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85717B1 - 컨텐츠 외부 녹화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외부 녹화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717B1
KR101085717B1 KR1020040103055A KR20040103055A KR101085717B1 KR 101085717 B1 KR101085717 B1 KR 101085717B1 KR 1020040103055 A KR1020040103055 A KR 1020040103055A KR 20040103055 A KR20040103055 A KR 20040103055A KR 101085717 B1 KR101085717 B1 KR 101085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broadcast
unique code
external
external device
broadcast rece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3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4278A (ko
Inventor
윤상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3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717B1/ko
Priority to US11/297,713 priority patent/US20060146195A1/en
Publication of KR200600642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42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8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waterma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이나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외부 장치로 영상을 보낼 때 워터마크(watermark)를 함께 보냄으로써 불법 복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경우 방송 사업자가 송출하는 컨텐츠를 일반 TV 등의 외부 모니터에서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되면, 제약 없이 복사가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컨텐츠 보호 등의 차원에서 외부 송출 시에만 특정 코드를 기록해서 복사 장치의 추적이 가능하게 한다.
Figure R1020040103055
컨텐츠, 외부 녹화, 복사(복제), 디지털 방송,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escription

컨텐츠 외부 녹화 방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ILLEGAL COPY OF CONTENT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체 표시부에서 재생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화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된 외부 장치에서 재생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화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프로세서가 고유 코드의 발생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컨텐츠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컨텐츠의 외부 녹화를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 매체의 복사 방지를 위해서 사용하는 방법의 한 가지 예로 매크로비전(macrovision)이 있다. 매크로비전은 복사 장치의 자동이득제어(Auto Gain Control: AGC)를 역이용한 것으로 컬러 버스트(color burst)신호를 조정해서 복사된 영상이 정상으로 보이지 않게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런 방법의 경우에는 방송을 송출하는 쪽에서도 매크로비전 신호를 실어서 보내야 하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도 매크로비전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야 하는 등의 제약이 있다.
그밖에 매크로비전 이외에도 다양한, 녹화 가능 미디어에 대한 컨텐츠 보호 (Content Protection for Recordable Media: 이하 CPRM이라 함) 기술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디지털 컨텐츠의 경우에는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이하 DRM이라 함) 기술이 보편화 되어 있다. 여기서 DRM이란 암호화된 컨텐츠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라이센스를 사용자가 구입한 후 이를 이용해 컨텐츠의 암호화를 해제 및 재생하는 기술로서, 저작권 승인과 집행을 위한 소프트웨어와 보안기술, 지불, 혹은 결제 기능 등을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 개념이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함.)의 경우를 예로 들면, DMB 서비스 시스템 측에서 DMB 데이터를 암호화 하지 않고 일반 형태의 파일로 제공하기 때문에, DMB 사업자의 요구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가 녹화된 디지털 방송을 단지 재생만 할 수 있을 뿐 외부 장치로 그 데이터를 유출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불법 복사를 방지하기도 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 생산 단계에서 소프트웨어적으로나 하드웨어적으로 해당 기능 자체를 가지지 않도록 만들면 된다.
그러나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 표시부의 크기를 고려할 때 외부 장치를 통한 재생을 막는 것은 사용자 측면에서는 매우 불편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반면에, 외부 장치를 통한 재생을 허용하되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CPRM 기술 혹은 DRM 기술 등을 사용하려면, 디지털 방송 데이터 서버는 물론이고 이동통신 단말기도 해당 기술에 맞추어서 재구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발생하고 로열티(CPRM 기술 혹은 DRM 기술 사용에 따른 로열티) 부담도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간단한 구성으로, 경제적으로 컨텐츠의 외부 녹화를 방지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제1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컨텐츠 외부 녹화 방지 장치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발생부와,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출력할 때 상기 고유의 코드가 함께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제2발명은 외부 장치와의 연결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컨텐츠의 외부 녹화를 방지하는 방법이, 상기 외부 장치와의 접속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장치와 접속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수신된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 신호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식별을 위해 생성된 고유 코드를 합성하는 과정과, 상기 합성된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제3발명은 외부 장치와의 연결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컨텐츠의 외부 녹화를 방지하는 방법이, 내부 혹은 외부 표시모드의 설정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표시모드의 설정이 감지되면,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수신된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 신호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식별을 위해 생성된 고유 코드를 합성하는 과정과, 상기 합성된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코드값 등과 같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 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을 수신 및 재생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면 어떠한 것에라도 적용된다. 그러므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디지털 방송 수신 전용 단말기, 휴대용 전화기,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ata Assistant: 이하 PDA라 함), MP3 단말기, 텔레메틱스 단말기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실시예들에서는 DMB 전용 이동통신 단말기와 휴대용 전화기를 구체적인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조부호 500은 DMB 수신 전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600은 외부 장치의 한 예인 텔레비전(TV)을 나타낸다.
DMB 수신부 310은 서버(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송출되는 압축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일련의 신호처리를 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비디오(video) 신호를 시각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두 개의 출력단을 가진다. 제1출력단 360에는 표시부 380이 항상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표시부 380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체 표시부로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로 구현할 수 있다. 제2출력단 370에는 TV, 비디오테이프레코더, 혹은 광 저장장치 등과 같은 외부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감지부 390은 상기 제2출력단 370에 외부 장치, 즉 TV 600이 접속되면 이를 감지하고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320에 알리기 위해 외부출력제어신호 S1을 발생한다.
멀티미디어 프로세서(multimedia processor) 320은 상기 DMB 수신부 310으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비디오 및 오디오(audio) 신호로 분리해서 복원(decompress) 처리를 한다. 상기 복원 처리는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320에서 할 수도 있고, 상기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320에 내장된 디지털신호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or: 이하 DSP라 함.) 112 혹은 외장 DSP(도시하지 않음)에서 처리해도 된다.
프레임 버퍼(Frame Buffer: F/B) 330은 복원된 영상 신호가 시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프레임 단위로 버퍼링한다.
상기 프레임 버퍼 330의 데이터는 제1출력단 360을 통해 표시부 380에 전달되어 표시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 버퍼 330의 데이터는 신호변환부 114에 전달되어 포맷(format)이 변환된다. 이 포맷 변환은 상기 프레임 버퍼 33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가 외부 장치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표시부 380을 통한 표시 해상도가 320 × 240 화소라면 TV 600을 통한 표시 해상도는 720 × 480 화소이기 때문에 데이터 포맷 변환이 필요한 것이다. 이와 같이 외부 장치(예: TV)에서 사용할 수 있게 변환된 데이터는 제2출력단 370을 통해 TV 600에 전달되어 표시된다.
코드발생부 340은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320으로부터 코드 제공 요구를 받으면 코드를 생성하고 그 생성된 코드를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320에 제공한다. 상기 코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코드이어야 한다.
가입자 인증을 위해 스마트카드(smart card)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예: GSM 방식 휴대용 전화기)의 경우에는 스마트카드마다 유일한 번호(가입자번호)가 존재하므로 그 번호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그 번호와 해시(Hash) 함수 등을 사용해서 특수 번호를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예는 코드발생부 340이 스마트카드로 구현된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위성 DMB의 경우 CAS(Certified Access System) 기능을 갖고 있다. 이 기능은 스크램블(scramble)된 신호를 디스크램블(descramble)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이다. 스마트카드에는 디스크램블을 하는 데 필요한 키 값들이 저장될 수 있는데, 참조부호 L1은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320과 코드발생부 340A 사이에 상기 디스크램블에 필요한 키 값들을 요구하고 받는 통로(path)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DMB 수신부 310은 코드 발생부 340에 디스크램블을 하는 데 필요한 키를 요구하고, 코드 발생부 340은 자신이 가지고 있던 키를 DMB 수신부 310에 제공한다.
합성부 350은 신호변환부 114에서 출력되는 신호와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320에서 전달해주는 고유 코드를 합성하여 제2출력단 370으로 전달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감지부 390에 의해 코드 발생 여부를 결정하지 않고,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320이 고유 코드를 생성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표시부 380을 통한 시청을 원할 경우 내부 표시모드를 설정하는 입력을 하고, TV 600을 통한 시청을 원할 경우에는 외부 표시모드를 설정하는 입력을 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입력에 따라 코드발생부 340A로 하여금 고유의 코드를 생성하게 하거나 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요소들 외에도 공지의 메모리부(예: ROM, RAM 등), 마이크, 스피커 등이 더 구비되나 본 발명의 요지가 그러한 구성요소들에 있지는 않으므로 도시하지 않았으며 설명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자체 표시부에서 재생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화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표시부 380에 표시되는 화면에는 서버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이 그대로 표시된다. 다시 말해서, 후술하는 도 3과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코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에 연결된 외부 장치에서 재생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화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의 TV 600와 같은 외부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화면 우측 하단에 특정 코드가 계속 표시된다. 참조부호 CDE가 가리키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AK8000887"라는 코드가 비디오와 함께 표시되는데, 이 코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코드로서 불법 복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부연하면, 상기 코드 "AK8000887"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식별할 수 있는 코드이므로 만약 악의로 복사가 이루어졌을 경우라 하더라도 그 복사된 비디오를 재생했을 때 상기 코드를 보면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를 추적할 수 있다. 그러므로 불법 복사 시도를 일정 정도는 미연에 막을 수도 있는 것이다.
이처럼 수신된 방송신호를 외부 장치를 통해 표시하게 할 경우에는 특정한 표지(marking)가 나타나도록 하는 반면에,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의 표시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와 같은 표지가 나타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시각적인 불편함을 주지 않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프로세서가 고유 코드의 발생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3a단계에서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320은 외부 장치(예: TV 600)의 접속 여부를 체크한다. 이는 감지부 390에서 외부출력제어신호 S1이 발생되었는지 확인함으로써 가능하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사용자에 의한 입력 모드(내부 표시모드 혹은 외부 표시모드) 설정 상태를 체크하여 확인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고, 두 가지를 함께 확인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외부 장치와 접속되었다고 판단되면 3b단계에서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320은 코드발생부 340에 고유 코드를 요구한다. 그리고 3c단계에서 코드발생부 340로부터 고유 코드가 획득되는지 체크하여 획득되면, 3d단계에서 합성부 350에 상기 획득한 고유 코드를 제공한다.
도 5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참조부호 700은 DMB 수신 겸용 휴대 전화기를 나타내고, 참조부호 600은 외 부 장치의 한 예인 텔레비전(TV)을 나타낸다.
무선(Radio Frequency: RF)부 400은 통화 관련 신호를 송수신한다.
전화 프로세서 410은 모뎀 칩(chip)- 예를 들면 퀄컴(QualComm)사의 MSM(Mobile Station Modem) 5500-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휴대 전화기능을 포함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기능들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메모리 420은 고유 코드 발생에 필요한 기준 데이터, 예를 들면 무선전화기 식별번호(Mobile Identification number: 이하 MIN이라 함) 혹은 단말기 고유번호(Electronic Serial Number: 이하 ESN이라 함) 등을 저장한다. 메모리 420은 예를 들어 낸드(NAND) 플래시메모리로 구현할 수 있다.
나머지 구성요소들의 동작은 전술한 도 1과 같다. 단, 전술한 도 1이 위성 DMB를 위한 것이기 때문에 CAS를 필요로 하였던 데 반하여, 도 5에 도시된 경우는 지상파 DMB를 위한 것이며 스마트카드를 사용하지도 않는 것으로 가정함으로써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320과 코드발생부 340B 사이에 참조부호 L1인 CAS 전달 통로가 없다.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320이 전화 프로세서 410으로부터 MIN 혹은 ESN을 전달받아 코드발생부 340B에 제공하고, 코드발생부 340B는 이 MIN 혹은 ESN을 기본으로 하여 고유 코드를 만들어낸다.
도시된 구성은 하나의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몇 가지 예를 들면, 키입력부 430B에서 출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가 전화 프로세서 410이 아니라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320으로 직접 입력되고 필요한 경우 전화 프로세서 410으로 전달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나아가 전화 프로세서 410과 멀티미디어 프로세서 320이 하나의 칩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전화 기능에 대해서는 음성 통신을 예로 들었지만, 그 외에 패킷 데이터 혹은 영상 데이터를 주고받는 데이터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마다 고유한 코드를 생성하고 이를 외부 장치로 출력되는 컨텐츠에 합성시켜 출력함으로써 불법 복사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에 수신된 디지털 방송 같은 컨텐츠를 다른 외부 장치에 복사하면 상기 고유한 코드가 함께 복사될 것이기 때문에 추적이 가능하여 불법 행위(복사)를 하지 않도록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불법 복사를 막기 위해 특별한 방송의 송출이나 하드웨어적인 추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적으로 처리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적이다. 또한 특정한 방송(복사 방지 등을 요구하는 특별한 컨텐츠)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서 유용하다. 단, 이 경우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어떤 방송을 하고 있는지 인지하고 있음을 전제로 한다.

Claims (15)

  1.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발생부와,
    수신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디지털 방송 데이터를 출력할 때 상기 고유의 코드가 함께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외부 녹화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단자에 외부 장치가 접속되면 이를 감지하고 외부출력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출력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고유의 코드 출력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외부 녹화 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와 상기 고유의 코드를 합성하여 상기 외부 장치를 통해 표시될 비디오신호를 만드는 합성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외부 녹화 방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장치가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외부 녹화 방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방송 데이터와 상기 고유의 코드를 합성하여 상기 외부 장치를 통해 저장될 비디오신호를 만드는 합성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외부 녹화 방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장치가 비디오테이프레코더 혹은 광 저장장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외부 녹화 방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발생부가 스마트카드이며,
    상기 고유의 코드는 상기 스마트카드에 저장된 가입자번호임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외부 녹화 방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발생부가 무선전화기 식별번호를 기준으로 고유 코드를 만듦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외부 녹화 방지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발생부가 수신기 고유번호를 기준으로 고유 코드를 만듦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외부 녹화 방지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내부 혹은 외부 표시모드의 설정을 위한 키입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설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고유 코드의 발생 여부를 결 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외부 녹화 방지 장치.
  11. 외부 장치와의 연결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컨텐츠의 외부 녹화를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와의 접속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장치와 접속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수신된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 신호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식별을 위해 생성된 고유 코드를 합성하는 과정과,
    상기 합성된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와 접속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합성을 위한 고유 코드를 발생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외부 장치와의 연결이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컨텐츠의 외부 녹화를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내부 혹은 외부 표시모드의 설정 여부를 체크하는 과정과,
    상기 외부 표시모드의 설정이 감지되면,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를 식별할 수 있는 고유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수신된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 신호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식별을 위해 생성된 고유 코드를 합성하는 과정과,
    상기 합성된 신호를 상기 외부 장치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표시모드의 설정이 감지되면 상기 합성을 위한 고유 코드를 발생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표시모드의 설정이 감지되면, 상기 고유 코드와의 합성 없이, 상기 수신된 디지털 방송의 비디오 신호가 상기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자체 표시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0103055A 2004-12-08 2004-12-08 컨텐츠 외부 녹화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085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055A KR101085717B1 (ko) 2004-12-08 2004-12-08 컨텐츠 외부 녹화 방지 장치 및 방법
US11/297,713 US20060146195A1 (en) 2004-12-08 2005-12-08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contents from being recorded by extern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3055A KR101085717B1 (ko) 2004-12-08 2004-12-08 컨텐츠 외부 녹화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278A KR20060064278A (ko) 2006-06-13
KR101085717B1 true KR101085717B1 (ko) 2011-11-21

Family

ID=36639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3055A KR101085717B1 (ko) 2004-12-08 2004-12-08 컨텐츠 외부 녹화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146195A1 (ko)
KR (1) KR1010857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888B1 (ko) * 2006-09-29 2007-10-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표시 장치 및 방법
FR3006845B1 (fr) * 2013-06-10 2015-07-03 Viaccess Sa Procede d'identification de terminal dans un systeme de fourniture de contenus multimedia
WO2015023273A1 (en) * 2013-08-14 2015-02-19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discovery of wi-fi serial bus and wi-fi docking services
CN115209220B (zh) * 2022-06-08 2024-10-11 阿里巴巴(中国)有限公司 视频文件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30760A1 (en) 1996-02-05 2002-03-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elevision receiver and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93318B2 (ja) * 1995-01-19 2003-04-07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受信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受信処理方法並びに放送受信処理方法
US5661804A (en) * 1995-06-27 1997-08-26 Prince Corporation Trainable transceiver capable of learning variable codes
TW538636B (en) * 2000-09-01 2003-06-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production equipment, reproduction equipment specifying equipment, reproduction equipment specifying system and methods and recording media for said equipment and system
US6754834B2 (en) * 2001-11-23 2004-06-22 Nokia Corporation Technique for generating correlation number for use in lawful interception of telecommunications traffic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30760A1 (en) 1996-02-05 2002-03-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elevision receiver and additional information transmit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4278A (ko) 2006-06-13
US20060146195A1 (en) 200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990B1 (ko) 디지털 매체를 보안화하기 위해 gps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7798393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stricting use of additional functions in a mobile terminal
EP2925007B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030126457A1 (en) Information reproducing apparatus and secure module
KR100785070B1 (ko) 휴대 단말기에서 디지털 저작권 관리 콘텐츠 재생 방법 및장치
US20100070991A1 (en) conditional access system
US20020101990A1 (en) Data receiving apparatus and data reproducing apparatus
JP2004064582A (ja) 放送コンテンツ著作権保護システム
KR20030038301A (ko) 영상 정보 출력 장치, 영상 정보 수신 장치, 영상 정보출력 방법 및 영상 정보 송신 방법
KR101085717B1 (ko) 컨텐츠 외부 녹화 방지 장치 및 방법
JP2004236136A (ja) 移動体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及び復号鍵供給方法
JP4378883B2 (ja) 映像情報受信装置、映像情報受信方法、及び映像情報送受信方法
JP4529909B2 (ja) 電子機器、及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US2005018295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external memory for portable terminal
JP2004205723A (ja) デジタル情報記録装置、デジタル情報再生装置、デジタル情報記録再生装置、デジタル情報記録方法、デジタル情報再生方法及びデジタル情報記録再生方法
KR100837430B1 (ko) 방송수신장치 및 그의 보안방법
JPH07154385A (ja) 妨害重畳情報処理装置
JP4597252B2 (ja) 映像情報受信装置、映像情報受信方法、及び映像情報送受信方法
KR101348329B1 (ko) 콘텐츠 제어 장치 및 콘텐츠 제어 방법
JP4069730B2 (ja) 受信装置、印刷装置および印刷制御方法
JP2000341634A (ja) 権利保護機能付き撮影録音装置
CN101339788B (zh) 接收装置
JP4674751B2 (ja) 携帯端末装置、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1075870A (ja) 情報信号伝送方法、情報信号伝送システム、情報信号送信装置および情報信号受信装置
JP4406671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2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912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412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1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