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2817B1 - Multi purpose loaders - Google Patents
Multi purpose loader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02817B1 KR101102817B1 KR1020090108783A KR20090108783A KR101102817B1 KR 101102817 B1 KR101102817 B1 KR 101102817B1 KR 1020090108783 A KR1020090108783 A KR 1020090108783A KR 20090108783 A KR20090108783 A KR 20090108783A KR 101102817 B1 KR101102817 B1 KR 1011028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ar wheel
- wheel
- steering
- front wheel
- lower fram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0720 hydraulic oi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7/00—Machines for lifting and treating soi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9/00—Steering deflectable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bucket-arms, i.e. a pair of 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 geometry, material of bucket-arms directly pivoted on the frames of tractors or self-propelled mach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5—Wheel loa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축산업 및 건설분야에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로우더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단부에 전륜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전륜케이스와 단부에 후륜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후륜케이스가 구비된 하부프레임과, 이 하부프레임 상측에 결합되고, 상부에 조향핸들이 장착된 운전실이 구비된 상부프레임과, 이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프레임을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상부프레임 선회부재와, 하부프레임에 설치되어 전·후륜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며 조향핸들의 회전에 따라 전·후륜을 회전시키는 조향부와,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붐의 단부에 결합되는 링크몸체와 이 링크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는 어태치먼트 삽입돌기가 구비된 링크부와, 이 링크부의 어태치먼트 삽입돌기가 삽입 지지되도록 상측에 삽입돌기 지지홈이 형성되고, 양측에 링크몸체가 지지되도록 지지날개가 형성된 어태치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로우더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loader that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in agriculture, animal husbandry and construc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wheel case coupled to a rotatable front wheel at an end and a rear wheel rotatably coupled to a rear wheel at an end are provided. A lower frame provided with a case, an upper frame having a cab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lower frame and equipped with a steering wheel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installed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to rotate the upper frame with respect to the lower frame. On the upper frame pivot member, the drive unit installed in the lower frame to drive the front and rear wheels, the steering unit installed in the lower frame to rotate the front and rear wheel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wheel, and the end of the boom installed in the upper frame A link portion having a link body to be coupled and an attachment insertion protrusion formed at an end of the link body, Attach garment insertion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such that the upper support protrusion insertion groove is formed, and a multi-purpose loaders comprising the attachment the support wings are formed so that the link body is supported on both sides is provided.
다목적, 로우더, 조향부, 링크부, 충격완충부 Multi purpose, loader, steering, link, shock absor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로우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농·축산업 및 건설분야에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로우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a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purpose loader that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griculture, livestock industry and construction.
일반적으로 로우더와 같은 산업용 차량은 좁은 공간에서 흙 또는 모래와 같은 분상체를 이동시키거나, 물체를 높은 곳으로 적재시키기 위한 목적 등으로 사용된다.In general, an industrial vehicle such as a loader is used for moving a powder such as soil or sand in a narrow space, or for loading an object to a high place.
이와 같은 로우더 등에 의하면 차체프레임의 하측 전후방에 전·후륜이 설치되고, 차체프레임의 상측에 버킷, 포크와 같은 어태치먼트가 장착되는 붐조립체가 설치되며, 이 붐조립체가 차체프레임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작업을 수행한다.According to such a loader or the like, front and rear wheels are install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lower body frame, and a boom assembly to which attachments such as buckets and forks are mounted is installed above the body frame, and the boom assembly is mov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body frame. To do the job.
전술한 로우더에 관련된 선행기술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31388호(2006.10.04) "산업용 차량"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전후륜을 조향각 제한없이 같은 방향으로 조향하는 조향장치와 단순한 구성의 차동구동장치를 구비 하여 차량 진행방향이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고, 붐 조립체에 작업기 수평조절장치 및 붐 길이조정장치가 설치되고, 차량에 상부프레임 선회장치가 장착되며, 작업기 선단의 이동궤적이 대략 수직한 직선경로를 따라 이동되면서 붐 길이가 조정되므로 물체의 적재 위치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는 산업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The prior art related to the above-mentioned loader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0631388 (October 04, 2006) "Industrial Vehicle". The prior art includes a steering device for steering the front and rear wheels in the same direction without limiting the steering angle and a differential driving device having a simple configuration, so that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can be easily switched, and the work machine horizontal adjusting device and the boom length adjusting device in the boom assembly. Is installed, the vehicle is equipped with an upper frame turning device, and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work machine tip is moved along an approximately vertical straight path, so that the boom length is adjusted to an industrial vehicle that can freely select the loading position of the object.
상기 선행기술은 조향실린더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체인 및 스프로켓을 구비하는 조향장치를 장착하여 전후륜이 조향각 제한없이 같은 방향으로 조향되므로 좁은 작업공간에서도 차량 진행방향이 용이하게 전환되며 좌우 차륜의 차동구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다만, 작업기를 붐조립체에 탈착하는 과정이 볼트 체결 등으로 이루어지므로 작업 시간의 지연되고, 교체 작업이 불편한 점이 있다. The prior art is equipped with a steering device having a drive chain driven by a steering cylinder and a sprocket, so that the front and rear wheels are steered in the same direction without restricting the steering angle, so that the vehicle traveling direction is easily switched even in a narrow work space and the differential driving of the left and right wheels is performed. This has the advantage of being effective. However, since the process of detaching the work machine to the boom assembly is made by bolting or the like, there is a delay in the work time and the replacement work is inconvenient.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어태치먼트를 신속히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축산업 및 건설분야에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로우더와 관련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purpose loader that can be used not only to replace the attachment quickly, but also variously used in the agricultural, livestock industry and construc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단부에 전륜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 전륜케이스와 단부에 후륜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후륜케이스가 구비된 하부프레임과, 이 하부프레임 상측에 결합되고, 상부에 조향핸들이 장착된 운전실이 구비된 상부프레임과, 이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프레임을 하부프레임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상부프레임 선회부재와, 하부프레임에 설치되어 전·후륜을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며 조향핸들의 회전에 따라 전·후륜을 회전시키는 조향부와, 상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붐의 단부에 결합되는 링크몸체와 이 링크몸체의 단부에 형성되는 어태치먼트 삽입돌기가 구비된 링크부와, 이 링크부의 어태치먼트 삽입돌기가 삽입 지지되도록 상측에 삽입돌기 지지홈이 형성되고, 양측에 링크몸체가 지지되도록 지지날개가 형성된 어태치먼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로우더를 제공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wer frame having a front wheel case coupled to the front wheel rotatably coupled to the end and a rear wheel case coupled to the rear wheel rotatably at the end,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frame, the steering wheel on the top An upper frame provided with a cab mounted thereto, an upper frame pivot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to rotate the upper frame with respect to the lower frame, a drive unit installed in the lower frame to drive the front and rear wheels, Link is provided in the lower frame and the steering portion for rotating the front and rear wheels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wheel, the link body coupled to the end of the boom is installed on the upper frame and the attachment insertion protrusion formed on the end of the link body The insertion protrusion support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so that the attachment insertion protrusion of the link portion is supported. Including the attachment The support wings are formed such that the support body provides a multi-purpose loaders which comprise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버킷, 포크, 클램프, 브러쉬 등의 어태치먼트를 신속히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축산업 및 건설 분야에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로우더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irst, it is possible not only to quickly replace attachments such as buckets, forks, clamps, brushes, etc., but also to provide a multi-purpose loader that can be used in various fields in agriculture, animal husbandry, and construction. have.
둘째,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상부프레임 선회부재에 의해서 상체 부분이 360도 회전 가능하므로 작업의 편리성을 더할 수 있다.Second, the upper body portion can be rotated 360 degrees by the upper frame pivot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frame can add convenience to the work.
셋째, 조향부에 의해서 전후륜이 동시 조향 가능하므로 회전 반경을 극소화할 수 있다.Third, since the front and rear wheels can be steered simultaneously by the steering unit, the radius of rotation can be minimized.
넷째, 하부프레임과 전륜축케이스 사이에 설치되는 충격완충부에 의해서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Fourth,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mpact on the vehicle body by the shock absorber installed between the lower frame and the front wheel shaft case.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로우더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로우더의 측면도이고,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로우더의 정면도이고, 도 4 는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로우더의 배면도이고, 도 5 는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로우더의 평면도이고, 도 6 은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로우더에 채용된 하부프레임과 구동부와 조향부와 링크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 은 도 6에 구동부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8 은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로우더에 채용된 하부프레임이 전륜축케이스에 충격완충부에 의해서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9 는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로우더에 채용된 하부프레임이 후륜축케이스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10 은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로우더에 채용된 조향부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11 은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로우더에 채용된 링크부가 어태치먼트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2 는 도 11에 도시된 링크부를 이용해서 다른 어태치먼트로 교체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 도이고, 도 13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로우더의 유압 회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ulti-purpose lo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view of the multi-purpose loader shown in FIG. 1,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multi-purpose loader shown in FIG. 1, and FIG. 4 is 1 is a rear view of the multi-purpose loader shown in FIG. 1, FIG. 5 is a plan view of the multi-purpose loader shown in FIG. 1, and FIG. 6 shows a lower frame, a driving unit, a steering unit, and a link unit employed in the multi-purpose loader shown in FIG. 1. FIG. 7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of the driving unit in FIG. 6, and FIG. 8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ower frame employed in the multipurpose loader illustrated in FIG. 1 is fixed to the front wheel shaft case by an impact buffer unit. FIG. 9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ower frame employed in the multipurpose loader illustrated in FIG. 1 is fixed to a rear axle case, and FIG. 10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a steering unit employed in the multipurpose loader illustrated in FIG. 1. 1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ink unit employed in the multi-purpose loader illustrated in FIG. 1 is combined with an attachment, and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link unit illustrated in FIG. 11 is replaced with another attachment. 13 is a hydraulic circuit diagram of the multi-purpose loader shown in FIG. 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로우더(1)는 하부프레임(10), 상부프레임(20), 상부프레임 선회부재(30), 구동부(40), 조향부(50), 링크부(70), 어태치먼트(80), 충격완충부(90)를 포함한다.
하부프레임(10)의 하측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축케이스(11)와 후륜축케이스(12)가 결합되고, 그 상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상부프레임(20)이 회전되도록 외주면에 베어링(13a)이 결합된 회전지지축(13)이 형성된다.The lower side of the
상기 전륜축케이스(11)의 내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중앙 부분에 전륜피동기어(11aa)가 형성된 전륜축(11a)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전륜축케이스(11)의 양단에는 전륜(11b)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전륜축케이스(11)의 중앙부분에는 전륜피동기어(11aa)와 치합되는 전륜구동기어(11ca)가 형성된 전륜구동축(11c)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As shown in FIG. 5, the
상기 후륜축케이스(12)의 내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중앙 부분에 후륜피동기어(12aa)가 형성된 후륜축(12a)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후륜축케이스(12)의 양단에는 후륜(12b)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 후륜축 케이스(12)의 중앙부분에는 후륜피동기어(12aa)와 치합되는 후륜구동기어(12ca)가 형성된 후륜구동축(12c)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As shown in FIG. 5, the
상부프레임(20)은 후술할 상부프레임 선회부재(30)에 의해서 하부프레임(10)에 지지되면서 회전되며, 이 상부프레임(20)의 하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10)의 베어링(13a)이 수용되는 회전링(21)이 형성되고, 상부프레임(20)의 상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실(22)이 회동가능하도록 힌지(22a) 결합된다. 또한, 이 상부프레임(20)의 일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23)의 단부가 힌지 결합되며, 이 붐(23)은 붐액추에이터(24)에 의해서 상하로 회동된다. 나아가, 상부프레임(20)의 일측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링크부(70)를 작동시키기 위한 링크부액추에이터(25)가 설치된다.The
상기 운전실(22)의 내부에는 후술할 조향부(50)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향핸들(22b)이 설치되고, 이 운전실(22)은 로우더의 손쉬운 정비성을 위해서 접이식 구조로 상부프레임(20)에 설치된다. 즉, 운전실(22)의 하측에는 운전실구동액추에이터(미도시)가 설치되고, 이 운전실(22)의 상측은 상부프레임(20)에 클램프(22c)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상부프레임 선회부재(30)는 하부프레임(10)과 상부프레임(20)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프레임(20)을 하부프레임(10)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 상부프 레임 선회부재(30)는 바람직하게는 터닝 조인트를 사용한다.The upper
상기 터닝 조인트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10)에 바람직하게는 볼트 고정되며 다수의 작동유 유입구(31a)가 형성된 베이스축(31)과, 일측은 베이스축(31)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타측은 상부프레임(20)에 바람직하게는 볼트 고정되며 다수의 작동유 유출구(32a)가 형성된 하우징(32)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6, the turning joint is preferably bolted to the
구동부(40)는 전술한 전륜(11b)과 후륜(12b)을 구동시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로우더(1)를 전후진 시키는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축케이스(11)의 전륜구동축(11c)에 바람직하게는 볼트 결합되는 전륜커플링(41)과, 이 전륜커플링(41)에 볼트 결합되어 전륜구동축(11c)을 구동시키는 전륜구동모터(42)와, 후륜축케이스(12)의 후륜구동축(12c)에 바람직하게는 볼트 결합되는 후륜커플링(43)과, 이 후륜커플링(43)에 볼트 결합되어 후륜구동축(12c)을 구동시키는 후륜구동모터(44)와, 전륜구동모터(42)와 후륜구동모터(44)를 연결하는 유니버셜 조인트(45)로 구성된다.The
상기 전륜구동모터(42)와 후륜구동모터(44)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병렬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차륜이 공회전되어 차량이 움직이지 못하거나 작동유체의 압력 분배에 의해 한쪽 차륜만으로 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front
종래의 경우 지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 한 쪽 차륜이 들리게 되고, 한 쪽 차륜이 들리게 되면 유로 내의 압력 구배에 의해서 들린 차륜쪽 구동모터로만 작동유체가 전부 이동된다. 그 결과 상대편 구동모터에는 작동유체가 공급되지 않고 들린 차륜쪽 구동모터로만 작동유체가 공급되고 차륜 장치에 의해 들린 차륜만 공회전하게 되고 차량은 이동되지 않는다.In the related art, when there is a curvature on the ground, one wheel is lifted, and when one wheel is lifted, all of the working fluid moves only to the wheel drive motor lifted by the pressure gradient in the flow path. As a result, the working fluid is supplied only to the wheel-side driving motor lifted without the operating fluid supplied to the opposite drive motor, and only the wheel lifted by the wheel device is idle and the vehicle is not mov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동부(40)는 전륜구동모터(42)와 후륜구동모터(44)가 병렬로 연결되고 있고, 전륜구동모터(42)와 후륜구동모터(44)가 유니버셜조인트(45)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는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한 쪽 차륜이 들린 상태가 되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구동모터(42)와 후륜구동모터(44)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들린 차륜뿐만 아니라 지면에 접촉되어 있는 차륜쪽으로도 동일한 유량으로 작동유체가 공급된다. 작동유체가 공급되더라도 들린 차륜이 연결된 구동모터와 지면에 양 차륜이 접촉되어 있는 구동모터 간에는 구동력에 차이가 발생되는 데, 이 구동력의 차이는 양 구동모터를 연결하는 유니버셜조인트(45)에 의해서 상쇄된다. 즉, 바닥에 차륜이 접촉되어 있는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서 한 쪽 차륜이 들린 차륜의 반대쪽 차륜이 회전되고, 차량이 이동되므로 들린 차륜이 지면에 접촉되어 회전되므로 구동력의 차이가 상쇄된다. Specifically,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e of the wheels is lifted as described above, the front
이하에서 도 7과 도 13을 참고하여 구동부(40)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이 구동되면 이 엔진에 의해서 피스톤 펌프(piston pump)가 작동되고, 피스톤 펌프에 의해 작동유체는 터닝 조인트를 통해 전륜구동모터(42)와 후륜구동모터(44)로 배출된다. 작동유체에 의해 전륜구동모터(42)가 구동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구동축(11c)이 회전되고, 이 전륜구동축(11c)에 일체로 형성된 전륜구동기어(11ca)도 전륜구동축(11c)과 같이 회전된다. 전륜구동기어(11ca)가 회전되면 이와 치합된 전륜피동기어(11aa)가 회전되고, 이 전륜피동기어(11aa)는 전륜축(11a)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륜축(11a)이 회전되며, 전륜축(11a)이 회전되면 이에 결합되어 있는 전륜(11b)이 회전된다. 후륜(12b)이 회전되는 작동 원리는 전술한 전륜(11b)과 같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조향부(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륜축케이스(11)의 중앙 부분에 한 쌍이 이격 설치되며 전륜입력포트(51a)를 갖는 전륜조향액추에이터(51)와, 전륜축케이스(1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일측이 전륜(11b)에 볼트 결합되는 전륜너클암(52)과, 이 전륜너클암(52)을 연결하는 전륜타이로드(53)와, 후륜축케이스(12)의 중앙 부분에 한 쌍이 이격 설치되며 후륜입력포트(54a)를 갖는 후륜조향액추에이터(54)와, 후륜축케이스(12)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일측이 후륜(12b)에 볼트 결 합되는 후륜너클암(55)과, 이 후륜너클암(55)을 연결하는 후륜타이로드(56)와, 상부프레임(20)의 일측에 설치되는 상기 하부프레임(10)에 설치되는 조향펌프(57) 및 유압탱크(58)와, 조향펌프(57) 및 유압탱크(58)와 연결되며 조향핸들(22b)의 회전에 따라 조향펌프(57)로부터의 압유를 조향액추에이터로 배출하는 로터리 밸브(59)와, 상기 로터리밸브(59)와 일측 전륜조향액추에이터(51)를 연결하는 제1유로(60)와, 타측 전륜조향액추에이터(51)와 일측 후륜조향액추에이터(54)를 연결하는 제2유로(61)와, 타측 후륜조향액추에이터(54)와 상기 로터리밸브(59)를 연결하는 제3유로(62)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steering unit 50 is provided with a pair spaced apart from the center portion of the front
이하에서 도 5와 도 10을 참고하여 조향부(50)의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회전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운전자가 우측 방향으로 조향핸들(22b)을 회전시키면 로터리 밸브(59)는 조향펌프(57)에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로(60)를 통해서 좌측 전륜조향액추에이터(51)로 공급한다. 전륜조향액추에이터(51)의 전륜포트(51a)를 통해 유입된 작동유체는 팽창되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전륜(11b)을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한다. 좌측 전륜(11b)이 우측으로 기울어지면 전륜타이로드(53)가 우측으로 밀려서 우측 전륜(11b)도 우측으로 기울어지게 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tate of the steering unit 5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10. Specifically, the case in which the right turn as shown in Figure 10b will be described. When the driver rotates the
우측 전륜(11b)은 우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우측 전륜조향액추에이터(51)를 수축시키고, 우측 전륜조향액추에이터(51)에 있는 작동유체는 제2유로(61)를 통해서 좌측 후륜조향액추에이터(54)로 이동된다. 이동되는 작동유체에 의해서 좌측 후륜조향액추에이터(54)는 팽창되고, 좌측 후륜조향액추에이터(54)가 팽창되면서 좌측 후륜(12b)을 좌측으로 기울어지게 한다. 좌측 후륜(12b)이 좌측으로 기울어지면 후륜타이로드(56)에 의해서 우측 후륜(12b)은 좌측으로 기울어지게 되고, 우측 후륜조향액추에이터(54)는 수축되면서 작동유체는 로터리밸브(59)의 우측 로터리밸브포트(59a)를 통해서 로터리밸브(59)로 유입된다.The right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전술한 유로 구조와 전후륜타이로드(53,56)에 의해서 간단한 구성으로 회전 반경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turning radius with a simple configuration by the above-described flow path structure and the front and rear
링크부(7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23)의 양측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는 링크몸체(71)와, 이 링크몸체(71)의 상단에 형성되는 어태치먼트 삽입돌기(72)와, 링크몸체(71)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로드(73)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1, the
상기 링크부(7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몸체(71)에 형성된 어태치먼트 삽입돌기(72)가 후술할 어태치먼트(80)에 형성된 삽입돌기 지지홈(81)에 단순히 끼워짐으로 인해 어태치먼트(80)의 탈착이 이루어지므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 등의 어태치먼트(80)를 신속히 탈부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어태치먼트(80)는 링크부(70)에 결합되어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장비로, 바람직하게는 버킷, 포크, 클램프, 브러쉬 등을 사용한다. 이 어태치먼트(80)의 상측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70)의 어태치먼트 삽입돌기(72)가 삽입 지지되도록 삽입돌기 지지홈(81)이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링크몸체(71)가 밀착 지지하도록 지지날개(82)가 형성된다.
충격완충부(9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임(10)과 전륜축케이스(11) 사이에 설치되어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며, 전륜축케이스(11)에 바람직하게는 볼트 고정되며 상측에 하측지지로드(91a)가 형성된 하측지지부재(91)와, 하부프레임(10)에 바람직하게는 볼트 고정되며 내측 천정에 상측지지로드(92a)가 형성된 상측지지부재(92)와, 일측은 하측지지부재(91)의 바닥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측지지부재(92)의 천정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체(93)로 구성된다.The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술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A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th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Do not.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목적 로우더를 도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purpose loa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로우더의 측면도,2 is a side view of the multipurpose loader shown in FIG. 1, FIG.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로우더의 정면도,3 is a front view of the multipurpose loader shown in FIG. 1, FIG.
도 4 는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로우더의 배면도,4 is a rear view of the multi-purpose loader shown in FIG. 1, FIG.
도 5 는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로우더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the multi-purpose loader shown in FIG. 1, FIG.
도 6 은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로우더에 채용된 하부프레임과 구동부와 조향부와 링크부를 도시한 평면도,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lower frame, a driving unit, a steering unit, and a link unit employed in the multipurpose loader shown in FIG. 1;
도 7 은 도 6에 구동부의 작동 상태도,7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the driving unit in FIG. 6;
도 8 은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로우더에 채용된 하부프레임이 전륜축케이스에 충격완충부에 의해서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8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wer frame employed in the multi-purpose loader shown in FIG. 1 is fixed to the front wheel shaft case by an impact buffer;
도 9 는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로우더에 채용된 하부프레임이 후륜축케이스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배면도,FIG. 9 is a rear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ower frame employed in the multipurpose loader illustrated in FIG. 1 is fixed to a rear wheel case;
도 10 은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로우더에 채용된 조향부의 작동 상태도,10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of a steering unit employed in the multipurpose loader shown in FIG. 1;
도 11 은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로우더에 채용된 링크부가 어태치먼트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FIG. 11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link unit employed in the multi-purpose loader shown in FIG. 1 is combined with an attachment; FIG.
도 12 는 도 11에 도시된 링크부를 이용해서 다른 어태치먼트로 교체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FIG.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ttachment part is replaced with another attachment using the link unit shown in FIG. 11;
도 13 도 1에 도시된 다목적 로우더의 유압 회로도이다.13 is a hydraulic circuit diagram of the multi-purpose loader shown in FIG. 1.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다목적 로우더 10 : 하부프레임1: Multi purpose loader 10: Lower frame
11 : 전륜축케이스 11a : 전륜축11: front
11aa : 전륜피동기어 11b : 전륜11aa: front wheel driven
11c : 전륜구동축 11ca : 전륜구동기어11c: Front wheel drive shaft 11ca: Front wheel drive gear
12 : 후륜축케이스 12a : 후륜축12: rear
12aa : 후륜피동기어 12b : 후륜12aa: Rear wheel driven
12c : 후륜구동축 12ca : 후륜구동기어12c: Rear wheel drive shaft 12ca: Rear wheel drive gear
12b : 후륜 12c : 후륜구동축12b:
12ca : 후륜구동기어 13 : 회전지지축12ca: Rear wheel drive gear 13: Rotating support shaft
13a : 베어링 20 : 상부프레임13a: bearing 20: upper frame
21 : 회전링 22 : 운전실21: rotating ring 22: cab
22a : 힌지 22b : 조향핸들22a: hinge 22b: steering wheel
22c : 클램프 23 : 붐22c: Clamp 23: Boom
24 : 붐액추에이터 25 : 링크부액추에이터24: boom actuator 25: link unit actuator
30 : 상부프레임 선회부재 31 : 베이스축30: upper frame pivot member 31: base shaft
31a : 작동유 유입구 32 : 하우징31a: hydraulic oil inlet 32: housing
32a : 작동유 유출구 40 : 구동부32a: hydraulic oil outlet 40: drive unit
41 : 전륜커플링 42 : 전륜구동모터41: front wheel coupling 42: front wheel drive motor
43 : 후륜커플링 44 : 후륜구동모터43: rear wheel coupling 44: rear wheel drive motor
45 : 유니버셜 조인트 50 : 조향부45: universal joint 50: steering
51 : 전륜조향액추에이터 51a : 전륜포트51: front
52 : 전륜너클암 53 : 전륜타이로드52: front wheel knuckle arm 53: front wheel tie rod
54 : 후륜조향액추에이터 54a : 후륜포트54: rear
55 : 후륜너클암 56 : 후륜타이로드55: rear wheel knuckle arm 56: rear wheel tie rod
57 : 조향펌프 58 : 유압탱크57: steering pump 58: hydraulic tank
59 : 로터리 밸브 59a : 로터리밸브포트59:
60 : 제1유로 61 : 제2유로60: first euro 61: second euro
62 : 제3유로 70 : 링크부62: third euro 70: link part
71 : 링크몸체 72 : 어태치먼트 삽입돌기71: link body 72: attachment insertion protrusion
73 : 연결로드 80 : 어태치먼트73: connection rod 80: attachment
81 : 삽입돌기 지지홈 82 : 지지날개81: insertion protrusion support groove 82: support wing
90 : 충격완충부 91 : 하측지지부재90: shock absorber 91: lower support member
91a : 하측지지로드 92 : 상측지지부재91a: lower support rod 92: upper support member
92a : 상측지지로드 93 : 탄성체92a: upper support rod 93: elastic body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8783A KR101102817B1 (en) | 2009-11-11 | 2009-11-11 | Multi purpose loaders |
CN2010105362829A CN102061716A (en) | 2009-11-11 | 2010-11-09 | Multi-purpose loa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8783A KR101102817B1 (en) | 2009-11-11 | 2009-11-11 | Multi purpose loader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1953A KR20110051953A (en) | 2011-05-18 |
KR101102817B1 true KR101102817B1 (en) | 2012-01-05 |
Family
ID=43997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08783A KR101102817B1 (en) | 2009-11-11 | 2009-11-11 | Multi purpose loaders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102817B1 (en) |
CN (1) | CN102061716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2531766A (en) * | 2014-10-29 | 2016-05-04 | Bamford Excavators Ltd | Working Machine |
CN107323570A (en) * | 2017-05-27 | 2017-11-07 | 芜湖星途机器人科技有限公司 | The robot chassis drive wheel group of independent damping |
CN107284170B (en) * | 2017-05-27 | 2020-05-22 | 芜湖星途机器人科技有限公司 | Multi-spring robot chassis driving wheel set |
KR102116015B1 (en) * | 2018-06-28 | 2020-05-28 | 주식회사 하다(HADA Co.,Ltd) | Steering apparatus of agricultural vehicle |
CN111945807A (en) * | 2020-08-25 | 2020-11-17 |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 Shoveling and milling machine for tunnel |
CN112392486B (en) * | 2020-11-16 | 2022-11-01 | 中国铁建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 Construction method for treating tunnel underexcavation |
CN115324152B (en) * | 2022-09-13 | 2023-07-14 |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 Driving tool for forklift after tire is damaged and using metho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79010A (en) * | 1997-09-09 | 1999-03-23 |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 Crawler travel device |
KR20030043858A (en) * | 2003-05-03 | 2003-06-02 | 남시범 | Air compression generating system using vehicle weight |
KR200343858Y1 (en) * | 2003-12-08 | 2004-03-10 | 오대석 | The structure of a bucket hitch attach device of an agriculture tractor loader. |
KR20050065276A (en) * | 2003-12-23 | 2005-06-29 | 주식회사 효천 | Industrial vehicle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718222A (en) * | 1970-12-11 | 1973-02-27 | Blacksmith L | Coupling for detachable implements |
AU544156B2 (en) * | 1980-11-17 | 1985-05-16 | Eimco (Great Britain) Ltd. | A coupling system for earth-moving equipment |
US7152709B2 (en) * | 2003-12-23 | 2006-12-26 | Hyo Chun Co., Ltd. | Industrial vehicle |
CN201002641Y (en) * | 2006-11-07 | 2008-01-09 | 徐州徐工筑路机械有限公司 | Motor grader front axle steering mechanism |
CN101403222B (en) * | 2008-10-28 | 2011-06-15 | 常州科研试制中心有限公司 | Scraper |
-
2009
- 2009-11-11 KR KR1020090108783A patent/KR101102817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0
- 2010-11-09 CN CN2010105362829A patent/CN102061716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79010A (en) * | 1997-09-09 | 1999-03-23 |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 Crawler travel device |
KR20030043858A (en) * | 2003-05-03 | 2003-06-02 | 남시범 | Air compression generating system using vehicle weight |
KR200343858Y1 (en) * | 2003-12-08 | 2004-03-10 | 오대석 | The structure of a bucket hitch attach device of an agriculture tractor loader. |
KR20050065276A (en) * | 2003-12-23 | 2005-06-29 | 주식회사 효천 | Industrial ve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061716A (en) | 2011-05-18 |
KR20110051953A (en) | 2011-05-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02817B1 (en) | Multi purpose loaders | |
EP2181033B1 (en) | Track vehicle having drive and suspension systems | |
US20070240928A1 (en) | Compact construction vehicle with improved mobility | |
KR101029244B1 (en) | Tractor steering | |
US9643527B2 (en) | Dump truck | |
US10480154B2 (en) | Implement carrier and implements | |
US6968913B1 (en) | Skid steer vehicle including steering actuators to simultaneously steer one side's wheels | |
WO2008073990A2 (en) | Conversion system for a wheeled vehicle | |
US20130000996A1 (en) | Mobile machine with a support system | |
CN101311430B (en) | Working machine | |
KR100503840B1 (en) | Wheeled Work Vehicle | |
WO2021183173A1 (en) | Compact articulated-steering loader | |
CN101311429B (en) | Method for operating a working machine | |
US20030205424A1 (en) | Skid steer loader | |
WO2014098652A1 (en) | Front frame arrangement for a working machine and a wheel loader | |
CN102203351A (en) | Low mount three point engine and pump mounting | |
CN106368249A (en) | Multi-freedom-degree three-wheel self-propelled sugarcane loader | |
US7198121B2 (en) | Skid steer vehicle with belt drive suspension | |
JP5593450B2 (en) | Tractor with swivelable refraction arm | |
EP4053344B1 (en) | A coupling device for a work machine | |
JP2017214033A (en) | Working machine | |
JP2019027029A (en) | Work machine | |
CN219411037U (en) | Excavator push shovel connecting and lubricating device, push shovel assembly and excavator | |
JP6366534B2 (en) | Working machine | |
CN104812964A (en) | Boom assembly for construction machin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1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3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2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