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01821B1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사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821B1
KR101101821B1 KR1020070002219A KR20070002219A KR101101821B1 KR 101101821 B1 KR101101821 B1 KR 101101821B1 KR 1020070002219 A KR1020070002219 A KR 1020070002219A KR 20070002219 A KR20070002219 A KR 20070002219A KR 101101821 B1 KR101101821 B1 KR 101101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recording medium
unit
voltag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5171A (ko
Inventor
김정환
김진철
정현선
양유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2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821B1/ko
Priority to US11/962,634 priority patent/US8000620B2/en
Priority to CN200810000933.5A priority patent/CN101221388B/zh
Publication of KR20080065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31Details of unit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03G15/167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bias applied in the transfer nip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16Transferring device, details
    • G03G2215/1666Preconditioning of copy medium before the transfer poi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이송부와;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에 배치되어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시키는 흡착부와; 감광체 및 전사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기록매체상에 현상제를 전사하는 전사부와; 상기 현상제의 전사 및 상기 기록매체의 흡착을 위해 상기 전사부 및 상기 흡착부에 전사전원 및 흡착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전사부와 상기 흡착부에 동시에 통과할 경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전사전원 및 상기 흡착전원 중 어느 하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달성이 된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흡착부 및 전사부 간의 교호작용에 관계없이 기록매체의 전사를 위해 필요한 전원을 정확히 결정하고 인가된 전사 전원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사방법 {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RANSFER METHOD THEREOF }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전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에서의 시스템 인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에서의 교호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a 내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에서의 시간적 순서에 따른 전원인가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사부의 교호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흡착부 12 : 흡착롤러
20 : 전사부 22 : 감광체
24 : 전사롤러 30 : 전원공급부
40 : 이송부 50 : 제어부
50a : 전압/전류감지부 50b : 전사전압/전류 결정부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사전압 또는 전사전류를 결정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장치는 컴퓨터 프로그램 등에 의해 작성된 내용을 기록매체에 출력하기 위한 화상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화상형성장치는 감광매체에 광을 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하고, 형성된 정전잠상을 현상제로 현상한 후 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키는 과정을 통해 화상을 형성한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의 전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복수의 전사부(2) 중 흡착부(1)에 가장 가까이 배치되어 있는 전사부(2a)를 기준전사부로 하여, 기록매체를 인쇄하기 전의 프리 프린팅 (Pre-Printing) 과정에서 최적의 전사전압 또는 전사전류를 결정하기 위해 전사부(2a)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전사부(2a)의 저항값을 인식한다. 여기서, 전사부(2a)의 저항값은 감광체와, 해당 전사부(2a)를 통과하는 이송벨트와, 이송벨트를 중심으로 감광체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대전된 감광체에 현상된 토너를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전사롤러 등에 의해 인식된다.
그리하여, 전사부(2a)의 저항값이 인식되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흡착부(1)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흡착부(1)의 저항값을 인식한다. 여기서, 흡착 부(1)의 저항값은 기록매체를 이송벨트에 흡착시키는 흡착롤러 (ATTR, Attraction Roller)와, 기록매체가 이송벨트에 의해 전사부(2)로 이송되도록 하는 구동롤러 등에 의해 결정된다.
마지막으로, 기록매체가 흡착부(1)에 진입하는 경우, 흡착부(1)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여 흡착부(1)의 저항값을 인식함으로써, 기록매체에 준하는 저항값을 인식한다. 이렇게 인식된 저항값에 의해 전사에 필요한 최적의 전사전압을 결정한다.
그런데,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흡착부(1)에 가장 근접한 전사부(2a)의 저항값을 인식하기 때문에 흡착부(1)의 저항값을 인식하기 위해 흡착부(1)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흡착부(1)로부터 누설된 전류의 영향에 따른 교호작용으로 인해 전사부(2a)의 정확한 저항값을 인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는 t1~t2 시각에 전사부(2a)의 저항값을 인식하고, 전사부(2a)의 저항값의 인식이 완료되면, t2~t3 시각에 흡착부(1)의 저항값을 인식한다. t4~t6의 구간에서 흡착부(1)에서 각 기록매체에 적합한 흡착전류를 인가하도록 기록매체의 저항값을 인식하고 t6~t7구간에서 기록매체에 적합한 흡착전류를 인가하도록 한다. 또한 전사부(2a)에서는 동일한 t6~t7의 구간에 전사전류를 인가하여 현상제가 기록매체상으로 전사가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흡착부(1)와 전사부(2a)는 서로 인근에 위치하면서 동일한 시점에 해당 전류값이 인가됨에 따라 인가되는 전류의 누설이 일어나는 교호작용이 발생한다. 따라서 흡착전류는 전사부(2a)를 통하여 누설되므로 적절한 흡착전압을 유지할 수 없고, 전사전류는 흡착부(1)를 통해 누설되므로 적절한 전사전압을 유지할 수 없어, 흡착전압과 전사전압 모두 필요한 값 이하가 되어 올바른 흡착기능 및 전사기능을 수행하는데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사과정에서 흡착부로부터 누설된 전원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전사부를 제공하고, 또한 전사부로부터 누설된 전원의 영향을 받지 않는 흡착부를 제공함으로서 전사전압/전사전류와 흡착전압/흡착전류를 적절하게 유지시켜 화상의 안정성을 도모하면서 정확한 전사전압 또는 전사전류를 결정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사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이송부와;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에 배치되어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시키는 흡착부와; 감광체 및 전사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기록매체상에 현상제를 전사하는 전사부와; 상기 현상제의 전사 및 상기 기록매체의 흡착을 위해 상기 전사부 및 상기 흡착부에 전사전원 및 흡착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전사부와 상기 흡착부에 동시에 통과할 경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전사전원 및 상기 흡착전원 중 어느 하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 달성이 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에 따라 상기 전사부 및 상기 흡착부 에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는 전압/전류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전류에 의해 상기 전사부의 저항값을 인식하여 전사전압을 결정하는 전사전압/전류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흡착부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되는 경우와 흡착되지 않는 경우의 전압 또는 전류를 각각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각각의 전압 또는 전류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에 준하는 저항값을 인식하여 상기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에서 상기 전사전원 및 상기 흡착전원 중 어느 하나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시점은 상기 기록매체의 선단이 상기 전사부 근처에 도달하는 시점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사부는 복수의 색상을 상기 기록매체에 각각 전사하는 복수의 전사부인 것이 가능하다.
한편,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이송부와;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에 배치되어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시키는 흡착부와; 상기 흡착부로부터, 상기 기록매체의 길이보다 짧은 지점에 위치하며, 감광체 및 전사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기록매체상에 현상제를 전사하는 전사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에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전압 또는 전류에 따라 상기 흡착부의 저항값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흡착부의 저항값에 따라 상기 기록매체의 흡착에 필요한 전원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매체에 상기 결정된 흡착전원을 인가 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매체가 흡착부를 통과하는 도중에, 흡착전원의 인가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방법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의 달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전사부에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전압 또는 전류에 따라 상기 전사부의 저항값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전사부의 저항값에 따라 상기 기록매체상에 현상제를 전사하기 위해 필요한 전원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전사부에 상기 결정된 전사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착전원의 인가를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흡착전원의 인가를 차단한 이후에, 상기 전사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흡착전원의 인가를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매체의 선단이 상기 전사부 근방에 도달했을 경우 상기 흡착전원의 인가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흡착부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되는 경우와 흡착되지 않는 경우의 전압 또는 전류를 각각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저항값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각각의 전압 또는 전류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에 준하는 저항값을 인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이송부와; 상기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에 배치되어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시키는 흡착부와; 감광체 및 전사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기록매체를 복수의 색상에 따라 전사하는 복수의 전사부와; 상기 현상제의 전사 및 기록매체의 흡착을 위해 상기 전사부 및 상기 흡착부에 전사전원 및 흡착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기록매체의 선단이 상기 흡착부 근방에 도달하는 시점에 흡착전원에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기록매체의 선단이 상기 전사부 근방에 도달하는 시점에 상기 흡착전원이 차단되며 상기 전사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도 상기 목적의 달성이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는 흡착부(10)와, 전사부(20)와, 전원공급부(30)와, 이송부(40)와, 제어부(50)를 포함하며, CMYK 각각에 대응하는 전사부를 가지는 프린팅 장치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착부(10)는 흡착롤러(12) 및 구동롤러(14)를 구비하여 기록매체가 이송벨트(42)에 의해 전사부(20)로 이송되도록 기록매체를 이송벨트(42)에 흡착시킨다.
전사부(20)는 감광체(22)와, 이송벨트(42)를 중심으로 감광체(22)에 대향하게 배치되어 대전된 감광체(22)에 현상된 토너를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전사롤러(24)를 구비하여 기록매체를 복수의 색상에 따라 전사하며, 이송벨트(42)에 의해 흡착부(10)와 연결된다. 여기서, 전사부(20)는 복수의 전사부(20) 중 흡착부(10)로부터 최근방에 배치된 제1전사부(20a) 및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제1전사부(20a)의 하류에 배치된 제2, 제3, 제4전사부(20b, 20c, 20d)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사부(20)는 CMYK (Cyan, Magenta, Yellow, Black)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공급부(30)는 기록매체의 흡착 및 전사를 위해 흡착부(10) 및 전사부(20)에 전계를 형성하기 위한 흡착전원 및 전사전원을 각각 공급한다.
이송부(40)는 이송벨트(42)를 포함하여 기록매체를 흡착부(10)로부터 전사부(20)로 이송한다.
제어부(50)는 복수의 전사부(20) 중 제1전사부(20a)의 저항값에 대응하는 전원을 복수의 전사부(20a, 20b, 20c, 20d)에 공급하도록 전원공급부(30)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50)는 전원공급부(30)로부터의 전원공급에 따라 전사부(20)에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는 전압/전류 감지부(50a)와, 전압/전류 감지부(50a)에 의해 감지된 전압 또는 전류에 의해 제1전사부(20a)의 저항값을 인식하여 전사전압 또는 전사전류를 결정하는 전사전압/전류 결정부(50b)를 포함할 수 있다.
전압/전류감지부(50a)는 전사부(20)에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를 전원공급부(30) 측으로 피드백하기 위한 회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사전압/전류 결정부(50b)는 감지된 전압 또는 전류에 의해 인식된 저항값을 통해 전사전압 또는 전사전류의 크기를 결정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는 흡착부(1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와 인가되지 않는 경우, 각각의 전사부(2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부(1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흡착부(10)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전사부(20a)가 흡착부(10)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한 누설전류의 값이 4.4μA (= 8.6μA - 4.2μA)로 가장 크고, 흡착부(10)와 가장 먼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전사부(20d)가 흡착부(10)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한 누설전류의 값이 0.2μA (= 9.1μA - 8.9μA)로 가장 작다.
그리고, 도 5b는 흡착부(10) 및 전사부(20)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각각의 전사부(2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전사부(2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전압이 900V인 경우와 90V인 경우를 비교해보면 전사부(20)에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가 클수록 전류의 크기도 커지며, 흡착부(10)와 가장 가까운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전사부(20a)가 흡착부(10)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한 누설전류의 값이 각각 3.9μA (90V 인가시)와, 4.4μA (900V 인가시)로 가장 크고, 흡착부(10)와 가장 먼 거리에 배치되어 있는 전사부(20d)가 흡착부(10)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한 누설전류의 값이 각각 0.4μA (90V 인가시)와, -0.2μA (900V 인가시)로 가장 작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흡착부(10)와 가장 가까운 제1전사부(20a)에서의 전사전류 누설값이 가장 크고, 이는 인가전압이 높을수록 누설값이 또한 커진다. 따라서 전사전류가 인가될 때 누설되는 전사전류를 줄이기 위해서는 흡착부(10)의 전원을 차단하여 전사전류가 흡착부(10)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전사전원 및 흡착전원의 인가순서를 시간에 따라 도시한 도 6a와 도6b에서, 6a와 같이 t6 이후 흡착전류의 인가를 차단하면서 전사전류만 인가될 경우, 전사전류은 흡착부(10)를 통해 누설되지 않고 거의 입력된 값과 동일한 상태로 전사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본 도 6a에서의 t6시점은 기록(매체가 t4에서 흡착부(10)를 통과하여 t6에서 기록매체 선단부가 제1전사부(20a)에 도달하게 되는 시점으로서, 정확하게 기록매체의 선단이 전사닙에 진입하지 않더라도 제1전사부(20a) 근방에 도달하면 흡착전류를 차단하고 전사전류만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6b와 같이 t6 이후 흡착전류를 어느 정도 인가하다가 t6'와 같은 적절한시기에 흡착전류를 차단하면서 전사전류만 인가될 경우, 전사전류은 흡착부(10)를 통해 누설되지 않고 거의 입력된 값과 동일한 상태로 전사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본 도 6b 에서의 t6시점은 인쇄매체가 t4에서 흡착부(10)를 통과하여 일정구간 진입을 하다가 t6'에서 기록매체 선단부가 제1전사부(20a)에 도달하게 되는 시점으로서, 정확하게 기록매체의 선단이 전사 닙(Nip)에 진입하지 않더라도 제1전사부(20a) 근방에 도달하면 흡착전류를 차단하고 전사전류만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6a는 흡착부(10)에서 제1전사부(20a)까지의 거리가 짧아 흡착부(10)에서 흡착전류를 기록매체에 별도로 인가할 시간이 없는 반면, 도 6b는 흡착부(10)에서 제1전사부(20a) 까지의 거리가 비교적 길어, 흡착부(10)에서 흡착전류를 기록매체에 인가하다가 기록매체의 선단이 제1전사부(20a) 근방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흡착전류를 차단하고 전사전류만을 인가하는 차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7에서 도 6a 및 도 6b에서 실시한 흡착전류와 전사전류의 인가시점을 분리했을 경우의 실험치를 나타낸다. 전사전압을 900V나 90V를 인가하였을 경우, 흡착부(10)에 전류인가가 되지 않게 하여 흡착전압이 0V로 설정한 경우, 제1전사부(20a)에서의 전류값 차이가 0.5μA이내로 거의 발생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사전압이 유지가 가능하여 전사에 필요한 적절한 수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서는 전사부에 전류를 인가하면서 필요한 전사전압을 유지하는 방법을 채택하였고, 이와는 반대로 전사부에 전압을 인가하면서 필요한 전사전류를 유지하는 방법을 채택하더라도 변형 실시예로 선택이 가능하다.
실제로 본 실시예에서의 구체적인 동작을 기술하면, 흡착부(10)에 기록매체의 선단이 도달하면 흡착전원이 인가되고, 기록매체의 선단이 흡착부(20)를 거쳐 전사부(20) 근방에 도달할 시점에, 특히 복수의 전사부(20)중 흡착부 인근에 위치한 제1전사부(20a) 근방에 도달할 시점에 흡착전원의 인가를 차단하고, 이와 동시에 제1전사부(20a)에 입력되는 전사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전사부(20)에 기록매체가 진입하면서 흡착전원은 별도로 인가하지 않더라도 전사부(20)에서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기록매체가 이송벨트상에 어느 정도 흡착이 되고 전사부의 감광체(22a, 22b, 22c, 22d)와 전사롤러(24a, 24b, 24c, 24d)가 이루는 전사닙에 의해서, 이송벨트상의 기록매체의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기록매체의 위치감지는 본 도면에는 표시하지 않았으나 기록매체의 선단이나 후단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광센서(Photo-Sensor)를 사용하여 감지한다. 예를들어, 기록매체의 선단이 광센서상에 진입하면 광센서의 레벨이 On에서 Off로 혹은 Off에서 On으로 변경되면서 기록 매체의 진입을 판별 할 수 있다. 이렇게 기록매체의 위치가 판별되면 적절한 흡착전원이나 전사전원의 인가시점을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100)의 전사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50)는 흡착부(10) 및 전사부(20)에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한다(S10). 여기서, 제어부(50)는 복수의 전사부(20a, 20b, 20c, 20d) 중 어느 하나에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기록매체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흡착부 다음에 위치한 제1전사부(20a)에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부(50)는 단계 S10에서 감지된 전압 또는 전류에 따라 흡착부(10) 및 제1전사부(20a)의 저항값을 인식한다(S20). 제어부(50)는 단계 S20에서 인식된 제1전사부(20a)의 저항값에 따라 기록매체상 현상제의 전사에 필요한 전원을 결정하고, 또한 흡착부(10)의 저항값에 따라 기록매체의 흡착에 필요한 전원을 결정한다.(S30).
그리고, 제어부(50)는 기록매체의 선단이 흡착부(10) 근방에 도달하면, 단계 S30에서 결정된 전원을 흡착부(10)에 공급하도록 전원공급부(30)를 제어한다(S40).
그리고, 제어부(50)는 기록매체의 선단이 전사부(20) 근방에, 특히 제1전사부(20a) 근방에 도달하면, 단계 S40에서 흡착부(1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전원공급부(30)를 제어한다(S50).
그리고, 제어부(50)는 기록매체의 선단이 전사부(20) 근방에, 특히 제1전사 부(20a) 근방에 도달하면, 단계 S40에서 흡착부(10)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 이후, 단계 S30에서 결정된 전사전원을 제1전사부(20a)에 공급하거나, 기타 복수의 전사부(20b, 20c, 20d)에도 일괄적으로 공급하도록 전원공급부(30)를 제어한다(S60). 또는 S50에서 흡착전원이 차단됨과 동시에 S60의 전사전원이 인가되게 전원공급부(30)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벨트를 사용하는 복수의 전사부(20)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를 실시예로 작성하였으나, 이송벨트를 사용하며 전사부가 복수개가 아닌 단일전사부를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에도 본 발명의 사상은 변형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흡착부 및 전사부 간의 교호작용에 관계없이 기록매체의 전사를 위해 필요한 전원을 정확히 결정하고 인가된 전사 전원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사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기록매체에 흡착부나 전사부중 하나에만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회로부 및 제어부의 부하를 줄여 시스템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전사부 및 흡착부에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고, 그 감지된 값을 기준으로 저항값을 인식하는 기존에 사용하는 저항인식 시스템을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제어부의 안정적인 구동이 가능하다.

Claims (28)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와 대면하는 제1 롤러와;
    상기 이송부를 중심으로 감광체와 대향하고, 상기 제1 롤러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롤러와;
    상기 제1 롤러 및 상기 제2 롤러에 제1 전압 및 제2 전압을 인가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2 롤러를 동시에 통과하는 경우, 상기 제1 전압 및 제2 전압 중 하나를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시키고, 상기 제2 롤러는 감광체로부터 상기 기록매체상에 현상제를 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공급에 따라 상기 제2 롤러 또는 상기 제1 롤러에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는 전압/전류 감지부와;
    상기 감지된 전류에 의해 상기 제2 롤러의 저항값을 인식하여 상기 제2 전압의 크기를 결정하는 전사전압/전류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전류 감지부는, 상기 제1 롤러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되는 경우와 흡착되지 않는 경우의 전압 또는 전류를 각각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각각의 전압 또는 전류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에 준하는 저항값을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저항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압 또는 상기 제2 전압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는 상기 기록매체의 선단이 상기 제2 롤러의 전사닙 근처에 도달하면 상기 제2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는 복수의 색상을 상기 기록매체에 각각 전사하는 복수의 전사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이송부와;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시키는 제1 롤러를 포함하는 흡착부와; 상기 흡착부로부터, 상기 기록매체의 길이보다 짧은 지점에 위치하며, 감광체 및 제2 롤러를 구비하여 상기 기록매체상에 현상제를 전사하는 전사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에 흐르는 제1 전압 또는 제1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제1 전압 또는 제1 전류에 따라 상기 제1 롤러의 저항값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제1 전압 또는 제1 전류에 따라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하기 위한 전원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매체에 상기 결정된 흡착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제1 롤러를 통과하는 도중에, 상기 흡착전원의 인가를 차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롤러에 흐르는 제2 전압 또는 제2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제2 전압 또는 제2 전류에 따라 상기 제2 롤러의 저항값을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인식된 제2 롤러의 저항값에 따라 상기 기록매체상에 현상제를 전사하기 위한 전원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롤러에 상기 결정된 전사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전원의 인가를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흡착전원의 인가를 차단한 이후에, 상기 전사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방법.
  11.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전원의 인가를 차단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매체의 선단이 상기 제2 롤러의 전사닙 근처에 도달하면 상기 흡착전원의 인가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 또는 제1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는, 상기 흡착부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되는 경우와 흡착되지 않는 경우의 전압 또는 전류를 각각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롤러의 저항값을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제1 전압 또는 제1 전류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에 준하는 저항값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사방법.
  13.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는 이송부와;
    상기 기록매체를 상기 이송벨트에 흡착시키는 제1 롤러를 포함하는 흡착부와;
    감광체 및 상기 기록매체에 복수의 색상에 대응하는 현상제를 전사하는 복수의 제2 롤러를 포함하는 복수의 전사부와;
    상기 현상제의 전사 및 기록매체의 흡착을 위해 상기 제2 롤러 및 상기 제1 롤러에 전사전원 및 흡착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기록매체의 선단이 상기 제1 롤러 근방에 도달하는 시점에 흡착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기록매체의 선단이 상기 제2 롤러의 전사닙 근방에 도달하는 시점에 상기 흡착전원이 차단되며 상기 전사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이송경로를 따라 기록매체를 이송하는 이송벨트와;
    각각의 출력단에 복수의 전원을 생성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상기 출력단 중 하나로부터 흡착전원을 수신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상기 흡착전원을 제공하는 흡착부와;
    상기 출력단 중 다른 하나로부터 전사전원을 수신하고, 상기 이송벨트에 상기 전사전원을 제공하는 전사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 상기 흡착전원과 상기 전사전원을 서로 다른 시간에 공급하는 제어신호를 공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전원공급부가 상기 흡착전원과 상기 전사전원을 오버랩되지 않는 시간에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테스트 전압에 대응하여 생성되어 상기 전사부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는 전류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류 및 테스트 전압으로부터 산출된 상기 전사부의 저항값을 인식하여 상기 전사전원의 전압값을 결정하는 전압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전사전원의 인가와 동시에 상기 흡착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상기 이송경로 상의 기록매체의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송경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송경로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경로 센서로부터의 신호는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전사부의 전사 닙 중앙의 근처에 위치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에 의해 제공되는 시간 및 상기 이송경로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타이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2.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기록매체의 이송경로를 따라 전사부의 기설정된 전사닙 중앙의 근처까지 상기 기록매체에 흡착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와;
    상기 기록매체가 기설정된 위치에 근접하면, 상기 흡착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기록매체에 전사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흡착전원과 상기 전사전원은 오버랩되지 않는 시간 간격으로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23. 현상 이미지를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이송벨트의 저항값을 결정하기 위해 테스트 신호에 대한 응답신호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저항값에 기초하여 상기 현상 이미지를 이송벨트의 기록매체에 전사하기 위한 전사전원을 결정하는 단계와;
    제1 시간 동안 상기 기록매체에 흡착전원을 인가하는 단계와;
    제2 시간 동안 전사부에 상기 현상 이미지를 상기 기록매체에 전사하기 위한 전사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이미지를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시간과 오버랩되지 않는 제2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이미지를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신호를 계산하는 단계는 제1 시간 이전에 흡착부에 제2 테스트 신호를 인가하고 저항값을 결정하기 위해 제2 응답신호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흡착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흡착부의 저항값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매체에 흡착전원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이미지를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신호를 계산하는 단계는,
    제2 시간 이전에 상기 기록매체가 상기 흡착부에 위치하는 동안 상기 흡착부에 제3 테스트 신호를 인가하고 제3 응답신호를 계산하는 단계와;
    상기 제3 테스트 신호, 상기 제3 응답신호 및 상기 흡착부의 저항으로부터 상기 기록매체의 저항값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사전원을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기록매체의 저항값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시간에 상기 기록매체에 전사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이미지를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방법.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신호는 전압이고, 상기 응답신호는 전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이미지를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방법.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신호는 전류이고, 상기 응답신호는 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상 이미지를 기록매체에 전사하는 방법.
KR1020070002219A 2007-01-08 2007-01-08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사방법 KR101101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219A KR101101821B1 (ko) 2007-01-08 2007-01-08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사방법
US11/962,634 US8000620B2 (en) 2007-01-08 2007-12-21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ransfer method thereof
CN200810000933.5A CN101221388B (zh) 2007-01-08 2008-01-08 图像形成装置及其传送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2219A KR101101821B1 (ko) 2007-01-08 2007-01-08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171A KR20080065171A (ko) 2008-07-11
KR101101821B1 true KR101101821B1 (ko) 2012-01-05

Family

ID=39594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219A KR101101821B1 (ko) 2007-01-08 2007-01-08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사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000620B2 (ko)
KR (1) KR101101821B1 (ko)
CN (1) CN1012213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30708A (ja) * 2011-12-21 2013-07-0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7220A (en) 1997-04-23 1999-03-23 Oki Data Corporatio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sensing ambient conditions without sensors
US6111594A (en) 1999-01-11 2000-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fer voltage based on specific resistance of paper in laser beam printer
US6148159A (en) 1998-06-12 2000-11-14 Oki Data Corporatio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8716B2 (ja) 1994-03-02 2003-07-22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KR0149762B1 (ko) 1995-05-25 1998-12-15 김광호 전자사진 프로세서의 화상 형성 장치
JP3359231B2 (ja) 1996-05-10 2002-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100389848B1 (ko) 1996-10-31 2004-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기록지 분리 및 미끄러짐 방지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7220A (en) 1997-04-23 1999-03-23 Oki Data Corporatio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sensing ambient conditions without sensors
US6148159A (en) 1998-06-12 2000-11-14 Oki Data Corporatio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US6111594A (en) 1999-01-11 2000-08-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ransfer voltage based on specific resistance of paper in laser beam pri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21388B (zh) 2014-05-21
US8000620B2 (en) 2011-08-16
KR20080065171A (ko) 2008-07-11
US20080166146A1 (en) 2008-07-10
CN101221388A (zh) 2008-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50430B (zh) 图像形成设备
JP512655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777855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controlling application voltage to adhering member
JP2004117920A (ja) 画像形成装置
US10162296B2 (en) Transport monitoring control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901223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101821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사방법
US780279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136859B2 (ja) 画像形成装置
KR20080063635A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전사방법
JP5448967B2 (ja) 画像形成装置
JP6759627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602943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199996A (ja) 画像形成装置用現像剤エンド検知装置
JP201019752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35469A (ja) 画像形成装置
KR101244681B1 (ko) 화상형성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구동제어 방법
US9758326B2 (en) Transport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119175A (ja) 画像形成装置
JP2016051082A (ja) 電源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電源制御方法
US913465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5161923A (ja) 画像形成装置、シート搬送方法およびシート搬送プログラム
JPH0922280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22872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132069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4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1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2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