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00376B1 - 복수의 광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광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0376B1
KR101100376B1 KR1020090111827A KR20090111827A KR101100376B1 KR 101100376 B1 KR101100376 B1 KR 101100376B1 KR 1020090111827 A KR1020090111827 A KR 1020090111827A KR 20090111827 A KR20090111827 A KR 20090111827A KR 101100376 B1 KR101100376 B1 KR 101100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power
light sources
power supply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4988A (ko
Inventor
김광복
반태현
김회근
Original Assignee
금호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1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0376B1/ko
Publication of KR20110054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9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37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8Arrangement or mounting of circuit el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21Y2105/10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 F21Y2105/14Planar light sources comprising a two-dimensional array of point-like light-gener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overall shape of the two-dimensional arra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광원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FPCB가 부착된 복수의 광원 어레이를 슬롯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광원들, 상기 광원들을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지지 부재, 상기 광원들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광원으로 전원을 전달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으로 구성된 복수의 전원전달부재들, 상기 전원전달부재들을 결합하며, 결합된 상기 전원전달부재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슬롯들 및 상기 복수의 슬롯들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를 제안한다.
FPCB, OLED 광원, LED 광원, 면광원, 슬롯, 전원공급부재, 전원전달부재, 어레이

Description

복수의 광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Apparatus for power supply to multiple lighting}
본 발명은 복수의 광원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FPCB가 부착된 복수의 광원 어레이를 슬롯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장치는 실내 및 실외의 일정위치에 설치되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전기를 빛으로 변환하는 장치를 말한다. 조명장치는 조명등과 조명등에서 빛을 발생할 수 있도록 전원 등의 공급을 제어하는 조명제어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현재의 조명장치는 단순히 빛을 밝히는 조명 이외에 상품의 전시, 무대의 효과 등을 높일 수 있는 특수 조명 기능들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조명등의 색상도 단색으로 일정한 밝기를 가진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색상의 조명들이 출시되고 있다.
현재 조명장치는 조명장치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있다. 백열등은 소켓 형태의 전원 공급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형광등은 조명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돌출된 전극을 전원 공급부의 전극에 삽입하는 형태의 전원 공 급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백열등 및 형광등의 경우, 사용자가 백열등이나 형광등의 교체를 위해 전원공급장치로부터 백열등이나 형광등을 탈착하는데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방식으로 본딩(bonding)을 이용한 전원 공급 방식과 유도 전류를 이용한 전원 공급 방식이 있다. 본딩 방식을 이용한 전원 공급 방식은 공개 번호 JP2006324100A(조명장치)와 공개 번호 JP2007294137A(조명장치)에서 공지하고 있으며, 유도전류를 이용한 전원 공급 방식은 공개번호 KR20090042806A(조명 시스템)에 공지되어 있다.
하지만, 현재 다양한 형태의 조명장치가 개발 중에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조명장치에 적합한 전원 공급 방식의 개발이 필요하게 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개발되는 다양한 조명 형태에 따라 적합한 전원 공급 방식을 제안하며, 조명장치를 사용자의 어려움없이 간편하게 전원공급장치로부터 탈부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복수의 조명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광원; 상기 광원과 연결되며, 상기 광원으로 전원을 전달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으로 구성된 전원전달부재; 상기 전원전달부재를 결합하며, 결합된 상기 전원전달부재로 전원을 공급하는 슬롯을 구비하고 있는 전원공급부재;를 포함하는 전원공급장치를 제안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복수의 광원들; 상기 광원들을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지지 부재; 상기 광원들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광원으로 전원을 전달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으로 구성된 복수의 전원전달부재들; 상기 전원전달부재들을 결합하며, 결합된 상기 전원전달부재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슬롯들 및 상기 복수의 슬롯들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전원공급장치를 제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FPCB 재질의 전원전달부재를 이용하여 광원으로 전원을 전달함으로써, 복수의 광원들을 배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FPCB 재질의 전원전달부재는 슬롯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음으로써, 전원전달부재는 슬롯으로부터 탈착이나 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현재 부착되어 있는 슬롯이 고장난 경우 인접한 슬롯에 전원전달부재를 부착함으로써 언제든지 원활하게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롯을 이용하여 광원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편리하게 광원의 온/오프를 수행할 수 있게 되며, 복수의 광원들 중 일부 광원에만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그리고 추가적인 본 발명의 양상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 예를 통해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광원과 다수의 광원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다수의 광원과 지지부재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도 1은 복수의 광원들(110-1 내지 110-8)을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의하면, 광원(110-1 내지 110-8)은 사각형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원(110-1 내지 110-8)의 형태는 사각형 이외에 일자 형태의 광원, 사각형 이외의 다각형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광원(110-1 내지 110-8)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00)의 모양 역시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사각형 이외에 다른 다각형 형태로 지지부재(100)를 구성할 수 있다.
복수의 광원들(110-1 내지 110-8)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거나, 서로 상이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제1광원은 사각형 형태로 구성되고, 제2광원은 오각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광원들(110-1 내지 110-8)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광원(110-1 내지 110-8)은 지지부재(100)에 지지하기 위한 광원의 적어도 일면에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지지부재(100) 역시 광원(110-1 내지 110-8)을 지지하기 위해 광원(110-1 내지 110-8)의 결합부재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부재를 포 함하고 있다. 광원(110-1 내지 110-8)과 지지부재(100)는 결합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일예로 광원(110-1 내지 110-8)과 지지부재(100)는 자석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광원들(110-1 내지 110-8)과 지지부재(100)는 하나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부가하여, 광원(110-1 내지 110-8)은 지지부재(100)에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재(100)는 각 광원(110-1 내지 110-8)을 결합하기 위해, 각 광원(110-1 내지 110-8)이 결합되는 영역에 결합 홈을 구성할 수 있다. 즉, 광원(110-1 내지 110-8)이 사각 형태의 광원인 경우, 광원의 네 가장자리 중 서로 대향되는 두 개의 가장자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지지부재(100)에 결합 홈을 구성한다. 광원(110-1 내지 110-8)은 지지부재(100)의 결합 홈(
Figure 112009070978510-pat00001
)에 슬라이딩 형태로 부착되거나, 탈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100)는 광원을 결합하기 위해 회전 부재를 구성할 수 있다. 회전 부재를 상술한 결합 홈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결합 홈은 끝단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끝단을 기준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전이 가능한 결합 홈은 90도의 각도로 회전시킨 후, 광원(110-1 내지 110-8)을 하방에서 상방으로 결합한다. 이후 회전 부재를 원래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광원(110-1 내지 110-8)이 고정된다.
상술한 방법 이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광원을 지지부재에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광원과 광원으로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전달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의하면, 광원(110)으로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전달부재(200)는 인쇄회로기판(PCB(printed circuit board), 이하 PCB라 한다.)을 포함한다.
특히 PCB는 전원 전달을 원활히 하기 위해 연성인쇄회로기판(FPCB(flexible PCB), 이하 FPCB라 한다.)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FPCB는 전자제품이 소형화 및 경량화가 되면서 개발된 전자부품으로 작업성이 뛰어나고, 내열성 및 내곡성 내약품성이 강하며, 열에 강하므로, 모든 전자제품의 핵심부품으로서 카메라, 컴퓨터 및 주변기기, 휴대 단말, 비디오 및 오디오 기기, 프린터, 캠코더, TFT LCD, 위성장비, 군사장비, 의료장비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FPCB는 단독으로 3차원 배선이 가능하며, 기기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다. 또한, FPCB는 반복굴곡에의 높은 내구성 고밀도 배선이 가능하며, 배선의 오류가 없고 조립이 양호하며 신뢰성이 높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즉, 움직이는 부분이 있을 때 기존의 케이블은 굴곡성이 약해 여러 번 움직이면 케이블이 끊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FPCB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FPCB는 구조에 따라 단면구조, 양면구조, 멀티구조로 구분된다. 단면구조는 가장 기본적인 구조로 커넥터를 연결하는 케이블과 전자제품의 서브 보드(sub board)에 사용된다. 양면구조는 베이스 필름의 양쪽에 동박이 형성되는 타입으로 전자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로 인해 제한된 면적에 패턴(pattern)의 수를 요구 수 만큼 배열시키지 못할 경우 사용한다. 멀티구조는 간단한 기능의 풀더형 핸드폰에서 현재의 고 기능화된 핸드폰의 시장요구에 부응하여 개발된 4레이어(Layer) 이상의 구조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FPCB의 장점을 이용하여 광원(110)으로 전원을 전달하기 위한 전원전달부재(200)로 사용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도 2에 의하면, 광원(110)은 FPCB로 구성된 하나의 전원전달부재(200)를 가지고 있으나, 제작 공정에 따라 광원(110)은 적어도 두 개의 FPCB로 구성된 전원전달부재(200)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에서 전원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FPCB를 이용하여 광원으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종래 소켓 형태의 전원 공급 방식에 비해 광원을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굴곡성을 갖는 FPCB의 특성으로 인해 원활하게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FPCB로 구성된 전원전달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3을 이용하여 전원전달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전원공급부재의 구성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3에 의하면, 전원공급부재(300)는 복수의 광원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20)와 전원전달부재를 결합하기 위한 슬롯(310)을 포함하고 있다. 슬롯(310)의 개수는 광원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최소한 광원의 개수와 동일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전달부재(200)는 슬롯(310)에 탈착하거나 부착함으로써, 광원으로 전원을 전달할 수 있다. 전원전달부재(200)의 탈착 및 부착은 슬롯(310)에 전원전달부 재(200)를 삽입하거나, 분리함으로써 수행된다. 이러한 삽입 또는 분리는 기존의 전원연결방식에 비해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원전달부재(200)는 현재 결합되어 있는 슬롯(310)으로부터 원활하게 전원을 공급받지 못한 경우, 인접한 다른 슬롯을 이용하여 전원을 제공받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제어부(320)는 광원으로 제공하는 전원을 제어한다. 일예로, 제어부(320)는 사용자의 스위치나 기타 조작에 따라 광원으로 제공하는 전원을 제어한다. 또는 제어부(320)는 제1시각에서 제2시각동안 전원을 공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1시각이 되면 자동으로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며, 제2시각이 되면 자동으로 공급하는 전원을 차단한다.
또한, 제어부(320)는 복수개의 광원 중 일부 광원에만 전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320)는 제1 광원은 제1시각에서 제2시각동안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제2 광원은 제3시각에서 제4시각동안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며, 제3광원은 제2시각에서 제3시각에서 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 부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부(320)는 슬롯(310)에 결합되는 전원전달부재(200)들로 공급되는 전원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원전달부재(200)는 슬롯(310)에 밀어넣는 형태로 결합되거나, 당기는 형태로 분리된다. 사용자는 전원공급을 중단하고자 하는 광원과 연결된 전원전달부재(200)를 슬롯(310)으로 당기는 형태로 간단히 전원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전원공급을 재개하고자 하는 광원과 연결된 전원전달부재(200)를 슬롯(310)에 밀어넣는 형태로 간단히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롯들(310)이 어레이 형태로 구성된 경우, 어레이 단위로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공급부재(300)는 어레이단위로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일예로 전원공급부재(300)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슬롯들과 제1스위치를 결합시키며, 전원공급부재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슬롯들과 제2스위치를 결합시킨다.
사용자는 제1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원공급부재(300)의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슬롯들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슬롯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광원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제2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원공급부재(300)의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슬롯들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슬롯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광원을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제 1스위치 또는 제 2스위치는 제어부(320)를 이용하여 제어 가능하며,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제어 가능하다.
또한, 전원공급부재(300)는 다양한 형태로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구성된 스위치를 이용하여 광원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각 슬롯 단위로 스위치를 구성하거나, 일정한 간격 단위에 위치하고 있는 슬롯들별로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320)는 스위치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슬롯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320)는 다양한 방식으로 복수의 광원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지지부재에 지지되는 광원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지지부재에 지지되는 광원은 LED 조명 또는 OLED 조명 또는 LED 조명과 OLED 조명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조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조명이외에 다른 조명들도 광원에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광원은 면광원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면광원 형태의 광원을 배치하는 경우, 광원의 대면적화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광원으로 전원을 전달하는 전원전달부재, 전원전달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슬롯들을 포함하고 있는 전원공급부재를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도 3과 달리 두 개의 전원공급부재를 이용하여 복수의 광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일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의하면, 복수의 광원(110-1 내지 110-8)은 어레이 형태인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광원들(110-1 내지 110-4)과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광원들(110-15 내지 110-8)로 구성된다.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광원들(110-1 내지 110-4)은 제1전원공급부재(300-1)와 연결되며,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광원들(110-5 내지 110-8)은 제2전원공급부재(300-2)와 연결된다.
제1전원공급부재(300-1)에 포함되는 제1 제어부(320-1)는 복수의 광원들(110-1 내지 110-8) 중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광원들(110-1 내지 110-4)의 동작을 제어하며, 제2전원공급부재(300-2)에 포함되는 제2 제어부(320-2)는 복수의 광원들(110-1 내지 110-8) 중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광원들(110-5 내지 110-8)의 동 작을 제어한다.
즉, 복수의 광원들 중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 광원들(110-1 내지 110-4)과 하단에 위치하고 있는 광원들(110-5 내지 110-8)은 도 3(하나의 제어부를 이용하여 복수의 광원 제어)과 다르게 두 개의 제어부들(320-1, 320-2)을 이용하여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제어부(320-1)는 제1시간동안 상단의 광원들이 온되도록 제어하며, 제2 제어부(320-2)는 제2시간동안 하단의 광원들이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광원들(110-1 내지 110-8)을 그룹화하고, 각 그룹별로 고유한 제어부에서 제어함으로서 광원들의 제어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렇게 두 개의 제어부를 이용하여 광원을 제어함으로써, 제어부의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물론 도 3과 같이 하나의 제어부를 이용하여 복수의 광원들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OLED 조명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OLED 조명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5를 이용하여 OLED 조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기로 한다.
기판(500)은 일반적으로 글래스(glass)를 사용하며, 기판(500)과 접촉하는 전극은 통상적으로 하부 전극이라 지칭된다. 하부 전극은 일반적으로 애노드(502)를 의미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기판(500)은 광 방출 방향에 따라 광 투과성이거나 불투명성일 수 있다.
애노드(502)는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를 포함 하는 투명 전도성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EL 방출을 애노드를 통해 보는 경우, 애노드(502)는 실질적으로 투명해야 한다. 물론 EL 방출을 캐소드를 통해 보는 경우 애노드의 투명도는 중요하지 않으므로, 투명 또는 불투명 또는 반사성을 가지는 임의의 전도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발광영역(504)은 애노드의 상부에 배치된다. 발광영역(504)은 전자 수송 구역, 발광층, 정공수송 영역을 포함한다. 발광영역(504)은 전압을 가하면 유기물이 빛을 발하는 특성을 이용하며, 유기물에 따라 R, G, B를 어느 하나를 발광하게 된다.
캐소드(506)는 발광영역의 상부에 위치하며, 알루미늄이나 플루오린화리튬(LiF), 구리, 은을 포함하는 금속물질 또는 이들의 합금을 이용하여 적층한다. 또는 캐소드(506)는 일반적으로 캐소드는 (-) 전원을 공급한다.
밀봉부(508)는 하부에 적층된 물질들을 수분과 공기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하부에 적층된 물질들을 밀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는 OLED 광원의 구조에 대해 도시하였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광원은 OLED 광원 이외에 다른 광원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광원들과 광원들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원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FPCB 재질로 구성된 전원전달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슬롯들과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는 전원공급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일실시 예에 따른 복수의 광원들과 지지부재, 복수의 슬롯을 포함하고 있는 전원공급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OLED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지지부재 110: 광원
200: 전원전달부재 300: 전원공급부재
310: 슬롯 320: 제어부

Claims (6)

  1. 글래스를 기판으로 사용하는 광원;
    상기 광원의 재질과 상이하며, 상기 광원과 연결되며, 상기 광원으로 전원을 전달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으로 구성된 전원전달부재;
    상기 전원전달부재를 결합하며, 결합된 상기 전원전달부재로 전원을 공급하는 슬롯을 구비하고 있는 전원공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단면구조, 베이스 필름의 양면에 동박이 형성된 양면구조, 4레이어 이상의 구조를 갖는 멀티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재는,
    상기 슬롯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OLED 광원 또는 LED 광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은 면광원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4. 글래스를 기판으로 사용하는 복수의 광원들;
    상기 광원들을 결합하여 고정시키는 지지 부재;
    상기 광원의 재질과 상이하며, 상기 광원들과 각각 연결되며, 상기 광원으로 전원을 전달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FPCB)으로 구성된 복수의 전원전달부재들;
    상기 전원전달부재들을 결합하며, 결합된 상기 전원전달부재들로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슬롯들 및 상기 복수의 슬롯들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은 단면구조, 베이스 필름의 양면에 동박이 형성된 양면구조, 4레이어 이상의 구조를 갖는 멀티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들은 OLED 광원 또는 LED 광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광원을 포함하며, 상기 광원은 면광원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들은 어레이 형태로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원들로 공급되는 전원을 어레이 단위로 또는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공급장치.
KR1020090111827A 2009-11-19 2009-11-19 복수의 광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100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827A KR101100376B1 (ko) 2009-11-19 2009-11-19 복수의 광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827A KR101100376B1 (ko) 2009-11-19 2009-11-19 복수의 광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988A KR20110054988A (ko) 2011-05-25
KR101100376B1 true KR101100376B1 (ko) 2011-12-30

Family

ID=44364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827A Expired - Fee Related KR101100376B1 (ko) 2009-11-19 2009-11-19 복수의 광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03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059B1 (ko) * 2013-09-12 2015-04-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Led 탈부착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7605A (ja) 1998-11-30 2000-08-15 Optrex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4031341A (ja) * 2002-05-28 2004-01-29 Eastman Kodak Co Oledエリア照明装置
KR100908482B1 (ko) 2009-01-06 2009-07-24 이재용 절전제어형 등기구 및 등기구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7605A (ja) 1998-11-30 2000-08-15 Optrex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4031341A (ja) * 2002-05-28 2004-01-29 Eastman Kodak Co Oledエリア照明装置
KR100908482B1 (ko) 2009-01-06 2009-07-24 이재용 절전제어형 등기구 및 등기구 관리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059B1 (ko) * 2013-09-12 2015-04-17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Led 탈부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988A (ko) 2011-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6071B2 (ja) 有機発光装置
US20150276189A1 (en) Led lighting structure
TW201024867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6193217B2 (ja) 有機elモジュール、並びに、有機elモジュールの給電構造
US7348738B2 (en) OLED area illumination source
US20100254117A1 (en)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LED and flexible electrical wiring covered and plastic material
US20100117559A1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WO2010116301A1 (en) Oled luminary with improved mounting means
KR101100376B1 (ko) 복수의 광원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US11959619B2 (en) Lamp or luminaire comprising a LED module
KR20240167423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20082A (ko) 조명 장치
TWI409764B (zh) 發光模組
JP6058143B2 (ja) Oled照明モジュール
WO2015175794A1 (en) Led lighting structure
KR101685390B1 (ko) 슬림형 led모듈 및 그 슬림형 led모듈을 이용한 led 전광판
JP5771771B2 (ja) 照明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WO2012169854A2 (ko) 유기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장치
KR101500813B1 (ko) 엘이디 모듈
US9853239B2 (en) Surface light-emitting unit
JP2014086196A (ja) 照明装置
JP5785997B2 (ja) 有機発光装置
JP6217156B2 (ja) 内照式照明装置
US8770790B2 (en) Continuous arrangement of light cells into a multi-dimensional light source
JP2015028853A (ja) 照明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14-X000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1712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1223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