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97382B1 - 선박의 공기조화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의 공기조화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7382B1
KR101097382B1 KR1020090023132A KR20090023132A KR101097382B1 KR 101097382 B1 KR101097382 B1 KR 101097382B1 KR 1020090023132 A KR1020090023132 A KR 1020090023132A KR 20090023132 A KR20090023132 A KR 20090023132A KR 101097382 B1 KR101097382 B1 KR 101097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conditioner
air
ship
intak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4601A (ko
Inventor
송유정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3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7382B1/ko
Publication of KR20100104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4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7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738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여기에서는, 갑판의 임의의 실내공간을 위한 공기조화기를 갖춘 선박의 공기조화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선박의 공기조화장치는, 흡기구로부터 상기 공기조화기로 외부 공기를 제공하는 흡기덕트와, 통풍구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실내공간으로 이어진 통풍덕트와, 상기 흡기구가 막힌 때를 위해, 상기 통풍덕트를 상기 흡기덕트 또는 상기 공기조화기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덕트 접속수단을 포함한다.
갤리, 선박, 엘엔지, 엘피지, 원유, 정유, 공기조화장치, 공기조화기, 흡기덕트, 통풍덕트, 연결덕트, 배기덕트

Description

선박의 공기조화장치 및 방법{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IN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공기조화장치 및 방법으로서, 특히, 극지방을 운항하거나, 원유, 정유, 엘엔지 또는 엘피지 카고를 포함하는 선박의 갤리(galley)와 같은 실내공간의 공기조화에 어울리는 선박의 공기조화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은 갑판의 실내 공간을 공기조화하기 위한 장치을 구비한다. 예컨대, 선박의 갤리(galley)는, 동일 갑판(deck) 또는 다른 갑판에 설치된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에 의해, 온도, 습도 및/또는 기류 등이 조절된다. 더 나아가, 공기조화기는 갤리와 같은 실내공간의 세균이나 냄새를 제거하는 역할도 한다. 공기조화기는 흡기덕트와 연결되며, 흡기덕트는 선박 외부와 통해 있는 흡기구를 통해 외부 공기를 흡기덕트로 도입한다. 또한, 갤리에는 선박의 외부에 임해 있는 통풍구가 이어진 통풍덕트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갤리에는 배기덕트가 연결된다.
선박 운행 중 흡기덕트가 막히면, 공기조화기의 가동이 불가능하여, 갤리와 같은 실내 공간을 적정 온도로 유지할 수 없다. 특히, 극지방을 운항하는 선박의 경우, 외부와 직접 면해 있는 흡기덕트의 흡기구가 얼음 또는 눈에 의해 막힐 우려가 많다. 그러한 경우가 발생하면, 갤리와 같은 실내 공간에 신선한 공기, 특히, 온도 및/또는 습도 조절된 신선한 공기를 제공할 수 없다.
따라서, 흡기덕트가 막히더라도 온도 및/또는 습도 조절된 신선한 공기를 갑판의 실내공간에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선박의 공기조화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한편, 원유, 정유, 엘엔지 선박 또는 엘피지 선박과 같이 폭발성이 큰 물질을 저장하는 카고를 포함하는 선박의 경우, 카고 핸들링 운전시, 갤리와 같은 실내공간을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있을 수 있는 위험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실내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이어진 모든 덕트들을 막아야 한다. 이때, 갤리와 같은 실내공간의 공기조화를 위해, 전술한 흡기덕트, 통풍덕트, 및 배기덕트 외에 별도의 복잡한 덕트 라인이 더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선박 기술, 특히, 원유, 정유, 엘엔지 또는 엘피지 선박 기술에는, 갤리와 같은 실내공간과 연결된 덕트들이 모두 막히더라도, 복잡한 덕트라인 없이, 공기조화기에 의한 재순환이 가능한 선박의 공기조화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 과제는, 흡기덕트가 막히더라도 온도 및/또는 습도 조절된 신선한 공기를 갑판의 실내공간에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선박의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갤리와 같은 실내공간과 연결된 덕트들이 모두 막히더라도, 복잡한 덕트라인 없이, 공기조화기에 의한 재순환이 가능한 선박의 공기조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갑판의 임의의 실내공간을 위한 공기조화기를 갖춘 선박의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는, 흡기덕트와, 통풍덕트와, 덕트 접속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흡기덕트는 흡기구로부터 상기 공기조화기로 외부 공기를 제공한다. 상기 통풍덕트는 통풍구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실내공간으로 이어진다. 상기 덕트 접속수단은, 상기 흡기구가 막힌 때를 위해, 상기 통풍덕트를 상기 흡기덕트 또는 상기 공기조화기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킨다. 따라서, 예를 들면, 극지방을 운항하는 선박에서, 눈과 얼음에 의해, 흡기덕트가 막히더라도, 상기 공기조화기의 가동은 가능하며,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통풍덕트를 통해 받은 신선한 공기로써 실내공간, 특히, 갤리에 대안 안정적 공기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덕트 접속수단은, 상기 통풍덕트의 중간을 상기 흡기덕트에 연결하는 연결덕트와, 상기 연결덕트를 개폐시키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개폐장치는 방화댐퍼일 수 있다. 상기 흡기덕트의 흡기구 막힌 때,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연결덕트를 개방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실내공간으로부터의 배기를 위해, 상기 실내공간으로부터 시작하여 외부의 배기구로 끝나는 배기덕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기조화기에 의한 상기 실내공간의 공기 재순환을 위해, 상기 흡기구, 상기 통풍구 및 상기 배기구가 닫히고, 상기 개폐장치에 의해 상기 연결덕트가 열리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선박은 원유, 정유, 엘엔지 또는 엘피지 저장용 카고를 포함하는 선박일 수 있는데, 이 경우, 상기 카고의 핸들링을 위해, 상기 흡기구, 상기 통풍구, 상기 배기구를 닫는다. 상기 실내공간은 선박의 갤리(galley)일 수 있으며,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갤리 외측의 공간에 설치된 채 서플라이 덕트를 통해 자신의 토출공기를 상기 갤리 내로 공급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임의의 실내공간을 위한 통풍덕트와 공기조화기용 흡기덕트가 개폐장치를 갖는 연결덕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흡기덕트가 막힌 때, 상기 개폐장치에 의한 상기 연결덕트의 개방에 의해, 상기 통풍덕트의 외부 공기를 상기 공기조화기가 이용하도록 선박의 공기조화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임의의 실내공간을 위한 통풍덕트와 공기조화기용 흡기덕트가 개폐장치를 갖는 연결덕트에 의해 연결된 선박의 공기조화장치에서, 상기 흡기덕트가 막힌 때, 상기 개폐장치로써 상기 연결덕트를 개방하여, 상기 통풍덕트의 외부 공기를 상기 공기조화기가 이용하도록 한 선박의 공기조화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임의의 실내공간을 위한 통풍덕트와 공기조화기용 흡기덕트가 개폐장치를 갖는 연결덕트에 의해 연결된 선박의 공기조화장치에서, 적어도 상기 흡기덕트의 흡기구 및 상기 통풍덕트의 통풍구를 막고, 상기 개폐장치로 상기 연결덕트를 연 후, 상기 공기조화기를 가동하여, 상기 실내공간의 공기를 재순환시키는 선박의 공기조화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예를 들면 선박의 극지방 운항에 의해, 흡기덕트가 눈이나 얼음 등에 의해 막히더라도, 공기조화기가 흡기덕트와 연결된 통풍덕트로부터 온도 및/또는 습도 조절된 신선한 공기를 갑판의 실내공간에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원유, 정유, 엘엔지 또는 엘피지 선박 등의 경우, 카고 핸들링을 위해, 갤리와 같은 실내공간과 연결된 덕트들이 모두 막히더라도, 복잡한 구조의 덕트라인을 추가함 없이도, 공기조화기에 의한 재순환이 가능하여, 실내공간(특히, 갤리)의 온도 및/또는 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공기조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선박의 한 데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장치가 적용되는 데크의 실내공간인 갤리(2)가 복수의 룸(R)들, 복수의 오피스(O)들, 그리고, 갤리(2)와 인접해 있는 식품저장실(P) 등과 함께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장치는 갤리(2)와 인접해 있는 다른 공간(21)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조화기(100)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기(100)는 갤리(2)와 동일한 데크에 설치되거나 다른 데크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100)는 상기 갤리(2)로 이어진 서플라이 덕트(102)와 연결되며, 상기 서플라이 덕트(102)에는 상기 공기조화기(100)에 의해 온도, 습도 등이 조절된 공기가 갤리(2) 내부로 공급되는 것을 허용하는 공기공급장치(1020)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공급장치(1020)는 갤리(2)에 폭 넓게 공기를 제공하도록 여러 갈래로 분기된 공기 공급관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선박의 외부와 면해 있는 흡기구(121)를 통해 들어온 외부공기를 상기 공기조화기(100)에 제공하는 용도의 흡기덕트(12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선박 외부와 면해 있는 통풍구(141)로부터 상기 갤리(2)에서 끝나는 통풍덕트(140)를 포함한다. 상기 통풍덕트(140)의 말단 부근에는 상기 갤리(2)와 직접 면해 있는 복수의 통풍그릴(144)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공기조화장치(1)는 예를 들면, 요리 또는 조리에 의해 냄새 또는 연기가 포함된 오염 공기를 갤리(2)로부터 선박의 외부로 배기하기 위한 배기덕트(160)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덕트(160)는 갤리 후드(161)에서 시작하여 선박 외부와 면해 있는 배기구(162)까지 이어져 거기에서 끝난다.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장치는, 상기 흡기덕트(120)의 흡기구(121)가 막힌 때, 흡기덕트(120) 대신에, 통풍덕트(140)로부터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끌어 들여, 그 공기를 공기조화기(100)에 이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장치는, 통풍덕트(140)를 상기 흡기덕트(120)에 선택적으로 접속시키는 수단으로, 상기 통풍덕트(140)의 중간을 상기 흡기덕트(120)에 연결하는 연결덕트(150)와, 상기 연결덕트를 개폐시키는 개폐장치(152)를 포함한다. 이때, 통풍덕트를 상기 흡기덕트에 접속시키는 전술한 구조 대신에, 통풍덕트를 공기조화기에 직접 접속시키는 구조도 고려될 수 있을 것이다.
흡기구(121) 또는 흡기덕트(120)가 막힌 때, 상기 연결덕트(150) 내에 있는 상기 개폐장치(152)가 열려, 통풍덕트(140)를 통해 외부 공기를 공기조화기(100)까지 끌어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평상시에는 상기 개폐장치(152)가 상기 연결덕트(150)를 닫고 있다. 상기 개폐장치(152)는 화재 발생시를 대비해 방화댐퍼 용도로 사용가능한 것이 채택되면 더욱 좋다.
공기조화기(100)가 통풍덕트(140)로부터의 외부 공기를 이용할 수 있는 전술한 구조는 극지방을 운항하는 선박의 공기조화장치로 특히 적합하다. 극지방의 경우, 선박 운항 중, 흡기구(121)가 얼음이나 눈에 의해 막힐 우려가 많은데, 이 경우에도, 상기 공기조화기(100)는 통풍덕트(140)로부터의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받아 갤리(2) 내의 공기조화를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공기조화장치는, 원유, 정유, 엘엔지 카고 또는 엘피지 카고를 포함하는 선박에 적용될 경우, 상기 카고의 핸들링시에, 상기 갤리(2)를 외부로부터 차단하고, 공기조화기(100)의 작동을 통해, 갤리(2) 내 공기 재순환 및 이에 의한 갤리(2)의 온도 및/또는 습도 유지가 가능하다는 점이 또한 유리하다. 상기 공기 재순환은 상기 통풍덕트(140)가 상기 연결덕트(150)에 의해 공기조화기(100)의 입구 측에 연결될 수 있음으로 해서 가능하다. 예컨대, 흡기덕트(120)의 흡기구(121) 및 통풍덕트(140)의 통풍구(141), 더 나아가, 배기덕트(160)의 배기구(162)를 차단하고, 상기 개폐장치(152)가 상기 연결덕트(150)를 개방하면, 차례대로, 공기조화기(100), 갤리(2), 통풍덕트(140), 연결덕트(150), 다시 공기조화기(100)로 이어지는 공기 순환 회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공기조화기(100)에 의한 공기 재순환이 가능해진다.
도 2a, 도 2b 및 도 2c 각각은 평상시, 흡기덕트(120)가 막힌 때, 그리고, 공기 재순환이 필요한 때의 공기조화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공기조화장치는, 평상시, 공기조화기(100)가 흡기덕트(120)를 통해 신선한 공기를 빨아들여, 그 공기의 온도 및/또는 습도 등을 조절한 후, 공기공급장치(1020)가 달린 서플라이 덕트(102)를 통해 갤리(2)에 공급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흡기덕트(120) 또는 흡기구(121)가 막힌 때에는, 개폐장치(152)에 의해 연결덕트(150)가 개방되고, 상기 공기조화기(100)는 통풍덕트(140)와 그와 이어진 연결덕트(150)를 통해 신선한 공기를 빨아들여, 그 공기의 온도 및/또는 습도 등을 조절한 후, 상기 공기공급장치(1020)가 달린 서플라이 덕트(102)를 통해 갤리(2)에 공급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예를 들면, 카고 핸들링을 위해, 갤리(2)로부터 외부로 연결된 흡기덕트(120)의 흡기구, 통풍덕트(140)의 통풍구 및 배기덕트(160)의 배기구를 의도적으로 닫는다. 그리고, 상기 연결덕트(150)를 상기 개폐장치(152)에 의해 개방한다. 그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공기조화기(100)가 가동되면, 공기는 상기 공기조화기(100)에서 조절된 후, 상기 서플라이 덕트(102)를 거쳐 갤리(2) 내로 공급된다. 갤리(2) 내로 공급되었던 공기는 다시 통풍덕트(140), 연결덕트(150)를 지나 다시 공기조화기(100)로 회수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며, 이에 의해, 공기는 전술한 순서대로 순환을 계속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공기조화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선박의 한 데크를 도시한 평면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공기조화장치의 평상시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공기조화장치의 흡기덕트가 막힌 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공기조화장치의 공기 재순환이 필요한 때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12)

  1. 갑판의 임의의 실내공간을 위한 공기조화기를 갖춘 선박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선박 외부와 통해 있는 흡기구로부터 상기 공기조화기로 외부 공기를 제공하는 흡기덕트;
    선박 외부와 통해 있는 통풍구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실내공간으로 이어진 통풍덕트; 및
    상기 실내공간으로부터 시작하여 외부의 배기구로 끝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구가 막힌 때를 위해, 상기 통풍덕트를 상기 흡기덕트에 접속시키는 덕트 접속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덕트 접속수단은, 상기 통풍덕트의 중간을 상기 흡기덕트에 연결하는 연결덕트와, 상기 연결덕트를 개폐시키는 개폐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흡기덕트의 흡기구 막힌 때,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연결덕트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공기조화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방화댐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공기조화장치.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에 의한 상기 실내공간의 공기 재순환을 위해, 상기 흡기구, 상기 통풍구 및 상기 배기구가 닫히고, 상기 개폐장치에 의해 상기 연결덕트가 열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공기조화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선박은 원유, 정유, 엘엔지 또는 엘피지 저장용 카고를 포함하는 선박이며, 상기 카고의 핸들링을 위해, 상기 흡기구, 상기 통풍구, 상기 배기구를 닫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공기조화장치.
  8. 청구항 1, 3, 6 및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공간은 선박의 갤리(galle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공기조화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갤리 외측의 공간에 설치된 채 서플라이 덕트를 통해 자신의 토출공기를 상기 갤리 내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공기조화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90023132A 2009-03-18 2009-03-18 선박의 공기조화장치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097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132A KR101097382B1 (ko) 2009-03-18 2009-03-18 선박의 공기조화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3132A KR101097382B1 (ko) 2009-03-18 2009-03-18 선박의 공기조화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601A KR20100104601A (ko) 2010-09-29
KR101097382B1 true KR101097382B1 (ko) 2011-12-23

Family

ID=43008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132A Expired - Fee Related KR101097382B1 (ko) 2009-03-18 2009-03-18 선박의 공기조화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73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808B1 (ko) * 2011-03-03 2013-07-3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공조실 구조체
CN110316348B (zh) * 2019-08-21 2024-08-02 江西清华泰豪三波电机有限公司 船用通风末端装置及船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8918A (ja) * 2004-02-25 2005-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用空気調和装置
KR100728316B1 (ko) * 2005-12-16 2007-06-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가변풍량방식 공조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8918A (ja) * 2004-02-25 2005-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用空気調和装置
KR100728316B1 (ko) * 2005-12-16 2007-06-1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가변풍량방식 공조 제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4601A (ko) 201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616330T3 (en) VENTILATION DEVICE SHIP
US4711193A (en) Self-contained ventilation system units for supplying spaces between bulkheads with individually circulated ventilation air
CN205366041U (zh) 多用途集装箱船舶及货舱通风系统
KR101454618B1 (ko) 선박 조타실의 공조덕트장치
CA2578458C (en) Self contained heating/cooling roof top unit with built in independent pressure relief
KR101097382B1 (ko) 선박의 공기조화장치 및 방법
US11807351B2 (en) Marine vessel dehumidification system
PL174189B1 (pl) Układ przewietrzania przedziału załogi pojazdu bojowego
DK178549B1 (da) Marineluftkonditioneringsapparat
KR20200077457A (ko) 양방향 배기부가 구비된 미세먼지 확산 방지용 레인지후드 환기 시스템
CN101161548A (zh) 飞行器防火壁
KR20010043346A (ko) 환기 장치
WO2019061698A1 (zh) 船舶货舱通风方法及通风系统
SE532362C2 (sv) Farkost för tillfällig tillflykt
US10538302B2 (en) Marine vessel dehumidification system
CN109835459B (zh) 一种船舶用一体化通风系统
US6786279B2 (en) Forward in flight (IFE) entertainment cooling system
KR102021324B1 (ko) 실외기 및 이를 포함하는 소형선박 엔진룸용 환기시스템
KR200477151Y1 (ko) 선박용 벤트 덕트 시스템
JP7703117B1 (ja) 船舶、船舶における操舵室の空気調和方法
JP4388646B2 (ja) 換気装置の運転方法及び換気装置
JP2024027784A (ja) 船舶用新鮮空気処理装置
KR20210050755A (ko) 극지용 선박의 pod 추진기실 공조 시스템 및 방법
KR101991358B1 (ko) Fpso의 hpu 룸 설비 및 그 운용 방법
KR101708010B1 (ko) 계단 통로를 귀환 공기의 통로로 사용하는 선박의 데크 하우스 및 이를 이용한 데크 하우스의 공기조화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3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3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