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85969B1 - 윤활유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윤활유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969B1
KR101085969B1 KR1020090074768A KR20090074768A KR101085969B1 KR 101085969 B1 KR101085969 B1 KR 101085969B1 KR 1020090074768 A KR1020090074768 A KR 1020090074768A KR 20090074768 A KR20090074768 A KR 20090074768A KR 101085969 B1 KR101085969 B1 KR 101085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ting oil
pinion gear
cover member
piston
cylin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7205A (ko
Inventor
김요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루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루브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루브텍
Priority to KR1020090074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969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96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3/00Lubricating-pumps
    • F16N13/02Lubricating-pumps with reciprocating piston
    • F16N13/04Adjustable reciprocat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25/00Distributing equipment with or without proportion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윤활유 공급장치는, 베이스부재에 안착된 윤활유통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된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 내에 고정되며, 상기 윤활유통의 윤활유를 외부로 펌핑하는 윤활유공급펌프; 및 상기 커버부재를 상기 윤활유통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탈거시키도록 상기 커버부재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윤활유, 윤활개소, 커버부재, 윤활유공급펌프, 구동부, 가스 스프링부, 잠금부재

Description

윤활유 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lubricant}
본 발명은 윤활유 공급장치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윤활개소에 윤활유를 공급함에 있어서 효율적인 구동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조가 개선된 윤활유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형의 제철설비나 운반설비 등에 사용되는 그리스 등과 같은 윤활유의 공급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윤활유 펌프(110)와, 이 펌프(110)로부터 압송된 윤활유를 2개의 공급주관(120)으로 교대로 절환해 주는 리버싱 밸브(130)와, 일정량의 윤활유를 포함하고 있는 윤활유 충전 펌프(140)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미설명부호 150은 전기 제어반, 160은 분배 밸브, 170은 공급지관, 180은 급유관을 각각 나타낸다.
윤활유 공급장치는 전기 제어반(150)의 시스템 타이머에 소정의 급유 간격을 설정해서 자동 급유하는 장치로서, 이를 위하여 펌프(110)로부터 압송된 윤활유는 2개의 공급주관(120)을 교대로 절환해 주는 리버싱 밸브(130)를 거쳐 분배 밸브(160)의 작동에 의해 각 급유개소에 급유가 완료된다.
이때, 일측 공급주관(120)의 압력이 급상승하게 되어 리버싱 밸브(130)의 설정압력을 초과하게 되면 리버싱 밸브(130)가 절환되면서 반대측 공급주관(120)에 급유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윤활유 공급장치는 충진용 윤활유 충전펌프(140)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고, 충전펌프(140) 자체에 리프팅 유니트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윤활유통을 바꿔가며 계속해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충전펌프(140)를 사용함으로써 작업이 불편하고 윤활유를 오염시킬 수 있는 위험성이 높다.
또한, 종래의 윤활급유장치는 전동윤활급유펌프 및 분배변을 사용하여 윤활유를 액상으로 급유개소에 공급하는 방식인데, 주로 베어링 블럭 등 밀폐된 개소에 공급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이 방법으로는 대기에 개방되어 있는 윤활개소 즉 베드면, 기어, 레일 등 도포 면적이 넓고 움직이는 면에 급유하는 방법으로는 부적합한 면이 있다.
즉, 일정 면적에 넓게 도포해야 하는데 배관을 타고 흘러나오므로 액상의 방울로 윤활개소에 적하될 수밖에 없어, 균일한 윤활이 어렵고 윤활개소에 제대로 윤활유가 부착되지 않고 흘러내리는 현상으로 인해 낭비 및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되 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액상으로 적하하는 방식을 개선한 방법으로는 공기압을 이용 윤활유를 미스트화하여 급유하는 방식이 있는데, 이것은 급유량을 정확하게 조절하는 것이 어렵고 개소별로 요구량을 달리하는 것이 쉽지 않다.
즉, 윤활유를 연속해서 빨아올려서 미스트를 만들어 공급하므로 공기의 압력 및 공기량을 조절하여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나, 명시적으로 한정된 유량을 제어하는 것이 어려우며, 또한 미스트 상태로 급유개소에 공급되므로 인해 오염이 유발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윤활개소에 윤활유를 공급함에 있어서 효율적인 구동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조가 개선된 윤활유 공급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공급장치는, 베이스부재(12)에 안착된 윤활유통(14)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부(22)가 형성된 커버부재(20); 상기 커버부재(20) 내에 고정되며, 상기 윤활유통(14)의 윤활유를 외부로 펌핑하는 윤활유공급펌프(40); 및 상기 커버부재(20)를 상기 윤활유통(14)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탈거시키도록 상기 커버부재(20)를 구동하는 구동부(6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윤활유공급펌프(40)는, 상기 커버부재(20)에 하측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하부(41)에는 상기 윤활유통(14)과 연결된 윤활유 유입구(42b)와, 상부(43)에는 윤활유 토출구(42c)가 형성된 실린더(42); 및 상기 실린더(42)의 상부(43)에 형성된 공기 흡배기구(42d)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 의해 하강되고, 상기 실린더(42)의 내측 하부에 장착된 스프링(45)에 의해 상승됨에 따라 왕복운동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상기 윤활유 유입구(42b) 및 윤활유 토출구(42c)와 연통된 피 스톤홀(44f)이 형성된 피스톤(44);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44)의 상승 시, 상기 윤활유통(14)의 윤활유가 상기 윤활유 유입구(42b)를 통해 유입된 후 상기 피스톤홀(44f) 내로 이동하며, 상기 피스톤(44)의 하강 시, 상기 피스톤홀(44f) 내의 윤활유가 상기 윤활유 토출구(42c)를 통해 토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윤활유공급펌프(40)는, 상기 실린더(42)의 상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너트홀이 형성된 락너트(47), 및 상기 락너트(47)에 체결되어 상기 실린더홀(42a)을 따라 상하이동되며 상기 피스톤(44)의 상측이동을 차단하는 실린더차단볼트(48)를 구비하여, 상기 실린더차단볼트(48)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피스톤(44)의 상하이동거리가 조절되어 상기 윤활유의 펌핑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재(46);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서의 윤활유공급펌프(40)에서 윤활유 토출구(42c)는, 상기 윤활유가 다수의 윤활개소에 공급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공급장치.
아울러, 상기 윤활유공급펌프(40)에 의해 펌핑되는 윤활유는 압축공기가 흐르는 공급관(59)에 유입되며, 상기 공급관(59)은, 상기 윤활유가 상기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공급관(59) 내주면을 따라 필름상으로 이동되어 상기 공급관(59)의 단부의 노즐을 통해 외부로 oil-air 상태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동부(60)는, 상기 베이스부재(12)에 상측으로 설치된 제1 가이드 포스트(62); 상기 커버부재(20)와 연결고정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포스트(62) 내에서 상하슬라이드 되도록 장착된 랙기어(64); 상기 제1 가이드 포스트(62)에 설치되며, 상기 랙기어(64)에 맞물린 피니언기어(66); 및 상기 피니언기어(66)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장축(66a)에 연결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피니언기어(66)를 회전시키는 핸들(68);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피니언기어(66)가 피니언기어 하우징(67)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피니언기어(66) 장축(66a)이 상기 피니언기어 하우징(67)의 일측에 형성된 하우징홀(67a)을 통해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측 연장부위(66c)의 외주면에는 나사선(66d)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동부(60)는, 상기 피니언기어 하우징(67)과 핸들(68)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피니언기어(66) 장축(66a)의 외측 연장부위(66c)와 나사체결을 통해 회전하면서 상기 연장부위(66c)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잠금부재(69);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재(69)는 상기 피니언기어 하우징(67)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피니언기어 하우징(67)을 상기 피니언기어(66) 측으로 밀어서, 상기 피니언기어 하우징(67)이 상기 피니언기어(66)의 치차(66b)부위 측면을 압박함에 따라, 상기 피니언기어(66)의 회전을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부재(12)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20)와 연결고정되며, 가스압력으로 상기 커버부재(20)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가스 스프링 부(8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가스 스프링부(80)는, 상기 베이스부재(12)에 상측으로 설치된 제2 가이드 포스트(82); 상기 펌프부의 커버부재(20)와 연결되고 상기 제2 가이드 포스트(82) 내에서 상하슬라이드 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가스와 오일이 수용되는 실린더튜브(84); 및 상기 실린더튜브(84) 내에 배치되며,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12)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상기 가스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스압력을 받도록 구성되는 피스톤로드(86);를 포함하며, 하측의 고정된 피스톤로드(86)로 인하여, 상기 가스압력이 상기 실린더튜브(84)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실린더튜브(84)에 가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윤활유 공급장치는 하기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윤활유공급펌프(40)가 패일이나 드럼 즉, 윤활유통에 담긴 윤활유에 직접연결되어 펌핑함으로써, 종래의 오일통에 옮겨 담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아울러, 윤활유공급펌프(40)의 유량조절부재에 의해 윤활유의 급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윤활개소의 필요유량에 맞추어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둘째, 윤활유공급펌프(40)의 윤활유 토출구가 복수 개가 형성됨으로써, 윤활유가 필요한 다수의 윤활개소에 용이하게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다.
셋째, 윤활유가 oil-air 상태로 외부로 방출되도록 윤활개소에 공급됨으로써, 종래방식인 미스트 상태의 방출 즉, 비산에 의해 유발되는 환경오염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아울러, 윤활유가 미스트 상태로 보다 무거운 oil-air 상태이기 때문에 공기 중에 날아가지 않고 윤활개소에 정확히 도포됨으로써, 정확한 양의 윤활급유도 가능해진다.
넷째, 구동부의 잠금부재로 인하여, 커버부재의 승강 시, 구동을 위해 작업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으며, 급락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나아가 상하이동되는 커버부재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공급장치에서 윤활유공급펌프(40)가 작동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윤활유 공급장치는, 베이스부재(12) 상에 안착되는 커버부재(20), 상기 커버부재(20) 내에 고정되는 윤활유공급펌프(40)를 구비하는 윤활유공급펌프(40) 및 상기 커버부재(2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6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재(20)는 베이스부재(12)에 안착된 윤활유통(14)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데, 즉, 윤활유통(14)을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차단하기 위해 윤활유통(14)을 커버하도록 그 위치 및 형상을 취한다.
이때, 상기 커버부재(20)는 하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부(22)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용부(22)는 윤활유통(14)이 수용되도록 윤활유통(14)의 크기 및 형상과 대응되도록 그 구조가 이루어진다.
상기 윤활유공급펌프(40)는 커버부재(20) 내에 고정되도록 구성되며, 즉 커버부재(20)가 상하로 이동되는 경우에 함께 움직이도록 커버부재(20)에 설치된다.
이때, 윤활유공급펌프(40)는 윤활유통(14)의 윤활유를 외부 펌핑하도록 윤활유통(14)이 윤활유에 일정정도 잠기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윤활유공급펌프(40)는 윤활유통(14)의 윤활유를 외부로 펌핑하여 윤활유가 윤활개소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윤활유공급펌프(40)는 패일이나 드럼 즉, 윤활유통(14)에 담긴 윤활유에 직접연결되어 펌핑함으로써, 종래의 오일통에 옮겨 담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이러한 윤활유공급펌프(40)는 외형을 이루는 실린더(42)와, 상기 실린더(42) 내에 승강되도록 구성된 피스톤(44)을 구비한다.
상기 실린더(42)는 커버부재(20)에 하측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실린더홀(42a)이 형성되며, 하부(41)에는 윤활유통(14)과 연결된 윤활유 유입구(42b)가, 상부(43)에는 윤활유 토출구(42c)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윤활유통(14)의 윤활유는 실린더 하부(41)의 윤활유 유입구(42b) 를 통해 실린더(42) 내로 유입된 후, 실린더 상부(43)의 윤활유 토출구(42c)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44)은 실린더홀(42a) 내부에 배치되어, 실린더(42)의 상부(43)에 형성된 공기 흡배기구(42d)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 의해 하강되고, 실린더(42)의 내측 하부에 장착된 스프링(45)에 의해 상승됨에 따라 왕복운동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피스톤(44)의 상승시 공기 흡배기구(42d)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다시 공기 흡배기구(42d)를 통해 배기된다.
상기, 피스톤(44)은 내부에 윤활유 유입구(42b) 및 윤활유 토출구(42c)와 연통된 피스톤홀(44f)이 형성된다.
이러한 피스톤(44)의 승강에 따라, 윤활유통(14)의 윤활유가 윤활유 유입구(42b)를 통해 유입된 후 피스톤홀(44f) 내를 이동하여 윤활유 토출구(42c)를 통해 토출된다.
또한, 윤활유 유입구(42b)와 윤활유 토출구(42c)에 각각 체크밸브(49)가 설치됨으로써, 유입되거나 토출된 윤활유가 거꾸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윤활유공급펌프(40)는 락너트(47)와, 실린더차단볼트(48)를 구비하는 유량조절부재(46)를 더 포함한다.
상기 락너트(47)는 내부에 형성된 너트홀이 실린더(42)의 상부(43)에 형성된 실린더홀(42a)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실린더(42)의 상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차단볼트(48)는 실린더홀(42a)을 따라 상하이동되도록 락너트(47)를 통과하여 체결된다.
이때, 실린더차단볼트(48)는 피스톤(44)의 상측 이동을 차단한다.
이와 같은 유량조절부재(46)는, 실린더차단볼트(48)의 상하이동에 따른 위치고정에 의해, 피스톤(44)의 상하이동거리가 조절되어 윤활유의 펌핑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유량조절부재(46)에 의해 윤활유의 급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윤활개소의 필요유량에 맞추어 적절히 대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윤활유공급펌프(40)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실린더(42)의 상하부(41)(43)에는 토출가이드홀(43a)과 유입가이드홀(41a)이 각각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게 상기 피스톤(44)은 로드부(44b)와 상기 로드부(44b) 상하에 장착된 토출부(44c)와 유입부(44a)로 구조를 취하여, 상기 토출부(44c)와 유입부(44a)가 상기 토출가이드홀(43a)과 유입가이드홀(41a)에 각각 삽입되어 상하운동한다.
이때, 상기 토출부(44c)의 상부에는 지시봉(44e)이 실린더차단볼트(48)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어, 피스톤(44)의 상하운동시 상기 중공을 따라 상하운동한다.
상기 피스톤(44)에서 토출부(44c)와 유입부(44a)에는 피스톤홀(44f)로서 내 부에 홀이 형성되며, 토출부(44c)에는 외주면을 따라 그루브(44d)가 형성되어 상기 그루브(44d)는 피스톤홀(44f)과 윤활유 토출구(42c)를 연통시키는 연결유로로서 작용한다.
아울러, 상기 윤활유공급펌프(40)에는 압축공기를 활용한 윤활유 교반부(50)가 구성됨으로써, 점도가 높은 윤활유의 흡입 및 토출이 원활하면서 윤활유의 고형분이 침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윤활유 교반부(50)는 피스톤 상부(43)에 형성된 교반용 공기 흡기구(51)와, 상기 교반용 공기 흡기구(51)와 연결되며 실린더(42) 측부에 나란하게 배치된 공기유로(52), 및 교반용 공기 공급구(53)를 포함한다.
이러한 윤활유 교반부(50)는, 교반용 공기 흡기구(51)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가 공기유로(52)를 지나 교반용 공기 공급구(53)를 통해 윤활유통(14)에 공급됨으로써, 윤활유의 고형분이 침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공급장치에서 윤활유공급펌프(4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공급펌프(40)의 실린더(42)에서 윤활유 토출구(42c)는, 윤활유가 다수의 윤활개소에 공급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피스톤(44)의 토출부(44c)에 형성된 그루브(44d')의 폭이 작게 조절됨으로써, 다수의 윤활유 토출구에 대응되어 피스톤홀(44f)과 윤활유 토출구를 연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비록 도면에 윤활유 토출구(42c)가 두 개인 구조만이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여러 개가 실린더(42)에 구성되어 윤활유가 필요한 다수의 윤활개소에 용이하게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분배기구 없이 다수의 윤활개소에 윤활급유를 할 수 있다.
이때, 윤활유공급펌프(40)는 펌핑의 주기나 횟수로서 윤활유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윤활유공급펌프(40)에서 실린더(42)의 상부(43)에는 락너트(47)가 설치되고, 락너트(47)에는 유량고정부재(46')가 체결고정되어 실린더홀(42a)을 막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윤활유 공급장치에서 윤활유공급펌프(40)의 윤활유 토출구(42c)를 통해 토출되는 윤활유가 공급관(59)을 통해 윤활개소에 공급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윤활유공급펌프(40)에 의해 펌핑되는 윤활유는 압축공기가 흐르는 공급관(59)에 유입된다.
즉, 윤활유공급펌프(40)의 윤활유 토출구(42c)를 통해 토출된 윤활유는 윤활개소에 적정한 형상으로 공급되기 위해, 공급관(59)의 압축공기에 의해 공급된다.
이때, 공급관(59)은 윤활유가 압축공기에 의해 공급관(59) 내주면을 따라 필름상으로 이동되어, 공급관(59)의 단부의 노즐을 통해 외부로 oil-air 상태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윤활유가 oil-air 상태로 외부로 방출되어 윤활개소에 공급됨으로써, 종래방식인 미스트 상태의 방출 즉, 비산에 의해 유발되는 환경오염의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아울러, 윤활유가 미스트 상태로 보다 무거운 oil-air 상태이기 때문에 공기 중에 날아가지 않고 윤활개소에 정확히 도포됨으로써, 정확한 양의 윤활급유도 가능해진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윤활유 공급장치의 전체적인 시스템을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윤활유공급펌프(40)는 그 기능에 따라 에어모터부, 상기 에어모터부에 의해 윤활유를 펌핑하는 펌핑부, 및 oil-air 생성부로 나뉠 수 있다.
즉, 에어모터부는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도 9의 'SUPPLY SOL')를 포함하여 실린더(42)와 상하운동하는 피스톤(44)으로 이루어져서 펌핑부의 펌핑력을 만드는 구성이며, 상기 펌핑부는 도면에는 분리되어 표시되었지만 실질적으로는 서로 체결 된 구조로서, 실린더 하부(41)의 윤활유 유입구(42b)를 포함한 윤활유가 유입되는 부분과 피스톤홀(44f)로서 윤활유를 펌핑하는 구성이고, oil-air 생성부는 실린더 상부(43)의 윤활유 토출구(42a)를 포함한 윤활유가 토출되는 부분으로서 토출되는 윤활유가 압축공기에 의해 oil-air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러면, 상기 시스템의 프로세스를 살펴보면, 먼저 에어 컴프레서(도 9의 'Air Compressor')에서 공기를 압축하여 공기압을 생성하는데, 이때 공기압은 약 7 bar 정도가 되게 한다.
이어서, 압축된 공기는 필터와 레귤레이터를 구비한 에어 유니트(도 9의 'Air Unit')를 통하여 필터링되고 레귤레이팅된다.
그런 다음, 상기 압축된 공기는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해 윤활유공급펌프(40)로 유입되는데, 이때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를 동작시켜 그 개폐에 따라 윤활유공급펌프(40)를 작동시킨다.
즉,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을 공급하면 컴프레서의 압축공기가 윤활유공급펌프(40)의 공기 흡배기구(42d)를 통해 실리더홀(42a)에 공급되어 피스톤(44)을 하강시킴으로써 윤활유가 윤활유 토출구(42c)를 통해 토출된다.
또한,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의 전원을 차단하면 컴프레서의 압축공기는 차단되고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실린더 상부(43)까지의 배관은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의 회로구조에 의해 배기상태가 되며, 피스톤(44) 하측의 스프링(45)에 의해 피 스톤(44)이 상승하여 실린더(42) 내의 압축공기는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의 배기유로를 따라 대기로 방출된다. 이때, 피스톤(44)의 상승동작에 의해 윤활유가 펌핑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공급 솔레노이드 밸브의 개방에 의한 압축공기는, oil-air 생성부에서 윤활유를 배관벽을 타고 흐르게 함으로써 윤활유를 oil-air 상태로 만드며, 배출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원을 공급하여 개방시키면 oil-air 상태의 윤활유가 윤활개소로 공급된다.
한편, 교반 솔레노이드 밸브(도 9의 'AGITATING SOL')는 간헐적으로 개방되어 압축공기를 윤활유통의 윤활유에 공급함으로써, 윤활유의 고형분이 침적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공급장치에서 구동부에 의해 커버부재가 윤활유통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60)는 커버부재(20)를 윤활유통(14)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탈거시키도록 커버부재(20)를 구동한다.
이때, 상기 구동부(60)는, 베이스부재(12)에 설치된 제1 가이드 포스트(62), 상기 제1 가이드 포스트(62) 내에 장착된 랙기어(64), 상기 랙기어(64)에 맞물린 피니언기어(66) 및 상기 피니언기어(66)에 연결된 핸들(68)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이드 포스트(62)는, 베이스부재(12)에 상측으로 배치되도록 고정된다.
또한, 상기 랙기어(64)는 커버부재(20)의 일측에 연결고정되는데, 이때 별도의 연결부재에 의해 랙기어(64)의 상부가 커버부재(20)의 상부가 연결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랙기어(64)는, 제1 가이드 포스트(62) 내에서 상하슬라이드 되도록 장착된다.
아울러, 상기 피니언기어(66)는 제1 가이드 포스트(62)에 위치가 고정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랙기어(64)에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피니언기어(66)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랙기어(64)를 상하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핸들(68)은 피니언기어(66)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장축(66a)에 연결되며, 회전을 통해 피니언기어(66)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11 및 도 12는 커버부재가 상승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피니언기어가 잠금부재에 의해 차단되지 않는 것을 도시한다. 잠금부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베이스부재(12)에 설치되고 커버부재(20)와 연결고정되며, 가스압력으로 커버부재(20)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가스 스프링부(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가스 스프링부(80)는 베이스부재(12)에 설치된 제2 가이드 포스트(82), 상기 제2 가이드 포스트(82) 내에 장착된 실린더튜브(84), 및 상기 실린더튜브(84) 내에 장착된 피스톤로드(86)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2 가이드 포스트(82)는 베이스부재(12)에 상측으로 배치되도록 고정된다.
또한, 상기 실린더튜브(84)는 펌프부의 커버부재(20)와 연결되고 제2 가이드 포스트(82) 내에서 상하슬라이드 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실린더튜브(84)는 내부에 고압의 가스와 오일이 수용되어, 상기 가스의 압력은 실린더튜브(84)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로드(86)는 실린더튜브(84) 내에 배치되며, 하단부가 베이스부재(12)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가스 하측에 배치되어 가스압력을 받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하측의 고정된 피스톤로드(86)로 인하여, 가스압력은 실린더튜브(84)를 상승시키도록 실린더튜브(84)에 가해진다.
상기와 같이, 가스 스프링부(80)는 밀폐된 실린더튜브(84) 안에 오일과 고압 가스를 밀봉하며, 하단부로부터 내밀고 있는 피스톤로드(86)가 실린더튜브(84) 내로 밀고 들어가도록 구성됨으로써, 내압의 변화에 따라 실린더튜브(84)를 밀어올리는 힘을 발생시킨다.
여기에서, 가스 스프링부(80)는 실린더튜브(84)가 하중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피스톤로드(86)가 가스압력에 의해 하측으로 밀리게 되어 최대로 돌출한 상태가 되어 있기 때문에, 일반 스프링(45)보다 긴 스트로크를 얻을 수 얻을 수 있으며, 다른 물체에 가하는 힘도 상대적으로 강하다.
본 발명은 활유의 보충이나 윤활유통(14)을 교체하기 위해, 구동부(60)에 의해 커버부재(20)를 상승시키고 내린다.
이러한 과정에서, 가스 스프링부(80)는 커버부재(20)가 상승 시, 작업자가 핸들(68)을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커버부재(20)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아울러, 커버부재(20)가 하강 시 커버부재(20)가 하중으로 인하여 급락할 수 있는데, 가스 스프링부(80)는 상기 커버부재(20)의 급락을 방지하도록 가스압력으로 커버부재(20)를 받쳐주는 작용을 한다.
이는 커버부재(20)의 급락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가 큰 힘을 쓸 필요가 없도록 하며, 나아가 커버부재(20)의 급락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윤활유 공급장치에서 구동부(60)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구동부(60)에서 잠금부재(69)에 의해 피니언기어(66)의 회전이 차단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부(60)는 피니언기어(66)가 피니언기어 하우징(67) 내부에 장착되며, 피니언기어(66) 장축(66a)이 피니언기어 하우징(67)의 일측에 형성된 하우징홀(67a)을 통해 외측으로 연장되고, 외측 연장부위(66c)의 외주면에는 나사선(66d)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나사선(66d)은 나사산 또는 나사홈으로서, 잠금부재(69)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선과 나사체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피니언기어(66) 단축은 피니언기어 하우징(67)의 타측에 형성된 하우징홀(67a)에 삽입되어 체결되며, 피니언기어 하우징(67)의 하우징홀(67a)에는 피니언기어(66)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베어링과 같은 부재가 장착됨은 물론이다.
상기 구동부(60)는 피니언기어(66)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잠금부재(69)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잠금부재(69)는 휠형상으로서 피니언기어 하우징(67)과 핸들(68) 사이에 위치하며, 피니언기어(66)의 장축(66a)이 끼워져서 설치된다.
이때, 잠금부재(69)는 피니언기어(66) 장축(66a)의 외측 연장부위(66c)와 나 사체결을 통해 회전하면서 상기 연장부위(66c)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잠금부재(69)는 피니언기어 하우징(67) 측으로 이동하면서 피니언기어 하우징(67)을 피니언기어(66) 측으로 밀어서, 피니언기어 하우징(67)이 피니언기어(66)의 치차(66b)부위 측면을 압박함에 따라, 피니언기어(66)의 회전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커버부재(20)를 상하이동시키면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윤활유 공급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윤활개소에 대한 윤활유 토출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공급장치에서 윤활유공급펌프가 작동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공급장치에서 윤활유공급펌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윤활유 공급장치에서 윤활유공급펌프의 윤활유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윤활유가 공급관을 통해 윤활개소에 공급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윤활유 공급장치의 전체적인 시스템을 나타낸 PID(Piping and Instrument Diagram)이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 공급장치에서 구동부에 의해 커버부재가 윤활유통으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윤활유 공급장치에서 구동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구동부에서 잠금부재에 의해 피니언기어의 회전이 차단되는 것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베이스부재 14 : 윤활유통
20 : 커버부재 22 : 수용부
40 : 윤활유공급펌프 42 : 실린더
42a : 실린더홀 42b : 윤활유 유입구
42c : 윤활유 토출구 42d : 공기 흡배기구
44 : 피스톤 45 : 스프링
46 : 유량조절부재 50 : 윤활유 교반부
59 : 공급관 60 : 구동부
62 : 제1 가이드 포스트 64 : 랙기어
66 : 피니언기어 67 : 피니언기어하우징
68 : 핸들 69 : 잠금부재
80 : 가스 스프링부 82 : 제2 가이드 포스트
84 : 실린더튜브 86 : 피스톤로드

Claims (9)

  1. 베이스부재(12)에 안착된 윤활유통(14)이 내부에 배치되도록, 하면이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부(22)가 형성된 커버부재(20); 상기 커버부재(20) 내에 고정되며, 상기 윤활유통(14)의 윤활유를 외부로 펌핑하는 윤활유공급펌프(40); 및 상기 커버부재(20)를 상기 윤활유통(14)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탈거시키도록 상기 커버부재(20)를 구동하는 구동부(60);를 포함하며,
    상기 윤활유공급펌프(40)는, 상기 커버부재(20)에 하측으로 배치되도록 설치되며, 하부(41)에는 상기 윤활유통(14)과 연결된 윤활유 유입구(42b)와, 상부(43)에는 윤활유 토출구(42c)가 형성된 실린더(42); 및 상기 실린더(42)의 상부(43)에 형성된 공기 흡배기구(42d)를 통해 흡입된 공기에 의해 하강되고, 상기 실린더(42)의 내측 하부에 장착된 스프링(45)에 의해 상승됨에 따라 왕복운동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상기 윤활유 유입구(42b) 및 윤활유 토출구(42c)와 연통된 피스톤홀(44f)이 형성된 피스톤(44);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44)의 상승 시, 상기 윤활유통(14)의 윤활유가 상기 윤활유 유입구(42b)를 통해 유입된 후 상기 피스톤홀(44f) 내로 이동하며, 상기 피스톤(44)의 하강 시, 상기 피스톤홀(44f) 내의 윤활유가 상기 윤활유 토출구(42c)를 통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공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공급펌프(40)는,
    상기 실린더(42)의 상면에 고정되며 내부에 너트홀이 형성된 락너트(47); 및 상기 락너트(47)에 체결되어 실린더홀(42a)을 따라 상하이동되며 상기 피스톤(44)의 상측이동을 차단하는 실린더차단볼트(48)를 구비하여, 상기 실린더차단볼트(48)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피스톤(44)의 상하이동거리가 조절되어 상기 윤활유의 펌핑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부재(46);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토출구(42c)는, 상기 윤활유가 다수의 윤활개소에 공급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공급펌프(40)에 의해 펌핑되는 윤활유는 압축공기가 흐르는 공급관(59)에 유입되며,
    상기 공급관(59)은,
    상기 윤활유가 상기 압축공기에 의해 상기 공급관(59) 내주면을 따라 필름상으로 이동되어 상기 공급관(59)의 단부의 노즐을 통해 외부로 oil-air 상태로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60)는,
    상기 베이스부재(12)에 상측으로 설치된 제1 가이드 포스트(62);
    상기 커버부재(20)와 연결고정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포스트(62) 내에서 상하슬라이드 되도록 장착된 랙기어(64);
    상기 제1 가이드 포스트(62)에 설치되며, 상기 랙기어(64)에 맞물린 피니언기어(66); 및
    상기 피니언기어(66)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된 장축(66a)에 연결되며, 회전을 통해 상기 피니언기어(66)를 회전시키는 핸들(6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기어(66)가 피니언기어 하우징(67) 내부에 장착되며, 상기 피니언기어(66) 장축(66a)이 상기 피니언기어 하우징(67)의 일측에 형성된 하우징홀(67a)을 통해 외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측 연장부위(66c)의 외주면에는 나사선(66d)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구동부(60)는,
    상기 피니언기어 하우징(67)과 핸들(68)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피니언기어(66) 장축(66a)의 외측 연장부위(66c)와 나사체결을 통해 회전하면서 상기 연장부위(66c)를 따라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잠금부재(69);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재(69)는 상기 피니언기어 하우징(67) 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피니언기어 하우징(67)을 상기 피니언기어(66) 측으로 밀어서, 상기 피니언기어 하우징(67)이 상기 피니언기어(66)의 치차(66b)부위 측면을 압박함에 따라, 상기 피니언기어(66)의 회전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공급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12)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부재(20)와 연결고정되며, 가스압력으로 상기 커버부재(20)를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가스 스프링부(8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공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스프링부(80)는,
    상기 베이스부재(12)에 상측으로 설치된 제2 가이드 포스트(82);
    상기 커버부재(20)와 연결되고 상기 제2 가이드 포스트(82) 내에서 상하슬라이드 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가스와 오일이 수용되는 실린더튜브(84); 및
    상기 실린더튜브(84) 내에 배치되며,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부재(12)에 고정되고 상단부가 상기 가스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스압력을 받도록 구성되는 피스톤로드(86);를 포함하며,
    하측의 고정된 피스톤로드(86)로 인하여, 상기 가스압력이 상기 실린더튜브(84)를 상승시키도록 상기 실린더튜브(84)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윤활유 공급장치.
KR1020090074768A 2009-08-13 2009-08-13 윤활유 공급장치 Active KR101085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768A KR101085969B1 (ko) 2009-08-13 2009-08-13 윤활유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768A KR101085969B1 (ko) 2009-08-13 2009-08-13 윤활유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205A KR20110017205A (ko) 2011-02-21
KR101085969B1 true KR101085969B1 (ko) 2011-11-22

Family

ID=43775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768A Active KR101085969B1 (ko) 2009-08-13 2009-08-13 윤활유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9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7002B (zh) * 2022-04-27 2023-12-01 启东德乐润滑设备有限公司 一种调压分流的润滑油系统控制阀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5093A (ja) * 2000-02-23 2001-08-31 Showa Corp 噴霧潤滑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5093A (ja) * 2000-02-23 2001-08-31 Showa Corp 噴霧潤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205A (ko) 2011-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54816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feeding lubricating oil
CA2520691C (en) Airless spray pump system and method for spraying a binder solution with suspended particles
JP4598377B2 (ja) 複数成分の計量及び分配装置
CN201284910Y (zh) 用来输送润滑剂的润滑剂泵
KR101085969B1 (ko) 윤활유 공급장치
DE102007020678A1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ruckmaschine-Versorgungsgerät-Systems
CN108006424A (zh) 一种润滑油的自动加注装置
KR100501686B1 (ko) 다이캐스팅용 이형제 분사장치
CN208498969U (zh) 一种润滑油生产用灌装装置
DE4017797A1 (de) Fluessigkeitspump- und zumessvorrichtung
CN207943198U (zh) 氧氟沙星滴眼液定量包装机
KR100552400B1 (ko) 전동 윤활유 공급장치
CN210118627U (zh) 一种清花机定量加油装置
CN209023231U (zh) 一种新型润滑油灌装用防滴落灌装头
WO2010039083A1 (en) Device for separation of a lighter liquid phase from a heavier processing liquid, a plant for cleaning a recirculating processing liquid by means of the separ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separating a lighter liquid phase from a heavier processing liquid phase
US2038125A (en) Power pump head
US3719437A (en) Piston pump for delivering viscous pastes
CN219388081U (zh) 一种组合式计量泵
CN216345317U (zh) 一种回转窑轮带用加油装置
DE29902553U1 (de) Automatische Schmiervorrichtung
CN210171744U (zh) 一种润滑油喷涂设备
US3578212A (en) Liquid dosage apparatus
CN212681374U (zh) 人防门维护装置
AT397525B (de) Saugdruckfass
CN214790429U (zh) 一种龙门吊整机润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13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08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8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6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1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11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1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