급층을 삽입하여, 혈액공급층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혈액주입홈을 통해 혈액이 스며들면서 반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혈액의 양이 균일하게 유입되어 혈당을 쉽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효소반응층을 폭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센서들을 붙인 상태에서 반응부를 폭방향으로 연속해서 한꺼번에 제작할 수 있도록 한 바이오센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the stack of the enzyme reaction layer and the upper cover on the substrate on which the electrode is formed, inserting a blood supply layer between the enzyme reaction layer and the upper cover, length in the blood supply layer By allowing the blood to penetrate and react through the blood injection groove formed in the direction, the amount of blood is uniformly introduced to measure the blood sugar easily and accurately, and by forming the enzyme reaction layer in the width direc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iosensor capable of manufacturing the reaction part continuously in the width direction at once.
또한, 본 발명은 기판의 뒷면에 전극을 형성하여 센서의 삽입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전극의 모양에 따라서 각 센서에 다른 코드를 부여하고, 혈당측정장치의 삽입공간에 코드인식용 전극이 삽입되어 전극의 모양에 따라 해당코드가 할당됨으로써, 혈당측정값의 오차에 따라 해당코드가 정해지고 그 해당코드에 해당되는 보정값을 혈당측정장치가 인식하여 보정함으로써 측정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바이오센서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the electrode on the back of the substrate to determine whether the sensor is inserted, give a different code to each sensor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lectrode, the code recognition electrode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apparatus The corresponding code is assign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lectrode, so that the corresponding code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error of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value, and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device recognizes and corrects the correc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code, thereby minimizing the measurement error.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sensor.
상기한 목적은 바이오센서에 있어서,The above object in the biosensor,
상면에 복수의 전극이 평행하게 형성된 기판; 상기 기판의 전극 위에 폭방향으로 형성된 주 반응층; 상기 주 반응층에 혈액을 공급하기 위해 혈액주입홈이 길 이방향으로 형성된 혈액공급층; 상기 혈액주입홈의 상부를 커버하는 상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주 반응층, 혈액공급층 및 상부 커버가 기판 위에 차례대로 적층되고, 상기 혈액주입홈을 통해 혈액이 흡입되며 혈액과 주 반응층의 반응에 의해 발생된 전류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오센서에 의해 달성된다.A substrate hav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arranged in parallel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main reaction layer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electrode of the substrate; A blood supply layer having a blood injection groove formed in a length direction to supply blood to the main reaction layer; And an upper cove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lood injection groove, wherein the main reaction layer, the blood supply layer, and the upper cover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substrate, and the blood is sucked through the blood injection groove, It is achieved by a biosensor characterized by measuring the amount of current generated by the reaction.
또한, 상기 주 반응층의 후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 반응층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혈액 중 복수의 측정대상물질을 측정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확장형 반응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혈액주입홈은 주반응층 및 확장형 반응층에 연통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extended reaction layer formed in parallel with the main reaction layer at regular intervals in a rearward direction of the main reaction layer to measure a plurality of measurement target substances in bloo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main reaction layer and the expansion reaction lay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극의 수는 혈액을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의 종류에 따라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number of the electrod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type of the object to be measured using bloo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극은 혈액과 주반응층의 반응에 의해 발생된 전류량을 측정하기 위해 제1기준전극과 제1작업전극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electro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reference electrode and the first working electrode to measure the amount of current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he blood and the main reaction layer.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극은 혈액과 확장형 반응층의 반응에 의해 발생된 전류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확장형 반응층의 위치와 대응되게 제1작업전극보다 길이가 짧은 제2작업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기준전극을 공통으로 사용하고, 상기 제1기준전극과 제1작업전극을 통해 측정된 전류량에서 제1기준전극과 제2작업전극을 통해 측정된 전류량을 뺌으로써 혈액과 주반응층의 반응에 의해 발생된 전류량을 측정하고, 상기 제1기준전극과 제2작업전극을 통해 혈액과 확장형 반응층의 반응에 의해 발생된 전류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is a second working electrode shorter than the first working electrod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extended reaction layer to measure the amount of current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he blood and the expansion reaction layer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blood by using the first reference electrode in common and subtracting the amount of current measured through the first reference electrode and the second working electrode from the amount of current measured through the first reference electrode and the first working electrode. The amount of current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he main reaction layer is measured, and the amount of current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he blood and the expansion type reaction layer is measured through the first reference electrode and the second working electrode.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극은 혈액과 확장형 반응층의 반응에 의해 발생된 전류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확장형 반응층의 위치와 대응되게 제1작업전극보다 길이가 짧은 제2작업전극과, 상기 제1기준전극에 확장형 반응층의 위치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제1작업전극을 확장형 반응층으로부터 절연시키는 제1절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기준전극을 공통으로 사용하고 상기 제1기준전극과 제1작업전극을 통해 혈액과 주반응층의 반응에 의해 발생된 전류량을 측정하고, 제1기준전극과 제2작업전극을 통해 혈액과 확장형 반응층의 반응에 의해 발생된 전류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is a second working electrode shorter than the first working electrod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extended reaction layer to measure the amount of current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he blood and the expansion reaction layer And a first insulating layer formed on the first reference electrod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extended reaction layer to insulate the first working electrode from the extended reaction layer, and using the first reference electrode in common. Measure the amount of current generated by the reaction between the blood and the main reaction layer through the reference electrode and the first working electrode, and measure the amount of current generated by the reaction between the blood and the extended reaction layer through the first reference electrode and the second working electrode. Characterized in that.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전극은 혈액과 확장형 반응층에 의해 발생된 전류량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확장형 반응층의 위치와 대응되게 제1기준전극 및 제1작업전극보다 길이가 짧은 제2기준전극 및 제2작업전극과, 상기 제1기준전극과 제1작업전극에 확장형 반응층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확장형 반응층으로부터 제1기준전극 및 제1작업전극을 절연시키는 제2절연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기준전극과 제1작업전극을 통해 혈액과 주반응층에 의해 발생된 전류량을 측정하고, 제2기준전극과 제2작업전극을 통해 혈액과 확장형 반응층에 의해 발생된 전류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de is shorter than the first reference electrode and the first working electrod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extended reaction layer to measure the amount of current generated by the blood and the expanded reaction layer And a second insulating film formed on the second reference electrode and the second working electrode, the first reference electrode and the first working electrode corresponding to the extended reaction layer to insulate the first reference electrode and the first working electrode from the extended reaction layer. And measuring the amount of current generated by the blood and the main reaction layer through the first reference electrode and the first working electrode, and the amount of current generated by the blood and the extended reaction layer through the second reference electrode and the second working electrode. It characterized by measuring the.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주반응층은 혈액 속의 혈당을 측정하기 위해 포도당 산화효소 및 전자수용체를 포함하는 제1효소반응층이고, 상기 혈당과 포도당 산화효소의 반응에 의해 발생된 전류량을 측정하여 혈당값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particula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reaction layer is a first enzyme reaction layer containing glucose oxidase and an electron acceptor to measure blood glucose in the blood, and is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he blood glucose and glucose oxidase It is characterized by obtaining the blood sugar value by measuring the amount of curren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확장형 반응층은 혈액속의 콜레스테롤을 측정하기 위해 콜레스테롤 분해효소를 포함하는 제2효소반응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nded reaction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enzyme reaction layer containing cholesterol degrading enzymes to measure cholesterol in the blood.
상기 상부커버와 혈액공급층의 전단부에는 신체부위의 접촉시 혈액주입홈의 입구가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노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notch part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upper cover and the blood supply layer to prevent the inlet of the blood injection groove from being blocked when the body part contact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상부커버에는 혈액을 주입하기 위해 혈액주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upper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lood inlet is formed for injecting bloo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기판의 하면에 각 센서의 특성에 따라 다른 모양의 전극을 형성하여 센서의 삽입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전극의 모양에 따라서 각 센서에 다른 코드를 부여하는 바이오센서를 제공한다.On the other hand,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different shape of the electrod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bstrate to determine whether the sensor is inserted or not, and to give a different code to each sensor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lectrode Provide a senso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기 각 센서는 혈당측정값에 대한 오차에 따라 다른 모양의 코드인식용 전극을 형성하여, 상기 각 센서에 다른 코드를 부여하고, 상기 각 코드에 따라 미리 결정된 보정값을 각 센서에 할당하여 측정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sensor forms a code recognition electrode having a different shape according to an error of a blood glucose measurement value, and gives a different code to each sensor, and predetermined correction according to each code It is characterized by assigning a value to each sensor to correct the measured valu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코드인식용 전극은 그 모양이 패턴화되고, 상기 패턴화된 코드인식용 전극의 모양에 대응되도록 기판이 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de recognition electrod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attern is patterned, the substrate is punch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patterned code recognition electrode.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오센서에 의하면, 혈액주입홈이 혈액공급층의 끝단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센서의 끝단부가 혈당 측정장치에 길이방향으로 꽂힌 상태에서 피험자가 센서의 타단부에 용이하게 혈액을 갖다 댈 수 있어서 혈액 공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iosen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lood injection groove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end of the blood supply layer, the subject of the sensor is inserted into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apparatu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other end can be easily brought to the blood has the advantage of easy blood supply.
또한, 혈액공급층의 혈액주입홈와 연통되도록 혈액공급층 하부에 폭방향으로 효소반응층을 형성하여, 센서의 길이방향면이 서로 붙도록 배열한 상태에서 한꺼번에 효소반응층을 만듦으로써, 센서를 제작하는 데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an enzyme reaction layer in the width direction below the blood supply layer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lood injection groove of the blood supply layer, by making the enzyme reaction layer at a time in the state arranged so that the longitudinal surfaces of the sensor to stick to each other, to produce a sensor This saves you money and time.
또한, 센서마다 측정 오차를 판단한 다음, 그 오차에 따라 기판 뒷면에 모양이 다른 전극을 형성하여, 전극의 모양에 따라 코드를 결정하고, 해당코드에 따라 보정값을 달리함으로써, 혈당 측정시 센서를 측정장치에 삽입할 때 각 센서에 해당하는 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코드에 해당되는 보정값으로 측정값을 보정함으로써, 혈당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fter determining the measurement error for each sensor, by forming an electrode having a different shape on the back of the substrate according to the error, to determine the cod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electrode, by varying the correction value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code, When inserted into the measuring device recognizes the code corresponding to each sensor, and by correcting the measured value with the correction value corresponding to the code, it is possible to measure blood glucose more accuratel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센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도이다.1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biosensor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assembly view of FIG.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센서는 상면에 전극(16a,16b)이 형성된 기판(15), 기판(15)의 상부에 적층된 효소반응층(13), 일단부에 혈액주입홈(1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혈액공급층(11) 및 상부 커버(10)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 의 일실시예에 따른 효소반응층(13)은 혈액 속의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혈당측정용 효소반응층(13)이다.The bio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기판(15)은 상부 표면에 센서를 형성하기 위한 베이스(base) 기판으로서, 비전도성 재질의 고분자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The
기판(15) 위에 형성된 전극(16a,16b)은 작업 전극(16a)(Working electrode), 기준 전극(16b)(Reference electrode)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효소반응층(13)에서 시료 내 혈당과의 효소 반응에 의해 발생된 전기적 신호를 검출한다.The
상기 전극(16a,16b)의 타단부는 기판(15)의 상부 표면의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에 배치되며, 혈당 측정장치의 삽입공간에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other ends of the
상기 전극(16a,16b)은 백금(Pt), 금(Au) 은(Ag), 은과 염화은(Ag/AgCl)의 혼합 반죽, 전도성 카본 반죽을 사용하여 에칭, 스크린 인쇄, 스퍼터링 등과 같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The
효소반응층(13)의 종류는 측정하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서 변경이 가능하다. 혈액 중 콜레스테롤, 알코올, 락테이트 등을 측정하고자 할 경우 콜레스테롤분해효소, 알코올분해효소, 락테이트분해효소를 효소반응층(13)에 도포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분석대상물질을 산화환원시킬 수 있는 산화환원효소를 효소반응층(13)에 적용하여 혈액내 분석물질을 정량할 수 있다.The type of
효소반응층(13)은 길이가 짧은 제1절연층(14a)과, 길이가 긴 제2절연층(14b)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절연층(14a) 및 제2절연층(14b)은 전극(16a,16b)의 상부에 형성되어 서로 이웃한 전극(16a,16b)을 절연시킨다. The
효소반응층(13)과 혈액공급층(11) 사이에는 공기배출통로(17)가 형성되어, 즉, 상기 효소반응층의 높이가 양옆의 제1절연층(14a)과 제2절연층(14b)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혈액공급층(11)에서 혈액이 공급될 때 후술할 혈액주입홈(12)에 이미 채워져 있는 내부공기를 공기배출통로(17)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피험자로부터 채취된 혈액을 혈액주입홈(12)을 통해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다.An
상기 제1절연층(14a) 및 제2절연층(14b)에 사용되는 절연 물질로는 폴리머(polymer) 필름을 적층하여 형성하거나, 상기 절연 물질들을 스크린 인쇄와 같은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된다.The insulating material used for the first insulating
여기서, 본 발명은 다수의 센서를 길이방향면에 서로 붙인 다음, 포도당 산화효소 및 전자수용체를 포함하는 시약을 폭방향으로 기판(15) 위에 도포함으로써, 여러개의 효소반응층(13)을 한번에 제작함으로써, 센서를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Here, the present invention by attaching a plurality of sensors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plane, and then applying a reagent containing a glucose oxidase and an electron acceptor on the
효소반응층(13)은 기판(15)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포도당 산화효소(glucose oxidase), 및 전자전달을 매개하는 전자수용체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효소반응층(13)은 전해질 용액 내에 수용성 고분자, 포도당 산화효소, 안정제, 전자수용체 등이 일정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된 용액을 제1 및 제2절연층(14a,14b) 사이에 일정량 코팅한 후 건조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The
또한, 본 발명은 효소반응층(13)과 상부커버(10) 사이에 적층되는 혈액공급층(11)을 제공한다. 상기 혈액공급층(11)의 일단부에는 혈액을 공급할 수 있는 혈액주입홈(12)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lood supply layer (11) stacked between the enzyme reaction layer (13) and the top cover (10). One end of the
이때, 상기 혈액공급층(11)은 두께가 매우 얇아서 혈액이 혈액주입홈(12)에 접촉되자마자 모세관 현상에 의해 흡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혈액주입홈(12)은 혈액이 효소반응층(13)과 반응할 수 있도록 효소반응층(13)의 상부에 연통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커버(10)는 혈액공급층(11)의 혈액주입홈(12)을 커버하기 위해 혈액공급층(11)의 상면에 적층된다.At this time, 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센서의 측정방법 및 원리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measuring method and principle of the bio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uch a configuration as follows.
피험자의 손가락 끝 부분에서 채혈된 혈액은 혈액주입홈(12)을 통해 주입되고, 혈액이 혈액주입홈(12)에서 모세관현상에 의해 효소반응층(13)으로 확산된다. 이때 효소반응층(13)이 혈액을 용해하고 혈액 내의 포도당은 효소반응층(13)에 포함된 포도당 산화효소에 의해 산화되고, 포도당 산화효소는 환원된다. Blood collected from the fingertip of the subject is injected through the
그 후 환원된 포도당 산화효소는 전자수용체와의 산화환원 반응을 통하여 산화되고, 전자수용체는 환원된다. 이렇게 형성된 환원상태의 전자수용체는 전극(16a,16b) 표면까지 확산되는데, 이때 환원상태의 전자수용체에 산화전위를 인가하여 생성된 전류를 측정한다. 이때, 혈액 내 포도당은 전자수용체가 산화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전류량에 비례하므로, 상기 전류량을 측정함으로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다.The reduced glucose oxidase is then oxidized through a redox reaction with the electron acceptor, and the electron acceptor is reduced. The reduced electron acceptor thus formed is diffused to the surfaces of the
혈당측정장치는 상기 혈액 내의 포도당이 포도당 산화효소 및 전자수용체와 산화환원 반응하여 발생된 전류를 전극을 통해 전송받아 농도 값으로 변환한 후, 혈액 내에 존재하는 포도당의 농도 즉, 혈당값을 정량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apparatus receives the current generated by the redox reaction of glucose in the blood with the glucose oxidase and the electron acceptor through an electrode, converts the current into a concentration value, and then quantitatively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in the blood, that is, the blood glucose value. Can be calculated.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센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a 내지 도 3c 각각의 조립도이다.3A to 3C are exploded views illustrating a biosenso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A to 4C are assembled views of each of FIGS. 3A to 3C.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혈액속의 측정대상물질을 동시에 두가지 이상 측정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혈당측정용 제1효소반응층(23a)과, 혈액속의 콜레스테롤을 측정할 수 있는 콜레스테롤 측정용 제2효소반응층(23b)을 포함한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osensor capable of simultaneously measuring two or more substances to be measured in blood. For example, the first
상기 바이오센서는 전극(16a,16b)이 형성된 기판(15)과, 기판(15)위에 혈당측정용 제1효소반응층(23a) 및 콜레스테롤 측정용 제2효소반응층(23b), 혈액공급층(21), 상부 커버(20)가 적층되어 있다. The biosensor includes a
이때, 상기 혈액공급층(21)에 형성된 혈액주입홈(22)은 혈액공급층(21)의 일단부에서 콜레스테롤 측정용 제2효소반응층(23b)의 상부까지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효소반응층(23a)은 제1절연층(24a)과 제2절연층(24b) 사이에 위치하고, 제2효소반응층(23b)은 제2절연층(24b)과 제3절연층(24c) 사이에 위치한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판(15)에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용으로 사용되는 하나의 제1기준전극(16b)과 두개의 제1 및 제2작업전극(16a,16a')이 형성된다. 이때, 제1작업전극(16a)은 전극상면이 제1효소반응층(23a)과 제2효소반응층(23b)에 모두 걸쳐지게 형성되고, 제2작업전극(16a')은 전극상면이 제2효소반응층(23b)에만 걸쳐지도록 짧게 형성된다.Here, in the
혈당측정용 제1효소반응층(23a)과 혈액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전류량은 제1 작업전극(16a)과 제1기준전극(16b)을 통해 혈당측정장치에 전송되고, 콜레스테롤 측정용 제2효소반응층(23b)과 혈액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전류량은 제2작업전극(16a')과 제1기준전극(16b)을 통해 콜레스테롤측정장치에 전송된다. The amount of current generated by the reaction between the first
이때, 상기 제1기준전극(16b)이 공통으로 사용되므로, 제1작업전극(16a)과 제2작업전극(16b)에 인가되는 전압은 동일하고, 제1작업전극(16a)이 제1효소반응층(23a)과 제2효소반응층(23b)에 모두 걸쳐지게 형성되므로, 혈당측정장치는 제1작업전극(16a)과 제1기준전극(16b)을 통해 전송된 전류량에서 제2작업전극(16a')과 제1기준전극(16b)을 통해 전송된 전류량을 뺀 값으로 제1효소반응층(23a)과 혈액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전류량을 측정하여 혈당값을 구한다.In this case, since the
{제1효소반응층(23a)과 혈액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전류량} = {제1작업전극(16a)과 제1기준전극(16b)을 통해 전송된 전류량} - {제2작업전극(16a')과 제1기준전극(16b)을 통해 전송된 전류량}{Current amount generated by the reaction of the first
또한, 콜레스테롤측정장치는 제2작업전극(16a')과 제1기준전극(16b)을 통해 전류량을 전송받아 제2효소반응층(23b)과 혈액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고, 이 전류량으로 콜레스테롤값을 구한다.In addition, the cholesterol measuring device may receive the amount of current through the second working
이때, 상기 전극 수는 측정대상의 종류에 비례하여 증가한다.At this time, the number of electrodes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type of the measurement objec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에는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용으로 사용되는 하나의 제1기준전극(16b)과 두개의 제1 및 제2작업전극(16a,16a')이 형성된다. 이때, 제1작업전극(16a)은 전극상면이 제1효소반응층(23a)과 제2효소반응층(23b)에 모두 걸쳐지게 형성되고, 제2작업전극(16a')은 전극상면이 제2효소반응 층(23b)에만 걸쳐지도록 짧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B, one
그러나, 상기 도 3b에 도시한 기판의 제1작업전극(16a)에는 제1절연막(19a)이 형성됨에 따라, 제2효소반응층(23b)과 혈액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전류가 제1절연막(19a)에 의해 차단되어 제1작업전극(16a)으로 흐르지 못하게 된다.However, as the first insulating
따라서, 혈당측정장치는 제1작업전극(16a) 및 제1기준전극(16b)을 통해 전류량을 전송받아 제1효소반응층(23a)과 혈액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고, 이 전류량으로 혈당값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측정장치는 제2작업전극(16a')과 제1기준전극(16b)을 통해 전류량을 전송받아 제2효소반응층(23b)과 혈액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고, 이 전류량으로 콜레스테롤값을 구한다.Therefore,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apparatus may receive the current amount through the first working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기판에는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기준전극(16b) 및 제1작업전극(16a)과, 제2기준전극(16b') 및 제2작업전극(16a')이 형성된다. 이때, 제1기준전극(16b)과 제1작업전극(16a)은 전극상면이 제1효소반응층(23a)과 제2효소반응층(23b)에 모두 걸쳐지게 형성되고, 제2기준전극(16b')과 제2작업전극(16a')은 전극상면이 제2효소반응층(23b)에만 걸쳐지도록 짧게 형성된다.As shown in FIG. 3C, the substr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그러나, 도 3c에 도시한 기판의 제1기준전극(16b) 및 제1작업전극(16a)에는 제2절연막(19b)이 형성됨에 따라, 제2효소반응층(23b)과 혈액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전류가 제2절연막(19b)에 의해 차단되어 제1기준전극(16b)과 제1작업전극(16a)으로 흐르지 못하게 된다.However, as the second
따라서, 혈당측정장치는 제1기준전극(16b) 및 제1작업전극(16a)을 통해 전류 량을 전송받아 제1효소반응층(23a)과 혈액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고, 이 전류량으로 혈당값을 구할 수 있다. 또한, 콜레스테롤측정장치는 제2작업전극(16a')과 제2기준전극(16b')을 통해 전류량을 전송받아 제2효소반응층(23b)과 혈액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전류량을 측정할 수 있고, 이 전류량으로 콜레스테롤값을 구한다.Therefore,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apparatus may receive the amount of current through the
여기서, 상기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기판은 동일한 제1기준전극(16b)을 사용하므로 혈당과 콜레스테롤 측정을 위한 반응조건 및 반응시간이 동일한 경우에 사용가능하고, 상기 도 3c에 도시한 기판은 측정대상물의 종류에 대응하는 수만큼 제1 및 제2기준전극(16b,16b')을 사용하므로 혈당과 콜레스테롤 측정을 위한 반응조건 및 반응시간이 다른 경우에도 사용가능하다.Here, the substrate shown in FIGS. 3A and 3B uses the same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센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6은 도 5의 조립도이다.5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bio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assembled view of FIG. 5.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혈액을 혈액주입홈(32)을 통해 주입시 신체부위(예를 들어 손가락의 끝단부)가 접촉될 때 입구가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입구 주위에 노치부(33)가 형성된 바이오센서를 제공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코드인식용 전극 및 기판이 각각 모양을 달리하여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코드인식용 전극만 패턴화한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7 to 9 are diagrams showing the shape of the code recognition electrode and the substrate formed in different shap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0 to 12 is a pattern of only the code recognition electrod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showing.
한편, 바이오센서는 통상 생산공정에서 각 센서(50~52)마다 혈당측정이 정확한지 또는 오차범위가 어느 정도인지를 판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오차의 범 위에 따라 이를 보정하기 위해 각 센서마다 보정치를 줄 수 있도록 코드를 부여하는 전극(53~55)을 기판(15)의 저면에 형성한다.On the other hand, the biosensor determines whether the blood glucose measurement is accurate or the error range for each sensor (50 to 52) in the normal production process.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예를 들어, 혈당 기준값이 100인 경우에 제1센서(50)의 측정값이 100이면 코드 A를 부여하고, 제2센서(51)의 측정값이 90이면 100을 만들기 위해서는 10(보정값)을 더해줄 수 있도록 코드 B를 부여하며, 제3센서(52)의 측정값이 110이면 100을 만들기 위해서는 10을 빼줄 수 있도록 코드 C를 부여한다.For example, when the blood glucose reference value is 100, a code A is assigned when the measured value of the
이와 같이 각 센서(50~52)마다 코드를 부여하기 위해 각 코드에 해당되는 전극(53~55)의 모양을 정하여 해당 전극(53~55)을 기판(15)의 뒷면에 형성한다. 전극(53~55)의 모양은 코드 및 보정값에 따라 각각 다르게 정할 수 있다.In this way, in order to give a code to each
또한 다른 모양의 전극(53~55)이 부착된 센서(50~52)를 혈당측정장치와 연결되는 소켓에 삽입하였을 때, 소켓 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단자(18a~18c)가 다른 모양의 전극(53~55)을 코드별로 인식함으로써, 혈당측정장치에서 각 코드에 해당되는 보정값으로 측정값을 보정해주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이때, 복수의 단자(18a~18c)는 각각 번호가 부여되고, 각 전극(53~55)의 모양에 따라 각각의 단자가 온오프된다.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예를 들어, A 코드가 부여된 제1센서(50)의 경우 제1단자(18a)에는 오프신호, 제2 및 제3단자(18b,18c)에는 온신호가 전송되게 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B 코드가 부여된 제2센서(51)의 경우 제1 및 제2단자(18a,18b)에는 온신호, 제3단자(18c)에는 오프신호가 전송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C 코드가 부여된 제3센서(52)의 경우 제1 및 제3단자(18a,18c)에는 온신호, 제2단자(18b)에는 오프신호가 전송되게 된다.In the case of the
이와 같이 각각 다른 코드가 부여된 센서(50~52)를 혈당측정장치의 삽입부에 삽입하면, 혈당측정장치는 각 코드에 따라 미리 결정된 보정값을 각 센서(50~52)에 할당하여 보정하게 되면 혈당값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여기서, 상기 전극(53~55)의 모양은 단자의 갯수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직선형(도 7 내지 도 9) 또는 지그재그형으로 단자 또는 전극(53~55)을 패턴화 할 수 있다.Here, the shapes of the
또한, 각 센서(50~52)의 코드 인식을 위해 전극(53~55) 및 전극 모양에 대응되게 기판(15)을 펀칭하거나(도 7 내지 도 9), 또는 전극(53~55)만을 패턴화 함(도 10 내지 도 12)으로 복수의 단자(예, 3개 또는 4개)를 통해 혈당측정장치가 센서(50~52)의 특성(혈당측정값 오차)에 따라 보정값을 주게 되므로, 혈당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recognize the codes of the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센서를 보여주는 분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조립도이다. FIG. 1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bio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n assembled view of FIG. 13.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커버(40)에는 혈액주입구(40a)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혈당 측정을 위해 피험자의 손가락 끝부분을 란셋으로 찔러 채혈하는데, 도 1에서처럼 혈액주입홈(42)을 통해 혈액을 주입하는 경우 소량의 혈액이 채혈된 손가락 끝단부를 혈액주입홈(42)의 끝단에 접촉시켜 혈액을 주입하기가 쉽지 않다.In the
왜냐하면, 바이오 센서를 수평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피험자의 혈액을 주입할 때 손가락의 끝단에 맺힌 혈액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흘러내릴 수 있다. 또한, 손가락에 맺힌 혈액이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손가락을 뒤집어 혈액이 위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피험자의 혈액을 주입하는 경우에 바이오센서의 혈액주입홈(42)을 혈액 쪽으로 기울이면 혈액의 입장에서 보면 혈액주입홈(12)이 상향경사지게 되어 혈액이 안쪽으로 스며들기가 쉽지 않다. 뿐만 아니라 바이오센서를 수평으로 유지하면서 혈액이 흐르지 않도록 손가락의 끝단부를 갖다대기가 더욱 쉽지 않다.This is because, when the blood of the subject is injected while the biosensor is kept horizontal, the blood formed at the tip of the finger may flow down by gravity. In addition, when injecting the subject's blood while the finger is turned upside down to prevent blood from flowing down by gravity, the
그러나, 본 발명은 혈액주입구(40a)를 상부커버(40)에 형성하여 혈액을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상기 혈액주입구(40a)가 상부커버(40)의 일단부에 인접하게 관통형성되고, 혈액주입홈(42)은 혈액공급층(41)의 일단부에 인접한 부분에서 안쪽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피험자가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손가락의 끝단부를 란셋으로 찔러 채혈한 후, 손가락을 뒤집어 혈액이 채혈된 손가락의 끝단부를 상부커버(40)에 형성된 혈액주입구(40a)에 접촉시킴으로써, 혈액을 더욱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센서를 보여주는 분해도이고, 도 16a 내지 도 16c는 도 15a 내지 도 15c 각각의 조립도이다.15A to 15C are exploded views illustrating a bio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6A to 16C are assembled views of each of FIGS. 15A to 15C.
도 15a에 도시한 기판에 하나의 공용 제1기준전극(16b)과, 두개의 제1 및 제2작업전극(16a,16b')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3a에서 전극의 구성과 작용이 대동소이하나, 도 15a의 상부커버(40) 중간에 혈액주입구(40a)가 관통형성되어 있고, 혈액주입구(40a)가 혈액공급층(41)의 일단부에서 약간 떨어지게 형성되어 제1 및 제2 효소반응층(153a,153b)에 혈액이 공급된다는 점에서 도 3a와 차이가 있다. 이때, 도 15a에서 혈액주입구(150a)가 상부커버(150)의 중간에 형성됨으로써 혈액을 더욱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lectrodes in FIG. 3A are similar in that one common
도 15b에 도시한 기판에 하나의 공용 제1기준전극(16b)과, 두개의 제1 및 제2작업전극(16a,16a')이 형성되고, 제1작업전극(16a)에 제1절연막(19a)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3b에서 전극의 구성과 작용이 대동소이하나, 도 15b의 상부커버 중간에 혈액주입구(150a)가 관통형성되어 있고, 혈액주입구(150a)가 혈액공급층(151)의 일단부에서 약간 떨어지게 형성되어 제1 및 제2효소반응층(153a,153b)에 혈액이 공급된다는 점에서 도 3b와 차이가 있다. 이때, 도 15b에서 혈액주입구(150a)가 상부커버(150)의 중간에 형성됨으로써 혈액을 더욱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One common
도 15c에 도시한 기판에 두개의 제1 및 제2기준전극(16b,16b')과, 두개의 제1 및 제2작업전극(16a,16a')이 형성되고, 제1기준전극(16b) 및 제1작업전극(16a)에 제2절연막(19a)이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3c에서 전극의 구성과 작용이 대동소이하나, 도 15c의 상부커버 중간에는 혈액주입구(150a)가 관통형성되어 있고, 혈액주입구(150a)가 혈액공급층(151)의 일단부에서 약간 떨어지게 형성되어 제1 및 제2효소반응층(153a,153b)에 혈액이 공급된다는 점에서 도 3c와 차이가 있다. 이때, 도 15c에서 혈액주입구(150a)가 상부커버(150)의 중간에 형성됨으로써 혈액을 더욱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Two first an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laim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claims It includes all the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that can be carried ou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센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1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biosens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조립도이다.FIG. 2 is an assembly view of FIG. 1.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기판에 형성된 전극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도이다.3A-3C are exploded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electrodes formed on th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a 내지 도 3c 각각의 조립도이다.4A to 4C are assembled views of each of FIGS. 3A to 3C.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센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5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bio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의 조립도이다.6 is an assembly view of FIG. 5.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코드인식용 전극 및 기판이 각각 모양을 달리하여 형성된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7 to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hape of the code recognition electrode and the substrate formed in different shapes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코드인식용 전극만 패턴화한 모습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0 to 1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pattern patterned only the code recognition electrod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오센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13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biosens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도 13의 조립도이다.14 is an assembly view of FIG. 13.
도 15a 내지 도 15c는 본 발명의 기판에 형성된 전극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분해도이다.15A-15C are exploded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electrodes formed on th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a 내지 도 16c는 도 15a 내지 도 15c 각각의 조립도이다.16A to 16C are assembled views of each of FIGS. 15A to 15C.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20,30,40,150 : 상부 커버 11,21,31.41,151 : 혈액공급층10,20,30,40,150:
12,22,32,42,152 : 혈액주입홈 13,43 : 효소반응층12,22,32,42,152:
23a,153a : 제1효소반응층 23b,153b : 제2효소반응층23a, 153a: first
14a,24a,154a : 제1절연층 14b,24b,154b : 제2절연층14a, 24a, 154a: first insulating
24c,154c : 제3절연층 15 : 기판24c and 154c: third insulating layer 15: substrate
16a : 제1작업전극 16a' : 제2작업전극16a: first working
16b : 제1기준전극 16b' : 제2기준전극16b:
17 : 공기배출통로 18a : 제1단자17:
18b : 제2단자 18c : 제3단자18b: second terminal 18c: third terminal
19a : 제1절연막 19b : 제2절연막19a: first insulating
33 : 노치부 40a,150a : 혈액주입구33:
50~52 : 제1 내지 제3센서50 to 52: first to third sensors
53~55 : 전극53-55: electrode
Claims (14)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2320A KR101103682B1 (en) | 2008-04-08 | 2009-02-16 | Biosensor |
PCT/KR2009/001466 WO2009125930A1 (en) | 2008-04-08 | 2009-03-23 | Bio-sens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2521 | 2008-04-08 | ||
KR1020090012320A KR101103682B1 (en) | 2008-04-08 | 2009-02-16 | Biosens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7405A KR20090107405A (en) | 2009-10-13 |
KR101103682B1 true KR101103682B1 (en) | 2012-01-11 |
Family
ID=41537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2320A KR101103682B1 (en) | 2008-04-08 | 2009-02-16 | Biosens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03682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77868A (en) | 2021-11-26 | 2023-06-02 | (주)오상헬스케어 | Enzymeless blood glucose met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2837B1 (en) * | 2009-08-13 | 2011-03-18 | 에스디 바이오센서 주식회사 | Sensor strip showing sensor characteristics as resistance and autocoding method using same |
KR101022838B1 (en) * | 2009-10-06 | 2011-03-18 | 에스디 바이오센서 주식회사 | Blood glucose measurement device employing sensor strip with resistance electrode for autocoding |
KR101963790B1 (en) * | 2012-05-31 | 2019-07-31 | (주)씨큐엠에스 | glucose measuring device for automatically percepting a code signal of senser strip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5103669A1 (en) * | 2004-04-19 | 2005-11-03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Method for measuring blood components and biosensor and measuring instrument for use therein |
KR100729307B1 (en) * | 2002-06-17 | 2007-06-15 | 아크레이 인코퍼레이티드 | Method of measuring glucose concentration using glucose dehydrogenase and glucose sensor |
KR100757297B1 (en) * | 2006-09-30 | 2007-09-11 | 케이엠에이치 주식회사 | Biosensor for fast sample injection and 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sensor |
-
2009
- 2009-02-16 KR KR1020090012320A patent/KR101103682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9307B1 (en) * | 2002-06-17 | 2007-06-15 | 아크레이 인코퍼레이티드 | Method of measuring glucose concentration using glucose dehydrogenase and glucose sensor |
WO2005103669A1 (en) * | 2004-04-19 | 2005-11-03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Method for measuring blood components and biosensor and measuring instrument for use therein |
KR100757297B1 (en) * | 2006-09-30 | 2007-09-11 | 케이엠에이치 주식회사 | Biosensor for fast sample injection and 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sensor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77868A (en) | 2021-11-26 | 2023-06-02 | (주)오상헬스케어 | Enzymeless blood glucose me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7405A (en) | 2009-10-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41152B1 (en) | Biosensor | |
US8236166B2 (en) | No calibration analyte sensors and methods | |
US7297248B2 (en) | Glucose strip sensor and glucose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glucose strip sensor | |
US7527716B2 (en) | Connector configuration for electrochemical cells and meters for use in combination therewith | |
US8419927B2 (en) | Analyte sensors and methods of use | |
US7866026B1 (en) | Method for making calibration-adjusted sensors | |
US20150323488A1 (en) | Analyte Sensors and Methods of Use | |
JP2010525373A (en) | Test strip identification using conductive patterns | |
KR101103682B1 (en) | Biosensor | |
KR100485671B1 (en) | A measuring instrument for biosensor | |
KR100757297B1 (en) | Biosensor for fast sample injection and blood glucose measurement method using the sensor | |
US10488360B2 (en) | Method of using an electrochemical device | |
WO2015084448A1 (en) | Disposable test sensor with improved sampling entrance | |
KR200435115Y1 (en) | Biosensor for fast sample injection | |
CN219245429U (en) | Biological sensor | |
JP2004004057A (en) | Biosensor, adapter used for the same and measuring apparatus | |
TW202222255A (en) | Analyte sensor and a method for producing an analyte sens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2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2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