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93802B1 - Antenna for bidirectional beam diversity - Google Patents

Antenna for bidirectional beam diversit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802B1
KR101093802B1 KR1020080130557A KR20080130557A KR101093802B1 KR 101093802 B1 KR101093802 B1 KR 101093802B1 KR 1020080130557 A KR1020080130557 A KR 1020080130557A KR 20080130557 A KR20080130557 A KR 20080130557A KR 101093802 B1 KR101093802 B1 KR 101093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radiation
opening
layer
fe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05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71739A (en
Inventor
윤찬의
김정준
김정선
주원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130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802B1/en
Publication of KR20100071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17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802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3/00Waveguide horns or mouths; Slot antennas; Leaky-waveguide antennas; Equivalent structures causing radiation along the transmission path of a guided wave
    • H01Q13/10Resonant slot antennas
    • H01Q13/106Microstrip slot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1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a shorting wall or a shorting pin at one end of th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빔 다이버시티를 위한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for bidirectional beam diversity.

본 발명의 양방향 빔 다이버시티를 위한 안테나는 방사층, 급전층 및 유전층을 포함한다. 방사층은 개방 패턴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미앤더 형태로 형성되는 전달 패턴을 통해 전력을 전달하며, 전달 패턴에 연결되며 보우타이 형태로 형성된 방사 패턴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양방향 빔을 형성한다. 급전층은 전달 패턴과 수직으로 접합되는 급전 패턴을 통해 전력을 공급한다. 유전층은 방사층과 급전층 사이에 위치하며 급전층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방사층으로 전달한다.The antenna for bidirectional beam divers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diation layer, a feed layer and a dielectric layer. The radiation layer transfers power through a transmission pattern formed in a meander shape in a symmetr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open pattern, and forms a bidirectional beam by controlling the inclination of the radiation pattern formed in the form of a bow tie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pattern. The feed layer supplies power through a feed pattern that is vertically bonded to the transfer pattern. The dielectric layer is located between the emitting layer and the feed layer and transfers power supplied from the feed layer to the emitting layer.

보우타이(bow-tie), 미앤더(meander), 다중대역 안테나(MIMO), 다이버시티(diversity) Bow-tie, meander, multiband antenna (MIMO), diversity

Description

양방향 빔 다이버시티를 위한 안테나{ANTANA FOR BOTH SIDES BEAM DIVERSITY}ANTANA FOR BOTH SIDES BEAM DIVERSITY

본 발명은 양방향 빔 다이버시티를 위한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우타이(bow-tie) 및 미앤더(meander) 패턴을 이용하여 양방향 빔 다이버시티를 확보할 수 있는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for bidirectional beam diversit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enna capable of securing bidirectional beam diversity using a bow-tie and a meander pattern.

무선 통신 서비스가 다양화됨에 따라 단말에는 많은 종류의 무선 통신 회로가 집적되며, 그에 따라 멀티모드 및 멀티 밴드화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다중 대역 광대역 RF(Radio Frequency) 및 다중대역 안테나(Multi Input Multi Output, MIMO) 등의 사용이 요구되지만, 단말은 부피가 제한적이므로 공간 다이버시티(space diversity)를 구현하기 힘들다. 이러한 단말에서 다중대역 안테나(MIMO)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편파 다이버시티 또는 빔 방향을 선택하는 빔 방향 다이버시티를 확보하여 간섭(correlation)이 적은 수신 신호를 얻어야 한다.As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is diversified, many types of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are integrated in the terminal, and thus multimode and multibandization are required. To this end, the use of a multi-band broadband radio frequency (RF) and a multi-band antenna (MIMO) is required, but since the terminal is limited in volume, it is difficult to realize space diversity. In order to apply a multiband antenna (MIMO) in such a terminal, it is necessary to obtain a polarization diversity or a beam direction diversity to select a beam direction to obtain a reception signal having low correlation.

한편, 보우타이(bow-tie) 패턴을 이용한 안테나는 매우 넓은 대역 특성을 지녀 다중대역 안테나(MIMO)에 적합하다. 이러한 보우타이(bow-tie) 패턴을 이용한 안테나를 다중대역 안테나(MIMO)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보우타이(bow-tie) 패턴의 슬롯 피더(slot feeder)부의 길이를 포함하여 전체 안테나 패턴의 길이가 한 파장 이상이 되어야 하므로, PCS(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와이브로(WiBro), 네스팟(Nespot) 등이 몰려 있는 1.7GHz-2.5GHz 대역에서 사용하기에는 공간 다이버시티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n antenna using a bow-tie pattern has a very wide band characteristic and is suitable for a multiband antenna (MIMO). In order to apply the antenna using the bow-tie pattern to a multi-band antenna (MIMO), the length of the entire antenna pattern including the length of the slot feeder portion of the bow-tie pattern is one. It must be above the wavelength, ensuring space diversity for use in the 1.7 GHz to 2.5 GHz band, including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s (PCS),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WiBro, and Nespot. There is a difficult problem.

따라서, 다중대역 안테나(MIMO)에 보우타이(bow-tie) 패턴을 적용하여 부피가 제한된 단말에서 편파 다이버시티 또는 빔 방향 다이버시티를 확보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Accordingly, a technique for securing polarization diversity or beam direction diversity in a volume-limited terminal by applying a bow-tie pattern to a multiband antenna (MIMO) is requir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양방향 빔 방향 다이버시티가 가능하도록 좌우 대칭을 이루는 양방향 보우타이(bow-tie) 패턴의 방사부와 미앤더(meander) 형의 슬롯 라인(slot line)을 이용하여 다중 대역 안테나(MIMO)에 적용할 수 있는 안테나에 관한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double-sided bow-tie pattern radiating part and meander slot line which is bilaterally symmetrical to enable bidirectional beam direction divers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enna applicable to a band antenna (MIMO).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양방향 빔 다이버시티를 위한 안테나는 개방 패턴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미앤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개방 패턴에 연결되는 전달 패턴, 및 상기 전달 패턴에 연결되어 상기 전달 패턴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보우타이 형태로 형성된 방사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방사 패턴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양방향 빔을 형성하는 방사층, 상기 전달 패턴과 수직으로 접합되는 급전 패턴을 통해 상기 전달 패턴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층, 그리고 상기 방사층과 상기 급전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급전층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방사층으로 전달하는 유전층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ntenna for bidirectional beam diversity is formed in a meander shape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an open pattern, and has a transmission pattern connected to the open pattern and a power pattern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pattern. And a radiation pattern formed in the form of a bow tie, the radiation layer forming a bidirectional beam by adjusting the slope of the radiation pattern, and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transmission pattern through a power supply pattern vertically bonded to the transmission pattern. And a dielectric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emission layer and the feed layer and transferring power supplied from the feed layer to the emission laye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양방향 빔 다이버시티를 위한 안테나는 개방 패턴, 상기 개방 패턴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개방 패턴을 중심으로 좌측에 형성되는 제1 전달 패턴, 상기 제1 전달 패턴에 일단이 연결되며 보우타이 형태로 형성되는 제1 방사 패턴, 상기 개방 패턴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개방 패턴을 중심으로 우측에 형성되는 제2 전달 패턴 및 상기 제2 전달 패턴에 일단이 연결되며 보우타이 형태로 형성되는 제2 방사 패턴을 포함하는 방사층, 상기 개방 패턴을 중심으로 좌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전달 패턴과 제1 지점에서 접합되는 제1 급전 패턴 및 상기 개방 패턴을 중심으로 우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전달 패턴과 제2 지점에서 접합되는 제2 급전 패턴을 포함하는 급전층, 그리고 상기 방사층과 상기 급전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급전층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방사층으로 전달하는 유전층을 포함한다.In addition, an antenna for bidirectional beam diversity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ening pattern,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pening pattern, the first transmission pattern is formed on the left side around the opening pattern, one end to the first transmission pattern The first radiation pattern is connected and is formed in the form of a bow ti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pening pattern,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pattern and the second transmission pattern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opening pattern and the bow tie form A radiation layer including a second radiation pattern formed in the center,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opening pattern, and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feeding pattern and the opening pattern bonded at the first point and the first transfer pattern; A feed layer including a second feed pattern bonded to the second transfer pattern and a second point, and formed between the radiation layer and the feed layer, And a dielectric layer for transferring power supplied from the feed layer to the emission laye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양방향 빔 다이버시티를 위한 안테나는 개방 패턴, 상기 개방 패턴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개방 패턴을 중심으로 좌측에 형성되는 미앤더 형태의 제1 전달 패턴, 상기 제1 전달 패턴에 일단이 연결되며 보우타이 형태로 형성되는 제1 방사 패턴, 상기 개방 패턴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개방 패턴을 중심으로 우측에 형성되는 미앤더 형태의 제2 전달 패턴 및 상기 제2 전달 패턴에 일단이 연결되며 보우타이 형태로 형성되는 제2 방사 패턴을 포함하는 방사층, 상기 개방 패턴을 중심으로 좌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전달 패턴과 제1 지 점에서 수직으로 접합되는 제1 급전 패턴, 상기 제1 급전 패턴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소정의 중심각을 갖는 제1 단락 패턴, 상기 개방 패턴을 중심으로 우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전달 패턴과 제2 지점에서 수직으로 접합되는 제2 급전 패턴 및 상기 제2 급전 패턴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소정의 중심각을 갖는 제2 단락 패턴을 포함하는 급전층, 그리고 상기 방사층과 상기 급전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급전층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방사층으로 전달하는 유전층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antenna for bidirectional beam diversity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en pattern, a first transmission pattern of the meander shape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opening pattern, the end is connected to the opening pattern, the first A first radiation pattern,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pattern and formed in the form of a bow tie, a second transmission pattern of the meander shape, the second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pening pattern and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opening pattern, and the second transmission pattern. A radiation layer including a second radiation patter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attern and formed in a bow tie shape, a first feed formed on a left side of the opening pattern and vertically bonded at the first point with the first transfer pattern A first short circuit patter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attern, the first feed pattern, and having a predetermined center angle, and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opening pattern, A feed layer including a second feed pattern vertically bonded at a pattern and a second point, and a second short circuit patter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feed pattern and having a predetermined center angle, and between the radiation layer and the feed layer And a dielectric layer configured to transfer power supplied from the feed layer to the emission lay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빔 방향 다이버시티가 가능하도록 양방향 빔을 형성하며, 양방향 보우타이(bow-tie) 패턴의 방사부와 미앤더(meander) 형의 슬롯 라인(slot line)을 이용하여 양방향 빔 다이버시티를 확보하여 다중 대역 안테나(MIMO)에 적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무선 통신 서비스에서 요구되는 광대역 및 다중대역 안테나의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idirectional beam is formed to enable beam direction diversity, and a radiator having a bidirectional bow-tie pattern and a meander slot line are used. Two-way beam diversity can be secured and applied to a multi-band antenna (MIMO). According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broadband and multiband antennas required for the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can be satisfi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보우타이(bow-tie) 패턴을 이용하여 평판형 소형화 안테나를 생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lat-panel miniaturized antenna can be generated using a bow-tie patter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 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for simplicity of explana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빔 다이버시티를 위한 안테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ntenna for bidirectional beam diver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는 방사층(100), 유전층(200) 및 급전층(30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1, an antenna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mission layer 100, a dielectric layer 200, and a power supply layer 300.

방사층(100)은 안테나(1)의 가장 상층에 위치하며, 양방향 빔 다이버시티를 확보할 수 있으며, 광대역 특성과 다중대역 안테나의 특성이 나타날 수 있도록 대역폭과 반사특성을 고려하여 형성된다. 유전층(200)은 방사층(100)과 급전층(300) 사이에 위치하며 급전층(300)에서 방사층(100)으로 공급되는 전력을 유지 및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급전층(300)은 방사층(100)이 동작할 수 있도록 유전층(200)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한다.The emission layer 100 is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antenna 1 to secure bidirectional beam diversity, and is formed in consideration of bandwidth and reflection characteristics so that broadband characteristics and multiband antenna characteristics can be shown. The dielectric layer 200 is positioned between the emission layer 100 and the power supply layer 300 and serves to maintain and transmit power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layer 300 to the emission layer 100. The feed layer 300 supplies power through the dielectric layer 200 to allow the emission layer 100 to operate.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빔 다이버시티를 위한 안테나의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structure of an antenna for bidirectional beam diver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안테나의 방사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방사층의 방사부에서 지수함수 계수의 변화에 따른 주파수 대역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adiation layer of the antenna illustrated in FIG. 1, and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frequency b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 change of an exponential function coefficient at a radiation portion of the radiation layer illustrated in FIG. 2.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사층(100)은 변환부(110) 및 방사부(120, 1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환부(110)의 개방 패턴(111) 및 전달 패턴(112, 113)은 변환부(110)를 형성하는 도체부분을 제거하여 개방(open)된 슬롯 라인(slot line) 형태로 형성되며, 방사부(120)의 방사 패턴(121) 및 방사부(130)의 방사 패턴(131)도 방사부(120, 130)를 형성하는 도체부분을 제거하여 개방된 슬롯 라인(slot line) 형태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 2, the emission layer 100 includes a conversion unit 110 and emission units 120 and 130. The slot pattern of the open part 111 and the transfer pattern 112, 113 of the converter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pened by removing the conductor portion forming the converter 110. And a radiation pattern 121 of the radiating part 120 and a radiation pattern 131 of the radiating part 130 are also removed by removing a conductor portion forming the radiating parts 120 and 130. slot line).

변환부(110)는 개방 패턴(111) 및 개방 패턴(111)을 중심으로 좌측에 형성되는 전달 패턴(112)과 우측에 형성되는 전달 패턴(113)을 포함한다. The conversion unit 110 includes an open pattern 111, a transfer pattern 112 formed on the left side and a transfer pattern 113 formed on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open pattern 111.

개방 패턴(111)은 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전달 패턴(112, 113)의 임피던스를 최대화하기 위하여 개방(open)된다. 즉, 개방 패턴(111)은 급전층(도 4에 도시함)의 급전 패턴으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손실 없이 전달하기 위하여 개방된 것으로 보여야 하므로, 양쪽이 전달 패턴(112, 113)으로 연결된 원형 슬롯 패턴으로 형성된다.The open pattern 111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is opened to maximize the impedance of the transfer patterns 112 and 113. That is, since the open pattern 111 should be shown to be open in order to transfer power transmitted from the feed pattern of the feed layer (shown in FIG. 4) without loss, the circular slot pattern is connected to the transfer patterns 112 and 113 on both sides. Is formed.

전달 패턴(112, 113)은 한 파장에 비례하는 길이로 설정되며, 신호의 송수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최대한 구부린 미앤더(meander) 형태로 형성된다. 전달 패턴(112)은 개방 패턴(111)을 중심으로 좌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전달 패턴(113)은 개방 패턴(111)을 중심으로 우측에 형성되어 있다. The transmission patterns 112 and 113 are set to have a length proportional to one wavelength and are formed in a meander shape that is bent as much as possible without affecting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a signal. The transmission pattern 112 is formed at the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open pattern 111, and the transmission pattern 113 is formed at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open pattern 111.

방사부(120)는 보우타이(bow-tie) 형태의 방사 패턴(121)을 포함하며, 방사 패턴(121)은 변환부(110)의 전달 패턴(112)과 연결된다. 이때, 방사 패턴(121)의 개구부(121a, 121b)의 기울기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정도에 따라 방사부(120)에서 생성되는 주파수의 대역폭 및 반사특성이 결정된다. 방사부(130)는 보우타이(bow- tie) 형태의 방사 패턴(131)을 포함하며, 방사 패턴(131)은 변환부(110)의 전달 패턴(113)과 연결된다. 이때, 방사 패턴(131)의 개구부(131a, 131b) 역시 기울기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정도에 따라 방사부(130)에서 생성되는 주파수의 대역폭 및 반사특성이 결정된다. The radiation unit 120 includes a radiation pattern 121 in the form of a bow-tie, and the radiation pattern 121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pattern 112 of the conversion unit 110. In this case, the bandwidth and the reflection characteristic of the frequency generated by the radiator 120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crease or decrease of the slope of the openings 121a and 121b of the radiation pattern 121. The radiation unit 130 includes a radiation pattern 131 in the form of a bow tie, and the radiation pattern 131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pattern 113 of the conversion unit 110. At this time, the openings 131a and 131b of the radiation pattern 131 also determine the bandwidth and the reflection characteristic of the frequency generated by the radiation unit 130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crease or decrease of the slop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부(120)의 개구부(121a, 121b) 및 방사부(130)의 개구부(131a, 131b)는 지수함수의 지수항의 계수의 변화에 따라 기울기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되며, 지수함수의 일례는 수학식1과 같다.The openings 121a and 121b of the radiating part 120 and the openings 131a and 131b of the radiating part 13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radually increase or decreas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oefficient of the exponent term of the exponential function. An example of an exponential function is shown in Equation (1).

Figure 112008087573114-pat00001
Figure 112008087573114-pat00001

Figure 112008087573114-pat00002
Figure 112008087573114-pat00002

Figure 112008087573114-pat00003
Figure 112008087573114-pat00003

여기서, R은 지수함수의 지수항의 계수, X는 가로축을 나타내고, Y는 세로축을 나타내며, (X1, Y1) 및 (X2, Y2)는 각각 지수함수 곡선의 처음과 끝점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지수함수의 계수 R은 2.0 정도의 값으로 설정되나, 최적의 반사 특성과 대역 특성이 되도록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Where R represents the coefficient of the exponential term of the exponential function, X represents the horizontal axis, Y represents the vertical axis, and (X1, Y1) and (X2, Y2) represent the beginning and end points of the exponential curve, respectively. In general, the coefficient R of the exponential function is set to a value of about 2.0, but can be set by the user so as to have an optimum reflection characteristic and a band characteristic.

예를 들어, 지수함수의 지수항의 계수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화되면, 방사부(120)의 개구부(121a, 121b) 및 방사부(130)의 개구부(131a, 131b)는 지수함수의 지수항의 계수에 따라 기울기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되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테나(1)는 0.95GHz-2.8GHz의 넓은 대역 특성을 가질 수 있 으며, 사용자는 지수항의 계수를 조절하여 원하는 대역폭을 설정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coefficient of the exponential term of the exponential function is changed as shown in FIG. 3, the openings 121a and 121b of the radiating part 120 and the openings 131a and 131b of the radiating part 130 are formed of the exponential function. Since the slope gradually increases or decreases according to the coefficient of the exponent term, the antenna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wide band characteristic of 0.95 GHz to 2.8 GHz, and the user may adjust the coefficient of the exponent term. You can set the desired bandwidth.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사부(120, 130)는 개방 패턴(111)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에 위치하여 반대의 빔 패턴을 형성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므로 안테나(1)는 양방향의 빔 다이버시티를 확보할 수 있다.As such, since the radiating parts 120 and 130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ition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open pattern 111 to form opposite beam patterns to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he antenna 1 has a bidirectional beam. Diversity can be secured.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안테나의 급전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방사층 및 급전층을 접합한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wer supply layer of the antenna illustrated in FIG. 1.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radiation layer and the power supply layer shown in FIGS. 2 and 4 are bonded.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전층(300)은 급전 패턴(310, 320) 및 단락 패턴(330, 340)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4, the feed layer 300 includes feed patterns 310 and 320 and short-circuit patterns 330 and 340.

급전 패턴(310, 320)은 마이크로스트립 급전부(microstrip feeder)로 도체로 형성되며, 방사층(100)의 개방 패턴(111)을 중심으로 X축 방향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급전 패턴(310)은 변환부(110)의 전달 패턴(112)과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어 전력을 전달하며, 급전 패턴(320)은 변환부(110)의 전달 패턴(113)과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어 전력을 전달한다. 급전 패턴(310)이 변환부(110)의 전달 패턴(112)과 접합되는 지점(P1) 및 급전 패턴(320)이 전달 패턴(113)과 접합되는 지점(P2)은 변환부(110)의 개방 패턴(111)에 생성되는 임피던스가 최대가 되는 위치로 설정된다. 즉, 변환부(110)의 전달 패턴(112)과 급전 패턴(310)이 접합되는 위치를 이동하면서 개방 패턴(111)의 임피던스가 최대가 되는 위치를 찾아 P1 지점으로 설정하며, 변환부(110)의 전달 패턴(113)과 급전 패턴(320)이 접합되는 위치를 이동하면서 개방 패턴(111)의 임피던 스가 최대가 되는 위치를 찾아 P2 지점으로 설정한다.The feed patterns 310 and 320 are formed of a conductor using a microstrip feeder, and are symmetrically formed in the X-axis direction about the open pattern 111 of the emission layer 100. 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5, the feed pattern 310 is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transfer pattern 112 of the converter 110 to transfer power, and the feed pattern 320 is a transfer pattern of the converter 110. It is form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113 to transfer power. The point P1 at which the feed pattern 310 is joined to the transfer pattern 112 of the converter 110 and the point P2 at which the feed pattern 320 is joined to the transfer pattern 113 are defined by the conversion unit 110. The impedance generated in the open pattern 111 is set to a position where the impedance is maximized. That is, while moving the position where the transfer pattern 112 and the power feeding pattern 310 of the converter 110 are joined, the position where the impedance of the open pattern 111 is maximized is found and set as the P1 point, and the converter 110 is located. The position where the impedance of the open pattern 111 is maximized while moving the position where the transfer pattern 113 and the power feeding pattern 320 are bonded to each other is set to the P2 point.

다시 도 4를 보면, 단락 패턴(330, 340)은 대응하는 각 급전 패턴(310, 310)과 연결되고, Y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며, 반경이 1/4 파장인 부채꼴 모양으로 도체로 형성되어 있다. 단락 패턴(330)의 중심각(f)은 급전 패턴(310)에 연결되어 있으며, 단락 패턴(340)의 중심각(h)은 급전 패턴(320)에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변환부(110)의 전달 패턴(112)과 급전층(300)의 급전 패턴(310)이 접합되는 지점(P1)에서 단락 패턴(330) 쪽을 들여다본 임피던스가 0이 될 수 있도록, 급전층(300)의 단락 패턴(330)은 단락 된다. 그러면, 급전 패턴(310)으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은 손실 없이 방사부(120)로 전달된다. 동일하게, 변환부(110)의 전달 패턴(113)과 급전층(300)의 급전 패턴(320)이 접합되는 지점(P2)에서 단락 패턴(340) 쪽을 들여다본 임피던스가 0이 될 수 있도록, 급전층(300)의 단락 패턴(340)은 단락 된다. 그러면, 급전 패턴(320)으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은 손실 없이 방사층(100)의 방사부(130)로 전달된다. 즉, 급전 패턴(310)으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손실 없이 전달하기 위하여 방사부(120)에 형성되는 임피던스와 급전 패턴(310)의 입력 임피던스는 동일하게 설정되며, 급전 패턴(320)으로부터 전달되는 전력을 손실 없이 전달하기 위하여 방사부(130)에 형성되는 임피던스와 급전 패턴(320)의 입력 임피던스는 동일하게 설정된다. Referring back to FIG. 4, the short circuit patterns 330 and 340 ar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feed patterns 310 and 310, and ar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Y axis, and are formed as conductors in a fan shape having a quarter wavelength. It is. The center angle f of the short circuit pattern 330 is connected to the power feeding pattern 310, and the center angle h of the short circuit pattern 340 is connected to the power feeding pattern 320. In detail, referring to FIG. 5, the impedance viewed from the short-circuit pattern 330 at the point P1 at which the transfer pattern 112 of the converter 110 and the feed pattern 310 of the feed layer 300 are joined is In order to be zero, the shorting pattern 330 of the power feeding layer 300 is shorted. Then, the power delivered from the power feeding pattern 310 is delivered to the radiator 120 without loss. Similarly, at the point P2 where the transfer pattern 113 of the converter 110 and the feed pattern 320 of the feed layer 300 are joined, the impedance viewed from the short circuit pattern 340 may be zero. The short circuit pattern 340 of the power supply layer 300 is short circuited. Then, the power delivered from the power feeding pattern 320 is transferred to the radiation portion 130 of the radiation layer 100 without loss. That is, the impedance formed in the radiator 120 and the input impedance of the power feeding pattern 310 are set to be the same in order to transfer power transmitted from the power feeding pattern 310 without loss, and the power transferred from the power feeding pattern 320. The impedance formed in the radiator 130 and the input impedance of the power feeding pattern 320 are set to be the same so as to transmit the loss without los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빔 다이버시티를 위한 안테나(1)는 개방 패턴(111)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어 양방향으로 보우타이 패턴을 이용한 방사부(120, 130)를 형성하였고, 해당하는 방사부(120, 130)로 전력을 전달하는 전달 패턴(112, 113)을 미앤더(meander) 형태로 형성함에 따라, 다중대역 안테나(MIMO)에 적용 가능하도록 양방향 빔 다이버시티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전달 패턴(112, 113)이 미앤더(meander) 형태의 소형화된 평판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부피가 제한된 단말에도 충분히 내장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ntenna 1 for the bidirectional beam divers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left and right symmetry around the open pattern 111 to form the radiators 120 and 130 using the bow tie pattern in both directions. As the transfer patterns 112 and 113 that transmit power to the corresponding radiators 120 and 130 are formed in a meander shape, bidirectional beam diversity may be implemented to be applicable to a multiband antenna (MIMO). Can be. In addition, since the transfer patterns 112 and 113 are formed in a miniaturized flat plate structure having a meander shape, the transfer patterns 112 and 113 may be sufficiently embedded in a terminal having a limited volum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서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pparatus and the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Implementation may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방향 빔 다이버시티를 위한 안테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antenna for bidirectional beam divers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안테나의 방사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mission layer of the antenna illustrated in FIG. 1.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방사층의 방사부에서 지수함수 계수의 변화에 따른 주파수 대역 특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frequency ba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 change of an exponential function in the radiating part of the radiating layer illustrated in FIG. 2.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안테나의 급전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ower supply layer of the antenna illustrated in FIG. 1.

도 5는 도 2 및 도 4에 도시한 방사층 및 급전층을 접합한 일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radiation layer and the power supply layer shown in FIGS. 2 and 4 are bonded.

Claims (18)

개방 패턴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미앤더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개방 패턴에 연결되는 전달 패턴, 및 상기 전달 패턴에 연결되어 상기 전달 패턴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으며 보우타이 형태로 형성된 방사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방사 패턴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양방향 빔을 형성하는 방사층,A transmission pattern formed in a meander shape symmetrically about the opening pattern and connected to the opening pattern, and a radiation pattern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pattern to receive power from the transmission pattern and formed in a bow tie shape; A radiation layer for forming a bidirectional beam by adjusting the slope of the radiation pattern, 상기 전달 패턴과 수직으로 접합되는 급전 패턴을 통해 상기 전달 패턴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급전층, 그리고A feed layer supplying power to the transfer pattern through a feed pattern vertically bonded to the transfer pattern, and 상기 방사층과 상기 급전층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급전층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방사층으로 전달하는 유전층A dielectric layer positioned between the radiation layer and the feed layer and transferring power supplied from the feed layer to the radiation layer 을 포함하는 안테나.Antenna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방사층은,The emission layer, 상기 개방 패턴을 중심으로 좌측에 형성되는 제1 전달 패턴, 상기 개방 패턴과 대칭을 이루며 상기 개방 패턴을 중심으로 우측에 형성되는 제2 전달 패턴을 포함하는 변환부,A conversion unit including a first transmission pattern formed at a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open pattern, a second transmission pattern formed at a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open pattern and symmetrical with the open pattern; 상기 제1 전달 패턴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 방사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개방 패턴을 중심으로 좌측에 형성되는 제1 방사부, 그리고A first radiation pattern including a first radiation patter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transfer pattern, the first radiation portion being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opening pattern; 상기 제2 전달 패턴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2 방사 패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방사부와 대칭을 이루며 상기 개방 패턴을 중심으로 우측에 형성되는 제2 방사부A second radiation pattern including a second radiation patter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fer pattern, the second radiation portion being symmetrical with the first radiation portion and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opening pattern; 를 더 포함하는 안테나. Antenna further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1 방사 패턴 및 상기 제2 방사 패턴 각각은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포함하며,Each of the first radiation pattern and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includes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는 지수함수에 의해 기울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And the slope of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is determined by an exponential function.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1 개구부는 및 상기 제2 개구부는,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상기 지수함수에 의해 결정된 제1 기울기로 점진적으로 증가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기울기와 대칭을 이루는 제2 기울기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And gradually decrease with a first slope determined by the exponential function or gradually decrease with a second slope symmetrical with the first slope.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급전층은,The feed layer, 상기 개방 패턴을 중심으로 좌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전달 패턴과 제1 지점에서 수직으로 접합되는 제1 급전 패턴,A first feeding pattern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opening pattern and vertically bonded at the first point with the first transfer pattern, 상기 개방 패턴을 중심으로 우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전달 패턴과 제2 지점에서 수직으로 접합되는 제2 급전 패턴, A second feed pattern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opening pattern and vertically bonded at the second point with the second transfer pattern; 상기 제1 급전 패턴에 일단이 연결되며 소정의 중심각을 갖는 제1 단락 패턴, 그리고A first short circuit patter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feed pattern and having a predetermined center angle; and 상기 제2 급전 패턴에 일단이 연결되며 소정의 중심각을 갖는 제2 단락 패턴을 포함하며,One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feed pattern and includes a second short circuit pattern having a predetermined center angle, 상기 개방 패턴을 중심으로 상기 제1 급전 패턴과 상기 제2 급전 패턴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단락 패턴과 상기 제2 단락 패턴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And the first feed pattern and the second feed pattern are symmetrically formed around the open pattern, and the first short circuit pattern and the second short pattern are symmetrically formed.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방사층의 상기 개방 패턴, 상기 제1 전달 패턴, 상기 제2 전달 패턴, 상기 제1 방사 패턴 및 상기 제2 방사 패턴은 개방된 슬롯으로 형성되며, The opening pattern, the first transmission pattern, the second transmission pattern, the first radiation pattern, and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of the radiation layer are formed as open slots, 상기 급전층의 상기 제1 급전 패턴, 상기 제2 급전 패턴, 상기 제1 단락 패턴 및 상기 제2 단락 패턴은 도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And the first feeding pattern, the second feeding pattern, the first shorting pattern and the second shorting pattern of the feeding layer are formed of a conductor. 개방 패턴, 상기 개방 패턴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개방 패턴을 중심으로 좌측에 형성되는 제1 전달 패턴, 상기 제1 전달 패턴에 일단이 연결되며 보우타이 형태로 형성되는 제1 방사 패턴, 상기 개방 패턴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개방 패턴을 중심으로 우측에 형성되는 제2 전달 패턴 및 상기 제2 전달 패턴에 일단이 연결되며 보우타이 형태로 형성되는 제2 방사 패턴을 포함하는 방사층, An opening pattern, a first transmission patter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pening pattern and formed at a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opening pattern, a first radiation patter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pattern and formed in a bow tie shape, and the opening pattern An emission layer including a second transmission patter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pattern and a second transmission pattern formed at a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opening pattern, and having a second connection pattern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pattern and having a bow tie shape; 상기 개방 패턴을 중심으로 좌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전달 패턴과 제1 지점 에서 접합되는 제1 급전 패턴 및 상기 개방 패턴을 중심으로 우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전달 패턴과 제2 지점에서 접합되는 제2 급전 패턴을 포함하는 급전층, 그리고A first feed pattern formed at a left side with respect to the open pattern and bonded at the first point with the first transfer pattern, and a first feed pattern formed at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open pattern and bonded at the second point with the second transfer pattern; A feed layer including a feed pattern, and 상기 방사층과 상기 급전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급전층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방사층으로 전달하는 유전층A dielectric layer formed between the radiation layer and the feed layer and transferring power supplied from the feed layer to the radiation layer 을 포함하는 안테나.Antenna comprising a. 제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제1 전달 패턴 및 상기 제2 전달 패턴은 미앤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And the first transmission pattern and the second transmission pattern are formed in a meander shape.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1 급전 패턴은 상기 제1 전달 패턴과 상기 제1 지점에서 수직으로 접합되며,The first feed pattern is vertically bonded to the first transfer pattern and the first point, 상기 제2 급전 패턴은 상기 제2 전달 패턴과 상기 제2 지점에서 수직으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And the second feed pattern is vertically bonded to the second transfer pattern at the second point.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방사층은,The emission layer, 상기 개방 패턴을 중심으로 상기 제1 전달 패턴과 상기 제2 전달 패턴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방사 패턴과 상기 제2 방사 패턴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And the first transmission pattern and the second transmission pattern are symmetrically formed around the open pattern, and the first radiation pattern and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are symmetrically formed.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제1 방사 패턴 및 상기 제2 방사 패턴 각각은 제1 개구부 및 제2 개부부를 포함하며,Each of the first radiation pattern and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includes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는 지수함수에 의해 기울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And the slope of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is determined by an exponential function. 제1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제1 개구부는 및 상기 제2 개구부는,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상기 지수함수에 의해 결정된 제1 기울기로 점진적으로 증가하거나 또는 상기 제1 기울기와 대칭을 이루는 제2 기울기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 And gradually decrease with a first slope determined by the exponential function or gradually decrease with a second slope symmetrical with the first slope.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급전층은,The feed layer, 상기 제1 급전 패턴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소정의 중심각을 갖는 제1 단락 패턴, 그리고A first short circuit patter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feed pattern and having a predetermined center angle; and 상기 제2 급전 패턴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소정의 중심각을 갖는 제2 단락 패턴을 더 포함하는 안테나.And a second shorting patter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feeding pattern and having a predetermined center angle.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급전층은,The feed layer, 상기 개방 패턴을 중심으로 상기 제1 급전 패턴과 상기 제2 급전 패턴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단락 패턴과 상기 제2 단락 패턴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And the first feed pattern and the second feed pattern are symmetrically formed around the open pattern, and the first short circuit pattern and the second short pattern are symmetrically formed. 제10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or 13, 상기 방사층의 상기 개방 패턴, 상기 제1 전달 패턴, 상기 제2 전달 패턴, 상기 제1 방사 패턴 및 상기 제2 방사 패턴은 개방된 슬롯으로 형성되며,The opening pattern, the first transmission pattern, the second transmission pattern, the first radiation pattern, and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of the radiation layer are formed as open slots, 상기 급전층의 상기 제1 급전 패턴, 상기 제2 급전 패턴, 상기 제1 단락 패턴 및 상기 제2 단락 패턴은 도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And the first feeding pattern, the second feeding pattern, the first shorting pattern and the second shorting pattern of the feed layer are formed of a conductor. 개방 패턴, 상기 개방 패턴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개방 패턴을 중심으로 좌측에 형성되는 미앤더 형태의 제1 전달 패턴, 상기 제1 전달 패턴에 일단이 연결되며 보우타이 형태로 형성되는 제1 방사 패턴, 상기 개방 패턴에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개방 패턴을 중심으로 우측에 형성되는 미앤더 형태의 제2 전달 패턴 및 상기 제2 전달 패턴에 일단이 연결되며 보우타이 형태로 형성되는 제2 방사 패턴을 포함하는 방사층, An open pattern, a first transmission patter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opening pattern and being formed on the left side around the opening pattern, and a first radiation patter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pattern and formed in a bow tie shape And a second transmission pattern having a meander shape formed at a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opening pattern and having a one end connected to the opening pattern and a second radiation patter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pattern and formed in a bow tie shape. Radiant layer, 상기 개방 패턴을 중심으로 좌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전달 패턴과 제1 지점 에서 수직으로 접합되는 제1 급전 패턴, 상기 제1 급전 패턴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소정의 중심각을 갖는 제1 단락 패턴, 상기 개방 패턴을 중심으로 우측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전달 패턴과 제2 지점에서 수직으로 접합되는 제2 급전 패턴 및 상기 제2 급전 패턴에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소정의 중심각을 갖는 제2 단락 패턴을 포함하는 급전층, 그리고A first feed pattern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opening pattern and vertically bonded at the first point with the first transfer pattern, a first short circuit patter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feed pattern and having a predetermined center angle; A second feeding pattern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opening pattern and vertically bonded to the second transfer pattern at a second point; and a second shorting patter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econd feeding pattern and having a predetermined center angle; Feed layer, and 상기 방사층과 상기 급전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급전층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상기 방사층으로 전달하는 유전층A dielectric layer formed between the radiation layer and the feed layer and transferring power supplied from the feed layer to the radiation layer 을 포함하는 안테나.Antenna comprising a. 제1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제1 방사 패턴 및 상기 제2 방사 패턴 각각은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포함하며,Each of the first radiation pattern and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includes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상기 제1 개구부 및 상기 제2 개구부는 지수함수에 의해 기울기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And the slope of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is determined by an exponential function. 제1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방사층의 상기 개방 패턴, 상기 제1 전달 패턴, 상기 제2 전달 패턴, 상기 제1 방사 패턴 및 상기 제2 방사 패턴은 개방된 슬롯으로 형성되며,The opening pattern, the first transmission pattern, the second transmission pattern, the first radiation pattern, and the second radiation pattern of the radiation layer are formed as open slots, 상기 급전층의 상기 제1 급전 패턴, 상기 제2 급전 패턴, 상기 제1 단락 패턴 및 상기 제2 단락 패턴은 도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테나.And the first feeding pattern, the second feeding pattern, the first shorting pattern and the second shorting pattern of the feeding layer are formed of a conductor.
KR1020080130557A 2008-12-19 2008-12-19 Antenna for bidirectional beam diversity Expired - Fee Related KR1010938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557A KR101093802B1 (en) 2008-12-19 2008-12-19 Antenna for bidirectional beam divers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0557A KR101093802B1 (en) 2008-12-19 2008-12-19 Antenna for bidirectional beam divers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739A KR20100071739A (en) 2010-06-29
KR101093802B1 true KR101093802B1 (en) 2011-12-19

Family

ID=42369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0557A Expired - Fee Related KR101093802B1 (en) 2008-12-19 2008-12-19 Antenna for bidirectional beam diversit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80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7334Y1 (en) * 2011-12-23 2013-06-07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Slot antenna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2826A (en) * 2002-03-04 2003-11-21 Ngk Spark Plug Co Ltd Antenna and antenna module
KR100819201B1 (en) * 2006-11-02 2008-04-04 이병제 HF Band Passive RDF Metal Tag Antenna Using Indirect Coupled Feed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32826A (en) * 2002-03-04 2003-11-21 Ngk Spark Plug Co Ltd Antenna and antenna module
KR100819201B1 (en) * 2006-11-02 2008-04-04 이병제 HF Band Passive RDF Metal Tag Antenna Using Indirect Coupled Fee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1739A (en) 201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1371B2 (en) MIMO antenna and methods
US7965242B2 (en) Dual-band antenna
US8736507B2 (en) Antenna apparatus provided with dipole antenna and parasitic element pairs as arranged at intervals
US8902117B2 (en) Antenna apparatus including dipole antenna and parasitic element arrays for forming pseudo-slot openings
CN112751193A (en) Antenna module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090128425A1 (en) Antenna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US20070257851A1 (en) Small ultra wideband antenna having uni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US9634379B2 (en) Radiation device for planar inverted-F antenna and antenna using the same
KR100842082B1 (en) Antenna with additional ground
US9306275B2 (en) Multi-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JP2007013643A (en) Integrally formed flat-plate multi-element antenna and electronic apparatus
CN113597713B (en) Antenna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5210520A (en) Antenna device
US20100289713A1 (en) Slot antenna
CN101330169A (en) Antenna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US7554507B2 (en) UWB antenna with unidirectional radiation pattern
US9509062B2 (en) Alford loop antennas with parasitic elements
CN102055064A (en) Circularly polarized antenna for a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2528531A (en) Method for reducing near field radiation and specific absorptance (SAR) values of communication devices
CN102610907A (en) Reconfigurable antenna
WO2007024698A2 (en) Directional antenna system with multi-use elements
KR20190087270A (en) Antenn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US9437917B2 (en) Antenna designs
CN106415927B (en) Signal radiation device in transmission device
KR101093802B1 (en) Antenna for bidirectional beam divers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8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9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P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2012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P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1208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