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879B1 - Thermal Mat Steam Supply - Google Patents
Thermal Mat Steam Supp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88879B1 KR101088879B1 KR1020090069077A KR20090069077A KR101088879B1 KR 101088879 B1 KR101088879 B1 KR 101088879B1 KR 1020090069077 A KR1020090069077 A KR 1020090069077A KR 20090069077 A KR20090069077 A KR 20090069077A KR 101088879 B1 KR101088879 B1 KR 10108887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ating
- steam
- outlet pipe
- circulation device
- water suppl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00—Steam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1/02—Steam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 live stea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06—Portable or mobile, e.g. collapsib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2—Fluid distribution means
- F24D2220/025—Check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 등산, 야영을 할 때에 난방효과를 얻기 위해서 이용하고 있는 휴대용 온열매트에 스팀을 공급하는데 사용하는 온열매트용 스팀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am supply for a thermal mat for use in supplying steam to a portable thermal mat that is used to obtain a heating effect when fishing, climbing, or camping.
본 발명은 온열매트의 입구측 순환호스와 출구측 순환호스를 연결하여 사용하며 스팀을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온열매트용 스팀 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출구측 순환호스가 연결되는 회수관이 구비되고, 물을 내부에 담을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뚜껑과, 상기 뚜껑에 뚜껑 손잡이가 부착된 물공급통; 상기 물공급통의 하부에서 이격져서 연결된 가열통; 상기 물공급통과 가열통 사이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물공급통에서 가열통으로 물이 이동되도록 개방되고 가열통에서 발생되는 스팀으로 인하여 폐쇄되는 제1 자동순환장치; 및 상기 가열통에 장착되어 상기 입구측 순환호스가 연결되며, 상기 가열통에서 발생된 스팀은 배출되도록 하면서 배출된 스팀의 역류는 방지하는 제2 자동순환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am supply for a thermal mat for connecting the inlet circulation hose and the outlet circulation hose of the thermal mat and supplying and circulating steam, the recovery pipe is connected to the outlet circulation hose is provided, A lid coupled to open and close so as to be contained therein, and a water supply tank having a lid handle attached to the lid; A heating tu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supply tank; A first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mounted vertically between the water supply vessel and the heating vessel and opened to mo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vessel to the heating vessel and closed by steam generated from the heating vessel; And a second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mounted on the heating tube, to which the inlet side circulation hose is connected, to prevent the reverse flow of the discharged steam while discharging the steam generated from the heating tube.
온열매트, 휴대, 스팀, 공급기, 물공급통, 가열통, 자동순환장치. Thermal Mat, Portable, Steam, Feeder, Water Supply Container, Heating Container,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낚시, 등산, 야영을 할 때에 난방효과를 얻기 위해서 이용하고 있는 휴대용 온열매트에 스팀을 공급하는데 사용하는 온열매트용 스팀 공급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낚시, 등산, 야영을 할 때에 난방효과를 얻기 위해서 휴대용 온열매트와 함께 온열매트용 스팀 공급기를 휴대하여 이용하고 있다.In order to obtain a heating effect when fishing, hiking and camping, a portable heat mat and a steam feeder for a heat mat are used.
상기한 휴대용 온열매트는 매트 내부에 순환호스가 배치되어 있고, 매트 외부로 순환호스의 입구와 출구에 해당하는 양쪽 끝부위가 빠져나와 있으며, 이러한 입구측 순환호스와 출구측 순환호스를 온열매트용 스팀 공급기에 연결하여 사용한다.In the portable thermal mat, a circulation hose is disposed inside the mat, and both ends corresponding to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circulation hose exit out of the mat, and the inlet side circulation hose and the outlet side circulation hose are used for the thermal mat. Connect to the steam supply.
상기한 온열매트용 스팀 공급기는 물공급통에 물을 담은 다음, 물공급통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는 가열통을 휴대용 버너 등을 이용하여 가열시키면 가열통에 있는 물이 증발되면서 가열통 내부에서 고온의 스팀(증기)이 발생하게 되며, 이렇게 발생된 스팀은 온열매트의 순환호스를 따라 순환하게 된다.The steam supply for the thermal mat contains water in the water supply tank, and then heats the heating vessel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supply vessel using a portable burner or the like, and the water in the heating vessel evaporates to a high temperature inside the heating vessel. Steam (steam) is generated, and the generated steam is circulated along the circulation hose of the thermal mat.
현재,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는 종래의 온열매트용 스팀 공급기는 사용자가 온열매트를 이용하여 잠자리에 드는 경우, 보통 3시간 간격마다 매번 깨어나서 새로운 물을 물공급통에 공급해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Currently, the conventional steam supply for the thermal mat on the market is inconvenient to wake up each time every three hours when the user goes to bed using the thermal mat to supply new water to the water suppl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한차례 물을 물공급통에 공급한 후, 새로운 물을 공급해주지 않아도 스팀을 공급하는 순환과정이 오랜 시간동안 반복적으로 일어나는 온열매트용 스팀 공급기를 제공하는데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urpose is to supply the water once in the water supply tank, the thermal mat for the thermal mat is repeated repeatedly for a long time to supply steam even without supplying new water To provide a steam supp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온열매트의 입구측 순환호스와 출구측 순환호스를 연결하여 사용하며 스팀을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온열매트용 스팀 공급기에 있어서, 상기 출구측 순환호스가 연결되는 회수관이 구비되고, 물을 내부에 담을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 뚜껑과, 상기 뚜껑에 뚜껑 손잡이가 부착된 물공급통; 상기 물공급통의 하부에서 이격져서 연결된 가열통; 상기 물공급통과 가열통 사이에 수직으로 장착되어 물공급통에서 가열통으로 물이 이동되도록 개방되고 가열통에서 발생되는 스팀으로 인하여 폐쇄되는 제1 자동순환장치; 및 상기 가열통에 장착되어 상기 입구측 순환호스가 연결되며, 상기 가열통에서 발생된 스팀 은 배출되도록 하면서 배출된 스팀의 역류는 방지하는 제2 자동순환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used by connecting the inlet side circulation hose and the outlet side circulation hose of the thermal mat, and in the steam supply for a thermal mat for supplying and circulating steam, the recovery pipe is connected to the outlet side circulation hose Is provided, and the lid coupled to open and close so that the water can be contained therein; A heating tu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supply tank; A first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mounted vertically between the water supply vessel and the heating vessel and opened to mo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vessel to the heating vessel and closed by steam generated from the heating vessel; And a second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mounted to the heating tube, to which the inlet side circulation hose is connected, to prevent the backflow of the discharged steam while discharging the steam generated from the heating tube.
상기 제1 자동순환장치 및 상기 제2 자동순환장치는 각각 입구관, 출구관, 입구관 연결체, 출구관 연결체, 개폐작동체, 결합원통체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작동체는 상기 결합원통체의 내경보다는 작은 외경을 가지게 외측면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원통체의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입구관의 하단부는 상기 입구관 연결체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입구관 연결체는 상기 결합원통체의 일측 개구부에 고정되며, 상기 출구관의 상단부는 상기 출구관 연결체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과 연통되게 고정되고, 상기 출구관 연결체의 관통공 바깥쪽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절개홈이 형성되며, 상기 출구관 연결체는 상기 결합원통체의 타측 개구부에 고정되어 이루어져서, 상기 제1 자동순환장치는 물공급통의 내부 바닥면에서 물이 유입되도록 입구관이 연결되고 상기 가열통의 내부로 물이 유출되도록 출구관이 연결되며, 상기 제2 자동순환장치는 가열통의 상부에서 내부로 입구관이 연결되고 상기 가열통의 외부로 출구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and the second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are made of an inlet pipe, an outlet pipe, an inlet pipe connector, an outlet pipe connector, an opening and closing actuator, and a coupling cylinder, respectively, and the opening and closing actuator is coupled to the coupling device. The outer surface is formed to have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cylindrical body is located inside the coupling cylinder, the lower end of the inlet pipe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inlet pipe connector, the inlet pipe The connecting body is fixed to one side opening of the coupling cylinder, and the upper end of the outlet pipe is fixed in communication with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utlet pipe connecting body, the radi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hrough hole of the outlet pipe connecting body A cutout groove is formed, and the outlet pipe connector is fixed to the other opening of the coupling cylinder, so that the first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has an inner bottom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The inlet pipe is connected to the water inlet in and the outlet pipe is connected to the water outflow into the inside of the heating vessel, the second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is connected to the inlet tube from the top of the heating vessel to the inside of the outside of the heating vessel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let pipe is connected to.
또한, 상기 제1 자동순환장치의 출구관은 상기 가열통의 내부 바닥면까지 연장되고, 상기 출구관의 연장된 끝부위에는 사선방향으로 절단된 선단부를 가지며, 상기 선단부는 상기 가열통의 내부 바닥면에 닿을 정도로 가깝게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let tube of the first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extends to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heating tube, the extended end of the outlet tube has a front end cut in an oblique direction, the front end is the inner bottom of the heating tub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close enough to touch the surface.
또한, 상기 개폐작동체는 입구관과 마주보는 쪽은 닫혀진 면을 가지면서 상 기 출구관과 마주보는 쪽은 열려진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pening and closing actu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de facing the inlet tube has a closed surface formed in an open cylindrical side facing the outlet tube.
또한, 상기 가열통의 상부 일측에는 압력자동조절밸브가 구비되고, 가열통의 바닥면은 오목하게 형성되어 오목바닥면을 하며, 가열통의 하부에서 외측 둘레를 따라 하부테두리가 형성되고, 상기 물공급통의 상부에는 몸체 이동손잡이가 부착된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one side of the heating vessel is provided with a pressure automatic control valve, the bottom surface of the heating vessel is concave to form a concave bottom surface, the lower edge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from the bottom of the heating vessel, the water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ly contain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ody movement knob attached.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하면, 물공급통에서 가열통으로 물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가열통 가열시에는 사용자가 온열매트를 이용하여 잠자리에 드는 경우, 종래 온열매트용 스팀 공급기 제품과 같이 3시간 간격마다 매번 깨어나서 새로운 물을 공급해주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는 자는 동안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the water supply from the water supply tank to the heating tank is made smoothly, when the user goes to bed using the thermal mat during heating the heating tube, and the conventional thermal mat steam supply product Likewise, the user does not have to wake up every three hours to supply new water, so that the user may not have to take any action while sleepin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is embodiment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underst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본 발명은 낚시, 등산, 야영을 할 때에 난방효과를 얻기 위해서 순환호스가 매트 내부에 배치된 온열매트(도면 미도시)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upply hot steam to a thermal mat (not shown) in which a circulation hose is disposed inside the mat in order to obtain a heating effect when fishing, climbing, or camping.
본 발명은 온열매트의 외부로 빠져나와 있는 순환호스의 입구와 출구에 해당하는 양쪽 끝부위를 연결하여 사용하는데, 도 5에 나타나 있듯이, 온열매트의 입구측 순환호스(H1)와 출구측 순환호스(H2)를 연결하여 사용하며 스팀을 공급하여 순환시키는 온열매트용 스팀 공급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by connecting both ends corresponding to the inlet and outlet of the circulation hose exiting the outside of the heating mat, as shown in Figure 5, the inlet circulation hose (H1) and outlet side circulation hose of the heating mat It is used by connecting (H2) and provides a steam supply for a heated mat to supply and circulate stea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열매트용 스팀 공급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열매트용 스팀 공급기의 사시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eam supply for a thermal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am supply for a thermal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부에 위치된 물공급통(1), 상기 물공급통(1)의 하부에서 이격져서 연결된 가열통(2), 상기 물공급통(1)과 가열통(2) 사이에서 수직으로 장착된 제1 자동순환장치(10A), 상기 가열통(2)의 상부에 장착된 제2 자동순환장치(1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 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ter supply tank (1) located at the top, a heating cylinder (2) connect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1), the water supply container (1) ) And a first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10A) mounted vertically between the heating vessel (2), and a second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10B) mounted on top of the heating vessel (2).
상기 물공급통(1)은 온열매트의 출구측 순환호스(H2)가 연결되는 회수관(3)이 상부 일측면에 구비되고, 물을 내부에 담을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하게 뚜껑(5)이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뚜껑(5)을 열고 닫을 때 잡을 수 있게 뚜껑(5)에 부착된 뚜껑 손잡이(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water supply container (1) is provided with a recovery pipe (3) connected to the outlet side circulation hose (H2) of the heating mat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the lid (5) is opened to open and close to contain water It is coupled to, and comprises a lid handle (6) attached to the lid (5) to catch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lid (5).
상기 가열통(2)은 물공급통(1)에서 제1 자동순환장치(10A)에 의해 공급받은 물을 가열하는 통으로, 가열기는 야외에서 취사용 도구로 사용하고 있는 휴대용 버너 또는 휴대용 가스레인지를 이용할 수 있다.The
상기 제1 자동순환장치(10A)는 물공급통(1)의 내부 바닥면에서 물이 유입되 도록 입구관(11)이 연결되고, 가열통(2)의 내부로 물이 유출되도록 출구관(12)이 연결된다.The first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10A) is connected to the
상기 제1 자동순환장치(10A)의 기능은 물공급통(1)에 물을 담는 상태에서는 가열통(2)으로 물이 보내지게 하는 한편, 가열통(2)의 가열시에는 발생되는 스팀으로 인하여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기 가열통(2) 내부의 물이 지속적인 가열로 인하여 소진되어 스팀이 발생하지 않으면, 가열통(2) 내부의 공기압이 하강함에 따라 개방된 상태로 전환되면서 물공급통(1)에서 가열통(2)으로 다시 물이 보내지게 한다.The function of the first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10A) is to send water to the heating vessel (2) in the state of containing water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1), while the steam generated during the heating of the heating vessel (2) When the water inside the
상기 제2 자동순환장치(10B)는 가열통(2)의 상부에서 내부로 입구관(11)이 연결되고 가열통(2)의 외부로 출구관(12)이 연결된다. 상기 출구관(12)에는 온열매트의 입구측 순환호스(H1)를 연결하게 되며, 상기 제2 자동순환장치(10B)은 입구관(11)을 통해서 출구관(12)으로 스팀이 배출되도록 하면서 배출되는 스팀의 역류는 방지하는 기능을 담당한다.The second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10B) is connected to the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휴대하거나 이동할 때, 들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물공급통(1)의 상부에는 몸체 이동손잡이(7)가 부착되어 있으며, 가열통(2)의 바닥면은 도 1에 나타나 있듯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오목바닥면(9)을 하고 있는데, 이는 가열기로 사용하는 휴대용 버너 등의 불이 가열통(2)의 오목바닥면(9)으로 모여지게 함으로써 열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when carrying or mov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movement knob (7)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1) in order to be lifted, As shown in Fig. 1, the bottom surface is concave and has a
또한, 가열통(2)의 하부에서 외측 둘레를 따라 하부테두리(8)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하부테두리(8)는 열기가 바깥쪽으로 나가지 못하게 하여 열전도율을 높 일 수 있으며, 야외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람막이 역할도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edge (8) is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y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eating tube (2), the lower edge (8) can increase the thermal conductivity by preventing the heat from going outward, when used outdoors It can also act as a windscreen.
한편, 가열통(2)의 상부 일측에는 압력자동조절밸브(4)가 구비되어 있는데, 가열통(2)을 지속적으로 가열할 때 가열통(2)의 내부에 발생된 스팀으로 인한 내부압력이 적정압력을 넘어서게 되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열려져서 내부의 스팀이 외부로 배출되고, 적정압력으로 내려오면 자동적으로 닫혀져서 안전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one side of the heating cylinder (2) is provided with a pressure automatic control valve (4), when the internal pressure due to the steam generated inside the heating cylinder (2) is continuously heated When the pressure exceeds the proper pressure, the steam is automatically opened to the outside, and when the pressure falls to the proper pressure, the steam is automatically closed to ensure safety.
도 3은 본 발명에 구성된 자동순환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구성된 자동순환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가)도면은 제1 자동순환장치이고, (나)도면은 제2 자동순환장치이며, (다)도면은 개폐작동체의 평면도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config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config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the drawing is a first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b) the drawing A second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C) is a plan view of the opening and closing actuator.
본 발명에 구성된 제1 자동순환장치(10A) 및 제2 자동순환장치(10B)는 동일한 것인데, 즉 구성요소들과 이들 구성요소의 결합 구조도 동일하다. 단지, 제2 자동순환장치(10B)는 가열통(2)에 반대방향으로 장착되는 것만 차이가 있다.The first
상기 제1 자동순환장치(10A) 및 제2 자동순환장치(10B)는 각각 입구관(11), 출구관(12), 입구관 연결체(13), 출구관 연결체(14), 개폐작동체(16), 결합원통체(17)을 결합하여 이루어진다.The first
상기 개폐작동체(16)는 결합원통체(17)의 내경보다는 작은 외경을 가지게 외측면이 형성되고, 입구관(11)과 마주보는 쪽은 닫혀진 면을 가지면서 출구관(12)과 마주보는 쪽은 열려진 원통형으로 형성된다.The opening and closing
상기 개폐작동체(16)는 결합원통체(17)의 내부에 위치되어서 입구관(11)쪽에 서 출구관(12)쪽으로는 물 또는 스팀이 흘러갈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출구관(12)쪽에서 입구관(11)쪽으로는 물 또는 스팀이 흘러가지 못하도록 작동한다.The opening and closing
상기 입구관 연결체(13)는 중심부에 관통공(15a)이 형성되어 있고, 입구관 연결체(13)의 외측면은 결합원통체(17)의 내부면에 맞게 형성되어 결합원통체(17)의 일측 개구부에 끼워 고정된다. 입구관 연결체(13)는 결합원통체(17)의 일측 개구부에 용접시켜 고정할 수 있고, 결합원통체(17)의 일측 개구부 내부면에 단턱을 형성시켜서 단턱에 걸려지고 입구관 연결체(13)를 억지끼워맞춤 고정할 수도 있다.The inlet
상기 출구관(12)은 상단부에는 출구관 연결체(14)가 고정되는데, 출구관 연결체(14)의 중심부에 형성된 관통공(15b)과 연통되어 출구관(12)이 고정된다.The
한편, 출구관 연결체(14)의 상면에서 관통공(15b) 바깥 둘레면에는 관통공(15b)을 기준으로 하여 방사상 방향으로 절개홈(14a)이 형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상기 출구관 연결체(14)의 외측면은 결합원통체(17)의 내부면에 맞게 형성되어 결합원통체(17)의 타측 개구부에 끼워 고정된다. 출구관 연결체(14)도 결합원통체(17)의 타측 개구부에 용접시켜 고정할 수 있고, 결합원통체(17)의 타측 개구부 내부면에 단턱을 형성시켜서 단턱에 의하여 출구관 연결체(14)를 억지끼워맞춤 고정할 수도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outlet
이렇게 결합원통체(17)의 상측과 하측에서 입구관 연결체(13)와 출구관 연결체(14)를 고정하면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입구관 연결체(13)와 출구관 연결체(14) 사이에서 결합원통체(17)에는 개폐작동체(16)가 이동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진다.When the inlet
상기 개폐작동체(16)는 결합원통체(17)의 내경보다는 작게 외측면이 형성된 것이므로, 개폐작동체(16)의 외측면과 결합원통체(17) 내부면 사이에는 틈새를 두고 있는다. 한편, 개폐작동체(16)가 입구관(11)과 마주보는 쪽은 닫혀진 면을 가지면서 출구관(12)과 마주보는 쪽은 열려진 것인데, 이는 스팀의 미는 힘이 열려져 있는 쪽으로 집중되어 개폐작동체(16)가 결합원통체(17)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상기 입구관(11)의 하단부는 입구관 연결체(13)의 관통공(15a)을 통해 입구관 연결체(13)의 아래쪽으로 살짝 돌출되게 고정되는 것이 좋은데, 그 이유는 개폐작동체(16)의 상면이 돌출된 입구관(11) 선단에 접면되면서 확실하게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lower end of the
도 4의 (가)도면을 참조하면, 제1 자동순환장치(10A)의 출구관(12)은 가열통(2)의 내부 바닥면까지 연장되고, 출구관(12)의 연장된 끝부위에는 사선방향으로 절단된 선단부(18)를 가지며, 상기 선단부(18)는 가열통(2)의 내부 바닥면(18)에 거의 닿을 정도로 위치된다.Referring to FIG. 4A, the
도 4의 (나)도면은 제2 자동순환장치(10B)을 보인 것인데, 제1 자동순환장치(10A)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이 결합되고, 결합 구조도 동일하나 가열통(2)에 거꾸로 장착되는 것만 차이가 있다.Figure 4 (b) shows a second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10B), the same components as the first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10A) is coupled, the coupling structure is the same but is mounted upside down in the heating tube (2) There is only difference.
도 4의 (다)도면을 참조하면, 개폐작동체(16)의 외측면 바깥으로 출구관 연결체(14)의 절개홈(14a)의 일부분이 연통되고, 이렇게 연통된 절개홈(14a)의 일부분은 개폐작동체(16)의 외측면과 결합원통체(17)의 내부면 사이의 틈새와 연통되어 진다.Referring to FIG. 4 (c), a portion of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열매트용 스팀 공급기의 사용상태도이다.5 is a state diagram used in the steam supply for a thermal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제1 자동순환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가)도면은 물공급통에서 물이 공급되는 상태이고, (나)도면은 가열통 내부에서 스팀이 발생될 때를 보인 상태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A) is a state in which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container, (B) is a state showing when the steam is generated in the heating vessel. to be.
도 7은 제2 자동순환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5 to 7,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상기 물공급통(1)에 있는 뚜껑 손잡이(6)를 잡고 뚜껑(5)을 열어서 물공급통(1)의 내부에 일정량의 물을 담는다. 그러면, 물공급통(1)의 내부 바닥면에 있는 제1 자동순환장치(10A)의 입구관(11)을 통해 물이 유입되고 유입된 물은 결합원통체(17)의 내부를 거쳐서 가열통(2)의 내부로 연결된 출구관(12)으로 유출되어진다.Holding the lid handle (6)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1) by opening the lid (5) to hold a certain amount of water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1). Then, 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이때, 상기 결합원통체(17)의 내부에 위치되어 있는 개폐작동체(16)는 자체중량에 의하여 하단부는 출구관 연결체(14)의 상면에 맞대어지고 상단부는 입구관연결체(13)을 관통하여 결합된 입구관(11)의 하단부와 떨어진 상태로 있고, 개폐작동체(16)의 외측면과 결합원통체(17) 내부면 사이에는 틈새를 두고 있다. 이에 따라, 유입된 물은 개폐작동체(16)의 외측면과 결합원통체(17) 내부면 사이의 틈새를 따라 이동되어서 출구관 연결체(14)의 상면에 형성된 절개홈(14a)으로 들어와서 출구관 연결체(14)에 연결된 출구관(12)의 사선방향으로 절단된 선단부(18)로 물이 유출되어 가열통(2)의 바닥면에서부터 물이 차오르게 된다.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actuator (16) located inside the coupling cylinder (17) by its own weight, the lower end is op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이후, 휴대용 버너를 작동시켜서 가열통(2)을 가열하는데, 출구관(12)의 선단부(18)가 가열통(2)의 내부 바닥면(18)에 가깝게 위치되어 있으므로, 출구관(12)의 선단부(18)에서 유출되는 물은 가열통(2) 가열시 바로 아래쪽에서 열기를 받아 높은 온도로 뜨꺼워진 바닥면의 열기가 즉시 전달되어 유입된 물은 빠른 시간에 온도가 상승된다.Thereafter, the portable burner is operated to heat the
상기 가열통(2)이 가열되어 내부에서는 고온의 스팀(증기)이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된 고온의 스팀은 가열통(2)에 장착된 제2 자동순환장치(10B)를 통해 배출되어서 연결된 온열매트의 입구측 순환호스(H1)로 공급되어 온열매트의 내부를 순환하게 되면서 온열매트의 전체에 걸친 표면이 따뜻하게 된다.The
온열매트 내부에 배치된 순환호스를 따라 스팀이 순환하면서 온도가 낮아져서 액화된 물은 출구측 순환호스(H2)으로 빠져나와 물공급통(1)에 장착된 회수관(3)을 통해 물공급통(1)으로 계속 유입된다. 이때, 제1 자동순환장치(10A)는 가열통(2)에서 발생하는 스팀으로 인해서 가열통(2) 내부의 공기압이 상승함에 따라 폐쇄되어 그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유입되는 물은 물공급통(1)에 저장된다.As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decreases as the steam circulates along the circulation hose disposed inside the thermal mat, the liquefied water exits to the outlet side circulation hose (H2) and passes through the recovery pipe (3) mounted on the water supply tank (1). It continues to flow into (1). At this time, the first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10A) is closed as the air pressure inside the heating cylinder (2) increases due to the steam generated in the heating cylinder (2) to maintain the state, so that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supply tank ( Stored in 1).
이러한 제1 자동순환장치(10A)의 작용에 대하여 도 6의 (나)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가열통(2) 내부에서 발생된 스팀이 제1 자동순환장치(10A)의 출구관(12)의 선단부(18)로 들어와서 개폐작동체(16)를 위로 밀어올리는 힘이 작용되고, 이에 따라 개폐작동체(16)의 닫혀진 상면이 입구관(11)의 하단부에 접면되어 막아서 물이 유입될 수 없는 폐쇄된 상태가 된다. 가열통(2) 내부의 물이 지속적인 가열로 인하여 소진되어 스팀이 발생하지 않으면, 가열통(2) 내부의 공기압이 하강함에 따라 입구관(11)의 하단부에 접면되어있던 개폐작동체(16)가 내려오게 되고 입구관(11)의 하단부가 열려진다. 즉, 제1 자동순환장치(10A)가 개방되면서 물공급통(1)에 저장된 물은 가열통(2)으로 이동된다. 이때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출구관(12)의 선단부(18)에서 유출되는 물은 가열된 상태인 가열통(2)의 뜨꺼워진 바닥면의 열기가 즉시 전해져서 곧바로 스팀으로 변화되기 때문에 열손실을 현저하게 줄일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first
상기한 순환과정을 반복하면서 온열매트에 스팀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Steam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thermal mat while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circulation process.
한편, 제2 자동순환장치(10B)의 작용에 대하여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자동순환장치(10B)는 거꾸로 가열통(2)에 장착한 것이므로, 가열통(2) 내부에서 발생된 스팀이 제2 자동순환장치(10B)의 입구관(11)으로 배출될 때 개폐작동체(16)가 위로 밀어올려서 출구관 연결체(14)에 접면되어지고, 스팀은 개폐작동체(16)의 외측면과 결합원통체(17) 내부면 사이의 틈새를 따라 이동되어서 출구관 연결체(14)의 절개홈(14a)을 통해 빠져나가서 출구관(12)에 연결된 입구측 순환호스(H1)로 배출된다. 그런데, 배출되는 스팀이 만약 역류되는 현상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개폐작동체(16)는 자체중량과 역류하는 스팀의 작용력에 의하여 입구관(11)을 막게 되므로 역류된 스팀은 가열통(2) 내부로 들어오지 못한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the second
본 발명은 물공급통(1)에 물을 한차례만 담아서 가열통(2)을 연속 가열하여 온열매트에 스팀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데, 약 8시간 정도까지는 연속 사용 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can continuously supply the heating mat (2) by continuously heating the heating barrel (2) containing only one water 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1), it can be used continuously for about 8 hours.
따라서, 사용자가 온열매트를 이용하여 잠자리에 드는 경우, 종래 제품과 같이 3시간 간격마다 매번 깨어나서 새로운 물을 공급해주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는 자는 동안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되는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user goes to bed using the thermal mat, the user does not have to wake up every three hours and supply new water every three hours as in the conventional product, so that the user can provide convenience of not taking any other measures while sleeping.
도 8은 제2 자동순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ond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첨부한 도면 중에서 도 1, 도 3, 도 4의 (나)도면, 도 7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자동순환장치(10B)는 입구관(11), 출구관(12), 입구관 연결체(13), 출구관 연결체(14), 개폐작동체(16), 결합원통체(17)을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즉, 제1 자동순환장치(10A)와 동일한 것이면서 가열통(2)에 반대방향으로 장착된 것으로 도시하였다.1, 3, and 4 (b)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shown in Figure 7, the second
그런데, 도 8과 같이 제2 자동순환장치(10B)를 구성하여 가열통(2)에 장착할 수 있다.By the way, as shown in FIG. 8, the 2nd
도 8에 도시된 제2 자동순환장치(10B)를 살펴보면, 입구관 연결체(13)의 관통공(15a)에 입구관(11)이 고정되고, 입구관 연결체(13)에서 아래쪽으로 연장되지 않게 절단시킨 것이다.Referring to the second
한편, 제2 자동순환장치(10B)에는 입구관(11)은 제외하여 구성하더라도 그 기능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중심부에 관통공(15a)을 가지는 입구관 연결체(13)만 결합원통체(17)의 일측 개구부에 고정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제2 자동순환장치(10B)는 입구관 연결체(13)의 관통공(15a)를 통해 스팀이 배출될 수 있으므로 제기능을 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10B) can function even if configured to remove the inlet pipe (11). Specifically, only the inle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온열매트용 스팀 공급기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llustrated for the steam supply for a thermal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열매트용 스팀 공급기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eam supply for a thermal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열매트용 스팀 공급기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eam supply for a thermal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구성된 자동순환장치의 분리사시도.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config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구성된 자동순환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로서, (가)도면은 제1 자동순환장치이고, (나)도면은 제2 자동순환장치이며, (다)도면은 개폐작동체의 평면도이다.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configur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the drawing is the first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B) the drawing is the second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C) the drawing is the opening and closing actuator Top view of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열매트용 스팀 공급기의 사용상태도.5 is a state of use of the steam supply for a thermal m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제1 자동순환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가)도면은 물공급통에서 물이 공급되는 상태이고, (나)도면은 가열통 내부에서 스팀이 발생될 때를 보인 상태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A) is a state in which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container, (B) is a state showing when the steam is generated in the heating vessel. to be.
도 7은 제2 자동순환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7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econd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도 8은 제2 자동순환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econd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물공급통 2 : 가열통1: water supply container 2: heating container
3 : 회수관 4 : 압력자동조절밸브3: recovery pipe 4: pressure automatic control valve
5 : 뚜껑 6 : 뚜껑 손잡이5: lid 6: lid handle
7 : 몸체 이동손잡이 8 : 하부가림테7 body movement handle 8 lower frame
9 : 오목바닥면 10A : 제1 자동순환장치9: concave
10B : 제2 자동순환장치 11 : 입구관10B: second automatic circulation device 11: inlet pipe
12 : 출구관 13 : 입구관 연결체12: outlet pipe 13: inlet pipe connecting body
14 : 출구관 연결체 15a, 15b : 관통공14
16 : 개폐작동체 17 : 결합원통체16: opening and closing actuator 17: coupling cylinder
18 : 선단부18: distal end
H1 : 입구측 순환호스(스팀 공급)H1: Inlet circulation hose (steam supply)
H2 : 출구측 순환호스(액화된 물 유입)H2: Outlet side circulation hose (liquefied water inflow)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9077A KR101088879B1 (en) | 2009-07-28 | 2009-07-28 | Thermal Mat Steam Supp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9077A KR101088879B1 (en) | 2009-07-28 | 2009-07-28 | Thermal Mat Steam Suppl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1434A KR20110011434A (en) | 2011-02-08 |
KR101088879B1 true KR101088879B1 (en) | 2011-12-07 |
Family
ID=43771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69077A Active KR101088879B1 (en) | 2009-07-28 | 2009-07-28 | Thermal Mat Steam Supp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8887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2571B1 (en) * | 2012-12-12 | 2013-07-04 | (주)성진하이텍 | Fixing apparatus of lighting |
CN105484465A (en) * | 2014-10-10 | 2016-04-13 | 百益百利(福州)幕墙工程有限公司 | Back bolt combination device for stone veneer installation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1695Y1 (en) * | 2001-01-06 | 2001-07-19 | 박태현 | Thermal mat heater |
-
2009
- 2009-07-28 KR KR1020090069077A patent/KR10108887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1695Y1 (en) * | 2001-01-06 | 2001-07-19 | 박태현 | Thermal mat hea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11434A (en) | 2011-0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42792B1 (en) | A portable pack for cooking in outside | |
US5902620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beverages in a microwave oven | |
CN208192787U (en) | Steam sprays cooking apparatus | |
KR101088879B1 (en) | Thermal Mat Steam Supply | |
DE60100419D1 (en) | coffee machine | |
CN106618204A (en) | One-time heating heat-insulating water dispenser equipment | |
CN101290144A (en) | A multifunctional microwave oven with steam heating | |
CN107007143B (en) | Multifunctional electric kettle | |
KR101689482B1 (en) | Device for drip coffee | |
CN209789591U (en) | Instant heating type tea brewing machine | |
FR2588739A1 (en) | Electric coffee machine providing steam for warming drinks | |
KR100954902B1 (en) | Fryer | |
KR102142090B1 (en) | Portable heating container | |
KR101489359B1 (en) | Multi funtional portable heater | |
CN206261450U (en) | Coffee machine | |
CN205410897U (en) | Hydrocone type coffee machine | |
KR20130005803U (en) | Portable Boiler Thaw steamer | |
CN108236375A (en) | A kind of electric appliance for preparing beverage | |
KR100603647B1 (en) | Portable hot water circulator | |
KR200416297Y1 (en) | Direct Cooking Container | |
CN205682958U (en) | A kind of Tea maker | |
KR100515097B1 (en) | Roasting grill | |
KR200231695Y1 (en) | Thermal mat heater | |
CN109027320A (en) | A kind of Temp.-controlled water valve | |
KR200381998Y1 (en) | roasted with frying pa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7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