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6354B1 - Seat installation structure for ceiling finishing - Google Patents
Seat installation structure for ceiling finish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86354B1 KR101086354B1 KR1020090084804A KR20090084804A KR101086354B1 KR 101086354 B1 KR101086354 B1 KR 101086354B1 KR 1020090084804 A KR1020090084804 A KR 1020090084804A KR 20090084804 A KR20090084804 A KR 20090084804A KR 101086354 B1 KR101086354 B1 KR 1010863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ing
- fixed
- sheet
- frame
- harpo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3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 E04B9/303—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edge details of the ceiling; e.g. securing to an adjacent wall for flexible tensioned memb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정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는 마감용 시트의 단부에 설치된 하푼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대상물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에 있어서, 설치대상물에 밀착되는 고정부;와, 서로 이격 배치되는 두개 이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판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와의 사이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걸림부로부터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ed frame and a ceiling finishing shee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the fixing frame and a ceiling finishing shee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object so that the harpoon installed at the end of the finishing sheet is selectively inserted. In the fixed frame is fixed, the fixing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tallation object; and two or more fixing protrusions are form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s formed engag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And a support part spaced apart from the locking part so that an accommodation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locking part and the locking part.
연신성 시트, 비연신성 시트, 고정프레임, Stretchable sheets, non-stretchable sheets, fixed frames,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정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장마감용 시트의 단부에 고정된 하푼이 삽입고정되는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고정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xed frame and a ceiling finishing shee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a fixed frame and a ceiling finishing sheet using the same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harpoon fixed to the end of the ceiling finishing sheet is fixed. It relates to the installation structure.
일반적으로 연신성 시트는 신축성 및 복원성이 우수한 재질, 즉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이루어진 시트(sheet)를 열풍기로써 가열하여 잡아 늘린 후, 건축물의 천장면 또는 벽면에 설치하여 미관을 향상시키는 건축용 내장재이다.In general, an extensible sheet is an interior material for construction that improves aesthetics by heating a stretch sheet made of a material having excellent elasticity and resilience, that is, polyvinyl chloride, etc., by heating and stretching it with a hot air blower, and then installing it on the ceiling or wall surface of a building.
이러한 연신성 시트를 이용한 천장마감구조는 아직 국내에는 널리 보급되지는 않았지만 단열성, 비부식성, 방염성, 방수성, 항습성 등이 우수하고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이어서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에서는 널리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The ceiling finishing structure using the stretchable sheet has not yet been widely used in Korea, but it is environmentally friendly because it is excellent in insulation, non-corrosive, flame retardant, waterproof, and moisture resistance and can be recycled, so it is widely used in France, Germany, Italy, etc. It is used.
첨부도면중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축물의 연신성 시트 설치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stretchable sheet install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면에서와 같이 조립홈(4)이 형성되어 건축물의 내벽면에 스크류 등에 의해 설치되는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조립홈(4)에 삽입되고 일측에 시트(3)가 부착된 하푼(2)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1)의 끝단에는 팽팽하게 펼쳐진 시트(3)가 프레임(1)의 끝단과 접촉하여 찢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가 씌워진다.As shown in the drawing, an assembling groove 4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frame 1 installed by a screw or the like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and inserted into the assembling groove 4 of the frame 1, and the
한편, 최근 상기와 같은 연신성 시트 대신 거울면이 형성된 비연신성의 미러시트를 적용하여 거울면에 의한 새로운 심미감을 제공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는데, 이러한 비연신성 미러시트의 경우 평평하고 매끄러운 거울 효과를 지속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반면, 연신이 되지 않는 비연신성 시트의 특성상 설치대상물에 설치된 고정프레임의 간격에 대하여 정확하게 맞아떨어지도록 절단한 뒤, 각 단부에 하푼을 고정시킨 뒤 고정프레임에 조립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proposed a technology that provides a new aesthetic by the mirror surface by applying a non-stretchable mirror sheet having a mirror surface instead of the above stretchable sheet, in the case of such non-stretchable mirror sheet flat and smooth mirror effect On the contrary, due to the nature of the non-stretchable sheet that is not stretched, it is cut to fit precisely with respect to the interval of the fixed frame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object. There is a ham.
즉, 고정프레임의 설치간격에 오차가 발생되거나 미러시트의 절단에 오차가 발생되어 미러시트의 길이가 남는 경우 미러시트가 팽팽하게 당겨지지 않아 거울면에 반사되는 이미지가 뒤틀려지게 되고, 미러시트의 길이가 모자라게 되는 경우에는 비연신성인 미러시트의 단부에 고정된 하푼이 고정프레임에 제대로 조립되지 않게 되므로 맞춤절단된 고가의 미러시트를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ther words, if an error occurs in the installation interval of the fixed frame or an error occurs in the cutting of the mirror sheet, and the length of the mirror sheet remains, the mirror sheet is not pulled tightly and the image reflected on the mirror surface is distorted. When the length is short, because the puncture fixed to the end of the non-extensible mirror sheet is not assembled properly to the fixed fram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custom-cut expensive mirror sheet should be discarded.
이러한 비연신성 시트의 설치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푼과 비연신성 시트의 사이에 신축부재를 마련한 구성이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바 있으나, 이러한 구성은 고정프레임의 내측에서 신축부재가 연신되기 위한 공간이 필요로 하게 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caused when the non-stretchable sheet is installed, a configuration in which an elastic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harpoon and the non-stretchable sheet has been proposed by the present applicant, but such a configuration is such that the elastic member is stretched inside the fixed frame. Space is needed.
따라서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시트(비연신성 시트와 연신성 시트)들을 함께 설치하기 위한 새로운 고정프레임이 필요하게 되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new fixed frame for installing together sheets having different properties (non-stretchable sheets and stretchable sheet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의 고정프레임에 두개 이상의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서로 다른 재질의 시트 특성에 따라 하푼의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트의 절단길이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시트를 팽팽한 상태로 시공할 수 있는 고정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by forming two or more fixing protrusions in one fixing frame to adjust the fixing position of the harpoon according to the sheet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materials to cut the sheet Even if an error occurs in the length to provide a fixed frame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tensioned state of the sheet and the sheet installation structure for finishing the ceiling using the same.
또한, 각각의 시트 특성에 따라 하푼의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하나의 프레임에 특성이 서로 다른 시트들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시트의 종류에 따라 고정프레임을 각각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고정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fixing position of the harpo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heet can be fixed to the sheet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one frame, the fixed frame does not need to have a fixed frame,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type of sheet and It is to provide a sheet installation structure for finishing the ceiling using the same.
또한, 비연신성 시트의 하푼은 수용공간의 내측영역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고정되도록 하고, 연신성 시트의 하푼은 수용공간의 외측영역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시트의 노출면에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정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uncture of the non-extensible sheet is fixed to the fixing protrusions form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receiving space, and the puncture of the stretchable sheet is fixed to the fixing protrusions formed in the outer region of the receiving space, whereby wrinkles are generated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sheet. It is to provide a fixed frame and a ceiling installation shee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to prevent the thing.
또한, 고정프레임의 양측에 수용공간을 각각 형성하여 양측에 배치되는 서로 다른 재질의 시트를 하나의 고정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측에 배치된 서로 다른 종류의 시트들을 하나의 고정프레임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서로 인접한 시트와 시트 사이의 연결부분에 형성되는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고정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receiving space on each side of the fixed frame to fix the sheets of different materials disposed on both sides to a single fixed frame to fix the different types of sheets arranged on both sides to a single fixed frame Not only is it possible, but also to provide a fixed frame and a ceiling installation shee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that can minimize the space formed in the adjacent sheet and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heets.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마감용 시트의 단부에 설치된 하푼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대상물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에 있어서, 설치대상물에 밀착되는 고정부;와, 서로 이격 배치되는 두개 이상의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판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와의 사이에 수용공간이 마련되도록 상기 걸림부로부터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고정프레임에 의해 달성된다.Th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xed frame fixed to the installation object to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sheet installed in the end of the finishing sheet, the fixing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tallation object; and two or more fixing protru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locking portion formed to extend from the plate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And a support part spaced apart from the locking part so that an accommodation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locking part and the locking part.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걸림부의 양측에 수용공간이 각각 마련되도록 상기 걸림부의 양측으로 각각 이격 배치되고,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걸림부의 양측면에 적어도 두개 이상씩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portions are spaced apart from both sides of the locking portion so that the receiving space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locking portion, respectively, and at least two fix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cking portion, respectively.
또한, 상기 걸림부는 선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ngaging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at the tip por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에 있어서, 설치대상물의 노출면을 마감하는 비연신성 시트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면서 걸림부의 내측영역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간섭되어 위치고정되는 하푼과,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져 일단부는 상기 비연신성 시트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푼에 고정되는 신축부재가 형성된 제1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에 의해 달성된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n-extensible sheet for closing the exposed surface of the installation object in the ceiling installation shee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fixing frame, and fixed to the inner region of the locking portion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fixing frame And a first finishing member formed of an elastic member fixed to the harpoon and one end of which the non-extensible sheet is fixed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to interfere with the projection and is fixed to the harpoon. It is achieved by the seat mounting structur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에 있어서, 설치대상물의 노출면을 마감하는 연신성 시트와, 후단부는 상기 연신성 시트의 단부에 고정되고 선단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면 서 걸림부의 외측영역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간섭되어 위치고정되는 하푼이 형성된 제2마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에 의해 달성된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heet for a ceiling finishing shee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fixing frame, the stretchable sheet for closing the exposed surface of the installation object, the rear end is fixed to the end of the stretchable sheet and the front end is fixed frame It is achieved by the sheet installation structure for the ceiling finish comprising a; a second finishing member is formed in the receiving space is interfered with the fixing projection formed in the outer region of the locking portion is fixed to posi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에 있어서, In the ceiling finishing shee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fixing frame,
상기 프레임의 걸림부를 기준으로 설치대상물의 일측 노출면을 마감하는 비연신성 시트와,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면서 걸림부의 고정돌기에 간섭되어 위치고정되는 하푼과,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져 일단부는 상기 비연신성 시트가 고정되고 타단부는 상기 하푼에 고정되는 신축부재가 형성된 제1마감부재;The non-stretchable sheet which closes one exposed surface of the installation object based on the locking portion of the frame, a harpoon inserted into one receiving space of the fixing frame and interfered with the fixing protrusion of the locking portion, and is fixed with one end portion of the frame. A first finishing member in which the non-extensible sheet is fixed and the other end is formed of an elastic member fixed to the harpoon;
상기 프레임의 걸림부를 기준으로 설치대상물의 타측 노출면을 마감하는 연신성 시트와, 후단부는 상기 연신성 시트의 단부에 고정되고 선단부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타측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면서 걸림부의 고정돌기에 간섭되어 위치고정되는 하푼이 형성된 제2마감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마감부재의 하푼은 걸림부의 일측면 내측영역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고정되고, 상기 제2마감부재의 하푼은 걸림부의 타측면 외측영역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에 의해 달성된다.An extensible sheet for closing the other exposed surface of the installation object based on the engaging portion of the frame, the rear end is fixed to the end of the extensible sheet and the front end is inserted into the other receiving space of the fixing frame interfere with the fixing projections And a second finishing member having a lower puncture formed to be fixed thereto, wherein the lower puncture of the first closing member is fixed to a fixing protrusion formed at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lower puncture of the second closing member is the other side of the locking portion. It is achieved by the sheet installation structure for finishing the ceil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rojection formed in the outer region.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고정프레임에 다수의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서로 다른 재질의 시트 특성에 따라 하푼의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트 의 절단길이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시트를 팽팽한 상태로 시공할 수 있는 고정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plurality of fixing projections in one fixing frame to adjust the fixing position of the harpoon according to the sheet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materials, even if an error occurs in the cutting length of the sheet can be installed in a tight state There is provided a fixed frame and a ceiling installation shee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또한, 각각의 시트 특성에 따라 하푼의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해 하나의 프레임에 특성이 서로 다른 시트들을 고정할 수 있으므로, 시트의 종류에 따라 고정프레임을 각각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고정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가 제공된다.In addition, by adjusting the fixing position of the harpo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heet can be fixed to the sheet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one frame, the fixed frame does not need to have a fixed frame,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type of sheet and A sheet installation structure for finishing the ceiling using the same is provided.
또한, 비연신성 시트의 하푼은 수용공간의 내측영역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고정되도록 하고, 연신성 시트의 하푼은 수용공간의 외측영역에 형성된 고정돌기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시트의 노출면에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정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가 제공된다.In addition, the puncture of the non-extensible sheet is fixed to the fixing protrusions form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receiving space, and the puncture of the stretchable sheet is fixed to the fixing protrusions formed in the outer region of the receiving space, whereby wrinkles are generated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sheet. There is provided a fixed frame and a ceiling-mounted sea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to prevent the thing.
또한, 고정프레임의 양측에 수용공간을 각각 형성하여 양측에 배치되는 서로 다른 재질의 시트를 하나의 고정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측에 배치된 서로 다른 종류의 시트들을 하나의 고정프레임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서로 인접한 시트와 시트 사이의 연결부분에 형성되는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고정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가 제공된다.In addition, by forming the receiving space on each side of the fixed frame to fix the sheets of different materials disposed on both sides to a single fixed frame to fix the different types of sheets arranged on both sides to a single fixed frame Not only is it possible, there is provided a fixing frame and a ceiling installation shee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 same that can minimize the space formed in the adjacent sheet and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sheets.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in the various embodiments,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representatively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other embodiments, different configurations from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do.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fixed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eet installation structure for finishing the ceiling using the same.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의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110)은, 마감용 시트의 단부에 설치된 하푼이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설치대상물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설치대상물에 밀착되는 고정부(111)와, 서로 이격 배치되는 두개 이상의 고정돌기(112a)가 형성되고 선단부에 경사면(112b)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111)의 판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걸림부(112) 및, 상기 걸림부(112)와의 사이에 수용공간(114)이 마련되도록 상기 걸림부(112)로부터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지지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부(112)에 두개의 고정돌기(112a)가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고정돌기(112a)가 서로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는 것에 의해 시트의 고정위치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s having two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sheet installation structure for finishing the ceiling using a fixing fram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도면 중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을 이용하여 천장을 마감하는 비연신성 시트를 설치하는 구조에 대한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ructure for installing a non-extensible sheet for finishing the ceiling using a fixing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는, 설치대상물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설치되는 두개 이상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110)과, 상기 두개 이상의 고정프레임(110) 사이에 배치되어 설치대상물의 노출면을 마감하는 제1마감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Ceiling finishing shee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a fixing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상기 제1마감부재(120)는 상기 고정프레임(110) 사이 공간을 마감하는 비연신성 시트(121)와, 후단부가 상기 비연신성 시트(121)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선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지지부(113)와 걸림부(112) 사이의 수용공간(114)에 삽입고정되는 하푼(122)과, 신축(伸縮)성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하푼(122)과 비연신성 시트(121)의 사이를 연결하는 신축부재(12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하푼(122)의 선단에 형성되는 후크(122a)가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걸림부(112)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돌기(112a) 중 내측영역에 형성된 고정돌기(112a)에 구속되면서 신축부재(123)가 신축거리가 충분하게 확보되므로 비연신성 시트(121)가 설치대상물의 양측에 마련된 고정프레임(110)의 사이에서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여기서, 상기 비연신성 시트(121)는 폴리염화비닐 시트와 거울면과 비연신성 투명 보호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평평하고 매끄러운 거울 효과를 지속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미러시트가 적용되는 것을 예로 든다. 상기 거울면은 알루미늄(Al), 금(Au), 은(Ag), 동(Cu), 황동(Cu-Zn), 티타늄(Ti), 크롬(Cr), 니켈(Ni), 스테인리스 합금 등의 금속 재료가 단독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합금의 형태로 이루어져 투명 보호필름에 증착 또는 도금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는 거울면이 형성된 미러시트가 적용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다른 형태의 비연신성 시트가 적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Here,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110)을 이용한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의 설치상태를 살펴보면, 고정프레임(110)의 걸림부(112)와 지지부(113)가 설치대상면의 대향측을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고정프레임(110)의 고정부(111)를 천장 모서리와 같은 설치대상물에 밀착한 뒤, 상기 고정부(111)를 관통하는 볼트나 기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설치대상물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Looking at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eat installation structure for finishing the ceiling using the
이어서, 비연신성 시트(121)의 단부측에 고정되는 하푼(122)이 상기 걸림부(112)와 지지부(113) 사이의 수용공간(114)으로 삽입되면, 상기 하푼(122)의 선단부에 형성된 후크(122a)가 상기 걸림부(112)의 경사면(112b)에 접촉하면서 탄성압축되었다가, 걸림부(112)의 외측영역에 형성된 고정돌기(112a)를 통과하면서 탄성복원되어 하푼(122)의 후크(122a)가 고정프레임(110)의 고정돌기(112a)에 구속되고, 이로인해 하푼(122)의 삽입위치가 고정된다.Subsequently, when the
이때, 상기 비연신성 시트(121)가 탄력적으로 잡아당겨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비연신성 시트(121)와 하푼(122)의 사이에 신축부재(123)가 마련되는데, 이러한 신축부재(123)가 비연신성 시트(121)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하푼(122)을 걸림부(112)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돌기(112a) 중 내측영역에 형성된 고정돌기(112a)에 고정시킨다.In this case, the
상기와 같이 하푼(122)을 고정프레임(110)의 수용공간(114) 내측영역까지 삽입하여 하푼(122)의 후크(122a)가 내측영역의 고정돌기(112a)에 구속되도록 하면, 비연신성 시트(121)의 단부가 지지부(113)에 지지된 상태에서 비연신성 시트(121)와 하푼(122)의 사이에 마련된 신축부재(123)가 탄력적으로 인장되어 비연신성 시 트(121)의 단부를 고정프레임(110)측으로 잡아당기기 때문에 설치대상물의 노출면을 마감하는 비연신성 시트(121)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신축부재(123)가 인장된 상태에서 하푼(122)을 삽입측으로 잡아당기기 때문에 하푼(122)의 후크(122a)가 고정돌기(112a)에서 고정된 상태에서 임의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첨부도면 중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110)을 이용하여 천장을 마감하는 연신성 시트(131)를 설치하는 구조에 대한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ructure for installing a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는, 설치대상물 상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설치되는 두개 이상의 상술한 제1실시예의 고정프레임(110)과, 상기 두개 이상의 고정프레임(110) 사이에 배치되어 설치대상물의 노출면을 마감하는 제2마감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Ceiling finishing shee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a fixed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상기 제2마감부재(130)는 신축성 및 복원성이 우수한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프레임(110)간의 사이 공간을 마감하는 연신성 시트(131)와, 후단부가 상기 연신성 시트(131)의 단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선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지지부(113)와 걸림부(112) 사이의 수용공간(114)에 삽입고정되는 하푼(13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의 설치상태를 살펴보면, 고정프레임(110)의 걸림부(112)와 지지부(113)가 설치대상면의 대향측을 향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고정프레임(110) 의 고정부(111)를 천장 모서리와 같은 설치대상물에 밀착한 뒤, 상기 고정부(111)를 관통하는 볼트나 기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설치대상물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Looking at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eat installation structure for finishing the ceiling using a fixed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engaging
이어서, 연신성 시트(131)의 단부측에 고정되는 하푼(132)이 상기 걸림부(112)와 지지부(113) 사이의 수용공간(114)으로 삽입되면, 상기 하푼(132)의 선단부에 형성된 후크(132a)가 상기 걸림부(112)의 경사면(112b)에 접촉하면서 탄성압축되었다가, 걸림부(112)의 외측영역에 형성된 고정돌기(112a)를 통과하면서 탄성복원되어 하푼(132)의 후크(132a)가 고정프레임(110)의 고정돌기(112a)에 구속되고, 이로인해 하푼(132)의 삽입위치가 고정된다.Subsequently, when the
이때, 상기 하푼(132)의 후단부가 연신성 시트(131)에 의해 하푼(132)의 삽입측을 향해 탄력적으로 잡아당겨지는 상태가 되므로 상기 하푼(132)이 고정돌기(112a)로부터 임의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연신성 시트(131)는 지지부(113)의 선단부에 지지되므로 양측 고정프레임(110)의 지지부(113) 사이에서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the rear end of the
또한, 연신성 시트(131)의 단부에 고정된 하푼(132)의 후크(132a)가 고정프레임(110)의 걸림부(112)의 외측영역에 형성된 고정돌기(112a)에 고정됨으로써, 연신성 시트(131)가 지지부(113)와 고정돌기(112a) 사이영역에서 과도하게 인장되어 연신성 시트(131)와 지지부(113)의 접촉부분에서 시트에 주름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된다. In addition, the
이와 같이 하나의 고정프레임에 다수의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서로 다른 재질의 시트 특성에 따라 하푼의 고정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트의 종류에 따라 여러 종류의 고정프레임을 구비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시트의 노출면에 주름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Thus, by forming a plurality of fixing projections in one fixing frame to adjust the fixing position of the harpo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eet of different materials,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kinds of fixing frames according to the type of sheet, It provide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wrinkles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110) 및 이를 이용한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fixing
첨부도면 중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110)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110')은 천장 마감용 시트에 고정된 하푼이 양측에서 각각 삽입고정되도록 설치대상물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설치대상물에 밀착되는 고정부(111)와, 서로 이격 배치되는 두개 이상의 고정돌기(112a)가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고 선단부 양측에 경사면(112b)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111)의 판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는 걸림부(112) 및, 상기 걸림부(112)의 양측에서 상기 걸림부(112)와의 사이에 수용공간(114)이 마련되도록 상기 걸림부(112)와 소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하게 배치되는 지지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xing frame 11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object so that the harpoon fixed to the sheet for finishing the ceiling is inserted and fixed at each side,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stallation object The fixing
이러한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110')은 설치대상물의 마감면적이 넓어 하나의 시트로 마감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시각적 효과를 위해 서로 다른 두개 이상의 마감시트를 혼용하여 천장을 마감하는 경우 상기 제1실시예의 고정프레임(110)의 사이영역에 추가로 설치되어 양측에 배치되는 시트를 하나의 고정프레임으로 고정하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The fixin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sheet installation structure for finishing the ceiling using a fixing fram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도면 중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의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iling finishing sheet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a fixing fram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는, 설치대상물에 고정설치되는 상술한 제2실시예의 고정프레임(110')과,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설치대상물의 노출면을 마감하는 제1마감부재(120)와,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타측에 배치되어 설치대상물의 노출면을 마감하는 제2마감부재(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마감부재(120)와 제2마감부재(130)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heet finishing structure for finishing the ceiling using the fixing fram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6, the fixing frame 110 'of the second embodiment to be fixed to the installation object and the fixing A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의 설치상태를 살펴보면, 걸림부(112)의 양측에 각각 지지부(113)가 마련되어 걸림부(112)의 양측으로 수용공간(114)이 형성된 고정프레임(110')의 고정부(111)를 설치대상면에 밀착시킨 뒤 고정부(111)를 관통하는 볼트나 기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설치대상물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Looking at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eat installation structure for finishing the ceiling using a fixing fram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이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일측에서 제1마감부재(120)의 비연신성 시트(121)의 단부측에 고정되는 하푼(122)을 고정프레임(110)의 일측에 마련된 수용공간(114)으로 삽입하면, 상기 하푼(122)의 선단부에 형성된 후크(122a)가 고정프레임(110)의 고정돌기(112a)에 구속되면서 하푼(122)의 삽입위치가 고정된다. 이 때, 상기 비연신성 시트(121)의 하푼(122)을 수용공간(114)의 내측영역까지 충분히 밀어넣어 걸림부(112)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돌기(112a) 중 내측영역에 형성된 고정돌기(112a)에 고정되도록 하면, 비연신성 시트(121)와 하푼(122)의 사이에 마련되는 신축부재(123)가 인장되면서 상기 비연신성 시트(121)에 탄성을 부가하게 되므로 양측 고정프레임(110)의 지지부(113)에 단부가 각각 지지되는 비연신성 시트(121)가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Subsequently, the receiving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110)의 타측에서 제2마감부재(130)의 연신성 시트(131)의 단부측에 고정된 하푼(132)을 고정프레임(110)의 타측에 마련된 수용공간(114)으로 삽입하면, 상기 하푼(132)의 선단부에 형성된 후크(132a)가 고정프레임(110)의 고정돌기(112a)에 구속되면서 하푼(132)의 삽입위치가 고정된다. In addition, the receiving
이와 같이 고정프레임(110) 양측에 배치되는 서로 다른 재질의 시트를 하나의 고정프레임(110)에 고정하게 되므로, 서로 인접한 시트와 시트 사이의 연결부분에 형성되는 공간이 최소화 되는 이점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heets of different material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it is intended that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various extents which can be modified.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축물의 연신성 시트 설치구조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stretchable sheet installation structure of a building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의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fram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을 이용하여 천장을 마감하는 비연신성 시트를 설치하는 구조에 대한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ructure for installing a non-extensible sheet for finishing the ceiling using a fixing fram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을 이용하여 천장을 마감하는 연신성 시트를 설치하는 구조에 대한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ructure for installing a stretchable sheet for finishing the ceiling using a fixing fram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xing fram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고정프레임을 이용한 천장마감용 시트 설치구조의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at installation structure for finishing the ceiling using a fixing fram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고정프레임, 111:고정부, 112:걸림부, 112a:고정돌기, 112b:경사면, 110: fixed frame, 111: fixed part, 112: locking part, 112a: fixed projection, 112b: inclined surface,
113:지지부, 114:수용공간, 120:제1마감부재, 121:비연신성 시트, 122:하푼, 113: support portion, 114: accommodation space, 120: first finishing member, 121: non-extensible sheet, 122: harpoon,
122a:후크, 123:신축부재, 130:제2마감부재, 131:연신성 시트, 132:하푼, 122a: hook, 123: elastic member, 130: second finishing member, 131: stretchable sheet, 132: harpoon,
132:후크132: Hook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4804A KR101086354B1 (en) | 2009-09-09 | 2009-09-09 | Seat installation structure for ceiling finish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4804A KR101086354B1 (en) | 2009-09-09 | 2009-09-09 | Seat installation structure for ceiling finish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6941A KR20110026941A (en) | 2011-03-16 |
KR101086354B1 true KR101086354B1 (en) | 2011-11-23 |
Family
ID=43933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84804A Expired - Fee Related KR101086354B1 (en) | 2009-09-09 | 2009-09-09 | Seat installation structure for ceiling finish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8635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18795B1 (en) * | 2016-07-08 | 2023-12-29 | 크바드라트 소프트 셀스 에이/에스 | Methods of mounting panels for suspended ceilings or similar and fabric on the frame of suspended ceilings or similar |
FR3069263B1 (en) * | 2017-07-21 | 2019-08-02 | Normalu | IMPROVED SEPARATING SCREEN FOR FASTENING CANVAS WITHOUT MEANS OF HITCHING |
-
2009
- 2009-09-09 KR KR1020090084804A patent/KR10108635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6941A (en) | 2011-03-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S2765228T3 (en) | Detachable window and door screens | |
USD541927S1 (en) | Ventilating louver | |
USD550849S1 (en) | Chin strap | |
JP2018525551A (en) | Finger protection device for hinged door | |
USD599473S1 (en) | Weave ceiling fan blade | |
KR101086354B1 (en) | Seat installation structure for ceiling finishing | |
KR950704582A (en) | Panel JOINING MECHANISM | |
RU2385821C2 (en) | Hinge protection device | |
KR100932957B1 (en) | Sheet establish construction for ceiling closing | |
JP4898916B2 (en) | Front seat occupant airbag module | |
DK2117372T3 (en) | piece of luggage | |
JP6141854B2 (en) | Re-covering equipment for removable wall panels | |
US4120550A (en) | Mullion adjusting device | |
US9835336B2 (en) | Heating system including a safety screen | |
JP2008173271A (en) | Smoke barrier | |
KR20130086507A (en) | Sheet fixing frame | |
JP5967740B1 (en) | Sheet spreading device | |
CN112198748A (en) | Projection screen and projection equipment | |
KR100954551B1 (en) | Device for catching corner of fire prevention unit frame | |
JP5715496B2 (en) | Screen device | |
JP6448989B2 (en) | Smoke proof banner | |
USD986602S1 (en) | Porthole picture frame | |
KR200452660Y1 (en) | Blind Spot Mirror | |
JP2007138648A (en) | Wall-panel mounting structure | |
JP7570893B2 (en) | Water-stopping material and fittings fitted with the water-stopping materi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1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1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11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