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91283B1 - 자세교정용 의자 - Google Patents

자세교정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283B1
KR101091283B1 KR1020090055533A KR20090055533A KR101091283B1 KR 101091283 B1 KR101091283 B1 KR 101091283B1 KR 1020090055533 A KR1020090055533 A KR 1020090055533A KR 20090055533 A KR20090055533 A KR 20090055533A KR 101091283 B1 KR101091283 B1 KR 101091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at
rest
heigh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7221A (ko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이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호 filed Critical 이상호
Priority to KR1020090055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1283B1/ko
Priority to CN2009801292466A priority patent/CN102105085A/zh
Priority to PCT/KR2009/005363 priority patent/WO2010128735A1/ko
Priority to JP2011518666A priority patent/JP2011527927A/ja
Publication of KR20100137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7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21Rocking chairs having elastic frames
    • A47C3/023Rocking chairs having elastic frames made of tubular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 A47C1/0308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arm-rests adjustable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9Seat parts of non-adjustable shape adapted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0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 A47C7/50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of adjustable type
    • A47C7/5066Supports for the feet or the legs of adjustable type by r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1Supports for the arms of adjust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9/00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 A47C9/002Stools for specified purposes with exercising means or having special therapeutic or ergonomic eff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면에 위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에 위치되며 사용자의 엉덩이부위를 지지하여 안정적인 착석상태를 가능하게 하는 시트(Seat); 상기 시트의 일측으로부터 시트의 전방 상측부에 연장되며 사용자의 가슴부위를 받쳐주어 사용자의 등 근육 및 척추가 전방을 향하도록 이완시키는 체스트레스트(Chest Rest); 및 상기 시트의 후단부에 위치되며 사용자의 엉덩이부위 뒷부분과 골반부위가 전방을 향하도록 밀면서 받쳐주어 사용자의 허리부위가 정상적인 허리곡선을 유지하도록 하는 버턱레스트(Buttock Rest)를 포함하는 자세교정용 의자가 제공된다.
의자, 허리, 척추, 골반, 건강, 팔꿈치, 가슴, 등

Description

자세교정용 의자{Chair for posture reform}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등받이를 없애고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가슴부위를 받쳐주어 사용자의 등 근육 및 척추가 전방을 향하도록 이완시키고 사용자의 엉덩이부위가 전방을 향하도록 받쳐주어 정상적인 허리곡선을 유지하며 사용자의 팔꿈치부위가 책상과 대등한 높이를 가지도록 지지하여 책상에서의 작업시 어깨와 목의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자세교정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착석상태에서 사용자의 둔부를 떠받쳐 주는 좌판부와 상기 좌판부의 배면에 세워져 사용자의 등부위를 지지하는 등받이 및 상기 좌판부와 등받이가 지면으로부터 일정한 높이만큼 이격된 상태로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의 구성부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의자는, 사용자 하중의 대부분이 둔부 및 허벅지부와 접촉하는 좌판부에 의해 지지되며, 사용자가 등받이에 상체를 기대고 앉았을 때에는 상체 대부분의 하중이 등받이에 의해서 지지되기도 한다. 물론, 일부 안락의자나 등받이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의자의 경우에 있어서 등받이를 통해서 보다 많은 양의 하중이 지지되긴 하나, 사무용 의자나 학생용 의자를 비롯한 거의 모든 의자에서 사용자의 체중이 좌판부에 의해 지지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의자에 착석중 사용자의 체중, 특히 상체의 하중이 좌판부에 의해서 지지되는 경우에는 착석상태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척추에 가해지는 하중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허리가 결리거나 척추에 장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형태의 자세교정용 의자가 개발되고 있지만, 그 중에서 상당부분이 사용자의 상체 하중이 등받이를 통해서 효과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등받이 구조개선에 치우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일을 할 경우 사용자는 등받이에 자신의 상체를 완전히 기댄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한 가운데 앉아 있기 보다는 통상적으로 상체를 등받이로부터 뗀 상태에서 상체를 앞쪽으로 어느 정도 구부린 상태의 착석자세를 취함이 일반적이다.
특히, 인체의 바른자세 즉, 균형 잡힌 척추는 작은 뼈들이 옆에서 봤을 때 S자 모양을 이뤄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의자에 앉을 때 엉덩이는 뒤로 깊숙이 넣고 허리를 곧게 펴 등받이에 기대면 되지만, 기본적으로 좌판부의 배면으로부터 등받이가 연장되기 때문에 엉덩이를 좌판부에 깊숙이 넣을 수 없으며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허리부위 하단부 즉, 엉덩이부위의 골반뼈에 위치된 선추와 요추가 후방을 향하는 척추측만증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등받이에 상체를 지지한 상태에서 책상 등에서 작업을 하 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허리부위가 책상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되어 사용자의 허리부위와 목부위가 굽어지게 되고 또한, 책상 위의 책이나 컴퓨터 등을 사용하기 위하여 팔부위가 책상에 올려지게 될 때 사용자의 어깨가 정상위치보다 올라가게 되는 등의 거북이등과 자라목 증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의자는 통상적으로 이동의 용이함을 위하여 지지프레임에 이동식 바퀴 등이 구비되고 있으나, 상기 바퀴 등은 약간의 중심 이동에도 의자가 이동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자세가 흔들리게 되어 바른 자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없도록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등받이를 없애고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가슴부위를 받쳐주어 사용자의 등 근육 및 척추가 전방을 향하도록 이완시켜 편안한 착석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자세교정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엉덩이부위 후방을 앞으로 밀어주도록 받쳐주어 정상적인 허리곡선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자세교정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팔꿈치부위가 책상과 대등한 높이를 가지도록 지지하여 책상에서의 작업시 어깨와 목의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자세교정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프레임에 이동용 바퀴를 구비하지 않아 중심 이동 발생시 의자의 이동에 따른 사용자가 자세변화를 방지할 수 있는 자세교정용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바닥면에 위치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에 위치되며 사용자의 엉덩이부위를 지지하여 안정적인 착석상태를 가능하게 하는 시트(Seat); 상기 시트의 일측으로부터 시트의 전방 상측부에 연장되며 사용자의 가슴부위를 받쳐주어 사용자의 등 근육 및 척추가 전방을 향하도록 이완시키는 체스트레스트(Chest Rest); 및 상기 시트의 후단부에 위치되며 사용자의 엉덩이부위 뒷부분과 골반부위가 전방을 향하도록 밀면서 받쳐주어 사용자의 허리부위가 정상적인 허리곡선을 유지하도록 하는 버턱레스트(Buttock Rest)를 포함하는 자세교정용 의자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자세교정용 의자는, 상기 시트의 일측으로부터 시트의 전방 상측부에 연장되며 사용자의 팔꿈치부위를 받쳐주어 상기 팔꿈치부위가 책상과 대등한 높이를 가지도록 하는 엘보우레스트(Elbow Rest)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세교정용 의자는, 상기 시트의 일측으로부터 시트의 전방 하측부에 연장되어 사용자의 발부위를 받쳐주어 사용자의 무릎부위가 상기 시트보다 높 은 위치를 가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의 분산과 함께 허리부위가 정상적인 허리곡선을 유지하도록 하는 풋레스트(Foot Rest)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등받이를 없애는 대신에 시트의 전방에 위치된 체스트레스트가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가슴부위를 받쳐줌으로써, 사용자의 등 근육 및 척추가 전방을 향하도록 이완시켜 편안한 착석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시트에 착석한 사용자의 엉덩이부위 후방을 버턱레스트가 상기 체스트레스트를 향해 밀어주도록 받쳐줌으로써, 상기 체스트레스트를 향하여 상체가 기울어진 사용자의 허리곡선이 정상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엘보우레스트를 통하여 사용자의 팔꿈치부위가 책상과 대등한 높이를 가지도록 지지함으로써, 책상에서의 작업시 어깨와 목의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프레임에 이동용 바퀴를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시트에 착석한 사용자의 중심 이동 발생시 의자의 이동에 따른 사용자가 자세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 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세교정용 의자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자세교정용 의자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자세교정용 의자에 있어서 사용자의 착석에 따른 시트와 버턱레스트의 공기 이동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도 1의 자세교정용 의자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척추 이완 상태를 종래와 비교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는, 바닥면에 의자가 지지되도록 하는 지지프레임(110),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측에 위치되며 사용자의 엉덩이부위를 지지하여 안정적인 착석상태를 가능하게 하는 시트(Seat;120), 상기 시트(120)의 일측으로부터 전방 상측부에 연장되며 사용자의 팔꿈치부위를 받쳐주어 상기 팔꿈치부위가 책상과 대등한 높이를 가지도록 하는 엘보우레스트(Elbow Rest;130), 상기 엘보우레스트(130)의 상측에 위치되며 사용자의 가슴부위를 받쳐주어 사용자의 등 근육 및 척추가 전방을 향하여 이완되도록 하는 체스트레스트(Chest Rest;140), 상기 시트(120)의 후단부에 위치되며 사용자의 엉덩이부위와 골반부위가 전방을 향하도록 밀면서 받쳐주어 사용자의 허리부위가 정상적인 허리곡선을 유지하도록 하는 버턱레스트(Buttock Rest;150) 및 상기 시트(120)의 일측으로부터 전방 하측부에 연장되어 사용자의 발부위를 받쳐주어 사용자의 무릎부위가 상기 시트(120)보다 높은 위치를 가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의 분산과 함께 허리부위가 정상적인 허리 곡선을 유지하도록 하는 풋레스트(Foot Rest;16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프레임(110)은, 상기 시트(120) 하측의 수직지주(111)를 중심으로 그 상단부가 시트(120)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방사상 또는 굴곡 형성된 지지간(112)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의하면, 통상의 이동용 캐스터가 구비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의 중심이동에 따라 의자의 위치가 가변되고 이에 따른 사용자의 자세 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10)에는 상기 시트(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공지의 높이조절수단(113)이 구비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113)은 상기 수직지주(111)를 실린더와 피스톤로드를 이용하여 유압 조절을 통해 높이를 가변시키거나 상기 수직지주(111) 내부에 공지의 기어 등을 설치하고 상기 기어의 회전을 통해 높이를 가변시켜 상기 시트(120)의 높이가 책상보다 대략 10cm 정도의 차이를 유지하도록 하여 무릎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등 사용자의 신체에 알맞은 높이로 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시트(120)는, 사용자의 엉덩이부위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측에 연결된 베이스프레임(121)의 상단에 구비되는 에어매트(1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매트(122)는, 사용자의 엉덩이부위와 뒷무릎부위로부터 약 10cm 정도 떨어진 허벅지부위만을 지지하고 엉덩이부위가 수평면에서 약 5°내지 15°정도 아래로 기울어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엉덩이가 깊숙이 위치되도록 하여 후술된 체스트레스트(140)를 향하여 사용자의 상체가 기울어지는 경우 사용자의 허리부위가 전방을 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매트(122)는, 사용자의 골반부위의 회전중심인 만곡반경으로 활모양의 안내홈이 내설되어 사용자의 안정적인 착석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시트(120)에 의하면, 사용자의 안정적인 착석을 가능하게 하고 사용자의 허리부위가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정상적인 허리곡선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엘보우레스트(130)는, 사용자의 팔꿈치부위를 받쳐주어 상기 팔꿈치부위가 책상과 대등한 높이를 가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시트(120)에 사용자의 착석동작이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시트(120)의 일측으로부터 사용자의 배부위에까지 연장되는 수직연결봉(131)과 상기 수직연결봉(131)에 수평하게 연결되는 수평연결봉(132) 및 상기 수평연결봉(132)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한 쌍의 쿠션(13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쿠션(133)은, 후술된 체스트레스트(140)를 향하여 사용자의 상체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팔꿈치부위에 대응되는 높이에 대응되는 수평연결봉(132)에 사용자의 어깨넓이로 구비되어 사용자의 팔꿈치부위가 지지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수직연결봉(131)에는 상기 쿠션(133)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공지의 높이조절수단(134)이 구비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134)은 상기 수직연결봉(131)을 실린더와 피스톤로드를 이용하여 유압 조절을 통해 높이를 가변시키거나 상기 수직연결봉(131) 내부에 공지의 기어 등을 설치하고 상기 기어의 회전을 통해 높이를 가변시켜 상기 쿠션(133)의 높이가 사용자의 팔꿈치부위에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연결봉(132)에는 상기 쿠션(133)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공지의 간격조절수단(135)이 구비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135)은 복수개의 수평연결봉(132)이 연결부재 등에 의해 간격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거나 상기 쿠션(133)의 하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수평연결봉(132)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이동부재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엘보우레스트(130)에 의하면, 종래의 의자에서와 같이 상기 시트(120)의 상측에 암레스트(Arm Rest)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팔뚝부위를 지지하도록 하는 것에 비하여 사용자가 책상 등에서의 작업시 팔꿈치부위가 책상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지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팔뚝부위가 책상에 올려지게 됨으로써, 책상 위의 책이나 컴퓨터 등을 사용하기 위하여 팔부위가 책상에 올려질 때 사용자의 어깨가 정상위치보다 올라가게 되어 거북이등과 자라목 증상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체스트레스트(140)는, 사용자의 가슴부위를 받쳐주어 시트(120)에 착석한 사용자의 등 근육 및 척추가 전방을 향하여 이완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엘보우레스트(130)의 수평연결봉(132)의 일측으로부터 사용자의 가슴부위에 대응되는 높이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결대(141)의 단부에 구비된 에어쿠션(14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쿠션(142)은, 사용자의 가슴 중앙부위를 받쳐주어 전방을 향하는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손바닥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것이 좋으나 장시간 사용시 사용자가 가슴부위에 압박으로 인하여 답답함을 느끼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크기와 볼륨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대(141)에는 상기 에어쿠션(14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143)이 구비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143)은 상기 복수개의 연결대(141)가 연결부재 등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거나 상기 에어쿠션(142)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대(141)를 따라 이동이 가능한 이동부재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체스트레스트(140)에 의하면, 등받이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시트(120)에 착석한 사용자의 상체가 전방을 향할 때 사용자의 가슴부위를 받쳐주어 사용자의 허리부위 즉, 등 근육과 척추가 전방을 향하여 이완되도록 하여 지속적으로 정상자세를 유지하면서 착석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버턱레스트(150)는, 사용자의 엉덩이부위 뒷부분과 골반부위가 전방을 향하도록 밀면서 받쳐주어 사용자의 허리부위가 정상적인 허리곡선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시트(120)의 후단부로부터 사용자의 골반높이에 설치되는 에어쿠션백(15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쿠션백(151)은, 상기 시트(120)의 바닥면으로부터 20cm 정도 높이로 설치되고 골반부위의 하측부가 허리부위의 상측부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가 시트(120)에 착석시 상기 시트(120)의 에어매트(122)로부터 이동되는 공기에 의해 돌출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시트(120)의 에 어매트(122)와 상기 에어쿠션백(151)은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에 사용자의 착석시 에어매트(122)의 공기가 에어쿠션백(151)으로 이동되도록 하고 사용자의 착석해제시 에어쿠션백(151)의 공기가 에어매트(122)로 이동되도록 하는 에어유로(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버턱레스트(150)에 의하면, 상기 체스트레스트(140)를 향하여 사용자의 상체가 기울어지는 경우 사용자의 엉덩이 뒷부분이 전방을 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정상적인 허리곡선을 유지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척추후만증(Kyphotic Lumbar Spine)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풋레스트(160)는, 사용자의 발부위를 받쳐주어 사용자의 무릎부위가 상기 시트(120)보다 높은 위치를 가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시트(120)의 일측으로부터 전방 하측부에 연장되는 지지봉(161)의 일단부에 구비된 발판(16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발판(162)은 사용자의 발부위를 지지하여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킨다.
또한, 상기 지지봉(161)에는 상기 발판(162)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조절수단(163)이 구비되며, 상기 높이조절수단(163)은 상기 복수개의 지지봉(161)이 연결부재 등에 의해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하거나 상기 발판(162)을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지지봉(161)을 따라 이동이 가능한 이동부재 등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조절수단(163)에 의한 발판(162)의 높이 조절시 상기 발판(162)의 위치가 전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좋으며,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봉(161)은 상기 시트(120)의 베이스프레임(121)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라운드지거나 굴곡을 가지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풋레스트(160)에 의하면, 상기 체스트레스트(140)를 향하여 사용자의 상체가 기울어지는 경우 사용자의 발부위를 받쳐주어 사용자의 무릎부위가 상기 시트(120)보다 높은 위치를 가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의 분산과 함께 허리부위가 정상적인 허리곡선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상기 체7스트레스트(140)의 연결대(141)가 엘보우레스트(130)의 수평연결봉(132)에 수직하게 연결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연결대(141)는 시트(120)의 베이스프레임(121)으로부터 직접 사용자의 가슴부위에 에어쿠션(142)이 대응되는 위치를 가지도록 연결되어도 무방하며, 반대로 상기 연결대(141)에 상기 수평연결봉(132)이 수평하게 연결되도록 하여도 좋다. 즉, 상기 체스트레스트(140)와 엘보우레스트(130)의 위치는 사용자의 착석과 팔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10), 엘보우레스트(130), 체스트레스트(140) 및 풋레스트(160)에 구비되는 높이(간격)조절수단(113,134,135,143,163)들은 막대 형상의 바의 길이를 가변시키는 모든 공지의 구성이면 어느 것이든 선택적으로 취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지지프레임(110), 엘보우레스트(130), 체스트레스트(140) 및 풋레스 트(160)에 구비되는 높이(간격)조절수단(113,134,135,143,163)들을 통하여 시트(120)를 비롯한 모든 구성부들이 사용자의 신체에 맞도록 조절된다.
이후, 상기 시트(120)의 에어매트(122)에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면 상기 에어매트(122)의 공기가 상기 에어매트(122)에 연장된 버턱레스트(150)의 에어쿠션백(151)으로 이동하게 되어 에어쿠션백(151)이 사용자의 엉덩이부위와 골반부위에 대응되도록 돌출되게 된다.
이후, 상기 체스트레스트(140)의 에어쿠션(142)에 사용자의 가슴부위가 접촉되도록 사용자가 상체를 기울이게 되면 사용자의 허리부위 즉, 등 근육과 척추가 전방을 향하여 이완되게 되고, 이 때 상기 에어쿠션백(151)에 의해 사용자의 엉덩이 뒷부분이 전방을 향하게 되어 사용자의 정상적인 허리곡선이 유지되게 된다.
이후, 상기 엘보우레스트(130)의 쿠션(133)에 사용자의 팔꿈치부위가 책상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지지되게 되고, 상기 풋레스트(160)의 발판(162)에 사용자의 발부위가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등받이를 없애는 대신에 체스트레스트(140)가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의 가슴부위를 받쳐줌으로써, 사용자의 등 근육 및 척추가 전방을 향하도록 이완시켜 편안한 착석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120)에 착석한 사용자의 엉덩이부위 후방을 버턱레스트(150)가 앞으로 밀어주도록 받쳐줌으로써, 상기 체스트레스트(140)를 향하여 상체가 기울어진 사용자의 허리곡선이 정상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엘보우레스트(130)를 통하여 사용자의 팔꿈치부위가 책상과 대등 한 높이를 가지도록 지지함으로써, 책상에서의 작업시 어깨와 목의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10)에 이동용 바퀴를 구비하지 않음으로써, 시트(120)에 착석한 사용자의 중심 이동 발생시 의자의 이동에 따른 사용자가 자세변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세교정용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세교정용 의자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자세교정용 의자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 1의 자세교정용 의자에 있어서 사용자의 착석에 따른 시트와 버턱레스트의 공기 이동을 나타낸 도면; 및
도 5는 도 1의 자세교정용 의자 사용에 따른 사용자의 척추 이완 상태를 종래와 비교한 도면이다.
*도면부호설명*
110 : 지지프레임 120 : 시트
130 : 엘보우레스트 140 : 체스트레스트
150 : 버턱레스트 160 : 풋레스트

Claims (9)

  1. 바닥면에 위치되는 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측에 위치되며 사용자의 엉덩이부위를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상측에 연결된 베이스프레임(121)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21)의 상단에 구비되는 에어매트(122)를 구비하는 시트(Seat;120)와, 상기 시트(120)의 일측으로부터 시트(120)의 전방 상측부에 연장되며 사용자의 팔꿈치부위를 받쳐주어 상기 팔꿈치부위가 책상과 대등한 높이를 가지도록 하는 엘보우레스트(Elbow Rest;130)와, 상기 시트(120)의 일측으로부터 시트(120)의 전방 상측부에 연장되며 사용자의 가슴부위를 받쳐주어 사용자의 등 근육 및 척추가 전방을 향하여 이완되도록 하는 체스트레스트(Chest Rest;140)와, 상기 시트(120)의 후단부에 위치되며 사용자의 엉덩이부위 뒷부분과 골반부위가 전방을 향하도록 밀면서 받쳐주어 사용자의 허리부위가 정상적인 허리곡선을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지지프레임(110)의 베이스프레임(111)의 일측으로부터 사용자의 가슴부위에 대응되는 높이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연결대(141)의 단부에 구비된 에어쿠션(142)을 구비한 버턱레스트(Buttock Rest;150)와, 상기 시트(120)의 일측으로부터 시트(120)의 전방 하측부로 연장되는 지지봉(161)과 상기 지지봉(161)의 일단부에 고정되는 발판(162)을 구비하는 풋레스트(Foot Rest;160)를 포함하는 자세교정용 의자에 있어서,
    상기 시트(120)의 에어매트(122)는 사용자의 엉덩이부위와 뒷무릎부위로부터 약 10cm 정도 떨어진 허벅지부위만을 지지하고 엉덩이부위가 수평면에서 약 5°내지 15°정도 아래로 기울어지며;
    상기 버턱레스트(150)는 상기 시트(120)의 후단부로부터 사용자의 골반높이에 설치되는 에어쿠션백(151)을 포함하며;
    상기 에어쿠션백(151)은 상기 시트(120)의 바닥면으로부터 20cm 정도 높이로 설치되고 골반부위의 하측부가 허리부위의 상측부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고;
    상기 에어쿠션백(151)은 상기 시트(120)에 사용자의 착석시 상기 시트(120)의 에어매트(122)로부터 이동되는 공기에 의해 돌출되며;
    상기 엘보우레스트(130)는 상기 시트(120)에 사용자의 착석동작이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시트(120)의 일측으로부터 사용자의 배부위에까지 연장되는 수직연결봉(131)과, 상기 수직연결봉(131)에 수평하게 연결되는 수평연결봉(132) 및 상기 수평연결봉(132)에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한 쌍의 쿠션(133)을 포함하고;
    상기 풋레스트(160)의 발판(162)은, 사용자의 발부위를 받쳐주어 사용자의 무릎부위가 상기 시트보다 높은 위치를 가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허리부위에 가해지는 하중의 분산과 함께 허리부위가 정상적인 허리곡선을 유지하도록 높이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세교정용 의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90055533A 2009-06-22 2009-06-22 자세교정용 의자 KR101091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533A KR101091283B1 (ko) 2009-06-22 2009-06-22 자세교정용 의자
CN2009801292466A CN102105085A (zh) 2009-06-22 2009-09-21 用于矫正姿势的椅子
PCT/KR2009/005363 WO2010128735A1 (ko) 2009-06-22 2009-09-21 자세교정용 의자
JP2011518666A JP2011527927A (ja) 2009-06-22 2009-09-21 姿勢校正用椅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533A KR101091283B1 (ko) 2009-06-22 2009-06-22 자세교정용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7221A KR20100137221A (ko) 2010-12-30
KR101091283B1 true KR101091283B1 (ko) 2011-12-07

Family

ID=43050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533A KR101091283B1 (ko) 2009-06-22 2009-06-22 자세교정용 의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1527927A (ko)
KR (1) KR101091283B1 (ko)
CN (1) CN102105085A (ko)
WO (1) WO20101287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0009B1 (ko) * 2010-01-12 2012-05-02 이상호 자세 교정용 의자의 서포터 장치
CN102228349A (zh) * 2011-06-29 2011-11-02 李春范 椅子上的坐姿矫正器
EP3212039B1 (de) * 2014-10-28 2018-12-05 iii-solutions GmbH Büro-, arbeits- und freizeitstuhl sowie nachrüstsatz für einen stuhl oder eine sitzfläche zum erzeugen von unterschwelligen bewegungen der darauf sitzenden person
CN106136652B (zh) * 2016-08-01 2023-02-17 周建明 纠/矫正姿势椅子
CN107307641A (zh) * 2017-08-02 2017-11-03 新昌县三剑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座椅
CN108742970B (zh) * 2018-06-29 2020-05-05 王春 一种医疗用脊椎矫正椅
CN108903443B (zh) * 2018-07-17 2021-03-16 信国五金电子(东莞)有限公司 一种全自动智能感应坐姿矫正办公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836Y1 (ko) * 2000-01-07 2000-06-15 계기식 비행기 이코노미 좌석용 에어시트
KR100349631B1 (ko) * 2000-05-25 2002-08-23 정관영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50249A (en) * 1984-12-31 1987-03-17 Hector Serber Ergonomic seating assembly system with front chest support component, pelvic tilt seat component and related attachments
MX9701110A (es) * 1994-08-12 1998-03-31 Brock M Walker Sistema de soporte espinal para asiento.
JPH11299585A (ja) * 1998-04-20 1999-11-02 Achilles Corp シート用クッション体及び同クッション体を組込んだ椅子
KR100355031B1 (ko) * 1999-08-17 2002-10-05 주식회사 해정지점 다기능 의자
EP1318776A4 (en) * 2000-09-19 2004-10-13 Han-Keel Yoo CHAIR FOR CORRECTING INCORRECT ALIGNMENT OF VERTEBRATE IN THE SPINE AND METHOD FOR CORRECTING SUCH INCORRECT ALIGNMENT USING THE CHAIR
JP4081520B2 (ja) * 2002-03-29 2008-04-30 タカノ株式会社 椅子
JP3671031B2 (ja) * 2002-07-24 2005-07-13 聖一 大川 背凭れ兼胸部支持体付き椅子
JP2008062015A (ja) * 2006-08-10 2008-03-21 Itoki Corp 椅子
KR20090047590A (ko) * 2007-11-08 2009-05-13 김소연 척추교정용 가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5836Y1 (ko) * 2000-01-07 2000-06-15 계기식 비행기 이코노미 좌석용 에어시트
KR100349631B1 (ko) * 2000-05-25 2002-08-23 정관영 높이조절 가능한 발판이 구비된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05085A (zh) 2011-06-22
JP2011527927A (ja) 2011-11-10
WO2010128735A1 (ko) 2010-11-11
KR20100137221A (ko) 201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18213B2 (en) Ergonomic work station chair
CA2596533C (en) Adjustable cross-legged support seat
JP6954985B2 (ja) 調節可能な人間工学に基づく椅子
FI81247C (fi) Stol.
US9585478B1 (en) Adjustable seating
KR101091283B1 (ko) 자세교정용 의자
KR20140046443A (ko) 좌석
KR100768480B1 (ko) 자세교정, 견인치료 및 마사지 기능을 갖는 의자
KR20060086946A (ko) 높이 조절용 작업 의자
KR20160096253A (ko) 분절 움직임이 가능한 척추 건강 의자
KR100763474B1 (ko) 자세교정, 견인치료 및 마사지 기능을 갖는 의자
US20010040402A1 (en) Adjustable split seat
KR20200046600A (ko) 무브 체어
JP2005533538A (ja) 着座装置
KR101647461B1 (ko) 안장형 척추 건강 의자
KR101502128B1 (ko) 요가 의자
KR20160004334U (ko) 기능성 의자
JP2004065626A (ja) 座面構造およびこれを利用する椅子
JP3249162U (ja) 椅子
JP3249163U (ja) 椅子
US5599061A (en) Seat for sitting in the middle position
JP2019042421A (ja) クッション
JP6303083B1 (ja) 筋力トレーニング可能な揺動座椅子
KR200188534Y1 (ko) 경사좌판이 구비된 의자
TWM599641U (zh) 椅背胸薦椎支撐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