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96918B1 - 14번-위치에서 기능화된 탁산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14번-위치에서 기능화된 탁산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918B1
KR101096918B1 KR1020057003994A KR20057003994A KR101096918B1 KR 101096918 B1 KR101096918 B1 KR 101096918B1 KR 1020057003994 A KR1020057003994 A KR 1020057003994A KR 20057003994 A KR20057003994 A KR 20057003994A KR 101096918 B1 KR101096918 B1 KR 1010969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group
compound
mmol
iii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3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5540A (ko
Inventor
가브리엘 폰타나
에지오 봄바르델리
알트로 바타글리아
에레오노라 바르델리
안드레아 구에리니
마리아 루이사 젤미
지아코모 카렌지
도나토 포카
Original Assignee
인데나 에스피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데나 에스피아 filed Critical 인데나 에스피아
Publication of KR20050035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5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91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our-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05/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our-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Epoxy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식(Ⅰ)의 13-케토바카틴 유도체의 14번-위치에서 기능화시켜 구조식(Ⅱ)의 유도체를 제조하는 공정에 관한 것으로, 치환체는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같다.
구조식(Ⅱ)에서 구조식(Ⅲ)으로의 전환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치환체는 명세서에 정의된 바와같다.
Figure 112005012370013-pct00073
탁산유도체.

Description

14번-위치에서 기능화된 탁산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Taxane derivatives functionalized at the 14-position and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신규한 13-케토바카틴 Ⅲ과 탁산유도체 그리고 그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제출원공개특허 제WO 94/22856호에는 관용의 탁산류와 비교하여 항종양효과가 개선된 14-하이드록시-탁산류가 개시되어 있다. 전기 14-하이드록시 유도체중에 하나인, IDN 5109 화합물은 현재 개선된 임상실험이 추진중에 있다. 전기 14-하이드록실화된 유도체는 천연 14-하이드록시 바카틴으로부터 쉽게 제조될 수 있다. IDN 5109 동족체는 14번-위치에서 하이드록실이 아닌 다른 치환체를 갖으며, 그들은 놀랍게도 탁산 저항성 종양뿐만 아니라 MDR 세포선까지도 유효하다는 생물학적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본 발명의 유도체들은 13-케토바카틴 Ⅲ 화합물을 에놀화하고 적당한 그룹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적당한 친전자성 물질로 처리하여 얻을 수 있다. 하기와 같이, 계속하여 C13 카르보닐을 환원시키고, 이소세린 체인으로 에스텔화시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7번-위치가 보호된 13-케토바카틴 Ⅲ은 12,13-이소탁산류 화합물(윅니엔스키 등, 미국특허 제5,821,363호 참조), 13번-위치(메니신쉐리등, WO 9614308호 참조) 및 C환과 D환(두보이스등, Tetrahedr. Lett. 2000, 41, 3331-3334; 유토등., Chem. Pharm. Bull. 1997, 45(12), 2093-2095 참조) 위치에서 개선된 신규한 탁산류 화합물의 중요한 중간체로서 매우 흥미있는 화합물이다.
7번-위치가 보호된 13-케토바카틴 Ⅲ은 탁솔과 그의 동족체의 토탈합성연구에서 중요한 중간체이다(니콜라우등, J. Am. Chem. Soc. 1995, 117, 624-633; 니콜라우등, 1995, 117, 2409~2420; 니코라우등, 미국특허 제5,504,222호 참조).
7번-위치가 보호된 13-케토바카틴 Ⅲ의 몇몇 개량체들, 즉 하이드라존류 및 옥심류등은 보고된바 있으며,(메니신쉐리등, WO 9614308호; 메니신쉐리등, Med. Chem. Res. (1996), 6(4), 264-292 참조), 산화제로 직접 처리하던가(봄바르델리등, WO 0212215호; 해리만 등, Tetrahedr. Lett. 1995, 36(49), 8909~8912 참조), 환원제로 직접 처리하여 얻는다(마더등, Tetrahedr. 1995, 51(7), 1985-1994 참조). 13, 14-위치에서 에놀화 반응(enolization)은 지금까지는 기재된바 없는 반면, 염기에 의한 재배열반응(rearrangement reactions)은 개시된바 있다(핀치로리등, Tetrahedr. Lett. 1996, 37(52), 9365-9368; 유와 류, Tetrahedr. Lett. 1997, 38(23), 4133-4136 참조).
또 다른 관점에서 본원발명은 13-케토바카틴 Ⅲ의 13,14번 위치에서 에놀화 반응시켜 추가적인 동화작용(elaboration)에 충분히 안정한 중간체를 제조하는 방 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다음 일반구조식(Ⅲ)을 갖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5012370013-pct00001
상기 식에서,
X는 -N3, -NH2, -NH-R3, =CH-R8, 또는 -O-R3이고 이때 R6는 페닐이 아니며;
R2는 수소 또는 아실이고;
R3는 C1-C4 알콕시카르보닐 또는, R4와 함께, 카르보닐, 티오카르보닐, SO, SO2 그룹을 형성하며;
R4는 수소 또는 R3 또는 R8와 함께, R3와 R8의 각각의 정의에서 정한 그룹을 형성하고;
R5는 수소 또는 알콜-보호그룹이며;
R6는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이며, 단 X가 -O-R3일 때 페닐은 아니고;
R8은 수소, C1-C4 알킬, C1-C4 알콕시카르보닐 또는, R4와 함께 카르보닐 그룹을 형성하며;
R9는 아실 또는 하이드록시아미노아실 그룹이다.
구조식(Ⅲ) 화합물은, 구조식(Ⅰ)의 13-케토바카틴 Ⅲ 유도체를 변환시켜 얻을 수 있는 구조식(Ⅱ) 화합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Figure 112005012370013-pct00002
상기 구조식(Ⅰ)과 (Ⅱ)에서,
R1은 알콜-보호그룹이고;
R2는 아실 그룹 또는 알콜-보호그룹이며;
E는 -OH, -O-R3, =N2, -N3, -NH2, -NH-R3, -NH-NH2, -NH=N=N-Ts, -NH=N=N-Boc, -N(CO2R7)NHCO2R7, =CH-R8이고;
Ts는 p-톨루엔설포닐이며;
R3는 C1-C4 알콕시카르보닐 또는, R4와 함께 카르보닐, 티오카르보닐, SO, SO2 그룹을 형성하고;
R4는 수소 또는, R3 또는 R8와 함께 R3 와 R8의 각각 정의에서 정한 그룹을 형성하며;
R5는 수소 또는 알콜-보호그룹이고;
R6은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이며,
R7은 C1-C4 알킬, 아릴 또는 아릴알킬 그룹이고;
R8은 수소, C1-C4 알킬, C1-C4 알콕시카르보닐 또는, R4와 함께 카르보닐 그룹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구조식(Ⅲ) 화합물은 여러 기원의 종양 신생물(neoplasis) 치료에 유용하며, 특히 난소, 유방, 폐, 결장, 뇌와 같은 기관의 종양(tumors) 치료는 물론 백혈병(leukemia)과 흑색종(melanoma) 치료에 유용하다.
구조식(Ⅰ),(Ⅱ) 및 (Ⅲ)의 화합물들에 있어서, 아실(acyl) 그룹으로는 직쇄 또는 가지쇄의 C2-C6 지방족 아실 그룹, 또는 하나 또는 둘이상의 C1-C4 알킬 그룹, C1-C4 알콕시 그룹, 할로겐으로 임의 치환된 벤조일 그룹이 바람직하고; 아릴(aryl)은 페닐이 바람직하며; 치환된 아릴(substituted aryl)은 하나 또는 둘이상의 C1-C4 알킬 그룹, C1-C4 알콕시 그룹,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페닐이 바람직하고; 헤테로아릴(heteroaryl)은 2-, 3- 또는 4-피리딜, 2- 또는 3-후릴, 2- 또는 3-티오닐이 바람직하며; 아릴알킬(arylalkyl)은 벤질이 바람직하고; 하이드록시아미노아실(hydroxyaminoacyl) 그룹은 아미노 그룹에서 벤조일 또는 C1-C4 알콕시카르보닐 그룹으로 치환된 β-이소부틸이소세린 또는 페닐이소세린잔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식(Ⅱ) 화합물에 있어서, E가 -OH, =N2, -N3, -NH-N=N-Ts, -NH-N=N-Boc, -N(CO2R7)NHCO2R7, =CH-R8인 화합물들은 구조식(Ⅰ)의 적당한 13-케토바카틴 Ⅲ 보호유도체를 다음 공정에 따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a) 구조식(Ⅰ) 화합물을 염기로 처리하여 구조식(Ⅳ)의 에놀화합물(여기서, M은 알카리금속)을 얻고;
b) 구조식(Ⅳ)의 에놀화합물을 적당한 친전자성 물질로 처리하여 E 그룹으로 전환된 구조식(Ⅱ) 화합물을 얻는 것이다.
반응시킴
Figure 112005012370013-pct00003
a) 공정에서의 에놀화합물(enolate)의 형성은 보호된 13-케토바카틴 Ⅲ을 포타슘-t-부톡사이드, 포타슘비스(트리메틸실릴) 아마이드, 리튬디이소푸로필아민과 같은 염기로,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또는 디에틸에텔 또는 이들 혼합물과 같은 불활성용매중에서, 헥사메틸포스포아마이드(HMPA) 또는 1,3-디메틸-3,4,5,6-테트라하이드로-2[1H]-피리미디논(DMPU)과 함께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반응은 -40 내지 -78 ℃ 온도범위에서 수행함이 적당하다.
특히, 바람직한 보호그룹은 실릴에틸류, 아세탈류, 에텔류, 카르보네이트류 및 카바메이트류이다.
출발물질인 13-케토바카틴 Ⅲ(구조식(Ⅰ) 화합물)은 적당한 보호된 바카틴을 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은 관용의 산화제(oxidizers)와 반응시켜 쉽게 얻을 수 있다.
2번 위치에 상이한 벤조에이트그룹을 갖는 7번 위치가 보호된 13-케토바카틴 Ⅲ은 오지마(Ojima) 등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J. Am. Chem. Soc. 2000, 122, 5343~5353 참조).
실시예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R1은 통상 tert-부톡시카르보닐(Boc), 트리에틸실릴(TES) 또는 2-메톡시푸로판(MOP)이고, 그리고 R2는 통상 아세틸이지만, 다른 균등그룹이 유사한 화합물을 제조하는데 관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반응스킴에 따라, b) 공정중 에놀화합물(구조식(Ⅳ) 화합물)을, 반응상태 그대로, 옥사지리딘류 화합물(예를들면, N-벤젠설포닐페닐옥사지리딘, N-벤젠설포닐 m-니트로페닐옥사지리딘 및 캄포설포닐옥사지리딘), 디아자디카르복실레이트류(예를들면, 디-tert-부틸-디아자디카르복실레이트 및 디벤질디아자디카르복실레이트), p-톨루엔설포닐아자이드, t-부톡시카르보닐아자이드, 알데히드류(예를들면, 아세트알데히드, 에틸글리옥실레이트)와 같은 친전자성물질로 반응시켜, E가 -OH, -NH-N=N-Ts, -NH-N=N-Boc, -N(CO2R7)NHCO2R7, =CH-R8인 구조식(Ⅱ)의 13-케토바카틴 Ⅲ 화합물을 얻는다.
친전자성 물질로 p-톨루엔설포닐아자이드를 사용할 때는 E가 -NH=N=N-Ts(또는 N=N-NHTs 토토머)인 제품과 E가 N3 또는 N2인 분해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반응의 쿠엔칭조건은 주로 제품 단하나의 직접적 반응으로 조절될 수 있다. 따라서, 토실아지도(tosylazido) 유도체는 디클로로메탄 또는 에틸아세테이트와 같은 극성비양성자성용매(polar aprotic solvent)로 추출하여 조제품(crude product)으로부터 회수될 수 있다. 디아조(diazo) 유도체는 극성비양성자성 용매 중에서 오랜 시간, 임으로 가열하면서, 반응조원료(reaction crude)를 저어주면서 얻을 수 있다. 아지도(azido) 유도체는 반응조원료(reaction crude)를 THF중의 빙초산과 DMPU 또는 HMPA 혼합물과 같은 양성자성 용매로 처리하고 즉시, 아자이드 공여물질을 첨가시켜 얻을 수 있다.
에틸글리옥실레이트(ethyl glyoxylate)를 친전자성 물질로 사용할 때에는, C1 하이드록시 그룹에서 카브에톡시 그룹의 수반개시로 클로톤성 축합반응을 실시하여 α,β-불포화 γ-락톤을 얻는다.
변형적인 방법으로, 에놀화합물(Ⅳ)은 실릴화(예를들면, 트리-이소푸로필실릴클로라이드), 아실화(예를들면, 디-tert-부틸피로카르보네이트), 알킬화(예를들면, 디메틸설페이트 또는 메틸아이오다이드) 또는 포스포릴화시켜 구조식(Ⅴ)의 에놀유도체(Ⅴ)을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05012370013-pct00004
상기 식에서,
R10은 아실, 알킬, 트리알킬실릴 또는 포스페이트이고, 그리고 R1, R2 및 R6은 앞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구조식 화합물(Ⅴ)는 또한 트리에틸아민 또는 피리딘과 같은 약염기로 메틸렌클로라이드, 톨루엔 또는 그들의 혼합물과 같은 비양성자성 용매 중에서 구조식(Ⅱ)의 케톤화합물을 에놀화(enolization) 시켜 쉽게 제조될 수 있다. 구조식(Ⅴ) 화합물은 적당한 조건하 친전자성물질로 처리하여 구조식(Ⅱ)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방법으로 14번-위치에 도입된 그룹은 14번 위치에서 기능화된 다른 13-케토바카틴 Ⅲ 유도체를 얻기 위하여 추가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E가 -N(CO2R7)NHCO2R7인 구조식(Ⅱ) 화합물은 관용의 방법에 따라 데카르복실화하여 대응하는 하이드라지노(hydrazino) 유도체(여기서, E는 -NH-NH2이다)로 전환시킬 수 있다.
E가 -N3인 구조식(Ⅱ) 화합물은 수용성 매질중 트리페닐포스핀 또는 적당한 용매 중 H2-Pd/c와 같은 환원시스템의 방법으로 아민 화합물(E=NH2)로 쉽게 환원된다.
E가 -OH 또는 -NH2인 구조식(Ⅱ) 화합물은 카르보네이트화(예를들면, 카르보닐디이미다졸, 포스겐 또는 트리포스겐), 티오카르보네이트화(예를들면, 티오카르보닐디이미다졸, 티오포스겐) 또는 설포릴화(예를들면, 설포닐클로라이드 또는 티오닐 클로라이드) 시약으로 처리하여 E가 -OR3 또는 -NHR3인 구조식(Ⅱ)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반응은 통상 염소화된 용매 중에서 염기(예를들면, 피리딘 또는 트리에틸아민) 존재하 -40 ℃ 내지 70 ℃의 온도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E가 -OH 또는 -NH2인 구조식(Ⅱ) 화합물은 약염기 존재하 알킬할라이드류 또는 벤질할라이드류와 같은 시약으로 알킬화시킬 수 있다.
구조식(Ⅱ) 화합물은 발명의 구조식(Ⅲ) 화합물의 주요 합성중간체화합물이다. 특히, 화합물(Ⅲ)은 E가 -O-R3, -N3, -NH-R3, =CH-R8이고 R1, R4, R6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구조식(Ⅱ) 화합물로부터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05012370013-pct00005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a) C13번-위치의 카르보닐을 환원시켜 구조식(Ⅶ) 화합물을 얻고;
Figure 112005012370013-pct00006
상기 식에서,
X는 -O-R3, -N3, -NH-R3, -CH2-R8 이고;
Y와 Z는 수소 또는 X가 -CH2-R8 일때 함께 이중결합을 형성할 수 있으며, 다른 그룹은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b) 구조식(Ⅸ)의 산유도체로 13번-위치를 에스텔화하여 구조식(Ⅷ) 화합물을 얻으며,
Figure 112005012370013-pct00007
상기 식에서,
R4, R5, R6, R9는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고;
X는 -O-R3, -N3, -NH-R3, =CH2-R8 이며;
c) 보호그룹을 임의 절단하는 공정으로 구성된다.
공정 a)에서 C13번 위치의 케톤의 환원반응은 소디움 보로하이드라이드, 리튬 보로하이드라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 보로하이드라이드, 테트라에틸암모늄 보로하이드라이드, 소디움 트리아세톡시 보로하이드라이드와 같은 적당한 하이드라이드류로 수행한다.
반응은 환원제의 정량적인량으로 수행되지만 통상적으로 과량이 바람직하다. 환원제에 의존적이며, 반응은 알콜류, 에텔류, 알콜류와 에텔류의 화합물 또는 불활성 용매 중에서 -50 ℃ 내지 0 ℃의 온도범위에서 수행한다.
공정 b)에서 C13번-위치의 에스텔화 반응은 카르보디이마이드류(예를들면, 디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마이드 또는 에틸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르보디이마이드)와 같은 축합제 존재하 구조식(Ⅸ)화합물의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대응하는 염과 반응시켜 통상적으로 수행한다.
Figure 112005012370013-pct00008
상기 식에서,
R11과 R13은 같거나 다르며, C1-C6 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이고;
R12는 C1-C6 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 또는 C1-C4 알콕시;
7번-위치가 보호된 바카틴 Ⅲ의 13번-위치에서의 에스텔화를 위한 다른 공지방법 또한 성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공정 c)에서 보호그룹은 관련 보호그룹에 대한 문헌에 기재된 조건하에서 제거될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한 카르복실산은 구조식(Ⅹ)화합물의 N-Boc-이소부틸이소세린 유도체이다.
Figure 112005012370013-pct00009
이 경우, 구조식(Ⅶ) 화합물과 실시예 중에 예시된 반응조건하 커플링시켜 구조식(XI) 화합물을 얻고,
Figure 112005012370013-pct00010
7번-위치에서 선택적 탈보호시켜 구조식(XⅡ)화합물을 얻으며,
Figure 112005012370013-pct00011
옥사졸리딘(oxazolidine) 환을 개환시켜 구조식(XⅢ)화합물을 얻는 것이다.
Figure 112005012370013-pct00012
상기 식에서,
X, R3, R4, 및 R6는 위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이 경우 C13번 위치에서의 에스텔화 반응은 구조식(Ⅹ)의 카르복실산으로 수행하고, C7번 위치에서의 탈보호반응은 옥사졸리딘 개환전에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X가 -N3인 구조식(XI)화합물 유도체는 특히, 구조식(XⅣ) 화합물의 제조용 중간체로 유용하다.
Figure 112005012370013-pct00013
상기 식에서,
R3는 수소, 아실, 알킬 또는, R4와 함께 C=O, C=S, SO, SO2 그룹을 형성하고;
R4는 수소 또는 R3와 함께 C=O, C=S, SO, SO2 그룹을 형성한다.
위에 기재된 방법과 다른 제조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a) 14번 위치의 아지도 그룹을 환원시켜 구조식(XⅤ) 화합물을 얻고,
Figure 112005012370013-pct00014
b) 임의로 아실화 반응 또는 알킬화 반응시켜 구조식(XⅥ) 화합물을 얻은 다음,
Figure 112005012370013-pct00015
c) C7번 위치의 보호그룹을 절단하고 옥사졸리딘을 개환시켜 구조식(XⅣ) 화합물을 얻는다.
상기 구조식(XⅣ), (XⅤ) 및 (XⅥ)화합물에서, R3, R4, R5 및 R6은 위에서 언급된 정의와 동일하다.
기재되는 치료적용도를 위하여, 구조식(Ⅲ) 화합물은 적당한 약제학적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주로 비경구루트로, 상업적으로 유용한 다른 탁산유도체(예를들면, 파크리탁셀 및 도세탁셀)와 함께 임상실험에서 이미 사용된 유사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상세하게 설명한 것이다.
실시예 1
7-복-13-케토바카틴 Ⅲ(7-Boc-13-ketobaccain Ⅲ)
CH2Cl2(0.5 mL)의 13-케토바카틴 Ⅲ(1.10 g, 1.9 mmol) 용액을 카본 테트라클로라이드(14 ml)에 첨가 시켰다. 바카틴 유도체의 부분적인 침전이 일어난다. 그 후, 1-메틸이미다졸(1-methylimidazole)(23 ㎕, 0.28 mmol)와 디-터트-부틸-디카보네이트(di-tert-butyl-dicarbonate)(1.03 g, 4.7 mmol)이 휘저어가며 아르곤(argon) 흐름 하에서 첨가시켰다. 8 시간 후, 추가하여 1-메틸-이미다졸(1-methyl-imidazole)(16.0 L, 0.20 mmol)을 첨가시켰다. 용액을 25 에서 24 시간 동안 방치한 후, 용매를 감소된 압력 하에서 증발시켰다. 유성 잔여물은 1 : 1 아세톤(acetone)/물 혼합물(10 mL)에서 용해시키고, 20 ℃에서 약 16 시간동안 방치시켰다. 침전물은 표제 산물 1.12 g 을 얻기 위해, 여과되고, n-펜탄(n-pentane)으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모액을 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y)(SiO2, n-헥산(n-hexane)/EtOAc, 1.5 : 1.0) 하여 0.12 g 이상의 산물을 추가로 얻었다. 그렇게 하여 1.24 g의 산물을 얻었다(1.81 mmol, 95 %). [α]D 20 = -35.6˚(c 1.05, CHCl3); IR (CDCl3, cm-1): 3483, 1731, 1676, 1371, 1274 ;
Figure 112005012370013-pct00016
실시예 2
7-테스-13-케토바카틴 Ⅲ(7-TES-13-ketobaccatin Ⅲ)
13-케토바카틴 Ⅲ(13-ketobaccatin Ⅲ)(5 g, 8.5 mmol), 트리에틸 실릴 클로 라이드(triethyl silyl chloride)(3.6 mL, 21.4 mmol, 2.5 eq)와 N-메틸이미다졸(N-methylimidazole)(2.73 mL, 34.3 mmol, 4 eq)을 무수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25 mL)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실온에서 1.5 시간 동안 교반 하에서 방치하고, 2M NaHSO4 용액 (25 mL)에 조심스럽게 부어 냉각시켰다. 수성 상은 DCM(2 x 10 mL)으로 반복적으로 추출하고, 모은 유기 상은 소금물(2 x 2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상은 소디움 설페이트(sodium sulfate)로 건조되고, 용매는 더 이상의 세정없이 다음 단계에서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표제 산물 4.7 g 을 얻기 위해 증발시켰다. M.p.: 212 ℃. TLC : cHex-AcOEt 1 : 1, Rf = 0.57.
Figure 112005012370013-pct00017
실시예 3
14β-아지도-7-복-13-케토바카틴 Ⅲ(14β-azido-7-Boc-13-ketobaccatin Ⅲ)
THF(1.8 mL)와 DMPU(0.8 mL)의 7-복-13-케토바카틴 Ⅲ(7-Boc-13-ketobaccatin Ⅲ) (0.149 g, 0.22 mmol) 용액을 -75 ℃에서 무수 THF(1.5 mL)에 포타슘 터트-부톡사이드(potassium tert-butoxide)(0.064 g, 0.568 mmol) 현탁액에 2분 동안, 질소 흐름과 강한 교반 하에서 첨가시켰다. 15분 후, 0.7 ml의 THF에 용 해된 0.063 g(0.33 mmol)의 토실아지드를 -75 ℃에서 2분 동안 첨가시켰다. 2시간 후, 온도를 -50 ℃로 상승시키고, 반응물을 빙초산(glacial acetic acid) 0.057 mL(1.00 mmol) 중에 첨가시켜 냉각시켰다. 온도를 천천히 20 ℃로 상승시키고, 19 시간 후에 반응 혼합물을 Et2O 15 ml로 희석시키고, NH4Cl 수성 포화 용액 10 ml로 추출시켰다. 유기 상은 물로 3 번 세척하고,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소된 압력 하에서 증발시켰다. 잔여물(SiO2, n-헥산(n-hexane)/EtOAc, 1.7 : 1.0)을 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y)하여 표제 산물 0.080 g(0.10 mmol, 50 %)을 얻었다. IR (KBr, cm-1): 2976, 2935, 2122, 1731, 1272 ;
Figure 112005012370013-pct00018
실시예 4
14-디아조-7-복-13-케토바카틴 Ⅲ(14-diazo-7-Boc-13-ketobaccatin Ⅲ)와 14-β-(1-ρ-톨루엔설포닐)트리아제닐-7-복-13-케토바카틴 Ⅲ(14-β-(1-ρ-toluensulfonyl)triazenyl-7-Boc-13-ketobaccatin Ⅲ)
THF(0.7 mL)와 HMPA(0.2 mL)의 7-복-13-케토바카틴 Ⅲ(7-Boc-13-ketobaccatin Ⅲ)(0.03 g, 0.04 mmol) 용액을 -75 ℃에 무수 THF(0.7 mL)에 포타슘 터트-부톡사이드(potassium tert-butoxide)(0.013 g, 0.04 mmol)의 현탁액에 2 분 동안, 질소 흐름과 강한 교반 하에서 첨가시켰다. 15 분 후, 0.2 ml의 THF에 용해 된 0.013 g(0.07 mmol)의 토실아지드를 -75 ℃에서 2분 동안 첨가시켰다. 2 시간 후, 온도를 -50 ℃로 상승시키고, 반응물을 NH4Cl 포화 용액 5.0 ml를 첨가하고 냉각시켰다. 온도를 천천히 20 ℃로 상승시키고, 반응 혼합물은 Et2O 3.0 ml로 희석시키고, NH4Cl 수성 포화 용액 6.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은 물로 3 번 세척하고,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소된 압력 하에서 증발시켰다. 잔여물을 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y)(SiO2, n-헥산(n-hexane)/EtOAc, 1.7 : 1.0)하여 0.080 g(0.10 mmol, 45 %)의 7-복-14-디아조-13-케토바카틴 Ⅲ(7-Boc-14-diazo-13-ketobaccatin Ⅲ)과 14β-(1-ρ-톨루엔설포닐)트리아제닐-7-복-13-케토바카틴 Ⅲ(14β-(1-ρ-toluensulfonyl) triazenyl-7-Boc-13-ketobaccatin Ⅲ)(0.025 g, 0.028 mmol, 13 %)이 3 : 1인 토토머 혼합물을 얻었다.
14-디아조-7-복-13-케토바카틴 Ⅲ :
Figure 112005012370013-pct00019
14- -(1- -톨루엔설포닐)트리아제닐-7-복-13-케토바카틴 Ⅲ :
Figure 112005012370013-pct00020
실시예 5
14β-아미노-7-복-13-케토바카틴 Ⅲ(14β-amino-7-Boc-13-ketobaccatin Ⅲ)
아세토니트릴-물의 비가 7 : 3인 1.5 ml에 녹인 0.04 g(0.05 mmol)의 14β-아지도-7-복-13-케토바카틴 Ⅲ(14β-azido-7-Boc-13-ketobaccatin Ⅲ) 용액을 0.013 g(0.05 mmol)의 트리페닐포스핀(triphenylphosphine)에 첨가시켰다. 두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감소된 압력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존물을 크로마토그래피(SiO2, n-헥산(n-hexane)/EtOAc, 1.4 : 1.0)하여 0.024 g(0.03 mmol, 71 %)의 표제 산물을 얻었다.
Figure 112005012370013-pct00021
실시예 6
14β-아지도-7-테스-13-케토바카틴 Ⅲ(14β-azido-7-TES-13- ketobaccatin Ⅲ)
질소 흐름 하에서 THF 7.5 ml와 DMPU 3.7 ml의 7-TES-13-케토바카틴 Ⅲ(7-TES-13-ketobaccatin Ⅲ) 1.40 g(2.0 mmol)의 용액을 -78 ℃에서 THF의 포타슘 터트-부톡사이드(potassium tert-butoxide) 1.0 M 용액 5.2 ml에 강한 교반 하에서 2 분 동안 첨가시켰다. 10 분 후, THF 5.8 ml에 용해된 토실아지드 0.70 g(3.6 mmol)을 같은 온도에서 매우 천천히 첨가시켰다. 반응물을 1 시간 30 분 후에 아세트산 0.5 mL(9.2 mmol)을 첨가한 후 냉각시켰다. 온도는 자발적으로 실온에 도달시켰다. 24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Et2O 50 mL에 희석시키고, NH4Cl 수성 포화 용액 50 mL로 추출하였다. 결과 유기 상은 3 번 H2O로 세척하고, 건조하고, 여과시키고 감소된 압력 하에서 농축시킨다. 잔존물을 크로마토그래피(SiO2, n-헥산(n-hexane)/EtOAc/ Et2O, 1.8 : 0.7 : 0.4)하여 표제 산물 1.12 g(1.5 mmol, 76 %)을 얻었다. IR (KBr, cm-1): 3600-3100, 2956, 2878, 2117, 1730, 1370, 1238 ;
Figure 112005012370013-pct00022
실시예 7
14-디아조-7-테스-13-케토바카틴 Ⅲ(14-diazo-7-TES-13- ketobaccatin Ⅲ)와 14β-(1-ρ-톨루엔설포닐)트리아제닐-7-TES-13-케토바카틴 Ⅲ(14β-(1-ρ-toluensulfonyl)triazenyl-7-TES-13-ketobaccatin Ⅲ)
THF 3.5 ml와 DMPU 0.6 ml에 녹인 7-테스-13-케토바카틴 Ⅲ(7-TES-13- ketobaccatin Ⅲ) 0.22 g(0.32 mmol) 용액을 -78 ℃에서 THF의 포타슘 터트-부톡사이드(potassium tert-butoxide) 1.0 M 용액 0.8 ml에 강한 교반 하에서 천천히 첨가시켰다. 15 분 후, THF 0.9 ml에 용해된 토실아지드(tosylazide) 0.11 g(0.58 mmol)을 -70 ℃에서 주사기로 첨가시켰다. 온도는 20 분 내에 -50 ℃에 이르게 한다. 반응물을 NH4Cl 수성 포화 용액 4 ml에 첨가시킨 1 시간 후 냉각시켰다. 온도를 20 ℃에 이르게 하고, 반응 혼합물은 Et2O 3 ml에 용해시키고, NH4Cl 수성 포화 용액 2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은 물로 3 번 세척하고, 건조하고, 여과시키고 감소된 압력 하에서 농축시켰다. 잔존물을 크로마토그래피(SiO2, n-헥산(n-hexane)/ EtOAc, 2.1 : 1.0)하여 0.092 g(0.13 mmol, 40 %)의 7-테스-13-케토-14-디아조-바카틴 Ⅲ(7-TES-13-keto-14-diazo-baccatin Ⅲ)과 7-테스-13-케토-14β-(1-ρ-톨루엔설포닐)트리아제닐-바카틴 Ⅲ(7-TES-13-keto-14β-(1-ρ-toluensulfonyl) triazenyl-baccatin Ⅲ) 0.062 g(0.07 mmol, 23 %)을 토토머 혼합물로서 얻었다.
14-디아조-7-테스-13-케토바카틴 Ⅲ :
Figure 112005012370013-pct00023
14β-(1-ρ-톨루엔설포닐)트리아제닐-7-테스-13-케토바카틴 Ⅲ :
Figure 112005012370013-pct00024
실시예 8
14β-아지도-7-테스-바카틴 Ⅲ(14β-azido-7-TES-baccatin Ⅲ)
THF 0.7 ml와 에탄올 12 ml에 녹인 14β-아지도-7-테스-13-케토바카틴 Ⅲ(14β-azido-7-TES-13-ketobaccatin Ⅲ) 0.46 g(0.63 mmol)의 용액을 -40 ℃에서 강한 교반 하에 소량의 소디움 보로하이드라이드(sodium borohydride) 0.47 g(12.5 mmol)에 첨가시켰다. 온도는 자발적으로 -28 ℃로 상승시켰다. 4 일 후, 반응물을 아세트산 2 ml를 첨가하고 냉각시킨 다음에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15 ml로 3 번 추출하였다. 유기 상은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소된 압력 하에서 증발시켰다. 조원료(crude)를 크로마토그래피(SiO2, n-헥산(n-hexane)/EtOAc, 2.1 : 1.0)하여 표제 산물 0.33 g(0.44 mmol, 70 %)을 얻었다. IR (KBr, cm-1): 3600-3300, 2956, 2881, 2112, 1728, 1371, 1233 ;
Figure 112005012370013-pct00025
실시예 9
13-[N-복-N,O-(2,4-디메톡시벤질리덴)-β-이소부틸이소세리노일]-14β-아지도-7-테스-바카틴 Ⅲ(13-[N-Boc-N,O-(2,4-dimethoxybenzylidene)-β-isobutylisoserinoyl]-14β-azido-7-TES-baccatin Ⅲ)
0 ℃로 냉각된, 톨루엔 5 ml에 N-복-N,O-(2,4-디메톡시벤질리덴)-β-이소부틸이소세린산 0.074 g(0.18 mmol)의 용액을 질소 흐름과 교반 하에서 7-테스-14β-아지도-바카틴 Ⅲ 0.08 g(0.11 mmol),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DCC) 0.04 g(0.18 mmol), 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 0.01 g(0.12 mmol), ρ-톨루엔설폰산(PTSA) 0.003 g(0.02 mmol)에 첨가시켰다. 1 시간 후, 70 ℃에서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여과시킨 다음, 고체는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으로 3 번 세척하였다 ; 모은 유기 상은 계속하여 감소한 압력 하에서 증발시켰다. 반응 조원료를 크로마토그래피(SiO2, n-헥산(n-hexane)/EtOAc, 2.2 : 1.0)하여 표제 산물 0.089 g(0.08 mmol, 72 %)을 얻었다.
Figure 112005012370013-pct00026
실시예 10
13-(N-복-β-이소부틸이소세리노일)-14β-아지도-바카틴 Ⅲ(13-(N-BoC-β-isobutylisoserinoyl)-14β-azido-baccatin Ⅲ)
아세토니트릴 2 ml와 피리딘 2 ml에 녹인 13-[N-복-N,O-(2,4-디메톡시벤질리덴)-β-이소부틸이소세리노일]-14β-아지도-7-테스-바카틴 Ⅲ 0.080 g(0.07 mmol)의 용액을 0 ℃에서 불화수소산-피리딘(hydrofluoric acid-pyridine) 0.8 mL(기질의 0.1 mL/10 mg)에 첨가시켰다. 30 분 후, 온도는 25 ℃에 이르게 한다. 3 시간 후에 반응물을 NH4Cl 포화 용액 4 ml를 첨가하여 냉각시키고, AcOEt 8 ml로 세 차례 추출한다. 유기 상은 CuSO4 수성 포화 용액으로 3번 세척하고, 건조하고, 여과시키고, 감소된 압력 하에서 증발시킨다. 얻어진 반응 조원료(디클로로메탄 1.5 ml에 용해된)를 0 ℃에서 MeOH의 아세틸 클로라이드 0.1 M 용액 0.7 ml에 첨가시킨다. 3 시간 후, 반응물을 NH4Cl 수성 포화 용액 3 ml를 첨가시키고 종료시킨다. 유기 상을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소된 압력 하에서 증발시킨다. 크로마토그래피(SiO2, n-헥산(n-hexane)/EtOAc, 1.0 : 1.2)하여 0.04 g(0.05 mmol, 70 %)의 표제 산물을 얻는다.
Figure 112005012370013-pct00027
실시예 11
14β-아미노-7-테스-13-케토바카틴 Ⅲ(14β-amino-7-TES-ketobaccatin Ⅲ)
아세토니트릴/물이 9/1로 혼합된 용액 3.2 ml에 녹인 14β-아지도-7-테스- 13-케토바카틴 Ⅲ 0.08 g(0.11 mmol)의 용액을 트리페닐포스핀 0.03 g(0.12 mmol)에 첨가시켰다. 반응물을 5 ℃에서 냉각시키고, 18 시간 후에, 감소된 압력 하에서 증발시켰다. 잔존물을 크로마토그래피(SiO2, n-헥산(n-hexane)/EtOAc/Et2O, 1.8 : 0.7 : 0.3)하여 표제 산물 0.07 g(0.11 mmol, 97 %)을 얻었다: IR (KBr, cm-1): 3500-3100, 3053, 1730, 1438, 1239, 1063 ;
Figure 112005012370013-pct00028
실시예 12
14β-아미노-7-테스-13-케토바카틴 Ⅲ 14,1-카바메이트(14β-Amino-7-TES-13-ketobaccatin Ⅲ 14,1-carbamate)
-78 ℃에서 CH2Cl2 6 mL에 녹인 14β-아미노-7-테스-13-케토바카틴 Ⅲ 0.18 g(0.26 mmol)의 용액을 강 교반 하에서 톨루엔의 1.93 M의 포스겐 용액 0.13 mL(0.26 mmol)와 피리딘 0.04 mL(0.51 mmol)에 첨가시켰다. 1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물 5 ml를 첨가하고 종료시키고, 디클로로메탄 10 ml로 추출하였다 ; 유기 상은 소금물로 3 번 세척하고, 건조하고, 여과시키고, 감소된 압력 하에서 증발시켰다. 크로마토그래피(SiO2, n-헥산(n-hexane)/EtOAc/Et2O, 1.8 : 0.7 : 0.3)하여 표제 산물 0.16 g(0.22 mmol, 86 %)을 얻었다. IR (KBr, cm-1): 3342, 2955, 1731, 1452, 1238, 1090 ;
Figure 112005012370013-pct00029
실시예 13
14β-아미노-7-테스-바카틴 Ⅲ 14,1-카바메이트(14β-amino-7-TES-baccatin Ⅲ 14,1-carbamate)
-40 ℃에서 에탄올 4 ml에 녹인 14β-아미노-7-테스-13-케토바카틴 Ⅲ 14,1-carbamate 0.07 g(0.1 mmol)의 용액을 강 교반 하에서, 소디움 보로하이드라이드 0.056 g(1.49 mmol)에 첨가시켰다. 온도는 -18 ℃에 이르게 하고, 4 시간 후, 소디움 보로하이드라이드 0.04 g(1.0 mmol)을 첨가시켰다. 18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은 아세트산 2 ml를 첨가하여 종료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 10 ml로 추출한다. 유기 상은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소된 압력 하에서 증발시킨다. 잔사의 1H-NMR 스펙트럼은 14β-아미노-7-테스-바카틴 Ⅲ 14,1-카바메이트와 그의 13β 에피머의 α/β=62/38 비율로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혼합물을 크로마토그래피(SiO2, 디클로로메탄/EtOAc, 1.0 : 0.9)하고 표제 화합물 0.04 g(0.06 mmol, 62 %)을 얻었다.
Figure 112005012370013-pct00030
실시예 14
13-[N-복-N,O-(2,4-디메톡시벤질리덴)-β-이소부틸이소세리노일]-14β-아미노-7-테스-카바틴 Ⅲ 14,1-카바메이트(13-[N-Boc-N,O-(2,4-dimethoxybenzylidene)-β-isobutylisoserinoyl]-14β-amino-7-TES-baccatin Ⅲ 14,1-carbamate)
0 ℃에서 냉각된 톨루엔 6 ml에 녹인 N-복-N,O-(2,4-디메톡시벤질리덴)-β-이소부틸이소세린 0.124 g(0.30 mmol)의 용액을 7-테스-14β-아미노-바카틴 Ⅲ 14,1-카바메이트 0.102 g(0.14 mmol)과 디사이클로헥실카보디이미드(DCC) 0.06 g(0.30 mmol), 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 0.02 g(0.15 mmol)과 ρ-톨루엔설폰산(PTSA) 0.005 g(0.03 mmol)에 교반과 질소 흐름 하에서 첨가시켰다. 2 시간 후 70 ℃에서, 거기에 N-복-N,O-(2,4-디메톡시벤질리덴)-β-이소부틸이소세린 0.045 g(0.11 mmol)과 DCC 0.022 g(0.11 mmol)을 첨가시켰다. 그 뒤 3 시간 후, 반응물을 냉각시키고, 여과하였다. 고체는 디클로로메탄으로 3 번 세척하였다 ; 모은 유기 상은 감소된 압력 하에서 계속해서 농축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크로마토그래피(SiO2, n-헥산(n-hexane)/EtOAc/CH2Cl2, 1.0 : 0.6 : 0.6)하여 표제 산물 0.136 g(0.12 mmol, 86 %)를 얻었다.
Figure 112005012370013-pct00031
실시예 15
13-(N-복-β-이소부틸이소세리노일)-14β-아미노-바카틴 Ⅲ 14,1-카바메이트(13-(N-Boc-β-isobutylisoserinoyl)-14β-amino-baccain Ⅲ 14,1-carbamate)
디클로로메탄 1.6 ml에 녹인 13-N-복-N,O-(2,4-디메톡시벤질리덴)-β-이소부틸이소세리노일]-14β-아미노-7-테스-바카틴 Ⅲ 14,1-카바메이트 0.114 g(0.10 mmol)의 용액을 0 ℃에서 메탄올의 0.01 M 아세틸 클로라이드 용액 1.02 ml에 첨가 시켰다. 24 시간 후 5 ℃에서, 반응 혼합물을 NH4Cl 수성 포화 용액 7 ml를 첨가하고 종료한 다음, AcOEt 10 ml로 추출하였다. 모은 유기 상은 계속해서 건조시키고, 감소된 압력 하에서 농축시켰다. 크로마토그래프 정제(SiO2, n-헥산(n-hexane)/ EtOAc/Et2O, 1 : 0.7 : 0.3)하여 표제 산물 0.06 g(0.061 mmol, 66 %)을 얻었다.
Figure 112005012370013-pct00032
실시예 16
13-[N-복-N,O-(2,4-디메톡시벤질리덴)-β-이소부틸이소세리노일]-7-테스-14β-아미노-바카틴 Ⅲ(13-[N-Boc-N,O-(2,4-dimethoxybenzylidene)-β-isobutylisoserinoyl]-7-TES-14β-amino-baccatin Ⅲ)
약용탄(charcoal)의 팔라디움(palladiul) 촉매량을 MeOH 2.0 ml에 녹인 13-[N-복-N,O-(2,4-디메톡시벤질리덴)-β-이소부틸이소세리노일]-14β-아지도-7-테스-바카틴 Ⅲ 0.052 g(0.05 mmol) 용액에 첨가시키고, 수소 가스를 그 안에 넣어 거품을 일으킨다. 18 시간 후 실온에서, 반응 혼합물을 세라이트 베드(celite bed)를 통해 여과시키고, 고체 상을 에틸 아세테이트 6 ml로 세척하였다. 얻어진 유기 상은 45 ℃에서 20 분 동안 가열하고, 감소된 압력 하에서 계속해서 증발시켰다. 잔존물을 크로마토그래피(SiO2, n-헥산(n-hexane)/EtOAc/CH2Cl2, 0.7 : 0.3 : 1.0)하여 표제 산물 0.72 g(0.064 mmol, 70 %)을 얻었다. IR (KBr, cm-1): 3449, 2957, 1726, 1617, 1368, 1237, 1105 ;
Figure 112005012370013-pct00033
실시예 17
13-(N-복-β-이소부틸이소세리노일)-14β-아미노-바카틴 Ⅲ(13-(N-Boc-β-isobutylisoserinoyl)-14β-amino-baccatin Ⅲ)
아세토니트릴 2.7 ml와 피리딘 2.7 ml에 녹인 13-[N-복-N,O-(2,4-디메톡시벤질리덴)-β-이소부틸이소세리노일]-7-테스-14β-아미노-바카틴 Ⅲ 0.107 g(0.09 mmol)의 용액을 0 ℃에서 불화수소산-피리딘 10.7 mL(기질의 0.1 mL/10 mg)에 첨가시켰다. 30 분 후, 온도는 25 ℃에 도달하도록 하였다. 3 시간 후, 반응물을 NH4Cl 수성 포화 용액 6 ml를 첨가하여 종료시키고, AcOEt 8 ml로 3 번 세척하였다. 유기 상은 CuSO4 수성 포화 용액으로 3번 세척하고, 건조하고, 여과시키고, 감소된 압력 하에서 증발시킨다. 얻어진 반응 조원료는 디클로로메탄 3.5 ml에 용해시키고, 0 ℃에 MeOH에서 0.1 M의 아세틸 클로라이드 용액에 첨가시킨다. 3 시간 후, 반응물을 NH4Cl 수성 포화 용액 5 ml를 첨가하여 종료시키고, AcOEt 8 ml로 추출한다. 유기 상은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소된 압력하에서 증발시킨다. 크로마토그래피(SiO2, n-헥산(n-hexane)/EtOAc, 1.0 : 1.2)하여 0.05 g(0.06 mmol, 70 %)의 표제 산물을 얻는다.
Figure 112005012370013-pct00034
실시예 18
13-[N-복-N,O-(2,4-디메톡시벤질리덴)-β-이소부틸이소세리노일]-7-테스-14β-t-부톡시카바모일-바카틴 Ⅲ 14,1-카바메이트(13-[N-Boc-N,O-(2,4-dimethoxybenzylidene)-β-isobutylisoserinoyl]-7-TES-14β-t-butoxycarbamoyl-baccatin Ⅲ 14,1-carbamate
디클로로메탄 3 ml에 녹인 13-[N-Boc-N,O-(2,4-디메톡시벤질리덴)-β-이소부틸이소세리노일]-7-테스-14β-아미노-바카틴 Ⅲ 0.11 g(0.10 mmol)의 용액을 BOC2O 0.04 g(0.20 mmol)과 트리에틸아민 0.03 mL(0.21 mmol)과 디메틸아미노피리딘 0.006 g(0.05 mmol)에 실온에서 첨가시켰다. 3 시간 후, 반응물을 NH4Cl 수성 포화 용액 4 ml를 첨가하고 종결시킨 다음, 디클로로메탄 6 ml로 3 번 추출하였다. 유기 상은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소된 압력 하에서 증발시켰다. 크로마토그래피(SiO2, n-헥산(n-hexane)/EtOAc/CHCl3, 8.0 : 3.0 : 5.0)하여 표제 산물 0.09 g(0.06 mmol, 69 %)을 얻었다.
Figure 112005012370013-pct00035
실시예 19
13-(N-복-β-이소부틸이소세리노일)-14β-t-부톡시카바모일-바카틴 Ⅲ 14,1-카바메이트(13-(N-Boc-β-isobutylisoserinoyl)-14β-t-butoxycarbamoyl-baccatin Ⅲ 14,1-carbamate)
아세토니트릴 2.1 ml와 피리딘 2.1 ml에 녹인 13-[N-복-N,O-(2,4-디메톡시벤질리덴)-β-이소부틸이소세리노일]-7-테스-14β-t-부톡시카바모일-바카틴 Ⅲ 14,1-카바메이트 0.08 g(0.07 mmol)의 용액을 0 ℃에서 불화수소산-피리딘 0.8 mL(기질의 0.1 mL/10 mg)에 첨가시켰다. 30 분 후 온도는 25 ℃에 도달되게 한다. 3 시간 후, 반응물을 NH4Cl 수성 포화 용액 6 ml를 첨가하고 종결한 다음, AcOEt 7 ml로 3 번 추출하였다. 유기 상은 CuSO4 수성 포화 용액으로 3 번 세척하고, 건조하고, 여과시키고, 감소된 압력 하에서 증발시킨다. 얻어진 반응 조원료는 디클로로메탄 3 ml에 용해시키고, 0 에서 MeOH에 아세틸 클로라이드 0.1 M 용액 0.82 ml에 첨가시켰다. 3 시간 후, 반응물을 NH4Cl 수성 포화 용액 7 ml를 첨가하고 종결시킨 다음, AcOEt 8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은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소된 압력 하에서 증발시켰다. 얻어진 혼합물을 크로마토그래피(SiO2, n-헥산(n-hexane)/EtOAc, 1.0 : 1.2)하여 표제 산물 0.03 g(0.06 mmol, 46 %)를 얻었다. IR (KBr, cm-1): 3450, 2961, 1803, 1733, 1506, 1370, 1239, 1089, 732 ;
Figure 112005012370013-pct00036
실시예 20
13-[N-복-N,O-2,4-디메톡시벤질리덴)-β-이소부틸이소세리노일]-7-테스-14β-아미노-바카틴 Ⅲ 14,1-티오카바메이트(13-[N-Boc-N,O-(2,4- dimethoxybenzylidene)-β-isobutylisoserinoyl]-7-Tes-14β-amino-baccatin Ⅲ 14,1-thiocarbamate
아세토니트릴 7 ml에 녹인 13-[N-복-N,O-(2,4-디메톡시벤질리덴)-β-이소부틸이소세리노일]-7-테스-14β-아미노-바카틴 Ⅲ 0.171 g(0.15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디-2-피리딜-티오노카보네이트 0.14 g(0.61 mmol)에 첨가시켰다. 2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은 물 4 ml를 첨가하고 종료시킨 다음, 디클로로메탄 6 ml로 3 차례 추 출하였다. 유기 상은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소된 압력 하에서 증발시킨다. 잔존물을 크로마토그래피(SiO2, n-헥산(n-hexane)/EtOAc/CH2Cl2, 7.0 : 5.0 : 8.0)하여 표제 산물 0.13 g(0.11 mmol, 69 %)을 얻었다. IR (KBr, cm-1): 3446, 2958, 1732, 1694, 1595, 1278, 1167 ;
Figure 112005012370013-pct00037
실시예 21
13-(N-복-β-이소부틸이소세리노일)-14β-아미노-바카틴 Ⅲ 14,1-티오카바메이트(13-(N-Boc-β-isobutylisoserinoyl)-14β-amono-baccatin Ⅲ 14,1-thiocarbamate)
아세토니트릴 2.7 ml와 피리딘 2.7 ml에 녹인 13-[N-복-N,O-(2,4-디메톡시벤질리덴)-β-이소부틸이소세리노일]-7-테스-14β-아미노-바카틴 Ⅲ 14,1-티오카바메이트 0.11 g(0.10 mmol)의 용액을 0 ℃에서 불화수소산-피리딘 1.1 mL에 첨가시킨다. 30 분 후 온도는 25 ℃로 상승시켰다. 2 시간 후, 반응물을 NH4Cl 수성 포화 용액 6 ml를 첨가하여 종료시킨 다음, AcOEt 11 ml로 3 번 추출한다. 유기 상은 CuSO4 수성 포화 용액으로 3 번 세척하고, 건조하고, 여과시키고, 감소된 압력 하에서 증발시킨다. 얻어진 반응 조원료(디클로로메탄 4 ml에 용해된)를 0 ℃에서 MeOH에 0.1 M의 아세틸 클로라이드 1.2 ml에 첨가시켰다. 3 시간 후 반응물을 NH4Cl 수성 포화 용액 7 ml를 첨가하고 종결시킨 다음, AcOEt 8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은 건조하고, 여과하고, 감소된 압력 하에서 증발시켰다. 잔존물을 크로마토그래피(SiO2, n-헥산(n-hexane), 1.4 : 1)하여 표제 산물 0.03 g(0.05 mmol, 62 %)을 얻었다. IR (KBr, cm-1): 3343, 2960, 1735, 1686, 1514, 1239, 1088, 733 ;
Figure 112005012370013-pct00038
실시예 22
7-테스-14-(복)-트리아제닐-13-케토카바틴 Ⅲ(7-TES-14-(Boc)-triazenyl-13-ketobaccatin Ⅲ)
포타슘 터트-부톡사이드(potassium tert-butoxide)(0.06 g, 0.52 mmol)을 -75 ℃에서 무수 THF 1.5 mL에 질소 흐름과 강 교반 하에서 현탁시켰다. 10 분 후, THF 1.0 ml와 DMPU 0.7 ml에 녹인 7-테스-13-케토바카틴 Ⅲ 0.13 g(0.19 mmol)의 용액을 같은 온도에서 3 분 동안 첨가시켰다. 15 분 후, THF 1 ml에 터복-아지드(terBoc-azide) 0.06 g(0.41 mmol)을 -70 ℃에서 2 분 동안 첨가시켰다. 2 시간 후, 온도는 -50 ℃로 상승시키고, 반응물을 NH4Cl 5.0 ml로 첨가하여 종결시켰다. 온 도는 20 ℃로 천천히 상승시키고, 반응 혼합물은 Et2O 3.0 ml로 희석시키고, NH4Cl 수성 포화 용액 6.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은 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 여과시키고, 감소된 압력 하에서 증발시켰다. 잔존물을 크로마토그래피(SiO2, n-헥산(n-hexane)/EtOAc, 2.3 : 1.0)하여 표제 화합물 0.022 g(0.26 mmol, 50 %)을 얻었다. IR (KBr, cm-1): 3500-3100, 2962, 1731, 1374, 1238 ;
Figure 112005012370013-pct00039
실시예 23
14-[N,N'-비스-(벤질옥시카보닐)하이드라지노]-7-복-13-케토바카틴 Ⅲ(14-[N,N'- bis -(benzyloxycarbonyl)hydazino]-7-Boc-13-ketobaccatin Ⅲ)
포타슘 터트-부톡사이드(potassium tert-butoxide) 0.16 g(1.47 mmol)을 질 소 흐름과 강한 교반 하에서 -72 ℃에서 무수 THF 3.0 ml에 현탁시켰다. 혼합물을 2분 동안 같은 온도에서, THF 2.5 ml와 DMPU 1.8 ml에 녹인 7-복-13-케토바카틴 Ⅲ 0.37 g(0.54 mmol)에 첨가시켰다. 15 분 후, THF 0.3 ml와 DMPU 0.2 ml에 용해된 디-터트-벤질-아조디카복실레이트 0.32 g(1.19 mmol)을 -68 ℃에서 천천히 첨가시켰다. 온도는 -50 ℃로 상승시키고, 8 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 에테르 10 ml에 희석된 아세트산 2 mL(0.03 mmol)를 첨가하여 종료시키고, NH4Cl 수성 포화 용액 10 ml로 추출하였다. 유성 상은 물로 세 차례 세척하고, 건조하고, 여과시키고, 감소된 압력 하에서 증발시켰다. 잔존물을 크로마토그래피(SiO2, n-헥산(n-hexane)/ EtOAc, 1.3 : 5.0)하여 표제 산물 0.30 g(0.29 mmol, 55 %)을 얻었다.
Figure 112005012370013-pct00040
실시예 24
14-[N,N'-비스-(복)하이드라지노]-7-복-13-케토바카틴 Ⅲ(14-[N,N'-bis-(Boc )hadrazino]-7-Boc-13-ketobaccatin Ⅲ)
포타슘 터트-부톡사이드(potassium tert-butoxide) 0.16 g(1.47 mmol)을 질소 흐름과 강한 교반 하에서 -72 ℃에서 무수 THF 3.0 ml에 현탁시켰다. 혼합물을 2분 동안 같은 온도에서, THF 2.5 ml와 DMPU 1.8 ml에 녹인 7-복-13-케토바카틴 Ⅲ 0.37 g(0.54 mmol)에 첨가시켰다. 15 분 후, THF 0.3 ml와 DMPU 0.2 ml에 용해된 디-터트-부틸-아조디카복실레이트 0.27 g(1.19 mmol)을 -68 ℃에서 천천히 첨가시켰다. 1 시간 후, 반응은 에틸 에테르 10 ml에 희석된 아세트산 2 mL(0.03 mmol)의 첨가로 종결되고, NH4Cl 수성 포화 용액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은 물로 3 번 세척하고, 건조하고, 여과시키고, 감소된 압력 학에서 증발시켰다. 잔존물을 크로마토그래피(SiO2, n-헥산(n-hexane)/EtOAc, 1.3 : 5.0)하여 표제 산물 0.35 g(0.37 mmol, 70 %)을 얻었다.
Figure 112005012370013-pct00041
실시예 25
13-케토바카틴 Ⅲ 13,14-트리이소프로필실릴 에놀에테르(13-ketobaccatin Ⅲ 13,14-triisopropylsilyl enolether)
무수 THF 2 ml에 녹인 7-테스-13-케토바카틴 Ⅲ 0.07 g(0.10 mmol)의 용액을 포타슘 터트-부톡사이드 용액 1.0 M 용액 0.25 mL(0.25 mmol)에 교반과 질소 흐름 하, -75 ℃에서 첨가시켰다. 12 분 후, 트리이소프로필실릴 클로라이드 0.04 mL (0.17 mmol)를 같은 온도에서 세척기에 매우 천천히 첨가시켰다. 45 분 후, 반응은 NH4Cl 수성 포화 용액 7 ml를 첨가하여 종료시키고, Et2O 15.0 ml로 3 번 추출하였다. 유기 상은 4 번 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 여과시키고, 감소된 압력 하에서 증발시켰다. 잔존물을 크로마토그래피(SiO2, n-헥산(n-hexane)/EtOAc/Et2O, 1.8 : 0.7 : 0.5)하여 표제 화합물 0.035 g(0.04 mmol, 43 %)을 얻었다. IR (KBr, cm-1): 3474, 2948, 1725, 1369, 1239, 1108, 732 ;
Figure 112005012370013-pct00042
실시예 26
7-테스-13-케토바카틴 Ⅲ 13,14-디에틸포스포에놀레이트(7-TES-13-ketobaccatin Ⅲ 13,14-diethylphosphoenolate)
무수 THF(7.5 ml)에 녹인 7-테스-13-케토바카틴 Ⅲ(258 mg, M.W.=698 g/mol, 0.37 mmol)의 용액을 톨루엔에 KHMDS(1.7 ml, 0.85 mmol, 2.3 eq)의 0.5 M 용액에 질소 하 -78 ℃에서 방울방울 첨가시킨다. 1 시간 동안 -78 ℃에서 교반한 후, 디에틸클로로포스포스페이트(80 ㎕, M.W.=172.55 g/mol, 0.55 mmol, 1.2 g/ml, 1.5 eq.)은 거기에 첨가시켰다. 혼합물은 교반 하에 -78 ℃에서 30 분, 0 ℃에서 1.5 시간, 그리고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방치하고 물(15 ml)에 첨가시키고, AcOEt(3 x 15 ml)로 추출하였다. 조원료(300 mg)를 후레쉬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AcOEt : hexane 1 : 1)로 정제하여 수율 48 %로 목적물(150 mg, M.W.=834 g/mol, 0.18 mmol)을 얻었다. TLC(AcOEt : hexane 1 : 1) Rf=0.26
실시예 27
7-복-13-케토바카틴 Ⅲ 13,14-복-에놀 에스테르(7-Boc-13-ketobaccatin Ⅲ 13,14-Boc-enol ester)
메틸렌 클로라이드(5.0 mL)에 녹인 13-케토바카틴 Ⅲ(0.525 g, 0.9 mmol)과 DMAP(9 mg, 70 mmol)의 용액을 복 무수물(Boc anhydride ; 0.236 g, 1.10 mmol)에 교반 하 첨가시킨다. 용액은 교반 하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방치한다. 용매는 감소된 압력 하에서 제거하고, 유성 잔존물은 50 % 수성 아세톤(10 mL)에 용해시키고, 교반 하에서 1 시간 동안 방치한다. 용액은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추출하고, 모은 유기 상은 과량의 소디움 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증발시킨다. 잔존물을 실리카 겔 상에서 크로마토그래피하여 표제 산물 0.36 g(0.52 mmol, 58 %), 미반응 산물 80 mg과 7-복-13-케토바카틴 Ⅲ 50 mg을 얻는다.
[α]D 20 = -35.6˚(c 1.05, CHCl3); IR (CDCl3, cm-1): 3483, 1731, 1676, 1371, 1274 ;
Figure 112005012370013-pct00043
실시예 28
7-테스-13-케토-14-(N,N'-비스-(벤질옥시카보닐)하이드라지노)-바카틴 Ⅲ(7-TES-13-keto-14-(N,N'-bis-(benzyloxycarbonyl)hydrazino)-baccatin Ⅲ)
무수 THF(12 mL)와 DMPU(2.5 mL)에 교반 하에서 녹인 13-케토-7-테스-바카틴 Ⅲ(450 mmg, 0.64 mmol)의 용액을 질소 하에서 -70 ℃로 냉각시키고, 포타슘 터트-부톡사이드(1.61 mL, THF 1 M, 1.61 mmol)에 방울방울 첨가시켰다. 용액은 -65 ℃에서 45 분 동안 휘저어지고, 디벤질아자디카복실레이트(276 mg, 90 %, 0.82 mmol)에 첨가시키고, TLC에 의한 반응 점검을 하였다 : 2 시간 후, 변환이 아직 불완전한 까닭에, 추가로 디벤질아자디카복실레이트(69 mg, 0.20 mmol)을 첨가시켰다. 1 시간 후, 반응은 아세트산(0.15 mL, THF 40 %)으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따뜻하게 방치한 후, NaCl 수성 포화 용액(10 mL)에 희석시키고, AcOEt(2 x 1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은 NaCl 수성 포화 용액(1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Na2SO4), 증발시킨다. 잔존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CH2Cl2에서 1 →2 % AcOEt)로 정제하여 표제 산물(451 mg, 70 %)과 13-케토-7-테스-바카틴 Ⅲ(45 mg, 10 %)을 얻었다. Rf = 0.6 (silica, 50 % AcOEt in cyclohexane); m.p. 181-182 ℃ (Et2O/EtP);
Figure 112005012370013-pct00044
실시예 29
7-테스-13-케토-14-하이드라지노-바카틴 Ⅲ(7-TES-13-keto-14-hydrazino- baccatin Ⅲ)
AcOEt(45 ml)에 녹인 13-케토-7-테스-14-(N,N'-비스-(벤질옥시카보닐)-하이드라지노)-바카틴(564 mg, 0.55 mmol) 용액을 촉매로 10 % Pd/C(557 mg)을 사용하여 45 분 동안 수소화 시켰다. 촉매는 셀라이트(Celit)를 통해 여과시키고, 용매는 감소된 압력 하에서 가열 없이 증발시켜, 표제 산물(386 mg, 96 %)을 얻었다. 이 화합물은 다양한 상태(크로마토그래피 컬럼)와 용매(CDCl3) 중에서 불안정하다. Rf = 0.2 (silica, 5 % AcOEt in CH2Cl2);
Figure 112005012370013-pct00045
실시예 30
7-테스-13-케토-바카틴 Ⅲ[14,1-d]-3,4-데하이드로푸란-2-온(7-TES-13-keto-baccatin Ⅲ [14,1-d]-3,4-dehydrohuran-2-one)
무수 THF(20 mL)에서 녹인 13-keto-7-테스-바카틴(600 mg, 0.86 mmol)의 용액을 교반 하에서 질소 하 -70 ℃로 냉각시키고, 포타슘 터트-부톡사이드(2.16 mL, THF 1 M, 2.16 mmol)에 방울방울 첨가시켰고, -65 ℃에서 45 분 동안 교반한다. 에틸 글리옥실레이트(0.36 mL, 톨루엔 50 %, 1.29 mmol)을 TLC에 의한 반응 점검하면서 첨가시켰다 : 2 시간 후, 변환은 아직 불완전하고, 따라서 추가로 디벤질아자디카복실레이트(0.12 mL, 0.43 mmol)가 첨가되었다. 1 시간 후, 반응을 무수 시트르산(290 mg)으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따뜻하게 방치한 다음, 바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사이클로헥산에서 10 →20 % AcOEt)로 정제하여 노란 고체의 표제 산물(503 mg, 79 %)을 얻는다. Rf = 0.55 (silica, 50 % AcOEt in cyclohexane); m.p. 252-253 ℃ (Et2O/Etp);
Figure 112005012370013-pct00046
실시예 31
7-테스-13,14-데하이드로-바카틴 Ⅲ[14,1-d]-푸란-2-온(7-TES-13,14-dehydro -baccatin Ⅲ[14,1-d]-furan-2-one
AcOEt(10 mL)에 녹인 13-케토-7-테스-바카틴 [14,1-d]-3,4-데하이드로푸란-2-온의 유도체(90 mg, 0.12 mmol)의 용액을 촉매로 10 % Pd/C(90 mg)을 사용하여 45 분 동안 수소화 시켰다. 촉매는 셀라이트(Celite)를 통해 여과시키고, 용매는 증발하여 제거시키고, 잔존물을 컬럼(실리카, 사이클로헥산에서 20 →50 % AcOEt)으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인 표제 산물(67 mg, 75 %)을 얻었다. Rf = 0.2 (silica, 50 % AcOEt in cyclohexane); m.p. 235-236 ℃ (EtOAc/hexane);
Figure 112005012370013-pct00047
실시예 32
7-테스-카바틴[14,1-d]-3,4-데하이드로푸란-2-온(7-TES-baccatin [14,1-d]-3,4-dehydrofuran-2-one)
MeOH(10 mL) 중 교반 하에 Bu4NBH4의 용액을 -30 ℃ 로 냉각시키고, THF(1 mL)에 녹인 7-테스-13-케토-바카틴 [14,1-d]-3,4-데하이드로푸란-2-온(200 mg, 0.28 mmol)의 용액에 방울방울 가하였다. 30 분 후, 반응 혼합물은 시트르산(180 mg)으로 처리하고, 실온에서 따뜻하게 방치하였다. 물(10 mL)을 첨가한 후, 혼합물을 AcOEt(2 x 10 mL)로 추출하고, 유기 상을 물(5 mL)로 세척한 다음, 과량의 Na2SO4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잔존물을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사이클로헥산에서 20 →30 % AcOEt)에 정제하여 7-테스-13,14-데하이드로-바카틴[14,1-d]-푸란-2-온(103 mg, 52 %)과 백색 고체인 표제 산물(52 mg, 26 %)을 얻었다.
Rf = 0.15 (silica, 50 % AcOEt in cyclohexane);
Figure 112005012370013-pct00048
실시예 33
13-[N-복-N,O-(2,4-디메톡시벤질리덴)-β-이소부틸이소세리노일]-7-테스-바카틴[14,1-d]-3,4-데하이드로푸란-2-온(13-[N-Boc-N,O-(2,4-dimethoxybenlidene)- β-isobutylisoserinoyl]-7-TES-baccatin[14,1-d]-3,4-dehydrofuran-2-one
N-복-N,O-(2,4-디메톡시벤질리덴)-β-이소부틸이소세린의 제조
N-복-N,O-(2,4-디메톡시벤질리덴)-β-이소부틸이소세린 소디움 염(72 mg, 0.168 mmol)은 물(5 mL)에 용해시키고, CH2Cl2(3 mL)에 첨가시켰다. NaHSO4 수성 용액(2 M, 0.15 mL)을 pH를 3.0으로 맞추기 위해 방울방울 가하였다. 수분간 저어준 후, 유기 상을 분리하고, 수성 상은 CH2Cl2(2 mL)로 추출하였다. 모은 유기 추출물은 물(5 mL)로 세척하고, NaCl 포화 용액(5 mL)로 세척한 다음, 과량의 Na2SO4로 건조시키고, 증발시켜 백색 고체인 유리산(free acid)(6.8 mg, 100 %)을 얻었다.
에스테르화 반응
7-테스-13,14-데하이드로-바카틴 [14,1-d]-푸란-2-온(100 mg, 0.14 mmol)을 톨루엔(4 mL) 중에 현탁시키고, CH2Cl2(2 mL)에 용해된 N-복-N,O-(2,4-디메톡시벤질리덴)-β-이소부틸이소세린(68 mg, 0.168 mmol)에 방울방울 가하였고, 여기에 N,N-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7 mg)과 디사이클로헥실카보이미드(DCC)(35 mg, 0.168 mmol)에 방울방울 첨가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3 시간 동안 70 ℃로 가열시키고, 냉각하기위해 방치하고, DCU의 완전한 침전까지 실온에 방치한다. 침전물을 여과하고(DCU), 톨루엔(2 x 3 mL)으로 세척하고, 여액을 포화된 NaHCO3(5 mL)로 세척한 다음, 거기에 0.4 M의 HCl(10 mL)을 가하여 DMAP를 제거하고 최종 포화 NaHCO3(5 mL)를 가하였다. 유기 상은 과량의 Na2SO4으로 건조하고, 건조를 위해 증발시켰다. 잔 존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사이클로헥산에서 20 →30 % AcOEt)로 정제시켜 표제 산물(88 mg, 56 %)을 함유한 첫 번째 분획물을 얻었다. Rf = 0.55 (silica, 20 % AcOEt in cyclohexane); m.p. 150-153 ℃ (iPR2O/EtP);
Figure 112005012370013-pct00049
실시예 34
13-[N-복-N,O-(2,4-디메톡시벤질리덴)-β-이소부틸이소세리노일]-바카틴[14,1-d]-3,4-데하이드로푸란-2-온(13-[N-Boc-N,O-2,4-dimethoxybenzylidene)-β-isobutylisoserinoyl]-baccatin[14,1-d]-3,4-dehydrofuran-2-one
아세토니트릴(3 mL)과 피리딘(3 mL)에 녹인 13-[N-복-N,O-(2,4-디메톡시벤질 리덴)-β-이소부틸이소세리노일]-7-테스-바카틴[14,1-d]-3,4-데하이드로푸란-2-온(63 mg, 0.056 mmol)의 용액을 폴리에틸렌 용기에서 교반시키고, 0 ℃로 냉각시켰다. TF-피리딘(0.4 mL)의 용액을 거기에 천천히 첨가시키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따뜻하게 방치하고, 24 시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차가운 물( 10 mL)에 붓고, CH2Cl2(2 x 5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상을 pH 2가 되도록 2 M 의 NaHSO4로 세척하고, 5 % NaHCO3(5 mL)로 세척한 다음, 최종 NaCl 포화 용액(5 mL)로 세척하였다. 혼합물을 과량의 Na2SO4로 건조하고, 용매는 증발 제거시켰다. 잔존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사이클로헥산에서 25 →35 % AcOEt)로 정제하여 백색 고체인 표제 산물(45 mg, 80 %)를 얻었다. Rf = 0.3 (silica, 50 % AcOEt in cyclohexane);
Figure 112005012370013-pct00050
실시예 35
13-(N-복-β-이소부틸이소세리노일)-바카틴[14,1-d]-3,4-데하이드로푸란-2-온(13-(N-Boc-β-isobutylososerinoyl)-baccatin[14,1-d]-3,4-dehydrofuran-2-one
CH2Cl2(4 mL)에 녹인 13-[N-복-N,O-(2,4-디메톡시벤질리덴)-β-이소부틸이소세리노일]-바카틴[14,1-d]-3,4-데하이드로푸란-2-온의 유도체(44 mg, 0.04 mmol)의 용액을 교반 하에서 0 ℃로 냉각시켰다. 메탄올(0.01 M, 0.7 mL)에 아세틸 클로라이드 용액을 혼합물 중에 방울방울 가하고, 실온에서 따뜻하게 방치한 다음, TLC에 의한 반응 점검을 하였다 : 18 시간 후, 출발물질이 아직 부분적으로 존재한 까닭 에 추가로 아세틸 클로라이드 용액(0.3 mL)을 첨가시켰다. 3 시간 후, NH4Cl 포화 용액(4 mL)을 첨가하고, 유기 상은 과량의 Na2SO4로 건조시키고, 증발시켰다. 잔존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사이클로헥산에서 25 →35 % AcOEt)로 정제하여 흰색 고체인 표제 산물(30 mg, 85 %)을 획득하였다. Rf = 0.2 (silica, 50 % AcOEt in cyclohexane); m.p. 149-154 ℃ (CH2Cl2/iPR2O);
Figure 112005012370013-pct00051
실시예 36
13-카베톡시-7-테스-13,14-데하이드로-바카틴(13-Carbethoxy-7-TES-13,14-dehydro-baccatin)
무수 THF(5 mL)와 DMPU(1 mL)에 녹인 13-케토-7-테스-바카틴(150 mg, 0.21 mmol)의 용액을 교반 하 -70 ℃로 질소 하에서 냉각시켰다. 포타슘 터트-부톡사이 드(0.54 mL, THF 1 M, 0.54 mmol)을 거기에 방울방울 가하고, 혼합물을 -65 ℃에서 45 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ClCOOEt(31 L, 0.31 mmol)에 첨가시키고, TLC에 의한 반응 점검을 하였다 : 2 시간 30 분 후, 아세트산(0.05 mL, THF 40 %)을 혼합물에 방울방울 가하고 방치하였다. NaCl 포화 용액(5 mL)으로 희석 후, 반응 혼합물을 AcOEt(2 x 5 mL)로 추출하고, 유기 상은 NaCl 포화 용액(5 mL)으로 세척하고, 건조되고(Na2SO4), 증발시킨다. 잔존물을 실리카(CH2Cl2 1 →5 % AcOEt) 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산물(136 mg, 82 %)을 얻었다.
Rf = 0.55 (silica, 50 % AcOEt in cyclohexane);
Figure 112005012370013-pct00052
실시예 37
13-카보벤질옥시-7-테스-13,14-데하이드로-바카틴 Ⅲ(13-carbobenzyloxy-7-TES-13,14-dehydro-baccatin Ⅲ)
무수 THF(5 mL)와 DMPU(1 mL)에 녹인 13-케토-7-바카틴 Ⅲ(150 mg, 0.21 mmol)의 용액을 교반 하에 -70 ℃로 질소 하에서 냉각시켰다. 포타슘 터트-부톡사이드(0.54 mL, THF 1 M, 0.54 mmol)를 혼합물에 방울방울 가하여 -65 ℃로 45 분 동안 교반 하에 방치하고, ClCOOCH2Ph(49 ㎕, 0.31 mmol)에 첨가시킨 다음, TLC에 의한 반응 점검을 하였다 : 2 시간 30 분 후 아세트산(0.05 mL, THF 40 %)를 실온에서 따뜻하게 두어진 반응물에 방울방울 가하였다. NaCl 포화 용액(5 mL)으로 희석 후, 반응 혼합물을 AcOEt(2 x 5 mL)로 추출하고, 유기 상은 NaCl 포화 용액(5 mL)으로 세척하고, 건조하고(Na2SO4), 증발시켰다. 잔존물을 실리카(CH2Cl2 1 →3 % AcOEt) 상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산물(117 mg, 67 %)을 얻었다.
Rf = 0.6 (silica, 50 % AcOEt in cyclohexane);
Figure 112005012370013-pct00053
실시예 38
14-하이드록시-13-케토-7-테스-바카틴 Ⅲ 1,14-설페이트(14-hydroxy-13-keto -7-TES-baccatin Ⅲ 1,14-sulfite)
무수 CH2Cl2(3 mL)에 녹인 14-하이드록시-13-케토-7-테스-바카틴(300 mg, 0.42 mmol)의 용액을 0 ℃에서 SOCl2(0.092 mL, 1.26 mmol)과 무수 CH2Cl2(6 mL)의 트리에틸아민(0.35 mL, 2.52 mmol) 용액에 방울방울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은 20 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얼음-물(10 mL)에 붓고, 분리된 유기 상은 물(10 mL)로 세척하고, 건조하고(Na2SO4), 증발시켰다. 잔존물을 실리카(10 →20 % AcOEt) 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노란색 고체인 두 설페이트 이성질체 A(86 mg, 27 %)와 B(201 mg, 63 %)를 얻었다.
Figure 112005012370013-pct00054
실시예 39
14-하이드록시-13-케토-7-테스-카바틴 Ⅲ 1,14-설페이트(14-hydroxy-13-keto -7-TES-baccatin Ⅲ 1,14-sulfate)
방법 A : 무수 CH2Cl2(3 mL)에 녹인 14-하이드록시-13-케토-7-테스-바카틴 Ⅲ(300 mg, 0.42 mmol)의 용액을 0 ℃에서 SO2Cl2(0.1 mL, 1.26 mmol)과 무수 CH2Cl2(6 mL)의 트리에틸아민(0.35 mL, 2.52 mmol) 용액에 방울방울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 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얼음-물(10 mL)에 붓고, 분리된 유기 상은 물(10 mL)을 세척하고, 건조하고(Na2SO4), 증발시킨다. 잔존물을 실리카(사이클로헥산 10 →20 % AcOEt) 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산물(145 mg, 45 %)와 노란색 고체인 극성이 적은 산물(53 mg)을 얻었다.
방법 B : CCl4(2 mL)와 CH3CN(2 mL)에 녹인 14-하이드록시-13-케토-7-테스-바카틴 Ⅲ 1,14-설페이트(이성질체 B)(91 mg, 0.12 mmol)를 0 ℃로 냉각시키고, RuCl3(1 mg), NaIO4(38 mg, 0.18 mmol)과 마지막으로 물(3 mL)을 차례로 첨가시켰다 : 반응 혼합물은 어두운 색을 띠고 15분 동안 교반시킨 다음, 에틸 에테르(10 mL)에 붓고, 두 상을 분리시킨다. 수성 상은 에틸 에테르(5 mL)로 추출하고, 모은 유기 상은 건조하고(Na2SO4), 증발시켜 표제 산물(90 mg, 97 %)을 얻었다.
Figure 112005012370013-pct00055
실시예 40
14β-하이드록시-2-데벤조일-2- m -메톡시벤조일-7-테스-13-케토바카틴 Ⅲ(14β-hydroxy-2-debenzoyl-2- m -methoxybenzoyl-7-TES-13-ketobaccatin Ⅲ)
-50 ℃로 냉각된 t-BuOK(2.5 ml, 0.86 mmol)의 THF 1 M의 용액을 무수 THF(9 ml)와 DMPU(2 mL)에 녹아 2-데벤조일-2-m-메톡시벤조일-7-테스-13-케토바카틴 Ⅲ(670 mg, 0.96 mmol) 용액에 방울방울 가하고, -50 ℃로 냉각시킨다. 용액을 -60 ℃로 45 분 동안 교반 하에 두고, THF(2 ml)에 녹인 (±)-캄포설포닐-옥사지리딘(440 mg, 2 mmol) 용액에 방울방울 첨가시켰다. 혼합물을 -60 ℃에서 3 시간 동안 교반하고, 무수 THF(2 mL)의 10 % 빙초산 용액으로 처리한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따뜻하게 방치하고, DCM(2 x 10 ml)으로 추출한다. 모은 유기 상을 물과 소금물로 세척하고, 과량의 Na2SO4로 건조시켰다. 조원료 산물은 추가 정제없이 차후의 단계를 위해 사용된다.
Figure 112005012370013-pct00056
실시예 41
14β-하이드록시-2-데벤조일-2- m -메톡시벤조일-7-테스-13-케토바카틴 Ⅲ 1, 14-카보네티트(14β-hydroxy-2-debenzoyl-2- m -methoxybenzoyl-7-TES-13-ketobaccatin Ⅲ 1,14-carbonate
무수 DCM(50 ml)와 피리딘(16 ml)에 녹인 14β-하이드록시-2-데벤조일-2-m-메톡시벤조일-7-테스-13-케토바카틴 Ⅲ(12.2 g)의 용액은 -10 ℃에서 DCM(45 mL, 5 eq)에 녹인 20 % 포스겐 용액에 방울방울 가한다. 2 시간 후, 5 % NaHCO3 수성 용액(100 ml)은 거기에 방울방울 가한다. 수성 상을 DCM(3 x 50 ml)으로 역추출 한다. 모은 유기 상은 과량의 소디움 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증발시킨다. 반응 산물 조원료를 후레쉬 크로마토그래피(실리카 겔, DCM-AcOEt = 50 : 1)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95 % 수율로 얻는다.
Figure 112005012370013-pct00057
실시예 42
14β-하이드록시-2-데벤조일-2- m -메톡시벤조일-7-테스-바카틴 Ⅲ 1,14-카보네이트(14β-hydroxy-2-debenzoyl-2- m -methoxybenzoyl-7-TES-baccatin Ⅲ 1,14-carbonate)
무수 메탄올(10 ml)에 녹인 테트라에틸암모니움 보로하이드라이드(12 eq)의 현탁액을 -50 ℃로 냉각시키고, 메탄올(10 ml)에 녹인 14β-하이드록시-2-데벤조일-2-m-메톡시벤조일-7-테스-13-케토바카틴 Ⅲ 1,14-카보네이트(0.5 g, 0.6 mmol)의 용액에 첨가시켰다. 출발 물질(8 시간)이 사라진 후, 반응물을 시트르산으로 처리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모은 유기 상은 소디움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시키고, 증발시킨다. 얻은 조원료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목적 화합물을 60 %의 수율로 얻는다.
Figure 112005012370013-pct00058
실시예 43
13-[N-복-N,O-(2,4-디메톡시벤질리덴)-β-이소부틸이소세리노일]-14β-하이드록시-2-데벤조일-2- m -메톡시벤조일-7-테스-바카틴 Ⅲ 1,14-카보네이트(13-[N-Boc-N,O-(2,4-dimethoxybenzylidene)-β-isobutylisoserinoyl]-14β-hydroxy-2-debebzoyl-2- m -methoxybenzoyl-7-TES-baccatin Ⅲ 1,14-carbonate)
본 산물은 실시예 33에 설명된 것처럼 같은 절차에 따라, 14β-하이드록시-2-데벤조일-2-m-메톡시벤조일-7-테스-바카틴 Ⅲ 1,14-카보네이트로부터 획득된다.
Figure 112005012370013-pct00059
실시예 44
13-[N-복-N,O-(2,4-디메톡시벤질리덴)-β-이소부틸이소세리노일]-14β-하이드록시-2-데벤조일-2- m -메톡시벤조일바카틴 Ⅲ 1,14-카보네이트(13-[N-Boc-N,O-(2, 4-dimethoxybenzylidene)-β-isobutylisoserinoyl]-14β-hydroxy-2-debebzoyl-2- m -methoxybenzoylbaccatin Ⅲ 1,14-carbonate)
본 산물은 실시예 34에 설명된 것처럼 같은 절차에 따라, 13-[N-복-N,O-(2,4-디메톡시벤질리덴)-β-이소부틸이소세리노일]-14β-하이드록시-2-데벤조일-2-m-메톡시벤조일-7-테스-바카틴 Ⅲ 1,14-카보네이트로부터 획득된다.
Figure 112005012370013-pct00060
실시예 45
13-[N-복-β-이소부틸이소세리노일)-14β-하이드록시-2-데벤조일-2- m -메톡시벤조일-7-테스-바카틴 Ⅲ 1,14-카보네이트(13-[N-Boc-β-isobutylisoserinoyl)-14β-hydroxy-2-debebzoyl-2- m -methoxybenzoyl-7-TES-baccatin Ⅲ 1,14-carbonate)
본 산물은 실시예 35에 설명된 것처럼 같은 절차에 따라, 13-[N-복-N,O-(2,4-디메톡시벤질리덴)-β-이소부틸이소세리노일]-14β-하이드록시-2-데벤조일-2-m-메톡시벤조일-7-테스-바카틴 Ⅲ 1,14-카보네이트로부터 획득된다.
Figure 112005012370013-pct00061
본 발명의 구조식(Ⅲ)화합물은 여러기원의 종양신생물 치료에 유용하며, 특히 난소, 유방, 폐, 결장, 뇌와같은 기관의 종양(tumors)치료는 물론 백혈병과 흑색종 치료에 유용하다.

Claims (8)

  1. 하기 구조식(Ⅲ) 화합물.
    Figure 712011002625591-pct00075
    상기식에서,
    X는 -N3, -NH2, -NH-R3, =CH-R8, 또는 -O-R3 이고, 이때 R6은 페닐이 아니며;
    R2는 수소 또는 아실이고;
    R3은 C1-C4 알콕시카르보닐 또는, R4와 함께 카르보닐, 티오카르보닐, SO, SO2 그룹을 형성하며;
    R4는 수소, 또는 R3과 함께, 카르보닐, 티오카르보닐, SO, SO2 그룹을 형성하거나, 또는 R8과 함께 카르보닐 그룹을 형성하고;
    R5는 수소; 또는 tert-부톡시카르보닐(Boc) 또는 트리에틸실릴(TES) 중에서 선택된 하이드록실-보호그룹이며;
    R6은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이며, 단 X=OR3 일때 페닐은 아니고;
    R8은 수소, C1-C4 알킬, C1-C4 알콕시카르보닐 또는, R4와 함께 카르보닐 그룹을 형성하며;
    R9는 아실 또는 하이드록실아미노아실 그룹이다.
  2. 하기 공정으로 구성된 구조식(Ⅱ) 화합물로부터 구조식(Ⅲ) 화합물의 제조방법.
    Figure 112010080123043-pct00063
    상기식에서,
    E는 -N3, -NH-R3, =CH-R8 또는 -O-R3 이고, 이때 R6가 페닐이 아니며, R2, R3, R4, R5, R6 및 R8은 청구항 1에서 정의한 바와같다.
    [하 기]
    a) C13번 위치의 카르보닐을 환원시켜 구조식(Ⅶ) 화합물을 얻고,
    Figure 112010080123043-pct00076
    상기식에서,
    X는 -O-R3, -N3, -NH-R3, -CH2-R8 이고;
    Y와 Z는 수소 또는 X가 -CH2-R8 일때 동시에 함께 2중결합을 형성하며, 다른 그룹은 청구항 1에서 정의한 바와같다.
    b) 구조식(Ⅸ)화합물의 산유도체로 13번-위치를 에스텔화시켜 구조식(Ⅷ) 화합물을 얻은 다음,
    Figure 112010080123043-pct00065
    상기식에서,
    R4, R5, R6, R9 및 X는 청구항 1에서 정의한 바와같다.
    c) 보호그룹을 임의 절단하는 공정으로 구성된다.
  3. 하기 공정으로 구성된 구조식(Ⅰ) 화합물로부터 구조식(Ⅱ) 화합물의 제조방법.
    Figure 712011002625591-pct00066
    상기식에서,
    R1은 하이드록실-보호그룹이고;
    R2는 수소 또는 아실이며;
    E는 -OH, -O-R3, =N2, -N3, -NH2, -NH-R3, -NH-NH2, -NH-N=N-Ts, -NH-N=N-Boc, -N(CO2R7)NHCO2R7. =CH-R8이고;
    Ts는 p-톨루엔설포닐이며;
    R3은 C1-C4 알콕시카르보닐 또는, R4와 함께 카르보닐, 티오카르보닐, SO, SO2 그룹을 형성하고;
    R4는 수소 또는, R3과 함께 카르복실, 티오카르보닐, SO, SO2 그룹을 형성하거나, R8과 함께 카르복실 그룹을 형성하며;
    R5는 수소; 또는 tert-부톡시카르보닐(Boc) 또는 트리에틸실릴(TES) 중에서 선택된 하이드록실-보호그룹이고;
    R6은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이며,
    R7은 C1-C4 알킬, 아릴 또는 아릴알킬 그룹이고;
    R8은 수소, C1-C4 알킬, C1-C4 알콕시카르보닐 또는, R4와 함께 카르보닐 그룹을 형성하며;
    M은 알카리금속이다.
    [하 기]
    a) 구조식(Ⅰ)의 7-보호된 13-케토바카틴을 염기로 처리하여 구조식(Ⅳ)의 에놀화합물 중간체를 제조하고;
    b) 구조식(Ⅳ)의 에놀화합물을 친전자성 물질로 쿠엔칭하고, E그룹으로 전환시키거나 아실화, 알킬화, 또는 실릴화제로 처리하여 구조식(Ⅴ) 화합물을 제조한 다음,
    Figure 712011002625591-pct00067
    상기식에서, R10은 알킬, 아실 또는 실릴그룹이다.
    구조식(Ⅱ) 화합물로 전환시키는 공정으로 구성된다.
  4. 하기 공정으로 구성된 구조식(XⅢ) 화합물을 출발물질로 하여 구조식(XⅣ)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712011002625591-pct00068
    상기식에서,
    R2는 수소 또는 아실이고;
    R3는 수소, 아실, 알킬 또는, R4와 함께 C=O, C=S, SO, SO2 그룹을 형성하며;
    R4는 수소 또는 R3와 함께 C=O, C=S, SO, SO2 그룹을 형성하고;
    R5는 수소; 또는 tert-부톡시카르보닐(Boc) 또는 트리에틸실릴(TES) 중에서 선택된 하이드록실-보호그룹이며;
    R6은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이다.
    [하 기]
    a) 아지도 그룹을 선택적환원시켜 아미노 그룹을 제조하고;
    b) 임의로 알킬화 또는 아실화제로 처리한 다음;
    c) C7번-위치의 보호그룹을 절단하고;
    d) 옥사졸리딘 환을 개환시키는 공정으로 구성된다.
  5. 하기 구조식(Ⅱ) 화합물.
    Figure 112005012370013-pct00069
    상기식에서,
    E, R2, R4, R5, 및 R6는 청구항 3에서 정의한 바와같다.
  6. 하기 구조식(Ⅳ) 또는 (Ⅴ) 화합물.
    Figure 112005012370013-pct00070
    상기식에서,
    M은 알카리금속이고;
    R10은 아실, 알킬, 실릴 또는 포스포 그룹이며;
    R1, R2, R6는 청구항 3에서 정의한 바와같다.
  7. 하기 구조식(Ⅶ) 화합물.
    Figure 112010080123043-pct00077
    상기식에서,
    R2, R4, R5, R6, X, Z 및 Y는 청구항 2에서 정의한 바와같다.
  8. 하기 구조식(XI) 또는 (XⅡ) 화합물.
    Figure 712011002625591-pct00078
    상기식에서,
    X는 -N3, -NH-R3, =CH-R8, 또는 -O-R3이고 이때 R6는 페닐은 아니고;
    R3는 알콕시카르보닐 또는, R4와 함께, 카르보닐, 티오카르보닐, SO, SO2 그룹을 형성하며;
    R4는 수소, 또는 R3과 함께, 카르보닐, 티오카르보닐, SO, SO2 그룹을 형성하거나, 또는 R8과 함께 카르보닐 그룹을 형성하고;
    R6는 아릴, 치환된 아릴, 헤테로아릴이며;
    R5는 수소; 또는 tert-부톡시카르보닐(Boc) 또는 트리에틸실릴(TES) 중에서 선택된 하이드록실-보호그룹이고;
    R8은 수소, C1-C4 알킬, C1-C4 알콕시카르보닐 또는, R4와 함께 카르보닐 그룹을 형성한다.
KR1020057003994A 2002-09-10 2003-09-05 14번-위치에서 기능화된 탁산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0969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1921A ITMI20021921A1 (it) 2002-09-10 2002-09-10 Funzionalizzazione della posizione 14 dei nuclei tassanici e sintesi di nuovi derivati antitumorali.
ITMI2002A001921 2002-09-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5540A KR20050035540A (ko) 2005-04-18
KR101096918B1 true KR101096918B1 (ko) 2011-12-22

Family

ID=31986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3994A Expired - Fee Related KR101096918B1 (ko) 2002-09-10 2003-09-05 14번-위치에서 기능화된 탁산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0)

Country Link
US (1) US7498452B2 (ko)
EP (6) EP1980557A3 (ko)
JP (2) JP4690039B2 (ko)
KR (1) KR101096918B1 (ko)
CN (1) CN1681799A (ko)
AT (1) ATE398113T1 (ko)
AU (1) AU2003267049B8 (ko)
CA (1) CA2498277C (ko)
DE (1) DE60321577D1 (ko)
DK (4) DK2264019T3 (ko)
ES (4) ES2398324T3 (ko)
IL (5) IL167336A (ko)
IT (1) ITMI20021921A1 (ko)
NO (3) NO332250B1 (ko)
PL (4) PL402332A1 (ko)
PT (4) PT2298754E (ko)
RU (1) RU2320652C2 (ko)
SG (1) SG164282A1 (ko)
SI (4) SI2264019T1 (ko)
WO (1) WO200402470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12185A1 (it) * 2001-10-19 2003-04-19 Indena Spa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ella 14beta-idrossi-baccatina iii-1,14-carbonato
CN107056767B (zh) * 2015-12-04 2022-07-15 江苏恩华络康药物研发有限公司 用于制备水溶性紫杉烷类衍生物的方法及中间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2215A1 (en) 2000-08-10 2002-02-14 Indena S.P.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accatin iii derivative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4222A (en) 1993-08-20 1996-04-02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Transformations of taxol
FR2696464B1 (fr) * 1992-10-05 1994-11-10 Rhone Poulenc Rorer Sa Nouveau procédé d'estérification de la baccatine III et de la désacétyl-10 baccatine III.
IL108444A0 (en) * 1993-01-29 1994-04-12 Univ Florida State C2 taxan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5475011A (en) * 1993-03-26 1995-12-12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nti-tumor compound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methods for preparation thereof and for treatment
IL112412A (en) * 1994-01-28 2000-02-29 Upjohn Co Delta 12,13-iso-taxol analogs and antineoplas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US5719177A (en) 1994-11-04 1998-02-17 Pharmacia S.P.A. Taxane derivatives
IT1275936B1 (it) * 1995-03-17 1997-10-24 Indena Spa Derivati della 10-deacetilbaccatina iii e della 10-deacetil-14b- idrossibaccatina iii loro metodo di preparazione e formulazioni
US5811452A (en) * 1997-01-08 1998-09-22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Taxoid reversal agents for drug-resistance in cancer chemotherapy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ITMI991483A1 (it) * 1999-07-06 2001-01-06 Indena Spa Derivati tassanici e procedimenti per la loro preparazione
DK1557422T3 (da) * 2000-08-04 2014-01-20 Senseonics Inc Detektering af analytter i vandige miljøer
ITMI20012186A1 (it) * 2001-10-19 2003-04-19 Indena Spa Procedimento per la preparazione della 14-beta-idrossi-baccatina iii-1,14-carbonat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2215A1 (en) 2000-08-10 2002-02-14 Indena S.P.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baccatin iii deriva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22258A1 (en) 2006-06-08
EP2281820A3 (en) 2011-05-04
AU2003267049A1 (en) 2004-04-30
DK2077264T3 (da) 2013-03-04
NO20110781L (no) 2005-05-10
JP4690039B2 (ja) 2011-06-01
RU2005106361A (ru) 2005-10-10
IL214431A0 (en) 2011-09-27
NO20110782L (no) 2005-05-10
NO332367B1 (no) 2012-09-03
PT2264019E (pt) 2013-10-28
JP2010270145A (ja) 2010-12-02
IL197815A (en) 2013-02-28
ES2307965T3 (es) 2008-12-01
ATE398113T1 (de) 2008-07-15
ITMI20021921A1 (it) 2004-03-11
PT2077264E (pt) 2013-01-29
SI1537093T1 (sl) 2008-10-31
RU2320652C2 (ru) 2008-03-27
DK2298754T3 (da) 2013-11-04
SG164282A1 (en) 2010-09-29
EP2077264A2 (en) 2009-07-08
EP2264019B1 (en) 2013-07-24
IL167336A (en) 2009-11-18
WO2004024706A3 (en) 2004-07-08
DE60321577D1 (de) 2008-07-24
CA2498277C (en) 2011-07-05
WO2004024706A2 (en) 2004-03-25
EP2077264A3 (en) 2009-09-16
PT1537093E (pt) 2008-09-02
IL214431A (en) 2014-05-28
PL375625A1 (en) 2005-12-12
IL214430A0 (en) 2011-09-27
DK1537093T3 (da) 2008-10-27
EP1537093B1 (en) 2008-06-11
ES2398324T3 (es) 2013-03-15
EP2298754A1 (en) 2011-03-23
PL402332A1 (pl) 2013-04-02
IL214432A0 (en) 2011-09-27
NO332366B1 (no) 2012-09-03
PL402323A1 (pl) 2013-04-02
ES2433580T3 (es) 2013-12-11
CA2498277A1 (en) 2004-03-25
EP2298754B1 (en) 2013-08-07
SI2264019T1 (sl) 2013-10-30
AU2003267049B8 (en) 2010-03-04
SI2298754T1 (sl) 2013-11-29
EP1980557A3 (en) 2008-12-31
PL402333A1 (pl) 2013-04-02
CN1681799A (zh) 2005-10-12
US7498452B2 (en) 2009-03-03
AU2003267049B2 (en) 2010-02-11
EP2298754B9 (en) 2013-12-18
DK2264019T3 (da) 2013-10-28
SI2077264T1 (sl) 2013-03-29
JP2006503030A (ja) 2006-01-26
ES2432024T3 (es) 2013-11-29
PT2298754E (pt) 2013-11-07
EP2077264B1 (en) 2012-11-14
KR20050035540A (ko) 2005-04-18
IL214432A (en) 2014-05-28
EP1980557A2 (en) 2008-10-15
NO332250B1 (no) 2012-08-06
EP2264019A1 (en) 2010-12-22
EP1537093A2 (en) 2005-06-08
EP2281820A2 (en) 2011-02-09
NO20051774L (no) 2005-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27330A1 (en) One pot synthesis of taxane derivatives and their conversion to paclitaxel and docetaxel
US20070027332A1 (en) Semi-synthetic conversion of paclitaxel to docetaxel
HU207288B (en) Process for enenthioselective producing phenyl-isoserine derivatives
US5763477A (en) Taxane derivatives from 14-β-hydroxy-10 deacetylbaccatin III
CA2569498C (en) Semi-synthesis of taxane intermediates and their conversion to paclitaxel and docetaxel
DE60106057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accatin iii-derivativen
KR101096918B1 (ko) 14번-위치에서 기능화된 탁산유도체 및 그의 제조방법
JP4454310B2 (ja) 14ベータ−ヒドロキシ−バッカチンiii−1,14−カルボネートの調製方法
EP1099696A2 (en) Preparation of oxazolidine
EP0747372A1 (en) Taxane derivatives from 14-beta-hydroxy-10 deacetybaccatin II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30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7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6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09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1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62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0916

Appeal identifier: 2011101004865

Request date: 20110721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72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1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01206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0807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109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0823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