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7144B1 -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를 이용한 고효율 회분식 하폐수처리시설 및 방법 - Google Patents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를 이용한 고효율 회분식 하폐수처리시설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97144B1 KR101097144B1 KR20110066241A KR20110066241A KR101097144B1 KR 101097144 B1 KR101097144 B1 KR 101097144B1 KR 20110066241 A KR20110066241 A KR 20110066241A KR 20110066241 A KR20110066241 A KR 20110066241A KR 101097144 B1 KR101097144 B1 KR 1010971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aerobic
- batch
- tank
- reaction tank
- anox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3—Sequencing batch reactors [SB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1—Arranged-type packing, e.g. stacks, array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C02F3/305—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denitrific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모상(cilium) 구조로 형성된 섬모볼담체를 회분식반응조 내의 수위하한선 이하에 현수식으로 설치하여, 호기성 및 통성혐기성 미생물들이 부착/서식함으로써 미생물들의 계외유출을 방지시키며, 및 상기 회분식반응조의 일측에 질화액이송조를 구성하여, 상기 회분식반응조로부터 질화액을 이송받아 질화액의 용존산소를 낮추면서 상기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의 무산소성영역으로 질화액을 반송시켜 질화액의 탈질반응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고효율 회분식 하폐수처리시설 및 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분식반응조(SBR)를 주반응공정으로 이용하는 기존 하폐수처리공정에 본 발명에 따른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 및 섬모볼담체를 도입하여, 기존 하폐수처리공정을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질소/인 고도화시설로 개선시킬 수 있다.
[색인어]
회분식 하폐수처리, 질소/인 고도처리,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 탈인/탈질, 교번회분식
Description
도2는 도1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의 정면구성도,
도4a 및 도4b는 본 발명에 따른 섬모볼담체의 외형 및 내부형상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섬모볼담체의 현수식 일실시예,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회분식반응조의 정면구성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를 이용한 교번회분식 하폐수 처리계통도,
도8은 도7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 및 여과조를 이용한 중수도급 하폐수처리시설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유량조정조 14 : 질화액이송조
15 : 슬러지저류조 16 : 처리수조
17 : 수중펌프 18 : 활성질화액 이송유로
20 : 회분식 하폐수처리시설 21 : 부상식배출장치(decanter)
30 :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 30-1 :혐기성영역(anaerobic zone)
30-2 : 무산소성영역(anoxic zone) 31 : 유입부
32 : 유출부 33 : 중앙격벽
34 : 상부경사격벽 35 : 하부경사격벽
36 : 월류식 웨어(weir) 37 : 수중슬러지펌프
38 : RPM 인버터(inverter) 39 : 슬러지상승관
41 : 슬러지하강관 42 : 슬러지피트(pit)
50 : 섬모볼담체(ciliary ball media) 51 : 고정수단
52 : 프레임(frame) 53 : 섬모볼담체의 현수식유닛
54 : 공기공급수단(blower) 55 : 전동밸브
56 : 산기관(diffuser) 57 : 기포
60 : 회분식반응조(SBR) 60-1 : 제 1교번 회분식반응조
60-2 : 제 2교번 회분식반응조 61 : 유체유속 감속/분산관
62 : 유체유속 감속/분산유로 63 : 수중교반기
67 : 수위감지기(level sensor) 68 : 흡입유로
69 : 부력기(float) 71 : 액체흡입펌프
72 : 회분식반응조의 슬러지피트(pit) 80 : 교번회분식 하폐수처리시설
81 : 교번월류유로 82 : 교번유출수단
90 : 본 발명에 따른 중수도급 하폐수처리시설 91 : 여과조
92 : 여과수단 93 : 흡입여과펌프
Claims (5)
- 회분식반응조(SBR) 내측에 합성수지 재질의 섬모상(cilium) 구조로 형성된 섬모볼담체(50)를 설치하여 호기성 및 통성혐기성 미생물들이 부착 서식하게 하고; 상기 회분식반응조(60)의 전단에 하나의 반응조에서 탈인반응과 탈질반응이 모두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 혐기성영역(30-1)과 무산소성영역(30-2)으로 구획되어 형성되고, 상기 섬모볼담체(50)가 무산소성영역(30-2) 내측에 현수식으로 내장된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30)를 구성하여 질소/인 제거효율을 향상시키며; 상기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30) 전단에는 유량조정조(11)를 구성하여, 오염원으로부터 유입되는 하폐수를 저류시켰다가, 상기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30)의 혐기성영역(30-1)으로 하폐수를 유입시키며; 상기 회분식반응조(60)의 일측에 질화액이송유로(18) 및 질화액의 와류흐름방지수단(19)이 구비된 질화액이송조(14)를 구성하여, 상기 회분식반응조(60)로부터 질화액을 이송받아 질화액의 용존산소를 낮추면서 상기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30)의 무산소성영역(30-2)으로 질화액을 반송시켜 질화액의 탈질반응이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30) 일측에 슬러지저류조(15)를 구성하여, 상기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30)로부터 인발된 슬러지를 저장 농축시키게 하며; 및 상기 회분식반응조(60)의 후속에 처리수조(16)를 구성하여, 최종처리된 처리수를 계외로 방류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분식반응조(SBR)를 주반응공정으로 이용하는 하폐수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회분식반응조(60) 내측, 및 상기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30)의 무산소성영역(30-2) 내측에 설치되는 섬모볼담체(50)는,
초기 겉보기밀도(bulk density)는 600∼900 kg/m3으로 설계/제조하여, 하폐수 수중에서는 미생물들의 부착/서식에 의해 1,000±100 kg/m3의 겉보기밀도로 되게 하고; 및 전체형상은 직경 20∼100mm의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회분식반응조(60) 내의 수위하한선 이하, 및 상기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30)의 무산소성영역(30-2) 내측에 현수식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정조(11)-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30)-회분식반응조(60)-질화액이송조(14)-슬러지저류조(15)-처리수조(16)}로 구성된 고효율 회분식 하폐수처리방법. - 삭제
- 삭제
- 교번유입-미생물반응-침전-교번배출공정의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회분식 교번반응조(SBRs)를 주반응공정으로 이용하는 하폐수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회분식 교번반응조(60-1, 60-2) 내의 수위하한선 이하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섬모상(cilium) 구조로 형성되고; 초기 겉보기밀도(bulk density)는 600∼900 kg/m3으로 설계/제조하여, 하폐수 수중에서는 미생물들의 부착/서식에 의해 1,000±100 kg/m3의 겉보기밀도로 되게 하고; 및 전체형상은 직경 20∼100mm의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모볼담체(50)를 현수식으로 설치하여, 호기성 및 통성혐기성 미생물들이 부착/서식함으로써 미생물들의 계외유출을 방지시키며;
상기 한쌍의 회분식 교번반응조(60-1, 60-2)의 전단에, 혐기성영역(30-1)과 무산소성영역(30-2)으로 구획되어 형성되고; 및 상기 섬모볼담체(50)가 무산소성영역(30-2) 내측에 현수식으로 내장된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30)를 구성하여, 하나의 반응조에서 탈인반응과 탈질반응이 모두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질소/인 제거효율을 향상시키며;
상기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30) 전단에는 유량조정조(11)를 구성하여, 오염원으로부터 유입되는 하폐수를 저류시켰다가, 상기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30)의 혐기성영역(30-1)으로 하폐수를 유입시키며;
상기 한쌍의 회분식 교번반응조(60-1, 60-2)의 일측에, 질화액이송유로(18-1, 18-2) 및 질화액의 와류흐름방지수단(19)이 구비된 한쌍의 질화액이송조(14-1, 14-2)를 구성하여, 상기 한쌍의 회분식 교번반응조(60-1, 60-2)로부터의 질화액을 교대로 이송받아 질화액의 용존산소를 낮추면서 상기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30)의 무산소성영역(30-2)으로 질화액을 반송시켜 질화액의 탈질반응이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30) 일측에 슬러지저류조(15)를 구성하여, 상기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30)로부터 인발된 슬러지를 저장 농축시키게 하며; 및
상기 한쌍의 회분식 교번반응조(60-1, 60-2)의 후속에 처리수조(16)를 구성하여, 최종처리된 처리수를 계외로 방류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정조(11)-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30)-회분식 교번반응조(60-1, 60-2)-질화액이송조(14-1, 14-2)-슬러지저류조(15)-처리수조(16)}로 구성된 고효율 교번회분식 하폐수처리방법. - 교번유입-미생물반응-침전-교번배출공정의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회분식 교번반응조(SBRs)를 주반응공정으로 이용하는 하폐수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회분식 교번반응조(60-1, 60-2) 내의 수위하한선 이하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섬모상(cilium) 구조로 형성되고; 초기 겉보기밀도(bulk density)는 600∼900 kg/m3으로 설계/제조하여, 하폐수 수중에서는 미생물들의 부착/서식에 의해 1,000±100 kg/m3의 겉보기밀도로 되게 하고; 및 전체형상은 직경 20∼100mm의 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모볼담체(50)를 현수식으로 설치하여, 호기성 및 통성혐기성 미생물들이 부착/서식함으로써 미생물들의 계외유출을 방지시키며;
상기 한쌍의 회분식 교번반응조(60-1, 60-2)의 전단에, 혐기성영역(30-1)과 무산소성영역(30-2)으로 구획되어 형성되고; 및 상기 섬모볼담체(50)가 무산소성영역(30-2) 내측에 현수식으로 내장된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30)를 구성하여, 하나의 반응조에서 탈인반응과 탈질반응이 모두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질소/인 제거효율을 향상시키며;
상기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30) 전단에는 유량조정조(11)를 구성하여, 오염원으로부터 유입되는 하폐수를 저류시켰다가, 상기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30)의 혐기성영역(30-1)으로 하폐수를 유입시키며;
상기 한쌍의 회분식 교번반응조(60-1, 60-2)의 일측에, 질화액이송유로(18-1, 18-2) 및 질화액의 와류흐름방지수단(19)이 구비된 한쌍의 질화액이송조(14-1, 14-2)를 구성하여, 상기 한쌍의 회분식 교번반응조(60-1, 60-2)로부터의 질화액을 교대로 이송받아 질화액의 용존산소를 낮추면서 상기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30)의 무산소성영역(30-2)으로 질화액을 반송시켜 질화액의 탈질반응이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30) 일측에 슬러지저류조(15)를 구성하여, 상기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30)로부터 인발된 슬러지를 저장 농축시키게 하며;
상기 한쌍의 회분식 교번반응조(60-1, 60-2)의 후속에 여과수단(92) 및 흡입여과펌프(93)가 구비된 여과조(91)를 구성하여, 미세오염입자를 분리 및 제거하여 중수도급의 수질로 처리하며; 및
상기 여과조(91)의 후속에 처리수조(16)를 구성하여, 최종처리된 처리수를 저류시켰다가, 처리수중 일부는 재활용수로 사용하고 나머지는 계외로 방류시키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조정조(11)-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30)-회분식 교번반응조(60-1, 60-2)-질화액이송조(14-1, 14-2)-슬러지저류조(15)-여과조(91)-처리수조(16)}로 구성된 중수도급 고효율 교번회분식 하폐수처리방법.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10066241A KR101097144B1 (ko) | 2011-07-05 | 2011-07-05 |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를 이용한 고효율 회분식 하폐수처리시설 및 방법 |
US14/119,416 US20140097136A1 (en) | 2011-07-05 | 2012-04-17 | Composite microorganism reactor,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water treatment using the same |
CN201280021429.8A CN103582615A (zh) | 2011-07-05 | 2012-04-17 | 复合微生物反应槽和利用该反应槽的水处理装置及方法 |
PCT/KR2012/002913 WO2013005913A1 (ko) | 2011-07-05 | 2012-04-17 | 복합 미생물반응조 및 이를 이용하는 수처리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10066241A KR101097144B1 (ko) | 2011-07-05 | 2011-07-05 |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를 이용한 고효율 회분식 하폐수처리시설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88481A KR20110088481A (ko) | 2011-08-03 |
KR101097144B1 true KR101097144B1 (ko) | 2011-12-21 |
Family
ID=44927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10066241A Active KR101097144B1 (ko) | 2011-07-05 | 2011-07-05 |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를 이용한 고효율 회분식 하폐수처리시설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9714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2739B1 (ko) | 2015-10-30 | 2016-11-04 | 대웅이엔에스 (주) | 고도처리 혐기/무산소성 생물호환조 |
KR102087622B1 (ko) | 2019-03-29 | 2020-04-23 | 주식회사 경우크린텍 | 회분식 반응조 및 그의 제어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6756B1 (ko) * | 2012-06-13 | 2013-06-24 | 벽산엔지니어링주식회사 | 회분식 호기,혐기 순차 건식발효시스템 및 방법 |
KR200487764Y1 (ko) * | 2017-11-20 | 2018-10-30 | 대웅이엔에스 (주) | 하폐수 고도처리장치 |
KR102139052B1 (ko) | 2019-01-02 | 2020-07-29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지하대수층 유래 미생물을 이용한 호기성반응조를 포함하는 지하대수층 함양장치 |
CN112062276B (zh) * | 2020-08-28 | 2021-12-31 | 南昌大学 | 适用于农村生活污水的无动力强化处理装置及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6728B1 (en) | 2003-04-08 | 2003-11-21 | Aquatech Co Ltd |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sewage and wastewater using tubular ultra-filtration membrane without housing |
KR100434639B1 (ko) | 2002-04-04 | 2004-06-16 |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 폐수처리장치의 내부반송 유량제어시스템 |
KR200368392Y1 (ko) | 2004-07-06 | 2004-11-20 | 장영한 | 무산소조/혐기조/침전농축 기능의 단일복합 반응 장치조 |
-
2011
- 2011-07-05 KR KR20110066241A patent/KR10109714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4639B1 (ko) | 2002-04-04 | 2004-06-16 |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 폐수처리장치의 내부반송 유량제어시스템 |
KR100406728B1 (en) | 2003-04-08 | 2003-11-21 | Aquatech Co Ltd | Method and system for treating sewage and wastewater using tubular ultra-filtration membrane without housing |
KR200368392Y1 (ko) | 2004-07-06 | 2004-11-20 | 장영한 | 무산소조/혐기조/침전농축 기능의 단일복합 반응 장치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2739B1 (ko) | 2015-10-30 | 2016-11-04 | 대웅이엔에스 (주) | 고도처리 혐기/무산소성 생물호환조 |
KR102087622B1 (ko) | 2019-03-29 | 2020-04-23 | 주식회사 경우크린텍 | 회분식 반응조 및 그의 제어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88481A (ko) | 2011-08-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790347B2 (en) | Batch styl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biological filtering process and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 |
EP2254842B1 (en) | Method and device for the treatment of waste water | |
WO2013005913A1 (ko) | 복합 미생물반응조 및 이를 이용하는 수처리 장치 및 방법 | |
KR101097144B1 (ko) |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를 이용한 고효율 회분식 하폐수처리시설 및 방법 | |
CN110386723B (zh) | 一种基于mbbr与磁分离的污水自养处理系统与方法 | |
CN103373794A (zh) | 污水处理工艺及其专用的一体式污水处理装置 | |
CN102276103A (zh) | 一体化原位脱氮养殖废水生物处理装置及处理方法 | |
KR101686484B1 (ko) | 하수 처리방법 | |
CN107857366A (zh) | 一种用于生活污水处理的强化脱氮除磷循环式生物膜系统 | |
CN107585974A (zh) | 一种基于mbbr工艺的污水处理方法 | |
KR101097139B1 (ko) | 섬모볼담체 내장형 혐기/무산소성 미생물반응조 | |
JP2007237158A (ja) | 有機物と窒素含有化合物の同時分解による汚水の生物学的浄化方法 | |
CN210620521U (zh) | 一种基于mbbr与磁分离的污水自养处理系统 | |
CN213171940U (zh) | 模块化集成式高效污水处理系统 | |
KR102171365B1 (ko) | 이중탱크구조를 이용한 연속흐름의 생물학적 하·폐수 고도처리시설 | |
KR20060024288A (ko) | 반응조형 침전장치를 이용한 고효율 하수 및오·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 |
CN210457847U (zh) | 一种基于mbbr与磁分离的污水全效处理系统 | |
CN205313183U (zh) | 一种垂直流污水生态处理系统 | |
CN214142023U (zh) | 一种气升式内循环生物反应器 | |
KR20040079802A (ko) | 생물반응조 유출슬러지량 제어장치가 구비된 하수 및오·폐수처리장치 및 방법 | |
CN107381816A (zh) | 一种多级oa‑mbr氧化沟 | |
CN108394996B (zh) | 一种活性污泥一体化污水处理装置 | |
KR101375339B1 (ko) | 기존 산화구 반응조의 설계 수리학적 체류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하수처리장치 | |
KR100402304B1 (ko) | 내부순환형 생물학적 하·폐수 처리장치 및 방법 | |
CN208454610U (zh) | 一种用于生活污水处理的强化脱氮除磷循环式生物膜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107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2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1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2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2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2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2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