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94803B1 - 필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필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4803B1
KR101094803B1 KR1020080108081A KR20080108081A KR101094803B1 KR 101094803 B1 KR101094803 B1 KR 101094803B1 KR 1020080108081 A KR1020080108081 A KR 1020080108081A KR 20080108081 A KR20080108081 A KR 20080108081A KR 101094803 B1 KR101094803 B1 KR 101094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ion
filter
filter housing
housing
sid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8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8775A (ko
Inventor
이인탁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8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803B1/ko
Priority to MYPI2011001829A priority patent/MY149265A/en
Priority to EP09823862A priority patent/EP2361132A4/en
Priority to CN200980143941.8A priority patent/CN102202760B/zh
Priority to PCT/KR2009/006354 priority patent/WO2010050782A2/en
Publication of KR20100048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80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05Making filter elemen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8Construction of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Manipulator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하우징의 두께와 필터 어셈블리의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필터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 테두리를 따라 융착 리브가 형성된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 하우징에 유입되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 부재; 및 상기 필터 하우징의 융착 리브에 끼워지도록 융착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캡;을 포함하고, 상기 융착 리브는 양측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융착홈은 양측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기 융착 리브가 상기 융착홈에 끼워질 때에 상기 융착 리브가 상기 융착홈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정확한 위치에 끼워지며, 양측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된 상기 융착홈은 상기 융착 리브보다 작게 형성되어, 회전됨에 의해 상기 융착 리브의 양측면이 상기 융착홈의 양측면과 마찰됨에 따라 상기 융착 리브가 상기 융착홈의 양측면에 융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 필터 하우징, 필터 캡

Description

필터 어셈블리{FILTER ASSEMBLY}
본 발명은 필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처리 장치에는 물속에 함유된 중금속이나 이물질 등을 여과하는 기기이다. 상기 수처리 장치에는 정수기, 비데, 가습기, 식기 세척기, 정수기능이 있는 냉장고 등이 있다.
상기 수처리 장치에는 물을 여과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필터 어셈블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필터 하우징 내부에 필터 부재를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필터 하우징에 하우징 캡을 융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 하우징과 하우징 캡은 금형에 의해 별도로 제작된 후 융착된다.
상기 필터 하우징의 일측 테두리에는 융착홈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 캡의 테두리에는 융착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융착 리브를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 캡이 필터 하우징의 일측에 올려지면, 상기 하우징 캡의 융착 리브가 상기 필터 하우징의 융착홈에 대응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캡이 회전되면 상기 융착 리브와 융착홈이 마찰됨에 따라 상기 융착 리브와 융착홈이 융착된다.
그러나, 종래의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일측 테두리에 융착 홈(135)이 형성되면서도 상기 필터 하우징이 금형에서 빠질 수 있도록 해야 하므로, 상기 필터 하우징은 금형 구조상 전체적으로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어야 했다. 이때, 상기 필터 하우징은 융착홈과 융착홈 양측의 주위 구조(리브)를 형성하기 위한 최소한의 두께를 가져야 하므로, 상기 필터 하우징의 두께가 전체적으로 두꺼워지게 되었다. 나아가, 상기 필터 하우징의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무게, 제조 단가 및 물류 비용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또한, 상기 필터 하우징에 하우징 캡이 탑재된 상태에서 외부 충격이 작용해지는 경우 상기 융착 리브가 융착홈의 정상적인 위치에 삽입되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이 경우 하우징 캡이 필터 하우징에 비정상적으로 융착됨에 따라 융착 불량이 발생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하우징 캡이 필터 하우징의 일측에 지그(Jig)에 의해 지지될 때에 상기 지그의 공차에 의해 불완전 융착이 발생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필터 하우징과 하우징 캡의 융착이 정상적으로 되었는지를 확인하기 곤란했다. 따라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미세하게 융착 불량이 난 경우, 별도의 테스트를 실시하여 불량 여부를 판단하므로, 생산성 저하 및 추가 설비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로운 융착부 설계를 통하여 생산성 향상 및 필터 하우징의 두께와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필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융착 공정시 외부 충격이나 지그 공차가 발생되더라도 융착 불량이 최소화될 수 있는 필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필터 어셈블리의 융착 불량 여부를 제조 공정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필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 테두리를 따라 융착 리브가 형성된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 하우징에 유입되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 부재; 및 상기 필터 하우징의 융착 리브에 끼워지도록 융착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캡;을 포함하고, 상기 융착 리브는 양측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융착홈은 양측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기 융착 리브가 상기 융착홈에 끼워질 때에 상기 융착 리브가 상기 융착홈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정확한 위치에 끼워지며, 양측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된 상기 융착홈은 상기 융착 리브보다 작게 형성되어, 회전됨에 의해 상기 융착 리브의 양측면이 상기 융착홈의 양측면과 마찰됨에 따라 상기 융착 리브가 상기 융착홈의 양측면에 융착되도록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 하우징 캡의 일단부에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일측 외주면이 접촉되면서 삽입되어 상기 융착 리브가 융착홈에 끼워질 때에 공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하우징의 외측면에는 상기 하우징 캡과 필터 하우징이 정상적으로 융착되었을 때에 상기 가이드부의 끝단과 대응되도록 융착 깊이 확인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하우징의 끝단과 융착 깊이 확인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필터 하우징 캡의 융착홈 입구와 상기 가이드부의 끝단 사이의 거리보다 융착 깊이만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융착 깊이 확인부는 필터 하우징의 원주방향을 따라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 하우징의 두께와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융착 공정시 외부 충격이나 지그 공차가 발생되더라도 융착 불량이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 하우징의 생산 뿐만 아니라 필터 조립 생산 공정의 시간을 단축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 어셈블리의 융착 불량 여부를 제조 공정시에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필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 어셈블리(100)는 필터 하우징(110), 필터 부재(120) 및 하우징 캡(130)을 포함한다.
상기 필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필터 하우징(110)의 물 유입측에는 유입측 하우징 캡부(111)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필터 하우징(110)은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측 하우징 캡부(111)에는 정수관(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도록 유입관부(112)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측 하우징 캡부(111)의 내부에는 다수의 지지 리브(미도시)가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 리브들 사이로 물이 통과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필터 부재(120)는 필터 하우징(11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필터 부재(120)의 물 유입측 끝단부에는 유입측 커버(121)가 결합되고, 상기 필터 부재(120)의 물 토출측 단부에는 토출측 커버(12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하우징(110)의 일단부에는 하우징 캡(130)이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 캡(130)의 중심부에는 토출측 정수관(미도시)에 결합될 수 있도록 토출관 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 하우징(110)과 하우징 캡(130)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등 다양한 합성 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도 3은 필터 하우징과 하우징 캡의 융착 구조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 하우징(110)의 일단부에는 테두리를 따라 융착 리브(11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융착 리브(115)의 단면은 내측면과 외측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쐐기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융착 리브(115)는 전체적으로 원형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필터 하우징(110)의 일단부에 융착홈(135)과 융착홈(135)의 주위 구조(융착홈의 양측에 형성된 리브)를 형성하지 않고 상기 필터 하우징(110)보다 얇은 두께의 융착 리브(115)만를 형성하므로, 상기 필터 하우징(110)의 전체적인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같이 필터 하우징(110)에 융착 리브(115)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필터 하우징(110)의 두께를 종래에 비해 대략 30~50%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융착 리브(115)의 양측면은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융착 리브(115)는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쐐기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캡(130)에는 테두리를 따라 상기 필터 하우징(110)의 융착 리브(115)에 끼워지도록 융착홈(13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융착홈(135)은 전체적으로 원형 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융착홈(135)은 상기 융착 리브(115)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 캡(130)이 회전됨에 의해 상기 융착 리브(115)의 양측면이 상기 융착홈(135)의 양측면과 마찰됨에 따라 융착 리브(115)가 융착홈(135)에 융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 캡(130)은 융착 리브(115)가 융착시 용융되는만큼 상기 필터 하우징(110)의 내측으로 소정 거리(이하, '융착 깊이'라고 함)만큼 더 들어간다.
상기 융착홈(135)의 양측면은 테이퍼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융착홈(135)의 양측면은 테이퍼지게 형성됨에 의해 입구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융착 리브(115)가 융착홈(135)으로 원활하게 안내되도록 상기 융착홈(135) 입구 근처 부분이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 캡(130)이 지그에 의해 필터 하우징(110)의 일단부에 올려졌을 때에 상기 융착 리브(115)가 융착홈(135)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을 따라 미끌어짐에 의해 상기 하우징 캡(130)이 정확한 회전 위치에 배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지그의 공차가 약간 발생되면 상기 하우징 캡(130)이 상기 필터 하우징(110)에 약간 편중되게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 캡(130)의 회전 중심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필터 하우징(110)의 융착 리브(115)가 상기 융착홈(135)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을 타고 미끄러져 내려가므로, 상기 하우징 캡(130)의 회전 중심이 적절하게 보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융착홈(135)의 양측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융착 리브(115)의 양측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하우징 캡(130)이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삽입되더라도 상기 융착홈(135)과 융착 리브(115)가 테이퍼짐에 의해 보정 범위를 보다 확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 캡(130)의 일단부에는 상기 필터 하우징(110)의 일측 외주면이 접촉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부(13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137)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37)는 필터 하우징(110)의 융착 리브(115)가 융착홈(135)에 끼워질 때에 상기 하우징 캡(130)이 필터 하우징(11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상태에서 끼워지도록 한다. 나아가, 상기 융착 리브(115)가 융착홈(135)에 끼워질 때에 공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필터 하우징(110)의 외측면에는 상기 하우징 캡(130)과 필터 하우징(110)이 정상적으로 융착되었을 때에 상기 가이드부(137)의 끝단과 대응되도록 융착 깊이 확인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 하우징(110)의 끝단과 융착 깊이 확인부(117) 사이의 거리(L1)는, 상기 하우징 캡(130)의 융착홈(135) 입구와 상기 가이드부(137)의 끝단 사이의 거리(L2)보다 상기 융착 깊이만큼 길게 형성될 수 있다(L1>L2).
따라서, 상기 융착 깊이 확인부(117)가 가이드부(137)의 끝단과 대응되는지 여부를 확인함에 따라 융착이 정상적으로 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융착 깊이 확인부(117)는 필터 하우징(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러한 융착 깊이 확인부(117)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 캡(130)이 필터 하우징(110)에 융착 완료되면, 상기 필터 하우징(110)을 돌려보면서 상기 필터 하우징(110)과 하우징 캡(130)이 정상적인 융착 깊이만큼 융 착되었는지를 전체적으로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융착 공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필터 하우징의 일단부가 하우징 캡의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 하우징(110)의 내부에 필터 부재(120)가 삽입된 후 상기 필터 하우징(110)이 지그(jig)에 의해 세워진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캡(130)이 지그에 의해 상기 필터 하우징(110)의 일단부에 올려진다.
상기 하우징 캡의 가이드부(137)는 상기 필터 하우징(110)의 일측 외주면에 접촉되면서 삽입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 캡(130)은 가이드부(137)의 안내에 의해 거의 흔들리지 않고 상기 필터 하우징(110)의 길이방향과 거의 평행한 방향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도 5는 필터 하우징과 하우징 캡이 융착되기 전에 상기 하우징 캡이 필터 하우징에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 캡(130)이 상기 필터 하우징(110)의 일단부에 더욱 더 삽입되면, 상기 필터 하우징(110)의 융착 리브(115)가 하우징 캡(130)의 융착홈(135)에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융착 리브(115)의 양측면과 상기 융착홈(135)의 양측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되므로, 상기 필터 하우징(110)의 융착 리브(115)가 상기 하우징 캡(130)의 융착홈(135)에 정확하게 끼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 하우징(110)과 하우징 캡(13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거나 공차가 발생하 더라도 상기 융착 리브(115)와 융착홈(135)이 정확하게 끼워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캡(130)이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되면, 상기 하우징 캡(130)의 융착 리브(115)는 상기 융착홈(135)의 양측면과 마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융착 리브(115)는 융착홈(135)보다 두껍게 형성되므로, 상기 융착 리브(115)의 양측면이 상기 융착홈(135)의 양측면과 마찰된다.
도 6은 필터 하우징에 하우징 캡이 융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 캡(130)이 계속적으로 회전됨에 의해 상기 융착 리브(115)와 상기 융착홈(135)의 마찰면에는 마찰열에 의해 용융물질이 생성된다. 이때, 상기 융착 리브(115)는 마찰열에 의해 용융되어 조금씩 작아지게 된다.
상기 융착 리브(115)가 용융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 캡(130)이 필터 하우징(110)측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융착 리브(115)와 융착홈(135)의 마찰면은 용융물질이 더욱 많이 발생된다.
그리고, 기 설정된 융착 시간에 도달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지그는 하우징 캡(130)을 정지시킨다.
상기 하우징 캡(130)이 정지되면, 상기 융착 리브(115)의 양측면과 융착홈(135)의 양측면이 용융물질에 의해 융착된다. 이때, 상기 융착 리브(115)의 융착 면적이 2면이므로, 상기 융착 리브(115)가 3면 융착(양측면과 끝단면 융착)되는 구조에 비해 융착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융착 리브(115)와 융착홈(135)의 융착된 부분은 도번 138로 도시하였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100)의 융착이 완료되면, 상기 가이드부(137)의 끝단이 상기 융착 깊이 확인부(117)에 대응되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137)의 끝단이 융착 깊이 확인부(117)에 전체적으로 대응되면, 상기 필터 어셈블리(100)가 정상적으로 융착되었다고 판단하면 된다.
반면, 상기 가이드부(137)의 끝단이 융착 깊이 확인부(117)와 일부분 대응되거나 전혀 대응되지 않으면, 상기 필터 어셈블리(100)가 정상적으로 융착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137)와 융착 깊이 확인부(117)의 대응 여부에 따라 상기 필터 어셈블리(100)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필터 하우징의 두께와 무게를 감소시키고, 필터 어셈블리의 융착 불량 여부를 미리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산업상으로 현저한 이용 가능성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필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필터 하우징과 하우징 캡의 융착 구조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필터 하우징의 일단부가 하우징 캡의 가이드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필터 하우징과 하우징 캡이 융착되기 전에 상기 하우징 캡이 필터 하우징에 올려진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필터 하우징에 하우징 캡이 융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필터 어셈블리 110: 필터 하우징
115: 융착 리브 117: 융착 깊이 확인부
120: 필터 부재 130: 하우징 캡
135: 융착홈 137: 가이드부

Claims (7)

  1.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일측 테두리를 따라 융착 리브가 형성된 필터 하우징;
    상기 필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필터 하우징에 유입되는 물을 여과하는 필터 부재; 및
    상기 필터 하우징의 융착 리브에 끼워지도록 융착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캡;을 포함하고,
    상기 융착 리브는 양측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융착홈은 양측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상기 융착 리브가 상기 융착홈에 끼워질 때에 상기 융착 리브가 상기 융착홈의 일측면 또는 양측면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정확한 위치에 끼워지며,
    양측면이 테이퍼지게 형성된 상기 융착홈은 상기 융착 리브보다 작게 형성되어, 회전됨에 의해 상기 융착 리브의 양측면이 상기 융착홈의 양측면과 마찰됨에 따라 상기 융착 리브가 상기 융착홈의 양측면에 융착되도록 하는 필터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캡의 일단부에는 상기 필터 하우징의 일측 외주면이 접촉되면서 삽입되어 상기 융착 리브가 융착홈에 끼워질 때에 공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어셈블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하우징의 외측면에는 상기 하우징 캡과 필터 하우징이 정상적으로 융착되었을 때에 상기 가이드부의 끝단과 대응되도록 융착 깊이 확인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하우징의 끝단과 융착 깊이 확인부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필터 하우징 캡의 융착홈 입구와 상기 가이드부의 끝단 사이의 거리보다 융착 깊이만큼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어셈블리.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 깊이 확인부는 필터 하우징의 원주방향을 따라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어셈블리.
KR1020080108081A 2008-10-31 2008-10-31 필터 어셈블리 Active KR101094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081A KR101094803B1 (ko) 2008-10-31 2008-10-31 필터 어셈블리
MYPI2011001829A MY149265A (en) 2008-10-31 2009-10-30 Filter assembly
EP09823862A EP2361132A4 (en) 2008-10-31 2009-10-30 FILTER ASSEMBLY
CN200980143941.8A CN102202760B (zh) 2008-10-31 2009-10-30 过滤器组件
PCT/KR2009/006354 WO2010050782A2 (en) 2008-10-31 2009-10-30 Filte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8081A KR101094803B1 (ko) 2008-10-31 2008-10-31 필터 어셈블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026A Division KR101407448B1 (ko) 2011-10-17 2011-10-17 필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775A KR20100048775A (ko) 2010-05-11
KR101094803B1 true KR101094803B1 (ko) 2011-12-16

Family

ID=42129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8081A Active KR101094803B1 (ko) 2008-10-31 2008-10-31 필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361132A4 (ko)
KR (1) KR101094803B1 (ko)
CN (1) CN102202760B (ko)
MY (1) MY149265A (ko)
WO (1) WO201005078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641Y1 (ko) * 2010-08-20 2012-04-04 권진철 필터유닛의 융착구조
KR101222616B1 (ko) * 2011-05-11 2013-02-05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무분진 저수 용기
EP2747867B1 (en) * 2011-10-03 2019-11-27 Entegris, Inc. Modular filter cassette
JP2015532200A (ja) 2012-10-01 2015-11-09 インテグリ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浄化システム
DE102013101727A1 (de) * 2013-02-21 2014-09-04 R.Stahl Schaltgeräte GmbH Gehäuse mit einer Rotationsreibschweißnah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958Y1 (ko) * 2002-07-23 2002-10-25 이평호 정수기용 필터의 캡 결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4468A1 (en) * 2002-11-20 2004-05-20 Karl Fritze Freeze resistant water filter
KR100476096B1 (ko) * 2002-12-12 2005-03-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필터
WO2005021439A2 (en) * 2003-05-02 2005-03-10 Cuno Incorporated Crossflow filtration system with quick dry change elements
US7534348B2 (en) * 2003-09-12 2009-05-19 Fenwal, Inc. Flow-through removal device and system using such device
KR100515927B1 (ko) * 2003-09-18 2005-09-21 주식회사 산청 단일체의 플라스틱 케이스로 이루어진 정화통
EP1735073B1 (en) * 2004-04-05 2009-08-19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Hot disconnect replaceable water filter assembly
US7506666B2 (en) * 2005-04-29 2009-03-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ti-drip ring and drip seal
KR100828857B1 (ko) * 2005-11-09 2008-05-09 신연홍 정수 필터
KR100939097B1 (ko) * 2007-01-29 2010-01-28 이성주 파팅라인과 언더컷이 없는 정수기 필터의 제조방법 및유니버설 필터 하우징
US7662283B2 (en) * 2008-03-21 2010-02-16 Pentair Filtration, Inc. Modular drinking water filtration system with locking arrangement to assure filter cartridge compatibil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958Y1 (ko) * 2002-07-23 2002-10-25 이평호 정수기용 필터의 캡 결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61132A4 (en) 2012-04-25
KR20100048775A (ko) 2010-05-11
WO2010050782A2 (en) 2010-05-06
WO2010050782A3 (en) 2010-07-29
EP2361132A2 (en) 2011-08-31
CN102202760B (zh) 2014-12-03
MY149265A (en) 2013-08-15
CN102202760A (zh)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803B1 (ko) 필터 어셈블리
AU723029B2 (en) Electrode for welding
KR101368100B1 (ko) 구름 베어링 및 공작 기계용 주축 장치
CN101374582B (zh) 带有多构件壳体的径向密封过滤器
US20140131610A1 (en) Method for welding components with a closed hollow cross-section in such a way that a peripheral gap is produced between the two overlapping components
KR20110128765A (ko) 필터 어셈블리
CN103802271A (zh) 用于抛光晶片的保持环的制造方法
KR20100004775A (ko) 필터 어셈블리
ITBO20120571A1 (it) Metodo di realizzazione di una spazzola e spazzola cosi' ottenuta.
KR20160039112A (ko) 수처리 모듈
KR101674734B1 (ko) 수처리 모듈
EP2789421A1 (en) Back-shielded welding method and welded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986969B1 (ko) 관 제조방법 및 관
KR20200088211A (ko) 여과 장치
KR20160039119A (ko) 수처리 모듈
KR101694801B1 (ko) 수처리 모듈
JP6525033B2 (ja) タンクの製造方法、タンクの鏡板、及びタンク
KR101674729B1 (ko) 수처리 모듈
BR112021001968B1 (pt) Bocal de saída para um tambor de centrífuga, inserto de bocal, tambor de centrífuga, ferramenta de montagem e processo para montagem de um bocal de saída
KR101674728B1 (ko) 수처리 모듈
JP6939383B2 (ja) 液切り装置
KR101621900B1 (ko) 수처리 모듈
KR102717554B1 (ko) 맨홀 장치
KR101674733B1 (ko) 수처리 모듈
KR101674735B1 (ko) 수처리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3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3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0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08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010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10916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08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11118

Appeal identifier: 2011101006607

Request date: 20110916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11017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101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16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101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111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11024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