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88951B1 - 과메기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과메기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951B1
KR101088951B1 KR1020090115687A KR20090115687A KR101088951B1 KR 101088951 B1 KR101088951 B1 KR 101088951B1 KR 1020090115687 A KR1020090115687 A KR 1020090115687A KR 20090115687 A KR20090115687 A KR 20090115687A KR 101088951 B1 KR101088951 B1 KR 101088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tail
head
guamegi
hol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9069A (ko
Inventor
이종수
Original Assignee
건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15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8951B1/ko
Publication of KR20110059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9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95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4Beheading, eviscerating, or cleaning fish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2Washing or descaling fish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16Removing fish-bones; Filleting fis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4/00Preservation of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청어나 꽁치 등의 등 푸른 생선을 냉결 건조시켜 제조하는 과메기를 제조할 때, 생선 대가리의 절단작업을 생략하고 생선의 꼬리와 양측의 몸체만 남기고 등뼈와 대가리를 제거하는 과메기 가공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메인 프레임(100)에 설치되고 생선(150)을 세운 상태로 대가리부터 이송하는 이송부(20)와; 이송부(20)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한 쌍의 나이프(15)를 이용하여 생선(150)의 양측에서 동시에 몸체의 포를 뜨는 포뜨기부(10)와; 생선(150)의 대가리(151)를 잡아 당겨주는 헤드 고정부(30)와; 포뜨기부(10)의 후방 상측에 설치되어 생선(150)의 꼬리(152)를 잡아줌과 아울러 포뜨기가 완료된 후 생선(150)의 꼬리쪽 등뼈를 끊어주는 꼬리 고정부(40)와; 이송부(20)의 입구와 출구를 비롯한 각부에 설치되어 상기 생선(150)의 진입 및 진출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와; 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장치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포뜨기 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포뜨기 작업을 양측에서 동시에 수행하여 인건비가 절감됨과 아울러 생산성이 향상되며, 장치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과메기, 등푸른 생선, 청어, 꽁치, 틸팅, 포뜨기, 회전캠, 작동캠, 틸팅캠

Description

과메기 가공장치{Processing Apparatus for Guamegi}
본 발명은 청어나 꽁치 등의 등 푸른 생선을 냉결 건조시켜 제조하는 과메기를 그늘진 덕장에 걸어 둘 수 있도록 가공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생선 대가리의 절단작업을 생략하고 생선의 꼬리와 양측의 몸체만 남기고 등뼈와 대가리를 제거하는 과메기 가공장치에 대한 것이다.
과메기란 청어나 꽁치 등의 등 푸른 생선(이하 '생선'이라 한다)을 겨울철 바닷바람에 얼렸다 녹이는 과정을 반복해 말린 것을 의미한다. 최근에는 고등어를 이용하여 과메기를 생산하기도 한다. 이러한 과메기는 보통 겨울철 영하 2℃~영상 5℃ 기온에서 부패물질이 제거된 생선을 그늘진 덕장에 내다 걸어, 밤에는 냉동, 낮에는 해동하는 과정을 약 15일간 반복하여 수분함유량이 40%쯤 되도록 차가운 바닷바람으로 냉결 건조시켜 제조한다. 그 결과 발효를 통해 생선 비린내가 없어지고 맛과 영양이 뛰어난 과메기가 제조된다.
상기한 방식으로 제조된 과메기는 원재료보다도 영양가가 더 우수하고, 원재료에 비해 DHA와 오메가3 지방산의 양이 상당히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과메기로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핵산이 점점 많이 생겨 피부노화, 체력 저하, 뇌 쇠퇴 등의 방지에 효과가 있고, 과메기에 함유된 단백질에는 아스파라긴산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숙취 해소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생선을 과메기로 가공하기 위해서는, 생선을 세척한 후 내장과 같이 부패하기 쉬운 부분을 제거하고, 생선의 양측 몸체를 포뜨기 하게 된다.
또한 불필요한 부위인 생선의 대가리와 등뼈 부분은 제거해야 하지만, 포뜨기된 생선을 건조대 등에 거치하기 위해서는 꼬리 부분을 남길 필요가 있다. 이러한 과메기 가공작업은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많은 인력이 필요하고, 생산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일본에서 자동으로 포뜨기 작업을 할 수 있는 과메기 가공장치가 개발되었으며, 국내의 상당수 업체에서 일본의 과메기 가공장치를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종래의 과메기 가공장치는, 생선을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하면서 다수의 고속 회전 휠 커터를 이용하여 포뜨기 작업을 수행하며, 생선의 꼬리 부분에서 등뼈를 절단하여 양쪽 포뜨기된 몸체 부분이 꼬리에 붙어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과메기 가공장치는, 포뜨기 작업을 실시하기 전에 생선의 대가리를 절단하는 작업을 선행하도록 하고 있으며, 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크기가 매우 크다. 또한, 국제 원자재 가격의 상승 및 엔고로 인한 가격 상승으로 외화 낭비의 원인이 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종래의 과메기 가공을 수작업으로 하는 경우 인건비와 생산성에 문제가 있고, 일본에서 제조된 종래의 과메기 제조장치는, 별도의 대가리 절단 작 업이 요구되고 구조가 복잡할 뿐 아니라, 가격이 고가여서 결과적으로 과메기 생산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생선 대가리를 절단하는 작업을 별도로 실시하지 않은 상태에서 곧바로 포뜨기가 가능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는 과메기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생선의 이송과 포뜨기 작업, 세척 및 거치 공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과메기 가공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꼬리 고정부의 틸팅 작용을 이용하여 생선의 대가리와 등뼈를 1미2편의 과메기 가공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과메기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메기 가공장치는, 메인 프레임에 설치되고 생선을 세운 상태로 대가리부터 이송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한 쌍의 나이프를 이용하여 생선의 양측에서 동시에 몸체의 포를 뜨는 포뜨기부와; 상기 생선의 대가리를 잡아주는 헤드 고정부와; 상기 포뜨기부의 후방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생선의 꼬리를 잡아줌과 아울러 포뜨기가 완료된 후 상기 생선의 꼬리쪽 등뼈를 끊어주는 꼬리 고정부와; 상기 이송부의 입구와 출구를비롯한 각부에 설치되어 상기 생선의 진입 및 진출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와; 상기 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한 장치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과메기 가공장치는, 상기 포뜨기부의 하부측 메인 프레임에 위치되며 가공이 완료된 1미2편의 과메기 가공물을 세척하는 세척부와; 상기 이송부의 하부측 메인 프레임에 위치되며 상기 세척부에서 세척이 완료된 과메기 가공물을 건조봉에 거치하는 거치부와; 상기 헤드 고정부와 상기 포뜨기부 사이의 하부측 메인 프레임에 구비되는 폐기물 수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과메기 가공장치에 따르면, 상기 이송부는, 상기 생선이 세워진 상태로 이송되도록 생선의 두께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이송면이 마주보도록 세워서 설치되는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롤러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회전시키는 이송부 모터 및 이에 연결된 구동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과메기 가공장치에 따르면, 상기 포뜨기부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나이프와, 상기 나이프를 승강시키는 승강 작동부재 및 승강모터와, 상기 나이프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 작동부재 및 회전모터와, 상기 장치들이 설치되는 포뜨기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과메기 가공장치에 따르면, 상기 승강 작동부재는, 상기 나이프가 설치되는 나이프 고정대와, 상기 포뜨기부 프레임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나이프 고정대가 상단에 연결된 승강봉과, 상기 승강모터의 회전운동을 상기 승강봉의 승강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승강캠과, 상기 승강봉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봉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과메기 가공장치에 따르면, 상기 회전작동 부재는, 상기 나이프와 연결된 승강봉에 설치되며 일측에 돌기가 구비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봉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과, 상기 포뜨기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회동부재의 돌기에 접촉되어 상기 회동부재를 회동시키는 회동암과, 상기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회동암의 타측 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회동암을 회전시키는 회전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과메기 가공장치에 따르면, 상기 회전캠은, 상기 나이프가 상기 생선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회동한 후 이송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2단 구조의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과메기 가공장치에 따르면, 상기 헤드 고정부는, 상기 생선의 대가리 양측에서 다물어지면서 생선의 대가리를 고정하는 헤드 홀더와, 상기 헤드 홀더를 작동시키는 홀더 구동모터와, LM 가이드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 홀더를 전후 이동시키는 이송부재와, 상기 이송부재를 작동시키는 헤드부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과메기 가공장치에 따르면, 상기 꼬리 고정부는, 상기 포뜨기부의 후방 상측에 설치되는 꼬리부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정 각도로 회동하면서 상기 생선의 꼬리를 잡거나 놓아주는 한 쌍의 테일 홀더와, 전후 이동되면서 상기 테일 홀더를 회동시키는 작동부재와, 상기 작동부재에 구비된 롤러에 접촉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전후 이동시키는 작동캠과, 상기 작동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작동부재를 후퇴시켜 상기 테일 홀더가 상기 생선의 꼬리를 잡아주도록 하는 작동 스프링과, 상기 테일 홀더가 상기 생선의 꼬리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꼬리부 프레임에 진동을 주어 상기 생선의 꼬리쪽 등뼈를 끊어주는 틸팅캠과, 상기 작동캠과 틸팅캠을 회전시키는 꼬리부 작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과메기 가공장치에 따르면, 상기 세척부는 상기 포뜨기부의 하측에 상기 거치부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좌우 양측과 하부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메기 가공장치는, 한 쌍의 나이프를 이용하여 직선 이동중인 생선의 양측에 대하여 동시에 포뜨기를 실시함과 아울러, 꼬리 고정부의 틸팅 작용을 이용하여 등뼈를 부러뜨리게 되므로, 별도의 대가리 제거작업이나 거치를 위한 포 연결작업이 필요없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과메기 가공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모터와 센서를 이용하여 장치를 작동시키게 되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메기 가공장치에 따르면, 포뜨기 작업이 완료된 과메기 가공물이 경사진 세척부를 지나 거치부로 수용되므로, 포뜨기 작업과 세척작업 및 건조봉 거치 작업을 하나의 장치에서 연속 수행하여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과메기 가공장치에 따르면, 포뜨기 작업을 하는 나이프가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 수용되어 승강함은 물론 수용된 상태에서도 날 부분이 노출되 지 않도록 하므로, 작업을 하지 않을 때 메인 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된 나이프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과메기 가공장치에 따르면, 생선의 대가리 또는 꼬리를 고정하고 생선을 직선 이동시키면서 포뜨기를 수행하는 과정이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과메기 생산에 필요한 인건비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과메기 가공장치에 따르면, 종래의 일본산 과메기 가공장치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여 가격 경쟁력이 높고 수입대체를 통해 외화 낭비가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과메기 가공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과메기 가공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포뜨기부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포뜨기부의 외관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이송부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헤드 고정부의 구성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꼬리 고정부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과메기 가공장치는, 메인 프레임(100)에 설치되고 생선(150)을 세운 상태로 대가리(151)부터 이송하는 이송부(20)와; 상기 이송부(20)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한 쌍의 나이프(15)를 이용하여 상기 생선(150)의 양측에서 동시에 몸체의 포를 뜨는 포뜨기부(10)와; 상기 생선(150)의 대가리(151)를 잡아주는 헤드 고 정부(30)와; 상기 포뜨기부(10)의 후방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생선(150)의 꼬리(152)를 잡아줌과 아울러 포뜨기가 완료된 후 상기 생선(150)의 꼬리쪽 등뼈를 끊어주는 꼬리 고정부(40)와; 상기 포뜨기부(10)의 하부측 메인 프레임(100)에 위치되며 가공이 완료된 1미2편의 과메기 가공물을 세척하는 세척부(50)와; 상기 이송부(20)의 하부측 메인 프레임(100)에 위치되며 상기 세척부(50)에서 세척이 완료된 과메기 가공물을 건조봉(도시 생략)에 거치하는 거치부(60)와; 상기 헤드 고정부(30)와 상기 포뜨기부(10) 사이의 하부측 메인 프레임(100)에 구비되는 폐기물 수거부(70)와; 상기 이송부(20)의 입구와 출구를 비롯한 각부에 설치되어 상기 생선(150)의 진입 및 진출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도시 생략)와; 상기 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도시 생략)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20)는, 상기 생선(150)이 세워진 상태로 이송되도록 생선(150)의 두께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이송면이 마주보도록 세워서 설치되는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21)와, 틸팅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21)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롤러(22)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21)를 회전시키는 이송부 모터(23) 및 이에 연결된 구동롤러(2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포뜨기부(1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나이프(15)와, 상기 나이프(15)를 승강시키는 승강 작동부재(11) 및 승강모터(12)와, 상기 나이프(15)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 작동부재(13) 및 회전모터(14)와, 상기 장치들이 설치되는 포뜨기부 프레임(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 작동부재(11)는, 상기 나이프(15)가 설치되는 나이프 고정대(11a) 와, 상기 포뜨기부 프레임(16)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나이프 고정대(11a)가 상단에 연결된 승강봉(11b)과, 상기 승강모터(12)의 회전운동을 상기 승강봉(11b)의 승강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승강캠(11c)과, 상기 승강봉(11b)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봉(11b)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11d)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작동 부재(13)는, 상기 나이프(15)와 연결된 승강봉(11b)에 설치되며 일측에 돌기(13b)가 구비된 회동부재(13a)와, 상기 회동부재(13a)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봉(11b)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13c)과, 상기 포뜨기부 프레임(1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회동부재(13a)의 돌기(13b)에 접촉되어 상기 회동부재(13a)를 회동시키는 회동암(13d)과, 상기 회전모터(14)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회동암(13d)의 타측 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회동암(13d)을 회전시키는 회전캠(13e)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캠(13e)은, 상기 나이프(15)가 상기 생선(150)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회동한 후 이송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2단 구조의 프로파일을 갖게 된다.
또, 상기 헤드 고정부(30)는, 상기 생선(150)의 대가리(151) 양측에서 다물어지면서 생선(150)의 대가리(151)를 고정하는 헤드 홀더(31)와, 상기 헤드 홀더(31)를 작동시키는 홀더 구동모터(32)와, LM 가이드(34)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 홀더(31)를 전후 이동시키는 이송부재(33)와, 상기 이송부재(33)를 작동시키는 헤드부 구동모터(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50)는 상기 포뜨기부(10)의 하측에 상기 거치부(60) 방 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좌우 양측과 하부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이 각각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꼬리 고정부(40)는, 상기 포뜨기부(10)의 후방 상측에 설치되는 꼬리부 프레임(47)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정 각도로 회동하면서 상기 생선(150)의 꼬리(152)를 잡거나 놓아주는 한 쌍의 테일 홀더(41)와, 전후 이동되면서 상기 테일 홀더(41)를 회동시키는 작동부재(42)와, 상기 작동부재(42)에 구비된 롤러(42')에 접촉되어 상기 작동부재(42)를 전후 이동시키는 작동캠(43)과, 상기 작동부재(42)에 구비되며 상기 작동부재(42)를 후퇴시켜 상기 테일 홀더(41)가 상기 생선(150)의 꼬리(152)를 잡아주도록 하는 작동 스프링(44)과, 상기 테일 홀더(41)가 상기 생선(150)의 꼬리(152)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꼬리부 프레임(47)에 진동을 주어 상기 생선(150)의 꼬리쪽 등뼈를 끊어주는 틸팅캠(45)과, 상기 작동캠(43)과 틸팅캠(45)을 회전시키는 꼬리부 작동모터(46)와, 상기 메인 프레임(100)에 설치되며 상기 틸팅캠(45)에 의해 상기 꼬리부 프레임(47)이 진동할 때 그 중심이 되는 지지롤러(48)와, 상기 메인 프레임(100)과 상기 꼬리부 프레임(47)을 연결하여 진동이 발생하도록 하는 진동 스프링(4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과메기 가공장치는, 1차 손질이 끝난 생선을 1미2편의 과메기 가공물로 가공하여 세척한 후 건조봉에 거치하는 작업을 연속으로 실행하게 된다.
내장 등의 부패가 쉬운 부분과 이물질의 제거 등 1차 손질이 끝난 생선(150)이 컨베이어 벨트(도시 생략)를 통해 이송되면, 대가리(151)가 앞을 향하도록 세워 서 이송부(20)로 진입시킨다.
상기 이송부(20)로 생선(150)이 진입하면 이를 감지한 센서의 신호를 받은 제어부에서 이송부 모터(23)에 작동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이송부 모터(23)가 작동되어 구동롤러(24)를 회전시킴으로써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21)가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 벨트(21) 사이에 위치된 생선(150)이 포뜨기부(10)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 벨트(21)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롤러(22)가 틸팅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생선(150)의 두께에 따라 상기 지지롤러(22)가 약간씩 요동하여 상기 컨베이어 벨트(21) 사이의 간격이 변화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생선(150)의 두께에 관계없이 원활하게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송부(20)에 의해 이송중인 생선이 상기 이송부(200의 끝단 근처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한 센서가 상기 제어부로 신호를 보내게 되고, 상기 제어부는 헤드 고정부(30)에 작동신호를 보내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헤드 고정부(30)의 헤드부 구동모터(35)가 작동되고, 상기 헤드부 구동모터(35)에 의해 작동되는 이송부재(33)에 의해 헤드 홀더(31)가 상기 포뜨기부(10)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헤드 홀더(31)에 상기 이송부(20)를 통해 이송된 생선(150)의 대가리(151)가 접촉되면, 홀더 구동모터(32)가 작동되어 상기 헤드 홀더(31)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헤드 홀더(31)에 의해 생선(150)의 대가리(151)가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포뜨기부(10)의 승강모터(12)가 작동되어 승강 작동부재(11)를 상승시킴으로써 상기 승강 작동부재(11)의 승강봉(11b)에 나이프 고정대(11a)로 연결된 나이프(15)를 상승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포뜨기부(10)의 회전모터(14)가 작동되어 회전 작동부재(13)의 회전캠(13e)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캠(13e)의 회전에 따라 회동암(13d)이 회전하고, 상기 회동암(13d)이 회전하면서 상기 승강봉(11b)에 구비된 회동부재(13a)의 돌기에 접촉하여 상기 회동부재(13a)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봉(11b)이 회전하면서 상기 나이프(15)를 일정 정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나이프(15)는 상기 생선(150)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진 위치까지 회전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헤드 고정부(30)의 헤드부 구동모터(35)가 작동되어 상기 헤드 홀더(31)를 상기 포뜨기부(1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그로 인해 상기 나이프(15)가 상기 생선(150)의 몸체 양측에 각각 경사지게 박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캠(13e)에 의해 상기 회동부재(13a)가 더 회전되어 상기 나이프(15)를 상기 이송부(20)의 이송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승강봉(11b)을 더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헤드 홀더(31)가 상기 포뜨기부(10)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생선(150)을 잡아당길 때 상기 나이프(15)에 의해 상기 생선(150)의 몸체 양측에서 포뜨기가 실시된다.
이후, 상기 나이프(15)의 위치가 상기 생선(150)의 꼬리 부근에 도달하면 상 기 승강 작동부재(11)의 승강캠(11c) 위치 및 리턴 스프링(13c)의 작용으로 상기 나이프(15)가 하강하게 된다.
물론 상기 나이프(15)가 하강하면 상기 회전 작동부재(13)의 리턴 스프링(13c)이 작동되어 상기 승강봉(11b)을 초기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나이프(15)의 날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포뜨기부(10)의 끝단 안쪽에 위치한 꼬리 고정부(40)가 작동되어 상기 생선(150)의 꼬리(152)를 고정하게 된다.
즉, 꼬리부 작동모터(46가 작동되어 작동캠(43)을 회전시키면 작동 스프링(44)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부재(42)가 상기 작동캠(43) 방향으로 움직이게 되고, 상기 작동부재(42)의 움직임에 따라 테일 홀더(41)가 회동되면서 상기 생선(150)의 꼬리(152)를 잡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꼬리부 작동모터(46)에 의해 틸팅캠(45)이 회전되면서 꼬리부 프레임(47)에 진동을 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생선(150) 등뼈 중 꼬리쪽 부분이 부러지고, 상기 생선(150)은 1미2편의 과메기 가공물과 머리 및 등뼈로 이루어진 부산물로 분리된다.
이후, 상기 부산물은 상기 헤드 홀더(31)가 후퇴한 후 벌어짐에 따라 그 하부에 위치한 폐기물 수거부(70)로 낙하하게 되고, 상기 과메기 가공물은 상기 테일 홀더(41)가 벌어짐에 따라 하측의 세척부(50)로 낙하한다.
낙하된 과메기 가공물은 경사지게 형성된 상기 세척부(50)를 따라 거치부(60)로 이동하게 되며, 그 도중에 상기 세척부(50)의 양측면 및 그 하부에 구비 된 노즐에서 분사된 물에 의해 세척된다.
상기 거치부(60)로 이동된 과메기 가공물은 상기 거치부(60)에 구비된 건조봉에 약 20미씩 거치되어 덕장과 같은 건조 위치로의 이동을 대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과메기 가공장치는 생선(150)의 대가리(151)를 절단하지 않은 상태로 포뜨기를 진행하며, 포뜨기 작업과 세척작업 및 건조봉에의 거치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과메기 가공물은 물론 부산물의 처리까지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인력 수요를 최소화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과메기 가공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포뜨기부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포뜨기부의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이송부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헤드 고정부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인 꼬리 고정부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포뜨기부
11: 승강 작동부재 12: 승강모터
13: 회전 작동부재 14: 회전모터
15: 나이프 16: 포뜨기부 프레임
20: 이송부
21: 컨베이어 벨트 22: 지지롤러
23: 이송부 모터 24: 구동롤러
30: 헤드 고정부
31: 헤드 홀더 32: 홀더 구동모터
33: 이송부재 35: 헤드부 구동모터
40: 꼬리 고정부
41: 테일 홀더 42: 작동부재
43: 작동캠 44: 작동 스프링
45: 틸팅캠 46: 꼬리부 작동모터
50: 세척부
60: 거치부
70: 폐기물 수거부
100: 메인 프레임
150: 생선
151: 대가리 152: 꼬리

Claims (10)

  1. 메인 프레임(100)에 설치되고 생선(150)을 세운 상태로 대가리부터 이송하는 이송부(20)와;
    상기 이송부(20)의 끝단부에 설치되며 한 쌍의 나이프(15)를 이용하여 상기 생선(150)의 양측에서 동시에 몸체의 포를 뜨는 포뜨기부(10)와;
    상기 생선(150)의 대가리(151)를 잡아 당겨주는 헤드 고정부(30)와;
    상기 포뜨기부(10)의 후방 상측에 설치되어 상기 생선(150)의 꼬리(152)를 잡아줌과 아울러 포뜨기가 완료된 후 상기 생선(150)의 꼬리쪽 등뼈를 끊어주는 꼬리 고정부(40)와;
    상기 이송부(20)의 입구와 출구를 비롯한 각부에 설치되어 상기 생선(150)의 진입 및 진출을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와;
    상기 센서의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장치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메기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뜨기부(10)의 하부측 메인 프레임(100)에 위치되며 가공이 완료된 1미2편의 과메기 가공물을 세척하는 세척부(50)와;
    상기 이송부(20)의 하부측 메인 프레임(100)에 위치되며 상기 세척부(50)에서 세척이 완료된 과메기 가공물을 건조봉에 거치하는 거치부(60)와;
    상기 헤드 고정부(30)와 상기 포뜨기부(10) 사이의 하부측 메인 프레임(100)에 구비되는 폐기물 수거부(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메기 가공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20)는, 상기 생선(150)이 세워진 상태로 이송되도록 생선(150)의 두께에 상당하는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세워서 설치되는 한 쌍의 컨베이어 벨트(21)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21)를 탄성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롤러(22)와, 상기 컨베이어 벨트(21)를 회전시키는 이송부 모터(23) 및 이에 연결된 구동롤러(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메기 가공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뜨기부(10)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나이프(15)와, 상기 나이프(15)를 승강시키는 승강 작동부재(11) 및 승강모터(12)와, 상기 나이프(15)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 작동부재(13) 및 회전모터(14)와, 상기 장치들이 설치되는 포뜨기부 프레임(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메기 가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작동부재(11)는, 상기 나이프(15)가 설치되는 나이프 고정대(11a) 와, 상기 포뜨기부 프레임(16)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나이프 고정대(11a)가 상단에 연결된 승강봉(11b)과, 상기 승강모터(12)의 회전운동을 상기 승강봉(11b)의 승강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승강캠(11c)과, 상기 승강봉(11b)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봉(11b)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11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메기 가공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작동 부재(13)는, 상기 나이프(15)와 연결된 승강봉(11b)에 설치되며 일측에 돌기(13b)가 구비된 회동부재(13a)와, 상기 회동부재(13a)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승강봉(11b)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 스프링(13c)과, 상기 포뜨기부 프레임(16)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회동부재(13a)의 돌기(13b)에 접촉되어 상기 회동부재(13a)를 회동시키는 회동암(13d)과, 상기 회전모터(14)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회동암(13d)의 타측 단부에 접촉되어 상기 회동암(13d)을 회전시키는 회전캠(13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메기 가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캠(13e)은, 상기 나이프(15)가 상기 생선(150)의 이송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회동한 후 이송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2단 구조의 프로파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메기 가공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고정부(30)는, 상기 생선(150)의 대가리(151) 양측에서 다물어지면서 생선(150)의 대가리(151)를 고정하는 헤드 홀더(31)와, 상기 헤드 홀더(31)를 작동시키는 홀더 구동모터(32)와, LM 가이드(34)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 홀더(31)를 전후 이동시키는 이송부재(33)와, 상기 이송부재(33)를 작동시키는 헤드부 구동모터(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메기 가공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꼬리 고정부(40)는, 상기 포뜨기부(10)의 후방 상측에 설치되는 꼬리부 프레임(47)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정 각도로 회동하면서 상기 생선(150)의 꼬리(152)를 잡거나 놓아주는 한 쌍의 테일 홀더(41)와, 전후 이동되면서 상기 테일 홀더(41)를 회동시키는 작동부재(42)와, 상기 작동부재(42)에 구비된 롤러(42')에 접촉되어 상기 작동부재(42)를 전후 이동시키는 작동캠(43)과, 상기 작동부재(42)에 구비되며 상기 작동부재(42)를 후퇴시켜 상기 테일 홀더(41)가 상기 생선(150)의 꼬리(152)를 잡아주도록 하는 작동 스프링(44)과, 상기 테일 홀더(41)가 상기 생선(150)의 꼬리(152)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꼬리부 프레임(47)에 진동을 주어 상기 생선(150)의 꼬리쪽 등뼈를 끊어주는 틸팅캠(45)과, 상기 작동캠(43)과 틸팅캠(45)을 회전시키는 꼬리부 작동모터(4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메기 가공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50)는 상기 포뜨기부(10)의 하측에 상기 거치부(60)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좌우 양측과 하부에 물을 분사하는 노즐이 각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메기 가공장치.
KR1020090115687A 2009-11-27 2009-11-27 과메기 가공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088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687A KR101088951B1 (ko) 2009-11-27 2009-11-27 과메기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687A KR101088951B1 (ko) 2009-11-27 2009-11-27 과메기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069A KR20110059069A (ko) 2011-06-02
KR101088951B1 true KR101088951B1 (ko) 2011-12-01

Family

ID=44394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687A Expired - Fee Related KR101088951B1 (ko) 2009-11-27 2009-11-27 과메기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89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159B1 (ko) * 2015-02-16 2016-01-29 이태환 과메기 가공 장치
KR101647827B1 (ko) * 2016-02-26 2016-08-11 주식회사 비송 생선틀 및 이 생선틀을 이용한 생선 가공장치
KR101647828B1 (ko) * 2016-02-26 2016-08-11 주식회사 비송 생선 내장 및 뼈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생선 가공장치
KR200484730Y1 (ko) * 2017-07-11 2017-10-19 이태섭 과메기 건조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38848B (zh) * 2022-04-16 2024-05-14 福建闽威食品有限公司 一种无刺鱼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820B1 (ko) 2006-08-24 2007-08-23 진우용 생선 가공방법 및 그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820B1 (ko) 2006-08-24 2007-08-23 진우용 생선 가공방법 및 그 가공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0159B1 (ko) * 2015-02-16 2016-01-29 이태환 과메기 가공 장치
KR101647827B1 (ko) * 2016-02-26 2016-08-11 주식회사 비송 생선틀 및 이 생선틀을 이용한 생선 가공장치
KR101647828B1 (ko) * 2016-02-26 2016-08-11 주식회사 비송 생선 내장 및 뼈 제거장치와 이를 이용한 생선 가공장치
KR200484730Y1 (ko) * 2017-07-11 2017-10-19 이태섭 과메기 건조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9069A (ko) 201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951B1 (ko) 과메기 가공장치
CN209219067U (zh) 一种新型杀鱼机
CN110278992A (zh) 淡水鱼鱼体自动剖切除脏装置
KR101221390B1 (ko) 과메기 가공 및 세척장치
CN107646957B (zh) 一种鱼的一体化初加工装置
CN110313512A (zh) 淡水鱼前处理加工生产线
CN107971251B (zh) 一种可升降式物流货物扫描装置
CN207201896U (zh) 一种去鱼腹部或背部鱼鳞装置
CN112120233A (zh) 一种全自动水果去核切分方法及设备
CN201252799Y (zh) 鲜鱼加工装置
CN201153474Y (zh) 一种真空法去鱼内脏设备及鱼前处理机械控制系统
CN110271044B (zh) 一种鲜食玉米定位切尖穗装置
CN208667868U (zh) 电解锌阳极板除泥清洗整形系统
KR20210062219A (ko) 생선비늘 제거장치
RU254275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й механ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 транспортируемых мясных частей туши и способ, реализуемый при помощи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6579164B1 (en) Method for removing skin from the body and/or parts of the body of animals, and device therefor
CA2206678C (en) Automated crustacean cleaning and cutting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2424330B1 (ko) 대왕 오징어 가공 장치
CN207972008U (zh) 一种自动化木耳切丝机
CN210987982U (zh) 淡水鱼鱼体自动剖切除脏装置
JP5502643B2 (ja) 魚のヌメリ除去装置
CN202184087U (zh) 虾类开背机
CN203762162U (zh) 船钓鱿鱼海上初加工设备
CN102009415A (zh) 一种pet瓶胚剪尾装置
CN112841285A (zh) 一种小龙虾虾头剔除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