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91535B1 -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소자 - Google Patents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535B1
KR101091535B1 KR20090041998A KR20090041998A KR101091535B1 KR 101091535 B1 KR101091535 B1 KR 101091535B1 KR 20090041998 A KR20090041998 A KR 20090041998A KR 20090041998 A KR20090041998 A KR 20090041998A KR 101091535 B1 KR101091535 B1 KR 101091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meth
pig
ink composition
solv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20090041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9720A (ko
Inventor
김미경
김대현
김현식
하덕식
최동창
김한수
유민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090119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53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09D11/101Inks specially adapted for printing processes involving curing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e.g. with UV-curing following the prin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02Printing inks
    • C09D11/10Printing inks based on artificial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30Inkjet printing inks
    • C09D11/36Inkjet printing inks based on non-aqueous solv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 바인더 폴리머 b)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 c) 열개시제 또는 광개시제 d) Ⅰ) 비등점이 180 ℃ 이상인 용매, Ⅱ) 수산기를 가지는 용매 및 Ⅲ) 비등점이 180 ℃ 미만인 용매 및 e) 안료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잉크젯 방법에 이용 시 우수한 미세안료 분산에 따른 콘트라스트 비 향상 및 휘발성 저하로 인한 초기 제팅(Jetting)성 향상을 이룰 수 있다.
잉크 조성물, 수산기, 용매

Description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소자{INK COMPOSITION, COLOR FILTER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세안료 분산에 따른 콘트라스트 비 향상과 휘발성 저하로 인한 초기 제팅성 향상을 이룰 수 있는 잉크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08년 5월 16일에 한국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08-0045723호의 출원일의 이익을 주장하며, 그 내용 전부는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일반적인 액정 디스플레이는 백라이트에서 나온 빛이 하부 편광판을 통과하면서 편광되고, 상기 편광된 빛이 액정층과 컬러필터층 그리고 다시 상부 편광판을 통하여 나오는 과정에서 액정에 의해 투과율이 조절되어 영상을 구현하는 장치이다. 액정 디스플레이에서 좋은 화질을 얻기 위해서는 편광판에서 편광된 빛의 편광특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컬러필터 층에 함유된 안료 입자의 크기가 클 경우, 복합 산란(multiple scattering)으로 인해 편광된 빛이 흩어지게 되어(depolarization) 액정 디스플레이의 콘트라스트를 저하시킨다. 따라서 컬러필터 제작에 사용되는 안료 입자의 크기를 작게하는 것이 고화질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이다. 그러나 안료의 크기가 작아지면, 표면적이 증가하여 분산이 어려워진다.
당업계에서는 일반적으로 미세 안료의 분산에 PGMEA (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EEP(ethyl ethoxy propionate), MPA(methoxy propanol), BPA(butoxy propanol) 등의 용매를 많이 사용한다. 그러나 상기의 용매는 비등점이 180 ℃ 이하로 낮고, 휘발성이 비교적 커서 잉크젯 공정에 바로 사용할 경우 초기 제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초기 제팅성이란, 잉크젯 헤드를 수초~수분 동안 휴지한 후 다시 잉크를 제팅할 때 잉크의 제팅성(또는 토출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초기 제팅성이 우수하다는 것은 헤드를 수초~수분 동안 휴지한 후에도 잉크 드롭(drop)의 위치 불안, 토출 불안, 미토출 등이 없이 안정하게 토출되는 것을 의미한다. 잉크젯 공정으로 컬러필터를 양산할 때 유리(glass) 기판의 교환이나 얼라인(align) 등의 이유로 헤드를 수초~수분 휴지 후 다시 제팅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초기 제팅성이 불안하면, 앞쪽의 픽셀에 잉크가 채워지지 않거나 다른 곳에 잉크가 떨어져서 혼색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기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초기 제팅성이 안정한 잉크를 사용해야 한다.
초기 제팅성 문제는 잉크의 휘발성이 크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잉크를 제팅(또는 토출)하다 이를 멈추게 되면, 노즐 끝부분에서 잉크의 용매 성분이 휘발하게 되고, 이로 인해 국부적으로 점도 증가가 일어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이전의 조건과 동일하게 제팅을 하게 되면, 잉크가 수mm 구간 정도 토출되지 않거나, 토출 위치 불안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현상은 토출 시간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면 사라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잉크의 휘발성을 줄여야 한다.
일본 특개평 11-202114호 공보에는 휘발성을 줄이기 위해 습윤제로서 글리세린(glycerin), 디에틸렌글리콜(diethyleneglycol) 또는 에틸렌 글리콜(ethylene glycol) 중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컬러필터용 잉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습윤제를 사용할 경우, 완전 건조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고 안료의 분산 안정성 문제로 그 사용이 제한적이다.
이에 본 발명은 우수한 미세안료 분산에 따른 콘트라스트 비 향상 및 휘발성 저하로 인한 초기 제팅성 향상을 이룰 수 있는 잉크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a) 바인더 폴리머 b)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 c) 열개시제 또는 광개시제, d) Ⅰ) 비등점이 180 ℃ 이상인 용매, Ⅱ) 수산기를 가지는 용매 및 Ⅲ) 비등점이 180 ℃ 미만인 용매 및 e) 안료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랙 매트릭스에 의하여 형성된 차광부 및 상기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잉크층으로 충진된 화소부를 포함하는 컬러필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표시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우수한 미세안료 분산에 따른 콘트라스트 비 향상 및 휘발성 저하로 인한 초기 제팅성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잉크 조성물은 a) 바인더 폴리머 b)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 c) 열개시제 또는 광개시제, d) Ⅰ) 비등점이 180 ℃ 이상인 용매, Ⅱ) 수산기를 가지는 용매 및 Ⅲ) 비등점이 180 ℃ 미만인 용매 및 e) 안료를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바인더 폴리머로는 바인더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모노머(monomer)의 호모 중합체 또는 2종 이상의 모노머를 공중합하여 제조된 공중합체(copolymer)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모노머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스티렌, 클로로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비닐톨루엔,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퍼프릴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클로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메타)아크릴레이트, 아실옥틸옥시-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3-메톡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p-노닐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 릴레이트, p-노닐페녹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플루오로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브로모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 α-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α-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α-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α-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 N-페닐말레이미드, N-(4-클로로페닐)말레이미드, 메타 아크릴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a) 바인더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 내지 50,0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 미만인 경우 제조된 컬러 필터 잉크막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50,000을 초과하는 경우 잉크의 점도가 높아져 제팅성이 나빠지거나, 불가능해질 수 있다.
상기 a) 바인더 폴리머의 함량은 잉크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1 내지 20 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 폴리머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원하는 막강도를 얻을 수 없으며, 내화학성(또는 내약품성)이 현저히 나빠질 수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잉크 조성물의 점도가 높아져 제팅 특성이 현저히 나빠지며, 원하는 컬러를 얻을 수 없다.
상기 b)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은, 분자 중에 적어도 1개 이상의 부가중합 가능한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b)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롤프로판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b)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은 잉크 조성물 총중량 대해 1 내지 20 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불충분한 가교결합으로 인해 내화학성 및 막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다른 잉크 조성물의 양이 줄어들어 컬러 필터 막의 컬러 및 퍼짐성, 접착성 등의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c) 열개시제의 구체적인 예로,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시아노-2-프로필아조포름아미드,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V-40, VA-086, VA-085, VF096, Vam-110, Vam-111(이상 Wako pure chemicals ind.), 벤조일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및 1,1'-비스-(비스-t-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2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c) 광개시제의 구체적인 예로,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1-(4-이소프로필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벤조인메틸 에테르, 벤조인에틸 에테르, 벤조인이소부틸 에테르, 벤조인부틸 에테르,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메틸-(4-메틸티오)페닐-2-몰폴리노-1-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몰폴리노페닐)-부탄-1-온, 또는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몰폴리노프로판-1-온 등의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 바이이미다졸, 2,2'-비스(o-클로로페닐)-4,4',5,5'-테트라키스(3,4,5-트리메톡시페닐)-1,2'-바이이미다졸, 2,2'-비스(2,3-디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 바이이미다졸, 또는 2,2'-비스(o-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바이이미다졸 등의 바이이미다졸계 화합물; 3-{4-[2,4-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6-일]페닐티오}프로피오닉 산, 1,1,1,3,3,3-헥사플로로이소프로필-3-{4-[2,4-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6-일]페닐티오}프로피오네이트, 에틸-2-{4-[2,4-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6-일]페닐티오}아세테이트, 2-에폭시에틸-2-{4-[2,4-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6-일]페닐티오}아세테이트, 시클로헥실-2-{4-[2,4-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6-일]페닐티오}아세테이트, 벤질-2-{4-[2,4-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6-일]페닐티오}아세테이트, 3-{클로로-4-[2,4-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6-일]페닐티오}프로피오닉 산, 3-{4-[2,4-비스(트리클로로메틸)-s-트리아진-6-일]페닐티오}프로피온아미드,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p-메톡시스티릴-s-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 (1-p-디메틸아미노페닐)-1,3,-부타디에닐-s-트리아진, 또는 2-트리클로로메틸-4-아미노-6-p-메톡시스티릴-s-트리아진 등의 트리아진계 화합물; 및 일본 시바사의 CGI-242, CGI-124 등의 옥심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c) 열개시제 또는 광개시제는 잉크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1 내지 5 중량%가 바람직하다. 상기 열개시제 또는 광개시제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충분한 라디칼이 생성되지 않아 컬러 잉크막의 경화도가 감소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막강도와 내화학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함량이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과량의 개시제로 인해 점도 증가 및 흄(fume)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용매로서 상기 d) Ⅰ) 비등점이 180 ℃ 이상인 용매, Ⅱ) 수산기를 가지는 용매 및 Ⅲ) 비등점이 180 ℃ 미만인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잉크젯 방법에 이용시 미세안료 분산에 따른 콘트라스트 비 향상과 휘발성 저하로 인한 초기 제팅성 향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Ⅰ) 비등점이 180 ℃ 이상인 용매는 주용매로서 노즐 끝부가 건조되는 것을 방지하여 잉크 제팅(토출)이 잘되도록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I) 비등점이 180 ℃ 이상인 용매로는 수산기를 가지지 않고, 180 ℃ 내지 300 ℃의 비등점을 가지며, 동시에 상온에서의 증기압이 0.5 mmHg 이하인 용매가 바람직하다. 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acetate),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di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acetate),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 르 아세테이트(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acetate), 디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 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Ⅰ) 비등점이 180 ℃ 이상인 용매는 전체 용매 총중량에 대해 50 내지 9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등점이 180 ℃ 이상인 용매의 함량이 50 중량% 미만일 경우, 잉크의 휘발성이 커서 제팅성(토출성)이 문제가 될 수 있고, 9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점도가 높아져서 오히려 제팅 특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안료의 분산성이 좋지 않아 잉크의 안정성 및 콘트라스트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Ⅱ) 수산기를 가지는 용매는 Ⅲ) 비등점이 180 ℃ 미만인 용매의 휘발성을 낮게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하며, 용매의 비점과 상관없이 수산기를 가지는 용매라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알코올류, 페놀류, 글리콜 에테르류를 들 수 있으며, 글리콜 에테르류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구제척인 예로는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메톡시 프로판올, 에톡시 프로판올, 부톡시 프로판올, i-프로필 알코올 또는 벤질 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페놀, 2-프로필 페놀, 2-이소프로필 페놀, 2-sec-부틸 페놀, 2-tert-부틸 페놀, 2-페닐페놀, 2-시클로헥실 페놀, 2-노닐페놀, 2-나프틸 페놀, 4-프로필 페놀, 4-시클로헥실 페놀, 4-나프틸 페놀, 4-도데실 페놀 또는 4-옥타데실 페놀 등의 페놀류; 및 에틸렌 글리콜 모노페닐 에테르(ethylene glycol monophenyl ether), 에틸렌 글리콜 모노헥실 에테르(ethylene glycol monohexyl ether), 에틸렌 글리콜 2-에틸헥실 에테르(ethylene glycol 2-ethylhexyl ether),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d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d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프로필 에테르 (diethylene glycol monopropyl ether),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di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헥실 에테르(diethylene glycol monohexyl ether),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tr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tri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triethylene glycol monobutyl ether), 트리에틸렌 글리콜모노프로필 에테르(triethylene glycol monopropyl ether), 디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또는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등의 글리콜 에테르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Ⅱ) 수산기를 가지는 용매는 전체 용매 총중량에 대해 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고, 상기 Ⅱ) 비등점이 180 ℃ 미만인 용매보다 높은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산기를 가지는 용매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일 경우, 휘발성 저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잉크의 고점도화로 제팅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산기를 가지는 용매가 Ⅲ) 비등점이 180 ℃ 미만인 용매보다 낮은 함량으로 포함될 경우 수산기를 가지는 용매에 의한 휘발 성 저하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을 수 있고, 잉크를 장시간 토출할 때 제팅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Ⅲ) 비등점이 180 ℃ 미만인 용매는 미세 안료 성분의 분산을 용이하게 하고, 잉크의 점도를 적절하게 낮추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180 ℃ 미만의 비등점을 갖는 용매이다. 이의 비제한적인 예로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ethyl ether acetate),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cetate), 에틸렌 글리콜 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ethylene glycol ethyl ether acetate),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ropylene glycol monobutyl ether acetate), 에틸 이소부틸 에테르(ethyl iso-butyl ether), 에틸 에톡시 프로피오네이트(ethyl ethoxy propionate), 부틸 아세테이트(butyl acetate), 사이클로 헥사논(cyclohexanone), 디메틸 케톤(dimethyl ketone), 메틸 부틸 케톤 (methyl butyl ketone) 및 메틸 헥실 케톤(methyl hexyl ket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Ⅲ) 비등점이 180 ℃ 미만인 용매는 전체 용매 총중량에 대해 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등점이 180 ℃ 미만인 용매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일 경우, 미세 안료가 안정하게 분산되지 않을 수 있고,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잉크의 휘발성이 증가하여 초기 제팅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상기 Ⅰ), Ⅱ) 및 Ⅲ)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용매는 잉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65 내지 8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의 함량이 65 중량% 미만일 경우 잉크의 점도가 높아질 수 있고, 85 중량%를 초과할 경우 잉크의 고형분 함량이 낮아져 동일한 두께를 내기 위해서는 픽셀에 채워야 할 잉크 방울의 수가 더 커지게 될 수 있다.
상기 e) 안료는 분산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범용의 안료를 사용하여도 무방하지만, 미세 가공된 입자의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료 입자 입도는 주로 0.3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0.2 ㎛ 이하의 안료 입자가 90% 이상 분포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안료의 크기가 0.3 ㎛보다 큰 경우 빛의 투과가 원만하지 못해 제조된 컬러필터의 투과성이 불량해질 수 있으며, 높은 콘트라스트 비를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의 잉크 조성물에서 색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레드 안료로는 나프톨계 레드 안료인 Pig.Red #1, Pig.Red #2, Pig.Red #3, Pig.Red #4, Pig.Red #5, Pig.Red #6, Pig.Red #7, Pig.Red #8, Pig.Red #9, Pig.Red #10, Pig.Red #11, Pig.Red #12, Pig.Red #13, Pig.Red #14, Pig.Red #15, Pig.Red #16, Pig.Red #17, Pig.Red #18, Pig.Red #21, Pig.Red #22, Pig.Red #23, Pig.Red #31, Pig.Red #32, Pig.Red #95, Pig.Red #112, Pig.Red #114, Pig.Red #119, Pig.Red #146, Pig.Red #147, Pig.Red #148, Pig.Red #150, Pig.Red #151, Pig.Red #184, Pig.Red #187, Pig.Red #188, Pig.Red #210, Pig.Red #245, Pig.Red #253, Pig.Red #258, Pig.Red #261; 나프톨계와 금속 복합체인 Pig.Red #49, Pig.Red #49:1, Pig.Red #49:2, Pig.Red #49:3, Pig.Red #50:1, Pig.Red #51:1, Pig.Red #53, Pig.Red #53:1, Pig.Red #68, Pig.Red #243, Pig.Red #247; 디스아조피라졸론계인 Pig.Red #37, Pig.Red #38, Pig.Red #41; 디스아조계 축합물인 Pig.Red #144, Pig.Red #166, Pig.Red #220, Pig.Red #221, Pig.Red #242; 2-히드록시-3-나프토익산계 금속 복합체인 Pig.Red #48:1, Pig.Red #48:2, Pig.Red #48:3, Pig.Red #48:4, Pig.Red #48:5, Pig.Red #52:1, Pig.Red #52:2, Pig.Red #57:1, Pig.Red #58:2, Pig.Red #58:4, Pig.Red #63:1, Pig.Red #63:2, Pig.Red #64, Pig.Red #64:1, Pig.Red #200; 나프탈렌술폰산 금속 복합체인 Pig.Red #60:1, Pig.Red #66, Pig.Red #67; 트리아릴카보늄계인 Pig.Red #81:1, Pig.Red #81:3, Pig.Red #169; 안트라퀴논계인 Pig.Red #89, Pig.Red #177; 시오인디고계인 Pig.Red #88, Pig.Red #181; 퀴나크리돈계인 Pig.Red #122, Pig.Red #207, Pig.Red #209; 페릴렌계인 Pig.Red #123, Pig.Red #149, Pig.Red #178, Pig.Red #179, Pig.Red #190, Pig.Red #194, Pig.Red #224; 밴즈이미다졸론계인 Pig.Red #171, Pig.Red #175, Pig.Red #176, Pig.Red #185, Pig.Red #208; 피란스론계인 Pig.Red #216; 디케토피롤로피롤계인 Pig.Red #254; 이소인돌린계인 Pig.Red #260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이올렛 안료로는 트리아릴카보늄계인 Pig.Violet#1, Pig.Violet#2, Pig.Violet#3, Pig.Violet#27, Pig.Violet#39; 안트라퀴논계인 Pig.Violet#5:1; 나프톨계인 Pig.Violet#25, Pig.Violet#50; 퀴나크리돈계인 Pig.Violet#19; 디옥사진계인 Pig.Violet#23, Pig.Violet#37; 페릴렌계인 Pig.Violet#29; 벤즈이미다졸론계인 Pig.Violet#32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블루 안료로는 트리아릴카보늄계인 Pig.Blue#1, Pig.Blue#2, Pig.Blue#9, Pig.Blue#10, Pig.Blue#14, Pig.Blue#18, Pig.Blue#19, Pig.Blue#56, Pig.Blue#62; Cu 프탈로시아닌계인 Pig.Blue#15, Pig.Blue#15:1, Pig.Blue#15:3, Pig.Blue#15:4, Pig.Blue#15:6 ; 메탈프리 프탈로시아닌계인 Pig.Blue#16; 인단스론계인 Pig.Blue#60, Pig.Blue#64; 인디고계인 Pig.Blue#66, Pig.Blue#63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린 안료로는 트리아릴카보늄계인 Pig.Green#1, Pig.Green#2, Pig.Green#4; Cu 프탈로시아닌계인 Pig.Green#7, Pig.Green#36; 메탈 복합체인 Pig.Green#8, Pig.Green#10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옐로우 안료로는 모노아조계인 Pig.Yellow#1, Pig.Yellow#2, Pig.Yellow#3, Pig.Yellow#5, Pig.Yellow#6, Pig.Yellow#10, Pig.Yellow#49, Pig.Yellow#65, Pig.Yellow#73, Pig.Yellow#74, Pig.Yellow#75, Pig.Yellow#97, Pig.Yellow#98, Pig.Yellow#111, Pig.Yellow#116, Pig.Yellow#167; 모노아조계 금속 복합체인 Pig.Yellow#61, Pig.Yellow#62:1, Pig.Yellow#100, Pig.Yellow#168, Pig.Yellow#169, Pig.Yellow#183; 비스아세토아세트아릴라이드계인 Pig.Yellow#16; 디아릴라이드계인 Pig.Yellow#12, Pig.Yellow#13, Pig.Yellow#14, Pig.Yellow#17, Pig.Yellow#55, Pig.Yellow#63, Pig.Yellow#81, Pig.Yellow#83, Pig.Yellow#87, Pig.Yellow#113, Pig.Yellow#114, Pig.Yellow#124, Pig.Yellow#126, Pig.Yellow#127, Pig.Yellow#152, Pig.Yellow#170, Pig.Yellow#171, Pig.Yellow#172, Pig.Yellow#174; 플라반스론계인 Pig.Yellow#24; 디아조계 축합물 인 Pig.Yellow#93, Pig.Yellow#94, Pig.Yellow#95, Pig.Yellow#128, Pig.Yellow#166; 안트라퀴논계인 Pig.Yellow#123, Pig.Yellow#147; 알다진계인 Pig.Yellow#101; 나프탈렌 술폰산 금속 복합체인 Pig.Yellow#104; 안트라피리미딘계인 Pig.Yellow#108; 이소인돌리논계인 Pig.Yellow#109, Pig.Yellow#110, Pig.Yellow#139, Pig.Yellow#185; 벤즈이미다졸론계인 Pig.Yellow#123, Pig.Yellow#154, Pig.Yellow#175, Pig.Yellow#180, Pig.Yellow#181; 퀴노프탈론계인 Pig.Yellow#138; 금속복합체인 Pig.Yellow#117, Pig.Yellow#129, Pig.Yellow#150, Pig.Yellow#153, Pig.Yellow#177, Pig.Yellow#179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밖에 오렌지 안료로는 모노아조계인 Pig.Orange#1, Pig.Orange#6; 나프톨계인 Pig.Orange#2, Pig.Orange#5, Pig.Orange#22, Pig.Orange#24, Pig.Orange#38; 나프톨 금속 복합체인 Pig.Orange#17, Pig.Orange#17:1, Pig.Orange#46; 디스아조피라졸론계인 Pig.Orange#13, Pig.Orange#34; 디아릴라이드계인 Pig.Orange#15, Pig.Orange#16; 나프탈렌술폰산 금속 복합체인 Pig.Orange#19; 디스아조계 축합물인 Pig.Orange#31; 벤즈이미다졸론계인 Pig.Orange#36, Pig.Orange#60; 피란스론계인 Pig.Orange#40; 페리논계인 Pig.Orange#43; 퀴나크리돈계인 Pig.Orange#48; 이소인돌린계인 Pig.Orange#61, Pig.Orange#66 또는 Pig.Orange#69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잉크 조성물에서 색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는 안료는 요구되는 색 특성에 따라 전체 잉크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5 내지 30 중량%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잉크 조성물에 사용되는 착색제의 함량이 적절치 않을 경우, 컬러필터 제조시 원하는 화질의 제품을 얻을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잉크 조성물은 분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안료를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분산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양이온계, 음이온계, 비이온계, 양성 실리콘계, 불소계 등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거나, 고분자 계면활성제 (고분자 분산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이민계, 우레탄 수지계, 아크릴 수지계, 폴리 에스테르계의 고분자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잉크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2 내지 15 중량%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상기 분산제 이외에도 경화촉진제, 열 중합 억제제, 가소제, 접착 촉진제, 충전제, 소포제, 분산 조력제, 응집 방지제 및 계면활성제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상기 잉크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01 내지 3 중량%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블랙 매트릭스 패턴에 의하여 형성된 차광부 및 본 발명의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잉크층으로 충진된 화소부를 포함하는 컬러필터를 제공한다.
상기 컬러필터는 기판 상에 당업계에 알려져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블랙 매트릭스 패턴을 형성한 후 경화시킴으로써 기판 상에 블랙 매트릭스에 의해 형성된 차광부 및 상기 블랙 매트릭스에 의행 구획된 화소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블랙 매트릭스에 의해 구획된 화소부에 본 발명의 잉크 조성물을 잉크젯 방법을 이용하여 충진하는 단계: 및 상기 충진된 잉크 조성물을 경화하는 단계에 의해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기판으로는 재료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유리 기판, 플라스틱 기판 또는 기타 플렉시블 기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내열성이 강한 투명 유리 기판이 바람직하다.
상기 잉크젯 방법은 잉크노즐을 이용하여 상기 블랙 매트릭스에 의해 구획된 화소부에 방울형태의 잉크를 비접촉 방식으로 토출하는 방법이다.
상기 충진된 잉크 조성물은 열개시제를 사용한 경우 50~120 ℃에서 프리베이크(pre-bake)를 한 후 180~240 ℃에서 포스트베이크(post-bake)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경화의 온도가 180 ℃ 미만이면 용매의 증발 및 열경화가 불충분하여 막의 강도 및 화학 내성이 떨어질 수 있고, 240 ℃를 초과하면 과도한 화소부의 체적 수축으로 인하여 기판과의 밀착성 및 정밀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형성된 막이 열에 의해 손상될 수도 있다.
또한, 충진된 잉크 조성물의 경화는 광개시제를 사용한 경우 40 내지 300 mJ/cm2의 노광량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노광량이 40 mJ/cm2 미만이면 광경화가 불충분하여 막의 강도 및 화학 내성이 떨어질 수 있고, 300 mJ/cm2 를 초과하면 노광 공정에 걸리는 시간이 길어져 택타임 등이 문제가 될 수 있다. 상기 노광 공정 후 형성된 잉크막을 180 내지 230 ℃ 오븐에 넣어 추가로 경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표시소자를 제공한다. 상기 표시소자는 액정표시소자일 수 있다. 상기 액정표시소자의 일예로, 광원, 편광판, TFT-어레이 기판, 화소전극, 액정셀, 공통전극, 컬러필터 및 편광판 등이 순서대로 적층된 구조를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들 수 있으나, 이 구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당기술 분야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합성예: 아크릴 공중합체 제조
반응 용기에 열개시제로서 V65 1.6 중량부를 용매에 녹인 후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메타아크릴산을 68/32의 몰비로 투입한 후 질소 분위기에서 65 ℃를 유지하며 7.5시간 반응시켰다. 상기에서 얻은 공중합체 용액을 교반기가 부착된 플라스크에 투입하고,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를 가한 다음, 추가로 110 ℃에서 6시간 동안 반응시켜 아크릴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잉크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레드 안료인 R254 5.8 중량부, Y150 1.1 중량부, 안료 분산제 4.3 중량부, 상기 합성예에서 제조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3.4 중 량부, 중합성 단량체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6.9 중량부, 열개시제로 V-40 (1,1'-Azobis(cyclohexane-1-carbonitrile) 0.5 중량부, 용매로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BCA) 53.3 중량부,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BC) 23.4 중량부,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PGMEA), 부톡시 프로판올(Butoxy propanol)을 포함하는 기타 용매 1.3 중량부를 3시간 동안 혼합하여 적색의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6
하기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구성과 함량으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안료 R254 5.8 5.8 5.5 -
Y150 1.1 1.1 1.4 -
B 15:6 - - - 5.5
분산제 분산제 4.3 4.3 4.3 4.4
바인더 아크릴
공중합체
3.4 3.4 3.4 4.4
중합성 단량체 DPHA 6.9 6.9 6.9 13.1
열개시제 V-40 0.5 0.5 0.5 0.5
용매 BCA 53.3 53.3 - 47.9
ECA - - 49.6 -
BC 23.4 - 23.4 20.7
EC - 23.4 - -
PGMEA를 포함하는 기타 용매 1.3 1.3 5.0 3.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안료 R254 5.6 5.6 5.8 5.5 - 5.6
Y150 0.9 0.9 1.1 1.4 - 0.9
B 15:6 - - - - 5.5 -
분산제 분산제 4.7 4.7 4.3 4.3 4.4 4.7
바인더 아크릴
공중합체
3.8 3.8 3.4 3.4 4.4 3.8
중합성
단량체
DPHA 7.5 7.5 6.9 6.9 13.1 7.5
열개시제 V-40 0.5 0.5 0.5 0.5 0.5 0.5
용매 BCA 58.6 77.0 76.7 68.6 53.6
ECA - - 73.0 -
BC - - - - - 23.4
EC - - - - - -
PGMEA를 포함하는 기타 용매 18.4 - 1.3 5.0 3.5 -
상기 비교예 2 및 비교예 6에서 제조된 잉크 조성물은 분산 안정성이 좋지 않아 고점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잉크젯용 잉크로 사용할 수 없었다.
실험예
콘트라스트비 특성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상, 하부에 편광판이 부착된 컬러필터를 제조하였다. 상기 상부에 부착된 편광판을 회전시켜 하부 편광판과 수직/수평 시 휘도값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콘트라스트비를 나타내었다.
콘트라스트 비 콘트라스트 비
실시예 1 2789 비교예 1 2834
실시예 2 2767 -
상기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조성물은 비등점이 낮은 용매의 함량이 적음에도 불구하고, 종래기술과 동등한 수준의 콘트라스트 비를 나타내었다.
초기 제팅성
초기 제팅성 평가 방법
잉크젯 헤드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 및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6에서 제조한 잉크 조성물을 주입한 후, 액적간 피치(pitch)를 40로 하여 같은 패턴을 2회 실시하였다. 이때 첫 번째 패턴은 세정(purge), 와이핑(wiping)을 거친 후 6분의 대기 시간을 두고 제팅하였다. 이후 두 번째 패턴은 약 수초 이내로 첫 번째 패턴의 아래쪽에 제팅하였다. 상기 두 번째 패턴은 대기 시간이 수초 이내로 짧기 때문에 정상 토출되므로 이를 기준으로 초기 제팅이 불안한 구간 길이를 계산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초기 jetting성 평가 결과
(6분 휴지 후 jetting시)
초기 jetting성 평가 결과
(6분 휴지 후 jetting시)
실시예 1 초기 jetting 불안 구간 없음 비교예 1 10 ㎜ 이상 초기 jetting 불안 구간 발생
실시예 2 초기 jetting 불안 구간 없음 비교예 2 -
실시예 3 초기 jetting 불안 구간 없음 비교예 3 400 ㎛
초기 jetting 불안 구간 발생
실시예 4 초기 jetting 불안 구간 없음 비교예 4 1000 ㎛
초기 jetting 불안 구간 발생
비교예 5 200 ㎛
초기 jetting 불안 구간 발생
비교예 6 -

Claims (20)

  1. a) 바인더 폴리머;
    b)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
    c) 열개시제 또는 광개시제;
    d) Ⅰ)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 에테르 아세테이트 및 디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비등점이 180 ℃ 이상인 용매, Ⅱ)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메톡시 프로판올, 에톡시 프로판올, 부톡시 프로판올, i-프로필 알코올, 벤질 알코올, 페놀, 2-프로필 페놀, 2-이소프로필 페놀, 2-sec-부틸 페놀, 2-tert-부틸 페놀, 2-페닐페놀, 2-시클로헥실 페놀, 2-노닐페놀, 2-나프틸 페놀, 4-프로필 페놀, 4-시클로헥실 페놀, 4-나프틸 페놀, 4-도데실 페놀, 4-옥타데실 페놀, 에틸렌 글리콜 모노페닐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모노헥실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2-에틸헥실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프로필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헥실 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트리에틸렌 글리콜 모노프로필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및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수산기를 가지는 용매, 및 Ⅲ)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에틸 이소부틸 에테르, 에틸 에톡시 프로피오네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사이클로 헥사논, 디메틸 케톤, 메틸 부틸 케톤 및 메틸 헥실 케톤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비등점이 180 ℃ 미만인 용매; 및
    e) 안료를 포함하는 잉크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바인더 폴리머는 스티렌, 클로로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비닐톨루엔,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메타) 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퍼프릴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클로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아미노(메타)아크릴레이트, 아실옥틸옥시-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3-메톡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프로필 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p-노닐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p-노닐페녹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플루오로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브로모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 α-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α-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α-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 부틸 α-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 N-페닐말레이미드, N-(4-클로로페닐)말레이미드, 메타 아크릴산, 말레인산, 및 이타콘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중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바인더 폴리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1,000 내지 5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 바인더 폴리머는 잉크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은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3-부탄디올디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트리메 틸롤트리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롤프로판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은 잉크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1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열개시제는,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시아노-2-프로필아조포름아미드,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르보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V-40, VA-086, VA-085, VF096, Vam-110, Vam-111(이상 Wako pure chemicals ind.), 벤조일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피발레이트 및 1,1'-비스-(비스-t-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광개시제는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바이이미다졸 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및 옥심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 열개시제 또는 광개시제는 잉크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Ⅲ) 비등점이 180 ℃ 미만인 용매는 전체 용매 총중량에 대해 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12. 삭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Ⅱ) 수산기를 가지는 용매는 전체 용매 총중량에 대해 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14. 삭제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Ⅰ) 비등점이 180 ℃ 이상인 용매는 전체 용매 총중량에 대해 50 내지 9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Ⅰ), Ⅱ) 및 Ⅲ)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용매는 잉크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65 내지 8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잉크 조성물은 분산제, 경화촉진제, 열 중합 억제제, 가소제, 접착 촉진제, 충전제, 소포제, 분산조력제, 응집방지제 및 계면활성제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조성물.
  18. 기판 상에 블랙 매트릭스에 의해 형성된 차광부 및 상기 블랙 매트릭스에 의해 구획된 화소부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블랙 매트릭스에 의해 구획된 화소부에 청구항 1 내지 9, 11, 13 및 15 내지 17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잉크 조성물을 잉크젯 방법을 이용하여 충진하는 단계; 및 상기 충진된 잉크 조성물을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컬러필터의 제조방법.
  19. 블랙 매트릭스에 의하여 형성된 차광부 및 청구항 1 내지 9, 11, 13 및 15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의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잉크층으로 충진된 화소부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20. 청구항 19의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표시소자.
KR20090041998A 2008-05-16 2009-05-14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소자 Active KR1010915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5723 2008-05-16
KR20080045723 2008-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720A KR20090119720A (ko) 2009-11-19
KR101091535B1 true KR101091535B1 (ko) 2011-12-13

Family

ID=41315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0041998A Active KR101091535B1 (ko) 2008-05-16 2009-05-14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소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284698A1 (ko)
JP (1) JP2009275226A (ko)
KR (1) KR1010915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4859B1 (en) 2015-08-27 2016-11-15 Samsung Sdi Co., Lt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color filter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619B1 (ko) * 2010-03-16 2013-05-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컬러 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
KR101478405B1 (ko) * 2012-06-19 2015-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 경화형 컬러 필터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컬러 필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WO2014030345A1 (ja) * 2012-08-22 2014-02-27 凸版印刷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及びカラーフィルタとその製造方法及びカラー反射型ディスプレイとその製造方法
KR102307244B1 (ko) * 2014-12-02 2021-10-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EP3294815B1 (en) * 2015-05-15 2020-09-02 Sun Chemical Corporation Energy curable inkjet inks and coating compositions
KR102259001B1 (ko) 2019-12-11 2021-06-0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신규 아크릴계 바인더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1071A (ja) 1984-08-16 1986-03-13 Sakura Color Prod Corp オ−バ−ヘツドプロジエクタ−シ−ト筆記具用インキ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417034B (en) * 1993-11-24 2001-01-01 Canon Kk Color filter, method for manufacturing it, and liquid crystal panel
JP3889953B2 (ja) * 2001-10-24 2007-03-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用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該インクと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JP2006002128A (ja) * 2004-05-19 2006-01-05 Mitsubishi Chemicals Corp インクジェット用硬化性樹脂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335175B2 (ja) * 2004-09-15 2013-11-06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インク組成物及び前記インク組成物を含むカラーフィルター
CN1884402B (zh) * 2005-06-24 2010-04-14 虹创科技股份有限公司 滤光片墨水和滤光片制备方法
JP2008050456A (ja) * 2006-08-24 2008-03-06 Mikuni Color Ltd カラーフィルタ用として好適なインクジェット用顔料分散液およびインク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1071A (ja) 1984-08-16 1986-03-13 Sakura Color Prod Corp オ−バ−ヘツドプロジエクタ−シ−ト筆記具用インキ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94859B1 (en) 2015-08-27 2016-11-15 Samsung Sdi Co., Ltd.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and color filter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84698A1 (en) 2009-11-19
KR20090119720A (ko) 2009-11-19
JP2009275226A (ja)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1535B1 (ko)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소자
JP5335175B2 (ja) インク組成物及び前記インク組成物を含むカラーフィルター
KR101261619B1 (ko) 컬러 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
KR100959187B1 (ko) 컬러필터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JP5040565B2 (ja) カラーフィルタ用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及びこの製造方法
CN1749334B (zh) 墨水组合物和包含该组合物的滤色器
TWI428404B (zh) 用於形成透明膜之噴墨組成物及使用其形成之透明膜
US8277698B2 (en) Infrared curable ink composition for color filter and color filter
KR101134488B1 (ko) 잉크젯 공정에 의한 컬러필터 형성방법
KR101066776B1 (ko) 블랙 매트릭스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101023088B1 (ko) 컬러필터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KR101224261B1 (ko) 열경화성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소자
JP5028819B2 (ja)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2010037392A (ja) 着色組成物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
US7524441B2 (en) Color filter composi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color filter having the same
US20100163812A1 (en) Ink composition for color filter
KR101270701B1 (ko) 컬러필터용 안료 염료 혼합형 잉크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컬러필터
KR101319920B1 (ko) 컬러필터용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KR100907092B1 (ko) 컬러필터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용 화소의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
KR101197165B1 (ko) 적외선 소성형 컬러필터용 잉크 조성물 및 컬러필터
KR20110125369A (ko) 잉크젯용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210150992A (ko) 착색 조성물 및 이 착색 조성물을 포함하는 도막 형성용 조성물
JP2013057806A (ja)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2007240818A (ja)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KR20110071906A (ko) 컬러 필터용 잉크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2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