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90602B1 -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0602B1
KR101090602B1 KR1020100008281A KR20100008281A KR101090602B1 KR 101090602 B1 KR101090602 B1 KR 101090602B1 KR 1020100008281 A KR1020100008281 A KR 1020100008281A KR 20100008281 A KR20100008281 A KR 20100008281A KR 101090602 B1 KR101090602 B1 KR 101090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l
user terminal
type
tracking area
pag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8673A (ko
Inventor
조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100008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90602B1/ko
Priority to US12/885,236 priority patent/US20110190010A1/en
Priority to EP10191286A priority patent/EP2355600A1/en
Priority to CN2010106118155A priority patent/CN102143480A/zh
Priority to JP2010288436A priority patent/JP2011160415A/ja
Publication of KR20110088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0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060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4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using triggered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2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by periodical reg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 단말에 최적의 페이징 영역이 할당되도록 유도한다. 사용자 단말에서 필수적인 이벤트 발생 시에 페이징 영역 업데이트가 발생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트래픽 발생을 최소화 된다.

Description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aging area}
기술분야는, 페이징 영역(paging area)의 할당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의 정보를 이용한 최적화된 페이징 영역의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페이징 영역은 용도에 따라 크기가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페이징 영역은 location area 또는 tracking area list등의 개념으로 사용된다. 이때,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별로 최적화된 페이징 영역에 등록되게 함으로써, 네트워크 리소스(resource)는 절약될 수 있다.
UE는 페이징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해서 네트워크에 등록하여야 한다. 따라서,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UE에게 큰 크기의 Paging area를 할당하면 다른 paging area로의 이동횟수가 줄어들어 location area update의 load를 줄일 수 있으나 넓은 지역으로 paging notification을 보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반대로, 작은 범위에 paging notification을 broadcast하기 위해 작은 paging area를 할당할 수 있으나 이동하는 UE의 경우 location area update 횟수가 늘어나는 단점이 있다. 즉, cellular system에서는 paging area를 작게 유지할수록 이득이나 이동이 많은 지역에서는 paging area update signal이 증가하여 system signal load에 영향을 준다. 그리고, paging area를 너무 크게 유지할 경우에는 paging signal load가 증가하여 system resource 낭비 현상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페이징 영역 관리는, UE에게 최적의 TAL 타입을 할당하는 방법을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UE가 적절한 특성의 페이징 영역을 선택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최적의 페이징 영역을 UE에 할당하고, 네트워크 리소스를 줄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 최적의 페이징 영역이 할당되도록 유도할 수 있는,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서 필수적인 이벤트 발생 시에 페이징 영역 업데이트가 발생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트래픽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의 이동 패턴을 고려하여 페이징 영역을 할당할 수 있는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은, 현재의 트래킹 영역(Tracking Area, TA)에 체류한 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현재 할당되어 있는 트래킹 영역 리스트(Tracking Area List, TAL)의 타입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의 타입이 고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을 위한 TAL 타입이면,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를 네트워크 관리자로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관리자로부터 새로운 TAL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새로운 TAL은 정지 단말 또는 저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을 위한 TAL일 수 있다.
상기 새로운 TAL은 상기 현재의 TA 및 상기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를 요청한 시간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mobility)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속한 현재의 트래킹 영역(Tracking Area, TA)이 변경되는지 판단하는 단계와, 현재 할당되어 있는 트래킹 영역 리스트(Tracking Area List, TAL)의 타입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가 다르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속한 현재의 TA가 변경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를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관리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에 대응하는 TAL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mobility)를 측정하는 단계와, 현재 할당되어 있는 트래킹 영역 리스트(Tracking Area List, TAL)의 타입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가 다르면,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를 포함하는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네트워크 관리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관리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에 대응하는 TAL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은,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mobility)를 측정하는 단계와, 현재 할당되어 있는 트래킹 영역 리스트(Tracking Area List, TAL)의 타입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가 다르면, 네트워크로의 억세스(access)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네트워크로의 억세스(access)가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를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 메시지를 네트워크 관리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관리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에 대응하는 TAL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른 페이징 영역 관리 장치는,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mobility)를 측정하는 모빌러티 측정부와,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하여 할당된 트래킹 영역 리스트(Tracking Area List, TAL)를 저장하는 트래킹 영역 리스트 저장부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mobility)와 할당된 TAL의 타입을 비교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기초하여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를 위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현재의 트래킹 영역(Tracking Area, TA)에 체류한 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의 타입을 확인하고,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의 타입이 고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을 위한 TAL 타입이면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현재 할당되어 있는 트래킹 영역 리스트(Tracking Area List, TAL)의 타입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가 다르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속한 현재의 TA가 변경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를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알려주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현재 할당되어 있는 트래킹 영역 리스트(Tracking Area List, TAL)의 타입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가 다르면,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를 포함하는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네트워크 관리자로 전송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현재 할당되어 있는 트래킹 영역 리스트(Tracking Area List, TAL)의 타입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가 다르면, 네트워크로의 억세스(access)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하고, 네트워크로의 억세스(access)가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를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 메시지를 네트워크 관리자로 전송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에 대응하는 TAL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에 대응하는 TAL은 현재의 트래킹 영역 및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가 네트워크 관리자로 요청된 시간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설정된 것 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 최적의 페이징 영역이 할당되도록 유도함으로써, 네트워크에서 페이징 알림(notification)에 필요한 자원을 줄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서 필수적인 이벤트 발생 시에 페이징 영역 업데이트가 발생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트래픽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의 이동 패턴을 고려하여 페이징 영역을 할당할 수 있다.
도 1은 페이징 영역 업데이트 프로시저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AL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AL의 재할당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AU 과정을 나타낸다.
도 5는 주기적인 업데이트 타이머를 이용한 TAU 트리거링(triggering) 프로시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TAU 과정을 나타낸다.
도 7은 TA 변경에 따른 TAU 트리거링(triggering) 프로시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TAU 과정을 나타낸다.
도 9는 페이징 응답(paging response)과 결합된 TAU 트리거링(triggering) 프로시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TAU 과정을 나타낸다.
도 11은 UE의 네트워크 억세스와 결합된 TAU 트리거링(triggering) 프로시저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AL 할당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페이징 영역 업데이트 프로시저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UE)(100)은 페이징 영역의 업데이트가 필요하면, 네트워크(200)로 "Tracking Area Update request"를 전송한다. 네트워크(200)는 페이징 영역 정보를 포함하는 "Tracking Area Update Accept"를 UE(100)으로 전송한다. 이때, 페이징 영역 정보는 "TAL(Tracking Area List)"일 수 있다. TAL은 TA들을 식별하기 위한 TAI(tracking area identity)의 리스트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복수의 TA들 각각은 TAI에 의하여 식별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200)는 단말에 TAL을 할당하는 네트워크 관리자를 포함한다.
한편, UE(100)가 네트워크(200)로부터 채널을 할당 받은 상태를 "dedicated state"라 하고, 그렇지 않은 상태를 "idle state"라 칭할 수 있다. "dedicated state"에서, 네트워크(200)는 셀(cell) 단위로 UE(100)의 위치를 알 수 있다. LTE(Long Term Evolution) 및 LTE 보다 발전된 통신 규격들은 페이징 영역을 TAL의 개념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3G 통신 시스템 및 3G 통신 시스템 이전의 통신 규격들은 페이징 영역을 location area로 정의하고 있다. 예를 들어, LTE 통신 규격은 cell들의 모음으로 tracking area(TA)를 구성하며 이 tracking area를 list로 만들어 TAL로 정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cell 및 TA는 다음과 같은 속성을 가지는 것으로 가정한다.
1) Cell은 두 개 이상의 TA에 속할 수 없다.
2) TA는 두 개 이상의 TAL에 속할 수 있다.
TAL을 이용하여 페이징 영역을 할당하는 것은, 몇 가지 이점이 있다. 즉, 페이징 영역을 여러 개의 TA로 구성하면, 지리적 특성에 맞게 페이징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하는 UE들이 많이 분포하는 도로나 지하철의 경우, 도로나 지하철 선로를 따라 길거나 또는 넓은 페이징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주거 지역의 경우 인구 수에 따라 작은 페이징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
UE(100)는 새로운 TA로 진입하면, 새로운 TA의 TAI를 확인하고, 기 할당된 TAL에 속하는 TA인지를 확인한다. 새로운 TA가 기 할당된 TAL에 속하면, UE(100)는 아무런 동작 없이 idle state를 유지한다. 만일, 새로운 TA가 기 할당된 TAL에 속하지 않으면, UE(100)는 페이징 영역 업데이트 프로시저를 수행하여 새로운 TAL을 할당 받아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AL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TAL의 크기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TAL 4는 긴 페이징 영역을 목적으로 설정된 예를 나타내고, TAL 1 내지 TAL 3는 주거 단지와 같은 작은 크기의 페이징 영역을 목적으로 설정된 예를 나타낸다. TAL 4와 같이 긴 페이징 영역은 도로 또는 지하철과 같이 고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을 위한 TAL 일 수 있다. 또한, TAL1, 2, 3와 같이 작은 페이징 영역은 정지 단말 또는 저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을 위한 TAL 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고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을 "fast mobile"이라 칭하고, "fast mobile"을 위한 TAL 타입을 "fast mobile TAL 또는 fast TAL"이라 칭하기로 한다. 또한, 정지 단말 또는 저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을 "slow mobile" 또는 "stationary mobile"이라 칭하고, "slow mobile" 또는 "stationary mobile"을 위한 TAL 타입을 "slow mobile TAL" 또는 "stationary mobile TAL"이라 칭하기로 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은 이동 정도(mobility)에 따라 "fast mobile" 및 "slow mobile 또는 stationary mobile"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의 mobility를 구분하는 기준은 통신망 설계에 따라 다양한 기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TAL의 설정에 있어서, 하나의 TA는 둘 이상의 TAL에 중첩될 수 있다. 둘 이상의 TAL에 중첩되는 TA는, 중첩 TA(overlapped TA)라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AL 2와 TAL 4는 A-2위치에서 중첩 TA를 가질 수 있다. 중첩 TA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이 2개의 TAL 사이에서 reselection을 반복하는 핑퐁(ping pong)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2개의 TAL이 겹치는 경우에 최적의 TAL 타입을 할당하는 것이 요구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fast mobile에 TAL 4를 할당하면,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Tracking Area Update, TAU)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모든 TAL(TAL 1, 2, 3, 4)은 중첩된 TA를 갖도록 설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이 도로를 따라 A-1으로부터 주행을 시작하여A-2에 정차 하였다고 가정하면, 사용자 단말은 도로 상에서는 TAL 4를 할당 받고, A-2에 정차하고 있을 때는 TAL 2를 할당 받을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이 A-2에 정차하고 있을 때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페이징 영역을 TAL 2로 변경하는 것이, TAL 4를 페이징 영역으로 할당하는 것보다 메시지 트래픽 면에서 효율적이다. 이때, 사용자 단말의 mobility가 변경되면, 후술하는 방법에 따라 TAL을 재할당 받을 수 있다. TAL을 재할당 받는 것은 TAU 프로시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TAL 재할당", "TAU" 및 "TAL 업데이트"는 모두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AL의 재할당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slow mobility 또는 stationary mobility에 해당하는 TAL을 할당 받은 상태(310)에서 fast mobility를 검출(311)하면, fast mobility 를 위한 TAL 업데이트를 준비(320)한다. 사용자 단말은 slow mobility 또는 stationary mobility에 해당하는 TAL을 할당 받은 상태(310)에서 slow 또는 stationary mobility를 검출(321)하면, slow mobility 또는 stationary mobility에 해당하는 TAL을 할당 받은 상태(310)를 유지한다. 사용자 단말은 fast TAL을 네트워크로 요청하고 fast TAL을 할당(323) 받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의 mobility는 사용자 단말 스스로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mobility의 측정은, Cell reselection 횟수, GPS를 이용한 이동 속도 측정, Timer를 이용한 특정 Cell 또는 TA에서의 체류 시간 측정 등을 통해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은 fast mobility에 해당하는 TAL을 할당 받은 상태(330)에서 slow mobility 또는 stationary mobility를 검출(331)하면, slow mobility 또는 stationary mobility를 위한 TAL 업데이트를 준비(340)한다. 사용자 단말은 fast mobility에 해당하는 TAL을 할당 받은 상태(330)에서 fast mobility를 검출(341)하면, fast mobility에 해당하는 TAL을 할당 받은 상태(330)를 유지한다. 사용자 단말은 slow mobility TAL 또는 stationary mobility TAL을 네트워크로 요청하고 slow mobility TAL 또는 stationary mobility TAL을 할당(343) 받을 수 있다.
도 3에서는, 단순하게 사용자 단말의 mobility에 따라 TAL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상태를 설명하였으나, TAL 업데이트는 특정 이벤트(event)가 발생하는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다양한 이벤트 발생에 따라 TAL 업데이트가 수행되는 예를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11에서, 네트워크(500)는 단말에 TAL을 할당하는 네트워크 관리자(미 도시 함)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관리자는 사용자 단말(UE)(400)의 mobility에 대응하는 TAL을 선택하고, 선택된 TAL을 UE(400)에 할당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AU 과정을 나타낸다.
410단계에서, UE(400)는 주기적인 업데이트 타이머를 이용한 TAU 트리거링(triggering) 프로시저를 수행한다. 여기서, "TAU 트리거링"이란 TAU가 필요한 이벤트가 발생되어, TAL을 재할당 받을 필요가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UE(400)는 fast TAL을 할당 받은 상태에서 현재의 TA에 일정 시간 이상 머물고 있는 경우, mobility를 stationary라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410 단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부 과정을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5는 주기적인 업데이트 타이머를 이용한 TAU 트리거링(triggering) 프로시저의 일 예를 나타낸다. UE(400)는 511단계에서, 현재의 TA에 체류한 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는지 판단한다. 이때, 기준 시간은 몇 시간 또는 몇 분등 설정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현재의 TA에 체류한 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UE(400)는 513단계에서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의 타입을 확인한다. 다음에, UE(400)는 515단계에서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의 타입이 고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을 위한 TAL 타입인지를 판단한다.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의 타입이 고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을 위한 TAL 타입이면, UE(400)는 도 4의 420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420단계에서, UE(400)는 "Tracking Area Update request"를 네트워크(500)로 전송함으로써,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를 네트워크 관리자로 요청한다. 이때, "Tracking Area Update request"는 소정 주기로 전송될 수 있고, 단말의 mobility 정보를 포함한다.
430단계에서, UE(400)는 "Tracking Area Update Accept"를 통하여 네트워크 관리자로부터 새로운 TAL을 수신한다. 이때, 새로운 TAL은 정지 단말 또는 저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을 slow 또는 stationary TAL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TAU 과정을 나타낸다.
610단계에서, UE(400)는 TA 변경에 따른 TAU 트리거링(triggering) 프로시저를 수행한다. UE(400)는 mobility를 감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TA가 변경되면 TAU가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 TA의 변경됨에 따라 TAU가 필요한 경우, UE(400)는 620단계를 수행한다. 한편, 610 단계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부 과정을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TA 변경에 따른 TAU 트리거링(triggering) 프로시저의 일 예를 나타낸다. UE(400)는 711단계에서, mobility를 측정한다. 따라서, UE(400)는 현재의 mobility를 감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후, UE(400)는 713단계에서, UE(400)가 속해 있는 현재의 TA가 변경되는지를 판단한다. TA가 변경되면, UE(400)는 715단계에서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의 타입과 측정된 mobility가 상이한지를 판단한다.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의 타입과 측정된 mobility가 상이하면, UE(400)는 620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E(400)는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의 타입은 fast TAL이고 측정된 mobility가 stationary인 경우에, TA가 변경되면 TAU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UE(400)는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의 타입은 stationary TAL이고 측정된 mobility가 fast인 경우에, TA가 변경되면 TAU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620단계에서, UE(400)는 "Tracking Area Update request"를 네트워크(500)로 전송함으로써,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를 네트워크 관리자로 요청한다. 이때, "Tracking Area Update request"는 측정된 mobility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630단계에서, UE(400)는 "Tracking Area Update Accept"를 통하여 네트워크 관리자로부터 측정된 mobility에 대응하는 TAL을 수신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TAU 과정을 나타낸다.
810단계에서, UE(400)는 페이징 응답(paging response)과 결합된 TAU 트리거링(triggering) 프로시저를 수행한다. UE(400)는 현재 할당된 TAL타입과 mobility가 다르다는 것을 감지하면,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통해 TAU를 수행할 준비를 한다. 한편, 810 단계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부 과정을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9는 페이징 응답(paging response)과 결합된 TAU 트리거링(triggering) 프로시저의 일 예를 나타낸다. UE(400)는 911단계에서, mobility를 측정한다. 따라서, UE(400)는 현재의 mobility를 감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후, UE(400)는 913단계에서 네트워크(500)로부터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한다. UE(400)는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되면, 820단계를 수행한다. 도 9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UE(400)는 913단계 이전에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 타입과 측정된 mobility가 다른지를 판단한다. 즉, UE(400)는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 타입과 측정된 mobility가 다른 경우에 한해서, 913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 타입과 측정된 mobility가 다른 경우는,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의 타입은 fast TAL이고, 측정된 mobility는 slow or stationary 일 수 있다. 또한,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 타입과 측정된 mobility가 다른 경우는,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의 타입은 slow or stationary TAL이고, 측정된 mobility는 fast일 수 있다.
820단계에서, UE(400)는 측정된 mobility를 포함하는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네트워크 관리자로 전송한다. 즉, 측정된 mobility는 piggyback 방식에 의하여 네트워크(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페이징 응답 메시지는 "Service Request"일 수 있다. 이와 같이, UE(400)와 네트워크(500)간에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이벤트를 이용하여 TAU를 수행함으로써, 트래픽 발생은 최소화 될 수 있다.
830단계에서, UE(400)는 측정된 mobility에 대응하는 새로운 TAL을 수신한다. 이때, 측정된 mobility에 대응하는 새로운 TAL은 예를 들어, "GUTI reallocation command"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즉, 측정된 mobility의 전송과 마찬가지로, TAL 역시 piggyback 방식에 의하여 수신될 수 있다.
840단계 및 850단계는 일반적인 페이징 프로시저에서 수행되는 단계로서, 자원 할당 과정에 해당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TAU 과정을 나타낸다.
1010단계에서, UE(400)는 UE의 네트워크 억세스와 결합된 TAU 트리거링(triggering) 프로시저를 수행한다. 네트워크 억세스는 도 8에서 페이징 응답을 수행하는 경우와 반대의 경우를 의미한다. UE(400)는 현재 할당된 TAL타입과 mobility가 다르다는 것을 감지하면, 네트워크 억세스 메시지를 통해 TAU를 수행할 준비를 한다. 이때,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 타입과 측정된 mobility가 다른 경우는,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의 타입은 fast TAL이고, 측정된 mobility는 slow or stationary 일 수 있다. 또한,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 타입과 측정된 mobility가 다른 경우는,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의 타입은 slow or stationary TAL이고, 측정된 mobility는 fast일 수 있다. 한편, 1010 단계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부 과정을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은 UE의 네트워크 억세스와 결합된 TAU 트리거링(triggering) 프로시저의 일 예를 나타낸다.
UE(400)는 1101단계에서, mobility를 측정한다. 따라서, UE(400)는 현재의 mobility를 감지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후, UE(400)는 1103단계에서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 타입과 측정된 mobility가 다른지를 판단한다.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 타입과 측정된 mobility가 다르면, UE(400)는 1105단계에서 네트워크로의 억세스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 타입과 측정된 mobility가 다른 경우는,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의 타입은 fast TAL이고, 측정된 mobility는 slow or stationary 일 수 있다. 또한,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 타입과 측정된 mobility가 다른 경우는,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의 타입은 slow or stationary TAL이고, 측정된 mobility는 fast일 수 있다. 네트워크로의 억세스가 발생하면, UE(400)는 1020단계를 수행한다.
1020단계에서, UE(400)는 측정된 mobility를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 메시지를 네트워크 관리자로 전송한다. 따라서, 측정된 mobility는 piggyback 방식에 의하여 네트워크(20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UE(400)와 네트워크(500)간에 필수적으로 발생하는 이벤트를 이용하여 TAU를 수행함으로써, 트래픽 발생은 최소화 될 수 있다.
1030단계에서, UE(400)는 측정된 mobility에 대응하는 새로운 TAL을 수신한다. 이때, 측정된 mobility에 대응하는 새로운 TAL은 예를 들어, "GUTI reallocation command"를 통해 수신될 수 있다. 즉, 측정된 mobility의 전송과 마찬가지로, TAL 역시 piggyback 방식에 의하여 수신될 수 있다.
1040단계 및 1050단계는 일반적인 페이징 프로시저에서 수행되는 단계로서, 자원 할당 과정에 해당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UE)(400)은 도 3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UE(400)는 모빌러티(mobility) 측정부(1210), 트래킹 영역 리스트 저장부(1220), 제어부(1230) 및 통신부(1240)를 포함한다. 또한, UE(400)는 타이머(1250) 및 메시지 생성부(1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모빌러티(mobility) 측정부(1210)는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mobility)를 측정한다. 이때, mobility의 측정은, Cell reselection 횟수, GPS를 이용한 이동 속도 측정, Timer를 이용한 특정 Cell 또는 TA에서의 체류 시간 측정 등을 통해 가능하다.
트래킹 영역 리스트 저장부(1220)는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하여 할당된 TAL을 저장한다. 트래킹 영역 리스트 저장부(1220)에 저장된 TAL은 현재 UE(400)에 할당된 TAL에 해당한다.
제어부(1230)는 측정된 mobility와 트래킹 영역 리스트 저장부(1220)에 저장된 TAL을 비교한다. 또한, 제어부(1230)는 UE(4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기초하여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230)는 현재의 트래킹 영역(Tracking Area, TA)에 체류한 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의 타입을 확인하고,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의 타입이 fast TAL 타입이면 TAU를 수행하도록 UE(4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30)는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의 타입과 측정된 mobility가 다르고, UE(400)가 속한 현재의 TA가 변경되면, mobility 정보를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알려주도록 UE(4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30)는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의 타입과 측정된 mobility가 다르면,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되면, 측정된 mobility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네트워크 관리자로 전송하도록, UE(4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30)는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의 타입과 측정된 mobility가 다르면, 네트워크로의 억세스(access)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하고, 네트워크로의 억세스(access)가 발생하면, 측정된 mobility 정보를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 메시지를 네트워크 관리자로 전송하도록, UE(400)를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240)는 제어부(1230)의 제어에 따라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를 위한 메시지를 송수신한다.
타이머(1250)는 UE(400)의 특정 TA에서의 체류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타이머(1250)는 현재의 트래킹 영역(Tracking Area, TA)에 체류한 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는지를 여부를 제어부(1230)로 알려 줄 수 있다.
메시지 생성부(1260)는 제어부(1230)의 제어에 따라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에 필요한 메시지들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UE(400)는 네크워크(500)로부터 수신되는 TAL을 통하여 자신이 중첩 TA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즉, UE(400)는 TAL을 통해 중첩 TA에 위치함을 알 수 있고, 도 3 내지 도 11에 도시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UE(400)는 중첩 TA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mobility 측정을 통해 도 3 내지 도 11에 도시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AL은 표 1 및 표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TAL 타입 및 TAI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표 1]
Figure 112010006297414-pat00001
표 1은 도 2에 도시된 TAL 4와 같이 길고 큰(long and huge) 커버리지를 위한 TAL의 예를 나타낸다.
[표 2]
Figure 112010006297414-pat00002
표 2는 도 2에 도시된 TAL 2와 같이 작은 커버리지를 위한 TAL의 예를 나타낸다.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도 2의 A-2는 TAI가 22인 TA가 할당되어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TAL 할당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에 있어서, TAL 1, TAL 2, TAL 3, TAL 4는 각각 표 3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표 3]
Figure 112010006297414-pat00003
표 3을 참조하면, TAL 4는 도로와 같이 fast mobile이 많이 분포하는 지역의 TAL에 해당한다. 또한, TAL 1, TAL 2 및 TAL 3은 각각 주거지역 또는 사무실이 밀집되어 있는 지역의 TAL에 해당한다. 한편, TAL 4-1, TAL 4-2 및 TAL 4-3은 fast TAL을 적응적으로 설정한 예를 나타낸다.
실시 예에 따라서, UE(400)는 현재의 TA 및 상기 TAU가 요청된 시간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설정된 TAL을 할당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할당된 TAL 이 TAL 4이고, 특정 시간에 UE가 TAI-10에 위치하면, mobility가 slow 또는 stationary인 경우에 TAL 1을 할당 받지 않고, TAL 4-1 또는 TAL 4-2를 할당 받을 수 있다. 이때, 특정 시간은 예를 들어, UE의 mobility가 slow이지만 곧 fast로 변경될 것으로 예상되는 시간대 일 수 있다.
또한, UE의 이동 패턴이 네트워크에 시간대 별로 기록되어 있는 경우라면, UE는 가장 적합한 fast TAL을 할당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할당된 TAL이 TAL 2이고 UE가 TAI-11에 위치하는 경우, 퇴근시간 무렵에 TAU가 발생하면 TAL 4-2를 할당 받고, 퇴근시간 무렵 이외의 시간에는 TAL 4 또는 TAL 4-3를 할당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210 : Mobility 측정부
1220 : TAL 저장부
1230 : 제어부
1240 : 통신부
1250 : 타이머
1260 : 메시지 생성부

Claims (21)

  1.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타이머를 이용하여, 현재의 트래킹 영역(Tracking Area, TA)에 체류한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현재의 트래킹 영역(Tracking Area, TA)에 체류한 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현재 할당되어 있는 트래킹 영역 리스트(Tracking Area List, TAL)의 타입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의 타입이 고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을 위한 TAL 타입이면,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를 네트워크 관리자로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관리자로부터 새로운 TAL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새로운 TAL은 정지 단말 또는 저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을 위한 TAL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TAL은 상기 현재의 TA 및 상기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를 요청한 시간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mobility)를 측정하는 단계;
    현재 할당되어 있는 트래킹 영역 리스트(Tracking Area List, TAL)의 타입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가 다르면,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를 포함하는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네트워크 관리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관리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에 대응하는 TAL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의 타입은 고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을 위한 TAL 타입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는 정지 단말 또는 저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의 타입은 정지 단말 또는 저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을 위한 TAL 타입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는 고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에 대응하는 TAL은 상기 현재의 TA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를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시간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
  12.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mobility)를 측정하는 단계;
    현재 할당되어 있는 트래킹 영역 리스트(Tracking Area List, TAL)의 타입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가 다르면, 네트워크로의 억세스(access)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네트워크로의 억세스(access)가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를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 메시지를 네트워크 관리자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네트워크 관리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에 대응하는 TAL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의 타입은 고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을 위한 TAL 타입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는 정지 단말 또는 저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의 타입은 정지 단말 또는 저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을 위한 TAL 타입이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는 고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에 대응하는 TAL은 상기 현재의 TA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를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알려주는 시간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수행되는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
  16.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mobility)를 측정하는 모빌러티 측정부;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하여 할당된 트래킹 영역 리스트(Tracking Area List, TAL)를 저장하는 트래킹 영역 리스트 저장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mobility)와 할당된 TAL의 타입을 비교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하는 네트워크로의 억세스(access) 이벤트 또는 페이징 메시지 수신 이벤트에 기초하여,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를 위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페이징 영역 관리 장치.
  17.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mobility)를 측정하는 모빌러티 측정부;
    네트워크 관리자에 의하여 할당된 트래킹 영역 리스트(Tracking Area List, TAL)를 저장하는 트래킹 영역 리스트 저장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mobility)와 할당된 TAL의 타입을 비교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기초하여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를 위한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를 이용하여, 현재의 트래킹 영역(Tracking Area, TA)에 체류한 시간을 확인하고, 상기 현재의 트래킹 영역(Tracking Area, TA)에 체류한 시간이 기준시간을 초과하면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의 타입을 확인하고, 현재 할당되어 있는 TAL의 타입이 고속으로 이동하는 단말을 위한 TAL 타입이면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를 수행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페이징 영역 관리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할당되어 있는 트래킹 영역 리스트(Tracking Area List, TAL)의 타입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가 다르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속한 현재의 TA가 변경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를 네트워크 관리자에게 알려주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페이징 영역 관리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할당되어 있는 트래킹 영역 리스트(Tracking Area List, TAL)의 타입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가 다르면,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페이징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를 포함하는 페이징 응답 메시지를 네트워크 관리자로 전송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페이징 영역 관리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할당되어 있는 트래킹 영역 리스트(Tracking Area List, TAL)의 타입과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가 다르면, 네트워크로의 억세스(access)가 발생하는지를 판단하고, 네트워크로의 억세스(access)가 발생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를 포함하는 서비스 요청(Service Request) 메시지를 네트워크 관리자로 전송하도록, 상기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페이징 영역 관리 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에 대응하는 TAL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정도에 대응하는 TAL은 현재의 트래킹 영역 및 트래킹 영역 업데이트가 네트워크 관리자로 요청된 시간을 고려하여 적응적으로 설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징 영역 관리 장치.
KR1020100008281A 2010-01-29 2010-01-29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90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281A KR101090602B1 (ko) 2010-01-29 2010-01-29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 및 장치
US12/885,236 US20110190010A1 (en) 2010-01-29 2010-09-17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paging area
EP10191286A EP2355600A1 (en) 2010-01-29 2010-11-16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paging area
CN2010106118155A CN102143480A (zh) 2010-01-29 2010-12-21 用于管理寻呼区域的装置和方法
JP2010288436A JP2011160415A (ja) 2010-01-29 2010-12-24 ページングエリアの管理方法および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281A KR101090602B1 (ko) 2010-01-29 2010-01-29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673A KR20110088673A (ko) 2011-08-04
KR101090602B1 true KR101090602B1 (ko) 2011-12-08

Family

ID=43608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281A Expired - Fee Related KR101090602B1 (ko) 2010-01-29 2010-01-29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190010A1 (ko)
EP (1) EP2355600A1 (ko)
JP (1) JP2011160415A (ko)
KR (1) KR101090602B1 (ko)
CN (1) CN10214348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93552A (ko) * 2011-02-15 2012-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위치등록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30010722A (ko) 2011-07-19 2013-01-29 주식회사 케이티 Lte 시스템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9049683B2 (en) * 2011-09-02 2015-06-02 Alcatel Lucent Adaptive user equipment registration for communication networks
KR20130062599A (ko) 2011-12-05 2013-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추적 지역 목록을 관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N102572782A (zh) * 2012-01-16 2012-07-11 新邮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发起用户设备ue跟踪区更新的方法和系统
JPWO2013108319A1 (ja) * 2012-01-16 2015-05-11 日本電気株式会社 ページングエリア制御装置、ページングエリア制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局
WO2013119021A1 (ko) * 2012-02-06 2013-08-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의 휴면 모드 동작 방법 및 장치
KR101496352B1 (ko) 2012-06-18 2015-02-26 주식회사 케이티 펨토 기지국 및 매크로 기지국의 트래킹 영역 운용 방법 및 시스템
KR101892658B1 (ko) * 2012-10-11 2018-08-2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페이징 장치 및 방법
WO2014067049A1 (en) * 2012-10-29 2014-05-08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Mobility management for lte network for high-speed railway
KR101487488B1 (ko) * 2012-12-21 2015-01-29 주식회사 케이티 트래킹 영역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4322095B (zh) * 2013-05-23 2018-11-30 华为技术有限公司 位置区管理方法和核心网控制器
EP2991417B1 (en) 2013-05-23 2020-04-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Location area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CN111278077B (zh) * 2014-09-29 2021-09-17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用户设备接入高速移动工具通信网络的方法
WO2016201674A1 (zh) * 2015-06-18 2016-12-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寻呼方法和装置
JP6279655B2 (ja) * 2016-06-01 2018-02-14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携帯端末、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WO2018080606A1 (en) * 2016-10-24 2018-05-03 Qualcomm Incorporated Forbidden area procedures and connection release management
WO2018084789A1 (en) * 2016-11-02 2018-05-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s relating to two-layer area registration
CN109691196A (zh) * 2017-03-20 2019-04-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寻呼方法及相关设备
KR102356027B1 (ko) 2017-03-24 2022-01-26 삼성전자 주식회사 제1 무선접속기술과 제2 무선접속기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말이 측정 결과를 보고하는 방법 및 장치
CN109548099B (zh) * 2017-08-15 2021-02-05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装置和系统
EP3627916B1 (en) * 2017-08-28 2022-08-0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for paging and terminal device
US11412351B2 (en) * 2017-11-10 2022-08-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mobility management
CN111246393B (zh) * 2018-11-28 2021-08-31 华为技术有限公司 跟踪区更新的方法、传输广播消息的方法和通信装置
CN109548138B (zh) * 2019-01-02 2021-10-01 北京工业大学 小蜂窝网络中基于重叠社区检测的跟踪区列表管理方法
CN110149693B (zh) * 2019-04-22 2020-09-18 熊猫电子集团有限公司 卫星移动通信网络、系统、周期性位置更新时长的计算及更新方法
EP4066552A1 (en) * 2019-11-29 2022-10-05 Sony Group Corporation Paging area update and mobility pattern
WO2021093141A1 (en) * 2020-01-03 2021-05-20 Zte Corporatio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configuring micro service area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EP3952364A1 (en) * 2020-08-06 2022-02-0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Transceiver device, network entity and base station
EP4320946A1 (en) * 2021-04-09 2024-02-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 user equipment and methods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926B1 (ko) 2006-09-22 2008-01-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속도 및 방향을 고려한 페이징 시스템및 방법
KR100912505B1 (ko) * 2007-09-06 2009-08-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페이징 그룹을 관리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3242A (ja) * 1981-10-12 1983-04-15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移動通信方式
JPH06339173A (ja) * 1993-05-27 1994-12-06 Iwatsu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位置検索機能付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4755031B2 (ja) * 2001-02-28 2011-08-2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位置管理方法、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位置情報提供システム
JP3949902B2 (ja) * 2001-02-28 2007-07-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位置管理方法、通信システム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2003259412A (ja) * 2002-02-26 2003-09-12 Japan Telecom Co Ltd 移動通信制御装置
US8359046B2 (en) * 2003-06-20 2013-01-22 Ntt Docomo, Inc. Control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KR20070081050A (ko) * 2006-02-09 2007-08-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트랙킹 영역 설정 방법 및 그 시스템
CN101052204B (zh) * 2006-04-03 2011-12-28 华为技术有限公司 跟踪区重配置方法及系统、用户设备和移动性管理实体
CN101068370B (zh) * 2006-04-07 2011-06-15 华为技术有限公司 用户设备寻呼方法及系统
CN101170816A (zh) * 2006-10-24 2008-04-30 华为技术有限公司 注册区动态更新同步的方法及系统
WO2008082193A1 (en) * 2007-01-04 2008-07-10 Lg Electronics Inc. Tracking area choice
GB2449228A (en) * 2007-04-18 2008-11-19 Nec Corp Tracking area signalling for stationary mobile devices in a cellular communications network
GB2452691A (en) * 2007-05-24 2009-03-18 Nec Corp Signaling management in cellular mobile radio communications network
US20100329213A1 (en) * 2008-01-31 2010-12-30 Sadafuku Hayashi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ase station device, move control node, and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WO2010071545A1 (en) * 2008-12-17 2010-06-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handling at least one primary tracking area
US8428625B2 (en) * 2009-02-27 2013-04-23 Cisco Technology, Inc. Paging heuristics in packet based network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926B1 (ko) 2006-09-22 2008-01-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속도 및 방향을 고려한 페이징 시스템및 방법
KR100912505B1 (ko) * 2007-09-06 2009-08-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페이징 그룹을 관리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673A (ko) 2011-08-04
JP2011160415A (ja) 2011-08-18
US20110190010A1 (en) 2011-08-04
CN102143480A (zh) 2011-08-03
EP2355600A1 (en)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0602B1 (ko) 페이징 영역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490115B1 (ko) 무선 액세스 기술과 연관된 셀의 선택법
JP5158079B2 (ja) 移動無線通信装置及び携帯電話移動無線通信網装置
WO2018036455A1 (zh) 确定寻呼区域的方法及装置
US10045283B2 (e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small cell information to user equipments in a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WO2016141752A1 (zh) 小区选择的方法、anr配置方法、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07920328A (zh) 一种确定寻呼波束的方法、装置和系统
US20130148596A1 (en)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centralized base st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JP2020529784A (ja) 端末によるコアネットワークアクセス方法、基地局および端末
WO2009026814A1 (fr) Procédé de configuration de cellules voisines, dispositif de communication et terminal sans fil
CN102291820A (zh) 一种寻呼的方法、系统及装置
WO2016074515A1 (zh) 网络节点的选择、激活方法及装置
EP3841788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ioritizing cell selection
EP3917276A1 (en) Method for determining scheduling terminal, terminal, and network side apparatus
EP3513589A1 (en) Identification of neighboring network nod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4170418B (zh) 跟踪区域分配方法、设备及系统
EP3783943B1 (en) Coverage level updating method, base station, terminal, and readable storage medium
CN101873667A (zh) 一种主载波的选择方法及相关设备
EP2863677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determining and assisting in determining standby frequency point in cognitive radio system
CN110291813B (zh) 配置参考信号传输的方法、网络节点和存储介质
CN103327441A (zh) 一种最小化路测方法及装置
CN101472240B (zh) 私有小区信息下发方法和更新方法及通信网络和终端
JP6331529B2 (ja) 安否情報収集システム、安否情報収集方法、安否情報収集プログラム、基地局、および移動局
EP4132031A1 (en) Resource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1132071B (zh) 资源分配方法、装置、相关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9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