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93198B1 -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용 횡봉 커넥터 - Google Patents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용 횡봉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3198B1
KR101093198B1 KR1020100013928A KR20100013928A KR101093198B1 KR 101093198 B1 KR101093198 B1 KR 101093198B1 KR 1020100013928 A KR1020100013928 A KR 1020100013928A KR 20100013928 A KR20100013928 A KR 20100013928A KR 101093198 B1 KR101093198 B1 KR 101093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horizontal
main body
clothes hanger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3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4506A (ko
Inventor
김수동
Original Assignee
반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반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반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3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3198B1/ko
Publication of KR20110094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4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3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319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92Details of rods for suspending clothes-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25Uprights secured to ceiling and fl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41Horizontal stru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02Dress holders; Dress suspending devices; Clothes-hanger assemblies; Clothing lifters
    • A47G25/06Clothes hooks; Clothes racks; Garment-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 A47G25/0664Standing garment supporting racks; Garment supporting stands with swingable or extending arm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횡봉을 기둥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용 횡봉 커넥터에 있어서: 기둥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직관통공과, 상방과 일측방으로 개방되되 일측방 단부에서 서로를 향해 돌출하는 좌우 한 쌍의 수직걸림턱에 의해 일측방 단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수직관통공의 일측방 상부에 형성되는 수직결합슬롯과, 수직결합슬롯 하부에 위치하도록 수직관통공의 일측방 하부에 형성되는 수직결합공, 및 수직관통공을 향해 수평으로 관통하는 볼트체결공을 구비하는 본체; 측방으로 개방되는 횡봉 수용홈을 구비하며 한 쌍의 수직걸림턱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수평방향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횡봉 수용부, 한 쌍의 수직걸림턱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좌우 폭을 갖도록 횡봉 수용부의 상측 끝단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조립시 수직결합슬롯에 내에서 구속되는 상측 결합부, 및 횡봉 수용부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조립시 수직결합공에 삽입되는 하측 결합부를 포함하여, 하측 결합부가 수직결합공에 삽입됨과 동시에 상측 결합부가 수직결합슬롯에 삽입되면서 횡봉 수용홈이 폐쇄되도록 하는 구조로 횡봉 연결체; 및 볼트체결공을 통해 체결되어 기둥을 압박함으로써 본체를 기둥에 고정하는 압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용 횡봉 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용 횡봉 커넥터{Lateral pipe connector for collapsible clothing hanger system}
본 발명은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적 지지를 수행하기 위해 지면과 천장 사이를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기둥과 횡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한 기둥에 연결되는 횡봉을 포함하는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에서 횡봉을 기둥에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용 횡봉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은 장롱이나 벽장을 대신하여 의류를 질서정연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의류를 정돈하거나 의류매장에서 의류를 진열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이동가능한 형태의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과 일반 가정에서 방의 빈 벽면을 활용하여 설치되는 고정형의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으로 구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면(1)과 천정(3)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둘 이상의 기둥(10)과, 이러한 기둥(10)과 기둥(10) 간을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횡봉(20)을 포함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30은 기둥(10)의 상단에 삽입되는 상부 지지부재를 도시한 것이다.
각각의 기둥(10)은 각각 서로 직경이 다른 두 개의 기둥부재(11)(13)로 이루어지며 하나의 기둥부재(11)가 다른 하나의 기둥부재(13) 내부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서로 중첩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중첩부위의 중첩길이를 조정하여 기둥(10)의 높이를 지면(1)과 천정(3) 사이의 실제 높이에 대응하도록 조정할 수 있으며, 중첩부위에 길이고정용 커넥터(15)를 결합하여 기둥(10)의 높이가 조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기둥(10)과 기둥(10) 간을 연결하는 구조로 의류를 걸 수 있도록 하는 횡봉(20)이 설치되며, 이러한 횡봉(20)을 기둥(10)에 고정하기 위해 횡봉 커넥터(50)가 사용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횡봉 커넥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횡봉 커넥터를 이용한 횡봉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횡봉 커넥터(50)는, 기둥(1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는 수직관통공(35)과 이 수직관통공(35)의 일측에 수평으로 놓이는 횡봉(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관통되되 상방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횡봉 수용홈(45) 및 외측면에서 수직관통공을 향해 수평으로 관통하는 볼트체결공(미도시)을 구비하는 본체(40)와, 볼트체결공을 통해 체결되어 기둥(10)을 압박함으로써 본체(40)를 기둥(10)에 고정하는 압박볼트(60)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횡봉 커넥터(50)는 횡봉(20)을 단순히 횡봉 수용홈(45)에 올려두는 구조임에 따라 횡봉(20)이 횡봉 수용홈(45)으로부터 이탈하기 쉬우며, 따라서 연결 안정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횡봉 커넥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횡봉 커넥터를 이용한 횡봉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횡봉 커넥터(50')는, 기둥(1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관통형성되는 수직관통공(35)과 이 수직관통공(35)의 일측에 수평으로 놓이는 횡봉(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관통형성되는 수평관통공(55) 및 외측면에서 수직관통공(35)을 향해 수평으로 관통하는 볼트체결공(미도시)을 구비하는 본체(40')와, 볼트체결공을 통해 체결되어 기둥(10)을 압박함으로써 본체를 기둥에 고정하는 압박볼트(60)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횡봉 커넥터(50')는 횡봉(20)이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잊으나, 횡봉(20)을 수평관통공(55)에 길이방향으로 삽입하는 방식으로만 조립이 가능함에 따라 설치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횡봉을 기둥에 연결하는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연결 후 횡봉의 이탈이 불가능도록 하여 우수한 연결 안정성을 갖도록 하는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용 횡봉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둘 이상의 기둥과 하나 이상의 횡봉을 포함하는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의 횡봉을 기둥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용 횡봉 커넥터에 있어서: 기둥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수직관통공과, 상방과 일측방으로 개방되되 일측방 단부에서 서로를 향해 돌출하는 좌우 한 쌍의 수직걸림턱에 의해 상기 일측방 단부의 폭이 좁아지는 평단면 형상을 갖도록 상기 수직관통공의 일측방에 형성되는 수직결합슬롯을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향해 오목하게 횡봉 수용홈이 형성되어 상측 끝단부와 하측 끝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수직걸림턱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횡봉 수용부와, 상기 한 쌍의 수직걸림턱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좌우 폭을 갖도록 상기 횡봉 수용부의 상측 끝단부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조립시 상기 수직결합슬롯에 구속되는 상측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 결합부가 상기 수직결합슬롯에 삽입되면서 상기 횡봉이 수용된 상기 횡봉 수용홈이 본체에 의하여 폐쇄되도록 하는 구조로 상기 본체와 조립되는 횡봉 연결체;를 포함하는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용 횡봉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는 상기 한 쌍의 수직걸림턱 하부 위치에서 하측 끝단부의 폭보다 작은 간격을 가지며 각각 상기 횡봉 연결체 쪽으로 더 연장되는 압박유지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횡봉 수용부의 하측 끝단부는 상기 압박유지부 사이에 위치하여 양측에서 압박유지부에 의하여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박유지부는 횡봉 연결체를 향하여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구조이며, 상기 하측 끝단부도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 감소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횡봉 수용홈은 개구측이 연결할 상기 횡봉의 외경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용 횡봉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단순히 횡봉을 횡봉 수용홈에 삽입한 상태에서 횡봉 연결체는 본체에 끼우는 단순한 방식으로 횡봉을 기둥에 연결할 수 있어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의도적으로 특정한 방향의 외력을 가하지 않는 이상 횡봉 연결체가 본체로부터 분리되기 어려운 구조임에 따라 횡봉이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 쉽게 이탈하는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의 일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횡봉 커넥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횡봉 커넥터를 이용한 횡봉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횡봉 커넥터의 일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횡봉 커넥터를 이용한 횡봉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용 횡봉 커넥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횡봉 커넥터를 구성하는 본체의 평면도,
도 8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용 횡봉 커넥터를 이용한 횡봉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종래기술의 도면에 나타난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용 횡봉 커넥터(100)는, 지면(1)과 천정(3) 사이에 설치되는 기둥(10)과, 이러한 기둥(10)과 기둥(10) 간을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는 옷걸이용 횡봉(20: 도 1 참조)을 포함하는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에서, 횡봉(20)을 기둥(10)에 연결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본체(110)와, 횡봉 연결체(130) 및 압박볼트(150)로 이루어진다.
본체(11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1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관통 형성되는 수직관통공(105)과 외측에서 수직관통공(105)을 향해 수평으로 관통하는 볼트체결공(미도시)을 구비하며, 상기한 횡봉 연결체(130)와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서, 수직관통공(105)의 일측방에 형성되는 수직결합슬롯(115)과, 상기 수직결합슬롯(115)의 하부에 형성되는 수직결합공(125)을 또한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수직결합슬롯(115)은 수직관통공(105)의 일측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방과 일측방으로 개방되되 일측방 단부에서 서로를 향해 돌출하는 좌우 한 쌍의 수직걸림턱(111)(113)에 의해 일측방 단부 방향으로 개방된 부분의 폭이 좁아지는 평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수직결합공(125)은 상기한 수직결합슬롯(115)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수직결합공(125)은 수직관통공(105)으로부터 수직결합슬롯(115)보다 측방으로 더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횡봉 연결체(130)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상과 같은 본체의 수직결합슬롯(115) 및 수직결합공(125)에 의한 형상적 구속에 의해 본체(11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횡봉(20)의 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횡봉(20)을 수용하는 횡봉 수용부(135)와, 조립시 상기한 수직결합슬롯(115)에 내에 구속되는 상측 결합부(145), 그리고 조립시 상기한 수직결합공(125)에 삽입되는 하측 결합부(155)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횡봉 수용부(135)는 본체(110)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는 횡봉 수용홈(133)을 구비하며 상기한 한 쌍의 수직걸림턱(111)(113)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수평방향 폭(X)을 갖도록 형성된다. 횡봉 수용부(135)의 수직걸림턱(111)(113) 사이에 위치하는 부분의 폭(X)은 수직걸림턱(111)(113) 사이의 간격보다 작게 형성하여 헐거운 끼워맞춤 관계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억지 끼워맞춤 관계를 가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횡봉 수용홈(133)은 개구측이 연결할 횡봉(20)의 외경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횡봉(20)을 횡봉 수용홈(133)에 삽입했을 때 횡봉(20)이 쉽게 횡봉 수용홈(133)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횡봉(20)의 삽입이 어려울 정도로 횡봉 수용홈(133)의 개구측이 과도하게 좁게 형성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할 것이다.
그리고, 상측 결합부(145)는 상기한 한 쌍의 수직걸림턱(111)(113)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좌우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서, 횡봉 수용부(135)의 상측 끝단부(137)에서 수직결합슬롯(115)을 향해 측방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측 결합부(145)는 넓은 폭으로 인해 상기한 한 쌍의 수직걸림턱(111)(113)에 걸려 측방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는 구조로 수직결합슬롯(115)에 내에 구속된다.
또한, 하측 결합부(155)는 횡봉 수용부(135)의 하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횡봉 연결체(130)는, 횡봉(20)을 횡봉 수용홈(133)에 삽입한 상태에서 본체(110)에 결합되어 횡봉(20)을 기둥(10)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횡봉 연결체(130)는 하측 결합부(155)가 수직결합공(125)에 삽입되며 상측 결합부(145)가 수직결합슬롯(115)에 삽입되면서 횡봉(20)이 수용된 횡봉 수용홈(133)의 개구측이 본체(110)에 의해 폐쇄되도록 하는 구조로, 본체(110)에 조립된다. 상기 하측 끝단부(139)
그리고, 압박볼트(150)는 볼트체결공을 통해 체결되어 기둥(10)을 압박함으로써 본체(110)를 기둥(10)에 고정하게 된다.
한편, 본체(110)는 조립시 횡봉 수용부(135)의 하측 끝단부(139) 높이에 대응하는 한 쌍의 수직걸림턱(111)(113) 하부 위치에서 횡봉 연결체(130) 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압박유지부(117)(119)를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압박유지부(117)(119)는 대응하게 되는 횡봉 수용부(135)의 하측 끝단부(139)를 양측면에서 압박하도록 압박유지부(117)(119) 사이의 간격이 하측 끝단부(139)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횡봉 연결체(130)가 본체(110)에 결합되었을 때, 횡봉 수용부(135)의 하측 끝단부(139)를 양측에서 압박하는 한 쌍의 압박유지부(117)(119)에 의해 횡봉 연결체(130)와 본체 간(110)의 결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물론, 한 쌍의 압박유지부(117)(119) 간의 폭은, 횡봉 연결체(130)를 본체(110)에 조립할 때 과도한 힘이 필요하지 않도록 할 뿐만 아니라, 횡봉 연결체(130)를 본체(110)로부터 분리할 때에도 과도한 힘이 필요하지 않도록 하는 정도로 조절되어야 할 것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압박유지부(117)(119)는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구조이며, 상기 하측 끝단부(139)도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 감소하는 구조이다. 상기 압박유지부(117)(119)의 상면은 하향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며, 압박유지부(117)(119) 사이의 간격은 하단으로 갈수록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하측 끝단부(139)가 압박유지부(117)(119)로 삽입될 때 초기에는 두께가 얇은 하측 끝단부(139)의 끝단이 하향 경사진 압박유지부(117)(119)의 상면이나 상면 내측 모서리에 접하게 되고 계속 가압되어 하향함으로써 하측 끝단부(139)와 압박유지부(117)(119)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게 되므로 하측 끝단부(139)와 압박유지부(117)(119) 사이의 간섭량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며, 간섭량이 큰 경우에도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상기 횡봉 연결체(130)를 본체(110)에 결합시킬 때, 상측 결합부(145)가 수직결합슬롯(115)에 삽입되면서 하측 끝단부(139)는 압박유지부(117)(119)의 상면 내측으로 위치하여, 하향 가압하면 상측 결합부(145)는 수직결합슬롯(115) 내에 위치하여 수직걸림턱(111)(113)에 걸리어 구속되며, 하측 끝단부(139)는 양 측면이 압박유지부(117)(119)의 내면에 접촉하며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횡봉수용부(135)의 하면이 수직결합공(125)에 형성된 본체(110)의 상면에 접하면 더 이상 하강하지 않게 된다.
상기 압박유지부(117)(119)의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은 하측 끝단부(139)의 측면과 접촉하여 하측 끝단부(139)를 양측에서 가압하게 된다. 상기 횡봉 연결체(130)가 본체(110)에 조립된 상태에서, 횡봉수용부(135)의 하면은 수직결합공(125)에 형성된 본체(110)의 상면에 접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횡봉 연결체(130)의 상부 끝단부(137)는 폭이 증가된 상측 결합부(145)를 구비하여 본체(110)의 수직결합슬롯(115)에 삽입되어 수직걸림턱(111)(113)에 걸리어 측방향으로 구속되며, 하부 끝단부(139)는 양측면이 양측에서 압박유지부(117)(119)에 의하여 가압되므로, 횡봉 연결체(130)는 본체(110)에 용이하고 안정되게 조립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용 횡봉 커넥터를 사용하여 기둥(10)에 횡봉(20)을 연결하는 방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이미 설치되어 있는 기둥(10)의 적절한 높이에 본체(110)가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압박볼트(150)를 조여 본체(110)를 기둥(10)에 단단히 고정한다.
이어서, 횡봉 연결체(130)의 횡봉 수용홈(133)에 횡봉(10)을 삽입한 상태에서, 횡봉 연결체(130)의 하측 결합부(155)는 본체(110)의 수직결합공(125)과 상측 결합부(145)는 본체(110)의 수직결합슬롯(115)과 정렬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단순히 횡봉 연결체(130)를 위에서 아래로 하강시킴으로써, 하측 결합부(155)가 본체(110)의 수직결합공(125)에 삽입되면서 구속되고 상측 결합부(145)가 본체(110)의 수직결합슬롯(115)에 삽입되면서 구속되도록 하여, 형상적 구속에 의한 본체(110)와 횡봉 연결체(13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반면, 횡봉(20)을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8에서 상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 횡봉 연결체(130)를 본체(110)로부터 분리하고, 횡봉(20)을 측방향으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의도적으로 특정한 방향의 외력을 가하지 않는 이상 횡봉 연결체(130)가 본체(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은 어려운 구조이며, 측방향으로는 분리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횡봉(20)이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 쉽게 이탈하는 현상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지면 3: 천정
10: 기둥 20: 횡봉
100: 횡봉 커넥터 110: 본체
105: 수직관통공 111, 113: 수직걸림턱
115: 수직결합슬롯 117, 119: 압박유지부
125: 수직결합공 130: 횡봉 연결체
133: 횡봉 수용홈 135: 횡봉 수용부
137: 상측 끝단부 139: 하측 끝단부
145: 상측 결합부 150: 압박볼트
155: 하측 결합부

Claims (4)

  1. 둘 이상의 기둥(10)과 하나 이상의 횡봉(10)을 포함하는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의 횡봉(20)을 기둥(10)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용 횡봉 커넥터(100)에 있어서: 기둥(10)이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수직관통공(105)과, 상방과 일측방으로 개방되되 일측방 단부에서 서로를 향해 돌출하는 좌우 한 쌍의 수직걸림턱(111)(113)에 의해 상기 일측방 단부의 폭이 좁아지는 평단면 형상을 갖도록 상기 수직관통공(105)의 일측방에 형성되는 수직결합슬롯(115)을 구비하는 본체(110);
    상기 본체(110)를 향해 오목하게 횡봉 수용홈(133)이 형성되어 상측 끝단부(137)와 하측 끝단부(139)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수직걸림턱(111)(113)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는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횡봉 수용부(135)와, 상기 한 쌍의 수직걸림턱(111)(113) 사이의 간격보다 넓은 좌우 폭을 갖도록 상기 횡봉 수용부(135)의 상측 끝단부(137)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조립시 상기 수직결합슬롯(115)에 구속되는 상측 결합부(145)를 포함하며, 상기 상측 결합부(145)가 상기 수직결합슬롯(115)에 삽입되면서 상기 횡봉(20)이 수용된 상기 횡봉 수용홈(133)이 본체(110)에 의하여 폐쇄되도록 하는 구조로 상기 본체(110)와 조립되는 횡봉 연결체(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용 횡봉 커넥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10)는 상기 한 쌍의 수직걸림턱(111)(113) 하부 위치에서 하측 끝단부(139)의 폭보다 작은 간격을 가지며 각각 상기 횡봉 연결체(130) 쪽으로 더 연장되는 압박유지부(117)(119)를 더 구비하며, 상기 횡봉 수용부(135)의 하측 끝단부(139)는 상기 압박유지부(117)(119) 사이에 위치하여 양측에서 압박유지부(117)(119)에 의하여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용 횡봉 커넥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유지부(117)(119)는 횡봉 연결체(130)를 향하여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하는 구조이며, 상기 하측 끝단부(139)도 끝단으로 갈수록 두께 감소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용 횡봉 커넥터.
  4. 제1 항 내지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횡봉 수용홈(133)은 개구측이 연결할 상기 횡봉(20)의 외경보다 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용 횡봉 커넥터.
KR1020100013928A 2010-02-16 2010-02-16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용 횡봉 커넥터 Expired - Fee Related KR101093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928A KR101093198B1 (ko) 2010-02-16 2010-02-16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용 횡봉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3928A KR101093198B1 (ko) 2010-02-16 2010-02-16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용 횡봉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506A KR20110094506A (ko) 2011-08-24
KR101093198B1 true KR101093198B1 (ko) 2011-12-13

Family

ID=44930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392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93198B1 (ko) 2010-02-16 2010-02-16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용 횡봉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931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4394A (ko) 2014-01-14 2015-07-22 (주)지에이치에스 다용도 선반 커버를 구비한 조립식 행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6148B1 (ko) * 2021-04-01 2022-07-28 김수열 행거의 지주연결봉 고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603Y1 (ko) 1997-02-18 1999-07-15 박우희 조립식 옷걸이의 횡봉고정구조
KR200393636Y1 (ko) 2005-05-27 2005-08-24 백운환 걸이부재의 착,탈이 가능한 옷걸이대
KR200435586Y1 (ko) 2006-09-06 2007-02-01 황원탁 행거용 연결부재
JP3129883U (ja) 2006-12-18 2007-03-08 泰大 青野 衣類用パイプラック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2603Y1 (ko) 1997-02-18 1999-07-15 박우희 조립식 옷걸이의 횡봉고정구조
KR200393636Y1 (ko) 2005-05-27 2005-08-24 백운환 걸이부재의 착,탈이 가능한 옷걸이대
KR200435586Y1 (ko) 2006-09-06 2007-02-01 황원탁 행거용 연결부재
JP3129883U (ja) 2006-12-18 2007-03-08 泰大 青野 衣類用パイプラック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4394A (ko) 2014-01-14 2015-07-22 (주)지에이치에스 다용도 선반 커버를 구비한 조립식 행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4506A (ko) 201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3407Y1 (ko) 조립식 앵글 선반
KR101375599B1 (ko) 드레스 룸 시스템용 자립형 가구
KR100947365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슬라이드 조립구조
KR200474283Y1 (ko) 선반 지지장치
KR101205957B1 (ko) 시공성을 높인 천장 마감패널용 고정장치
KR101266615B1 (ko) 케이블트레이의 조립체
KR101093198B1 (ko)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용 횡봉 커넥터
US11627824B2 (en) Flat-mounted connector for pipes
KR101442195B1 (ko) 보행통로 및 인도교용 데크 플레이트 조립체
KR101731208B1 (ko) 와이어 고정구를 구비한 창틀 행거
KR20090053114A (ko) 조립식 가구용 지주 및 그 지주를 이용한 조립식 가구
KR101516119B1 (ko)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
KR20110011998U (ko) 배수로용 그레이팅 연결구조
KR200487788Y1 (ko) 행거용 지주받침대
CN212897591U (zh) 一种用于建筑模板的连接夹扣
KR200462432Y1 (ko) 곶감 건조용 조립식 걸이구
KR101795776B1 (ko) 가구용 기둥
KR101765115B1 (ko) 블록을 이용한 중력식 옹벽시공구조
KR101029152B1 (ko) 칸막이 패널 프레임의 결합구조
KR101990044B1 (ko) 조립식 선반 어셈블리
CN202287361U (zh) 货架
JP2016220891A (ja) 玄関収納装置
KR20190001512U (ko) 가구 지지파이프의 크로스 고정장치
KR200417204Y1 (ko) 선반용 지주 고정장치
KR101516118B1 (ko) 건축물 천정 시공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2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2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9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