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100209B1 - 다수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0209B1
KR101100209B1 KR1020050130570A KR20050130570A KR101100209B1 KR 101100209 B1 KR101100209 B1 KR 101100209B1 KR 1020050130570 A KR1020050130570 A KR 1020050130570A KR 20050130570 A KR20050130570 A KR 20050130570A KR 101100209 B1 KR101100209 B1 KR 101100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rix
data symbols
precoding
dft
dat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0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8676A (ko
Inventor
권영현
한승희
노민석
윤영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0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0209B1/ko
Priority to TW095149357A priority patent/TWI405429B/zh
Priority to PCT/KR2006/005764 priority patent/WO2007075044A2/en
Priority to EP06824206.4A priority patent/EP1969744B1/en
Priority to US12/159,079 priority patent/US8401095B2/en
Publication of KR200700686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6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20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04L27/2634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 H04L27/2636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IFFT] or 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 [IDFT] modulators in combination with other circuits for modulation with FFT or DFT modulators, e.g. standard single-carrier frequency-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transmitter or DFT sprea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DFT-SOFD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14Peak power aspects
    • H04L27/2615Reduction thereof using co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 Transmitter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 이라 칭함) 방식 기반의 통신 시스템에서 PAPR을 고려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행렬을 이용하여 데이터 심볼을 확산하여 OFDM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심볼들을 시간 영역에서 데이터 처리하여 출력 심볼을 생성하되, 상기 데이터 심볼들에 특정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데이터 심볼들을 서로 합산하여 출력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심볼에 대하여 OFDM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여 OFDM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OFDM, PAPR, 시간 영역, 사전 부호화, 확산, DFT

Description

다수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ing a plurality of carriers}
도 1은 종래 SC-FDMA 방식의 송신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간 영역에서 사전 부호화를 수행하는 송신기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송신기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전 부호화를 수행하는 경우에 PAPR이 개선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전 부호화를 수행하는 경우에 PAPR이 개선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또 다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 이라 칭함) 방식 기반의 통신 시스템에서 PAPR을 고려하여 데이터를 송 수신하는 방법 및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속의 데이터 전송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으며, 이러한 고속 전송에 유리한 방식으로는 OFDM이 적합하여 최근 여러 고속 통신 시스템의 전송 방식으로 채택되었다. 이하, OFDM을 설명한다. OFDM의 기본원리는 고속 전송률(high-rate)을 갖는 데이터 열(data stream)을 낮은 전송률(slow-rate)을 갖는 많은 수의 데이터 열로 나누고, 이들을 다수의 반송파를 사용하여 동시에 전송하는 것이다. 상기 다수의 반송파 각각을 부 반송파(subcarrier)라 한다. 상기 OFDM의 다수의 반송파 사이에 직교성(orthogonality)이 존재하기 때문에, 반송파의 주파수 성분은 상호 중첩되어도 수신 단에서의 검출이 가능하다. 상기 고속 전송률을 갖는 데이터 열은, 직/병렬 변환부(Serial to Parallel converter)를 통해 다수의 낮은 전송률의 데이터 열(data stream)로 변환되고, 상기 병렬로 변환된 다수의 데이터 열에 각각의 부 반송파가 곱해진 후 각각의 데이터 열이 합해져서 수신 단으로 전송된다.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는 이러한 OFDM 방식에서 전체 대역을 다중 사용자가 요구하는 전송률에 따라 부반송파를 할당해 주는 다중 접속(multiple access) 방법이다.
OFDM 방식의 통신 기법은 주파수 선택적(frequency-selective) 감쇄(fading)현상을 보이는 채널에 대해서 주파수 영역에서 신호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채널을 단순히 평탄 감쇄(flat-fading)로 변환하여 신호처리를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기법이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서 많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되고 있는데,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문제는 PAPR(Peak to Average Power Ratio)문제이다. PAPR이 크면 클수록 출력단의 증폭기(power amplifier)의 선형 구간이 커야 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선형 구간이 큰 증폭기는 가격이 고가이지만, 유/무선 통신에서 단말의 제조 비용을 낮추기 위해서는 값싼 파워앰프를 사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출력 범위가 좁아져 OFDM신호의 왜곡으로 이어지게 된다.
종래에 PAPR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었는바, 종래의 방법은 OFDM시스템의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PAPR 감소기법(selective mapping, partial transmit sequence, cliping & filtering등) 및 OFDM 시스템의 성능을 약간 저하시키나 신호 자체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신호 생성 기법(Single Carrier-FDMA, offset DFT-Spreading-OFDM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OFDM 시스템의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PAPR개선 방법은 부가정보를 보내야 하는 문제로 통신 용량(capacity)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신호 생성 기법을 바꾸는 방법은 데이터의 복호율이 낮아짐으로써 성능이 나빠진다.
이하 종래의 SC-FDMA(Single Carrier-FDMA) 기법을 설명한다. 종래의 SC-FDMA 기법은 상향링크에 주로 적용되는 기법으로 OFDM신호를 생성하기 전에 주파수 영역에서 먼저 DFT 행렬로 분산(spreading)을 먼저 적용한 다음 그 결과를 종래의 OFDM방식으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기법이다. 도 1은 종래 SC-FDMA 방식의 송신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몇 가지 변수를 정의한다. N은 OFDM 신호를 전송하는 부 반송파의 개수를 나타내고, Nb는 임의의 사용자를 위해 사용되는 부 반송파의 개수를 나타내고, F는 이산 푸리에 변환 행렬, 즉 DFT 행렬을 나타내고, s는 데이터 심볼 벡터를 나타내고, x는 주파수 영 역에서 데이터가 분산된 벡터를 나타내고, y는 시간영역에서 전송되는 OFDM 심볼 벡터를 나타낸다.
SC-FDMA에서는 데이터 심볼(s)을 전송하기 전에 DFT 행렬을 이용해서 분산시킨다. 이는 다음 수식으로 표현된다.
Figure 112005076727154-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Figure 112005076727154-pat00002
는, 데이터 심볼(s)을 분산시키기 위해서 사용된 Nb 크기의 DFT 행렬이다. 이렇게 분산된 벡터(x)에 대하여 일정한 부 반송파 할당 기법에 의해 부 반송파 매핑(subcarrier mapping)이 수행되고, IDFT 모듈에 의해 시간영역으로 변환되어 수신 측으로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가 얻어진다. 상기 수신 측으로 전송되는 전송신호는 아래 식과 같다.
Figure 112005076727154-pat00003
상기 수학식 2에서
Figure 112005076727154-pat00004
는 주파수 영역의 신호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사용되는 크기 N의 DFT 행렬이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생성된 신호 y는, 순환 전치(cyclic prefix)가 삽입되어 전송된다.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전송 신호를 생성하여 수신 측으로 전송하는 방법을 SC-FDMA 방법이라 한다.
상술한 SC-FDMA를 개선한 형태가 offset DFT spreading OFDM이다. 상기 offset DFT spreading OFDM은 성상 매핑(constellation mapping)이 수행된 데이터 심볼을 실수와 허수, 즉 inphase 성분과 quadrature 성분으로 분리하여 DFT 확산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실수 성분과 허수 성분은 각각 크기가 Nb이므로, 상기 실수 성분과 허수 성분을 2Nb 크기의 DFT 행렬을 이용하여 분산시킨다. 상기 DFT 행렬에 의해 분산된 출력중 Nb 크기 만큼의 출력은 버려지며, 나머지 Nb 크기의 출력은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되어 수신 측으로 전송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PAPR 개선 효과가 증대된 OFDM 신호의 송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송수신 방법은,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행렬을 이용하여 데이터 심볼을 확산하여 OFDM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심볼들을 시간 영역에서 데이터 처리하여 출력 심볼을 생성하되, 상기 데이터 심볼들에 특정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데이터 심볼들을 서로 합산하여 출력 심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심볼에 대하여 OFDM 데이터 처리를 수행하여 OFDM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통신 장치는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 행렬을 이용하여 데이터 심볼을 확산하여 OFDM 신호를 전송하는 송신기에 있어서, 데이 터 심볼들을 시간 영역에서 처리하되, 상기 데이터 심볼들에 특정한 가중치를 부여하고 상기 가중치가 부여된 데이터 심볼들을 서로 합산하여 출력 심볼을 생성하는 사전 부호화 모듈; 및 상기 출력 심볼을 서로 직교하는 다수의 부 반송파를 이용하여 수신기로 전송하는 OFDM 전송 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본 발명은 기존의 주파수 영역에서의 분산(spreading)기법이 가지는 PAPR감소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심볼에 대하여 시간영역에서의 분산(spreading) 혹은 사전 부호화(precoding)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신호 벡터를 먼저 사전 부호화 행렬을 통해서 변형을 시키고 이를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시키고 OFDM 신호 생성과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시간 영역에서 사전 부호화를 수행하는 송신기의 구조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 심볼들은 상기 송신기를 통해 전송되는바, 상기 송신기는, 직렬로 들어오는 입력 시퀀스를 병렬로 출력해주는 직/병렬 변환부(210)와, 병렬로 변환된 데이터 심볼 벡터에 대해서 시간영역에서 분산 및 부호화를 수행하는 사전 부호화(precoding) 모듈(220)과, Nb 크기의 DFT 행렬을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을 수행하는 DFT 분산(DFT Spreading) 모듈(230)과, 분산된 데이터 벡터를 특정한 부 반송파에 할당하는 부 반송파 매핑(subcarrier mapping) 모듈(240)과, 주파수 영역의 데이터 신호를 시간 영역의 신호로 변환하는 역 푸리에 변환(IDFT) 블록(250)과, 병렬로 들어오는 신호를 직렬로 출력해주는 병/직렬 변환 모듈(260)과 OFDM 심볼간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보호구간을 삽입하는 순환 전치(cyclic prefix) 삽입부(270)를 포함한다. 상기 부 반송파 매핑 모듈(240)과, 역 푸리에 변환(IDFT) 블록(250)과, 병/직렬 변환 모듈(260)과, 순환 전치(cyclic prefix) 삽입부(270)는 특정한 데이터 심볼을 서로 직교하는 다수의 부 반송파를 통해 전송하는 종래의 전송 장치로서,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송 장치에 의해 OFDM 신호가 생성되는 절차를 OFDM 데이터 처리라 칭한다. 상기 종래의 전송 장치는 통신 환경 등에 따라 부가적 장치가 추가되는 등의 변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PAPR을 감소시키기 위해 시간 영역에서의 사전 부호화 모듈(220)을 추가한다. 상기 사전 부호화 모듈(220)은, 데이터 심볼에 대한 시간 영역에서의 사전 부호화를 수행한다. 도 2는, 상기 사전 부호화 모듈(220)이 상기 직/병렬 변환 모듈(210) 다음 단에 구비되는 일례를 나타내므로, 상기 사전 부호화 모듈(220)은 상기 직/병렬 변환 모듈(210)에 의해 병렬로 변환된 데이터 심볼을 시간영역에서 조작한다. 상기 사전 부호화는, 상기 병렬 데이터 심볼의 각 성분(element)에 특정한 가중치(weight)를 인가하고, 상기 가중치가 인가된 데이터 신호들을 합산하여 사전 부호화가 수행된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만약 상기 가중치를 벡터로 표현한다면, 상기 사전 부호화의 출력은 상기 병렬 데이터 벡터와 상기 가중치 벡터의 선형 결합(linear combination)으로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Nb=4인 경우 상기 사전 부호화 모듈(220)의 입력을 [x1, x2, x3, x4]T라 하면, 상기 사전 부호화 모듈(220)의 출력은 [(w11ㆍx1+w12ㆍx2+w13ㆍx3+w14ㆍx4), (w21ㆍx1+w22ㆍx2+w23ㆍx3+w24ㆍx4), (w31ㆍx1+w32ㆍx2+w33ㆍx3+w34ㆍx4), (w41ㆍx1+w42ㆍx2+w43ㆍx3+w44ㆍx4)]T로 표시할 수 있다. 즉, 병렬 데이터 벡터는 [x1, x2, x3, x4]이고, 상기 가중치 벡터는 [w11, w12, w13, w14]과 [w21, w22, w23, w24]과 [w31, w32, w33, w34]과 [w41, w42, w43, w44]이고, 상기 사전 부호화 모듈(220)의 출력은 상기 병렬 데이터 벡터와 상기 가중치 벡터의 선형 결합에 의해 생성된다. 상기 사전 부호화는 부가 비트가 더해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채널 부호화와는 구별된다. 즉, 상기 사전 부호화 이전과 이후의 데이터 벡터의 크기는 변하지 않는다.
상기 사전 부호화는 사전 부호화 행렬(precoding matrix)에 의한 행렬 연산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심볼을 DFT를 이용한 확산(spreading)을 적용하기 전에 시간 영역에서 사전 부호화 행렬을 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시간 영역에서 사전 부호화 행렬을 곱하는 것은, 기존의 주파수 다이버시티를 주기 위해서 사용된 사전부호화 행렬이나,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빔 성형(beamforming) 또는 다중화(multiplexing)를 위해서 사용되었던 weight matrix가 주파수 영역에서 곱해져 신호가 생성되는 방식과는 구별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 사전 부호화 행렬(TP)을 이용하여 상기 사전 부호화를 수행하는 방법 을 설명한다.
데이터 심볼(s)은 다음과 식과 같이 먼저 사전 부호화 행렬을 통하여 사전 부호화될 수 있다.
Figure 112005076727154-pat00005
상기 수식에서 TP는 사전 부호화 행렬로써 그 형태는 이 행렬이 추구하는 목적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수식을 통해 사전 부호화된 벡터(sp)는 상기 수학식 1과 같이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되고 상기 수학식 2와 같이 최종 OFDM 심볼 형태로 변환이 된다.
이하 상기 사전 부호화 방법의 특성을 설명한다. 상기 사전 부호화 행렬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첫째, 상기 사전 부호화 행렬의 대각(diagonal) 성분은 일정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상기 사전 부호화 행렬은 대각 성분의 크기(amplitude)가 상기 대각 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의 크기에 비해 크거나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상기 사전 부호화 행렬의 대각 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은, 상기 대각 성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그 크기가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사전 부호화 행렬의 성분을 ai,j 또는 ap,q라 하는 경우,
Figure 112005076727154-pat00006
이면
Figure 112005076727154-pat00007
를 관계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i, j, p, q는 임의의 행렬 성분을 나타내기 위한 양의 정수이다.
넷째, 상기 나머지 성분과 상기 대각 성분 중 어느 하나의 성분 사이에는 0이 아닌 성분이 연속하여 존재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하기 수학식 4보다는 하기 수학식 5가 더욱 바람직한 형태의 상기 사전 부호화 행렬이다.
Figure 112005076727154-pat00008
Figure 112005076727154-pat00009
다섯째, 상기 사전 부호화 행렬에 대한 역행렬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수신 단에서 상기 사전 부호화를 복호화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는바, 상기 사전 부호화 행렬은 역행렬이 존재하는 행렬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사전 부호화 행렬의 일례를 설명한다.
Figure 112005076727154-pat00010
상기 사전 부호화 행렬은 상술한 조건들을 모두 만족하는 행렬이다. 상기와 같은 사전 부호화 행렬에 의해 사전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은, 도 3에 의해 사전 부호화를 수행하는 것과 동등하다. 상기 사전 부호화 행렬을 이용하는 경우, 사전 부호화 작업은 도 3에 도시된 간단한 구조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바, 상기 수학식 6의 부호화 행렬은 실제 구현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상기 사전 부호화 모듈(220)과 DFT 확산 모듈(230)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상기 사전 부호화 모듈의 첫 번째 출력은, 상기 병렬 데이터 심볼[d0, d1, d2 ,..., dNb -1]T과 가중치 벡터[1, -1, 0, ..., 0]와의 선형 결합인 d0-d1으로 결정되며, 상기 사전 부호화 모듈의 두 번째 출력은, 상기 병렬 데이터 심볼[d0, d1, d2 ,..., dNb -1]T과 가중치 벡터[0, 1, -1,..., 0]와의 선형 결합인 d1-d2으로 결정된다. 즉 상기 사전 부호화 모듈(220)은 상기 병렬 데이터 심볼과 상기 가중치 벡터의 선형 결합을 통해 출력 신호를 산출한다. 이 경우, 상기 사전 부호화 행렬은 상기 가중치 벡터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또 다른 사전 부호화 행렬의 일례를 설명한다.
Figure 112005076727154-pat00011
상기 사전 부호화 행렬이 상술한 사전 부호화 행렬의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상기 p값이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p는 임의의 실수 값으로 원하는 PAPR 성능에 따라서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는 또 다른 사전 부호화 행렬의 일례를 설명한다.
Figure 112005076727154-pat00012
상기 사전 부호화 행렬에 있어서, -1의 개수를 조절하여 수신단의 성능을 변화시킬 수 있다. 물론 사전 부호화 행렬을 조절함으로써 전송 신호의 PAPR 성능도 변화한다. 상기 수학식 8은 상기 수학식 6에 비해 0이 아닌 성분(대각 성분이 아닌 성분 중에서)의 개수가 적다. 즉 상기 수학식 6의 사전 부호화 행렬에 의해 사전 부호화를 수행하면, 좀더 많은 수의 심볼들이 더해져서 하나의 출력 심볼을 형성하나, 상기 수학식 8의 사전 부호화 행렬에 의해 사전 부호화를 수행하면, 적은 수의 심볼들이 더해져서 하나의 출력 심볼을 형성한다. 결론적으로, 상기 수학식 6에 의한 사전 부호화는 심볼 간의 독립성이 떨어지는 것이며, 상기 수학식 8에 의한 사전 부호화는 심볼 간의 독립성이 증가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전 부호화 행렬의 0이 아닌 성분의 개수를 조절하여 사전 부호화에 의한 심볼 간의 독립성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전 부호화 행렬을 이용하여 상기 병렬 데이터 심볼을 부호화할 수 있다. 도 2에서 상기 사전 부호화 모듈(120)은 상기 DFT 확산 모듈(130) 전단에 위치하여 시간 영역에서의 사전 부호화를 수행하나, 상기 사전 부호화 모듈(120)은 상기 DFT 확산 모듈(130) 후단에 위치하여 시간 영역에서의 사전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전 부호화를 수행하는 경우에 PAPR이 개선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수학식 7과 같이 p값에 의해 그 크기가 조절되는 성분을 포함하는 사전 부호화 행렬을 이용하여 사전 부호화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p 값에 따라 PAPR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도 4의 결과는 상기 N이 512이고, Nb는 256개이며 사용자를 위한 부 반송파는 연속되는 경우의 결과이다. 본 발명에 따라 시간 영역에서 사전 부호화를 수행하는 경우 PAPR이 감소하는 정도가 종래 기술에 비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 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PAPR이 대략 2 내지 4dB 정도인 경우, PAPR에 대한 CCDF(Complementary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값이 급격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처럼 PAPR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우, PAPR이 감소함은 물론 큐빅 메트릭(cubic metric)도 개선된다. 상기 PAPR과 큐빅 메트릭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05076727154-pat00013
Figure 112005076727154-pat00014
,
상기 xk는, 데이터 심볼이 시간 영역으로 변환된 신호를 나타내며, 상기 N은 상기 데이터 심볼을 전송하는 부 반송파의 개수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전 부호화를 수행하는 경우에 PAPR이 개선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또 다른 도면이다. 도 5는 종래 기술들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X-OFDM)의 개선된 성능을 나타낸다. 도면에서 x는, 수학식 8과 같은 형태의 사전 부호화 행렬을 이용하는 경우 몇칸 간격으로 -1을 생략할지를 나타내는 변수이다. 예를 들어, X=2이면 한 행(row)에는 -1 성분이 있고 그 다음 행에는 -1 성분이 없으며, 이러한 규칙은 반복된다. 예를 들어, X=4이면 3개의 행(row)에는 -1이 있으며, 그 다음 하나의 행에는 -1 성분이 없으며, 이러한 규칙은 반복된다. 상술한 x를 조절하면 상기 사전 부호화에 의한 심볼 간의 독립성을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5는 심볼 간의 독립성을 제어하여 그에 따른 PAPR의 개선 정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결과는 상기 N이 512이고, Nb는 256개이며 사용자를 위한 부 반송파는 연속되는 경우의 결과이다. 본 발명에 따라 시간 영역에서 사전 부호화를 수행하는 경우 PAPR이 감소하는 정도가 종래 기술에 비해 뛰어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PAPR이 대략 2 내지 4dB 정도인 경우, PAPR에 대한 CCDF(Complementary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값이 급격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이처럼 PAPR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우, PAPR이 감소함은 물론 큐빅 메트릭(cubic metric)도 개선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PAPR 개선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시간 영역에서의 사전 부호화를 수행하여 PAPR을 개선하는 유리한 효과가 있고, 상기 사전 부호화를 사전 부호화 행렬을 통해 수행하는 경우 PAPR을 개선하는 정도를 제어하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송신기에 의해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심볼들의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DFT가 수행된 데이터 심볼들을 성분으로 하는 데이터 심볼 벡터를 사전 부호화 행렬 간의 행렬 연산을 통하여, 상기 DFT가 수행된 데이터 심볼들을 사전 부호화(precoding)하는 단계;
    상기 사전 부호화된 데이터 심볼들을 부 반송파들에 맵핑하는 단계;
    상기 부 반송파들에 맵핑된 데이터 심볼들을 시간 영역 신호들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 영역 신호들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부호화 행렬은 대각 성분의 크기가 일정한 신호 전송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부호화 행렬은 대각 성분의 크기가 대각 성분 이외의 성분의 크기에 비해 크거나 같은 신호 전송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부호화 행렬은 상기 사전 부호화 행렬의 성분을 나타내기 위한 임의의 정수를 i, j, p, q라 하고, 상기 사전 부호화 행렬의 성분을 ai,j 또는 ap,q라 하는 경우,
    Figure 112011067136762-pat00015
    이면
    Figure 112011067136762-pat00016
    를 관계를 유지하는 신호 전송방법.
  5.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데이터 심볼들의 DFT(Discrete Fourier Transform)를 수행하기 위해 구성되는 DFT 모듈;
    상기 DFT가 수행된 데이터 심볼들을 성분으로 하는 데이터 심볼 벡터를 사전 부호화 행렬 간의 행렬 연산을 통하여, 상기 DFT가 수행된 데이터 심볼들을 사전 부호화(precoding)하기 위해 구성되는 사전 부호화 모듈;
    상기 사전 부호화된 데이터 심볼들을 부 반송파들에 맵핑하기 위해 구성되는 부 반송파 매핑 모듈;
    상기 부 반송파들에 맵핑된 데이터 심볼들을 시간 영역 신호들로 변환하기 위해 구성되는 역 푸리에 변환 모듈; 및
    상기 시간 영역 신호들을 전송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신호 전송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부호화 행렬은 대각 성분의 크기가 일정한 신호 전송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부호화 행렬은 대각 성분의 크기가 대각 성분 이외의 성분의 크기에 비해 크거나 같은 신호 전송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부호화 행렬은 상기 사전 부호화 행렬의 성분을 나타내기 위한 임의의 정수를 i, j, p, q라 하고, 상기 사전 부호화 행렬의 성분을 ai,j 또는 ap,q라 하는 경우,
    Figure 112011067136762-pat00017
    이면
    Figure 112011067136762-pat00018
    를 관계를 유지하는 신호 전송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050130570A 2005-12-27 2005-12-27 다수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Active KR101100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570A KR101100209B1 (ko) 2005-12-27 2005-12-27 다수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TW095149357A TWI405429B (zh) 2005-12-27 2006-12-27 使用載體傳輸資料的設備和方法
PCT/KR2006/005764 WO2007075044A2 (en) 2005-12-27 2006-12-27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using carriers and method thereof
EP06824206.4A EP1969744B1 (en) 2005-12-27 2006-12-27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using carriers and method thereof
US12/159,079 US8401095B2 (en) 2005-12-27 2006-12-27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using carriers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570A KR101100209B1 (ko) 2005-12-27 2005-12-27 다수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676A KR20070068676A (ko) 2007-07-02
KR101100209B1 true KR101100209B1 (ko) 2011-12-28

Family

ID=38218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570A Active KR101100209B1 (ko) 2005-12-27 2005-12-27 다수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01095B2 (ko)
EP (1) EP1969744B1 (ko)
KR (1) KR101100209B1 (ko)
TW (1) TWI405429B (ko)
WO (1) WO200707504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4916B1 (en) 2002-05-14 2020-05-05 Genghiscomm Holdings, LLC Spreading and precoding in OFDM
US11431386B1 (en) 2004-08-02 2022-08-30 Genghiscomm Holdings, LLC Transmit pre-coding
US8254492B2 (en) * 2007-04-26 2012-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Transmit diversity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080310547A1 (en) * 2007-06-08 2008-12-18 Nokia Siemens Networks Oy Multi-code precoding for sequence modulation
GB0807338D0 (en) * 2008-04-22 2008-05-28 Nokia Siemens Networks Oy An apparatus
KR20100019948A (ko) * 2008-08-11 2010-02-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간 다중화 기법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EP2566120B1 (en) 2008-08-11 2014-04-02 LG Electronics Inc. Codebook design for uplink transmission in a SC-FDMA system
CN102687476B (zh) 2009-06-26 2017-06-30 普拉斯N有限责任公司 用于控制组合无线信号的系统和方法
WO2011126246A2 (ko) * 2010-04-04 2011-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733489B1 (ko) 2010-01-17 2017-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정보의 전송 방법 및 장치
WO2011125076A2 (en) * 2010-04-09 2011-10-13 Centre Of Excellence In Wireless Technology (Cewit) Interference cancelling block modulation
US8737298B2 (en) * 2011-03-11 2014-05-2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of downlink signal transport over backhaul communications through distributed processing
CN102984102B (zh) * 2011-09-02 2016-09-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上行数据发送、上行数据处理方法、终端及基站
US8787873B1 (en) 2011-11-04 2014-07-22 Plusn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using bandwidth on demand
TWI482440B (zh) * 2012-10-31 2015-04-21 Univ Nat Sun Yat Sen 具有預編碼模組之資料相關性疊加訓練系統
EP3075123A4 (en) 2013-11-26 2017-07-19 PlusN, LLC System and method for radio frequency carrier aggregation
US12224860B1 (en) 2014-01-30 2025-02-11 Genghiscomm Holdings, LLC Linear coding in decentralized networks
US10069666B2 (en) * 2015-07-20 2018-09-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ceiver architecture that maintains legacy timing by inserting and removing cyclic prefix at legacy sampling rate
US9848342B1 (en) 2016-07-20 2017-12-19 Ccip, Llc Excursion compensation in multipath communication systems having performance requirements parameters
CN109952748B (zh) * 2016-11-09 2020-11-10 华为技术有限公司 高频传输的近恒模波形的合成
US10637705B1 (en) 2017-05-25 2020-04-28 Genghiscomm Holdings, LLC Peak-to-average-power reduction for OFDM multiple access
US10243773B1 (en) 2017-06-30 2019-03-26 Genghiscomm Holdings, LLC Efficient peak-to-average-power reduction for OFDM and MIMO-OFDM
WO2019245931A1 (en) * 2018-06-17 2019-12-26 Genghiscomm Holdings, LLC Distributed radio system
US12206535B1 (en) 2018-06-17 2025-01-21 Tybalt, Llc Artificial neural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1917604B2 (en) 2019-01-25 2024-02-27 Tybalt, Llc Orthogonal multiple access and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WO2020242898A1 (en) 2019-05-26 2020-12-03 Genghiscomm Holdings, LLC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TWI792954B (zh) * 2022-03-23 2023-02-1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處理峰均功率比的通訊裝置及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3779A2 (en) * 2001-05-17 2002-11-21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in multi-channel communication system using selective channel power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5531A (en) * 1996-06-12 1998-09-29 Ericsson Inc. Transmitter for encoded data bits
US6493399B1 (en) * 1998-03-05 2002-12-10 University Of Delaware Digital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s that eliminates intersymbol interference (ISI) and multipath cancellation using a plurality of optimal ambiguity resistant precoders
US6747946B1 (en) * 1999-12-27 2004-06-08 Victor Company Of Japan,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orthogonal-multi-carrier signal
KR100429528B1 (ko) * 2002-01-23 2004-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통신 방법 및 장치
US7197084B2 (en) * 2002-03-27 2007-03-27 Qualcomm Incorporated Precoding for a multipath channel in a MIMO system
US7548522B2 (en) * 2003-03-27 2009-06-16 Ktfreetel Co., Lt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wireless communication operable on frequency selective channel, and channel compensation method
US7177297B2 (en) * 2003-05-12 2007-02-13 Qualcomm Incorporated Fast frequency hopping with a code division multiplexed pilot in an OFDMA system
ATE533245T1 (de) * 2003-08-28 2011-11-15 Motorola Solutions Inc Ofdm kanalschätzung und -nachführung unter verwendung mehrere sendeantennen
DE60316477T2 (de) * 2003-10-24 2008-06-26 Ntt Docomo Inc.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vorkodierung eines mehrträgersignals
KR100913874B1 (ko) * 2003-10-27 200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분할다중 시스템에서 부채널 간 간섭 제거 방법
US7296045B2 (en) * 2004-06-10 2007-11-13 Hasan Sehitoglu Matrix-valu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ignal processing
KR100909539B1 (ko) * 2004-11-09 2009-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다양한 다중안테나 기술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7813330B2 (en) * 2004-12-03 2010-10-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Gap filler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yclic delay diversity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ystem, and broadcasting relay network using the same
WO2007000622A1 (en) * 2005-06-28 2007-01-04 Nokia Corporation Precoder matrix for multichannel transmission
US20070004465A1 (en) * 2005-06-29 2007-01-04 Aris Papasakellariou Pilot Channel Design for Communication Systems
US7630337B2 (en) * 2005-09-21 2009-12-08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n improved user group selection scheme with finite-rate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for FDD multiuser MIMO downlink transmiss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93779A2 (en) * 2001-05-17 2002-11-21 Qualcomm Incorporated Transmission in multi-channel communication system using selective channel power contr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35564A (en) 2007-09-16
WO2007075044A2 (en) 2007-07-05
KR20070068676A (ko) 2007-07-02
US20090074093A1 (en) 2009-03-19
EP1969744A4 (en) 2011-12-07
WO2007075044A3 (en) 2009-05-14
TWI405429B (zh) 2013-08-11
EP1969744A2 (en) 2008-09-17
US8401095B2 (en) 2013-03-19
EP1969744B1 (en) 2013-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209B1 (ko) 다수의 반송파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 및 방법
Sengar et al. Performance improvement in OFDM system by PAPR reduction
KR101232017B1 (ko) 단일 캐리어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을 위한 다중 안테나 송신 장치 및 방법
KR20000068425A (ko) 다중 반송파 변조 시스템에서 첨두 전력 대 평균 전력비의 감소
KR100899747B1 (ko) 직교주파수분할다중 시스템의 첨두대평균 전력비 저감을위한 장치 및 방법
JP4746420B2 (ja) 無線通信装置及び方法
CN102960038B (zh) 在单载波通信系统中的待发送信号
JP4863262B2 (ja) 送信機,通信システム及び送信方法
Mountassir et al. Precoding techniques in OFDM systems for PAPR reduction
Shukla et al. PAPR reduction of OFDM systems using PTS with genetic algorithm at low computational complexity
Mishra et al. Approximation of peak-to-average power ratio of generalized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ingh et al. PAPR Reduction with Amplitude Clipping & Filtering, SLM & PTS Techniques for MIMO-OFDM System: A Brief Review
Zanafi et al. Analysis of cyclic prefix length effect on ISI limitation in OFDM system over a Rayleigh-fading multipath.
Joshi et al. Peak-to-average power ratio reduction of OFDM signals using improved PTS scheme with low computational complexity
Hassan et al. Peak-to-average power ratio reduction using selective mapping with unequal power distribution
Nayak et al. A review on PAPR reduction techniques in OFDM system
Ahmad et al. An optimized waveform synthesis scheme to resolve high PAPR in MIMO OFDM systems (A Review)
Hou et al. New OFDM structure with parallel combinatory code
Al-Heety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peak-to-average-power ratio reduction techniques in OFDM
Ramakrishnan et al. An optimization technique for reducing the PAPR in MIMO-OFDM technique by using FPPC scheme
Baranwal Optimization of PAPR Using HPA and Amplitude Clipping Reduction Technique
Jameel PAPR reduction of localized single carrier FDMA using partial transmit sequence in LTE systems
Anusuya et al. Design of multiwavelet filter bank for 4G wireless communications
Beena et al. Performance of an adaptive compander i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Nerma et al. Performance Analysis of a Novel OFDM System Based on Dual–Tree Complex Wavelet Transform (DT-CW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2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6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1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1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1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