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350B1 -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Procedures and Impression Acquisition Method Using the Implant Coping - Google Patents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Procedures and Impression Acquisition Method Using the Implant Cop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91350B1 KR101091350B1 KR1020090080365A KR20090080365A KR101091350B1 KR 101091350 B1 KR101091350 B1 KR 101091350B1 KR 1020090080365 A KR1020090080365 A KR 1020090080365A KR 20090080365 A KR20090080365 A KR 20090080365A KR 101091350 B1 KR101091350 B1 KR 1010913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pression
- abutment
- coping
- implant
- impression cop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1—Impression means for implants, e.g. impression cop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은 저면에 어버트먼트 장착용 홈을 가지며, 일정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하부와, 상기 하부 보다 큰 직경을 가짐으로써 단차를 발생시켜 인상재와 함께 채득이 용이하도록 형성되고 상면에 적어도 하나의 바이트 편을 갖는 상부 및 상기 어버트먼트 장착용 홈의 내면에 구성하여 상기 임프레션 코핑을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부에 일정 결합력을 가지며 고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수단을 포함하여 한번의 어버트먼트 레벨의 임프레션만으로 인상 채득 전과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환자에게 부담을 덜 주게 되고, 인상 채득 전과정이 좀더 단축되고, 인상 채득전에 정확한 바이트 채득이 가능해지며, 정확한 어버트먼트 인상 채득으로 보철물과 잇몸간의 갭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시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impression co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butment mounting groove on the bottom, and has a lower portion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a diameter larger than the lower portion to generate a step so as to easily acquire with the impression material and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ne or more fastening means including an upper portion having at least one bite piece and an inner surface of the abutment mounting groove to fix the impression cop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butment with a fixed coupling force. Impression at the end of the impression is performed only by the impression-level impression, which puts less burden on the patient, shortens the entire process of the impression acquisition, enables the accurate bite acquisition before the impression is taken, and the accurate abutment impression acquisition allows the prosthesis and gum to be The gap can be prevented beforehand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cedure.
임플란트, 임프레션 코핑, 어버트먼트, 인상 채득, 바이트 편, 볼 플런져 Implants, Impression Coping, Abutments, Impressions, Bites, Ball Plungers
Description
본 발명은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inpression coping)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픽스쳐(fixture) 레벨의 임프레션과, 어버트먼트(abutment) 레벨의 임프레션을 한번에 수행함으로써 환자의 인상 체득에 따른 내원 횟수를 줄이고 부담감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구현되는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및 이를 이용한 인상 채득 방법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procedures, and in particular, by performing a fixture level impression and an abutment level impression at a time, reducing the number of visits due to the patient's impression and reducing the burden.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surgery to be implemented to reduce the number and impression acquisition method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임플란트(implant)란 치조골에 나사모양의 티타늄으로 된 인공치근, 즉 픽스쳐(fixture)를 심은 후 매식된 픽스쳐의 주위에 뼈가 융합되어 단단해지면 그 위에 어버트먼트(abutment)를 결합하고, 여기에 인공치아인 보철물을 만들어 넣게 되는 것으로, 가장 보편적인 치아수복방법인 브릿지와 비교할 때 인접치아나 주위의 연조직 또는 골조직을 손상시키지 않고 오로지 손상된 부분에만 시술이 가능하며, 골조직에 의해 유지되고 지지받게 되므로 계속적으로 골조직에 힘이 가해져 골조직의 흡수속도가 지연되고 저작력도 자연치아와 동등수준으로 회복될 수 있음은 물론 심미적으로도 자연치아와 거의 유사하게 회복할 수 있어 최근에는 임플란트가 치아 수복에 있어 세계적인 추세가 되고 있다.In general, an implant is a screw-titanium artificial tooth root, ie, a fixture, which is implanted in the alveolar bone, and after the bone is fused and hardened around the implanted fixture, the abutment is joined thereon. In this case, the prosthesis, which is an artificial tooth, is made here, and compared to the bridge, which is the most common dental restoration method, the procedure can be performed only on the damaged part without damaging the adjacent teeth or the soft tissue or bone tissue, and is maintained by the bone tissue. As it is supported, the force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bone tissue, which slows the absorption rate of the bone tissue, and the chewing ability can be restored to the same level as that of natural teeth. Is becoming a global trend.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에 있어 시술 대상자의 치아 형태에 따라 보철물을 제작하여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이를 위해 시술 대상자의 치아모양을 인상재로 떠서 정확한 치아모형을 제작하고 이 모형을 가지고 가장 정확한 보철물을 제작하여 실제로 시술하게 되는 것이다. In this implant procedure, it is most important to make and place the prosthesis correctly according to the tooth shape of the subject.For this purpose, the accurate tooth model is produced by floating the tooth shape of the subject as an impression material and the most accurate prosthesis with this model. It will be manufactured and actually performed.
일반적으로, 인상채득은 픽스쳐 상부에 임프레션 코핑을 결합하고 그 위에 유동가능한 인상재를 씌워 떠낸 후, 랩 아날로그를 상기 치아 모형의 인상재상에 식립된 임프레션 코핑에 고정시키고, 이후 여기에 석고를 부어 치아모형을 제작한다. 그후, 제작된 치아 모형에 어버트먼트를 체결하고, 다시 인상재를 이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하기 위한 인상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In general, impression acquisition combines impression copings on top of the fixture and floats a floating impression material thereon, and then secures the lab analog to impression copings placed on the impression material of the tooth model, and then pours plaster thereon To produce. After that, the abutment is fastened to the manufactured tooth model, and the impression process is performed to produce a prosthesis using the impression material again.
상술한 일반적인 임플란트 과정에서 좀더 정확한 구강내의 보철물 장착을 위해서 픽스쳐 레벨에서 임프레션을 수행하며, 차후 어버트먼트 단계에서 역시 임프레션을 수행한다. In the general implant process described above, the impression is performed at the fixture level for more accurate oral prosthesis mounting, and the impression is also performed at the later abutment step.
이러한 두 번에 걸친 임프레션 과정은 환자의 잦은 내원을 요구하게 됨으로써 환자에게 정신적인 부담을 주게 되고, 과정이 복잡하여 비용 또한 상승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종래의 어버트먼트 단계의 인상 채득은 잇몸과 일치하게되는 어버트먼트와 보철물간의 이격이 발생하여 차후 그 사이로 음식물이 남게되고 잇몸이 손상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잇몸에 고정된 픽스쳐에 영향을 주게되는 단점이 있다.This two-time impression process requires frequent visits by the patient, which imposes a mental burden on the patient, and the problem is complicated and the cost increases. Moreover, the impression taking of the conventional abutment stage is caused by the separation between the abutment and the prosthesis that coincides with the gum, leaving food in between and damaging the gum, resulting in an impact on the fixture fixed to the gum. There are disadvantages.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번의 인상 채득 과정으로 임플란트 시술을 수행하여 환자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및 이를 이용한 인상 채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implant implantation in one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surgery and the impression acquisition method using the same implemented to facilitate the patient's convenience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번의 인상 채득 과정에서 정확한 바이트(bite) 채득까지 가능하게 하여 좀더 간편한 시술과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되는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및 이를 이용한 인상 채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surgery and an impression acquisition method using the same, which is implemented to perform a simpler procedure by enabling accurate bite acquisition in one impression acquisition proces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좀더 정밀한 어버트먼트 인상 채득 단계를 수행하여 보철물과 잇몸간의 이격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현되는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및 이를 이용한 인상 채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surgery and an impression acquisition method using the same, which is performed so that a gap between the prosthesis and the gum does not occur by performing a more precise abutment impression acquisition step.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은 저면에 어버트먼트 장착용 홈을 가지며, 일정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하부와, 상기 하부 보다 큰 직경을 가짐으로써 단차를 발생시켜 인상재와 함께 채득이 용이하도록 형성되는 상부 및 상기 어버트먼트 장착용 홈의 내면에 구성 하여 상기 임프레션 코핑을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부에 일정 결합력을 가지며 고정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object, the impression co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butment mounting groove on the bottom, has a lower portion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has a step larger by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lower portion. At least one fastening means that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abutment mounting groove is formed to facilitate the acquisition with the impression material to secure the impression cop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butment with a fixed coupling force. It is characterized by.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구성을 갖는 임프레션 코핑을 이용한 인상 채득 방법이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자의 치조골에 고정된 픽스쳐에 어버트먼트를 체결하는 과정과, 상기 체결된 어버트먼트의 상부에 임프레션 코핑을 체결하는 과정과, 인상재를 도포하여 인상 채득을 수행하고 굳은 인상재와 함께 임프레션 코핑을 분리시키는 과정과, 채득된 인상재의 임프레션 코핑에 랩 아날로그 및 어버트먼트를 재조립하는 과정 및 상기 어버트먼트가 조립된 인상재를 이용하여 석고 모형을 채득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Moreo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taking impressions using impression coping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of fastening the abutment to the fixture fixed to the alveolar bone of the patient,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impression cop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astened abutment, and applying the impression material to perform the impression taking and firm impression material And separating the impression copings, reassembling the wrap analog and abutments to the impression copings of the impression material obtained, and taking a plaster model using the impression material assembled with the abutments. It features.
본 발명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은 한번의 어버트먼트 레벨의 임프레션만으로 인상 채득 전과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환자에게 부담을 덜 주게 되며, 인상 채득 전과정이 좀더 단축되고, 인상 채득전에 정확한 바이트 채득이 가능해진다. 또한, 정확한 어버트먼트 인상 채득으로 보철물과 잇몸간의 갭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시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mpression co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ess burden on the patient because the entire impression taking process is performed only by the impression of one abutment level, the entire process of the impression acquisition is shorter,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correct bite before the impression acquisi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cedure 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gap between the prosthesis and the gum with accurate abutment impression acquisi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버트먼트(10)와 임프레션 코핑(20)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20)이 어버트먼트(10)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로써, 본 발명은 픽스쳐(fixture)(40)에 소정의 스크류(30)에 의해 고정되는 어버트먼트(abutment)(10)와, 상기 어버트먼트(10)의 상부에 고정되는 임프레션 코핑(impression coping)(20)을 포함한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본 발명에 따른 어버트먼트(10)는 가장 직경이 큰 경계단(11)을 중심으로 상부(12)와 하부(16)로 구분된다. 상기 상부(12)는 기존의 어버트먼트의 상부 보다 수직 길이가 짧으며, 그 외주면의 경사도가 완만하다. 예를 들어 이 경사도는 약 15~45도 정도의 기울기를 유지할 수 있다. 역시, 상기 어버트먼트(10)의 경계단(11)은 이보다 더 경사도를 완만하게 하여, 후술될 임프레션 코핑(20)의 체결후 인상 채득 과정에서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The
상기 어버트먼트(10)는 관통구(15)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픽스쳐(40)에 조립된 후 최종적으로 상기 관통구에 스크류(30)를 관통시킨 후 상기 픽스쳐(40)의 개구(42)에 형성된 암나사산과 체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공지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30)는 상기 어버트먼트(10)의 관통구(15)의 내부로 인입되며, 소정의 단차부에 의해 픽스쳐 내부까지 헤드(31)가 체결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The
상기 어버트먼트(10)의 상부(12)의 외주면 적소에는 요홈(13)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바, 이는 후술될 임프레션 코핑(20)의 저부(24)에 형성되는 어버트먼 트 삽입구(25)의 내주면에 설치되는 볼플런져(26)를 수용하는 수단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20)은 대체적으로 직경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역시 상부(21)는 그 하측의 하부(24)와 단이지도록 직경이 좀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면상에는 상기 상부(21) 및 하부(24)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는 도식상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것일 뿐, 공지의 육각, 삼각 등 다각형 모양의 면취부를 외주면으로 가짐으로써 인상 채득시 인상재내에서 상기 임프레션 코핑(20)이 임의로 회전하거나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The impression coping 20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formed in a generally circular shape. Also, the
상기 임프레션 코핑(20)의 하부(24)에는 내측 방향으로 상기 어버트먼트(10)의 상부(12)와 상응한 형상의 홈(25)을 갖는다. 상기 임프레션 코핑(20)은 상기 어버트먼트(10)의 상부(12)에 조립된다. 즉, 상기 임프레션 코핑(20)이 어느 정도의 외압에는 유동되지 않을 정도의 결합력을 갖도록 고정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도, 상기 결합력은 수평 회전 방향으로는 유동되지 않으며,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가압력을 가지면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러한 결합력은 본 발명에 따라 인상 채득 후 굳은 인상재에 잠입된 임프레션 코핑(20)에 어버트먼트(10)를 재체결하고 석고 모형(working model)을 제작할 때 유용하다.The
따라서, 상기 임프레션 코핑(20)의 하부(24)에 형성된 홈(25)의 내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볼 플런져(26)가 돌출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등간격을 가지고 적어도 3개소를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볼 플런져(26)는 상기 임프레션 코핑(20)의 홈(25)의 내면에 삽입된 스프링에 의해 플런저의 일부를 외부로 돌출시키는 구성으로써, 상기 볼 플런져(26)의 단부는 항상 외측으로 가압받는 상태가 된다. 바 람직하게도 상기 볼 플런져(26)의 단부는 곡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어버트먼트(10)의 상부(12) 외면에 형성된 요홈(13)에 원활히 일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볼 플런져(26)는 그 가압 방향이 상기 어버트먼트(10)의 상부(12)의 외면의 경사면과 수직한 방향이 되도록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도, 상기 볼 플런져(26)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이 아닌 장방형으로서,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을 가지며 상, 하 방향으로 곡형을 갖도록 형성한다. 이는 상기 임프레션 코핑(20)이 어버트먼트(10)에 결합된 후 자체 회전을 방지하며, 일정 가압력에 의해 상, 하부 방향으로는 손쉽게 착탈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기인한다.Accordingly, at least one ball plunger 26 protrudes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역시, 상기 볼 플런져(26)의 위치는 최대한 어버트먼트와 최대한 하부에서 결합될 수 있도록 해야 안정성이 배가된다. 이 원리를 이용하여 오버 덴쳐(over dentured)용 어버트먼트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한편, 상기 임프레션 코핑(20)의 상면(22)에는 테두리를 따라 일정 높이를 가지며 중앙으로 향하도록 바이트 편(bite piece)(27)을 형성 또는 설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임프레션 코핑(20)을 상기 어버트먼트(10)에 체결한 후, 인상 채득전에 환자의 정확한 바이트 채득을 함께 유도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바이트 편(27)은 박판 타입으로써 동일 간격 및 등각을 갖도록 2개소 또는 4개로 이상 형성 또는 설치할 수 있다. 역시, 상기 바이트 편(27)은 상기 임프레션 코핑(20)을 제작할 때 같은 재질로 함께 일체로 형성하거나, 레진 계열로 상기 임프레션 코핑(20)의 상면 테두리를 따라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a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 및 어버트먼트의 단면도로서, (a)는 픽스쳐가 환자의 잇몸에 대하여 수직이 아닌 편향되도록 식립되었을 경우, 임프레션 코핑의 원활한 분리와, 원활한 인상 채득을 위하여, 상기 어버트먼트는 상부 일측이 절단되도록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부에 조립되는 임프레션 코핑의 하부 내면의 구성 역시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하여 최대한 면접촉을 유도해야함은 자명한 사실이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mpression coping and abut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smooth separation of the impression coping, when the fixture is implanted to be biased relative to the gums of the patient, smooth pulling For the acquisition, the abutment may be formed so that the upper one side is cut. In this case, it is obvious that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impression coping assemb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abutment must also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upper portion of the abutment to induce maximum surface contact.
(b)는 임프레션 코핑의 다른 실시예로써, 상기 바이트 편은 통상 레진 계열을 이용할 경우 도 2의 형태로 적용되나, 바이트용 인상재를 적용할 경우 이와같은 형상을 적용한다. 즉, 별도의 바이트 편이 존재하지 않으나, 점도가 상대적으로 약한 인상재를 담지하기 위하여 상기 임프레션 코핑의 상면은 오목하게 만곡지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b)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impression coping, and the bite piece is generally applied in the form of FIG. 2 when using a resin series, but when the impression material for bite is applied, such a shape is applied. That is, although there is no separate bite piece, the upper surface of the impression coping may be formed to be curved concave to support the impression material having a relatively weak viscosity.
(c)는 어버트먼트의 다른 실시예로써, 임프레이션용 어버트먼트의 하부구조를 커버 스크류의 크기를 유지하되, 하부 구조의 상단 부분의 1.5mm 는 하부구조 상단 끝부분이 힐링 어버트먼트의 넓이보다 1.5mm 더 넓게 하여 기공과정에서 용이하게 emergency profile(임프레이션용 어버트먼트의 하부 구조의 상단이 치은과 s자 형태)(P부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이는 심미 보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치은에도 좋은 영향을 준다. 이 부분은 나중에 기공과정에서 보철 제작 시 유용하고, 환자에게는 보철물을 심미적으로 장착해 줄 수 있게 한다.(c)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abutment, while maintaining the size of the cover screw in the lower structure of the abutment for impregnation, 1.5mm of the upper end of the lower structure is the healing abutment It is 1.5mm wider than the width of, providing important information to facilitate the formation of an emergency profile (the upper part of the lower structure of the abutment for impingement gingival and s-shape) (part P) during the pore process. This plays an important role in aesthetic prosthetics and also has a good effect on the gingiva. This part is useful later in the process of prosthetic fabrication, allowing the patient to install the prosthesis aesthetically.
한편, 본 발명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어버트먼트를 픽스쳐에 설치할 때 종래의 그것보다 상부가 작기 때문에 손으로 파지하기 힘들다. 이러한 경우, 별도의 어버트먼트 체결용 수단을 이용하여 손쉽게 체결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not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butment is installed in the fixture, it is difficult to grip by hand because the upper portion is small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In this case, it may be easily fastened using a separate abutment fastening means.
상술한 바와 같은 임프레션 코핑을 이용하기 위한 인상 방법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자의 픽스쳐에 어버트먼트를 체결한다.(401) 이는 직접 체결하거나 소정의 스크류를 이용하여 체결할 수 있을 것이다. 그후,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부에 임프레션 코핑을 장착한다. 이때, 상기 임프레션 코핑의 저부 내면은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부 외면에 긴밀히 면접촉하게되며, 상기 임프레션 코핑을 돌려주면 상기 임프레션 코핑의 저부 내면에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볼플런져가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부 외면에 형성된 요홈에 안착되면서 조립이 완료된다.(403) The pulling method for using the impression coping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ure 4, to fasten the abutment to the fixture of the patient. (401) This may be fastened directly or using a predetermined screw. . Thereafter, an impression coping is mounted on top of the abutment. At this time, the bottom inner surface of the impression coping is in intimate surface contact with the top outer surface of the abutment. When the impression coping is turned, at least one ball plunger protruding from the bottom inner surface of the impression coping is the top of the abutment. Assembly is completed while seated in the groov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403)
그후, 인상 채득전에 환자의 정확한 바이트 채득을 하게되며(405), 그후, 인상재를 도포하여 인상 채득을 수행한다.(407) 상기 인상재가 완전히 굳게 되면 인상재를 분리한다. 이때, 상기 인상재내에는 임프레션 코핑이 함께 채득된다. 그후, 임프레션 코핑에 상기 어버트먼트와 랩 아날로그(lab analog)를 스크류로 체결하여 가조립한 후(409) 석고 모형을 제작하게 되는 것이다.(411) 이때 상기 어버트먼트는 정확히 상기 임프레션 코핑과 일치하기 때문에 차후 어버트먼트 레벨의 임프레션이 필요가 없는 것이다.Thereafter, the patient takes the correct bite before the impression is taken (405), and then the impression is applied by applying the impression material. (407) When the impression material is completely hardened, the impression material is separated. At this time, the impression coping is taken together in the impression material. Thereafter, the abutment and the lab analog are screwed to the impression coping and preassembled (409) to produce a plaster model. (411) The abutment exactly coincides with the impression coping.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future abutment level impressions.
분명히, 청구항들의 범위내에 있으면서 이러한 실시예들을 변형할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식들이 있다. 다시 말하면, 이하 청구항들의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는 많은 다른 방식들이 있을 수 있을 것이다.Apparently, there are many different ways to modify these embodiments while remaining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n other words, there may be many other way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픽스쳐에 어버트먼트와 임프레션 코핑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butments and impression copings are coupled to a fix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이 어버트먼트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impression coping is fixed to the abu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과 어버트먼트의 단면도; 및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mpression coping and abutment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프레션 코핑을 이용한 인상 채득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impression taking process using the impression cop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0365A KR101091350B1 (en) | 2009-08-28 | 2009-08-28 |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Procedures and Impression Acquisition Method Using the Implant Cop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0365A KR101091350B1 (en) | 2009-08-28 | 2009-08-28 |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Procedures and Impression Acquisition Method Using the Implant Cop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2876A KR20110022876A (en) | 2011-03-08 |
KR101091350B1 true KR101091350B1 (en) | 2011-12-07 |
Family
ID=4393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80365A KR101091350B1 (en) | 2009-08-28 | 2009-08-28 |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Procedures and Impression Acquisition Method Using the Implant Cop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91350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9833A (en) | 2019-05-10 | 2020-11-18 |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 Dental implant system |
KR20200129839A (en) | 2019-05-10 | 2020-11-18 |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 Dental implant system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43546B1 (en) * | 2011-08-12 | 2015-08-10 | 왕제원 | Abutment capable of accommodating core crowns manufactured at various angles and functioning as a healing abutment having a cap attached thereto |
EP3009100B1 (en) * | 2014-10-13 | 2017-09-13 | Skvirsky Ltd. | Kit and method for forming dental models |
KR102314173B1 (en) * | 2021-04-07 | 2021-10-15 | 권오순 | Dental impression acquisition devic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8935B1 (en) | 2001-10-11 | 2004-04-29 | 주식회사 덴티움 |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operation |
-
2009
- 2009-08-28 KR KR1020090080365A patent/KR101091350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8935B1 (en) | 2001-10-11 | 2004-04-29 | 주식회사 덴티움 |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operatio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129833A (en) | 2019-05-10 | 2020-11-18 |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 Dental implant system |
KR20200129839A (en) | 2019-05-10 | 2020-11-18 |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 Dental implant system |
WO2020230916A1 (en) * | 2019-05-10 | 2020-11-19 |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 Dental implant system |
WO2020230917A1 (en) * | 2019-05-10 | 2020-11-19 |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 Dental implant system |
KR102323729B1 (en) * | 2019-05-10 | 2021-11-09 |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 Dental implant system |
KR102323728B1 (en) * | 2019-05-10 | 2021-11-09 | 주식회사 네오바이오텍 | Dental implant syst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2876A (en) | 2011-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531569B2 (en) | Dental implant system | |
KR101966407B1 (en) | Abutment assembly | |
US20100323325A1 (en) | Method and system for fixing removable dentures | |
KR101296741B1 (en) | Healing abutment | |
KR101943437B1 (en) | Abutment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 |
KR101535294B1 (en) | Digital healing abutment | |
KR101172838B1 (en) | Multi abutment device | |
US20160045290A1 (en) | Dental implant system comprising means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superstructures and methods of forming and installing | |
US10806548B2 (en) | Methods and devices for countering gingival effects in dental restoration | |
KR101091350B1 (en) | Impression Coping for Implant Procedures and Impression Acquisition Method Using the Implant Coping | |
KR101524192B1 (en) | Cervical Shape Abutment for Dental Implant | |
KR20210076401A (en) | Abutments to prevent rotation of implant crowns | |
KR101611520B1 (en) | A personalized anterior teeth implant | |
JP6432911B2 (en) | Single or multi-part implant system having a mounting element with one or more outer annulus | |
KR101571759B1 (en) | Dental Implant Apparatus | |
KR20150086699A (en) | Multiple Abutment | |
KR101423051B1 (en) | Healing cap for implant and implant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 |
KR101296740B1 (en) | Non-submerged typed abutment for implant | |
CN102784009A (en) | Artificial tooth structure that can promote osseointegration | |
WO2007145454A1 (en) | Healing abutment and implant having the same | |
KR20210071682A (en) | Abutment assembl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 |
KR101886901B1 (en) | Gum shaping cap and gum shaping cap kit | |
JP5781709B2 (en) | Gingival shaping cap and gingival shaping cap kit | |
KR102681736B1 (en) | dental abutment assembly | |
KR20150134581A (en) | Customized implant abutment of dual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9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1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