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94024B1 - 이차전지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4024B1
KR101094024B1 KR1020090111454A KR20090111454A KR101094024B1 KR 101094024 B1 KR101094024 B1 KR 101094024B1 KR 1020090111454 A KR1020090111454 A KR 1020090111454A KR 20090111454 A KR20090111454 A KR 20090111454A KR 101094024 B1 KR101094024 B1 KR 101094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terminal
electrode
support
electrode assembl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4705A (ko
Inventor
최규길
안창범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1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4024B1/ko
Priority to JP2010012959A priority patent/JP5260565B2/ja
Priority to US12/942,943 priority patent/US9419255B2/en
Priority to CN201010548996.1A priority patent/CN102064334B/zh
Priority to EP10251959.2A priority patent/EP2333877B1/en
Publication of KR20110054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4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402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01M50/557Plate-shaped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 결합되는 시트 형태의 외장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을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몸체와, 상기 제1 전극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단자와 상기 제2 전극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극단자가 마련되며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단자형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가 제공된다.
이차전지, 지지체, 외장재, 단자형성부, 실링부

Description

이차전지{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이차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통신 컴퓨터 산업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급이 늘어나고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으로는 재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구비한다. 종래의 이차전지는 케이스의 형태에 따라 각형의 알루미늄 캔을 사용하는 캔형과 박판의 파우치를 사용하는 파우치형으로 나누어진다. 캔형 이차전지의 케이스는 캔의 개구부에 캡 플레이트가 용접되어 완성되며,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케이스는 두 시트의 테두리 부분이 열융착되어 완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새로운 형태의 지지체를 갖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순한 구조를 갖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링 특성이 우수한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 결합되는 시트 형태의 외장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가 제공된다.
상기 이차전지는 상기 지지체와 상기 외장재를 결합시키는 접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접착제가 수용될 수 있는 제1 접착제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제1 접착제 홈과 나란하게 형성된 제2 접착제 홈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가 형성된 부분의 폭은 상기 지지체와 상기 외장재가 결합되는 부분의 폭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와 상기 외장재가 결합되는 부분에서 상기 접착제가 형성되지 않 은 부분에서는 열융착에 의해 상기 지지체와 상기 외장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양단으로부터 대향하도록 연장된 제1 날개부 및 제2 날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제2 날개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직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날개부와 제2 날개부의 끝단 모서리는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 조립체는 양단부와, 상기 양단부를 연결하며 대향하는 두 단측 측면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양단부와 상기 두 단측면 감싸는 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지지체의 내면에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 홈의 바깥 모서리는 둥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을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몸체와, 상기 제1 전극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단자와 상기 제2 전극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극단자가 마련되며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단자형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가 제공된다.
상기 단자형성부는 상기 제1 전극단자를 감싸며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제1 실링부를 구비하는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전극단자를 감싸며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제2 실링부를 구비하는 제2 단자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부와 제2 실링부는 상기 몸체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재질로 이 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부는 제1 실링부와 상기 제1 전극단자 사이에 형성된 제1 단자 접착층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단자부는 상기 제2 실링부와 상기 제2 전극단자 사이에 형성된 제2 단자 접착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단자형성부는 상기 제1 전극단자와 제2 전극단자를 함께 감싸며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실링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는 상기 몸체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단자형성부와 상기 몸체 사이에 형성된 몸체 접착층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 접착층은 상기 몸체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단자는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전극 조립체 쪽으로 연장된 제1 내부 접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전극단자는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전극 조립체 쪽으로 연장된 제2 내부 접속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몸체에는 상기 제1 내부 접속부와 제2 내부 접속부가 접혀서 수납될 수 있는 수납홈이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을 따르면 앞서서 기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 조립체가 수용되는 지지체에 시트 형태의 외장재가 결합되고, 단자부가 지지체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구조가 간단하며 실링특성이 우수하다.
또한, 지지체 내부에 전극 조립체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 홈이 마련되므로 전극 조립체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공간의 활용성이 높다.
그리고, 지지체 내부에 전극단자 및 전극 조립체의 전극 탭이 수납될 수 있는 수납 홈이 마련되므로, 공간의 활용성이 높다.
아울러, 상기 안착 홈 및 수납 홈에는 전해액이 수용될 수 있으므로 이차전지의 용량 및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1 내지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차전지를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차전지를 B-B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이차전지를 C-C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1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6에서 제1 밀봉부의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며, 도 8은 도6에서 제2 밀봉부의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1 내지 도4을 참조하면, 이차전지(100)는 전극조립체(110)와, 지지체(120)와, 외장재(140)를 구비한다. 이차전지(100)는 충전기(미도시)로부터 공급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고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외부 부하(미도시)에 공급한다.
전극 조립체(110)는 대체로 납작한 형태로서, 제1 전극판(111)과, 제2 전극판(112)과, 두 전극판의 사이에 개재된 두 세퍼레이터(113, 114)를 구비한다. 전극 조립체(110)는 젤리-롤(Jelly-Roll) 타입으로 권취되어 형성된다. 전극 조립체(110)에는 권취중심선(X)을 따라 양단부에 형성된 제1 단부(115a) 및 제2 단부(115b)와, 두 단부(115a, 115b)를 연결하는 측면(116)을 구비한다. 제1 단부(115a) 및 제2 단부(115b)에는 권취된 두 전극판(111, 112)과, 두 세퍼레이터(113, 114)가 노출된다. 측면(116)은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며 제1, 제2 장측면(long side surface)(117a, 117b)과, 서로 반대편에 위치하며 두 장측면(117a, 117b)을 연결하는 제1, 제2 단측면(short side surface)(118a, 118b)을 구비한다. 두 장측면(117a, 117b)은 권취방향을 따라 두 단측면(118a, 118b)보다 길게 형성된다. 두 장측면(117a, 117b)은 대체로 편평하며, 두 단측면(118a, 118b)은 볼록한 둥근 곡면을 이룬다.
제1 전극판(111)에는 전도성인 제1 전극탭(111a)이 결합된다. 제2 전극판(112)에는 전도성인 제2 전극탭(112a)이 결합된다. 제1 전극탭(111a)과 제2 전극탭(112a)은 전극 조립체(110)의 제1 단부(115a)로부터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전극판(111)이 양극판이고, 제2 전극판(112)이 음극판인 것으로 설명한다. 그 에 따라, 제1 전극탭(111a)은 양극탭이 되고, 제2 전극탭(112a)은 음극탭이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는 달리 제1 전극판(111)이 음극판이고 제2 전극판(112)이 양극판이 되며, 그에 따라, 제1 전극탭(111a)이 음극탭이 되고 제2 전극탭(112a)이 양극탭이 될 수도 있다.
지지체(120)는 몸체(121)와, 단자형성부(130)를 구비한다. 지지체(120)는 전극 조립체(110)를 수용하며 이차전지(100)를 구조적으로 지지하고, 단자를 제공한다. 지지체(120)는 이중 사출과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즉, 지지체(120)는 이중 사출기에서 먼저 단자형성부(130)를 먼저 형성하고, 나중에 몸체(121)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몸체(121)는 베이스부(122)와, 제1 날개부(123)와, 제2 날개부(124)와, 제1 접착제 홈(125)을 구비한다. 몸체(121)는 전극 조립체(110)을 감싸며, 이차전지(100)를 구조적으로 지지한다. 몸체(121)는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베이스부(122)는 일측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막대형상으로서, 전극 조립체(110)의 제1 단부(115a)를 덮는다. 베이스부(122)에는 단자 형성부(130)가 마련된다. 베이스부(122)에는 전극 조립체(110)의 제1 단부(115a)와 마주보는 수납 홈(122a)이 마련된다. 수납 홈(122a)은 전극 조립체(110)의 두 전극탭(111a, 112a)가 접혀 수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수납 홈(122a)은 전해액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기도 한다. 베이스(122)의 길이방향 양 끝단에는 제1 날개 부(123)와 제2 날개부(124)가 연결된다.
제1 날개부(123)는 베이스(122)로부터 대체로 직각을 이루며 연장된 막대 형상이다. 제1 날개부(123)는 전극 조립체(110)의 제1 단측면(118a)을 덮는다. 제1 날개부(123)에는 전극 조립체(110)의 제1 단측면(118a)과 대향하는 제1 안착 홈(123a)이 마련된다. 제1 안착 홈(123a)에는 전극 조립체(110)의 볼록한 제1 단측면(118a)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제1 안착 홈(123a)은 전극 조립체(110)를 고정시키며, 전해액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1 안착 홈(123a)의 바깥쪽 모서리(123b)는 둥글게 형성되어 전극 조립체(1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날개부(124)는 베이스(122)로부터 대체로 직각을 이루며 제1 날개부(123)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이다. 제2 날개부(124)는 전극 조립체(110)의 제2 단측면(118b)를 덮는다. 제2 날개부(124)에는 전극 조립체(110)의 제2 단측면(118b)과 대향하는 제2 안착 홈(124a)이 마련된다. 제2 안착 홈(124a)에는 전극 조립체(110)의 볼록한 제2 단측면(118b)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제2 안착 홈(124a)은 전극 조립체(110)를 고정시키며, 전해액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제2 안착 홈(124a)의 바깥쪽 모서리(124b)는 둥글게 형성되어 전극 조립체(1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접착제 홈(125)은 접착제(126)가 수용되는 홈으로서, 몸체(121)의 제1 면(121a)과, 제2 면(121b)과, 제1 끝단 면(121c)과, 제2 끝단 면(121d)에 걸쳐 이어져서 형성된다. 몸체(121)의 제1 면(121a)은 전극 조립체(110)의 제1 장측면(117a)과 동일한 쪽을 향하는 면이다. 몸체(121)의 제2 면(121b)은 전극 조립 체(110)의 제2 장측면(117b)과 동일한 쪽을 향하는 면이다. 몸체(121)의 제1 끝단 면(121c)은 제1 날개부(123)의 끝단 면이다. 몸체(121)의 제2 끝단 면(121d)은 제2 날개부(124)의 끝단 면이다. 제1 면(121a)과 제2 면(121b)이 제1 끝단 면(121c) 및 제2 끝단 면(121d)과 이어지는 각 모서리(121a1, 121a2, 121b1, 121b2)는 둥글게 형성되어, 외장재(14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몸체(121)에는 접착제(126)에 의해 외장재(140)가 부착된다.
단자형성부(130)는 몸체(121)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1 단자부(130a)와 제2 단자부(130b)를 구비한다. 단자형성부(130)는 몸체(121)의 베이스(122)에 위치하며, 이차전지(100)의 단자를 제공한다.
제1 단자부(130a)는 제1 전극단자(131a)와, 제1 실링부(133a)를 구비한다. 제1 단자부(130a)는 몸체(121)에서 제1 전극단자(131a)를 지지한다.
제1 전극단자(131a)는 기다란 금속 박판의 형태이다. 제1 전극단자(131a)는 양극탭인 전극 조립체(110)의 제1 전극탭(111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차전지(100)의 양극단자로서 역할한다.
제1 전극단자(131a)는 길이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위치하는 제1 외부 접속부(131a1)와, 제1 절연부(131a2)와, 제1 내부 접속부(131a3)를 구비한다. 제1 외부 접속부(131a1)는 몸체(121)의 베이스부(122)로부터 전극 조립체(110)의 반대편으로 연장되어, 보호회로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절연부(131a)에는 제1 절연 테이프(132a)가 감겨 절연된다. 제1 내부 접속부(131a3)는 몸체(121)의 베이스부(122)로부터 전극 조립체(110) 쪽으로 연장되어, 전극 조립체(110)의 제1 전극탭(111a)과 용접과 같은 방법에 의해 결합된다. 제1 내부 접속부(131a3)는 제1 전극탭(111a)과 함께 접혀서 몸체(121)에 형성된 수납 홈(122a)에 수납된다.
제1 실링부(133a)는 제1 전극단자(131a)에 감긴 제1 절연 테이프(132a)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1 실링부(133a)는 제1 전극단자(131a)와 몸체(121) 사이를 밀폐하며, 제1 전극단자(131a)를 지지한다. 제1 실링부(133a)는 이중 사출과 같은 방법에 의해 몸체(121) 보다 먼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실링부(133a)는 몸체(121)보다 융점이 높은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1 실링부(133a)와 제1 전극 단자(131a)는 제1 실링부(133a)와 제1 절연 테이프(132a)의 사이에 형성된 제1 단자 접착층(134a)에 의해 접착된다. 제1 실링부(133a)와 몸체(121)는 제1 실링부(133a)와 몸체(121)의 사이에 형성된 제1 몸체 접착층(135a)에 의해 접착된다. 제1 몸체 접착층(135a)은 몸체(121)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몸체(121)를 형성하는 수지의 사출시에 몸체(121)와 강하게 접착된다.
제2 단자부(130b)는 제2 전극단자(131b)와, 제2 실링부(133b)를 구비한다. 제2 단자부(130b)는 몸체(121)에서 제2 전극단자(131b)를 지지한다.
제2 전극단자(131b)는 기다란 금속 박판의 형태이다. 제2 전극단자(131b)는 음극탭인 전극 조립체(110)의 제2 전극탭(111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차전지(100)의 음극단자로서 역할한다.
제2 전극단자(131b)는 길이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위치하는 제2 외부 접속부(131b1)와, 제2 절연부(131b2)와, 제2 내부 접속부(131b3)를 구비한다. 제2 외부 접속부(131b1)는 몸체(121)의 베이스부(122)로부터 전극 조립체(110)의 반대편으로 연장되어, 보호회로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절연부(131b)에는 제2 절연 테이프(132b)가 감겨 절연된다. 제2 내부 접속부(131b3)는 몸체(121)의 베이스부(122)로부터 전극 조립체(110) 쪽으로 연장되어, 전극 조립체(110)의 제2 전극탭(111b)과 용접과 같은 방법에 의해 결합된다. 제2 내부 접속부(131b3)는 제2 전극탭(111b)과 함께 접혀서 몸체(121)에 형성된 수납 홈(122a)에 수납된다.
제2 실링부(133b)는 제2 전극단자(131b)에 감긴 제2 절연 테이프(132b)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2 실링부(133b)는 제2 전극단자(131b)와 몸체(121) 사이를 밀폐하며, 제2 전극단자(131b)를 지지한다. 제2 실링부(133b)는 이중 사출과 같은 방법에 의해 몸체(121) 보다 먼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 실링부(133b)는 몸체(121)보다 융점이 높은 폴리머 재질로 이루어진다. 제2 실링부(133b)와 제2 전극 단자(131b)는 제2 실링부(133b)와 제2 절연 테이프(132b)의 사이에 형성된 제2 단자 접착층(134b)에 의해 접착된다. 제2 실링부(133b)와 몸체(121)는 제2 실링부(133b)와 몸체(121)의 사이에 형성된 제2 몸체 접착층(135b)에 의해 접착된다. 제2 몸체 접착층(135b)은 몸체(121)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몸체(121)를 형성하는 수지의 사출시에 몸체(121)와 강하게 접착된다.
외장재(140)는 시트 형태로서, 지지체(120)와 함께 전극 조립체(11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외장재(140)는 몸체(121)의 제1 면(121a), 제2 면(121b), 제1 끝단 면(121c) 및 제2 끝단 면(121d)에 걸쳐 열융착 및 접착제(126) 에 의해 몸체(121)에 결합된다. 열융착에 의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접착제(126)가 형성되는 부분의 폭은 외장재(140)가 몸체(121)의 제1 면(121a), 제2 면(121b), 제1 끝단 면(121c) 및 제2 끝단 면(121d)과 접하는 부분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외장재(140)로는 파우치형 이차전지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파우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장재(140)는 폴리 올레핀계 수지층(Polyolepin Layer), 알루미늄층, 나일론층의 3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폴리 올레핀계 수지층은 열 접착성을 가져 실링재 역할을 하며, 알루미늄층은 외장재(140)의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는 기재 및 수분과 산소의 배리어층으로서 역할하며, 나일론층은 기재 및 보호층으로 작용한다. 폴리올레핀계 수지층으로는 흔히 CCP(Casted Polypropylene)이 사용된다.
다음,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평면도이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9를 참조하면, 이차전지(200)는 단자형성부(230)를 구비한다. 이차전지(200)에서 단자형성부(23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자형성부(230)는 몸체(121)와 일체로 형성되며, 제1 전극단자(131a)와, 제1 전극단자(131a)를 감싸는 제1 절연 테이프(132a)와, 제2 전극단자(131b)와, 제2 전극단자(131b)를 감싸는 제2 절연 테이프(132b)와, 실링부(233)를 구비한다. 단자 형성부(230)에서 실링부(233)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링부(233)는 제1 전극단자(131a)에 감긴 제1 절연 테이프(132a)와 제2 전극단자(131b)에 감긴 제2 절연 테이프(132b)를 모두 감싸도록 형성된다. 실링부(233)는 제1 전극단자(131a)와 몸체(121) 사이 및 제2 전극단자(131b) 및 몸체(121) 사이를 밀폐하며, 제1 전극단자(131a)와 제2 전극단자(131b)를 지지한다. 하나의 실링부(233)에 두 전극단자(131a, 131b)가 모두 마련되므로, 구조가 단순해지고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다음,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제3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또한, 제3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10을 참조하면, 이차전지(300)는 제2 접착제 홈(325)를 구비하는 지지체(320)를 구비한다. 제2 접착제 홈(325)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접착제 홈(325)은 제1 접착제 홈(125)과 인접하여 나란하게 연장되어 형 성된다. 제2 접착제 홈(325)에는 접착제가 수용된다. 외장재(140) 부착되기 전에 접착제는 제1 접착제 홈(125)과 제2 접착제 홈(325)의 사이에 도포된다. 외장재(140)의 부착과정에서 여분의 접착제는 양쪽 제1 접착제 홈(125)과 제2 접착제 홈(325)으로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외장재(140)의 부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4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또한, 제4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중복된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11을 참조하면, 이차전지(400)는 전극 조립체(110)와, 지지체(420)와, 제1 외장재(440a)와, 제2 외장재(440b)를 구비한다. 전극 조립체(110)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체(420)는 닫힌 도형의 형상을 갖는 몸체(421)를 구비한다. 지지체(420)에서 몸체(421)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몸체(421)는 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전극 조립체(110)의 제1 단부(115a), 제2 단부(115b), 제1 단측면(118a), 제2 단측면(118b)를 에워싼다. 몸체(421)의 양면 에는 접착제(426)이 도포된다.
제1 외장재(440a)와 제2 외장재(440b)는 몸체(421)의 양측에 접착제(426)에 의해 결합된다. 제1 외장재(440a) 및 제2 외장재(440b)의 재질은 제1 실시예에서의 외장재(14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들을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차전지를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차전지를 B-B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이차전지를 C-C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1에 도시된 이차전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6에서 제1 밀봉부의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8은 도6에서 제2 밀봉부의 주변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차전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차전지 110 : 전극조립체
110a : 제1 전극탭 111 : 제1 전극판
112 : 제2 전극판 113, 114 : 세퍼레이터
120 : 지지체 121 : 몸체
122 : 베이스부 122a : 수납 홈
123 : 제1 날개부 123a : 제1 안착 홈
124 : 제2 날개부 124a : 제2 안착 홈
130 : 단자형성부 130a : 제1 단자부
131a : 제1 전극단자 133a : 제1 실링부
130b : 제2 단자부 131b : 제2 전극단자
133b : 제2 실링부 140 : 외장재

Claims (22)

  1.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에 결합되는 시트 형태의 외장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체의 내면에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와 상기 외장재를 결합시키는 접착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접착제가 수용될 수 있는 제1 접착제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제1 접착제 홈과 나란하게 형성된 제2 접착제 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가 형성된 부분의 폭은 상기 지지체와 상기 외장재가 결합되는 부분의 폭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와 상기 외장재가 결합되는 부분에서 상기 접착제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열융착에 의해 상기 지지체와 상기 외장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양단으로부터 대향하도록 연장된 제1 날개부 및 제2 날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날개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직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날개부와 제2 날개부의 끝단 모서리는 둥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조립체는 양단부와, 상기 양단부를 연결하며 대향하는 두 단측 측면을 구비하며,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전극 조립체의 양단부와 상기 두 단측면 감싸는 사각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홈의 바깥 모서리는 둥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3.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을 구비하는 전극 조립체;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체는 몸체와, 상기 제1 전극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전극단자와 상기 제2 전극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전극단자가 마련되며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단자형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형성부는 상기 제1 전극단자를 감싸며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제1 실링부를 구비하는 제1 단자부와, 상기 제2 전극단자를 감싸며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제2 실링부를 구비하는 제2 단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부와 제2 실링부는 상기 몸체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부는 제1 실링부와 상기 제1 전극단자 사이에 형성된 제1 단자 접착층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단자부는 상기 제2 실링부와 상기 제2 전극단자 사이에 형성된 제2 단자 접착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형성부는 상기 제1 전극단자와 제2 전극단자를 함께 감싸며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실링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는 상기 몸체보다 높은 융점을 갖는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단자형성부와 상기 몸체 사이에 형성된 몸체 접착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접착층은 상기 몸체와 동일한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단자는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전극 조립체 쪽으로 연장된 제1 내부 접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전극단자는 상기 몸체로부터 상기 전극 조립체 쪽으로 연장된 제2 내부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제1 내부 접속부와 제2 내부 접속부가 접혀서 수납될 수 있는 수납홈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KR1020090111454A 2009-11-18 2009-11-18 이차전지 Active KR1010940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454A KR101094024B1 (ko) 2009-11-18 2009-11-18 이차전지
JP2010012959A JP5260565B2 (ja) 2009-11-18 2010-01-25 二次電池
US12/942,943 US9419255B2 (en) 2009-11-18 2010-11-09 Secondary battery
CN201010548996.1A CN102064334B (zh) 2009-11-18 2010-11-18 二次电池
EP10251959.2A EP2333877B1 (en) 2009-11-18 2010-11-18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454A KR101094024B1 (ko) 2009-11-18 2009-11-18 이차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705A KR20110054705A (ko) 2011-05-25
KR101094024B1 true KR101094024B1 (ko) 2011-12-19

Family

ID=43569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454A Active KR101094024B1 (ko) 2009-11-18 2009-11-18 이차전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19255B2 (ko)
EP (1) EP2333877B1 (ko)
JP (1) JP5260565B2 (ko)
KR (1) KR101094024B1 (ko)
CN (1) CN1020643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881845A (zh) * 2011-07-12 2013-01-16 湖南丰日电源电气股份有限公司 一体化端子热封蓄电池
KR101666876B1 (ko) 2011-10-12 2016-10-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모듈
US9023517B2 (en) * 2012-03-21 2015-05-05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JP6005375B2 (ja) * 2012-03-22 2016-10-12 株式会社東芝 電池および組電池の製造方法
DE102012011083A1 (de) * 2012-06-02 2013-12-05 Audi Ag Speicherelement umfassend mehrere Lithium-Zellen
PL2899769T3 (pl) * 2013-11-27 2019-09-30 Lg Chem, Ltd. Kieszeń od akumulatora i akumulator ją zawierający
KR102197407B1 (ko) * 2014-03-10 2020-12-3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절연부재를 갖는 이차 전지
KR102275332B1 (ko) * 2014-11-19 2021-07-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US9634301B2 (en) * 2015-01-05 2017-04-2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Lithium ion battery cell with secondary seal
KR102299244B1 (ko) * 2015-01-14 2021-09-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팩
USD773390S1 (en) 2015-02-27 2016-12-0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Lithium ion battery cell
JP6536885B2 (ja) * 2015-06-15 2019-07-0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電池容器
JP6548031B2 (ja) * 2015-12-10 2019-07-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密閉型電池の製造方法
KR102139312B1 (ko) * 2016-02-17 2020-07-29 주식회사 엘지화학 2차 전지 및 2차 전지 제작 방법
JP7285809B2 (ja) * 2020-08-12 2023-06-02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角型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角型電池
JP7296923B2 (ja) * 2020-08-12 2023-06-23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角型電池
US20240429503A1 (en) * 2021-01-29 2024-12-26 Gs Yuasa International Ltd. Energy storage device
WO2023027464A1 (ko) * 2021-08-24 2023-03-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그의 제조방법 및 전지팩
KR20230037409A (ko) * 2021-09-09 2023-03-1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냉각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파우치형 전지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5042199A1 (ko) * 2023-08-21 2025-02-2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 전지
WO2025075040A1 (ja) * 2023-10-02 2025-04-10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蓋体、蓄電デバイスの製造方法
KR102797726B1 (ko) * 2024-09-03 2025-04-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센터 구조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및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7616A (ja) 2006-07-18 2008-02-07 Nec Saitama Ltd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4696B2 (ja) * 1988-07-11 1999-11-29 株式会社リコー 薄型電池
JP2798954B2 (ja) * 1989-02-16 1998-09-17 株式会社リコー 昇華型熱転写記録方法
JP3602797B2 (ja) * 1999-03-26 2004-12-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ラミネート外装型電池
JP4551539B2 (ja) 2000-07-28 2010-09-29 株式会社東芝 非水電解質二次電池
JP2003007344A (ja) * 2001-06-26 2003-01-10 Yuasa Corp リチウムイオン電池及びこの製造方法
JP3762757B2 (ja) * 2003-04-23 2006-04-05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パック
JP4128457B2 (ja) * 2003-01-10 2008-07-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
KR100542677B1 (ko) * 2004-06-25 2006-01-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100571269B1 (ko) * 2004-09-22 2006-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0686814B1 (ko) * 2005-04-26 2007-0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폴리머 배터리 팩 및 그 제조 방법
JP5004451B2 (ja) 2005-09-28 2012-08-22 三洋電機株式会社 フィルム状外装体を備えた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13812B1 (ko) 2006-01-16 2008-03-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프레임 부재에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는 전지팩
KR100861713B1 (ko) * 2006-02-09 2008-10-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KR101308242B1 (ko) 2006-10-27 2013-09-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이차전지
KR100922469B1 (ko) * 2007-09-21 2009-10-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JP5526475B2 (ja) * 2007-12-28 2014-06-18 日本電気株式会社 薄型電池
KR100965711B1 (ko) * 2008-05-09 2010-06-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9029007B2 (en) 2009-04-03 2015-05-12 Samsung Sdi Co., Ltd.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first and second metallic plates coupled together and a cap assembly including an insulator
JP2011108422A (ja) * 2009-11-13 2011-06-02 Hitachi Maxell Ltd 電池パッ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27616A (ja) 2006-07-18 2008-02-07 Nec Saitama Ltd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60565B2 (ja) 2013-08-14
EP2333877A1 (en) 2011-06-15
EP2333877B1 (en) 2018-02-21
US9419255B2 (en) 2016-08-16
KR20110054705A (ko) 2011-05-25
CN102064334B (zh) 2014-11-19
JP2011108612A (ja) 2011-06-02
CN102064334A (zh) 2011-05-18
US20110117426A1 (en)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4024B1 (ko) 이차전지
KR100496305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와 이의 제조 방법
KR101293591B1 (ko) 이차전지 팩
KR100973316B1 (ko) 배터리 팩
KR101666418B1 (ko) 전극리드-전극 탭 결합부 보호용 필름부재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전지셀
US10811721B2 (en) Accumulator device
KR102782675B1 (ko) 배터리 셀
CN102856523A (zh) 可再充电电池
KR20130139472A (ko) 단일 전극단자 결합부를 가진 전지 조합체
KR101578794B1 (ko) 우수한 결합력의 전극리드-전극 탭 결합부를 포함하는 전지셀
KR101776897B1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55680A (ko) 파우치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제조 방법
US9929450B2 (en) Pouch-type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KR20180067323A (ko) 보호 부재를 포함하고 있는 전지셀
KR102483883B1 (ko) 이차 전지
KR101472882B1 (ko) 셀 커버 체결부 및 수납부 체결부를 포함하는 구조의 전지모듈
WO2006009062A1 (ja) 収納部材、収納ケースおよび筐体
KR20170012971A (ko) 전극단자에 대해 향상된 설계 자유도를 가지는 전지셀
KR101846486B1 (ko) 일체형 양극리드 및 음극리드를 포함하는 전지셀
US10320035B2 (en) Battery pack
JP2019071259A (ja) 蓄電素子、及び蓄電素子の製造方法
KR20170138305A (ko) 외주변 부위가 접착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전극조립체
KR102576583B1 (ko) 배터리 셀
US20230118792A1 (en) Secondary battery
KR20030084153A (ko) 리튬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23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