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595B1 - Signal interface conversion converter, Signal interface conversion receiver and Signal interface conversion transceiver - Google Patents
Signal interface conversion converter, Signal interface conversion receiver and Signal interface conversion transceiv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01595B1 KR101101595B1 KR1020090130815A KR20090130815A KR101101595B1 KR 101101595 B1 KR101101595 B1 KR 101101595B1 KR 1020090130815 A KR1020090130815 A KR 1020090130815A KR 20090130815 A KR20090130815 A KR 20090130815A KR 101101595 B1 KR101101595 B1 KR 1011015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logic circuit
- data
- unit
- clock sig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0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7274 generation of a signal involved in cell-cell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9/00—Parallel/series conversion or vice vers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렬 또는 병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를 병렬 또는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로 변환시에 멀티플렉서 구조를 채택하여 클럭 주파수 또는 분주비율을 줄이는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병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의 데이터 중 적어도 서로 순서가 다른 두비트의 데이터를 각각 입력받아 제어신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멀티 플렉서를 갖는 제1 멀티플렉서부와, 상기 제1 멀티플렉서부의 복수의 멀티플렉서 각각에 일대일 대응되어 클럭 신호에 따라 출력된 데이터를 논리 연산하는 복수의 논리 회로 소자를 갖는 제1 논리회로부와, 상기 클럭 신호에 따라 상기 논리 회로부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제2 멀티플렉서부를 갖는 송신 장치와, 클럭 신호에 따라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의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논리 회로부와, 상기 논리 회로부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비트수를 만족하는 병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로 출력하는 버퍼부와, 상기 버퍼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분주 신호를 제공하는 분주 신호 생성부를 포함하는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인터페이스(Interface), 직렬화(Serializer), 병렬화(Deserializ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al interface convers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that adopts a multiplexer structure when converting a serial or parallel interface signal into a parallel or serial interface signal to reduce a clock frequency or a division ratio. A first multiplexer unit having a plurality of multiplexers that receive two bits of data each having a different order and sequentially output the same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nd output a one-to-one correspondence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ultiplexers of the first multiplexer unit A transmission device having a first logic circuit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logic circuit elements for logically calculating the data, a second multiplexer portion for sequentially outputting output data from the logic circuit portion in accordance with the clock signal, and the clock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clock signal. From the transmitting device A logic circuit section for sequentially outputting data of a serial interface signal, a buffer section for outputting output data from the logic circuit section as a parallel interface system signal satisfying a preset number of bits, and a division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buffer sec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ignal interface type transceiving device including a divided signal generator for providing a signal.
Interface, Serializer, and Deserializer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직렬 또는 병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를 병렬 또는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로 변환시에 멀티플렉서 구조를 채택하여 클럭 주파수 또는 분주비율을 줄이는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gnal interface convers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dopt a multiplexer structure when converting a serial or parallel interface signal into a parallel or serial interface signal, thereby reducing a clock frequency or division ratio. Relates to a device.
최근 들어, 사용의 용이성으로 인해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모바일 기기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Recently, due to the ease of use, a mobile device 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wirelessly has been widely used.
이러한 모바일 기기 및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는 데이터들을 병렬 방식으로 처리한다.Such mobile devices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process data in a parallel manner.
그러나, 노이즈 문제 및 고속의 데이터를 전송선로로 보내기 위해서는 하나의 선으로 데이터를 보내야 하기 때문에 여러개의 선으로된 병렬 인터페이스 방식의 데이터를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바꾸어 주어야 하고, 반대로 수신할 경우에 는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의 데이터를 병렬 인터페이스 방식의 데이터로 변경하여야 한다.However, in order to send the noise problem and high-speed data to the transmission line, data must be sent on one line. Therefore, the data of the parallel interface with multiple lines must be changed to the serial interface method. The data of the method should be changed to the data of the parallel interface method.
최근 들어, 전송 데이터의 해상도 및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과 병렬 인터페이스 방식 간의 변환이 필요하나, 변환에 사용되는 클럭 주파수 또한 가변되어야 한다.Recently, as the resolution and speed of transmission data increase, a conversion between the serial interface method and the parallel interface method is required, but the clock frequency used for the conversion must also vary.
그러나, 예를 들어 8비트 병렬 인터페이스 방식 데이터를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ㅇ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1비트 데이터 당 10Mz의 클럭 주파수를 사용하는 경우 총 80MHz의 클럭 주파수가 필요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1/8의 분주율이 필요하여 전력 소모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order to convert 8-bit parallel interface data into a serial interface method, for example, using a clock frequency of 10 MHz per 1-bit data requires a total clock frequency of 80 MHz, and vice versa.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ower consumption is increased because the rate is required.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직렬 또는 병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를 병렬 또는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로 변환시에 멀티플렉서 구조를 채택하여 클럭 주파수 또는 분주비율을 줄이는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gnal interface conversion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that reduces the clock frequency or frequency division ratio by adopting a multiplexer structure when converting a serial or parallel interface signal into a parallel or serial interface signal. will b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은 병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의 데이터 중 적어도 서로 순서가 다른 두비트의 데이터를 각각 입력받아 제어신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멀티 플렉서를 갖는 제1 멀티플렉서부와, 상기 제1 멀티플렉서부의 복수의 멀티플렉서 각각에 일대일 대응되어 클럭 신호에 따라 출력된 데이터를 논리 연산하는 복수의 논리 회로 소자를 갖는 제1 논리회로부와, 상기 클럭 신호에 따라 상기 논리 회로부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제2 멀티플렉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송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multiplexers that receive at least two bits of data of different order from each other of the data of the parallel interface signal and sequentially output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 first logic circuit section having a first multiplexer section having a plurality of logic circuit elements, and a plurality of logic circuit element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multiplexers of the first multiplexer section one-to-one to logically output data according to a clock signal; And a second multiplexer unit for sequentially outputting output data from the logic circuit unit.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논리 회로 소자는 복수의 D 플립 플롭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logic circuit elements may be a plurality of D flip flops.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멀티플렉서는 상기 클럭 신호의 라이징 엣지와 폴링 엣지에 각각 데이터를 선택하여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urality of multiplexers may sequentially select and output data to the rising edge and the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클럭 신호는 차동 신호일 수 있다.According to one technical aspect of the invention, the clock signal may be a differential signal.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사전에 설정된 타이밍으로 상기 복수의 멀티플렉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제공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ultiplexers at a preset timing.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리플 캐리 방식으로 데이터를 카운트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카운트부와, 상기 카운트부로부터의 상기 제어 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복수의 멀티 플렉서를 갖는 제3 멀리 플렉서부와, 상기 제3멀티 플렉서부의 복수의 멀티 플렉서에 각각 일대일 대응되어 각 멀티 플렉서의 출력을 논리 연산하는 복수의 D 플립 플롭을 갖는 제2 논리 회로부와, 상기 복수의 D 플립 플롭의 출력이 사전에 설정된 카운트가 되면 상기 제3 멀티 플렉서부의 복수의 멀티 플렉서의 출력을 리셋하는 카운트 리셋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includes a count unit for outputting the control signal by counting data in a ripple carry method, and receiving a plurality of multiplexers by receiving the control signal from the count unit, respectively. A second logic circuit portion having a third far multiplexer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D flip-flops for logically calculating an output of each of the multiplexers, one-to-one correspondence with a plurality of multiplexers of the third multiplexer portion, respectively; If the output of the D flip-flop is a preset count may include a count reset unit for resetting the output of the plurality of multiplexer of the third multiplexer uni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은 클럭 신호에 따라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논리 회로부와, 상기 논리 회로부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비트수를 만족하는 병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로 출력하는 버퍼부와, 상기 버퍼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분주 신호를 제공하는 분주 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other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ogic circuit section for sequentially outputting data of a serial interface signal according to a clock signal, and the number of bits previously set to output data from the logic circuit section. It may include a buffer unit for outputting a parallel interface signal that satisfies the, and the divided signal generator for providing a divided signal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buffer unit.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논리 회로부는 상기 클럭 신호의 라이징 엣지에 따라 상기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의 데이터 중 짝수번째 데이터를 논리 연산하는 복수의 논리 회로 소자를 갖는 제1 논리 회로 블럭과, 상기 클럭 신호의 폴링 엣지에 따라 상기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의 데이터 중 홀수번째 데이터를 논리 연산하는 복수의 논리 회로 소자를 갖는 제2 논리 회로 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gic circuit unit has a first logic circuit having a plurality of logic circuit elements for logically calculating even-numbered data of data of the serial interface signal according to the rising edge of the clock signal. And a second logic circuit block having a plurality of logic circuit elements for performing logical operation on odd-numbered data of the data of the serial interface signal according to the falling edge of the clock signal.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논리 회로 소자는 D 플립 플롭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gic circuit element may be a D flip flop.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클럭 신호는 차동 신호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ck signal may be a differential signal.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분주 신호 생성부는 상기 병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의 비트수의 절반으로 상기 클럭 신호를 분주한 상 기 분주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vided signal generation unit may provide the divided signal obtained by dividing the clock signal by half of the number of bits of the parallel interface signal.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버퍼부는 상기 제1 및 제2 논리 회로 블럭의 각 논리 회로 소자에 각각 일대일 대응되어 상기 분주 신호에 따라 제1 및 제2 논리 회로 블럭의 각 논리 회로 소자의 출력 데이터를 동시에 출력하는 복수의 D 플립 풀롭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ffer unit corresponds one-to-one to each logic circuit element of the first and second logic circuit blocks, respectively, so that each logic of the first and second logic circuit blocks according to the division signal is provided.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D flip pulls for outputting the output data of the circuit element at the same tim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은 병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의 데이터 중 적어도 서로 순서가 다른 두비트의 데이터를 각각 입력받아 제어신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복수의 멀티 플렉서를 갖는 제1 멀티플렉서부와, 상기 제1 멀티플렉서부의 복수의 멀티플렉서 각각에 일대일 대응되어 클럭 신호에 따라 출력된 데이터를 논리 연산하는 복수의 논리 회로 소자를 갖는 제1 논리회로부와, 상기 클럭 신호에 따라 상기 논리 회로부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제2 멀티플렉서부를 갖는 송신 장치와, 클럭 신호에 따라 상기 송신 장치로부터의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논리 회로부와, 상기 논리 회로부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비트수를 만족하는 병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로 출력하는 버퍼부와, 상기 버퍼부의 출력을 제어하는 분주 신호를 제공하는 분주 신호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other technic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urality of multi-output each of which receives at least two bits of data of different order from each other of the data of the parallel interface method signal sequentially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 first logic circuit portion having a first multiplexer portion having a multiplexer, a plurality of logic circuit elements corresponding to each of a plurality of multiplexers of the first multiplexer portion to logically output data according to a clock signal, and the clock signal A transmission device having a second multiplexer section for sequentially outputting output data from the logic circuit section, a logic circuit section for sequentially outputting data of a serial interface system signal from the transmission device in accordance with a clock signal, and the logic circuit section. The output data from the device satisfies the preset number of bits. It may include a buffer unit for outputting a parallel signal interface system, a generator busy signal to provide a divided signal for controlling the output of the buffer unit.
본 발명에 따르면, 직렬 또는 병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를 병렬 또는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로 변환시에 멀티플렉서 구조를 채택하여 클럭 주파수 또는 분주비율을 줄여서 전력 소모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converting a serial or parallel interface signal into a parallel or serial interface signal, the multiplexer structure is adopted to reduce the clock frequency or the division ratio,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송수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ignal interface conversion transceiver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송수신 장치는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송신 장치(100)와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수신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apparatus for translating a signal interfa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signal interface method converting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송신 장치(100)는 병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를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 송신할 수 있다.The signal
도 2는 본 발명의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송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ignal interface conversion transmissio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송신 장치(100)는 제1 멀티플렉서부(110), 제1 논리회로부(120) 및 제2 멀티 플렉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제1 멀티플렉서부(110)는 복수의 멀티 플렉서(111,1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복수의 멀티 플렉서(111~11N)은 각각 제어신호(S0,S1,S2)에 따라 입력된 데 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복수의 멀티 플렉서(111,112)은 각각에는 병렬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으며 복수의 멀티 플렉서(111,112) 각각에 입력되는 병렬 데이터는 비트 순서가 다를 수 있다.The plurality of multiplexers 111-11N may sequentially output the input data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s S0, S1, and S2, respectively. Parallel data may be input to each of the
예를 들어, 10비트의 병렬 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제1 멀티 플렉서부(110)는 둘의 멀티 플렉서를 포함할 수 있고, 둘의 멀티 플렉서에는 각각 5비트의 병렬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으며, 둘의 멀티 플렉서에 입력되는 5비트의 병렬 데이터는 서로 비트 순서가 다르다. 즉, 제1 멀티 플렉서(111)에는 0번째, 2번째, 4번째, 6번째 및 8번째(D0,D2,D4,D6,D8) 비트의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고, 제2 멀티 플렉서(112)에는 1번째, 3번째, 5번째, 7번째 및 9번째(D1,D3,D5,D7,D9) 비트의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10 bits of parallel data are input, the
제1 멀티 플렉서부(110)에는 최소 둘 이상의 멀티플렉서가 포함될 수 있고, 둘 이상의 멀티 플렉서에는 각각 최소한 2비트의 병렬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멀티 플렉서부(110)는 4비트 이상의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10비트의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1비트의 데이터당 10MHz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 신호가 필요할 경우 100MHz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 신호가 아닌 50MHz의 주파수를 갖는 클럭 신호가 사용될 수 있어, 클럭 신호 생성을 위한 전력 소모를 저감시킬 수 있다. At least two or more multiplexers may be included in the
제1 멀티 플렉서부(110)의 복수의 멀티 플렉서(111,112)는 제어 신호에 따라 각각 입력받은 병렬 데이터를 비트 순서대로 출력할 수 있다.The
제1 논리 회로부(120)는 복수의 논리 회로(121,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논리 회로는 D 플립 플롭(Flip Flop)일 수 있다.The first
상술한 복수의 D 플립 플롭(121,122)는 각각 제1 멀티 플렉서부(110)의 복수의 멀티 플렉서(111,112)에 일대일 대응되어 각 멀티 플렉서(111,112)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를 논리 연산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 flip-
복수의 D 플립 플롭(121,122)은 클럭 신호(CLK,CLKb)를 입력받아 동작할 수 있으며, 상술한 클럭 신호(CLK,CLKb)는 차동 신호일 수 있고, 복수의 D 플립 플롭(121,122)은 클럭 신호(CLK,CLKb)의 라이징 엣지 및 폴링 엣지에서 각각 데이터를 선택하여 저장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제2 멀티 플렉서부(130)는 단일 멀티 플렉서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멀티 플렉서부(130)는 클럭 신호(CLK,CLKb)에 따라 복수의 D 플립 플롭(121,122)의 출력 데이터를 선택하여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제어부(140)는 상기 제어 신호를 제공하여 사전에 설정된 클럭 주기마다 제1 멀티 플렉서부(110)의 출력 데이터가 리셋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도 3은 본 발명의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송신 장치에 채용된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unit employed in the signal interface type conversion transmiss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송신 장치에 채용된 제어부(140)는 리플 캐리 카운터(141), 제3 멀티 플렉서부(142), 제2 논리 회로부(143) 및 카운트 리셋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리플 캐리 카운터(Ripple Carry Counter)(141)는 순차적으로 자리를 올림하여 카운트하는 회로로서 그 동작 및 기능은 기 공지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Ripple Carry Counter (Ripple Carry Counter) (141) is a circuit that sequentially raises the seat and its operation and function is well known, so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제3 멀티 플렉서부(142)는 적어도 셋의 멀티 플렉서(142a~142c)를 포함할 수 있으며, 리플 캐리 카운터(141)의 제어 신호(S0,S1,S2)는 각각 셋의 멀티 플렉서(142a~142c)에 입력될 수 있다. 더하여 카운터 리셋(144)의 출력 또한 셋의 멀티 플렉서(142a~142c) 각각에 입력될 수 있다.The
제2 논리 회로부(143)는 적어도 셋의 D 플립 플롭(143a~143c)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멀티 플렉서부(142)는 적어도 셋의 멀티 플렉서(142a~142c)에 각각 일대일 대응된다.The second
제3 멀티 플렉서부(142)는 셋의 멀티 플렉서(142a~142c)의 출력은 각각 셋의 D 플립 플롭(143a~143c)에 입력되고 셋의 D 플립 플롭(143a~143c)은 클럭 신호(CLK,CLKb)에 동기되어 동작할 수 있다.The
셋의 D 플립 플롭(143a~143c)의 출력은 리플 캐리 카운터(141)와 카운테 리셋부(144)에 피드백된다.The outputs of the three
카운터 리셋부(144)는 하나의 인버터와 AND 소자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0비트의 병렬 데이터를 직렬 데이터로 변환하는 경우 클럭 신호가 5비트일때마다 한주기로 설정하여 카운트를 리셋할 수 있다.The counter reset unit 144 may be formed of an inverter and an AND element. For example, when converting 10 bits of parallel data into serial data, the counter reset unit 144 may reset the count by setting one cycle every 5 bits of the clock signal. Can be.
이에 따라, 제어부(140)는 5 비트의 클럭 신호 주기마다 제1 멀티 플렉서부(110)의 출력 데이터가 리셋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수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4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signal interface type conversion rece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수신 장치(200)는 제3 논리 회로부(210), 버퍼부(220) 및 분주 신호 생성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제3 논리 회로부(210)는 제1 논리 회로 블럭(211)과 제2 논리 회로 블럭(212)를 포함할 수 있다.The third
제1 논리 회로 블럭(211)는 복수의 D 플립 플롭(211a~211N)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논리 회로 블럭(212) 또한 복수의 D 플립 플롭(212a~212N)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제1 논리 회로 블럭(211)은 수신된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 중 홀수 번째 비트 자리의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고, 제2 논리 회로 블럭(212)은 짝수 번째 비트 자리의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The first
수신된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 중 홀수 번째 비트 자리의 데이터는 복수의 D 플립 플롭(211a~211N)에 각각 입력되어 논리 연산되고, 짝수 번째 비트 자리 의 데이터는 복수의 D 플립 플롭(212a~212N)에 각각 입력되어 논리 연산된다. The odd bit bit data of the received serial interface method signals is input to the plurality of D flip flops 211a to 211N, respectively, and logically operated. The even bit bit data is input to the plurality of D flip flops 212a to 212N. Each is input and logically operated.
예를 들어 10 비트의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가 입력되면 첫번째, 세번째, 다섯번째, 일곱번째 및 아홉번째 비트 자리의 데이터가 각각 제1 논리 회로 블럭(211)의 복수의 D 플립 플롭(211a~211N)에 입력되고, 두번째, 네번째, 여섯번째, 여덟번째 및 열번째 비트 자리의 데이터가 각각 제2 논리 회로 블럭(212)의 복수의 D 플립 플롭(212a~212N)에 입력된다. For example, when a 10-bit serial interface signal is input, data of the first, third, fifth, seventh, and ninth bit positions are respectively provided in the plurality of D flip-flops 211a to 211N of the first
상술한 제1 논리 회로 블럭(211)의 복수의 D 플립 플롭(211a~211N)에는 클럭 신호(CLK)가 입력되고, 상술한 제2 논리 회로 블럭(212)의 복수의 D 플립 플롭(212a~212N)에는 반전된 클럭 신호(CLKb)가 입력된다.The clock signals CLK are input to the plurality of D flip flops 211a to 211N of the first
이에 따라, 제1 논리 회로 블럭(211)의 복수의 D 플립 플롭(211a~211N)는 클럭신호(CLK)의 라이징 엣지에서 동작할 수 있고, 제2 논리 회로 블럭(212)의 복수의 D 플립 플롭(212a~212N)는 클럭 신호(CLKb)의 폴링 엣지에서 동작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lurality of D flip-flops 211a to 211N of the first
상술한 제1 논리 회로 블럭(211)의 복수의 D 플립 플롭(211a~211N)의 출력과 제2 논리 회로 블럭(212)의 복수의 D 플립 플롭(212a~212N)의 출력은 버퍼부(220)에 전달된다.The outputs of the plurality of D flip flops 211a to 211N of the first
버퍼부(220)는 제1 내지 제N의 D 플립 플롭(221~22N)을 포함할 수 있고, 제 1 내지 제N의 D 플립 플롭(221~22N)에는 각각 제1 논리 회로 블럭(211)의 복수의 D 플립 플롭(211a~211N)의 출력과 제2 논리 회로 블럭(212)의 복수의 D 플립 플롭(212a~212N)의 출력이 입력된다.The
이에 따라, 수신된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의 신호에 포함된 데이터가 버퍼링될 수 있다.Accordingly, data included in the received serial interface signal may be buffered.
예를 들어, 10비트의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가 입력되면, 홀수번째 비트 자리와 짝수번째 비트 자리의 데이터가 각각 논리 연산되고, 이의 출력이 제1 내지 제N의 D 플립 플롭(221~22N)에 전달되므로, 첫번째와 두번째 비트 자리의 데이터는 제1 및 제2 D 플립 플롭(221,222)에 거의 동시에 입력되고, 마찬가지로 세번째와 네번째 비트 자리의 데이터가 다음의 제3 및 제4 D 플립 플롭(미도시)에 거의 동시에 입력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10-bit serial interface signal is inputted, data of odd bit positions and even bit positions are logically operated, respectively, and its output is output to the first to Nth D flip
이에 따라, 10비트의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의 데이터가 버퍼링될 수 있다. 이때, 버퍼부(220)는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의 데이터가 10비트 자리를 다 채우면 이를 동시에 출력하여 병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로 변환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분주 신호 생성부(230)는 분주 신호를 버퍼부(220)에 전달하여 버퍼링 후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data of the 10-bit serial interface signal can be buffered. In this case, when the data of the serial interface signal fills 10-bit positions, the
상기한 분주 신호는 클럭 신호(CLK)에 의해 생성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10비트의 직렬 인터페이스 신호롤 병렬 인터페이스 신호로 변환시에는 클럭 신호을 10분주하여야 하나, 본원 발명에서는 클럭 신호의 차동 신호에 따라 제1 논리 회로 블럭(211)과 제2 논리 회로 블럭(212)이 동작하므로 클럭 신호를 5분주 하여 분주 신호를 버퍼부(220)에 전달하여 분주비의 저감에 의해 전력 소모를 저감할 수 있다.The divided signal may be generated by a clock signal CLK. In general, when the 10-bit serial interface signal is converted into a parallel interface signal, the clock signal should be divided by 10, bu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vided signal may be divided according to the differential signal of the clock signal. Since the first
도 5는 본 발명의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수신 장치에 채용된 분주 신호 생성부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vided signal generation unit employed in the signal interface type conversion recei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분주 신호 생성부(230)는 클럭 신호를 분주하기 위해 복수의 플립 플롭과 논리 소자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클럭 신호를 5분주하기 위해 3개의 D 플립 플롭(231,233,234)과 NAND 논리 소자(232)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divided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D 플립 플롭(231)은 클럭 신호(CLK)와 분주신호(CLK_Div)를 논리 연산하여 NAND 논리 소자(232)에 출력하고, NAND 논리 소자(232)는 이를 분주 신호(CLK_Div)와 논리 연산하여 제2 D 플립 플롭(233)에 전달하며, 제2 D 플립 플롭(233)은 이를 클럭 신호(CLK)와 논리 연산하여 제3 D 플립 플롭(234)에 전달하고, 제3 D 플립 플롭(234)는 클럭 신호(CLK)와 논리 연산하여 분주 신호(CLK_Div)를 출력한다. As shown, the first D flip-
도 6은 본 발명의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수신 장치의 클럭 카운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lock count of the signal interface type conversion rece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수신 장치(100)의 제어 신호(S1,S2,S3)는 10 비트의 병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를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로 변환 시에 5비트 단위의 클럭 주기로 리셋되는 것을 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control signals S1, S2, and S3 of the
도 7은 본 발명의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송신 장치의 병렬 데이터 변환 을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showing parallel data conversion of the signal interface conversion transm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송신 장치(200)는 클럭 신호를 5분주하여 10비트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를 10비트의 병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을 볼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직렬 또는 병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를 병렬 또는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 신호로 변환시에 데이터 비트를 분리 입력받는 멀티플렉서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클럭 주파수 또는 분주비율을 줄여서 전력 소모를 저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opting a multiplexer structure in which data bits are separately input when converting a serial or parallel interface signal into a parallel or serial interface signal,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by reducing clock frequency or frequency division ratio.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송수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1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ignal interface type transce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송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ignal interface type conversion transmiss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송신 장치에 채용된 제어부의 개략적인 구성도.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unit employed in the signal interface type conversion transmiss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수신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signal interface type conversion rece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수신 장치에 채용된 분주 신호 생성부의 개략적인 구성도. 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vided signal generation unit employed in the signal interface type conversion rece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수신 장치의 클럭 카운트를 나타내는 도면.Fig. 6 is a diagram showing a clock count of the signal interface type conversion receiv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송신 장치의 병렬 데이터 변환을 나타내는 도면.Fig. 7 is a diagram showing parallel data conversion of the signal interface type conversion transmit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Detailed Description of Major Symbols in Drawing>
100...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송신 장치100 ... Signal Interface Conversion Transmitter
110...제1 멀티 플렉서부110 ... 1st multiplexer
120...제1 논리 회로부120 first logic circuit
130...제2 멀티 플렉서부130 ... 2nd Multiplexer
140...제어부140 ... control unit
200...신호 인터페이스 방식 변환 수신 장치200 ... signal interface conversion receiver
210...제2 논리 회로부210 ... second logic circuit
220...버퍼부220.Buffer part
230...분주 신호 생성부230 ... division signal generator
Claims (2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0815A KR101101595B1 (en) | 2009-12-24 | 2009-12-24 | Signal interface conversion converter, Signal interface conversion receiver and Signal interface conversion transceiv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0815A KR101101595B1 (en) | 2009-12-24 | 2009-12-24 | Signal interface conversion converter, Signal interface conversion receiver and Signal interface conversion transceiv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3990A KR20110073990A (en) | 2011-06-30 |
KR101101595B1 true KR101101595B1 (en) | 2012-01-03 |
Family
ID=44404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30815A Expired - Fee Related KR101101595B1 (en) | 2009-12-24 | 2009-12-24 | Signal interface conversion converter, Signal interface conversion receiver and Signal interface conversion transceiv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0159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17690B1 (en) | 2019-07-15 | 2021-02-19 | 주식회사 오에이티씨 | Container of Cosmetics having controlling the temperatur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8695A (en) * | 1994-07-05 | 1996-01-19 | Oki Electric Ind Co Ltd | Multiplexing method |
KR19980070138A (en) * | 1997-01-31 | 1998-10-26 | 사와무라시꼬 | Serial to parallel converter |
US20090259781A1 (en) * | 2008-04-14 | 2009-10-15 | Padaparambil Muralikumar A | Serializer Architecture for Serial Communications |
-
2009
- 2009-12-24 KR KR1020090130815A patent/KR10110159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8695A (en) * | 1994-07-05 | 1996-01-19 | Oki Electric Ind Co Ltd | Multiplexing method |
KR19980070138A (en) * | 1997-01-31 | 1998-10-26 | 사와무라시꼬 | Serial to parallel converter |
US20090259781A1 (en) * | 2008-04-14 | 2009-10-15 | Padaparambil Muralikumar A | Serializer Architecture for Serial Communications |
JP2009260961A (en) | 2008-04-14 | 2009-11-05 | Seiko Epson Corp | Serializ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3990A (en) | 2011-06-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521351B (en) | Multi-wire single-ended push-pull link with data symbol transition based clocking | |
US7752482B2 (en) | Hybrid parallel/serial bus interface | |
CN110912549B (en) | Serial-parallel conversion circuit, driv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panel | |
US20070126726A1 (en) | Display control device with multipurpose output driver | |
US7475273B2 (en) | Hybrid parallel/serial bus interface | |
US6593863B2 (en) | Serializer | |
US6741193B2 (en) | Parallel in serial out circuit having flip-flop latching at multiple clock rates | |
CN103888147A (en) | Serial-to-parallel conversion circuit, serial-to-parallel converter and serial-to-parallel conversion system | |
CN108494433B (en) | Single-wire communication method and circuit implementation thereof | |
US7796063B2 (en) | Data transmission circuits and data transceiver systems | |
CN112820225A (en) | Data cache circuit,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
US7310057B2 (en) | Latch clock generation circuit and serial-parallel conversion circuit | |
CN107171728A (en) | 1B4B and the forward direction of Manchester's code, reverse transfer method and device, system | |
KR101101595B1 (en) | Signal interface conversion converter, Signal interface conversion receiver and Signal interface conversion transceiver | |
US20150063516A1 (en) | Communication circuit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 |
US846681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rializing bits | |
CN111934707B (en) | Data transmission code and interface | |
US11483010B2 (en) | Output control circuit,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and electronic device | |
US20130121429A1 (en) | Data transfer system, data transfer method, receiving circuit, and receiving method | |
CN114138053B (en) | Baud rate generator | |
US8024624B2 (en) |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data over communication channels | |
JP4546416B2 (en) | Image signal receiver | |
KR19980042000A (en) | Serial Data Converter | |
KR100946177B1 (en) |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and method | |
CN101419777A (en) | Input/output interface circuit and transceiving circu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