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96525B1 - 저온 및 고온에서 실링성능이 유지되는 버터플라이 밸브 - Google Patents

저온 및 고온에서 실링성능이 유지되는 버터플라이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6525B1
KR101096525B1 KR1020110038743A KR20110038743A KR101096525B1 KR 101096525 B1 KR101096525 B1 KR 101096525B1 KR 1020110038743 A KR1020110038743 A KR 1020110038743A KR 20110038743 A KR20110038743 A KR 20110038743A KR 101096525 B1 KR101096525 B1 KR 101096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disk
sealing
circumferential surface
sealing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8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영
Original Assignee
서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8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6525B1/ko
Priority to US13/277,311 priority patent/US885779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6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652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6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6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 F16K1/2263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the sealing being arranged on the valve s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버터플라이 밸브에 관한 것으로, 상기 버터플라이 밸브는, 양단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크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크 유닛과,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제1 시트부와,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1 시트부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시트부, 및 상기 몸체에 장착되며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과 몸체의 내주면 사이를 실링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시트부와 각각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실링 유닛을 포함한다. 이를 통하여, 저온, 고온 및 고압에도 동작 신뢰도가 우수한 버터플라이 밸브를 구현한다.

Description

저온 및 고온에서 실링성능이 유지되는 버터플라이 밸브{BUTTERFLY VALVE HAVING FUNCTION OF MAINTAINING SEALING PERFORMANCE UNDER LOW AND HIGH TEMPERATURE}
본 발명은 밸브 바디 내부에 배치된 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유체의 흐름을 조절하는 버터 플라이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브는 유체의 통로를 형성하는 파이프 등에 의해 형성되는 배관의 일 부분에 설치되어, 유체의 흐름을 정지시키기나 유체의 흐름이 유지되도록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밸브 중 버터플라이 밸브는 밸브 바디의 내부에 설치된 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관로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유체의 흐름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버터플라이 밸브의 개폐 부재(디스크)와 하우징 사이의 틈새로 유체가 새는 것을 막기 위하여, 수밀 장치(실링 유닛)가 위 틈새를 차단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실링 유닛은 초기에 설정된 압력으로 개폐 부재에 접촉된 채로 하우징에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 실링 유닛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마모되므로 실링의 정도가 조절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유체가 고온인 경우에는 수반되는 열변형에 의하여 밀착이 느슨해지지 않아야 하며, 유체가 고압인 경우에는 밀착이 보다 견고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래와 다른 형태로 실링조절이 가능한 버터플라이 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저온, 고온 및 고압 등에도 동작 신뢰도가 우수한 버터플라이 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조가 쉬우면서도 조립이 간편한 실링 유닛 및 조절 유닛을 구비하는 버터플라이 밸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저온 및 고온에서 실링성능이 유지되는 버터플라이 밸브는, 양단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크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크 유닛과,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제1 시트부와,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제1 시트부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시트부, 및 상기 몸체에 장착되며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과 몸체의 내주면 사이를 실링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시트부와 각각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실링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실링 유닛은, 상기 몸체의 중심선을 따라 경사지며, 상기 제1 메탈시트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몸체의 중심선을 따라 상기 제1 접촉부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제2 메탈 시트와 접촉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한다.
상기 실링 유닛은 링 형태로 형성되는 실링 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실링 본체부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실링 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는 상기 내부 공간을 흐르는 유체의 유압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시트부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및 제2 시트부는 각각 메탈재질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 메탈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메탈 시트는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와의 접촉점들이 상기 몸체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메탈 시트는 각각 상기 디스크 및 몸체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버터플라이 밸브는 조절 유닛을 포함한다. 조절 유닛은 상기 실링 유닛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실링 유닛이 상기 제1 및 제2 시트부를 누르는 눌림량을 조절한다.
상기 조절 유닛은, 상기 몸체에 장착되는 고정부, 및 상기 눌림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실링 유닛에 체결되는 조절나사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촉부의 단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안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몸체에는 상기 내주면과 수직한 수직면과,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수직면에서 연장되는 수평면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 및 수평면에는 상기 고정부가 안착되며,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고정부를 고정시키도록 링 홀더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버터플라이 밸브는 제1 및 제2 시트부를 통하여 고온에도 실링 성능이 유지되는 누수차단 메커니즘을 구현한다. 특히, 제1 및 제2 시트부가 메탈로 이루어짐에 따라,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실링 성능이 저하되는 비금속재의 탄성실링부재(오링 등)이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오링 등의 열변형에 의한 누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접촉부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짐에 따라, 고압시에 실링이 보다 견고해지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제1 및 제2 접촉부를 구비하는 실링 유닛을 이용하여, 동작 신뢰도가 높으나 구성품이 적고 체결이 간단한 컴팩트한 구조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라인 Ⅱ-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라인 Ⅳ-Ⅳ을 따라 취한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저온 및 고온에서 실링성능이 유지되는 버터플라이 밸브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의 측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버터플라이 밸브의 몸체(100)는 대략적으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원통형의 몸체(100)의 내부 공간(110, 도 2 참조)을 통해서는 유체가 유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 공간(110)은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하며, 밸브 몸체(100)의 양단부는 개방되어 유로가 끊기지 않고 연속적으로 연장되게 한다.
내부 공간(110)에는 위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디스크 유닛(disk unit, 200)이 설치된다. 디스크 유닛(200)은 밸브 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디스크(220)를 이용하여 유로를 개폐하게 된다. 예를 들어, 디스크(220)는 개폐기구(120)에 연결되어, 개폐기구(120)에 대한 조작에 의해 내부 공간(110)에서 회전하게 된다. 몸체(100)의 하부에는 평지 등에 거치할 때 몸체(100)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라인 Ⅱ-Ⅱ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개폐기구(120)의 회전축(121)은 디스크 유닛(200)의 지지대(210)에 연결된다. 지지대(210)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 공간(110)에서의 회전 상태에 따라 내부 공간(110)을 거치는 유로를 개폐하는 디스크(220)가 연결된다, 디스크(220)는 본 도면과 같이 유로를 닫거나(닫힌 상태, 도 2의 상태),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유로를 개방하게 된다(열린 상태). 유로를 완전 개방하기 위해 디스크(220)는 현 상태에서 대략 90°를 회전하여야 한다.
실링 유닛(sealing unit 300)은 내부 공간(110)을 형성하는 몸체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디스크 유닛(200)과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를 실링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링 유닛(300)은 디스크(220)를 지지하는 채로 몸체(100)의 내주면 측에 결합 된다. 이에 의해, 실링 유닛(300)은 닫힌 상태에서 몸체(100)와 디스크(22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체가 새는 것을 막거나 완화한다.
이하, 상기 실링 유닛(300)과 관련한 누수차단 메커니즘에 대하여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A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라인 Ⅳ-Ⅳ을 따라 취한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크(220)의 외주면에는 제1 시트부(241)가 돌출된다. 제1 시트부(241)는 디스크(22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디스크(220)의 회전에 따라 실링 유닛(300)과 접촉하거나 떨어지게 된다.
도시에 의하면, 몸체(100)의 내주면에는 제1 시트부(241)를 마주보는 위치에서 제2 시트부(242)가 돌출된다. 제2 시트부(242)는 몸체(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고정된 위치에서 실링 유닛(300)과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 시트부(241, 242)는 금속이나 고무 등으로 형성되며, 금속의 경우에는 디스크(220) 및 몸체(100)에 일체화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시트부(241, 242)는 각각 메탈재질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 메탈 시트(241a, 242a)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메탈 시트(241a, 242a)는 반원형의 단면을 구비하며, 상기 반원형의 형태는 지수 곡선을 따르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메탈 시트(241a, 242a)는 각각 상기 디스크(220) 및 몸체(100)에 육성 용접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실링 유닛(300)은 디스크(220)의 외주면과 몸체(100)의 내주면 사이를 실링하도록 제1 및 제2 시트부(241, 242)와 각각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실링 유닛(300)은 실링 본체부(310)와, 제1 및 제2 접촉부(321, 322)를 포함한다.
실링 본체부(310)는 실링 유닛의 메인 바디를 형성하며, 예를 들어 메탈 재질로 이루어진다. 실링 본체부(310)는 몸체(100)의 내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원호형 또는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접촉부(321, 322)는 상기 원호형 또는 링 형태의 내주측 및 외주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제1 접촉부(321)는 몸체의 중심선(C)을 따라(중심선을 기준으로) 경사지며, 상기 제1 시트부(241)와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접촉부(321)는 실링 본체부(310)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연장된다. 즉, 제1 접촉부(321)의 고정단은 실링 본체부(310)와 연결되고, 자유단은 제1 시트부(241)가 제1 접촉부(321)를 가압함에 따라 변형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링 본체부(310)의 일 면이 리세스되어(recessed), 얇은 두께를 가지는 외팔보가 형성된다. 상기 외팔보는 디스크(220)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으로서, 얇은 두께에 의해 다른 부분보다 큰 탄성 변형량을 가질 수 있다.
제2 접촉부(322)는 몸체의 중심선(C, 도 2 참조)을 따라 상기 제1 접촉부(321)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제2 시트부(242)와 접촉하도록 이루어진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제2 접촉부(322)는 상기 실링 본체부(310)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즉, 실링 본체부(310)의 외주면이 제1 접촉부(321)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서 제2 접촉부(322)를 형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누수차단에는 합성수지 재질의 오링이 많이 이용된다. 그러나, 고온 환경에서는 오링이 느슨해지거나(오링의 직경이 커짐) 소실되어 누수차단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오링이 없으므로 이러한 문제가 방지된다. 또한, 제1 및 제2 메탈 시트(241a, 242a)가 메탈로 이루어짐에 따라, 열변형에 의한 누수가 완화 또는 방지될 수 있다.
실링 유닛(300)은 내부 공간(110)을 유동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디스크(220)를 가압하는 힘이 달라지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하면, 실링 유닛(300)은, 유체의 압력이 큰 경우에는 작은 경우보다 큰 힘으로 디스크(220)를 가압하거나 디스크(220)에 접촉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접촉부(321, 322)는 몸체의 내부 공간을 흐르는 유체의 유압(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제1 및 제2 시트부(241, 242)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접촉부(321, 322)는 유체의 흐름(Q)을 따라 서로 가까워지도록 경사진다. 디스크(220)가 닫힌 상태에서 실링 유닛(300)에 가해지는 유압에 의하여 제1 및 제2 접촉부(321, 322)는 쐐기와 같이 제1 및 제2 시트부(241, 242)의 사이에 보다 끼워지게 된다. 이를 통하여, 강한 유압이 걸리는 경우에 누수차단이 보다 강화되는 메커니즘이 구현된다.
제1 및 제2 시트부(241, 242),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메탈 시트(241a, 242a)는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321, 322)와의 접촉점들이 몸체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촉점들은 동일 선상에 배치되며, 상기 동일 선상은 몸체의 중심선(C)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실링 유닛(300)의 실링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실링 유닛(300)은 몸체(100)의 중심선(C)을 따라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조절 유닛(400)에 의하여 구현되며, 상기 조절 유닛(400)은 실링 유닛(300)의 위치 조절을 통하여 상기 실링 유닛(300)이 상기 제1 및 제2 시트부(241, 242)를 누르는 눌림량을 조절한다.
조절 유닛(400)은 고정부(410) 및 조절나사(420)를 포함한다.
고정부(410)는 몸체에 장착되며, 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고정부(410)의 조절나사(420)는 상기 눌림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고정부(410)를 관통하여 상기 실링 유닛(300)에 체결된다. 상기 고정부(410)에는 상기 조절나사(420)가 관통하도록 관통홀(421)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00)에는 제2 시트부(242)가 고정되는 내주면에 수직한 수직면(141)과, 상기 수직면(141)에서 연장되는 수평면(142)이 형성된다. 수평면(142)에는 삽입홈(143)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143)에는 고정부(410)를 고정시키도록 링 홀더(430)의 일부가 삽입된다. 링 홀더(430)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면(142)으로부터 돌출된다.
링 홀더(430)는 서로 마주보는 양단이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링 홀더(430)는 삽입홈(143)에 삽입된 후에 직경이 커지도록 양단이 서로 벌어질 수 있으며, 직경이 커지면 이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링 홀더(430)의 예로서, 링 홀더(430)는 C 링, E 링 및 사각링 등이 될 수 있다
수직면(141) 및 수평면(142)이 조합되어 상기 고정부(410)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형성하며, 고정부(410)는 서로 수직한 양면이 수직면(141) 및 수평면(142)에 지지되도록 안착부에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링 홀더(430)와 수직면(141)의 사이에 고정부(410)가 끼워지게 되며, 이를 통하여 고정부(410)가 고정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제1 접촉부(321)의 단부는 고정부(410)의 일면에 안착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고정부(410)의 일면(수평면에 안착되는 면의 반대면)은 제1 접촉부(321)의 변형량을 제한하도록 제1 접촉부(321)의 자유단을 마주보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고정부(410)는 제1 접촉부가 디스크(220)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면 그 변형량을 제한한다.
실링 본체부(310)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홈(311)이 배치된다. 고정부(410)를 관통한 조절나사(420)는 실링 유닛(300)의 위치조절을 위하여 나사홈(311)에 나사 체결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부(410)에는 실링 본체부(310)를 상기 고정부(4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실링 본체부(310)의 일면을 지지하는 가압나사(440)가 장착된다. 육각헤드 볼트인 조절나사(420)와 달리, 가압나사(440)는 소켓헤드 볼트로 형성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에 의하면, 고정부(410)에서 서로 인접하는 관통홀들(421, 422, 도 1 참조)의 사이에는 나사홀(441)이 형성된다. 가압나사(440)가 조절나사(420)와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가압나사(440)는 나사홀(441)을 관통하여 실링 본체부(310)를 지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 경우, 가압나사(440)를 푼 상태(실링 본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조절나사(420)를 조이면 실링 본체부(310)가 고정부(410)를 향하여 이동하며, 이는 접촉부들(321, 322)의 경사면이 시트부들(241, 242)과 보다 완화된 상태로 접촉하게 한다.
반대로 조절나사(420)를 푼 상태에서 가압나사(440)를 조이면(즉, 실링 본체부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접촉부들(321, 322)의 경사면이 시트부들(241, 242)와 보다 밀착되도록 실링 유닛(300)이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절나사(420)와 가압나사(440)를 이용하여 실링 유닛(300)의 위치를 가변함으로써, 시트부들(241, 242)의 눌림량을 조절한다.
상기와 같은 버터플라이 밸브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양단부가 개방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몸체;
    상기 내부 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디스크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의 회전에 따라 상기 내부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크 유닛;
    메탈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크에 고정되고,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에서 돌출되는 제1 시트부;
    메탈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몸체의 내주면에서 돌출되고, 상기 제1 시트부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시트부; 및
    상기 몸체에 장착되며, 상기 디스크의 외주면과 몸체의 내주면 사이를 실링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시트부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시트부와 각각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실링 유닛을 포함하는 버터플라이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유닛은,
    상기 몸체의 중심선을 따라 경사지며, 상기 제1 시트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몸체의 중심선을 따라 상기 제1 접촉부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제2 시트부와 접촉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는 버터플라이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유닛은 링 형태로 형성되는 실링 본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접촉부는 상기 실링 본체부로부터 외팔보 형태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접촉부는 상기 실링 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밸브.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는 상기 내부 공간을 흐르는 유체의 유압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시트부를 가압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밸브.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시트부는 각각 메탈재질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 메탈 시트를 포함하는 버터플라이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메탈 시트는 상기 제1 및 제2 접촉부와의 접촉점들이 상기 몸체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밸브.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메탈 시트는 각각 상기 디스크 및 몸체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밸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유닛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실링 유닛이 상기 제1 및 제2 시트부를 누르는 눌림량을 조절하는 조절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 유닛은,
    상기 몸체에 장착되는 고정부; 및
    상기 눌림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기 실링 유닛에 체결되는 조절나사를 포함하는 버터플라이 밸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유닛은,
    상기 몸체의 중심선을 따라 경사지며, 상기 제1 시트부와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1 접촉부; 및
    상기 몸체의 중심선을 따라 상기 제1 접촉부와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제2 시트부와 접촉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부의 단부는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안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밸브.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내주면과 수직한 수직면과, 삽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수직면에서 연장되는 수평면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 및 수평면에는 상기 고정부가 안착되며, 상기 삽입홈에는 상기 고정부를 고정시키도록 링 홀더의 일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터플라이 밸브.
KR1020110038743A 2011-04-26 2011-04-26 저온 및 고온에서 실링성능이 유지되는 버터플라이 밸브 Expired - Fee Related KR101096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743A KR101096525B1 (ko) 2011-04-26 2011-04-26 저온 및 고온에서 실링성능이 유지되는 버터플라이 밸브
US13/277,311 US8857793B2 (en) 2011-04-26 2011-10-20 Butterfly valve having function of maintaining sealing performance under low and high temperatur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8743A KR101096525B1 (ko) 2011-04-26 2011-04-26 저온 및 고온에서 실링성능이 유지되는 버터플라이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96525B1 true KR101096525B1 (ko) 2011-12-20

Family

ID=45506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8743A Expired - Fee Related KR101096525B1 (ko) 2011-04-26 2011-04-26 저온 및 고온에서 실링성능이 유지되는 버터플라이 밸브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57793B2 (ko)
KR (1) KR10109652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503B1 (ko) * 2013-12-30 2015-08-06 서광공업 주식회사 구형 버터 플라이 밸브
KR101567790B1 (ko) * 2013-12-30 2015-11-11 서광공업 주식회사 예비실을 갖는 더블디스크형 버터플라이 밸브
KR20160029427A (ko) 2014-09-05 2016-03-1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다이나믹실이 구비된 밸브 및 그 밸브의 스트로크 측정방법
KR102448043B1 (ko) 2022-02-21 2022-09-27 홍정민 화재 안전용 버터플라이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27072B (zh) * 2014-10-07 2020-03-03 株式会社开滋 蝶形阀用阀座圈和其固定构造、以及偏心型蝶形阀
US10982775B2 (en) 2019-07-10 2021-04-20 Mueller International, Llc Metal-coated seat retention groove
CN114599903B (zh) * 2019-10-25 2024-04-09 Itt制造企业有限责任公司 脊密封分段阀
GB2610406A (en) 2021-09-02 2023-03-08 Black & Decker Inc Seal
CN114576371B (zh) * 2022-01-22 2024-09-24 中鸿阀门股份有限公司 硬密封蝶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648Y1 (ko) * 2004-12-09 2005-03-10 서광공업 주식회사 메탈시트 버터플라이밸브의 부동형 누수차단장치
KR100963117B1 (ko) 2009-11-06 2010-06-15 서광공업 주식회사 버터플라이 밸브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83154A (en) * 1934-11-09 1937-06-08 Universal Hydraulic Corp Valve sealing device
US2059656A (en) * 1935-12-21 1936-11-03 Allis Chalmers Mfg Co Butterfly valve
US3666236A (en) * 1969-03-07 1972-05-30 Jean Gachot Butterfly valve
US3834663A (en) * 1971-12-09 1974-09-10 Jamesbury Corp Metal seat butterfly valve
US3997142A (en) * 1975-04-21 1976-12-14 Fmc Corporation Pressure sensitive and temperature responsive rotary valve
US4410163A (en) * 1982-02-01 1983-10-18 Keystone International, Inc. Valve seat
US5178364A (en) * 1987-05-20 1993-01-12 Applications Mecaniques Et Robinetterie Industrielle (A.M.R.I.) Sealing liner with incorporated reaction ring, more particularly for a closure means
US4763877A (en) * 1987-09-29 1988-08-16 Itt Corporation Butterfly valve seal arrangement
JP2787726B2 (ja) * 1990-05-31 1998-08-20 株式会社エヌビーエス バタフライバルブ
US5707040A (en) * 1995-10-12 1998-01-13 Orbit Valve Company Replaceable seal members for butterfly valve
GB2307539B (en) * 1996-02-16 1997-10-08 Solent & Pratt Butterfly valves
JPH10288262A (ja) * 1997-04-14 1998-10-27 Asahi Organic Chem Ind Co Ltd プラスチック製バタフライ弁
US7080820B2 (en) * 1999-11-16 2006-07-25 Fisher Controls International Llc. Elliptical sealing surface for butterfly valv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648Y1 (ko) * 2004-12-09 2005-03-10 서광공업 주식회사 메탈시트 버터플라이밸브의 부동형 누수차단장치
KR100963117B1 (ko) 2009-11-06 2010-06-15 서광공업 주식회사 버터플라이 밸브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503B1 (ko) * 2013-12-30 2015-08-06 서광공업 주식회사 구형 버터 플라이 밸브
KR101567790B1 (ko) * 2013-12-30 2015-11-11 서광공업 주식회사 예비실을 갖는 더블디스크형 버터플라이 밸브
KR20160029427A (ko) 2014-09-05 2016-03-1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다이나믹실이 구비된 밸브 및 그 밸브의 스트로크 측정방법
KR102448043B1 (ko) 2022-02-21 2022-09-27 홍정민 화재 안전용 버터플라이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57793B2 (en) 2014-10-14
US20120273708A1 (en) 2012-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6525B1 (ko) 저온 및 고온에서 실링성능이 유지되는 버터플라이 밸브
RU2556956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едла клапана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с клапанами для текучей среды
EP2416038B1 (en) Sealing arrangement for a diaphragm valve
BRPI0620164A2 (pt) vedação para uso com uma válvula borboleta e material multicamadas para uso como uma vedação
US8746657B2 (en) Multi-piece valve disk
BRPI0816248B1 (pt) Aparelho de disco de vedação para uso com uma válvula e regulador de fluidos
JP2011033189A (ja) 可撓性の弁座を有したトラニオン搭載ボール弁
JPH04285371A (ja) 回転弁の閉鎖シール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回転弁の製造方法
US7331359B2 (en) Valve with bi-loading seal
US20140203201A1 (en) Butterfly valves having multiple seals
US7984892B2 (en) Low friction butterfly ring
US9639093B2 (en) Self-aligning axially constrained regulator valve assembly
CN205504121U (zh) 夹紧式阀盖组件及具有该组件的轴流式控制阀
CA2565786C (en) Sealing device with stiffener
JP2019095053A (ja) 弁組立体に使用するための2つの部分に分かれたプラグにおけるオーバートラベルの調節
KR101642069B1 (ko) 게이트 밸브
JP2014521038A (ja) 回転制御弁用ベローズ付勢型シールアセンブリ
KR101872683B1 (ko) 자동 맞춤 기능을 갖는 볼밸브
KR101153319B1 (ko) 유량 제어 밸브
KR101520782B1 (ko) 볼밸브용 밸브시트
KR100963117B1 (ko) 버터플라이 밸브
KR101046573B1 (ko) 실링에 대한 외부 조절이 가능한 버터플라이 밸브
CN117377843A (zh) 用于阀的旋塞和包含这种旋塞的阀
KR101292152B1 (ko) 버터플라이 밸브
KR101297256B1 (ko) 외부에서 실링 유닛의 위치조절이 가능한 버터플라이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5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42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10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2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