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85420B1 - 추락 방지용 미닫이 창호 - Google Patents

추락 방지용 미닫이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5420B1
KR101085420B1 KR1020110013836A KR20110013836A KR101085420B1 KR 101085420 B1 KR101085420 B1 KR 101085420B1 KR 1020110013836 A KR1020110013836 A KR 1020110013836A KR 20110013836 A KR20110013836 A KR 20110013836A KR 101085420 B1 KR101085420 B1 KR 101085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rail
sliding
frame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범
Original Assignee
동방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방시스템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방시스템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3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54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04Wing frames not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3/263Frame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창틀(100)의 상부프레임(10)에 형성된 레일(11)에 축구멍(11a)이 수직방향으로 뚫려지고, 이 축구멍(11a)에 지지축(20)이 끼워질 경우 자체 무게에 의하여 상시적으로 하강하게 되고, 이러한 지지축(20)의 하강으로 창문(200)의 상부바(40)에 형성된 오목홈(41)이 끼워질 경우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충격이나 바람에 의하여 창문(200)이 창틀(100)로부터 이탈되려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추락 방지용 미닫이 창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추락 방지용 미닫이 창호{SLIDING WINDOW FOR PREVENTING DROP}
본 발명은 추락 방지용 미닫이 창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과 간소한 구조로서 창틀로부터 창문이 이탈되거나 추락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추락 방지용 미닫이 창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창호는 창틀에 창문이 끼워져 횡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환기를 실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미닫이 창호는 외부의 충격이나 바람에 의하여 창문이 창틀로부터 이탈되어 추락되는 현상이 나타나곤 한다.
제 1 선행기술문헌(특허 제0636988호; 미닫이문) 도 1은 제 1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미닫이문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닫이문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1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미닫이문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 테두리(210)에 가이드레일 삽입홈(200a)이 형성되어 문틀(100)의 상·하부 가이드레일(1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미닫이문(200)의 상부 테두리(21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이탈방지부재 수용홈(211a)이 구비되고, 문틀(100)의 상부 미닫이문 가이드레일(110)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레일 삽입홈(411a ; 511)을 갖춘 이탈방지부재(400,400' ; 500)가 상부 테두리(210)의 이탈방지부재 수용홈(211a)에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내설되어 외부로 출입되는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이탈방지부재(500)는 가이드레일 삽입홈(511)이 구비되어, 미닫이문(200)의 이탈방지부재 수용홈(211a)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외부로 출입되는 이동블럭(510)과; 미닫이문(200)의 이탈방지부재 수용홈(211a)에 내설되어, 이동블럭(510)을 상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탄발지지부재(5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발지지부재(520)는 테두리(210)의 이탈방지부재 수용홈(211a)에 내설되어 스프링(522)을 지지하는 스프링시트(521)와, 스프링시트(521)에 지지되어 이동블럭(510)을 상방향으로 탄발지지하는 스프링(522)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제 1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미닫이문은 문틀(100)로부터 미닫이문(20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이동블록(510) 및 탄발지지부재[520; 스프링시트(521), 스프링(522)]라는 복잡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생산성 및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제 2 선행기술문헌(특허 제0897518호; 미닫이 창문) 도 3은 제 2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이탈방지수단(A)이 체결된 창호 및 창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제 2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이탈방지수단(A)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제 2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이탈방지수단(A)의 단면도이다. 제 2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미닫이 창문은 창틀의 상부 레일(2)과 접촉되는 창호(100)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탈방지수단(A)이 구비되며, 이탈방지수단(A)은 중심홀(240)이 형성되며, 창틀의 상부 레일(2)에 접촉하는 바퀴(200); 일측에 고정홀(430)이 형성되고, 타측에 회전홀(450)이 형성되며, 바퀴(200)의 중심홀(240)을 관통하여 바퀴(200)가 고정되도록 고정홀(430)에 고정핀(210)이 삽입되는 지지부재(400); 일측 하부에 홀(510)이 구비되며, 홀(510)과 지지부재(400)의 타측에 형성된 회전홀(450)을 관통하여 지지부재(400)가 고정되도록 회전축(540)이 삽입되며, 회전축(540)에는 스프링(300)이 개재되어 있는 외함(500);을 포함하며, 외함(500)의 일면과 이와 대응되는 지지부재(400)의 일면에 스프링(300)의 단부가 각각 지지되고, 스프링(300)의 상부 레일(2)방향으로 향하는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부재(400)에 체결된 바퀴(200)가 상부 레일(2)과 항상 접촉되어 창호(100)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제 2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미닫이 창문 역시 창호(100)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구조로서 이탈방지수단(A)을 제시하고 있지만, 이 이탈방지수단(A)의 구성들이 너무 복잡하고 부품이 많아 생산성 및 조립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과 간소한 구조로서 창틀로부터 창문이 이탈되거나 추락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추락 방지용 미닫이 창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레일 및 레일홈이 형성된 상부프레임을 지닌 창틀과, 상기 레일에 끼워지는 오목홈이 형성된 상부바를 지닌 창문을 포함하는 추락 방지용 미닫이 창호에 있어서,
상기 레일에 수직방향으로 뚫려진 축구멍과,
상기 축구멍에 끼워져 상기 상부바의 오목홈을 향하여 하강되는 지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과 간소한 구조로서 창틀로부터 창문이 이탈되거나 추락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창문을 창틀에 끼우고자 할 경우에는 지지축이 오목홈에 합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창문을 밀어올려 오목홈이 레일에 끼워지도록 하여 창문과 창틀의 조립을 완료하고, 이렇게 조립이 완료될 경우 오목홈이 레일에 지지되면서 횡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바람이나 외부의 충격이 가해져 창문의 오목홈이 창틀의 레일로부터 이탈되려고 할 경우 지지축이 자체 무게에 의하여 하강하여 오목홈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창틀로부터의 창문의 이탈 내지는 추락을 철저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보강플레이트가 레일 및 레일홈을 따라 가로질러 부착됨으로써 축구멍에 의해 약해질 수 있는 레일의 강도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고, 나아가 지지축의 꺾쇠가 보강플레이트의 걸림테두리에 걸쳐짐으로써 지지축의 조립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보강플레이트에 부착되면서 하측방향으로 펼쳐지는 모헤어를 더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먼지나 곤충의 침입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방음 및 단열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제 1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미닫이문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미닫이문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제 2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이탈방지수단(A)이 체결된 창호 및 창틀의 단면도.
도 4는 제 2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이탈방지수단(A)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제 2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이탈방지수단(A)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추락 방지용 미닫이 창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추락 방지용 미닫이 창호를 나타내는 요부 분해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추락 방지용 미닫이 창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용 미닫이 창호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추락 방지용 미닫이 창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추락 방지용 미닫이 창호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문(200)이 창틀(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시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창틀(100)은 레일(11) 및 레일홈(12)이 형성된 상부프레임(10)을 지니고, 창문(200)은 레일(11)에 끼워지는 오목홈(41)이 형성된 상부바(40)를 지닌다.
창틀(100)은 상부프레임(10)은 물론이거니와 미 넘버링된 하부프레임, 좌측프레임 및 우측프레임을 구비하고, 창문(200) 역시 미 넘버링된 롤러를 지닌 하부바, 좌측바 및 우측바를 지닌다.
본 발명의 핵심은 간단한 구성으로 창문(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을 제안한 것으로, 레일(11)에 수직방향으로 뚫려진 축구멍(11a)과, 이 축구멍(11a)에 끼워져 상부바(40)의 오목홈(41)을 향하여 하강되는 지지축(20)을 포함한다[이때, 축구멍(11a) 및 지지축(20)은 2개 1조로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할 경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축(20)을 서로 합체시키는 결합편(20a)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창틀(100)의 상부프레임(10)에 형성된 레일(11)에 축구멍(11a)이 수직방향으로 뚫려지고, 이 축구멍(11a)에 지지축(20)이 끼워질 경우 자체 무게에 의하여 상시적으로 하강하게 되고, 이러한 지지축(20)의 하강으로 창문(200)의 상부바(40)에 형성된 오목홈(41)이 끼워질 경우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충격이나 바람에 의하여 창문(200)이 창틀(100)로부터 이탈되려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최초 창문(200)을 창틀(100)에 끼우고자 할 경우에는 지지축(20)이 오목홈(41)에 합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창문(200)을 밀어올려 오목홈(41)이 레일(11)에 끼워지도록 하여 창문(200)과 창틀(100)의 조립을 완료하고, 이렇게 조립이 완료될 경우 오목홈(41)이 레일(11)에 지지되면서 횡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고, 나아가 바람이나 외부의 충격이 가해져 창문(200)의 오목홈(41)이 창틀(100)의 레일(11)로부터 이탈되려고 할 경우 지지축(20)이 자체 무게에 의하여 하강하여 오목홈(41)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창틀(100)로부터의 창문(200)의 이탈 내지는 추락을 철저히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추락 방지용 미닫이 창호는 축구멍(11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구비하여 걸림테두리(32)를 구현하는 통공(31)을 지니면서 레일(11) 및 레일홈(12)을 따라 가로질러 부착[접착 또는 나사 조립]되는 보강플레이트(30)와, 지지축(20)의 상부 외주연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걸림테두리(32)에 걸려지는 꺾쇠(21)를 포함한다.
보강플레이트(30)가 레일(11) 및 레일홈(12)을 따라 가로질러 부착됨으로써 축구멍(11a)에 의해 약해질 수 있는 레일(11)의 강도를 더욱 강화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고, 나아가 지지축(20)의 꺾쇠(21)가 보강플레이트(30)의 걸림테두리(32)에 걸쳐짐으로써 지지축(20)의 조립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보강플레이트(30)에 부착되면서 하측방향으로 펼쳐지는 모헤어(33)(毛 Hair)를 더 포함하여 외부로부터 먼지나 곤충의 침입을 미연에 방지하면서 방음 및 단열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추락 방지용 미닫이 창호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구멍(11a)의 하부 내주연으로부터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11b)과, 지지축(20)의 상부 외주연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걸림턱(11b)에 걸려지는 꺾쇠(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축(20)의 꺾쇠(21)가 걸림턱(11b)에 걸쳐짐으로써 지지축(20)의 무단이탈을 방지하면서 그 조립성을 더욱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꺾쇠(21)는 경사면을 구비하여 축구멍(11a)에 끼울 때 걸림턱(11b)과 만나면서 경사면에 의해 슬라이딩되면서 조립될 수 있도록 하고[필요에 따라 꺾쇠(21)에 절개라인을 주어 걸림턱(11b)과 만날 때 수축되면서 끼워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음], 지지축(20)이 추구멍에 끼워지면 걸림턱(11b)에 의해 지지축(20)이 더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하여 창틀(100)로부터 창문(200)의 추락을 방지토록 하며, 완전 분해시에는 펜치와 같은 공구로 지지축(20)을 파지하면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실내환기 및 채광을 고려하는 창호 관련의 산업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100 : 창틀 200 : 창문
10 : 상부프레임 11 : 레일
11a : 축구멍 11b : 걸림턱
12 : 레일홈 20 : 지지축
20a : 결합편 21 : 꺾쇠
30 : 보강플레이트 31 : 통공
32 : 걸림테두리 33 : 모헤어
40 : 상부바 41 : 오목홈

Claims (4)

  1. 삭제
  2. 레일(11) 및 레일홈(12)이 형성된 상부프레임(10)을 지닌 창틀(100)과, 상기 레일(11)에 끼워지는 오목홈(41)이 형성된 상부바(40)를 지닌 창문(200)을 포함하는 추락 방지용 미닫이 창호에 있어서,
    상기 레일(11)에 수직방향으로 뚫려진 축구멍(11a)과,
    상기 축구멍(11a)에 끼워져 상기 상부바(40)의 오목홈(41)을 향하여 하강되는 지지축(20)과,
    상기 축구멍(11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구비하여 걸림테두리(32)를 구현하는 통공(31)을 지니면서 상기 레일(11) 및 레일홈(12)을 따라 가로질러 부착되는 보강플레이트(30)와,
    상기 지지축(20)의 상부 외주연으로부터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테두리(32)에 걸려지는 꺾쇠(2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미닫이 창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플레이트(30)에 부착되면서 하측방향으로 펼쳐지는 모헤어(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추락 방지용 미닫이 창호.
  4. 삭제
KR1020110013836A 2011-02-16 2011-02-16 추락 방지용 미닫이 창호 KR101085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836A KR101085420B1 (ko) 2011-02-16 2011-02-16 추락 방지용 미닫이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836A KR101085420B1 (ko) 2011-02-16 2011-02-16 추락 방지용 미닫이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85420B1 true KR101085420B1 (ko) 2011-11-21

Family

ID=45398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836A KR101085420B1 (ko) 2011-02-16 2011-02-16 추락 방지용 미닫이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54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294Y1 (ko) * 2001-04-18 2001-10-11 (주)중앙리빙샤시 창틀용 샤시의 바람막이 구조
KR200272005Y1 (ko) * 2002-01-03 2002-04-12 주식회사 대송창호 창호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294Y1 (ko) * 2001-04-18 2001-10-11 (주)중앙리빙샤시 창틀용 샤시의 바람막이 구조
KR200272005Y1 (ko) * 2002-01-03 2002-04-12 주식회사 대송창호 창호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7939B2 (en) Shower door assembly
CN105074115B (zh) 包括面板夹紧装置的隔断墙系统
CN101382035A (zh) 锚定装置
US6279642B1 (en) Fixing device in a venetian blind
KR101533442B1 (ko) 내부 개방형 여닫이 창호용 방충망장치
KR101683268B1 (ko) 탄성지지체를 이용한 목재 패널 결합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목재 시설물
KR101047854B1 (ko) 건물 마감용 패널 및 패널 프레임의 조립구조
KR101085420B1 (ko) 추락 방지용 미닫이 창호
CN205597578U (zh) 一种便于组装的床架结构
KR101091703B1 (ko) 단열 및 방음 기능을 지닌 추락방지용 미닫이 창호
KR101252696B1 (ko) 미서기 또는 미닫이식 창 또는 문짝의 이탈 방지장치
KR200472490Y1 (ko) 창틀
KR101226087B1 (ko) 창문이탈방지구
WO2012176501A1 (ja) パネル取付装置
CN104358408A (zh) 一种方盘脚手架
KR101705259B1 (ko) 경량화 단열도어
KR101149497B1 (ko) 버티컬 블라인드의 상부지지편과 가이드로울러 결합구조
KR101726493B1 (ko) 케이블 트레이
JP4528311B2 (ja) 上吊り式レール引戸
KR102019508B1 (ko) 금속 천장재 고정 시스템 및 이탈방지장치
KR20170124785A (ko) 미닫이 도어
KR101678655B1 (ko) 난간 조립체
CN108222729B (zh) 可快速取下窗扇的合页
KR102745624B1 (ko) 착탈형 안전 방충망 조립체
KR20170006137A (ko) 교량점검대 설치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6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102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1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4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