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837B1 - Vertical plate holding device of paper sheet - Google Patents
Vertical plate holding device of paper shee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02837B1 KR101102837B1 KR1020110075041A KR20110075041A KR101102837B1 KR 101102837 B1 KR101102837 B1 KR 101102837B1 KR 1020110075041 A KR1020110075041 A KR 1020110075041A KR 20110075041 A KR20110075041 A KR 20110075041A KR 101102837 B1 KR101102837 B1 KR 1011028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vertical
- guide
- pressing
- pie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44—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 B31B50/4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and interconnecting side walls
- B31B50/48—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plungers moving through folding dies and interconnecting side walls by folding or tucking in locking fla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 B65D5/24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and the gussets fold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26—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52—Folding sheets, blanks or webs by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members, e.g. fing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81—Forming or attaching accessories, e.g. opening devices, closures or tear st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held erect by extensions of one or more sides being doubled-over to enclose extensions of adjacent s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0/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00/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 B31B2100/0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 from which they are formed
- B31B2100/00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made by folding single-piece sheets, blanks or web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nk from which they are formed having all side walls attached to the botto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10/0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10/30—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 B31B2110/35—Shape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a polygonal cross section rectangular, e.g. squa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20/00—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31B2120/002—Construction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having contracted or rolled necks, having shou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종이박스용 종이판재의 세로판 홀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홀더에 삽입되는 지지체를 정확히 지지한 상태로 삽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이판재의 두께에 따라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지지체 가압시 지지체가 손상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종이박스용 종이판재의 세로판 홀딩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plate holding device of a paper box for a paper box, and more particularly, by being able to be inserted in a state in which the support is inserted into the holder exactly, as well as by adjusting the pressing force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aper pl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rtical plate holding apparatus of a paper box material for a paper box which can prevent the support from being damaged or detached during pressurization.
일반적으로 이중벽 종이상자는 측면이 이중벽 구조를 가진 상자를 말하는데, 종이판재를 원하는 형태로 제단하여 제단된 테두리를 원하는 박스 형태로 접어 형성하는 것으로 통상 상하로 분리된 형태이거나 하나의 박스로 형성된다.In general, a double wall paper box refers to a box having a double-walled structure on the side, and is formed by folding a paper board material into a desired shape to fold the cut edges into a desired box shape.
상기와 같은 이중벽 종이상자를 형성하기 위한 종이판재는 그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제단되는데, 통상 이중벽 종이상자는 일예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가로판과 세로판이 각각 내,외벽으로 이루어지는 이중 구조를 하고 있다.The paper plate material for forming the double wall paper box as described above is variously cut according to its type. As shown in FIG. Doing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종이판재(1)는 중앙 부분(2)을 기준으로 테두리 측에서 각각 대향되게 연장되는 세로외벽(3a), 세로내벽(3b), 세로지지체(3c)로 연장 형성된 세로판(3)과 가로외벽(4a), 가로내벽(4b) 및 가로지지체(4c)로 연장 형성된 가로판(4)으로 구성되며, 각각이 연장되는 부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접철될 수 있게 접철선(L)이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1, a
또한 상기 가로외벽 측과 세로외벽 측이 연결되는 모서리 부분에는 중앙 부분으로 접철선을 따라 접철되는 제2접철 지지체(6)가 형성되고, 상기 새로내벽(3b) 양단부에는 상기 제2접철 지지체(6)와 중첩되어 가로판 측을 지지하는 제1접철 지지체(5)가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a second
상기와 같은 종이판재를 이중벽 종이상자 형태로 접기 위해서는 먼저,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외벽(3a)과 세로내벽(3b) 사이에 형성된 접철선(L)을 기준으로 상기 세로내벽(3b)을 세로외벽(3a)과 중첩되게 접철한 후 상기 중첩된 세로내벽과 세로외벽이 중앙 부분(2) 측 방향으로 절곡하여 중첩된 세로판(3)이 중앙 부분과 직교되게 한다.In order to fold the paper sheet as described above in the form of a double-wall paper box, first, the vertical inner wall on the basis of the fold line (L) formed between the vertical outer wall (3a) and the vertical inner wall (3b) as shown in Figure 2a and 2b After folding (3b) to overlap the vertical
그 다음, 도 3a 및 도 3b을 참조하면, 절곡된 세로판(3) 단부에 형성된 제2접철 지지체(6)의 접철선(L)을 도면상의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2접철 지지체(6)가 내측으로 접철됨과 동시에 연결된 가로외벽(4a)이 중앙 부분 측으로 접철선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절곡되게 한다. 절곡된 가로판 측으로 앞서 절곡된 세로판의 단부와 밀착되어 중앙 부분과 직교하는 테두리를 형성하게 된다.Next, referring to FIGS. 3A and 3B, the fold line L of the
이 후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내벽(4b)을 접철선(L)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절곡하여 수직한 상태의 가로외벽(4a)과 중첩되게 함과 동시에 단부에 형성된 가로지지체(4c)가 중앙 부분과 밀착되게 절곡하여 앞서 절곡된 세로지지체(3c)와 모서리 부분이 밀착지지되게 함으로써 박스를 형성하게 된다.Thereafter, as illustrated in FIG. 4A, the horizontal
이와 같이 종래에는 이중벽 종이상자 성형을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에 의존하여 수행하였지 때문에 이중벽 종이상자 성형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인건비 부담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double wall paper box molding is conventionally performed by the operator depending on manual labor, and thus, the double wall paper box molding takes a long time, and the labor cost burden of the worker is large.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공개번호 제10-19990007576호가 개시되어 있습니다.In order to improve this, the publication number 10-19990007576 is disclosed.
그러나 종래의 경우 홀더에 지지체를 삽입하기 위해 가압시 지지체가 홀더에 정확히 삽입되지 않아 이탈하거나 지지체 가압시 지지체가 구겨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support is not correctly inserted into the holder when pressurized to insert the support into the holder, thereby causing a problem such as leaving or crimping the support when pressurizing the suppor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홀더에 삽입되는 지지체를 정확히 지지한 상태로 삽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이판재의 두께에 따라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지지체 가압시 지지체가 손상되거나 이탈하는 방지할 수 있는 종이판재의 세로판 홀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erted in a state that exactly supports the support to be inserted into the holder, as well as to adjust the pressing force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aper sheet It is to provide a vertical plate holding device of the paper plate material that can prevent the support from being damaged or detached during pressing.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structur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의 종이판재의 세로판 홀딩장치는, 이송수단(300)에 의해 세로내벽(3b)과 세로외벽(3a)이 접철된 상태로 투입되어 이중벽 종이상자를 성형하기 위한 종이판재의 세로판 홀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로내벽(3b) 단부에서 연장된 세로지지체(3c)를 기립 상태로 수납하여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410)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 일측에 가이드링(423)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링(423)을 따라 승강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에 수납된 세로외벽(3a)과 세로지지체(3c) 사이를 수직 방향 가압하는 제1가압 플레이트(420)와;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 일측에 위치되되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와 회전블록(413,43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의 하강력에 의해 회전하며 세로지지체(3c)를 홀더(460) 측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 플레이트(430)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를 승강시키는 제1승강수단(440)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를 관통하여 제1가압 플레이트(420) 상면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를 승강시키는 제2승강수단(450);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 일측에 위치된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와 대응되게 위치되어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와 제2가압 플레이트(430)에 의해 가압된 세로지지체(3c)가 수납되는 홀더(46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vertical plate holding apparatus of the paper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plate holding of the paper plate for forming a double-walled paper box by being fed in the state that the vertical
그리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는 상기 제1승강수단(440)이 연결되고 상기 제2승강수단(450)이 관통 삽입되는 고정편(412)과, 상기 고정편(412)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되 하단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세로지지체(3c)가 수납되어 안내되는 가이드홈(411b)이 형성된 가이드편(411)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가이드홈(411b) 일측에는 진입하는 상기 세로지지체(3c)를 가이드홈(411b) 측으로 안내하는 유도홈(411a)이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는 상기 제2승강수단(450)이 연결되는 수평편(422)과, 상기 수평편(422)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되 하단 일측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편(421a)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편(421a) 길이 방향을 따라 안내홈(421b)이 등간격 형성된 제1가압편(421)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또한 상기 제2가압 플레이트(430)는 상기 회전블록(412,435)에 의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하단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편(431a)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편(431a) 길이 방향을 따라 안내홈(431b)이 등간격 형성된 제2가압편(431)과, 상기 제2가압편(431) 상단에서 수평 방향 연장되되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10)의 하강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가압편(431)을 회전시키는 지지수단(433)이 구비된 지지편(432)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그리고 상기 제2가압편(431)에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와의 사이에서 상호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지지수단(434)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econd
또한 상기 탄성지지수단(434)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와 제2가압편(43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가압편(431)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434b)과, 상기 스프링(434b)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와 제2가압편(431) 사이를 연결하는 길이조절볼트(434a)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lastic support means 434 is located between the
본 발명에 따르면, 홀더에 삽입되는 세로지지체를 정확히 지지한 상태로 삽입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이판재의 두께에 따라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세로지지체 가압시 세로지지체가 손상되거나 이탈하는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the vertical support inserted into the holder can be inserted in a precisely supported state, but also the pressur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paper sheet so that the vertical suppor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or detached when the vertical support is pressed. It works.
도 1은 일반적인 종이판재를 나타내는 전개도.
도 2a 내지 도 4b는 도 1에 도시된 종이판재를 절곡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종이판재의 세로판 홀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종이판재의 세로판 홀딩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종이판재의 세로판 홀딩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종이판재의 세로판 홀딩장치에 따른 A-A' 선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종이판재의 세로판 홀딩장치에 따른 B-B' 선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종이판재의 세로판 홀딩장치에 따른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1 is a developed view showing a general paper sheet.
2A to 4B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process of bending the paper sheet shown in FIG. 1.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rtical plate holding device of the paper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rtical plate holding device of the paper sheet shown in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 vertical plate holding apparatus of the paper sheet shown i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of the vertical plate holding apparatus of the paper sheet shown in FIG. 7.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B ′ line of the vertical plate holding apparatus of the paper sheet shown in FIG. 7. FIG.
10 to 14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the vertical plate holding device of the paper shee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xplain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shape of each element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to emphasize a more clear description.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본 발명의 종이판재의 세로판 홀딩장치(400)는, 이송수단(300)에 의해 세로내벽(3b)과 세로외벽(3a)이 접철된 상태로 투입되어 이중벽 종이상자를 성형하기 위한 종이판재의 세로판 홀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로내벽(3b) 단부에서 연장된 세로지지체(3c)를 기립 상태로 수납하여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410)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 일측에 가이드링(423)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링(423)을 따라 승강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에 수납된 세로외벽(3a)과 세로지지체(3c) 사이를 수직 방향 가압하는 제1가압 플레이트(420)와;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와 회전블록(413,43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의 하강력에 의해 상기 회전블록(414,435)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에 의해 가압된 세로지지체(3c)를 수평 방향 가압하는 제2가압 플레이트(430)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를 승강시키는 제1승강수단(440)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를 관통하여 제1가압 플레이트(420) 상면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를 승강시키는 제2승강수단(450);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 일측에 위치된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의 대향되게 위치되어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와 제2가압 플레이트(430)에 의해 가압된 세로지지체(3c)가 수납되는 홀더(46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5 to 7, the vertical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는 평판 형태의 고정편(412)과 상기 고정편(412) 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가이드편(411)으로 이루어진다.The
또한 상기 고정편(412)에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한쌍의 통공(41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편(411)에는 하단 길이 방향을 따라 함몰된 가이드홈(411b)과 서로 이격된 위치에 두개가 한조로 이루어진 한쌍의 나사공(411d)과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등간격 개구된 절개공(411c)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한편 상기 가이드홈(411b) 일측에는 진입하는 상기 세로지지체(3c)를 가이드홈(411b) 측으로 안내하는 유도홈(411a)을 더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guide groove (411b) is preferably formed to further guide the guide groove (411a) for guiding the vertical support (3c) to the guide groove (411b) side.
그리고 상기 나사공(411d)에는 볼트(413b) 결합되는 회전블록(413)이 위치되며, 상기 회전블록(413)에는 후술하는 연결볼트(435a)가 삽입되는 결합되는 축공(413a)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즉,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는 본 발명의 종이판재의 세로판 홀딩장치 전단에 배치된 이송수단(300)에 의해 세로외벽(3a)과 세로내벽(3b)이 중첩된 상태로 진입하면 상기 세로외벽(3a) 단부에 형성된 세로지지체(3c)를 상기 유도홈(411a)과 가이드홈(411b)을 이용해 안내하여 홀더에 안착시킬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That is, the
여기서 상기 절개공(411c)은 가이드 플레이트(410)의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절개시킨 것이다.In this case, the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는 평판 형태의 수평편(422)과 상기 수평편(422) 단부에서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된 제1가압편(421)으로 이루어진다.The first
또한 상기 수평편(422)에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한쌍의 결합공(42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가압편(421)에는 하단부에서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편(421a)과 상기 경사편(421a) 길이 방향을 따라 안내홈(421b)이 등간격 형성되며, 상기 제1가압편(421) 측면을 따라 승강유도공(421d)이 슬롯 형태로 등간격 형성되고, 상기 승강유도공(421d) 사이에는 절개공(421c)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절개공(421c)은 후술하는 제1가압 플레이트와 탄성지지수단이 서로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절개된 것이다.In this case, the
또한 상기 제1가압편(421)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편(422)과 경사편(421a)은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승강유도공(421d) 각각에는 한쌍의 가이드링(423)이 삽입 배치되다.In addition, a pair of guide rings 423 are inserted and disposed in each of the elevating
한편 상기 가이드링(423)은 원호 형태한 외주면을 따라 함몰된 홈(423b)이 형성되며, 원주 중심을 축 방향 관통하는 연결공(423a)이 형성되어 상기 홈(423b)이 상기 승강유도공(421d)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를 관통 삽입되는 고정볼트(423c)가 상기 연결공(423a)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와 가이드링(423)이 연결되게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즉,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는 승강 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 측면에 위치되어 경사진 형태의 제1가압편(421) 단부가 가이드 플레이트(410)에 삽입된 상태의 세로지지체(3c)와 세로외벽(3a) 사이를 가압하여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 측면에 위치된 홀더에 세로지지체가 삽입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That is, the first
상기 제2가압 플레이트(430)는 평판 형태의 지지편(432)과 상기 지지편(432) 단부에서 하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가압편(431)으로 이루어진다.The second
또한 상기 지지편(432)에는 서로 이격된 위치에 한쌍의 통공(432a)이 형성되며, 상기 제2가압편(431)에는 하단부에서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편(431a)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편(431a) 길이 방향으로 안내홈(431b)이 등간격 형성되며, 측면에는 슬롯 형태의 체결공(431d)이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431d) 사이에는 한쌍의 절개공(431c)이 개구되어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상기 제2가압편(431)에 하단에 형성된 경사편(431a)과 상단에 형성된 지지편(432)은 상기 제2가압편(431)을 기준으로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Here, the
그리고 상기 통공(432a)에는 지지수단(433)이 연결 구비되며, 상기 지지수단(433)은 높이조절볼트(433a)와 한쌍의 조임너트(433b)로 구성된다.And the support means 433 is provided in the through-hole (432a), the support means 433 is composed of a height adjustment bolt (433a) and a pair of tightening nuts (433b).
즉, 상기 지지수단(433)은 높이조절볼트(433a)를 수직 방향으로 풀림과 조임을 통해 상기 지지편(432) 상부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부에 위치되는 수평편(422)과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제1가압 플레이트(420)가 하강시 수평편(422)과의 밀착 높이 조절을 통해 제2가압 플레이트(430)의 회동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That is, the support means 433 is a
또한 상기 체결공(431d)에는 각각 회전블록(435)과 탄성지지수단(434)이 위치된다.In addition, the
상기 회전블록(435)은 상술한 상기 회전블록(413)과 동일한 형태이며, 상호 회전블록(413,435)은 연결볼트(435a)와 연결너트(435b)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연결볼트를 기준으로 상호 회전되는 구조이며, 상기 연결보트(435a) 외주면과 상기 회전블록(413,435) 내부면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탄성지지수단(434)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와 제2가압편(43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가압편(431)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434b)과, 상기 스프링(434b)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와 제2가압편(431) 사이를 연결하는 길이조절볼트(434a)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astic support means 434 is located between the
상기 제1승강수단(440)은 공압 또는 유압 동작하는 승강 실린더(441)와 로드(442), 상기 로드(442)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 상면과 연결되는 고정대(443), 상기 승강 실린더(441) 양측면에 위치되어 가이드 플레이트(410)에 연결지지되는 고정 브라켓(444), 상기 고정 브라켓(444) 일측에 위치되어 종이판재의 세로판 홀딩장치 내의 프레임(미도시)에 고정되는 지지 브라켓(446) 및 상기 고정 브라켓(444)과 지지 브라켓(446) 사이를 상호 연결시켜 슬라이딩 안내하는 가이드(447)를 포함한다.The first elevating
즉, 상기 제1승강수단(440)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와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를 승강시키는 구성으로 가이드 플레이트(410)에 의해 안내되는 종이판재(1)가 가이드 플레이트(410)에 정확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이거나 장치의 에러가 발생할 시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가이드 플레이트(410)를 승강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That is, the first elevating
여기서 상기 가이드(447)는 L/M 가이드이다.The
상기 제2승강수단(450)은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동작하는 승강 실린더(451)와 로드(452)이며, 상기 로드(452) 단부에는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 상면과 연결되도록 한쌍의 결합너트(453)가 구비된다.The second lifting means 450 is a
즉, 상기 제2승강수단(450)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 상면에 지지된 상태로 로드(452)가 관통 삽입되어 결합너트(453)에 의해 제2가압 플레이트(420) 상면과 연결되어 상기 제2가압 플레이트(420)를 수직 방향 승강시키는 구성이다.That is, the second elevating means 450 is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상기 홀더(460)는 블록 형태의 몸체(461)와 상기 몸체(461) 하단 측면 길이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함몰된 삽입홈(462)으로 구성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에 의해 안내된 세로지지체가 제1가압 플레이트(420)와 제2가압 플레이트(430)에 의해 가압되어 삽입홈(462)에 삽입 고정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기 홀더는 종이판재의 세로판을 가압하여 절곡 성형하는 수단으로서 이용된다. The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며 본 발명의 결합 관계를 살펴보면 먼저 본 발명의 기준이 되는 가이드 플레이트(410)를 준비한 후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의 가이드편(411)과 고정편(412) 사이에 위치되도록 제1가압 플레이트(420)를 위치시킨다.Referring to FIGS. 8 and 9 and look at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prepare a
이 후 상기 고정편(412)의 통공(412a)에 제2승강수단(450)의 로드(452)를 삽입한 후 상기 로드(452) 단부에 한쌍의 결합너트(453) 중 하나를 결합하고 결합너트가 결합된 로드 단부가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의 수평편(422)에 형성된 결합공(422a)을 관통되게 삽입하여 나머지 결합너트(453)를 로드에 결합시켜 한쌍의 결합너트 사이에 수평편(422)이 위치되게 한다. 이때 상기 한쌍의 결합너트를 로드로부터 풀림과 조임을 통해 가이드 플레이트 측면에 위치되는 제1가압 플레이트를 제2승강수단(450)에 대해 조절되게 하여 적당한 위치가 되게 한다.Thereafter, the
즉, 상기 제2승강수단(450)의 승강 실린더(451)이 가이드 플레이트(410)의 고정편(412) 상면에 지지된 상태로 로드(452)를 고정편(412)과 수평편(422)을 관통 삽입하여 고정편(412)과 수평편(422) 사이 간격을 결합너트를 이용해 조절하게 하는 것이다.That is, the
다음으로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의 승강유도공(421d)에 두개가 한조가 되도록 가이드링(423)을 삽입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의 가이드편(411)을 관통시켜 고정볼트(423c)를 상기 가이드링(423)의 연결공(423a)에 관통 삽입되게 한 후 관통된 상기 고정볼트(423c)를 너트(423d)를 결합시켜 고정시킨다.Next, the
즉, 상기 가이드링(423)을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의 제1가압편(421)에 삽입되게 한 후 가이드링(423)이 가이드 플레이트(410)의 가이드편(411) 측면과 지지된 상태로 제2승강수단(450)의 동작에 의해 가이드링(423)을 따라 제1가압 플레이트(420)가 수직 방향 안내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이때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의 제1가압편(421) 하단에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편(421a)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 측을 향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다음으로 상기 지지수단(433)의 높이조절볼트(433a)에 한싸의 조임너트(433b) 중 하나를 삽입 결합한 후 조임너트(433b)가 결합된 높이조절볼트(433a) 단부를 상기 제2가압 플레이트(430)의 지지편(432)에 형성된 통공(432a)에 삽입하여 지지편(432) 하면에 조임너트(433b)이 위치된 상태로 높이조절볼트 상부가 지지편 상면을 돌출되게 하여 돌출된 부분에 나머지 조임너트(433b)를 체결시켜 지지편(432) 상면과 하면에 각각 조임너트가 위치되게 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볼트를 고정시키는 조임너트의 풀림과 조임을 통해 지지편 상부로 돌출되는 높이조절볼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Next, after inserting one of the tightening nuts 433b into the
다음으로 상기 한쌍의 회전블록(413,435) 중 하나의 회전블록(413)을 결합된 제1가압 플레이트(420)에 형성된 절개공(421c)에 위치시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의 가이드편(411)에 형성된 나사공(411d)과 밀착시켜 가이드편(411)과 회전블록(413)이 볼트(413b)에 의해 고정 결합되게 한다.Next, the
이 후 상기 제2가압 플레이트(430)의 체결공(431d)에 회전블록(435)을 밀착시킨 후 볼트(435d)를 이용해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블록(435)은 상기 제2가압편(431)의 경사편(431a)이 경사진 방향 측에 위치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after, the
다음으로 상기 경사편(431a)이 경사진 방향이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를 향하도록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 측면에 제2가압 플레이트(430)를 위치시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에 결합된 회전블록(413)의 축공(413c)과 상기 제2가압 플레이트(430)에 결합된 회전블록(435)의 축공(435a)이 서로 축방향 교착되게 한 후 축공(413a,435c)에 연결볼트(435a)를 삽입 관통시켜 관통된 연결볼트(435a) 단부를 연결너트(435b)로 조여 회전블록(413,435)이 서로 연결되게 한다.Next, the
즉, 상기 제2가압 플레이트(430)는 회전블록(413,435)에 의해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를 관통한 상태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승강하는 제1가압 플레이트(420)의 수평편이 높이조절볼트 상단을 가압함을써 회전블록을 기준으로 회전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와 제2가압 플레이트(430) 사이에 위치된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의 절개공(421c)을 관통시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 측면과 제2가압 플레이트(430) 측면이 지지되도록 스프링(434b)을 위치시킨 후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의 가이드편(411)을 길이조절볼트(434a)가 관통되게 하여 스프링(434b)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2가압 플레이트(430)의 제2가압편(431)에 형성된 체결공(431d) 일측으로 돌출되게 한다. 이때 상기 길이조절볼트가 관통 삽입된 체결공(431d) 양측에는 와셔(434c)가 위치되어 일측의 와셔는 스프링(434b)을 지지하고, 타측의 와셔는 길이조절볼트에 체결되는 조임너트(434d)를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Next, the
즉, 상기 제2승강수단(450)이 하강하며 제1가압 플레이트(420)를 하강시키면 하강하는 제1가압 플레이트(420)의 수평편(422) 하면이 설치된 높이조절수단(433) 상단을 가압하게 되고 가압된 높이조절수단(433)은 제2가압 플레이트(430)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블록을 기준으로 제2가압 플레이트(430)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지지수단(434)은 가이드 플레이트(410)와 제2가압 플레이트(430) 사이에서 상호 탄성력을 발생시켜 상기 제2가압 플레이트(430)를 지지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second lifting means 450 descends and the
한편 결합된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와 제2가압 플레이트(430)는 하단에 형성된 각각의 경사편(421a,431a)은 안내홈(421b,431b)에 의해 상호 지그재그 배치되는 집게 형태를 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의 고정편(412) 상면 중앙 부분에 볼트(미도시)를 이용해 고정대(443)를 결합시킨 후 상기 고정대(433) 상면 중앙을 관통하도록 로드(442)를 삽입하여 볼트(미도시) 고정시켜 고정대 상부에 승강 실린더(441)가 위치되게 하여 승강 실린더(441)의 동작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트(410)가 승강 동작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승강 실린더(441)는 종이판재의 세로판 홀딩장치 내에 구성되는 프레임(미도시)에 결합 고정된다.Next, after the fixing
다음으로 상기 승강 실린더(441) 양측면에 위치되도록 상기 고정 브라켓(444)을 가이드 플레이트(410)의 고정편(412) 상면에 결합시키고 상기 고정 브라켓(444)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안내되도록 가이드(447)를 설치한다.Next, the fixing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447) 일측에 지지 브라켓(446)을 고정시킨다.Next, the
여기서 상기 지지 브라켓(446)은 앞서 설명한 승강 실린더(441)와 같이 프레임(미도시)에 결합 고정된다.Here, the
즉,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제1승강수단(440)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와 연결되어 가이드 플레이트(410)를 승강 동작하게 하는 구성으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의 승강 동작은 연결된 제1가압 플레이트와 제2가압 플레이트를 동시에 승강시킴으로 가이드 플레이트에 의해 안내되는 종이판재가 올바르게 안내되지 않거나 잘못 안내되고 있을 때 상승시켜 수리하도록 하는 구성이다.That is, the first lifting means 4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the
한편 상기 제1승강수단(440)의 승강 실린더(441)와 지지 브라켓(446)은 본 발명의 전체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미도시) 측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과 고정대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승강 실린더의 로드가 삽탈될 때 지지 브라켓에 지지된 상태로 고정 브라켓이 동작하며 가이드 플레이트를 승강시키게 된다.Meanwhile, the elevating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 일측에 홀더(460)의 삽입홈(462) 측이 마주보도록 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홀더 또한 상기 제1승강수단과 같이 본 발명의 프레임(미도시)에 의해 지지되거나 별도의 승강수단에 연결되어 상하 방향 승강 운동하도록 설치되나 본 발명에서는 홀더에 세로지지체를 삽입하기 위한 장치를 기재하고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Next, the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를 기준으로 왼쪽에는 홀더(460)가 위치되고 오른쪽에는 제1가압 플레이트와 제2가압 플레이트가 위치되게 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8, the
이와 같이 결합된 본 발명은 이송수단에 의해 접철된 상태로 진입하는 종이판재의 세로판을 지지한 상태로 안내하며 홀더에 지지되도록 하여 홀더를 이용해 세로판을 수직하게 절곡할 수 있게 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oupled as described above guides the vertical plate of the paper sheet entering the folded state by the conveying means and guides it to the holder so that the vertical plate can be vertically bent using the holder. can d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상태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우선 이송수단(300)을 이용해 세로외벽(3a)과 세로내벽(3b)이 접철된 상태의 종이판재(1)를 이송시켜 세로외벽(3a)의 단부에 연장된 세로지지체(3c)가 가이드 플레이트(410)의 유도홈(411a)에 진입함으로써 세로지지체(3c)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하고 있어 유도홈(411a)에 진입한 세로지지체(3c)는 유도홈의 경사면에 의해 가압되어 유도홈과 연결된 가이드홈(411b) 측으로 자연스럽게 안내되게 된다.Referring to FIG. 10, first, the vertical support body extended to the end of the vertical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410)에 진입하는 종이판재의 세로지지체(3c)가 올바르게 진입하지 않거나 종이판재의 위치가 올바르지 않을 경우 등에 의해 에러가 발생하면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기 제1승강수단(440)이 동작하게 된다. 동작하는 제1승강수단(440)은 연결된 가이드 플레이트(410)를 상승시키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와 연결된 제1가압 플레이트(420)와 제2가압 플레이트(430) 또한 동시에 상승하여 결과적으로 전체 구성이 상승함으로써 에러 발생 원인을 제거한 후 동작을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11, if an error occurs due to a case in which the
공정 진행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경우,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플레이트(410)의 가이드홈(411a) 길이 방향 전체에 세로지지체(3c)가 위치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승강수단(450)을 동작시켜 연결된 제1가압 플레이트(420)를 가이드 플레이트(410)에 연결된 가이드링(423)을 따라 슬라이딩하며 하강시킨다.When the process proceeds easily, the
하강하는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의 가이드홈(411b)에 삽입된 상태에서 세로지지체(3c)를 이탈시켜 상기 세로지지체(3c)와 연결된 세로내벽(3b)의 접철선(L)을 가압하여 하측의 세로외벽(3a)과 밀착되게 함과 동시에 하강한 제1가압 플레이트(420)의 수평편(422) 하면이 지지수단(433)을 가압하게 한다.The descending first
가압된 상기 지지수단(433)은 상기 제2가압 플레이트(430)를 가이드 플레이트(410) 측에 고정된 회전블록(413)과 연결된 제2가압 플레이트(430) 측에 고정된 회전블록(435)이 연결볼트(435a)를 기준으로 회전되며 제2가압편(431)의 경사편(431a)이 세로지지체(3c)를 가압하여 회전 진행 방향으로 밀게 한다.The pressurized support means 433 is a
상기 제2가압 플레이트(430)에 의해 회전 방향으로 밀린 세로지지체(3c)는 가이드 플레이트(410)와 이웃하게 위치된 홀더(460)의 삽입홈(462) 내벽면과 밀착지지 된다.The
이 상태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462)에 밀착지지된 상태로 세로지지체(3c)가 삽입되면 상기 제2승강수단(450)을 동작시켜 하강된 상태의 제1가압 플레이트(420)를 가이드링(423)을 따라 슬라이딩 상승시켜 원위치로 복원한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14, when the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의 복원에 의해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에 의해 가압된 상태의 상기 제2가압 플레이트(430)는 가이드 플레이트(410)와의 사이에서 탄성지지수단(434)에 구성된 스프링(434b)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된 상태여서 스프링(434b)에 의해 가압된 방향으로 반발력이 발생하여 원위치로 복원하게 된다.The
상기 제1가압 플렐이트(420)와 상기 제2가압 플레이트(430)가 원위치로 복원되면 삽입홈(462)에 밀착된 상태의 세로지지체(3c)는 세로내벽(3b) 및 세로외벽(3a)의 탄성에 의해 삽입홈 내벽에 밀착지지하게 된다.When the first
이때 상기 탄성지지수단(434)은 제2가압 플레이트(430)와의 사이에서 조임너트(434d)에 의해 조여진 상태이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조임을 풀거나 조여 스프링의 가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제2가압 플레이트(430)의 복원 강도를 조절할 수 있고 반대로 제1가압 플레이트(420)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대한 반발력을 조절하여 제2가압 플레이트(430)에 의해 가압되는 세로지지체(3c)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세로지지체(3c)의 두께에 따라 가압 강도 조절이 가능해진다.At this time, since the elastic support means 434 is tightened by the tightening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hich are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300 : 이송수단 400 : 세로판 홀딩장치
410 : 가이드 플레이트 411 : 가이드편
411a : 유도홈 411b : 가이드홈
412 : 고정편 413 : 회전블록
420 : 제1가압 플레이트 421 : 제1가압편
421a : 경사편 422 : 수평편
423 : 가이드링 430 : 제2가압 플레이트
431 : 제2가압편 431a : 경사편
432 : 지지편 440 : 제1승강수단
450 : 제2승강수단 460 : 홀더
461 : 몸체 462 : 삽입홈300: transfer means 400: vertical plate holding device
410: guide plate 411: guide piece
411a: guide
412: fixed piece 413: rotating block
420: first pressing plate 421: first pressing piece
421a: inclined piece 422: horizontal piece
423: guide ring 430: second pressure plate
431: second
432: support 440: first lifting means
450: second lifting means 460: holder
461 body 462: insertion groove
Claims (7)
상기 세로내벽(3b) 단부에서 연장된 세로지지체(3c)를 기립 상태로 수납하여 안내하는 가이드 플레이트(410)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 일측에 가이드링(423)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링(423)을 따라 승강하며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에 수납된 세로내벽(3b)과 세로지지체(3c) 사이를 수직 방향 가압하는 제1가압 플레이트(420)와;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 일측에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와 회전블록(413,435)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의 하강력에 의해 회전하며 세로지지체(3c)를 홀더(460) 측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 플레이트(430)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를 승강시키는 제1승강수단(440)과;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를 관통하여 제1가압 플레이트(420) 상면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를 승강시키는 제2승강수단(450); 및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 일측에 위치된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와 대응되게 위치되어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와 제2가압 플레이트(430)에 의해 가압된 세로지지체(3c)가 수납되는 홀더(46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판재의 세로판 홀딩장치.In the vertical plate holding apparatus of paper sheet material for forming a double-walled paper box is put in the state in which the vertical inner wall (3b) and the vertical outer wall (3a) is folded by the conveying means 300,
A guide plate 410 for receiving and guiding the vertical support 3c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vertical inner wall 3b in an upright state;
A guide ring 423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guide plate 410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ring 423 and vertically between the vertical inner wall 3b and the vertical support 3c stored in the guide plate 410. A first pressurizing plate 420 which presses in a direction;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pressing plate 420, it is rotatably connected by the guide plate 410 and the rotary blocks (413, 435) to rotate by the lowering force of the first pressing plate 420, and vertical support ( A second pressing plate 430 for pressing 3c) toward the holder 460;
First elevating means (440)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guide plate (410) to elevate the guide plate (410);
Second elevating means (450) for elevating the first pressurizing plate (420) through the guide plate (410) and connect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essurizing plate (420); And
The vertical supporter 3c, which is position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pressing plate 420 located on one side of the guide plate 410 and pressed by the first pressing plate 420 and the second pressing plate 430, is accommodated. Holder 460; Vertical plate holding device of a paper shee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include.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는 상기 제1승강수단(440)이 연결되고 상기 제2승강수단(450)이 관통 삽입되는 고정편(412)과, 상기 고정편(412)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되 하단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세로지지체(3c)가 수납되어 안내되는 가이드홈(411b)이 형성된 가이드편(41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판재의 세로판 홀딩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guide plate 410 has a fixing piece 412 to which the first lifting means 440 is connected and the second lifting means 450 is inserted therethrough, and extends downward from an end of the fixing piece 412, and has a lower end. Vertical plate holding device of a paper sheet,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guide piece 411 is formed with a guide groove (411b) for receiving and guide the longitudinal support (3c)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가이드홈(411b) 일측에는 진입하는 상기 세로지지체(3c)를 가이드홈(411b) 측으로 안내하는 유도홈(411a)이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판재의 세로판 홀딩장치.The method of claim 2,
One side of the guide groove (411b) vertical plate holding device of the paper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guide groove (411a) for guiding the vertical support (3c) to the guide groove (411b) side is further formed.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20)는 상기 제2승강수단(450)이 연결되는 수평편(422)과, 상기 수평편(422)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되 하단 일측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편(421a)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편(421a) 길이 방향을 따라 안내홈(421b)이 등간격 형성된 제1가압편(421)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판재의 세로판 홀딩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pressing plate 420 is a horizontal piece 422 to which the second lifting means 450 is connected, and an inclined piece 421a extending downward from an end of the horizontal piece 422 but inclined toward one side of a lower end thereof. The vertical plate holding apparatus of the paper plate memb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first pressing piece (421) is formed at equal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clined piece (421a).
상기 제2가압 플레이트(430)는 상기 회전블록(413,435)에 의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하단 일측으로 경사진 경사편(431a)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편(431a) 길이 방향을 따라 안내홈(431b)이 등간격 형성된 제2가압편(431)과, 상기 제2가압편(431) 상단에서 수평 방향 연장되되 상기 제1가압 플레이트(410)의 하강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가압편(431)을 회전시키는 지지수단(433)이 구비된 지지편(43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판재의 세로판 홀딩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second pressing plate 43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guide plate 410 by the rotation blocks 413 and 435, but an inclined piece 431a inclined toward one lower end thereof is formed, and the inclined piece 431a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guide groove 431b is formed along the second pressing piece 431 and the second pressing piece 431 is horizontally exten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lowering force of the first pressing plate 410 is received Vertical plate holding device of the paper sheet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upport piece 432 is provided with a support means (433) for rotating the pressing piece (431).
상기 제2가압편(431)에는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와의 사이에서 상호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지지수단(43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판재의 세로판 홀딩장치.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pressing piece (431) is a vertical plate holding device of the paper plate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astic support means for generating a mutual elastic force between the guide plate (410).
상기 탄성지지수단(434)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와 제2가압편(431)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제2가압편(431)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스프링(434b)과, 상기 스프링(434b)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0)와 제2가압편(431) 사이를 연결하는 길이조절볼트(434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판재의 세로판 홀딩장치.The method of claim 6,
The elastic support means 434 is located between the guide plate 410 and the second pressing piece 431 to apply an elastic force to the second pressing piece 431 and the spring 434b Is inserted into the guide plate 410 vertical plate hol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a length adjusting bolt (434a) connecting between the second pressing piece (431).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5041A KR101102837B1 (en) | 2011-07-28 | 2011-07-28 | Vertical plate holding device of paper sheet |
PCT/KR2011/006176 WO2013015477A1 (en) | 2011-07-28 | 2011-08-22 | Apparatus for holding lengthwise panel of cardboard she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5041A KR101102837B1 (en) | 2011-07-28 | 2011-07-28 | Vertical plate holding device of paper shee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02837B1 true KR101102837B1 (en) | 2012-01-05 |
Family
ID=45613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5041A Active KR101102837B1 (en) | 2011-07-28 | 2011-07-28 | Vertical plate holding device of paper sheet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102837B1 (en) |
WO (1) | WO2013015477A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9797B1 (en) * | 2012-02-28 | 2013-04-02 | 이재유 | One touch replacing device of holder for paper boards molding |
KR20160019318A (en) * | 2014-08-11 | 2016-02-19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Tip paper pattern forming apparatu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65332A (en) * | 1989-08-04 | 1991-03-20 | Shibuya Kogyo Co Ltd | Apparatus for folding side flap |
KR19990007576A (en) * | 1998-10-02 | 1999-01-25 | 이재유 | Side Wing Holders of Bending Device for Double Wall Paper Box Making Machine |
KR20020033381A (en) * | 2000-10-31 | 2002-05-06 | 한필순 | System for treating wastes |
KR100350044B1 (en) | 1999-12-04 | 2002-08-24 |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 Guide apparatus for box-bonding machine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3381Y1 (en) * | 1998-10-01 | 2001-11-22 | 이재유 | Centering Device for Double Wall Paper Box Manufacturing Machine_ |
KR100689239B1 (en) * | 2005-11-10 | 2007-03-08 | 주식회사 삼원기계 | An aircraft |
DE102007040626A1 (en) * | 2007-08-27 | 2009-03-05 |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 Folding box gluer with improved accessibility |
-
2011
- 2011-07-28 KR KR1020110075041A patent/KR101102837B1/en active Active
- 2011-08-22 WO PCT/KR2011/006176 patent/WO2013015477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65332A (en) * | 1989-08-04 | 1991-03-20 | Shibuya Kogyo Co Ltd | Apparatus for folding side flap |
KR19990007576A (en) * | 1998-10-02 | 1999-01-25 | 이재유 | Side Wing Holders of Bending Device for Double Wall Paper Box Making Machine |
KR100350044B1 (en) | 1999-12-04 | 2002-08-24 |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 Guide apparatus for box-bonding machines |
KR20020033381A (en) * | 2000-10-31 | 2002-05-06 | 한필순 | System for treating waste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49797B1 (en) * | 2012-02-28 | 2013-04-02 | 이재유 | One touch replacing device of holder for paper boards molding |
KR20160019318A (en) * | 2014-08-11 | 2016-02-19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Tip paper pattern forming apparatus |
KR101672834B1 (en) * | 2014-08-11 | 2016-11-04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Tip paper pattern form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3015477A1 (en) | 2013-01-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54946B2 (en) | Machine for covering packaging boxes | |
CN110723347A (en) | Single-side film pasting device | |
KR101102839B1 (en) | Height adjusting device for horizontal plate forming of paper board | |
KR101102837B1 (en) | Vertical plate holding device of paper sheet | |
CN109980266A (en) | A kind of Bluetooth battery back segment process shaping processing apparatus | |
KR101511713B1 (en) | Position Setting Device for preliminary welding of Boom Box | |
CN111266444B (en) | A high-precision double-arm bending machine | |
CN211994398U (en) | Packing carton limit press | |
AU4381901A (en) | Converting press | |
EP3579988A1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roll-forming a plane product with varying width | |
CN216635624U (en) | Paperboard color printing embossing production device | |
US20240042643A1 (en) | Tool clamping assembly and assembly | |
CN215704510U (en) | Corrugated container board flattening device is used in carton processing | |
CN211276283U (en) | Continuous stamping die conveyor | |
CN211518666U (en) | Cardboard indentator is used in corrugated box production | |
CN110653545B (en) | Motor stator welding equipment | |
CN209812475U (en) | Paper pressing structure of a paper cutter | |
CN208683897U (en) | A kind of sheet metal component opposite side aligning gear | |
CN222199362U (en) | Auxiliary support device for forklift frame welding | |
CN212555223U (en) | Edge folding forming machine | |
CN219256849U (en) | Paper printed matter binding means | |
CN219380616U (en) | Processing platform location structure | |
JPH0732929B2 (en) | Multiple continuous strain correction device | |
KR101752383B1 (en) | A head part forming device of a paper sheet having a variable function | |
CN212144243U (en) | Splicing device for extension aluminum strip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8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2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