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92447B1 - 핸드오버를 위한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링크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핸드오버를 위한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링크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2447B1
KR101092447B1 KR1020050030078A KR20050030078A KR101092447B1 KR 101092447 B1 KR101092447 B1 KR 101092447B1 KR 1020050030078 A KR1020050030078 A KR 1020050030078A KR 20050030078 A KR20050030078 A KR 20050030078A KR 101092447 B1 KR101092447 B1 KR 101092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mih
mobile terminal
interface modul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0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7718A (ko
Inventor
곽용원
김용호
이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500300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2447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MX2007012524A priority patent/MX2007012524A/es
Priority to PCT/KR2006/001320 priority patent/WO2006109976A2/en
Priority to TW095112869A priority patent/TWI393409B/zh
Priority to EP06732847.6A priority patent/EP1869935B1/en
Priority to US11/403,041 priority patent/US8054800B2/en
Priority to CA2603242A priority patent/CA2603242C/en
Priority to CN2006800115598A priority patent/CN101208979B/zh
Publication of KR20060107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7718A/ko
Priority to IL186484A priority patent/IL1864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2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2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7/00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H7/002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 A61H7/004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power-driven, e.g. electrical
    • A61H7/005Devices for suction-kneading massage; Devices for massaging the skin by rubbing or br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rubbing or brushing power-driven, e.g. electrical hand-he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1/00Belts, strips or combs for massage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2/00Magnetotherapy
    • A61N2/002Magnetotherapy in combination with anothe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3Abdom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involving radio access media independent information, e.g. MIH [Media independent Hand-of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04W36/14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 H04W36/1446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over a different radio air interface technology wherein at least one of the networks is unlicens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핸드오버시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링크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Setup_link커맨드를 사용하여 상위 관리 개체가 MIH에게 핸드오버를 위해 선택된 해당 링크에게 전달하고, 상기 커맨드를 받은 MIH는 소정의 프리미티브를 통해 하위 링크로 링크설정을 지시함으로써 명확한 링크셋업 절차를 수행한다.
링크설정, 멀티모드 이동단말, MIH, 핸드오버

Description

핸드오버를 위한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링크설정 방법{METHOD FOR SETTING LINK OF MOBILE TERMINAL FOR PERFORMING HANDOVER}
도 1은 멀티모드로 구성된 이동 단말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MIH기능을 포함하는 단말과 네트워크의 기능적 개체 및 전송 프로토콜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3은 트리거 모델에 대한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이동단말이 새로운 링크로 핸드오버할 때의 이벤트 트리거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MIH를 고려한 프로토콜 구조 모델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MIH 수렴 부계층 (Convergence Sublayer : CS)이 있는 멀티 모드 단말의 프로토콜 구조 모델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MIH CS가 없는 멀티 모드 단말의 프로토콜 구조 모델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MAC계층이 상위 관리개체로부터 셋업링크를 지시받은 후 해당 링크 연결 설정 절차가 성공적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MAC계층이 상위 관리개체로부터 셋업링크를 지시받은 후 해당 링크 연결 설정 절차가 실패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멀티모드로 구성된 이동 단말(예를들어, 광대역 무선 접속망, 무선랜망, 유선랜망, 셀룰러시스템중 두개 이상으로 구성된 이동단말)이 핸드오버를 수행할 때 이기종 망 또는 동종 망의 여러 후보 링크가 검출된 경우에 선택된 특정 링크를 지시하는 커맨드 및 이를 이용한 링크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기종망간 매개체에 무관한 핸드오버(MIH : Media Independent Handover)에 대한 국제 표준화를 진행중인 IEEE802.21은, 이종 망(heterogeneous network)간의 끊김 없는 핸드오버(Seamless Handover)와 서비스 연속성 (Service Continuity)을 제공하여 이동단말 장치에 대한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기본적인 요구사항으로 MIH기능, 이벤트 서비스(Event Service), 커맨드 서비스 (Command Service) 및 정보 서비스(Information Service :IS)를 정의하고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은 하나 이상의 인터페이스 타입(Interface Type)을 지원하는 멀티모드 노드이며, 인터페이스는 아래 형태중의 하나 일수 있다.
○ 802.3 기반의 이더넷(Ethernet)과 같은 유선(Wire-line) 인터페이스
○ IEEE802.XX 에 기반한 무선 인터페이스
- 802.11
- 802.15
- 802.16
○ 3GPP 및 3GPP2와 같은 셀룰러 표준화 기구에 의해 정의된 인터페이스
상기 매개체 독립의 핸드오버(MIH)는 802계열 인터페이스간 또는 802계열 인터페이스와 비 802계열 인터페이스(3GPP, 3GPP2)간에서 정의되어야 하며, MIH에서는 핸드오버와 끊김없는 서비스를 위하여 모바일 IP(Mobile IP)와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과 같은 상위계층의 이동성 지원 프로토콜이 지원되어야 한다.
도 1은 멀티모드(유선랜 망, 무선랜 망, 광대역 무선접속 망 시스템 및 셀룰러 망의 인터페이스들)로 구성된 이동단말의 일 예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동 단말은 각 모드의 물리계층(PHY)과 매체접근제어계층(MAC)을 가지며 IP계층 아래에 MIH기능(MIH Function)이 위치한다. 상기 MIH기능은 트리거 이벤트(trigger event)와 다른 망에 대한 정보등과 같은 제2계층(Layer 2)으로부터의 입력 값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처리 과정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MIH기능은 핸드오버 과정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사용자 정책(policy)과 구성(configuration) 기반의 입력 값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Mobile IP 또는 SIP과 같은 제3계층(Layer 3) 개체(entity)와 MIH 기능간에는 일반적인 인터페이스들이 정의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들은 제1 계층 (PHY계층)과 제2 계층(MAC계층) 및 이동성 관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MIH는 이벤트와 정보 서비스의 도움으로 하위계층과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
따라서, 상위계층에는 이동 단말내의 여러 링크의 상태를 모니터하고 제어하기 위한 상위관리개체가 위치하여 핸드오버 제어기능(Handover Control Function) 및 장치 관리자(Device Manager)기능을 하게 된다. 이때, 핸드오버 제어기능과 장 치관리자는 독립적으로 각각 위치할 수도 있으며, 두 기능이 상위관리개체로 같이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는 MIH기능을 포함하는 단말과 네트워크의 기능적 개체 및 전송 프로토콜을 나타낸다. 여기서, 점선은 프리미티브(Primitive) 및 이벤트 서비스등을 나타낸다.
도 2에서, 빠른 핸드오버를 위하여, 네트워크 계층은 가능한 빨리 연결을 재 설정할 수 있도록 링크 계층으로부터의 정보를 이용할 필요가 있다. 링크 계층 이벤트는 사용자의 이동을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며, 이동 단말과 네트워크가 사전에 핸드오버를 준비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핸드오버를 위한 트리거는 물리계층 (PHY)과 매체접근제어 계층(MAC)으로부터 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트리거에 대한 근원지는 로컬 스택(Local Stack) 또는 원격 스택(Remote Stack)이 될 수 있다.
도 3은 트리거 모델에 대한 구조를 나타내며, 기본적인 트리거 이벤트는 Link_Up, Link_Down, Link_Going_Down, Link_Going_Up, Link_Event_Rollback, Link_Available 및 Link_Parameters_Change등이 있다.
상기 Link Up은 특정 링크 인터페이스상에서 제2계층 연결이 설정되고, 상위 계층에서 제3계층 패킷들을 전송 할 수 있을 때 발생한다. 이때, 링크를 구성하는 모든 제2계층 구성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며, 이벤트 근원지는{Local MAC, Remote MAC}이다.
상기 Link Down은 특정 인터페이상에서 제2계층 연결이 해제되었고, 더 이상 제3계층 패킷을 전송 할 수 없을 때 발생하며, 이벤트 근원지는 {Local MAC}이다.
상기 제2계층 연결이 특정 시간내에 Link_Down될 것으로 예측 될 때 발생하며, 핸드오버 절차를 초기화하기 위한 시그널이 될 수도 있다.
상기 Link_Going_Up는 제2계층 연결이 특정 시간내에 Link_Up될 것으로 예측될 때 발생하며, 네트워크가 초기화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경우에 사용된다.
상기 Link_Event_Rollback은 Link_Going_Up 및 Link_Going_Down과 결합하여 사용된다. 즉, Link_Going_Down이 전송 되었으나, 특정 시간내에 더 이상 Link_UP 또는 Link_Down이 발생 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 될 때 발생한다.
상기 Link_Available은 새로운 특정 링크가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현재 이동단말이 접속해 있는 기지국이 엑세스(access) 포인트에 비해 새로운 기지국이나 액서스 포인트가 더 나은 링크 품질을 제공 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나타낸다.
상기 Link_Parameters_Change는 링크 파라미터 값의 변화가 특정 한계 수준을 넘어섰을 때 발생하며, 링크속도, QoS(Quality of Service) 및 암호화 값등과 같은 링크 계층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ink_Going_Down, Link_Going_Up, Link_Event_Rollback, Link_Available 및 Link_Parameters_Change들의 이벤트 근원지는 {Local MAC, Remote MAC}이다.
도 4는 이동단말이 새로운 링크로 핸드오버할 때의 이벤트 서비스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현재 접속된 링크의 품질이 저하되어, 새로운 링크를 설정할 때까지 발생된 이벤트 서비스를 나타낸다.
한편 커맨드 서비스(Command Service)는 상위 계층이 하위 계층에게 명령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위 계층에서 MIH까지 또는 MIH에서 하위 계층까지 커맨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명령은 주로 상위 계층의 결정을 하위 계층으로 전달하고 하위 계층 개체들의 행위를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정보 서비스 (Information Service)는 네트워크 발견과 선택을 하는데 필요한 네트워크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며, 어떤 네트워크로부터도 접근 가능하여야 한다. 상기 정보 서비스는 다음과 같은 정보요소를 포함해야 한다.
- 링크 접근 파라미터(Link access parameter)
- 보안 메커니즘(Security mechanism)
- 네이버 맵(Neighbor Map)
- 위치(Location)
- 서비스 제공자와 다른 접근 정보 (Provider and other Access Information)
-링크 비용(Cost of link)
멀티모드로 구성된 이동 단말은 동종망 혹은 이 기종망으로 핸드오버를 할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접속 가능한 링크를 찾기 위해 스캔을 실시한다. 스캔결과 접속 가능한 링크가 발견되면, 이동 단말은 Link_Available트리거를 상위 관리개체에게 전달하여 여러 후보링크들중에 하나의 링크를 선택하는 링크 선택(Link Selection) 과정을 수행한다. 이때, 상위 관리개체는 선택된 링크를 MIH에게 전달하여 해당 링크가 설정되도록 하는 과정을 수행해야 하는데 종래의 트리거로는 이 과정을 수행 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위 관리개체가 선택된 링크를 MIH에게 전달하여 해당 링크의 설정을 지시할 수 있는 멀티모드 이동 단말의 링크 설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매개체에 무관한 핸드오버(Media Independent Handover : MIH) 기능을 지원하는 멀티모드 이동 단말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링크설정 방법은, 이동 단말이 핸드오버하면 MIH가 각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 접속 가능한 후보링크를 찾아 상위관리개체로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후보링크중에서 하나의 링크를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선택된 링크를 소정 커멘드를 사용하여 MIH에게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커멘드에 따라 MIH가 프리미티브를 통하여 하위관리개체에게 링크 설정을 지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멘드는 MIH_SERVICE_SAP를 통하여 MIH에게 전달되고, 상기 프리미티브는 MIH_MGMT_SAP 또는 MIH_ME_SAP를 통하여 하위관리개체로 전달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커멘드는 Setup_Link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리미티브는 Link_Setup.request이며, MIH 수렴부계층(CS)가 없는 구조에서는 M_Ranging.request로 대체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위관리개체는 망조정관리 시스템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망조정관리 시스템은 MAC계층으로 M_ranging.request 프리 미티브를 전달하여 링크설정을 지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위관리개체가 단말이 선택한 링크를 매개체에 무관한 핸드오버 (MIH : Media Independent Handover)에게 알려줌으로써 선택된 링크가 링크 셋업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Setup_Link커맨드와 그에 매핑되는 프리미티브(Primitive) 즉, Link_Setup.request, Link_Setup.confirm 및 SetupLinkFail.indication등을 정의한다.
도 5는 MIH를 고려한 프로토콜 구조 모델이다.
도 5에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커멘드(Command)는 상위 관리개체로부터 MIH_SERVICE_SAP을 통하여 MIH에게 전달되고, 프리미티브들은 MIH_MGMT_SAP 또는 MIH_ME_SAP을 통하여 망제어 관리시스템(Network Control Management System : NCMS)으로 전달된다. 또한, 도 6에는 MIH 수렴 부계층 (Convergence Sublayer : CS)이 있는 멀티 모드 단말의 프로토콜구조 모델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MIH CS가 없는 멀티 모드 단말의 프로토콜구조 모델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관리하는 개체는 망 조정관리 시스템(NCMS)과 인터페이스되는 모든 개체를 말하며, 이는 기기내에 IP계층 혹은 그 상위 계층에 있을 수 있는 어떤 논리적인 관리개체 혹은 물리적인 관리 개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표현되는 형식은 전술한 관리 개체가 관리(Management) SAP 또는 제어(Control) SAP를 통하여 통신을 하기 때문에 마치 망 조정관리 시스템이 직접 프리미티브를 보내는 것처 럼 표현 될 수 있다. 또한, 상위관리개체는 MIH의 상단에 위치하여 링크선택기능을 할 수 있는 독립된 개체이다.
먼저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커맨드 및 프리미티브의 형식은 다음과 같다.
1. Setup_Link Command
Setup_Link는 상위관리개체가 망 선택을 수행한 다음 이동 단말이 선택한 링크를 MIH에게 전달할 때 사용되는 커멘드이다. MIH는 그 링크가 핸드오버를 위한 타켓(Target) 링크로 채택되었다는 상위관리개체의 결정을, 해당 링크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상위관리개체는 설정 가능한 링크들의 리스트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MIH는 핸드오버 정책(Handover Policy)과 우선순위를 고려하여 링크를 설정한다. 이때, 상기 리스트의 링크 나열 순서는 선호하는 링크들에 대한 우선순위를 나타낸다. 다음 [표1]에는 Setup_Link 커멘드의 파라미터들이 도시되어 있다.
[표1]
Name Type Description
CommandSource Command Type 커멘드가 생성된 근원지
CommandDescription Command Type 커멘드가 도착할 목적지
Interface ID Enumeration {802.3, 802.11, 802.16,3GPP,3GPP2}
MACMobile Terminal MAc address
2. Link_Setup.request
상기 Link_Setup.request는, MIH가 해당 인터페이스의 MAC 계층에게 핸드오버를 위한 타켓 링크로 선택됐음을 알려 링크를 설정하도록 지시하는 프리미티브이다. 상기 Link_Setup.request는 [표2]에 도시된 바와같이 Source, Destination, Interface ID 및 MACMobileTerminal등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표2]
Name Type Valid range Description
Source N/A Request가 요청되는 시작점
Destination N/A Request가 전달되는 목적점
Interface ID Enumeration 802.3
802.11
802.16
3GPP
3GPP2
선택된 링크중 하나 선택
MACMobile Terminal MAC어드레스 valid 해당 MAC인터페이스의 MAC주소
상기 Link_Setup.request는 MIH가 상위관리개체로부터 Setup_Link커맨드를 수신하였을 때 생성한다. 상기 프리미티브를 수신하면, 해당 인터페이스의 MAC 계층은 링크를 설정한 후 MIH에게 Link_Setup.confirm을 보낸다. 만약, Link_Setup.confirm을 보내지 않는 경우 이동 단말은 레인징 절차를 수행할 때 사용하는 프리미티브로 Link_Setup.request에 대한 응답을 대체 할 수 있다.
3. Link_Setup.confirm
상기 Link_Setup.confirm 프리미티브는 Link_Setup.request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서 링크 설정에 대한 성공 및 실패 여부를 MIH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표3]과 같이 Source, Destination, Interface ID, MACMobileTerminal 및 Result등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상기 Link_Setup.confirm은 Link_Setup.request를 받은 후 해당 링크 설정을 시도하고 성공, 실패시 모두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링크 설정이 성공일 경우 MIH는 Link_Going_Up을 상위관리 개체 혹은 상위계층에게 트리거하고 실패할 경우 MIH 혹은 상위관리개체에게 다른 후보링크를 요구 할 수 있다.
[표3]
Name Type Valid range Description
Source N/A Confirm이 요청되는 시작점
Destination N/A Confirm이 전달되는 목적점
Interface ID Enumeration 802.3
802.11
802.16
3GPP
3GPP2
링크셋업에 성공한 링크 ID
MACMobile Terminal MAC Address valid 해당 MAC인터페이스의 MAC주소
Result Enumeration Success
Fail
링크설정의 성공,실패
4. SetupLinkFail.indication
상기 SetupLinkFail.indication은 MIH에서 상위 관리개체까지 SetUp_Link 커맨드에 대한 실패 응답을 보고하는 프리미티브로서, [표4]와 같이 Source, Destination, Interface ID, MACMobileTerminal 및 Reason등의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상기 SetupLinkFail.indication은 MIH가 해당 링크로부터 Link_Setup.confirm 프리미티브를 수신한 결과 링크셋업이 실패로 판명되었을 경우 생성된다. 즉, Link_Setup.confirm 프리미티브의 결과 파라미터인 Result값이 Fail로 응답되었을 때 생성된다. 따라서, 상기 SetupLinkFail.indication을 수신하였을 경우 다른 후보링크를 검색하기 위해 MIH에게 스캔을 지시한다.
[표4]
Name Type Valid range Description
Source N/A Confirm이 요청되는 시작점
Destination N/A Confirm이 전달되는 목적점
Interface ID Enumeration 802.3
802.11
802.16
3GPP
3GPP2
링크셋업에 성공한 링크 ID
MACMobile Terminal MAC Address valid 해당 MAC인터페이스의 MAC주소
Reason 링크설정의 실패이유
이후 본 발명에 따른 핸드오버를 위한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링크설정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실시예에서는 802.11, 802.16인터페이스가 핸드오버를 위해 가능한 링크이지만 최종 링크 선택단계에서 802.16 인터페이스가 채택됨을 가정한다. 이후,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MAC계층이 상위 관리개체로부터 셋업링크를 지시받은 후 핸드오버를 위해 선택된 목적 링크를 위해 링크 연결 설정 절차(셋업링크 커맨드를 처리하는 과정)가 성공적인 경우와 실패한 경우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1. 링크 연결 설정 절차가 성공적인 경우
도 8은 현재 3GPP시스템으로 동작중인 멀티모드 이동단말이, 신호 품질등의 저하로 Link_Going_Down을 MIH에게 트리거했을 때, 상위 관리 개체에서 링크 선택 절차를 실행하여 해당 인터페이스 MAC 계층에게 링크 연결 설정절차를 지시하고, 그 결과가 성공적인 경우를 나타낸 일 실시예이다.
현재 멀티모드 이동단말은 현재 3GPP 시스템에서 동작중이다. 먼저, 이동 단말은 링크의 신호 품질이 저하되고 다른 이용 가능한 3GPP 시스템 기지국이 검색되지 않는 경우 MIH에게 Scan_Otherlink_request를 트리거하고, MIH는 이를 상위관리개체에게 전달한다(S1). 상위관리개체는 MIH에게 Scan_Indication을 전송하여, 각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 이용 가능한 링크를 검색하도록 지시한다 (S2).
상기 MIH는 이동단말의 802.11 및 802.16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각 링크 검출 및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스캐닝(Scanning) 요청 프리미티브, 예를 들면 MLME_scan.request(802.11,) 및 M_scanning.request (802.16)를 각 하위 관리 개체에게 전달하고, 각 하위 관리 개체는 해당 프리미티브를 자신의 MAC 계층으로 전달 한다(S3).
상기 스캐닝 요청 프리미티브를 받은 각 MAC계층은 스캐닝을 수행한 후 스캐닝 결과가 포함된 응답 프리미티브를, 예를들면 MLME_scan.confirm 또는 M_Scanning.confirmation을 MIH로 전송한다(S4). 이때, 상기 응답 프리미티브는 NCMS 또는 SME를 거쳐 MIH로 전송될 수도 있고, MAC계층 및 MIH계층과 별도로 정의된 SAP을 통하여 전달될 수도 있다.
상기 MIH는 상위 관리개체와의 SAP을 통하여 상기 스캔 확인결과를 Link Available트리거로 매핑시킨 다음 상위 관리개체에게 전송함으로써 해당 링크가 핸드오버를 할 수 있는 링크임을 알린다(S5). 따라서, 상위 관리개체는 두개의 후보 인터페이스(링크)중에 802.16 인터페이스를 선택한 후 MIH에게 Setup_Link 커맨드를 전송하여 링크선택 결과를 알린다(S6).
상기 Setup_Link 커맨드를 전송받은 MIH는 Link_Setup.request 프리미티브를 802.16의 NCMS에게 전달한다(S7). 이때, 상기 프리미티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MIH와 관리개체(Management entity)와의 SAP인 MIH_MGMT_SAP를 거쳐 바로 관리개체로 전달되어 MAC계층을 트리거할 수도 있고, MIH와 NCMS와의 SAP인 MIH_ME_SAP를 통해 NCMS에게 전달된 후 NCMS와 관리 개체와의 SAP을 통해 전달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Link_Setup.request프리미티브는 802.16의 프리미티브인 M_Ranging.request 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MIH CS가 존재하는 구조에서는 MIH CS가 각 특정 링크의 MIH에게 Link_Setup.request를 전송하고, 각 특정 링크의 MIH가 특정링크의 관리개 체로 전송할 때는 특정 링크의 프리미티브(e.g.,M_Ranging.request)를 이용한다.
상기 802.16의 망제어관리시스템(NCMS)은 MAC계층으로 링크설정을 지시하기 위하여 M_ranging.request를 보낸다(S8). 만약, MIH CS가 존재하는 경우 802.16의 MIH는 M_Ranging.request를 NCMS를 통해 또는 직접 관리개체에게 전송을 한다.
상기 M_ranging.request이 수신되면, 802.16 MAC 계층은 기지국으로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보낸 후 응답받은 레인징 응답 메시지의 결과를 자신의 NCMS에게 M_ranging.confirmation으로 전송한다(S9). 만약, MIH CS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M_Ranging.confirmation이 802.16의 MIH에게 전달된다.
상기 802.16의 NCMS는 링크설정 결과를 Link_Setup.confirm을 통해 MIH에게 전달한다(S10). 상기 Link_Setup.confirm 프리미티브는 도 7과 같이 MIH CS가 없는 구조에서는 M_Ranging.confirmation으로 대체되어 전달될 수 있고, 도 6과 같이 MIH CS가 있는 구조에서는 M_Ranging.confirmation이 802.16의 MIH로 전달이 되고, 다시 802.16의 MIH는 MIH CS로 Link_Setup.confirm을 전송한다.
상기 MIH는 Link_Setup.confirm의 결과가 success로 되어있는 경우 상위 관리개체 또는 상위 계층으로 Link_Going_Up을 전송하여 트리거한다(S11). 이후, MIH는 망 등록 절차를 실행하도록 지시하기 위하여 M_registration.request를 NCMS를 통하여 802.16MAC 계층으로 전달한다(S12).
따라서, MAC계층은 기지국과 등록절차를 실행하고 M_registration.confirm을 NCMS를 통하여 MIH에게 전달하며(S13), MIH는 M_registration.confirm의 결과가 success일 때 Link_Up을 상위관리개체 또는 상위계층에게 트리거한다(S14).
상기 도 8의 실시예에서는 802.16 시스템내에서, 프리미티브들이 NCMS와 MIH간 SAP인 MIH_ME_SAP로 가는 경우로 설명하였지만 상기 프리미티브들은 관리 개체인 ME와 MIH간의 MIH_MGMT_SAP을 통해서도 전송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링크 설정을 광대역무선 접속 시스템(802.16)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방법들은 다른 시스템(무선랜, 셀룰러시스템, 유선랜등)에서도 유사한 방법으로 동작될 수 있다.
2. 링크 연결 설정 절차가 실패한 경우
도 9는 현재 3GPP시스템으로 동작중인 멀티모드 이동 단말이 신호 품질등의 저하로 Link_Going_Down을 MIH에게 트리거 했을 때, 상위 관리 개체에서 링크 설정 절차를 실행하여 해당 인터페이스 MAC 계층에게 링크 연결 설정 절차를 지시하고, 그 결과가 실패한 경우를 나타낸 일 실시예이다.
멀티모드 이동 단말은 현재 3GPP시스템에서 동작중이며, 해당 링크의 신호 품질이 저하되고 다른 이용가능한 3GPP 시스템 기지국이 검색 되지 않을 때, MIH에게 Scan_Otherlink_request를 트리거하고(S21), 상기 MIH는 이를 상위 관리개체에게 전달한다.
상위 관리개체는 MIH에게 Scan_Indication을 전송하여(S22), 각 인터페이스 시스템에서 이용 가능한 링크를 검색하도록 지시한다. MIH는 이동단말의 802.11 및 802.16 인터페이스에게 각 링크 검출 및 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스캐닝 요청 프리미티브, 예를 들면 MLME_scan.request(802.11,) 및 M_scanning.request (802.16)를 각 하위관리개체에게 전달하고(S23), 각 하위개체는 이를 자신의 MAC 계층으로 전 달한다. 상기 스캐닝 요청 프리미티브를 받은 MAC계층은 스캐닝을 수행한 후 스캐닝 결과를 담은 응답 프리미티브, 예를 들면 MLME_scan.confirm 및 M_Scanning.confirmation을 MIH로 전송한다(S24). 이때, 상기 응답 프리미티브는 NCMS 혹은 SME 를 거쳐 MIH로 전달될 수도 있고, MAC계층과 MIH 계층과 별도로 정의된 SAP을 통해 전달 될 수도 있다.
상기 MIH는 상위 관리개체와의 SAP을 통하여 스캔 확인결과를 Link _Available 트리거에 매핑시킨 후 상위 관리개체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링크가 핸드오버를 할 수 있는 링크임을 알린다(S25). 따라서, 상위 관리개체는 두개의 후보 인터페이스중에 802.16인터페이스를 선택한 후 MIH에게 Setup_Link 커맨드를 전송하여 링크 선택결과를 알린다(S26).
상기 Setup_Link 커맨드를 전송받은 MIH는 Link_Setup.request 프리미티브를 802.16의 NCMS에게 전달한다(S27). 이때 이 프리미티브가 전달되는 방법은 MIH와 관리 개체와의 SAP인 MIH_MGMT_SAP 을 거쳐 바로 관리개체로 전달되어 MAC계층을 트리거할 수도 있고, 상기 MIH와 NCMS와의 SAP인 MIH_ME_SAP을 통하여 NCMS에게 전달된 후 다시 NCMS와 관리 개체와의 SAP을 통하여 전달 될 수도 있다. 상기 Link_Setup.request 프리미티브는 802.16의 프리미티브인 M_Ranging.request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MIH CS가 존재하는 구조에서는 MIH CS가 각 특정 링크의 MIH에게 Link_Setup.request를 전송하고, 각 특정 링크의 MIH가 특정 링크의 관리개체로 전송할 때 특정 링크의 프리미티브(e.g.,M_Ranging.request)로 전송 할 수 있다.
상기 802.16의 NCMS는 MAC계층에게 링크 설정을 지시하기 위하여 M_ranging.request를 보내는데(S28), 만약 MIH CS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802.16의 MIH가 M_Ranging.request를 NCMS를 통해 또는 직접 관리개체에게 전송한다. 802.16 MAC 계층은 기지국으로 레인징 요청 메시지를 보낸 후 응답받은 레인징 응답 메시지의 결과를 M_ranging.confirmation을 통하여 자신의 NCMS에게 전송한다(S29). 만약, MIH CS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M_Ranging.confirmation이 802.16의 MIH에게 전달이 된다.
상기 802.16의 NCMS는 링크 설정 결과를 Link_Setup.confirm을 통해 MIH에게 전달한다(S30). 이 프리미티브는 MIH CS가 없는 구조에서는 설정 결과를 포함하여 M_Ranging.confirmation으로 대체되어 전달될 수 있고, MIH CS가 있는 구조에서는 설정 결과를 포함하여 M_Ranging.confirmation이 802.16의 MIH로 전달이 되고, 다시 802.16의 MIH는 MIH CS에게 Link_Setup.confirm을 전송한다.
따라서, MIH는 Link_Setup.confirm의 결과가 실패(fail)인 경우 상위 관리개체에게 SetupLinkFail.indication을 전송하고, 상위 관리개체는 MIH에게 Scan.inidication을 재전송하여 처음 과정부터 다시 시작한다.
도 9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802.16 시스템내에서, 프리미티브들이 NCMS와 MIH간 SAP인 MIH_ME_SAP으로 전달되는 경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관리 개체인 ME와 MIH간의 MIH_MGMT_SAP을 통해서도 전송 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링크 설정시 실패의 예를 광대역무선 접속 시스템(802.16) 한정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방법들은 다른 시스템(무선랜, 셀룰러시스템, 이더넷등)에서도 위와 같은 유사한 방법으로 동작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Setup_link커맨드를 사용하여 상위 관리 개체가 MIH에게 핸드오버를 위해 선택된 해당링크에게 링크셋업을 지시하고, 상기 커맨드를 받은 MIH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프리미티브로 매핑시켜 하위 링크로 전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위관리개체와 MIH, 그리고 상위관리개체와 이동단말의 해당 링크계층과의 연결절차를 명확하게 정의하여 매개체 무관 핸드오버(MIH)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6)

  1.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으로서,
    제1 링크와의 연결 설정을 명령하는 제1 메시지를 매개체에 무관한 핸드오버(Media Independent Handover : MIH) 모듈에서 상위 계층 모듈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메시지는 연결이 설정될 상기 제1 링크를 가리키기 위해 사용되는 링크 타입 및 링크 주소를 포함하고;
    상기 MIH 모듈에서 상기 제1 메시지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링크와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MIH 모듈로부터 상기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중 상기 제1 링크와 연관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로 제2 메시지를 보내는 단계와;
    상기 제1 링크와 연관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상기 제2 메시지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링크와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와; 및
    상기 제1 링크와 연결을 설정하는 동작을 수행한 결과로서, 상기 제1 링크와 연관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상기 MIH 모듈로 확인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메시지는 상기 제1 링크와 연결을 설정하는 동작의 성공, 실패 또는 거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IH 모듈은
    네트워크 제어 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상기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적어도 두 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 관리 시스템은
    상기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관리 기능을 지원하는 계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IH 모듈은
    MAC 부계층(sublayer) 관리 엔티티를 통하여 상기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상기 적어도 두 개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802.11 인터페이스 모듈과 802.16 인터페이스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3GPP 인터페이스 모듈과 3GPP2 인터페이스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IH 모듈은
    관리 서비스 접속점(access point)과 제어 서비스 접속점을 통하여 상기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MIH 모듈은
    MAC 부계층 관리 엔티티와 물리 계층 관리 엔티티 중 하나를 통하여, 상기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와 연결을 설정하는 동작은
    핸드오버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메시지는
    상기 제1 네트워크와 연관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을 위한 오리지날 프리미티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상기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상위 계층 모듈에게 제공하는 매개체에 무관한 핸드오버(Media Independent Handover : MIH) 모듈을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MIH 모듈은 상기 상위 계층 모듈로부터 제1 링크와의 연결 설정을 명령하는 제1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메시지는 연결이 설정될 상기 제1 링크를 가리키기 위해 사용되는 링크 타입 및 링크 주소를 포함하며,
    상기 MIH 모듈은, 상기 제1 메시지 수신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제1 링크와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 중 상기 제1 링크와 연관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로 제2 메시지를 보내고,
    상기 MIH 모듈은, 상기 제1 링크와 연결을 설정하는 동작을 수행한 결과로서, 상기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상기 제1 링크와 연관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로부터 확인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확인 메시지는 상기 제1 링크와 연결을 설정하는 동작의 성공, 실패 또는 거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링크와 연결을 설정하는 동작은, 상기 제1 링크와 연관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수신한 상기 제2 메시지의 응답으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주소는
    MAC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
  24. 삭제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802.11 인터페이스 모듈과 802.16 인터페이스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모듈은
    3GPP 인터페이스 모듈과 3GPP2 인터페이스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모드 이동단말.
KR1020050030078A 2005-04-11 2005-04-11 핸드오버를 위한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링크설정 방법 KR101092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078A KR101092447B1 (ko) 2005-04-11 2005-04-11 핸드오버를 위한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링크설정 방법
PCT/KR2006/001320 WO2006109976A2 (en) 2005-04-11 2006-04-11 A method of establishing link for handover by a multi-mode mobile terminal
TW095112869A TWI393409B (zh) 2005-04-11 2006-04-11 藉由一多模式行動終端來建立用於遞交之鏈結的方法
EP06732847.6A EP1869935B1 (en) 2005-04-11 2006-04-11 A method of establishing link for handover by a multi-mode mobile terminal
MX2007012524A MX2007012524A (es) 2005-04-11 2006-04-11 Un metodo para establecer el enlace para traspaso por una terminal movil multi-modal.
US11/403,041 US8054800B2 (en) 2005-04-11 2006-04-11 Method of establishing link for handover by a multi-mode mobile terminal
CA2603242A CA2603242C (en) 2005-04-11 2006-04-11 A method of establishing link for handover by a multi-mode mobile terminal
CN2006800115598A CN101208979B (zh) 2005-04-11 2006-04-11 一种由多模移动终端建立用于切换的链路的方法
IL186484A IL186484A (en) 2005-04-11 2007-10-08 Method of establishing link for handover by a multi-mode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0078A KR101092447B1 (ko) 2005-04-11 2005-04-11 핸드오버를 위한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링크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7718A KR20060107718A (ko) 2006-10-16
KR101092447B1 true KR101092447B1 (ko) 2011-12-13

Family

ID=37087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078A KR101092447B1 (ko) 2005-04-11 2005-04-11 핸드오버를 위한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링크설정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054800B2 (ko)
EP (1) EP1869935B1 (ko)
KR (1) KR101092447B1 (ko)
CN (1) CN101208979B (ko)
CA (1) CA2603242C (ko)
IL (1) IL186484A (ko)
MX (1) MX2007012524A (ko)
TW (1) TWI393409B (ko)
WO (1) WO2006109976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33450B2 (en) * 2004-09-10 2012-07-3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nd components for facilitating multiple network type compatibility
US7917121B2 (en) * 2005-03-24 2011-03-2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executing handover in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EP1864406B1 (en) * 2005-03-24 2013-05-08 LG Electronics Inc. A method of ranging for a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
IL169503A (en) 2005-07-03 2010-12-30 Alvarion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lowing transfer of communication sessions between base stations in wireless networks
KR100801283B1 (ko) * 2005-11-11 2008-02-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미디어 독립 핸드오버를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377948B1 (ko) * 2006-04-28 2014-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모드 이동 단말의 제어 정보 송수신 방법
KR20090017609A (ko) * 2006-05-19 2009-02-18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인터넷을 통한 매체 독립 메세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9049096B2 (en) * 2006-06-19 2015-06-02 Qualcomm Incorporated Data routing via lower layers in a communication system
CN101166357B (zh) * 2006-10-20 2012-02-01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跨越异质网络寻呼终端设备的方法、装置及系统
WO2008049128A2 (en) * 2006-10-21 2008-04-24 Paragon Wireless, Inc. Managing communications using a mobile device
KR101384183B1 (ko) * 2006-10-23 2014-04-18 삼성전자주식회사 매체 독립 핸드오버 서비스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US8340861B2 (en) * 2008-08-14 2012-12-25 Spx Corporation Docked/undocked vehicle communication interface module
US7558874B1 (en) * 2008-11-12 2009-07-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ergy efficient ethernet via dynamic adapter driver link speed negotiation
EP2517513A4 (en) * 2009-12-24 2015-01-14 Intel Corp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MANAGING ENCODER OUTPUT RATE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LINK FEEDBACK
US20120093056A1 (en) * 2010-10-13 2012-04-19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slot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06853B2 (en) * 2000-10-23 2007-04-17 Sony Corporation content abstraction layer for use in home network applications
EP1522173A1 (en) * 2002-07-10 2005-04-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terface selection from multiple networks
US7251227B2 (en) * 2002-10-04 2007-07-31 M-Stack Limited Access stratum manager
US7096022B2 (en) * 2002-10-08 2006-08-22 Ntt Docomo, Inc. System and method for supporting quality of service in vertical handovers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JP4338993B2 (ja) 2003-02-28 2009-10-07 モトローラ・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無線端末のセッション制御方法及びインターフェース設定方法
US7394761B2 (en) * 2003-04-29 2008-07-01 Avocent Huntsville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livering messages using alternate modes of communication
US7382750B2 (en) * 2003-07-02 2008-06-03 High Tech Computer Corp. Inter-RAT handover to UTRAN with simultaneous PS and CS domain sevices
US20050014468A1 (en) * 2003-07-18 2005-01-20 Juha Salokannel Scalable bluetooth multi-mode radio module
TWI245513B (en) * 2003-08-26 2005-12-11 Ind Tech Res Inst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ulti-radio access
JP2005160053A (ja) * 2003-11-04 2005-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通信方法、移動通信装置、ホームエージェント装置、アクセスルータ情報サーバ装置、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
CN1262145C (zh) * 2004-01-14 2006-06-28 得实信息科技(北京)有限公司 预付费用户在两种异构网络之间的国际漫游的实现方法
US20050237923A1 (en) * 2004-04-26 2005-10-27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ulti-bank OFDM high data rate extensions
US8233450B2 (en) * 2004-09-10 2012-07-31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and components for facilitating multiple network type compatibility
US7684342B2 (en) * 2004-11-03 2010-03-23 Intel Corporation Media independent trigger model for multiple network types
US7738871B2 (en) * 2004-11-05 2010-06-1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media independent handover between technologically diversified access networks
US7616956B2 (en) * 2005-03-15 2009-11-10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asurement request report extensions for media independent handover
US20060221899A1 (en) * 2005-03-31 2006-10-05 Feder Peretz M Triggers for media independent handov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OH, B. et al.: "Panasonic's MIH Proposal (Details) 11 , IEEE 802.21WORKING GROUP [online], 10 January 2005 (10.01.20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054800B2 (en) 2011-11-08
IL186484A (en) 2011-10-31
CA2603242A1 (en) 2006-10-19
WO2006109976A3 (en) 2007-12-06
EP1869935A2 (en) 2007-12-26
US20060265474A1 (en) 2006-11-23
CN101208979A (zh) 2008-06-25
EP1869935A4 (en) 2011-03-02
CA2603242C (en) 2014-08-19
TWI393409B (zh) 2013-04-11
CN101208979B (zh) 2012-02-15
MX2007012524A (es) 2007-12-06
WO2006109976A2 (en) 2006-10-19
KR20060107718A (ko) 2006-10-16
EP1869935B1 (en) 2016-12-28
IL186484A0 (en) 2008-01-20
TW200704085A (en) 2007-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03242C (en) A method of establishing link for handover by a multi-mode mobile terminal
EP1869937B1 (en) A method of reconfiguring an internet protocol address in handover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s
KR101239714B1 (ko) 기술적으로 다양한 액세스 네트워크들 사이에서 매체 독립적 핸드오버를 구현하기 위한 무선 통신 방법 및 시스템
US7710924B2 (en) Method of supporting media independent handover with resource management func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5090830B2 (ja) 複数のネットワークタイプの互換性を円滑にする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コンポーネント
JP428176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EP1849315B1 (en) Method in a multi-mode mobile terminal for releasing a connection after handover and terminal thereof
EP1911312A1 (en) Means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 handover characteristics of radio access networks
EP1839450A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ext transfer across heterogeneous networks
EP1549089A1 (en) Multi-standard mobile terminal with additional bandwidth allocation
CN101253791B (zh) 在不同种类的网络之间切换时重新配置网际协议地址的方法
KR101073913B1 (ko)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지원 방법 및 그 이동단말
KR101084137B1 (ko) 멀티모드 이동단말의 핸드오버 지원 방법
CN101257701A (zh) 异构网络切换中链路操作的方法及装置
KR20060125337A (ko) Proxy MIP 기능을 지원하는 통신 시스템으로의MIP 등록 방법
KR20080049302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종망간 핸드오버를 위한 장치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41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4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41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2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