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89455B1 - 지엽류 조출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 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9455B1
KR101089455B1 KR1020077028548A KR20077028548A KR101089455B1 KR 101089455 B1 KR101089455 B1 KR 101089455B1 KR 1020077028548 A KR1020077028548 A KR 1020077028548A KR 20077028548 A KR20077028548 A KR 20077028548A KR 101089455 B1 KR101089455 B1 KR 101089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heet
roller
paper
kicker
sheet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8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3295A (ko
Inventor
도요푸미 이와미
히데히코 매츄시타
Original Assignee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3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3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45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38Construction of the 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50Surface of the elements in contact with the forwarded or guided material
    • B65H2404/53Surface of the elements in contact with the forwarded or guided material with particular mechanical, physical properties
    • B65H2404/531Surface of the elements in contact with the forwarded or guided material with particular mechanical, physical properties particular coefficient of friction
    • B65H2404/5311Surface with different coefficients of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50Surface of the elements in contact with the forwarded or guided material
    • B65H2404/55Built-up surface, e.g. arrangement for attaching the surface to the forwarding or guiding element
    • B65H2404/551Non permanent attachment, i.e. allowing interchange ability of the surface
    • B65H2404/5512Non permanent attachment, i.e. allowing interchange ability of the surface covering only a part of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B65H2701/1912Banknotes, bills and cheque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 지엽류 조출장치는, 집적상태로 있는 복수의 지엽류 중 최전위의 지엽류(P)의 표면에 닿아 축출을 실행하는 킥커 롤러(10)와, 킥커 롤러(10)에 의해 축출된 지엽류의 조출을 실행하는 피드 롤러(20)와, 피드 롤러(20)에 대해 압접하도록 설치되어 이 피드 롤러(20)에 의해 조출되는 지엽류를 1매씩 분리하는 게이트부(G)를 이 피드 롤러(20)와 사이에서 구성하는 압접 롤러(30)를 구비하고 있다. 킥커 롤러(10)는, 기체부(11)와, 이 기체부(11)의 외주에서의 원주방향 일부에 형성되어 최전위 지엽류(P)의 축출을 실행하는 고마찰부(12)를 갖고 있다. 피드 롤러(20)는, 기체부(21)와, 이 기체부(21)의 외주 전체 주위에 형성되어 킥커 롤러(10)에 의해 축출된 지엽류의 표면에 닿아 당해 지엽류의 조출을 실행하는 고마찰부(22)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지엽류 조출장치 {PAPER FEEDING DEVICE}
본 발명은, 집적상태(集積狀態)로 있는 복수의 지엽류(紙葉類)를 1매씩 외부로 순차로 조출하는 지엽류 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폐 계수기 등에 쓰이는 지엽류 조출장치(繰出裝置)는, 내부에서 집적상태로 있는 지엽류(예컨대 지폐 등)를 1매씩 순차로 조출해서 외부로 반출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일본국 특개소 62-280141호 공보나 일본국 특개 2003-155128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듯이, 이와 같은 지엽류 조출장치는, 일반적으로 집적상태로 있는 복수의 지엽류를 1매씩 축출(蹴出)해서 반출하기 위해, 외주면에 고마찰부(高摩擦部)가 형성된 킥커 롤러(kicker roller) 및 피드 롤러(feed roller)를 구비하고 있다. 또, 피드 롤러에 대향해서 게이트부재(역전 롤러)가 설치되어 있고, 피드 롤러와 게이트부재와의 사이에는, 지엽류를 1매만 통과시키고 2매째 이후의 지엽류가 끌려나가는 것(2매 이송)을 막는 게이트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지엽류 조출장치에서는, 조출을 실행하는 지엽류의 종류 가 바뀐 경우에는, 변경 후의 지엽류의 두께나 빳빳함의 정도에 대응해서 게이트부의 조정을 실행해야만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두께나 빳빳함의 강도(strength of rigidness)에 큰 차이가 있는 여러 나라의 지폐에 대해서는 이 게이트부의 조정이 곤란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여러 가지 두께나 빳빳함의 정도를 가진 복수 종류의 지엽류, 예컨대 여러 나라의 지폐에 대해, 2매 이송을 생기게 하지 않고 확실하게 1매씩의 조출을 실행할 수가 있고, 그 결과, 조출이 이루어지는 지엽류의 매수를 확실히 계측할 수 있는 지엽류 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지엽류 조출장치는, 집적상태로 있는 복수의 지엽류 중 가장 앞에 위치한 최전위(最前位)의 지엽류의 표면에 닿아, 지엽류의 조출을 실행할 때 연속적으로 회전하고, 기체부와, 이 기체부의 외주에서의 원주방향의 일부에 형성되어 최전위의 지엽류의 축출을 실행하는 고마찰부를 가진 킥커 롤러와; 지엽류의 조출을 실행할 때 연속적으로 회전하고, 기체부와, 이 기체부의 외주의 전체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킥커 롤러에 의해 축출된 지엽류의 표면에 닿아 당해 지엽류의 조출을 실행하는 고마찰부를 가진 피드 롤러와; 상기 피드 롤러에 대해 압접하도록 설치되어, 당해 피드 롤러에 의해 조출되는 지엽류를 1매씩 분리하는 게이트부를 이 피드 롤러와의 사이에서 구성하는 압접 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지엽류 조출장치에 의하면, 집적상태로 있는 지엽류를, 그 두께나 빳빳함의 정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확실하게 킥커 롤러에 의해 순차로 1매씩 축출할 수가 있고, 그 후 압접방식의 게이트부를 통과시켜줌으로써, 당해 지엽류의 두께나 빳빳함의 정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확실하게 순차로 1매씩 반출할 수가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여러 가지 두께나 빳빳함의 강도를 가진 복수 종류의 지엽류, 예컨대 여러 나라의 지폐에 대해 게이트부의 조정이 불필요해져, 이 지엽류에 대해 2매 이송이 생기지 않고 확실하게 1매씩의 조출을 실행할 수가 있고, 그 결과, 조출이 이루어지는 지엽류의 매수를 확실하게 계측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지엽류 조출장치에서는, 상기 킥커 롤러의 근방에 상기 최전위의 지엽류가 자유로이 진퇴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어서, 진출시(進出時)에는 상기 최전위의 지엽류를 압압하여 이 지엽류의 상기 킥커 롤러와의 접촉을 끊고, 퇴거 시에는 상기 최전위의 지엽류를 상기 킥커 롤러에 접촉시키는 스토퍼부재와 상기 킥커 롤러가 동기해서 회전하여, 적어도 상기 최전위의 지엽류에 대해 상기 킥커 롤러의 고마찰부가 접촉을 개시하는 축출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당해 최전위의 지엽류가 축출되어 상기 킥커 롤러의 고마찰부로부터 이간(離間)하는 축출 종료 타이밍까지의 사이에 상기 스토퍼부재를 퇴거시켜 놓고, 상기 축출 종료 타이밍으로부터 다음의 축출 개시 타이밍까지의 사이에 상기 스토퍼부재를 진출시키는 스토퍼부재 동작캠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지엽류 조출장치에 의하면, 적어도 최전위의 지엽류에 킥커 롤러의 고마찰부가 접촉해 있는 동안에는 스토퍼부재가 퇴거해서 이 최전위의 지엽류가 스토퍼부재에 의해 걸려지지지 않게 되는 한편, 최전위의 지엽류에 킥커 롤러의 고마찰부가 접촉해 있지 않는 동안에는 스토퍼부재가 이 지엽류를 압압해서 당해 지엽류가 스토퍼부재에 의해 걸려지게 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지엽류가 킥커 롤러에 의해 2매가 겹쳐 이송되는 것을 한층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지엽류 조출장치에서는, 상기 킥커 롤러의 기체부는, 적어도 상기 고마찰부의 근방에서 폭방향 한쪽 또는 양쪽의 단부분(端部分)이 중앙부분에 대해 패어져 있고, 당해 킥커 롤러의 외주에서의 기체부와 고마찰부의 경계부분에서 상기 기체부의 중앙부분과 고마찰부와의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단차(段差)를 생기게 하지 않지만, 상기 기체부의 단부와 고마찰부 사이에는 단차를 생기게 하도록 당해 킥커 롤러의 기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지엽류 조출장치에 의하면, 경계부위에서 기체부의 중앙부분과 고마찰부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단차가 없기 때문에, 집적상태(集積狀態)로 있는 최전위의 지엽류에 고마찰부가 접촉을 개시할 때에 발생하는 지엽류의 진동을 경감시킬 수가 있는 한편, 이 경계부위에서 기체부의 단부분과 고마찰부와의 사이에는 단차가 있기 때문에, 이 고마찰부에 의한 지엽류의 축출에서 엣지효과(edge effect)를 확실하게 얻을 수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지엽류 조출장치에서는, 상기 피드 롤러는, 상기 고마찰부의 한쪽 또는 양쪽의 측방에서 이 고마찰부 보다도 더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지엽류 조출장치에 의하면, 지엽류가 게이트부에 진입할 때의 저항을 증대시킬 수가 있어, 게이트부에서 복수의 지엽류가 겹쳐 이송되는 것을 보다 더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돌출부가 고마찰부 보다도 더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해 있기 때문에, 게이트부에 보내진 지엽류가 선단이 꺾여진 지엽류와 같은 이상(異常) 지엽류인 경우라 하더라도 이 게이트부에서 반송불량이 생기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지엽류 조출장치에서는, 상기 킥커 롤러의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최전위의 지엽류의 상단을 후방으로 압압(押壓)해서 이들 지엽류를 세워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압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지엽류 조출장치에 의하면, 압압부재가 최전위 지엽류의 상단을 후방으로 압압해서 이들 지엽류를 세워진 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이 최전위 지엽류의 하부와 피드 롤러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간극을 작게 할 수가 있어서, 킥커 롤러에 의해 축출된 지엽류가 이 간극에 끼인다거나 지엽류의 선단이 이 간극에서 꺽인다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또, 압압부재에 닿는 것은 최전위의 지엽류 중 상단부분만으로 되기 때문에, 최전위의 지엽류의 표면이 예컨대 안내부재에 의해 큰 안내저항을 받지 않게 되어 게이트에서의 지엽류의 공이송(空移送)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에서의 각 롤러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킥커 롤러의 구성의 상세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킥커 롤러의 측면도,
도 5는, 도 3의 킥커 롤러의 정면도,
도 6은, 1쌍의 킥커 롤러의 조합체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도 1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피드 롤러의 구성의 상세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1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피드 롤러 및 압접 롤러의 당접부분의 확대 설명도,
도 9는, 지엽류의 축출시에 도 1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스토퍼부재 및 스토퍼부재 동작캠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0은, 지엽류를 잡고 있을 때의 도 1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스토퍼부재 및 스토퍼부재 동작캠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11은, 변형예에 따른 지엽류 수납조산장치의 가동식 슬로프 부재(slope unit)의 구성의 상세를 나타낸 측면도,
도 12는, 지엽류의 축출시에 도 11의 가동식 슬로프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지엽류 조출장치를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에 적용한 경우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전체 구성, 각 부의 구체적 구성, 조작 및 작용 효과, 또는 변형예에 대해 순차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는, 복수의 지엽류를 세움상태로 올려놓는 재치대(載置臺; 45)와, 재치대(45) 상에서 집적상태로 되어 있는 복수의 지엽류(예컨대 지폐 등) 중 최전위의 지엽류(P)의 표면에 닿아 이 최전위의 지엽류(P)의 축출을 실행하는 좌우 1쌍의 킥커 롤러(10)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킥커 롤러(10)의 하방에는, 당해 킥커 롤러(10)에 의해 축출된 지엽류(P)의 조출을 실행하는 좌우 1쌍의 피드 롤러(20)와, 각 피드 롤러(20)에 대해 압접하여 설치되고서 이 피드 롤러(20)와의 사이에서 게이트부(G; 니프(nip))를 구성하는 좌우 1쌍의 압접 롤러(3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재치대(45)의 상방에는, 킥커 롤러(10)의 근방에 지엽 누름부재(40)가 떨어져 설치되어 있다. 이 지엽 누름부재(40)는 복수의 지엽류를 킥커 롤러(10)와의 사이에 끼우고 이들 복수의 지엽류를 세워 집적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 킥커 롤러(10)의 근방에는, 재치대(45) 상에서 집적상태로 있는 최전위의 지엽류(P)를 향해 자유로이 진퇴할 수 있게 되어 있는 스토퍼부재(50)가 설치되어 있고, 또 킥커 롤러(10)에는 스토퍼부재(5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스토퍼부재 동작캠(51)이 동축상(同軸狀)으로 부착되어 있다.
또, 피드 롤러(20)의 하방에는, 게이트부(G)로부터 조출된 지엽류의 안내를 실행하는 안내부재(29)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피드 롤러(20)에는, 좌우 1쌍의 제1 그립 롤러(grip roller; 25) 및 좌우 1쌍의 제2 그립 롤러(26)가 각각 닿아 있어, 이들 제1 그립 롤러(25) 및 제2 그립 롤러(26)와 피드 롤러(20)에 의해 게이트부(G)로부터 조출된 지엽류(P)를 다시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피드 롤러(20)의 근방에는, 좌우 1쌍의 제3 그립 롤러(27)와, 이 제3 그립 롤러(27)에 닿게 되는 좌우 1쌍의 반출 롤러(28)가 각각 설치되어 있어, 이들 제3 그립 롤러(27) 및 반출 롤러(28)에 의해 안내부재(29)를 따라 피드 롤러(20)와 제2 그 립 롤러(26) 사이의 니프(nip)로부터 조출된 지엽류(P)의 반출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이와 같은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각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킥커 롤러(1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집적상태로 있는 복수의 지엽류 중 최전위의 지엽류(P)의 표면에 닿아 있어, 지엽류(P)의 조출을 실행할 때 도 1의 화살표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킥커 롤러(1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예컨대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된 대략 원반형상의 기체부(11)와, 당해 기체부(11)의 외주에서의 원주방향의 일부에 형성되어 최전위의 지엽류(P)의 축출을 실행하는 고무부재(고마찰부; 12)를 갖고 있다. 이 고무부재(12)는, 기체부(11)의 외주 표면의 예컨대 약 1/4을 덮도록 되어 있다.
킥커 롤러(10)의 직경은 예컨대 약 40mm로 되어 있고, 그 폭은 예컨대 약 12mm로 되어 있다.
킥커 롤러(10)의 기체부(11)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적어도 고무부재(12)의 근방에서 폭방향에서의 양측 단부분(11a)이 중앙부분(11b)에 대해 패어져 있다. 여기서, 각 단부분(11a) 및 중앙부분(11b)의 폭은 각각 약 4mm 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킥커 롤러(10)의 외주에서의 기체부(11)와 고무부재(12)와의 경계부분(15)에서 단부분(11a)의 중앙부분(11b)에 대한 홈의 깊이(단차의 크기)가 최대로 되어 있다. 그리고, 기체부(11)의 외주면에서 이 경계부분(15)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멀어짐에 따라 홈의 깊이가 서서히 낮아져, 기체부(11)의 외주면에서의 고무부재(12)의 부착부분과 직경방향에 대향하는 곳(16)에서는 단부분(11a)과 중앙부분(11b) 사이에는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기체부(11)와 고무부재(12)와의 경계부분(15)에서, 이 기체부(11)의 중앙부분(11b)과 고무부재(12)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단차가 생기지 않으나, 기체부(11)의 단부분(11a)과 고무부재(12) 사이에는 단차가 생기도록 되어 있다.
한편, 기체부(11)는 폭방향에서의 양측의 단부분(11a)이 중앙부분(11b)에 대해 패어진 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한쪽 편만의 단부분(11a)이 중앙부분(11b)에 대해 패어져 있어도 좋다. 또,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우 1쌍의 킥커 롤러(10)의 조합체에서의 각 바깥쪽만의 단부분(11a)이 각각 중앙부분(11b)에 대해 패이도록 각 기체부(11)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피드 롤러(2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엽류(P)의 조출을 실행할 때 도 1의 화살표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 피드 롤러(20)는, 예컨대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된 대략 원반형상의 기체부(21)와, 당해 기체부(21)의 외주의 전체 주위에 형성된 고무부재(고마찰부; 22)를 갖고 있다. 고무부재(22)는, 킥커 롤러(10)에 의해 축출된 지엽류(P)의 표면에 닿아 이 지엽류의 조출을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7 및 도 8에만 나타낸 것과 같이 기체부(21) 및 고무부재(22)의 조합체의 양쪽에는 예컨대 플라스틱으로 된 1쌍의 플렌지(23)가 부착되어 있다. 이 플렌지(23)는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무부재(22)보다도 더 피드 롤러(20)의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예컨대 0.2mm만큼 돌출하는 돌출부(23a)를 형성하고 있다.
피드 롤러(20)의 직경은 예컨대 약 30mm로 되어 있고, 그 폭은 예컨대 약 8mm로 되어 있다.
압접 롤러(30)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피드 롤러(20)에 대해 압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압접 롤러(30)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예컨대 플라스틱이나 금속으로 된 대략 원반형상의 기체부(31)와, 당해 기체부(31)의 외주의 전체 주위에 형성된 고무부재(고마찰부; 32)를 갖고 있다.
압접 롤러(30)의 고무부재(32)는, 피드 롤러(20)의 고무부재(22)와의 사이에서 게이트부(니프; G)를 구성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압접 롤러(30)의 고무부재(32)의 폭은 피드 롤러(20)의 고무부재(22)의 폭보다도 조금 좁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압접 롤러(30)는, 다시 내부에 토크 리미터(도시되지 않음)를 갖고 있어 서, 피드 롤러(20)와 압접 롤러(30) 사이에 지엽류가 없는 경우는, 압접 롤러(30)에 설정 토크 이상으로 토크가 인가되어, 이 압접 롤러(30)가 피드 롤러(20)를 따라 돌도록 되어 있다. 한편, 피드 롤러(20)와 압접 롤러(30) 사이에 지엽류가 1매 이상 끼인 경우는, 이 압접 롤러(30)에 설정 토크보다 작은 토크밖에 걸리지 않고, 그 때문에 당해 압접 롤러(30)는 토크 리미터에 의해 회전이 강제적으로 정지된다. 그 결과, 피드 롤러(20)에 닿아 있는 1매의 지엽류만 피드 롤러(20)의 회전에 의해 조출되게 되어, 게이트부(G)에서의 복수의 지엽류의 반송이 억지된다.
이와 같이, 피드 롤러(20)와 압접 롤러(30) 사이에 압접방식의 게이트부(G)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게이트부(G)에 의해 피드 롤러(20)에 의해 조출되는 지엽류(P)가 1매씩 분리되게 된다.
압접 롤러(30)의 직경은 예컨대 약 26mm로 되어 있고, 그 폭은 예컨대 약 6mm로 되어 있다.
또, 압접 롤러(30)를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부로서 원웨이 클러치(도시되지 않음)가 당해 압접 롤러(30)에 접속되어 있다. 원웨이 클러치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지엽류의 조입시에는, 이 압접 롤러(30)가 앞에서 설명한 토크 리미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회전할 수가 있게 된다.
지엽 누름부재(40)는, 재치대(45) 상에서 킥커 롤러(10)를 향해 자유로이 진퇴할 수 있게 되어 있는바(도 1의 좌우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음), 이 지엽 누름부재(40)가 킥커 롤러(10)를 향해 전진함으로써(도 1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당해 지엽 누름부재(40)와 킥커 롤러(10) 사이에 놓여진 복수의 지엽류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지엽 누름부재(40)의 킥커 롤러(10) 측의 표면에는, 재치대(45) 상에서 집적상태로 있는 복수의 지엽류 중 최후위의 지엽류의 표면에 닿는 고무부재(고마찰부;41)가 부착되어 있어, 지엽 누름부재(40)의 전진시에 이 고무부재(41)가 집적상태로 복수의 지엽류를 전방향(도 1의 오른쪽 방향)으로 압압해서 세움상태가 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지엽 누름부재(40)의 킥커 롤러(10) 측 표면에 부착되는 부재로는, 앞에서 설명한 고무부재(41)로 한정되지 않고, 지엽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보다도 큰 마찰력을 가진 부재이면 된다.
스토퍼부재(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킥커 롤러(10) 근방에 설치되고서, 재치대(45) 상에서 집적상태로 있는 최전위의 지엽류(P)를 향해 자유로이 진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스토퍼부재(50)는, 킥커 롤러(10)와 충돌하지 않도록 진퇴방향으로 개구된 중공부분을 가져(도 2 참조), 이 스토퍼부재(50)의 중공부분을 킥커 롤러(10)가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스토퍼부재(50)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최전위의 지엽류(P)를 향해 자유로이 진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스토퍼 레버(50a)와, 이 스토퍼 레버(50a)의 지엽류(P) 측(도 9의 좌측)에 부착된 스토퍼 고무(고마찰부: 50b)를 갖고 있다. 여기서, 도 9는, 지엽류의 축출시에 스토퍼부재(50) 및 스토퍼부재 동작캠(51)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0은, 지엽류를 잡고 있을 때의 스토퍼부재(50) 및 스토퍼부재 동작캠(51)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스토퍼 레버(50a)는 그 하단부가 피드 롤러(20)의 축 근방에 추지(樞支)되어 있고, 이 하단부로부터 위쪽으로 뻗어 있다. 그리고, 이 스토퍼 레버(50a)는, 추지된 하단부를 중심으로 해서 도 9의 좌우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스토퍼 레버(50a)에는, 스프링 등의 되돌림기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지엽류(P)로부터 이간하도록(도 9의 오른쪽으로 이동하도록) 작용하는 힘이 상시 가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뒤에 설명하는 스토퍼부재 동작캠(51)에 의해 지엽류(P)를 향해 전진하도록 작용하는 힘이 스토퍼부재(50)에 가해지지 않는 한은, 스토퍼 레버(50a)는 지엽류(P)로부터 이간하도록(도 9의 오른쪽으로) 하단부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게 된다.
스토퍼 고무(50b)는 스토퍼 레버(50a)의 중간위치 부근에 부착되어 있고, 이 스토퍼 레버(50a)로부터 지엽류(P) 측(도 9의 좌측)으로 돌출해 있다. 한편, 이 스토퍼 고무(50b)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1 개의 스토퍼부재(50)에서 좌우로 2개가 부착되어 있다.
또,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토퍼부재(50)의 중간위치보다 약간 상방의 측면에는, 원형의 회전판(52)이 자유로이 회동할 수 있게 부착되어 있다.
스토퍼부재(50)는, 킥커 롤러(10)에 의한 지엽류(P)의 축출시에 스토퍼 레버(50a)가 최전위의 지엽류(P)로부터 퇴거해서(도 9 참조), 스토퍼 고무(50b)가 이 최전위의 지엽류(P)와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때에, 도 9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엽류(P)를 향하는 방향에서 스토퍼부재(50)의 스토퍼 고무(50b)는 킥커 롤러(10)의 외주면보다도 예컨대 1.59mm만 후퇴해 있다.
또, 이 스토퍼부재(50)는, 재치대(45) 상의 지엽류(P)가 축출되어 있지 않았을 때에 스토퍼 레버(50a)가 최전위의 지엽류(P)를 향해 진출하여(도 10 참조), 스토퍼 고무(50b)가 최전위의 지엽류(P)와 접촉해서 이 지엽류(P)를 후방(도 10의 좌측)으로 압압하고 있다. 이때에,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엽류(P)로 향하는 방향에서 스토퍼부재(50)의 스토퍼 고무(50b)는 킥커 롤러(10)의 외주면 보다도 예컨대 1mm만 전진해 있다.
스토퍼부재 동작캠(51)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그 중심이 킥커 롤러(10)의 축에 부착되어, 킥커 롤러(10)와 동기해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 스토퍼부재 동작캠(51)은 대략 원반형상으로 되어 있고, 그 외주면은 단면이 반원형상인 제1 외주면(51a)과 축과의 사이의 거리가 제1 외주면(51a)의 반경보다도 짧게 되어 있는 제2 외주면(51b)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토퍼부재 동작캠(51)의 외주면은, 스토퍼부재(50)에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부착된 회전판(52)의 외주면에 닿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최전위의 지엽류(P)에 대해 킥커 롤러(10)의 고무 부재(12)가 접촉을 개시하는 축출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이 최전위의 지엽류(P)가 축출되어 고무부재(12)로부터 이간하는 축출 종료 타이밍까지의 사이에, 회전판(52)의 외주면이 스토퍼부재 동작캠(51)의 외주면 중 제2 외주면(51b)에 닿도록 되어 있다(도 9 참조). 한편, 앞에서 설명한 축출 종료 타이밍으로부터 다음의 축출 개시 타이밍까지의 사이에는, 회전판(52)의 외주면이 스토퍼부재 동작캠(51)의 외주면 중 제1 외주면(51a)에 닿도록 되어 있다(도 10 참조).
스토퍼부재 동작캠(51)에서, 제1 외주면(51a)이 회전판(52)의 외주면과 닿는 경우에는, 제2 외주면(51b)이 회전판(52)의 외주면과 닿는 경우와 비교해서 회전판(52)을 보다 더 지엽류(P)에 접근시키도록 이동시킬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스토퍼부재 동작캠(51)의 제2 외주면(51b)이 회전판(52)의 외주면과 닿아 있는 경우는, 지엽류(P)로 향하는 방향에서 스토퍼부재(50)의 스토퍼 고무(50b)가 킥커 롤러(10)의 외주면 보다도 후퇴하는 한편, 스토퍼부재 동작캠(51)의 제1 외주면(51a)이 회전판(52)의 외주면과 닿아 있는 경우는, 지엽류(P)로 향하는 방향에서 스토퍼부재(50)의 스토퍼 고무(50b)가 킥커 롤러(10)의 외주면 보다도 전진하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실시형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최초로, 집적상태로 있는 복수의 지엽류를 1매씩 외부로 순차로 조출하는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복수의 지엽류를 재치대(45) 상에서의 지엽 누름부재(40)와 킥커 롤러(10) 사이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지엽 누름부재(40)를 킥커 롤러(10)를 향해 전진시킴으로써(도 1의 오른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지엽 누름부재(40)와 킥커 롤러(10) 사이에 복수의 지엽류를 협지해서 이들 지엽류를 세움상태가 되도록 한다.
지엽 누름부재(40)는, 재치대(45) 상에서 상시 킥커 롤러((10)를 향해 전진하도록 뒤쪽으로부터 힘이 가해져 있어서, 집적상태로 있는 지엽류 중 일부의 지엽류가 킥커 롤러(10)에 의해 축출된 경우에도 나머지 지엽류를 항상 세워진 상태로 유지할 수가 있게 된다.
지엽 누름부재(40)에 의해 복수의 지엽류를 세워 집적한 후, 킥커롤러(10) 및 피드 롤러(20)를 도 1의 화살표방향으로 각각 연속적으로 회전시킨다. 이때에, 킥커 롤러(10)의 축에 중심이 부착된 스토퍼부재 동작캠(51)도 이 킥커 롤러(10)와 동기해서 연속적으로 회전한다.
킥커 롤러(10)가 연속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집적상태로 있는 복수의 지엽류 중 최전위의 지엽류(P)가 고무부재(12)에 닿아, 이 최전위의 지엽류(P)가 아래쪽으로 축출된다.
여기서, 최전위의 지엽류(P)에 대해 킥커 롤러(10)의 고무부재(12)가 접촉을 개시하는 축출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이 최전위의 지엽류(P)가 축출되어 고무부재(12)로부터 이간하는 축출 종료 타이밍까지의 사이에는, 스토퍼부재(50)에 추지 된 회전판(52)의 외주면이 스토퍼부재 동작캠(51)의 제2 외주면(51b)에 닿도록 되어 있다(도 9 참조). 이 때문에, 지엽류(P)로 향하는 방향에서 스토퍼부재(50)의 스토퍼 고무(50b)는 킥커 롤러(10)의 외주면 보다도 후퇴해 있어서, 최전위의 지엽류(P)가 스토퍼부재(50)에 의해 걸려지는 일은 없다.
한편, 킥커 롤러(10)의 고무부재(12)에 의해 최전위의 지엽류(P)가 축출된 후, 킥커 롤러(10)가 다시 회전해서 다음의 지엽류에 고무부재(12)가 접촉하기까지의 사이에, 스토퍼부재(50)에 추지된 회전판(52)의 외주면이 스토퍼부재 동작캠(51)의 제1 외주면(51a)에 닿도록 되어 있다(도 10 참조). 이 때문에, 지엽류(P)로 향하는 방향에서 스토퍼부재(50)의 스토퍼 고무(50b)는 킥커 롤러(10)의 외주면 보다도 전진해 있어서, 다음의 지엽류가 스토퍼부재(50)에 의해 걸려져 킥커 롤러(10)에 의해 복수의 지엽류가 겹쳐 이송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킥커 롤러(10)의 외주에서의 기체부(11)와 고무부재(12)와의 경계부분(15)에서 이 기체부(11)의 중앙부분(11b)과 고무부재(12)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단차가 없기 때문에, 집적상태로 있는 최전위의 지엽류(P)에 고무부재(12)가 접촉을 개시할 때에 발생하는 지엽류(P)의 진동을 경감할 수가 있다. 한편, 이 경계부분(15)에서 기체부(11)의 단부분(11a)과 고무 부재(12)와의 사이에는 단차가 있기 때문에, 이 고무부재(12)에 의한 지엽류(P)의 축출에서 엣지효과를 확실히 얻을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재치대(45) 상에서 집적상태로 있는 복수의 지엽류를 킥커 롤러(10)에 의해 순차로 1매씩 간헐적으로 후단의 피드 롤러(20)로 축출할 수가 있다.
킥커 롤러(10)에 의해 하방으로 축출된 지엽류는, 피드 롤러(20)의 고무부재(22)와 압접 롤러(30)의 고무부재(32) 사이에 구성된 게이트부(G; 니프)로 보내져, 이 게이트부(G)에 보내진 지엽류가 피드 롤러(20)에 의해 1매씩 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에, 압접 롤러(30)가 피드 롤러(20)에 대해 압접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피드 롤러(20)와 압접 롤러(30)와의 사이에 지엽류가 없는 경우는, 압접 롤러((30)에 설정 토크 이상으로 토크가 인가되게 되어, 이 압접 롤러(30)가 피드 롤러(20)를 따라 돌게 되어, 도 1의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피드 롤러(20)와 압접 롤러(30) 사이에 지엽류가 1매 이상 사이에 끼인 경우는, 이 압접 롤러(30)에 설정 토크보다 작은 토크밖에 걸리지 않고, 이 때문에 당해 압접 롤러(30)는 토크 리미터에 의해 회전이 강제적으로 정지된다. 그 결과, 피드 롤 러(20)에 닿아 있는 1매의 지엽류만이 이 피드 롤러(20)의 회전에 의해 조출이 되어, 게이트부(G)에서의 복수의 지엽류의 반송이 억지된다.
여기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피드 롤러(20)는, 고무부재(22) 보다도 더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플렌지(23)를 양쪽에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엽류가 게이트부(G)에 진입할 때의 저항을 증대시킬 수가 있어, 게이트부(G)에서 복수의 지엽류가 겹쳐 이송되는 것을 다시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 플렌지(23)가 고무부재(22) 보다도 더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해 있기 때문에, 게이트부(G)로 보내진 지엽류가 선단이 꺾여진 지엽류와 같은 이상 지엽류인 경우이더라도 이 게이트부(G)에서 반송 불량이 생기지 않게 된다.
피드 롤러(20)와 압접 롤러(30)와의 사이에 있는 게이트부(G)로부터 배출 된 지엽류는, 안내부재(29)를 따라 다시 제1 그립 롤러(25) 및 제2 그립 롤러(26)에 의해 반송되고, 마지막으로 제3 그립 롤러(27) 및 반출 롤러(28) 사이에 있는 니프로부터 반출이 된다.
다음에는, 본 실시형태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에 대해, 외부로부터 순차로 보내지는 복수의 지엽류를 수납해서 집적상태로 하는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3 그립 롤러(27) 및 반출 롤러(28) 사이에 지엽류를 1매씩 삽입하면, 이 삽입된 지엽류는 안내부재(29)를 따라 피드 롤러(20)와 압접 롤러(30) 사이의 게이트부(G)로 보내진다. 여기서, 피드 롤러(20)는 도 1의 화살표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하고 있다.
게이트부(G)로 보내진 지엽류는 피드 롤러(20)에 의해 1매씩 조입(繰入)이 실행된다. 이때에, 압접 롤러(30)가 피드 롤러(20)에 대해 압접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게이트부(G)에서 안정된 그립력이 얻어지게 된다. 또, 압접 롤러(30)를 보유지지하는 보유지지부로서 원웨이 클러치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지엽류의 조입시에, 압접 롤러(30)는 토크 리미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자유로이 회전할 수가 있고, 그 결과 이 압접 롤러(30)는 핀치롤러로서의 기능을 하게 된다.
피드 롤러(20)에 의해 조입이 실행된 지엽류는 재치대(45) 상으로 순차로 보내진다. 그리고, 재치대(45) 상에 보내져 집적된 복수의 지엽류는, 지엽 누름부재(40)와 킥커 롤러(10)와의 사이에서 협지됨으로써 세움상태로 된다.
이때에, 피드 롤러(20)는, 고무부재(22)의 양쪽에 이 고무부재(22) 보다도 더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플렌지(23)를 갖고 있기 때문에, 지엽류의 수납 시에, 지엽류가 게이트부(G)를 통과할 때 예컨대 파형으로 만곡된 단면형상으로 되어 이 지엽류에 대해 빳빳함을 부가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재치대(45) 상에서 지엽류를 집적할 때에, 보내진 지엽류에 빳빳함이 부가됨으로써 안정되게 집적 시킬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에 의하면, 킥커 롤러(10)에서 기체부(11)의 외주에서의 원주방향의 일부에 고무부재(고마찰부; 12)가 형성됨과 더불어 피드 롤러(20)에서 기체부(21)의 외주의 전체 주위에 고무부재(고마찰부; 22)가 형성되어 있고, 또 피드 롤러(20)에 의해 조출되는 지엽류를 1매씩 분리하는 압접 방식의 게이트부(G)가 이 피드 롤러(20)와 압접 롤러(30) 사이에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집적상태로 있는 지엽류를, 그 두께나 빳빳함의 강도에 영향 을 받지 않고 확실히 킥커 롤러(10)에 의해 순차로 1매씩 축출할 수가 있고, 그 후 압접 방식의 게이트부(G)를 통과 시켜줌으로써, 당해 지엽류의 두께나 빳빳함의 강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확실하게 순차로 1매씩 반출할 수가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여러 가지 두께나 빳빳함의 강도를 가진 복수의 종류의 지엽류, 예컨대 여러 나라의 지폐에 대해 게이트부의 조정이 불필요해져, 이 지엽류에 대해 겹쳐져 이동하는 것을 생기게 하지 않아 확실하게 1매씩의 조출을 실행할 수가 있고, 그 결과, 조출이 이루어지는 지엽류의 매수를 확실히 계측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이와 같은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에 의하면, 지엽류의 조출을 조입과 동일한 반송로에서 실행될 수가 있기 때문에,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를 소형으로 할 수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지엽류의 조입 및 조출을 실행하는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고, 지엽류를 조입해서 수납하는 기능은 갖지 않고, 지엽류를 1매씩 외부로 순차로 조출하기만 하는 지엽류 조출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한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는, 상기의 태양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가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의한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의 변형예에 대해, 도 11 및 도 12에 의해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에서,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킥커 롤러(10)의 근방에, 재치대(45) 상에서 집 적상태로 있는 복수의 지엽류 중 최전위의 지엽류(P)의 상단을 후방(도 11의 좌측)으로 압압해서 이들 지엽류를 세워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동식 슬로프 부재(압압부재; 60)를 설치하여도 좋다. 한편, 재치대(45) 상의 최전위의 지엽류(P)의 상단을 후방으로 압압하는 압압부재로는, 앞에서 설명한 가동식 슬로프 부재(60)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고정식인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가동식 슬로프 부재(60)는 그 하단부가 킥커 롤러(10)의 축 근방에 추지되어 있고, 이 하단부로부터 지엽류(P)를 향해 전방 상방(도 11의 위쪽 방향)으로 뻗어 있다. 그리고, 이 가동식 슬로프 부재(60)는, 추지된 하단부를 중심으로 해서 도 11의 좌우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가동식 슬로프 부재(60)에는, 지엽류(P) 측으로(도 11의 화살표방향으로) 넘어지도록 예컨대 스프링 부재(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힘이 가해지고 있다. 이 때문에, 가동식 슬로프 부재(60)는,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재치대(45) 상에서 집적상태로 있는 복수의 지엽류 중 최전위의 지엽류(P)의 상단에 닿아, 이 최전위의 지엽류(P)의 상단을 후방으로 압압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킥커 롤러(10)의 근방에는, 연직방향으로 뻗은 안내부재(61)가 고정되어 설치되어 있고, 이 안내부재(61)는 최전위의 지엽류(P)와 대향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은 구성된 본 변형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는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지엽류의 조출을 실행할 때에, 최초로 복수의 지엽류를 재치대(45) 상에서의 지엽 누름부재(40)와 킥커 롤러(10) 사이에 올려놓을 때에, 이들 지엽류는 완전히 세움상태로 되지 않고 킥커 롤러(10)를 향해 앞쪽으로 기울어진 자세로 되는 수가 있다. 또, 지엽류가 킥커 롤러(10)에 의해 반출되는 사이, 지엽 누름부재(40)에 의해 재치대(45) 상의 지엽류가 전방(킥커 롤러(10) 측)으로 압출되지만, 지엽류의 하단부와 재치대(45)의 표면과의 사이에 마찰이 작용함으로써 이들 지엽류는 압출되는 사이에 세움상태로부터 전방으로 넘어져 앞쪽으로 기울어진 자세로 되는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앞에서 설명한 스프링 부재에 의해 가동식 슬로프 부재(60)에 대해 지엽류(P) 측으로 넘어지도록 힘을 가한다. 이에 의해, 가동식 슬로프 부재(60)에 의해 최전위의 지엽류(P)의 상단이 후방으로 압압되어, 재치대(45) 상에서 앞쪽으로 기움 자세로 되어 있는 복수의 지엽류가 세움 상태로 된다.
다음, 킥커 롤러(10)가 연속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집적상태로 있는 복수의 지엽류 중 최전위의 지엽류(P)가 고무부재(12)에 닿아, 이 최전위의 지엽류(P)가 아래쪽으로 축출된다. 이와 같이 해서, 재치대(45) 상에서 집적상태로 있는 복수의 지엽류를 킥커 롤러(10)에 의해 순차로 1매씩 간헐적으로 후단의 피드 롤러(20)로 축출하도록 되어 있다(도 12 참조). 이때에, 지엽류(P)를 향해 전방 위쪽으로 뻗은 가동식 슬로프부재(60)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지엽류와 피드 롤러(20)와의 사이에 큰 간극(공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어, 게이트부(G)에서 지엽류의 공이송이 발생하거나 지엽류의 선단이 꺾인다거나 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가동식 슬로프 부재(60)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재치대(45) 상에 있는 복수의 지엽류가 킥커 롤러(10)를 향해 앞쪽으로 기울어진 자세로 됨으로써, 이 재치대(45) 상에 있는 지엽류의 하부와 피드 롤러(20)와의 사이에 큰 간극이 발생하고, 킥커 롤러(10)에 의해 축출된 최전위의 지엽류(P)가 이 간극에 끼어져 직접적으로 게이트부(G)로 보내지지 않는 일이 있다. 또, 이 간극에 의해 지엽류(P)의 선단이 꺾일 수가 있다. 이에 대해, 가동식 슬로프 부재(60)를 설치함으로써,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앞에서 설명한 가동식 슬로프 부재(60)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재치대(45) 상에 있는 지엽류의 하부와 피드 롤러(20)와의 사이의 간극을 작게 할 수가 있고, 이 간극에서 지엽류(P)가 끼인다거나 선단이 꺾인다거나 하는 것을 억지할 수가 있다.
그리고, 가동식 슬로프부재(60)가 지엽류(P)에 대해 전방 위쪽으로 경사져 있기 때문에, 지엽류(P)가 킥커 롤러(10)에 의해 축출되어 게이트부(G)로 보내질 때에도, 이 가동식 슬로프 부재(60)에 닿는 것은 지엽류(P) 중 상단부분만으로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변형예의 지엽류 수납 조출장치에 의하면, 가동식 슬로프 부재(압압부재; 60)가 최전위의 지엽류(P)의 상단을 후방으로 압압해서 이들 지엽류를 세워진 상태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 최전위의 지엽류(P)의 하부와 피드 롤러(20)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간극을 작게 할 수가 있어, 킥커 롤러(10)에 의해 축출된 지엽류(P)가 이 간극에서 끼인다거나 지엽류(P)의 선단이 이 간극에서 꺾인다거나 하는 것을 억지할 수가 있다. 또, 가동식 슬로프 부재(60)에 닿는 것은 최전 위의 지엽류(P) 중 상단부분 만으로 되기 때문에, 최전위의 지엽류(P)의 표면이 안내부재(61)에 의해 큰 안내저항을 받지 않게 되어 게이트부(G)에서의 지엽류의 공이송의 발생을 방지할 수가 있다.

Claims (5)

  1. 집적상태로 있는 복수의 지엽류 중 최전위 지엽류의 표면에 닿아, 지엽류의 조출을 실행할 때 연속적으로 회전하고, 기체부와, 이 기체부의 외주에서의 원주방향 일부에 형성되어 최전위 지엽류의 축출을 실행하는 고마찰부를 가진 킥커 롤러와,
    지엽류의 조출을 실행할 때 연속적으로 회전하고, 기체부와, 이 기체부의 외주의 전체 주위에 형성되어 상기 킥커 롤러에 의해 축출된 지엽류의 표면에 닿아 당해 지엽류의 조출을 실행하는 고마찰부를 가진 피드 롤러와,
    상기 피드 롤러에 대해 압접하도록 설치되어, 당해 피드 롤러에 의해 조출되는 지엽류를 1매씩 분리하는 게이트부를 이 피드 롤러와의 사이에서 구성하되, 상기 피드 롤러와의 사이에 지엽류가 없는 경우에는 당해 피드 롤러의 회전에 따라서 돌게 되는 압접 롤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조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전위의 지엽류을 향해 자유로이 진퇴할 수 있게 설치되어, 진출시에는 상기 최전위의 지엽류를 압압해서 이 지엽류의 상기 킥커 롤러와의 접촉을 끊고, 퇴거시에는 상기 최전위의 지엽류를 상기 킥커 롤러에 접촉시키는 스토퍼부재와,
    상기 킥커 롤러와 동기해서 회전하되, 적어도 상기 최전위의 지엽류에 대해 상기 킥커 롤러의 고마찰부가 접촉을 개시하는 축출 개시 타이밍으로부터 당해 최전위의 지엽류가 축출되어 상기 킥커 롤러의 고마찰부로부터 이간하는 축출 종료 타이밍까지의 사이에는 상기 스토퍼부재를 퇴거시켜 놓고, 상기 축출 종료 타이밍으로부터 다음의 축출 개시 타이밍까지의 사이에는 상기 스토퍼부재를 진출시키는 스토퍼부재 동작 캠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조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킥커 롤러는, 그의 외주에, 최선위 지엽류의 축출을 실행하는 고마찰부와, 이 고마찰부보다도 회전방향 직전위치의 폭 방향으로의 한쪽 또는 양쪽의 단부분에만 형성된 홈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조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 롤러는, 상기 고마찰부의 한쪽 또는 양쪽의 측방에서 이 고마찰부보다도 직경방향 바깥쪽으로 더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조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엽류를 세워진 상태로 집적하여 하방으로 조출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최전위의 지엽류의 상단을 후방으로 압압해서 이들 지엽류를 세워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압압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엽류 조출장치.
KR1020077028548A 2005-06-14 2005-06-14 지엽류 조출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894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10839 WO2006134637A1 (ja) 2005-06-14 2005-06-14 紙葉類繰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3295A KR20080023295A (ko) 2008-03-13
KR101089455B1 true KR101089455B1 (ko) 2011-12-07

Family

ID=37532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54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89455B1 (ko) 2005-06-14 2005-06-14 지엽류 조출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744082B2 (ko)
EP (2) EP1892205B1 (ko)
JP (1) JP4846716B2 (ko)
KR (1) KR101089455B1 (ko)
CN (1) CN101198533B (ko)
CA (1) CA2611937C (ko)
WO (1) WO20061346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653B1 (ko) 2011-04-19 2012-07-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 수납 방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98574B2 (ja) * 2006-12-27 2011-06-0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葉類分離機構
JP4962448B2 (ja) * 2008-08-21 2012-06-2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搬送機構
JP4808765B2 (ja) * 2008-12-25 2011-11-02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幣分離機構
TWI351349B (en) * 2009-03-31 2011-11-01 Avision Inc Feed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usin
JP5244719B2 (ja) * 2009-07-03 2013-07-24 日立オムロンターミナ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紙葉類繰り出し機構
FR2948108B1 (fr) * 2009-07-20 2011-08-05 Neopost Technologies Dispositif d'alimentation a adherence amelioree
JP5564915B2 (ja) * 2009-11-30 2014-08-0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幣入出金機
KR101120878B1 (ko) * 2009-12-31 2012-02-2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 자동화기기
US8908877B2 (en) 2010-12-03 2014-12-09 Cirrus Logic, Inc. Ear-coupling detection and adjustment of adaptive response in noise-canceling in personal audio devices
EP2647002B1 (en) 2010-12-03 2024-01-31 Cirrus Logic, Inc. Oversight control of an adaptive noise canceler in a personal audio device
CN102529153A (zh) * 2010-12-15 2012-07-04 利乐拉瓦尔集团及财务有限公司 坯材输送的装置和设备
US9824677B2 (en) 2011-06-03 2017-11-21 Cirrus Logic, Inc. Bandlimiting anti-noise in personal audio devices having adaptive noise cancellation (ANC)
US8958571B2 (en) 2011-06-03 2015-02-17 Cirrus Logic, Inc. MIC covering detection in personal audio devices
US9214150B2 (en) 2011-06-03 2015-12-15 Cirrus Logic, Inc. Continuous adaptation of secondary path adaptive response in noise-canceling personal audio devices
US8948407B2 (en) 2011-06-03 2015-02-03 Cirrus Logic, Inc. Bandlimiting anti-noise in personal audio devices having adaptive noise cancellation (ANC)
US9318094B2 (en) 2011-06-03 2016-04-19 Cirrus Logic, Inc. Adaptive noise canceling architecture for a personal audio device
US9325821B1 (en) * 2011-09-30 2016-04-26 Cirrus Logic, Inc. Sidetone management in an adaptive noise canceling (ANC) system including secondary path modeling
US9142205B2 (en) 2012-04-26 2015-09-22 Cirrus Logic, Inc. Leakage-modeling adaptive noise canceling for earspeakers
US9014387B2 (en) 2012-04-26 2015-04-21 Cirrus Logic, Inc. Coordinated control of adaptive noise cancellation (ANC) among earspeaker channels
US9318090B2 (en) 2012-05-10 2016-04-19 Cirrus Logic, Inc. Downlink tone detection and adaptation of a secondary path response model in an adaptive noise canceling system
US9082387B2 (en) 2012-05-10 2015-07-14 Cirrus Logic, Inc. Noise burst adaptation of secondary path adaptive response in noise-canceling personal audio devices
US9319781B2 (en) 2012-05-10 2016-04-19 Cirrus Logic, Inc. Frequency and direction-dependent ambient sound handling in personal audio devices having adaptive noise cancellation (ANC)
US9123321B2 (en) 2012-05-10 2015-09-01 Cirrus Logic, Inc. Sequenced adaptation of anti-noise generator response and secondary path response in an adaptive noise canceling system
JP6000669B2 (ja) 2012-06-08 2016-10-05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繰出装置
JP5386023B2 (ja) * 2012-08-13 2014-01-1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紙葉媒体分離ローラ及び媒体取扱装置
US9532139B1 (en) 2012-09-14 2016-12-27 Cirrus Logic, Inc. Dual-microphone frequency amplitude response self-calibration
CN103803321A (zh) * 2012-11-08 2014-05-2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用于纸币清分机中的纸币传送结构
US9369798B1 (en) 2013-03-12 2016-06-14 Cirrus Logic, Inc. Internal dynamic range control in an adaptive noise cancellation (ANC) system
US9215749B2 (en) 2013-03-14 2015-12-15 Cirrus Logic, Inc. Reducing an acoustic intensity vector with adaptive noise cancellation with two error microphones
US9414150B2 (en) 2013-03-14 2016-08-09 Cirrus Logic, Inc. Low-latency multi-driver adaptive noise canceling (ANC) system for a personal audio device
US9635480B2 (en) 2013-03-15 2017-04-25 Cirrus Logic, Inc. Speaker impedance monitoring
US9208771B2 (en) 2013-03-15 2015-12-08 Cirrus Logic, Inc. Ambient noise-based adaptation of secondary path adaptive response in noise-canceling personal audio devices
US9467776B2 (en) 2013-03-15 2016-10-11 Cirrus Logic, Inc. Monitoring of speaker impedance to detect pressure applied between mobile device and ear
US9502020B1 (en) 2013-03-15 2016-11-22 Cirrus Logic, Inc. Robust adaptive noise canceling (ANC) in a personal audio device
US10206032B2 (en) 2013-04-10 2019-02-12 Cirrus Log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ulti-mode adaptive noise cancellation for audio headsets
US9462376B2 (en) 2013-04-16 2016-10-04 Cirrus Log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ybrid adaptive noise cancellation
US9478210B2 (en) 2013-04-17 2016-10-25 Cirrus Log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ybrid adaptive noise cancellation
US9460701B2 (en) 2013-04-17 2016-10-04 Cirrus Log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noise cancellation by biasing anti-noise level
US9264808B2 (en) 2013-06-14 2016-02-16 Cirrus Log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on and cancellation of narrow-band noise
CN103413373A (zh) * 2013-07-04 2013-11-27 河北工程大学 一种纸币进给分离装置
JP6264769B2 (ja) * 2013-07-31 2018-0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被記録媒体給送装置及び記録装置
US9392364B1 (en) 2013-08-15 2016-07-12 Cirrus Logic, Inc. Virtual microphone for adaptive noise cancellation in personal audio devices
US9666176B2 (en) 2013-09-13 2017-05-30 Cirrus Log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noise cancellation by adaptively shaping internal white noise to train a secondary path
US9620101B1 (en) 2013-10-08 2017-04-11 Cirrus Log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playback fidelity in an audio system with adaptive noise cancellation
US10219071B2 (en) 2013-12-10 2019-02-26 Cirrus Log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bandlimiting anti-noise in personal audio devices having adaptive noise cancellation
US9704472B2 (en) 2013-12-10 2017-07-11 Cirrus Log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secondary path information between audio channels in an adaptive noise cancellation system
US10382864B2 (en) 2013-12-10 2019-08-13 Cirrus Log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daptive playback equalization in an audio device
US9369557B2 (en) 2014-03-05 2016-06-14 Cirrus Logic, Inc. Frequency-dependent sidetone calibration
US9479860B2 (en) 2014-03-07 2016-10-25 Cirrus Log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ing performance of audio transducer based on detection of transducer status
US9648410B1 (en) 2014-03-12 2017-05-09 Cirrus Logic, Inc. Control of audio output of headphone earbuds based on the environment around the headphone earbuds
US9319784B2 (en) 2014-04-14 2016-04-19 Cirrus Logic, Inc. Frequency-shaped noise-based adaptation of secondary path adaptive response in noise-canceling personal audio devices
US9609416B2 (en) 2014-06-09 2017-03-28 Cirrus Logic, Inc. Headphone responsive to optical signaling
US10181315B2 (en) 2014-06-13 2019-01-15 Cirrus Log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lectively enabling and disabling adaptation of an adaptive noise cancellation system
US9478212B1 (en) 2014-09-03 2016-10-25 Cirrus Log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e of adaptive secondary path estimate to control equalization in an audio device
TWI560073B (en) * 2014-10-30 2016-12-01 Avision Inc Feeding device with slide
US9552805B2 (en) 2014-12-19 2017-01-24 Cirrus Log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ance and stability control for feedback adaptive noise cancellation
US9578415B1 (en) 2015-08-21 2017-02-21 Cirrus Logic, Inc. Hybrid adaptive noise cancellation system with filtered error microphone signal
US10013966B2 (en) 2016-03-15 2018-07-03 Cirrus Logic,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active noise cancellation for multiple-driver personal audio device
KR101868226B1 (ko) * 2016-09-22 2018-06-18 효성티앤에스 주식회사 지폐집적장치
CN106743823B (zh) * 2017-01-23 2017-12-29 宁波华高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馈纸式扫描仪
CN108305412B (zh) * 2017-12-14 2023-09-08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一种挖分钞装置、接客部及金融设备
FR3097453B1 (fr) * 2019-06-20 2021-10-01 Solystic Dispositif d’alimentation pour alimenter en articles de courrier postaux un convoyeur de tri postal
CN110246264A (zh) * 2019-07-29 2019-09-17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纸币推压机构以及纸币存取款箱
CN111127740B (zh) * 2020-01-02 2022-05-31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薄片类介质分发装置和现金循环处理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4266A (ja) 1997-10-21 1999-05-11 Canon Inc シート材排出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読み取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95343A (fr) * 1972-02-22 1973-05-29 Pennsylvania Res Ass Inc Machine d'entrainement, de separation et d'empilage de feuilles
US4292340A (en) 1978-01-25 1981-09-29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cryogenic inertially driven fusion targets
JPS57166238A (en) * 1981-04-07 1982-10-13 Fuji Xerox Co Ltd Card-paper feeder of copying machine
JPS59118630A (ja) * 1982-12-27 1984-07-09 Toshiba Corp 紙葉類の取出し装置
US4494747A (en) 1983-07-01 1985-01-22 Diebold, Incorporated Paper currency dispenser friction picker mechanism
US4715593A (en) * 1985-12-02 1987-12-29 Godlewski Edward S Stack-supporting bottom feed conveyor
JPS62280141A (ja) 1986-05-30 1987-12-05 Glory Ltd 紙葉類処理機の紙葉類送出装置
JP2596040B2 (ja) * 1988-02-13 1997-04-02 オムロン株式会社 紙葉類の繰出し装置
US5098078A (en) * 1989-04-17 1992-03-24 Omron Corporation Continuous paper let-out apparatus
US4991831A (en) * 1989-08-14 1991-02-12 Green Ronald J Paper sheet feeding apparatus
JPH04292340A (ja) 1991-03-22 1992-10-16 Hitachi Ltd 紙葉類繰り出し分離機構
JPH05319592A (ja) 1992-05-15 1993-12-03 Omron Corp 紙葉類の繰出し装置
JP3284040B2 (ja) * 1996-02-29 2002-05-20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処理機
JP3560223B2 (ja) * 1998-09-17 2004-09-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葉類分離繰出装置
US6798899B2 (en) * 2001-01-04 2004-09-28 Cummins-Allison Corp. Document feed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3012178A (ja) * 2001-07-03 2003-01-15 Toshiba Corp 紙葉類分離搬送機構
JP3866090B2 (ja) 2001-11-21 2007-01-10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繰り出し装置
JP4160362B2 (ja) * 2002-10-30 2008-10-01 グローリー株式会社 集積装置および循環式紙幣入出金機
RU2312811C2 (ru) * 2003-03-10 2007-12-20 Дайболд, Инкорпорейтед Банкомат для выдачи наличных и способ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4266A (ja) 1997-10-21 1999-05-11 Canon Inc シート材排出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読み取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653B1 (ko) 2011-04-19 2012-07-1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 수납 방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07317A1 (en) 2010-08-19
CA2611937C (en) 2014-07-15
EP2452903A1 (en) 2012-05-16
CN101198533A (zh) 2008-06-11
WO2006134637A1 (ja) 2006-12-21
CA2611937A1 (en) 2006-12-21
US8096548B2 (en) 2012-01-17
EP1892205A1 (en) 2008-02-27
EP1892205A4 (en) 2009-01-21
EP2452903B1 (en) 2013-07-24
CN101198533B (zh) 2010-08-25
KR20080023295A (ko) 2008-03-13
EP1892205B1 (en) 2015-03-04
US7744082B2 (en) 2010-06-29
JP4846716B2 (ja) 2011-12-28
JPWO2006134637A1 (ja) 2009-01-08
US20090026692A1 (en) 200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455B1 (ko) 지엽류 조출장치
JP4415002B2 (ja) 紙葉類繰り出し機構
KR100225814B1 (ko) 자동 종이공급장치
KR20000023217A (ko) 지폐분리배출장치
US20080054559A1 (en) Apparatus for handling flexible sheets
JP5244719B2 (ja) 紙葉類繰り出し機構
JP2008162732A (ja) 紙葉類分離機構
US9026031B2 (en) Medium accommodation cassette, medium feeding device, and recording apparatus
JP4415060B2 (ja) 紙葉類繰り出し機構
JP5079869B2 (ja) キッカローラ
JPH04182251A (ja) 紙葉類堆積装置
JP2009007133A (ja) 紙葉類集積装置
JP3866090B2 (ja) 紙葉類繰り出し装置
JP4902755B2 (ja) 紙葉類繰り出し装置
US7641186B2 (en) Sheet feeding/conveying method and sheet feeding/conveying apparatus
JP3371624B2 (ja) シート繰り出し装置
JP7288421B2 (ja) 集積分離装置
KR100505369B1 (ko) 캠을 이용한 픽업롤러 퇴피분리장치
JP6362324B2 (ja) 給送装置
JPH02138026A (ja) カセットケースを用いる給紙装置
JPS6257B2 (ko)
JP2015036875A (ja) 紙幣一括投入装置、紙幣処理装置、及び紙幣取扱装置
JP2005179007A (ja) マークテープ切断送り込み器
JP2007031006A (ja) 給紙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H04302079A (ja) 用紙取扱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120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005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5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