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136B1 - Automatic Tissue Dispenser - Google Patents
Automatic Tissue Dispens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01136B1 KR101101136B1 KR1020090110222A KR20090110222A KR101101136B1 KR 101101136 B1 KR101101136 B1 KR 101101136B1 KR 1020090110222 A KR1020090110222 A KR 1020090110222A KR 20090110222 A KR20090110222 A KR 20090110222A KR 101101136 B1 KR101101136 B1 KR 10110113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coupled
- roll
- paper
- tissu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 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 A47K10/3606—The cutting devices being motor driven
- A47K10/3625—The cutting devices being motor driven with electronic control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2—Holders; Receptacles for rolled-up web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 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with mechanical dispensing, roll switching or cutt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휴지인출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나의 휴지인출기로 통상의 두루마리 휴지의 인출이 가능함과 동시에, 예비 두루마리 휴지의 수납이 가능하고 주방에서 사용되는 키친타올의 사용이 가능한 자동 휴지인출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issue paper dispenser, and more particularly, it is possible to take out a conventional roll paper tissue with one tissue paper drawer,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store a pre-rolled paper tissue and use a kitchen towel used in a kitchen. It is about an ATM.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휴지인출기는, 상부에는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된 제1 공간이 형성되되 상기 제1 공간의 중심부에는 링 형상의 전극 패드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일측에는 전지가 인입되는 도어가 형성되되 타측에는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제어판이 결합된 몸체하우징으로 이루어진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 결합되되 내측에는 제2 공간이 형성되며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회동가능한 모터로 이루어진 구동부재가 구비되되 상기 구동부재의 상부에는 상부면에 제1 끼움봉이 형성된 안착판이 결합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2 공간과 연통되게 제1 인출구가 형성된 수납몸체로 이루어진 인출부와; 상기 인출부의 상부에 결합되되 내측에는 제 3공간이 형성되며 내측 하부면에는 상부로 돌출 형성된 제2 끼움봉이 형성되되 일측에는 상기 제3 공간과 연통되게 제2 인출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뚜껑이 결합된 수용몸체로 이루어진 수용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this end, the automatic stop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pace is formed in the upper space therei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spac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ing-shaped electrode pads protruded to the top and the battery on one side A body part formed of a body housing in which a door into which the door is inserted is formed, and a control panel which is operated by an electric signal applied to the other side; It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second space is provided with a drive member made of a motor that can be rotated by an electric signal applied to the upper side of the drive member is coupled to the seat plate formed with a first fitting rod on the upper side An outlet portion formed of a receiving body having a first outlet opening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space; It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ead portion is formed inside the third space and the inner lower surface is formed with a second fitting rod protruding upwards on one side, the second outlet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third space and the lid is coupled to the top Receiving portion consisting of a receiving body;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두루마리 휴지, 키친타올, 수납몸체, 수용몸체 Roll tissue paper, kitchen towel, storage body, storage body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 휴지인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나의 휴지인출기를 통하여 인출되는 두루마리 휴지 이외에 예비로 두루마리 휴지의 수납이 가능함과 동시에 주방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두루마리 휴지의 폭보다 넓은 키친타올도 사용이 가능한 자동 휴지인출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tissue paper dispenser, and in particular, in addition to the roll paper tissue drawn out through one tissue paper dispenser, it is possible to store the roll paper in advance, and at the same tim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kitchen towel wider than the width of a common paper tissue used in the kitchen. It relates to a paper dispenser.
일반적으로 자동 휴지인출기는 두루마리 휴지나 냅킨 등이 일정형상의 케이스에 수납되어 전기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와 제어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길이만큼 자동으로 배출되는 것으로, 사용자의 손이 불편할 경우나 젖은 손으로 인하여 휴지를 인출하기 불편한 경우를 대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많은 기능이 내포된 자동 휴지인출기들이 근래에 들어 안출되고 있다.In general, the automatic tissue paper dispenser has a roll of paper or napkins stored in a case of a certain shape and is automatically discharged to a desired length through a motor and a controller operated by an electric signal. Due to the use of in case it is inconvenient to withdraw the toilet paper, automatic tissue paper dispensers with many functions have been introduced in recent years.
일 예로,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747769호인 '두루마리 휴지 케이스'의 구성을 살펴보면, 종래의 '두루마리 휴지 케이스'는 일측에 고정 가능하며, 휴지가 걸리는 걸이부재가 설치된 케이스와, 상기 걸이부재의 일측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휴지의 양면에 각각 접촉되고 그 원주면에 서로 맞물리는 톱니가 형성된 제1,2롤러부재와, 상기 제1,2롤러부재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손잡이부재 및 상 기 제1,2롤러부재의 일측에 설치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므로, 사용자가 임의대로 제1,2롤러부재의 회전 정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As an example,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roll tissue paper case' of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0747769, the conventional 'roll paper tissue case' can be fixed to one side, the case is installed with a hook member that takes a pause, and the hook member First and second roller members provided on one side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both sides of the tissue and engaging teeth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handle member and the first and second roller members installed o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 members. Since the cover member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 members, the user can arbitrarily control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oller members.
그러나, 종래의 이와 같은 구성의 '두루마리 휴지 케이스'는 사용하고자 하는 휴지의 양을 조절할 수 있고 젖은 손으로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휴지를 꺼낼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사용되고 있는 두루마리 휴지 이외에 별도의 예비 휴지가 비치되지 않아 사용이 불편하고 주방에서 사용되고 있는 키친타올에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별도로 휴지케이스를 제작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rolling toilet paper case' of such a configuration can adjust the amount of tissue to be used, and the user can easily take out the toilet paper even with wet hands, but in addition to the roll paper used, a separate preliminary tissue pap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to use because it is not provided, and when you want to use it in the kitchen towel that is used in the kitchen, it is inconvenient to make a separate toilet case.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하나의 휴지인출기를 통하여 사용되는 휴지 이외에 여유분의 두루마리 휴지의 수납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어느 때든지 휴지의 교체 사용이 가능한 자동 휴지인출기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accommodate a roll of toilet paper in addition to the toilet paper used through a single toilet paper dispenser, so that the user can replace the toilet paper at any time as needed To provide a paper dispenser.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장실에서 사용되는 두루마리 휴지 이외에, 주방에서 사용되는 키친타올과 같은 폭이 넓은 두루마리 형식의 키친타올도 사용이 가능하여 화장실이나 주방에서도 사용이 용이한 자동 휴지인출기를 제공하고자 한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de range of roll type kitchen towels, such as kitchen towels used in the kitchen, in addition to the roll toilet paper used in the bathroom to provide an automatic tissue dispenser easy to use in the bathroom or kitchen do.
상부에는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된 제1 공간(12)이 형성되되 상기 제1 공간(12)의 중심부에는 링 형상의 전극 패드(13a)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부로 돌출형성된 돌출부재(13)가 형성되고 일측에는 전지(15a)가 인입되는 도어(15)가 형성되되 타측에는 상기 전지(15a)로부터 인가되는 전기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제어판(14)이 결합된 몸체하우징(11)으로 이루어진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상부에 결합되되 내측에는 제2 공간(25)이 형성되며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회동가능한 모터(22b)와 모터 축(22a)로 이루어진 구동부재(22)가 구비되되 상기 구동부재(22)의 상부에는 상부면에 제1 끼움봉(24a)이 형성된 안착판(24)이 결합되며 일측에는 상기 제2 공간(25)과 연통되게 제1 인출공(21c)가 형성된 수납몸체(21)로 이루어진 인출부(20)와; 상기 인출부(20)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 에는 제 3공간(32)이 형성되며 내측 하부면에는 상부로 돌출 형성된 제2 끼움봉(31c)이 형성되되 일측에는 상기 제3 공간(32)과 연통되게 제2 인출공(33)가 형성되고 상부에 뚜껑(35)이 결합된 수용몸체(31)로 이루어진 수용부(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
또한, 상기 제어판(14)은 속도조절 스위치, 전원 스위치, 되감기 스위치 및 인출 스위치(14a,14b,14c,14d)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구동부재(22)는 결합판(22c)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판(22c)은 모터 축(22a)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driving
그리고, 상기 제1 끼움봉(24a)은 판 스프링(24b)을 포함하되, 상기 판 스프링(24b)은 상기 제1 끼움봉(24a)의 외측에 구비되어 외부로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휴지인출기는 사용되는 무루마리 휴지 이외에 별도의 예비 두루마리 휴지의 수납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두루마리 휴지를 교체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The automatic tissu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storing a separate spare roll tissue in addition to the roll tissue us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replace the roll tissue.
또한, 화장실뿐만 아니라 주방에 사용되는 두루마리 형식의 키친타올도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별도의 주방용 두루마리 키친타올의 케이스를 구비하지 않아도 하나의 휴지 인출기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oll type kitchen towel used in the kitchen can be used as well as the toilet so that it can be used as a single toilet paper dispenser even without a case of a separate kitchen roll kitchen towe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휴지 인출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for the automatic stop machin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휴지인출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휴지인출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휴지인출기의 두루마리 휴지 사용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휴지인출기의 두루마리 키친타올을 사용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휴지인출기의 제1 끼움봉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paus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paus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utomatic pause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the roll tissue. 5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using a roll kitchen towel of the automatic stop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fitting rod of the automatic stop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휴지인출기(100)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개방된 상부의 내측에 제1 공간(12)이 형성되되 상기 제1 공간(12)의 중심부에 링 형상의 전극 패드(13a)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부 중심측에 형성되고 일측에는 전기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전지(15a)가 삽입되는 도어(15)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전지(15a)에서 제공되는 전기신호에 의하여 두루마리 휴지(40) 및 두루마리 키친타올(50)을 자동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제어판(14)이 구비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상부와 나사결합되되 내측에 인출되고자 하는 두루마리 휴지(40)가 수용되는 제2 공간(25)이 형성되고 수용된 두루마리 휴지(40)를 회동가능하게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부재(22)가 구비된 수납몸체(21)로 이루어진 인출부(20)와, 상기 인출부(20)의 상부와 나사결합되되 여유분의 두루마리 휴지(40')가 수용되기 위한 제3 공간(32)이 형성된 수용몸체(31)로 이루어진 수용부(30)를 포함한다.First, as can be seen through Figure 2, the
따라서, 종래의 기술과는 차별적으로 사용되고자 하는 두루마리 휴지(40)가 수용되는 수납몸체(21)의 상부에 여유분의 두루마리 휴지(40')가 수용되는 수용몸체(31)가 별도로 구비되어 사용자가 사용시에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상기 수용몸체(31)를 분리하여 180°회전시켜 상기 수납몸체(21)의 상부에 결합시키면 일반적인 두루마리 휴지(40,40')보다 수직방향으로 높이를 더 갖는 두루마리 키친타올(50)의 사용이 가능한 자동 휴지인출기(10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us, the user is separately provided with a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몸체부(10)는 인출부(20)에 구비된 구동부재(22)와 제어판(14)에 전기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어판(14)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휴지의 인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일측에 제어판(14)이 결합되고 타측에 회동 가능한 도어(15)가 형성된 몸체하우징(11)으로 이루어져 있다.In more detail, the
여기서, 몸체하우징(11)은 상부에 인출부(20)가 결합되기 위하여 제1 공간(12)이 형성되되 상기 제1 공간(12)의 내측면에는 나사산(12a)이 형성되어 인출부(20)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산(21a)과 결합되게 된다.Here, the
또한, 상기 제1 공간(12)의 내측 중심부에는 상부면에 링 형상의 전극 패드(13a)가 구비되되 상부로 돌출형성된 돌출부재(13)가 형성되게 된다.In addition, the inner center of the
즉, 상기 돌출부재(13)는 몸체하우징(11)의 상부로 결합되는 인출부(20)의 내측에 구비된 구동부재(22)에 전기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전극판(23)에 전기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인출부(20)가 나사산(21a)에 의해 몸체하우징(11)의 개방된 상부와 결합시에 어느 방향으로도 상기 전극판(23)과 전극 패드(13a)가 접촉될 수 있도록 돌출 부재(13)의 상부면에 형성된 전극 패드(13a)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That is, the protruding
그리고, 몸체하우징(11)의 일측에는 전극 패드(13a)와 상기 몸체하우징(11)의 내측으로 연결되되 인출부(20)의 구동부재(22)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구동부재(22)의 속도 및 회동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어판(14)이 결합되게 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또한, 상기 제어판(14)은 전원, 속도조절, 인출 및 되감기 스위치(14a,14b,14c,14d)들을 포함하게 된다.The
여기서, 전원 스위치(14a)는 제어판(14)에 전기신호를 제공하는 스위치이고, 속도조절 스위치(14b)는 인가되는 전기신호의 저항값을 조절하여 상기 인출부(20)에 구비된 구동부재(22)의 모터(22b)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도록 회로결합되어 있으며, 인출 스위치(14c)는 상기 속도조절 스위치(14b)에 의해 정해진 구동부재(22)의 회전 속도에 의하여 상기 인출 스위치(14c)가 ON상태일 경우에만 상기 구동부재(22)가 회전되어 두루마리 휴지(40)가 인출되게 하고, 상기 되감기 스위치(14d)는 사용자가 두루마리 휴지(40)를 과하게 인출했을 경우에 ON상태로 만들어 구동부재(22)의 회전 방향을 반대로 작동시켜 인출된 두루마리 휴지(40)가 다시 인출부(20)의 내측으로 되감기 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다.Here, the
그리고, 상기 몸체하우징(11)의 타측에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전지(15a)가 인입되도록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도어(15)가 결합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전지(15a)를 상기 몸체하우징(11)의 내측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And, the other side of the
이때, 몸체하우징(11)의 하부면에는 바퀴(미도시) 또는 밀림방지패드(16)가 부착되어 구동부재(22)의 동작시에 발생되는 진동에도 바닥면에 용이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진동시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wheel (not shown) or the
상기 인출부(20)는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두루마리 휴지(40)가 인출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두루마리 휴지(40)가 수납되어 외부로 인출되는 수납몸체(21)와 상기 수납몸체(21)의 내측에 구비되는 구동부재(22) 및 상기 구동부재(22)의 상부에 결합되되 두루마리 휴지(40)가 안착되는 안착판(24)을 포함한다.The take-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납몸체(21)는 사용자가 인출하고자 하는 두루마리 휴지(40)가 수납되어 외부로 인출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되 개방된 상부의 내측면에는 나사산(21b)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수납된 두루마리 휴지(40)가 인출되기 위한 제1 인출공(21c)이 수직방향으로 천공되어 형성되며 내측 하부에는 몸체부(10)에서 인가되는 전기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재(22)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부재(22)의 상부에는 두루마리 휴지(40)가 용이하게 회전되어 상기 제1 인출공(21c)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두루마리 휴지(40)가 안착되는 안착판(24)이 결합되어 상기 수납몸체(21)의 내측에 구비되게 된다.In more detail, the
이때, 수납몸체(21)의 하부에는 몸체부(10)의 상부와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 중심측에는 상기 수납몸체(21)의 내측에 구비된 구동부재(22)와 배선으로 연결되되 상술한 전극 패드(13a)와 대응되는 부분에 한 쌍의 전극판(23)이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재(22)에 전기신호를 인가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lower portion of the
나아가, 수납몸체(21)의 외주면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몸체(21)의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제1 투시창(26)이 형성되어 수납몸체(21)의 내부에 수납된 두루마리 휴지(40)의 존재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두루마리 휴지(40)의 잔여 여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Furthermore, as shown in FIG. 4, a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22)는 수납몸체(21)의 내측 하부에 결합되되 몸체부(10)에서 인가되는 전기신호를 제공받아 회동되는 모터(22b)와 모터 축(21a)으로 구성되며 상기 모터 축(21a)의 외주면에는 안착판(24)과 결합되기 위한 결합공(22d)이 형성된 원판형상의 결합판(22c)이 형성되어 상기 안착판(24)의 하부와 결합하게 된다.In addition, the
이때, 안착판(24)에도 상기 결합판(22c)과 대응되는 결합공(22d)이 형성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At this time, it is natural that the
또한, 안착판(24)은 두루마리 휴지(40)가 수납몸체(21)의 내부에 용이하게 수납되어 구동부재(22)의 회전에 용이하게 두루마리 휴지(40)가 회전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부에는 두루마리 휴지(40)가 구동부재(22)의 진동에도 견고하게 수납몸체(21)의 내측에 수납되게 하기 위하여 제1 끼움봉(24a)이 상부로 돌출 형성되어 두루마리 휴지(40)가 끼워지게 된다.In addition, the
나아가, 상기 안착판(24)의 위치는 제1 인출공(23)을 통하여 두루마리 휴지(40)가 외부로 구김이 없이 인출되게 하게 위하여 상기 제1 인출공(21c)의 위치와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두루마리 휴지(40,40')의 내측 중심에 구비된 다양한 크기의 지름을 갖는 심지에도 용이하게 안착판(24)에 안착되게 하기 위하여 제1 끼움봉(24a)의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판 스프링(24b)을 구비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Furthermore, the position of the
나아가, 상기 안착판(24)은 구동부재(22)의 회전운동에 따라 동일하게 회동이 가능하도록 체결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Furthermore, the
상기 수용부(30)는 인출부(20)에서 사용되는 두루마리 휴지(40)가 소진되었을 시에, 다른 두루마리 휴지(40')로 교체하기 위하여 여유분이 보관되는 곳으로 사용됨과 동시에, 두루마리 키친타올(50)을 사용시에 수용부(30)의 수용몸체(31)를 180°회전시켜 상기 인출부(20)의 상부에 결합하여 두루마리 키친타올(50)이 수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측에 제3 공간(32)이 형성되되 내측 하부면에는 제2 끼움봉(31c)이 형성된 수용몸체(31)와 상기 수용몸체(31)의 상부에 결합되는 뚜껑(36)을 포함한다.The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용몸체(31)는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되는 인출부(20)의 내측에 수납된 두루마리 휴지(40)와 동일한 여유분의 두루마리 휴지(40')가 수용되어 인출부(20)의 내측에 구비된 두루마리 휴지(40)가 다 소모된 후에 교체하여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In more detail, the
이때, 상기 수용몸체(31)의 일측에는 수납몸체(21)에 형성된 제1 인출공(23)과 같은 형상의 제2 인출공(33)이 형성되는데, 이것은 두루마리 키친타올(50)을 사용시에는 상대적으로 두루마리 휴지(40,40')의 수직길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두루마리 키친타올(50)을 용이하게 외부로 인출시키기 위하여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one side of the
또한, 상기 수용몸체(31)의 외주면에도 제2 투시창(34)이 구비되어 육안으로 여유분의 두루마리 휴지(40')의 존재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하며 상기 수용몸체(31)의 내측 하부면에는 상부로 돌출 형성된 제2 끼움봉(31c)이 형성되어 있어 여유분으로 수납된 두루마리 휴지(40')가 용이하게 상기 수용몸체(31)의 내측에 견고하게 수용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
그리고, 상기 뚜껑(36)은 수용몸체(31)의 내측에 수용된 여유분의 두루마리 휴지(40')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화장실이나 세면장에서 사용시에 외부로부터 인입될 수 있는 습기를 차단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In addition, the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자동 휴지인출기의 작용관계를 도면과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automatic stop machine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s follows.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휴지인출기의 두루마리 휴지 사용시에 작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휴지인출기의 두루마리 키친타올을 사용시에 작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working relationship when using the roll of the automatic pape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working relationship when using a roll kitchen towel of the automatic pape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하부가 지면에 지지되도록 밀림방지패드(16)가 구비된 몸체하우징(11)을 바닥면에 지지시키고 개방된 상부의 제1 공간(12)의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12a)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고자 하는 두루마리 휴지(40)가 수납되어 있는 수납몸체(21)를 상기 수납몸체(21)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산(21a)과 결합하여 몸체하우징(11)의 상부에 수납몸체(21)를 고정하게 된다.First, the
이때, 몸체하우징(11)의 상부 중심부에 형성된 전극 패드(13a)와 수납몸체(21)의 하부 중심부에 구비된 전극판(23)이 서로 맞닿게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allow the
그리고, 사용하고자 하는 두루마리 휴지(40)를 상부가 개방되되 내측에 제2 공간(25)이 형성된 수납몸체(21)의 내측에 구비된 안착판(24)의 제1 끼움봉(24a)에 암수형태로 결합하여 끼워넣고 두루마리 휴지(40)의 끝단의 일부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인출공(21c)을 통하여 외부로 소정길이로 인출시켜 놓게 된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그 후, 상기 수납몸체(21)의 개방된 상부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21b)과 수용몸체(31)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산(31a)을 결합하여 고정하고 여유분의 두루마리 휴지(40')을 상기 수용몸체(31)의 내측에 형성된 제3 공간(32)을 통하여 수용하고 제2 끼움봉(31c)에 암수형태로 결합한 후, 상기 수용몸체(31)의 상부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31b)과 뚜껑(35)의 하부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35a)으로 결합하면 바람직한 자동 휴지인출기(100)의 조립이 이루어지고 몸체하우징(11)의 일측에 형성된 도어(15)를 통하여 전지(15a)를 결합하고 제어판(14)의 스위치들(14a,14b,14c,14d)을 통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두루마리 휴지(40)를 인출 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Thereafter, th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수용몸체(31)를 분해하고 180°회전시켜 상기 수용몸체(31)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31b)과 수납몸체(21)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21b)을 서로 결합하면 수납몸체(21)의 내측에 형성된 제2 공간(25)과 수용몸체(31)의 내측에 형성된 제3 공간(32)이 서로 하나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두루마리 키친타올(50)이 수용될 수 있는 높이의 공간이 이루어지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이때, 상기 뚜껑(35)을 수용몸체(31)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산(31a)과 결합하게 되면 내측에 수납공간(36)이 형성되게 되어 간단한 물품의 수납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However,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who have it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y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limite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은 종래의 두루마리 휴지 케이스를 보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croll tissue cas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휴지인출기를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stop machin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휴지인출기를 보인 분해 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utomatic stop machin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휴지인출기의 두루마리 휴지 사용시의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at the time of use of the roll of the automatic pape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휴지인출기의 두루마리 키친타올을 사용시의 단면도.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when using a roll kitchen towel of the automatic stop machin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휴지인출기의 제1 끼움봉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irst fitting rod of the automatic stop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휴지인출기의 두루마리 휴지 사용시에 작용관계를 보인 단면도.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working relationship when using the roll of the automatic paper dispen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휴지인출기의 두루마리 키친타올을 사용시에 작용관계를 보인 단면도. 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working relationship when using the roll kitchen towel of the automatic stop machine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몸체부 11: 몸체하우징10: body part 11: body housing
12: 제1 공간 13: 돌출부재12: first space 13: protrusion member
14: 제어판 15: 도어14: control panel 15: door
20: 인출부 21: 수납몸체20: withdrawal part 21: storage body
22: 구동부재 23: 전극판22: drive member 23: electrode plate
24: 안착판 25: 제2 공간24: seating plate 25: the second space
30: 수용부 31: 수용몸체30: accommodating part 31: accommodating body
32: 제3 공간 33: 제2 인출공32: third space 33: second drawer
40, 40': 두루마리 휴지 50: 두루마리 키친타올40, 40 ': Roll tissue paper 50: Roll kitchen towel
100: 자동 휴지인출기100: Automatic Tissue Dispenser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0222A KR101101136B1 (en) | 2009-11-16 | 2009-11-16 | Automatic Tissue Dispens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0222A KR101101136B1 (en) | 2009-11-16 | 2009-11-16 | Automatic Tissue Dispens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3620A KR20110053620A (en) | 2011-05-24 |
KR101101136B1 true KR101101136B1 (en) | 2012-01-05 |
Family
ID=4436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0222A Expired - Fee Related KR101101136B1 (en) | 2009-11-16 | 2009-11-16 | Automatic Tissue Dispens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0113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4853B1 (en) | 2018-10-22 | 2020-03-30 | 주식회사 지아이엘 | Container dispenser |
KR20240067557A (en) | 2022-11-09 | 2024-05-17 |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Non-contact automatic tissue feede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0259Y1 (en) | 2000-09-29 | 2001-04-16 | 김현진 | Apparatus for Auto-dispensing Tissue from Toilet Roll |
KR20020020259A (en) * | 2000-09-08 | 2002-03-14 | 다우 코닝 도레이 실리콘 캄파니 리미티드 | Water base coating material composition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
KR100755172B1 (en) | 2006-11-22 | 2007-09-04 | 김경은 | Tissue hanger |
JP2009039226A (en) | 2007-08-07 | 2009-02-26 | Kaco Technos Co Ltd | Automatic toilet paper dispenser |
-
2009
- 2009-11-16 KR KR1020090110222A patent/KR10110113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20259A (en) * | 2000-09-08 | 2002-03-14 | 다우 코닝 도레이 실리콘 캄파니 리미티드 | Water base coating material composition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
KR200220259Y1 (en) | 2000-09-29 | 2001-04-16 | 김현진 | Apparatus for Auto-dispensing Tissue from Toilet Roll |
KR100755172B1 (en) | 2006-11-22 | 2007-09-04 | 김경은 | Tissue hanger |
JP2009039226A (en) | 2007-08-07 | 2009-02-26 | Kaco Technos Co Ltd | Automatic toilet paper dispenser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94853B1 (en) | 2018-10-22 | 2020-03-30 | 주식회사 지아이엘 | Container dispenser |
KR20240067557A (en) | 2022-11-09 | 2024-05-17 |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 Non-contact automatic tissue feed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53620A (en) | 2011-05-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87818A (en) |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multiple rolls of tissue and dispensing tissue therefrom | |
US7101441B2 (en) | Toilet paper dispenser | |
US4765555A (en) | Roll paper dispenser | |
US7527215B1 (en) | Automatic tissue dispenser apparatus | |
US20120248136A1 (en) | Combination Toilet Paper Dispenser, Disinfecting Station, and Deodorizing Station | |
MXPA05001177A (en) | Three roll tissue dispenser. | |
US20100114366A1 (en) | Dispensers providing controlled dispensing and controlled dispensing methods | |
US20110068129A1 (en) | Sheet roll dispenser | |
US8177156B1 (en) | Sheet roll dispenser | |
US20090256022A1 (en) | Sheet roll dispenser | |
KR101101136B1 (en) | Automatic Tissue Dispenser | |
WO2012027346A2 (en) | Sheet product dispensing unit and a cartridge therefore | |
KR20220086675A (en) | automatic drop dispenser | |
WO2002074148A1 (en) | Dual toilet roll dispenser | |
US20070290092A1 (en) | Toilet tissue holder and dispenser | |
US20070080256A1 (en) | Decorative cover for dispensing and at least partially concealing a roll of a flexible sheet material | |
WO2009050699A1 (en) | Rolled paper dispenser | |
KR20160071214A (en) | Apparatus for Auto-dispensing Tissue from Toilet Roll) | |
KR100910351B1 (en) | Toothpaste Auto Feeder | |
US20030230666A1 (en) | Easy-change jumbo roll holder | |
KR102605112B1 (en) | Automatic refill hanger of toilet roll | |
KR200354976Y1 (en) | A case use for roll of toilet paper | |
CN215738652U (en) | Double-cylinder paper towel machine | |
CN204481269U (en) | For refrigerator winder and there is its refrigerator | |
CN215974431U (en) | Paper roll draw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2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1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8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90916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0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006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