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84932B1 -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 및 하이드로겔 - Google Patents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 및 하이드로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4932B1
KR101084932B1 KR1020080133231A KR20080133231A KR101084932B1 KR 101084932 B1 KR101084932 B1 KR 101084932B1 KR 1020080133231 A KR1020080133231 A KR 1020080133231A KR 20080133231 A KR20080133231 A KR 20080133231A KR 101084932 B1 KR101084932 B1 KR 101084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siloxane
independently
formula
ethylenically unsaturated
methacry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3004A (ko
Inventor
칭-핑 후앙
로이 와우
켄 유안 창
Original Assignee
파 이스턴 뉴 센츄리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 이스턴 뉴 센츄리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파 이스턴 뉴 센츄리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90073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93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0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unsaturated aliphatic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18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2Hydrogels or hydrocollo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06Preparatory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G77/44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only polysiloxan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5Macromolecular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10Block- or graft-co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yeglasse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 Silicon Polym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트라-알콕시실란 화합물, 에틸렌계 불포화 유기실록산 단량체 및 친수성 규소-함유 다작용성 단량체를 가진 제1 혼합물의 가수분해-축합에 의해 제조된 3차원적 네트워크 구조를 가진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 아크릴화된 규소-함유 단량체 및 에틸렌계 불포화 친수성 단량체를 가진 제2 혼합물을 중합시켜 하이드로겔을 제조한다.

Description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 및 하이드로겔{POLYSILOXANE-BASED PREPOLYMER AND HYDROGEL}
본 발명은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 보다 구체적으로 3차원적 네트워크 구조를 가진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로부터 제조되고 콘택트 렌즈의 제조에 사용되는 하이드로겔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07년 12월 28일자로 출원된 타이완 특허출원 제096150791호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콘텍트 렌즈의 산소 투과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실리콘-함유 하이드로겔 물질이 콘텍트 렌즈의 제조에 점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미국 특허 제5,387,632호는 (a)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아크릴-캡핑 폴리실록산 전구중합체; (b) 벌키폴리실록산일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c) 하나 이상의 친수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 생성물로부터 형성된 실리콘-함유 하이드로겔 물질 로부터 제조된 콘택트 렌즈를 개시한다:
Figure 112008088753980-pat00001
상기 식에서,
A 및 A'는 독립적으로 아크릴산 또는 메트아크릴산의 에스터 또는 아마이드이고;
R1 내지 R10은 독립적으로 1 내지 10개의 탄소를 가진 알킬, 플루오로알킬, 알코올, 에테르 또는 플루오로에테르 기이거나 6 내지 18개의 탄소를 가진 방향족 기이고;
m, n 및 p는 독립적으로 0 내지 200이되, m+n+p는 23 내지 200이고;
a 및 b는 독립적으로 1 내지 10이다.
미국 특허 제6,586,548호는 (a) 이타코네이트, (메트)아크릴레이트, 푸마레이트 및 스티렌계 수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단량체; (b) 에틸렌계 불포화 라디칼을 포함하는 POSS 화합물을 가진 하나 이상의 단량체; 및 (c) 하나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유기실록산 단량체를 가진 혼합물을 중합시켜 제조한 생체적합성 공중합체를 개시한다. 상기 생체적합성 공중합체는 우수한 강성 및 충분한 산소 투과성을 나타내지만, 그의 탄성률이 1000 MPa보다 높아 바람직하지 않게 착용감을 저하시킨다.
그러므로, 충분한 산소 투과성, 습윤성 및 감소한 탄성률을 나타내는 하이드로겔이 여전히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충분한 산소 투과성, 습윤성 및 감소한 탄성률을 나타내는 하이드로겔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르면, 3-차원적 네트워크 구조를 가진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가 (a)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테트라-알콕시실란 화합물; (b)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에틸렌계 불포화 유기실록산 단량체; 및 (c)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친수성 규소-함유 다작용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의 가수분해-축합에 의해 제조된다:
Figure 112008088753980-pat00002
Figure 112008088753980-pat00003
Figure 112008088753980-pat00004
상기 식에서,
R11, R12, R13 및 R14는 독립적으로 C1-C8 알킬 기이고;
R21, R22 및 R23은 독립적으로 C1-C6 알킬 기이며;
R24는 C1-C6 알킬 기, 시아노 기 또는 수소이고;
X는 C1-C4 알킬렌, 단일 결합,
Figure 112008088753980-pat00005
또는
Figure 112008088753980-pat00006
이며;
Y는 C2-C4 알킬렌 기이고;
Z1 및 Z2는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또는 C1-C4 알킬렌 기이며;
R31, R32, R33, R34, R35 및 R36은 독립적으로 C1-C6 알킬 기이고;
d는 3 내지 9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콘택트 렌즈의 제조에 사용되는 하이드로겔이 (a) 상기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 (b)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아크릴화된 규소-함유 단량체; 및 (c) 에틸렌계 불포화 친수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제2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제조된다:
Figure 112008088753980-pat00007
상기 식에서,
D는 O, NH, S 또는 CH2이고;
E는 O 또는 단일 결합이며;
R60은 H, CH3, ph, (CH2)iCH3, CH(CH3)2, C(CH3)3 또는 Cph2CH3이고;
R61, R62 및 R63은 독립적으로 H, CH3, (CH2)iCH3, CH(CH3)2, C(CH3)3, Cph2CH3, O[Si(CH3)2O]jSi(CH3)3 또는 OSiR66R67R68이며;
이때, R66, R67 및 R68은 독립적으로 H, CH3 또는 (CH2)iCH3이고;
R64 및 R65는 독립적으로 H, OH, CH3, ph, (CH2)iCH3, CH(CH3)2, C(CH3)3 또는 Cph2CH3이며;
g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e는 0 내지 5의 정수이며;
f는 0 내지 10의 정수이고;
ph는 페닐이며;
i 및 j는 독립적으로 1 내지 10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 시양태에 대한 하기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샘플에 대해 얻은 접촉각, 수분 함량 및 산소 투과성의 값들은 현재 콘택트 렌즈에 의해 요구되는 기준을 충족시킨다. 게다가, 샘플의 연신율 및 인장 탄성률도 상기 샘플이 우수한 착용감 및 내구성을 제공함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친수성 규소-함유 다작용성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가 우수한 습윤성, 우수한 산소 투과성 및 원하는 기계적 성질(예를 들어, 인장 탄성률 및 연신율)을 가진 하이드로겔 샘플을 제공함이 분명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은 ISO 10993-5에 따른 세포독성 시험도 통과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3차원적 네트워크 구조를 가진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는 (a)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테트라-알콕시실란 화합물; (b)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에틸렌계 불포화 유기실록산 단량체; 및 (c)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친수성 규소-함유 다작용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의 가수분해-축합에 의해 제조된다:
화학식 I
Figure 112008088753980-pat00008
화학식 2
Figure 112008088753980-pat00009
화학식 3
Figure 112008088753980-pat00010
상기 식에서,
R11, R12, R13 및 R14는 독립적으로 C1-C8 알킬 기이고;
R21, R22 및 R23은 독립적으로 C1-C6 알킬 기이며;
R24는 C1-C6 알킬 기, 시아노 기 또는 수소이고;
X는 C1-C4 알킬렌, 단일 결합,
Figure 112008088753980-pat00011
또는
Figure 112008088753980-pat00012
이며;
Y는 C2-C4 알킬렌 기이고;
Z1 및 Z2는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또는 C1-C4 알킬렌 기이며;
R31, R32, R33, R34, R35 및 R36은 독립적으로 C1-C6 알킬 기를 이고;
d는 3 내지 90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3의 친수성 규소-함유 다작용성 단량체 : 테트라-알콕시실란 : 에틸렌계 불포화 유기실록산 단량체의 몰비는 1 : 2 내지 22 : 2 내지 40,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3 내지 20 : 3 내지 35, 가장 바람직하게는 1 : 4 내지 18 : 4 내지 30이다. 1 : 2 내지 22 : 2 내지 40의 몰비 내에서, 에틸렌계 불포화 유기실록산 단량체의 대부분의 불포화 작용기는 반응 후 3차원적 네트워크 구조를 가진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의 표면에 있음으로써 하이드로겔의 제조를 위한 후속 중합을 용이하게 하는 반응성 기를 제공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테트라-알콕시실란 화합물은 테트라-메톡시실란, 테트라-에톡시실란 또는 테트라-아이소프로폭시실란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테트라-알콕시실란 화합물은 테트라-에톡시실란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틸렌계 불포화 유기실록산 단량체는 비닐 트라이메톡시실란, 알릴트라이메톡시실란 또는 3-트라이메톡시실릴 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에틸렌계 불포화 유기실록산 단량체는 비닐 트라이메톡시실란이다.
바람직하게는, 친수성 규소-함유 다작용성 단량체는 하기 화학식 5로 표시되는 아이소시아네이트 치환 (트라이알콕시)실란을 폴리에테르 다이올과 반응시켜 제 조한다:
Figure 112008088753980-pat00013
상기 식에서,
R41, R42 및 R43은 독립적으로 C1-C6 알킬이고,
Z0은 단일 결합 또는 C1-C4 알킬렌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이소시아네이트 치환 (트라이알콕시)실란은 아이소시아네오토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란 또는 아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란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테르 다이올의 분자량은 200 내지 4,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2,500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폴리에테르 다이올은 폴리에틸렌 글라이콜이다.
바람직하게는 중합 과정 동안 (그러나, 이로 한정되지 않음) 테트라-알콕시실란 화합물을 친수성 규소-함유 다작용성 단량체와 먼저 혼합한 후 에틸렌계 불포화 유기실록산 단량체를 첨가한다.
경우에 따라, 필요하다면, 실란, 예를 들면, 트라이알콕실 4급 암모늄 실란(헤드웨이(Headway)로부터 시판되는 제품 번호: AB-8638) 및 데구사(Degussa)로부 터 시판되는 1H,1H,2H,2H-퍼플루오로옥틸트라이에톡시실란을 상기 제1 혼합물에 첨가하여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의 항균성 및 지질-내성을 부여할 수 있다. 화학식 3의 친수성 규소-함유 다작용성 단량체 : 테트라-알콕시실란 : 에틸렌계 불포화 유기실록산 단량체 : 추가 실란의 몰비는 1 : 2 내지 22 : 2 내지 40 : 0 내지 10이다.
바람직하게는, 가수분해-축합 반응은 20 내지 6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에서 2 내지 5 또는 8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 또는 9 내지 11의 pH 값 하에서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반응은 4 내지 24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8시간 동안 수행한다.
이로써 수득된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를 하이드로겔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은 제2 혼합물의 자유 라디칼 쇄 중합의 생성물이다. 상기 제2 혼합물은 (a) 상기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 (b)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아크릴화된 규소-함유 단량체; 및 (c) 에틸렌계 불포화 친수성 단량체를 포함한다:
화학식 4
Figure 112008088753980-pat00014
상기 식에서,
D는 O, NH, S 또는 CH2이고;
E는 O 또는 단일 결합이며;
R60은 H, CH3, ph, (CH2)iCH3, CH(CH3)2, C(CH3)3 또는 Cph2CH3이고;
R61, R62 및 R63은 독립적으로 H, CH3, (CH2)iCH3, CH(CH3)2, C(CH3)3, Cph2CH3, O[Si(CH3)2O]jSi(CH3)3 또는 OSiR66R67R68이며;
이때, R66, R67 및 R68은 독립적으로 H, CH3 또는 (CH2)iCH3이고;
R64 및 R65는 독립적으로 H, OH, CH3, ph, (CH2)iCH3, CH(CH3)2, C(CH3)3 또는 Cph2CH3이며;
g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e는 0 내지 5의 정수이며;
f는 0 내지 10의 정수이고;
ph는 페닐이며;
i 및 j는 독립적으로 1 내지 10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는 제2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4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화된 규소-함유 단량체는 제2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틸렌계 불포화 친수성 단량체는 상기 제2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20 내지 6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35 내지 45 중량%의 양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크릴화된 규소-함유 단량체의 예로는 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TRIS), 비스(트라이메틸실록시)메틸실릴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메틸다이실록산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메틸다이실록사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옥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 메트아크릴옥시에틸카바메이트, 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 글리세롤 메트아크릴레이트(SIGMA) 및 트리스(폴리다이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아크릴화된 규소-함유 단량체는 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틸렌계 불포화 친수성 단량체의 예로는 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HEMA), 메트아크릴산(MAA), N-비닐 피롤리돈(NVP), N,N'-다이메틸아크릴아마이드(DMA), N,N'-다이에틸아크릴아마이드, N-아이소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N-아크릴오일모르폴린 및 2-다이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에틸렌계 불포화 친수성 단량체는 HEMA, NVP 및 DMA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혼합물은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직쇄 실리콘-함유 전구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한다:
Figure 112008088753980-pat00015
상기 식에서,
na1/nb는 0 내지 1.5이고, na2/nb는 0 내지 1.5이며, nb는 4 내지 50의 정수이다.
또한, 상기 제2 혼합물의 자유 라디칼 쇄 중합의 반응에서 상기 제2 혼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2 내지 1 중량%의 광-개시제 또는 열적 개시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 및 열적 개시제는 현재 공지된 임의의 개시제,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6,992,118호 및 제5,908,906호에 개시된 것들일 수 있다. 2-하이드록시-2-메틸-1-펜틸-1-프로판온이 본 발명의 한 실시양태에서 광-개시제로서 사용된다.
광-개시제가 사용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자유 라디칼 쇄 중합은 2 내지 10 mw/㎠,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 mw/㎠의 조사 조건 하에 수행된다. 열적 개시제가 사용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열 처리 온도는 60 내지 120℃이다. 바람직하게는, 조사 또는 열 처리 시간은 10분 내지 2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분 내지 2시간이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은 콘택트 렌즈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콘택트 렌즈의 제조를 위한 여러 공지된 기법에 따르면, 주조(casting) 공정이 원하는 후방 및 전방 렌즈 표면을 가진 성형 제품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적 주조 공 정에서 상기 제2 혼합물은 원하는 전방 렌즈 표면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주형 구획 및 원하는 후방 렌즈 표면을 성형하기 위한 제2 주형 구획을 가진 주형에 충전될 수 있다. 스핀주조 공정에서, 상기 제2 혼합물은 원하는 전방 렌즈 표면을 성형하기 위한 표면을 가진 개방 주형에 충전될 수 있다. 원하는 후방 렌즈 표면은 주형의 회전으로부터 성형된다. 그러나, 제품의 경화 후에 수행되는 기계가공 공정이 눈에 착용하기에 보다 적합한 콘택트 렌즈를 제공하기 위해 여전히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기계가공 공정은 원하는 가장자리를 수득하기 위해 렌즈를 선삭(lathe cutting)하는 단계, 및 렌즈 가장자리를 완충시키거나 렌즈 가장자리 또는 표면을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은 눈 이식재, 예컨대, 안내 렌즈, 또는 각막 대체물, 예컨대, 인공 각막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눈 이식재로서 사용되는 경우, 방향족-함유 실리콘 절편이 상기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의 합성 과정 동안 도입될 수 있다. 별법으로, 하이드로겔의 제조 과정 동안 벤젠 화합물을 첨가하여 상기 하이드로겔로부터 형성된 눈 이식재의 굴절 지수를 상승시킬 수 있다.
화합물의 출처
1. 폴리에틸렌 글라이콜(PEG): 플루카(Fluka)로부터 시판되고, CAS 번호는 25322-68-호이며 분자량은 1,000이다.
2. 3-아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란(IPTS): GE 실리콘스로부터 시 판되는 실퀘스트® A-링크(TM) 25 실란이고, CAS 번호는 24801-88-5이다.
3. 다이부틸틴 다이라우레이트: TCI로부터 시판되고, CAS 번호는 77-58-7이다.
4. 테트라에톡시실란(TEOS): 쇼와(SHOWA)로부터 시판되고, CAS 번호는 78-10-4이다.
5. 트라이알콕실 4급 암모늄 실란(하기 표 1에서 AB-실란으로 표시됨): 헤드웨이로부터 시판되고, 제품 번호는 AB-8638이며, 분자량은 1,400.6이다.
6. 1H,1H,2H,2H-퍼플루오로옥틸트라이에톡시실란(하기 표 1에서 F-실란으로 표시되는 CF3(CF2)5CH2CH2Si(OC2H5)3): 데구사로부터 시판되고, CAS 번호는 51851-37-7이다.
7. 비닐 트라이메톡시실란: 톱코 테크날로지 코포레이션(Topco Technology Corp.)으로부터 시판되고, 제품 번호는 KBM1003이다.
8.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친수성 규소-함유 다작용성 단량체: 하기 실시예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계에 따라 제조된다:
Figure 112008088753980-pat00016
상기 식에서, d는 21 내지 27의 정수이다.
9. 아크릴화 실록산 폴리알킬렌옥사이드 공중합체(직쇄 실리콘-함유 전구중 합체): GE 실리콘스로부터 시판되는 코트오실(CoatOsil)® 3509이다.
10. 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TRIS): 겔레스트(Gelest)로부터 시판되고, CAS 번호는 17096-07-0이다.
11. N-비닐 피롤리돈(NVP): 알드리치로부터 시판되고, CAS 번호는 88-12-0이다.
12. 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HEMA): 아크로스(ACROS)로부터 시판되고, CAS 번호는 868-77-9이다.
13. N,N'-다이메틸아크릴아마이드(DMA): TCI로부터 시판되고, CAS 번호는 0680-3-7이다.
장비
1. 핵 자기 공명 분광계(NMR): 브루커(Bruker)로부터 시판되고, 모델 번호는 ADVANCED 300이다.
2. 루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계(FT-IR): 퍼킨 엘머로부터 시판되고, 모델 번호는 T1이다.
일반적인 방법
1. 콘택트 각도 분석을 정적법(sessile drop method)에 따라 수행하였다.
2. 수분 함량(%) 시험을 ISO 표준 10339에 따라 측정하였다.
3. 산소 투과성을 ISO 9913-1에 따라 측정하였다.
4. 연신율 및 인장 탄성률을 ASTM D1780에 따라 측정하였다.
5. 세포독성 시험을 ISO 10993-5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시험관내 세포독성에 대한 의료 장비-시험의 생물학적 평가.
친수성 규소-함유 다작용성 단량체의 제조
30 g(≒ 0.03 몰)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14.82 g의 3-아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트라이에톡시실란을 질소 조건 하에 70℃의 온도에서 반응시키고, 상기 두 성분의 총 중량의 0.3 중량%의 양으로 다이부틸틴 다이라우레이트를 촉매로서 동시에 첨가하였다. 반응을 1 내지 3시간 동안 지속시키고, 헥산을 사용하여 정제를 수행함으로써 미반응된 단량체를 제거하였다. 마지막으로, 진공 조건 하에 40 내지 60℃에서 건조함으로써 건조된 친수성 규소-함유 다작용성 단량체를 수득하였다. 정제된 친수성 규소-함유 다작용성 단량체는 NMR 및 FT-I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NMR에 의해 확인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H-NMR(300 MHz, CDCl3), δ5.02(br, 1H, NH), 4.2∼4.12(m, 2H, 우레탄의 -CH2), 3.78(Quat, J=6.9 Hz, 6H, -OCH2-), 3.61(s, 40H, PEG의 -OCH2CH2O-), 3.17∼3.04(m, 2H, 우레탄의 N-CH2-), 1.62∼1.52(m, 2H, -CH2-), 1.18(t, J=6.9Hz, 9H, -CH3-), 0.65∼0.52(m, 2H, -CH2-Si-).
또한, 반응 전의 IR 스펙트럼과 반응 후의 IR 스펙트럼의 비교는 반응 전 반응물의 IR 스펙트럼의 약 2200 cm-1에서 -N=C=O를 나타내는 피크가 반응 후 스펙트럼으로부터 사라짐을 보여준다. 나아가, 반응 후, PEG의 말단에 있는 N=C=O와 -OH 가 반응하여 NH-(C=O)-를 형성할 것이기 때문에, C=O를 나타내는 피크는 반응 후 IR 스펙트럼의 약 1700 cm-1에서 발생하였다. 또한, 3.61(s, 40H, PEG의 -OCH2-CH2-O-) 강도에 대한 4.2∼4.12(m, 2H, 우레탄의 -CH2) 강도의 비로부터 친수성 규소-함유 다작용성 단량체의 분자량이 1400 내지 1662임이 추정될 수 있다.
또한, FT-IR 및 NMR에 의해 확인된 결과는 생성물이 하기 화학식 7로 표시되는 친수성 규소-함유 다작용성 단량체임을 보여준다:
화학식 7
Figure 112008088753980-pat00017
상기 식에서, d는 21 내지 27의 정수이다.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의 제조
실시예 1
제조 단계:
(1) 6.9 g의 건조된 친수성 규소-함유 다작용성 단량체와 4.6 g의 TEOS를 주위 온도에서 둥근 바닥 플라스크 내에서 혼합하고, 적정량의 아이소프로판올을 상기 플라스크에 첨가함으로써 맑고 투명한 반응 용액을 수득하였다.
(2) 단계 (1)에서 수득된 반응 용액을 40℃로 가열하고, pH가 2 내지 3인 1,080 ㎕의 수성 하이드로클로라이드(HCl(수성))를 상기 반응 용액에 첨가하여 약 3시간 동안 제1 가수분해-축합 중합을 수행하였다.
(3) 6.3 g의 비닐 트라이메톡시실란을 단계 (2)에서 제1 가수분해-축합 중합 공정으로 처리한 반응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고, pH가 2 내지 3인 1,140 ㎕의 수성 하이드로클로라이드를 추가로 첨가하여 6시간 동안 제2 가수분해-축합 중합을 수행함으로써 실리콘-함유 전구중합체가 분산되어 있는 제1 용액(고체 함량 = 0.45 g/㎖)을 수득하였다.
(4) 단계 (3)에서 제2 가수분해-축합 중합 공정으로 처리된 반응 용액 중의 아이소프로판올을 50℃에서 진공 농축을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헥산을 사용하여 정제를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를 수득한 후, 진공 농축을 이용하여 헥산을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의 정제된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를 수득하였다.
구조 확인:
이로써 수득된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의 구조는 NMR 및 FT-I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NMR 결과는 다음과 같다: 1H-NMR(300 MHz, CDCl3), δ6.18∼5.82(m, 3H, CH2=CH-), 4.2∼4.17(m, 1H, 우레탄의 -CH2), 3.79(Quat, J=5.6Hz, 3H, SiOCH2-), 3.62(s, 26H, PEG의 -OCH2CH2O-), 3.17∼3.12(m, 1H, 우레탄의 N-CH2-), 1.63∼1.53(m, 1H, -CH2-), 1.29∼1.23(m, 3H), 1.22(t, J=5.6Hz, 4.5H, -CH3), 0.65∼0.56(m, 1H, -CH2-Si-). 또한, CH2=CH- 이중 결합의 흡수 신호가 IR 스펙트럼의 1600.64 nm-1 및 약 800 nm-1에서 선명하게 보인다.
NMR 및 IR 결과는 본 발명의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의 구조를 완전히 이해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지만, 상기 결과는 상기 반응물들이 가수분해-축합 중합되었음을 선명하게 보여줄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는 입상 크기가 1 내지 400 n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0 nm인 3차원적 네트워크 3D 구조를 갖는다.
실시예 2 내지 6
실시예 2 내지 6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의 제조 단계는 실시예 1의 제조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차이점은 수성 하이드로클로라이드의 양, 및 반응물의 종류 및 양에 있다. 이들 실시예의 수행 조건은 하기 표 1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AB-실란이 실시예 4의 단계 (1)에서 추가로 첨가되고, F-실란이 실시예 6의 단계 (1)에서 추가로 첨가되었다.
Figure 112008088753980-pat00018
실험예 : 하이드로겔 샘플의 제조
실험예 1
(1) 본 실험의 수행 단계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수득된 제1 용액으로서, 본 발명의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가 분산되어 있는 제1 용액 적정량과 코트오실®, TRIS 및 에틸렌계 불포화 친수성 단량체를, 상기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 코트오실®, TRIS 및 에틸렌계 불포화 친수성 단량체의 함량 비가 각각 약 13.16 중량%, 10.86 중량%, 21.7 중량% 및 54.28 중량%가 되도록 균질하게 혼합하여 제2 용액을 수득하였다. 에틸렌계 불포화 친수성 단량체는 3가지 종류의 단량체, 즉 NVP, HEMA 및 DMA를 2.5/1/1.5의 중량비로 포함한다.
(2) 제2 혼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0.7%의 2-하이드록시-2-메틸-1-펜틸-1-아세톤(제조사: CIBA; 모델 번호: D1173) 및 소량의 아이소프로판올을 단계 (1)에서 수득한 제2 용액에 첨가하여 혼합 용액을 수득하였다.
(3)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2개의 유리 클램핑 플레이트(1);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1)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1) 각각의 4개 주변 가장자리에 인접해 있는 실리콘 패드(2); 및 혼합 용액(9)이 클램핑 플레이트(1) 및 실리콘 패드(2)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클램핑 플레이트(1) 및 실리콘 패드 (2)를 제자리에 고정하기 위한 2개의 고정 부재(3)를 가진 성형 장치(도 1에 도시됨) 내로 단계 (2)에서 수득된 혼합 용액을 주입하였다. 이어서, 실리콘-함유 겔 시트가 형성되도록 2 내지 3 mw/㎠의 광 강도 하에 1시간 동안 광-개시를 수행하였다.
(4) 고정 부재(3), 클램핑 플레이트(1) 및 실리콘 패드(2)를 순서대로 탈착시키고, 겔 시트를 제거하고 추출을 위해 7:3의 비로 알코올과 물을 함유하는 혼합 용액 중에 2시간 동안 침지시킨 후, 생리수 중에 1 내지 2시간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을 수득하였다.
(5) 멸균을 위해 상기 하이드로겔을 121℃에서 30분 동안 열 처리함으로써 하이드로겔 시험 샘플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2 내지 10
실험예 2 내지 10에서 하이드로겔 샘플의 제조 단계는 반응물의 양 및 종류를 제외하고 실험예 1의 제조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실험예 1 내지 10에 대한 반응물의 양 및 종류는 하기 표 2에 기재되어 있다.
비교예 1
비교예 1에서 하이드로겔의 제조 단계는 실험예 1의 제조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주요 차이점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가 포함되지 않고 단계 (1)에서 약 13.42 중량%의 코트오실®, 약 26.18 중량%의 TRIS 및 약 60.4 중량%의 에틸렌계 불포화 친수성 단량체가 균질하게 혼합되고 NVP/HEMA(즉, 에틸렌계 불포화 친수성 단량체)의 중량비가 4.5/1.5라는 점에 있다.
비교예 2
비교예 2에서 하이드로겔 샘플의 제조 단계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가 포함되지 않고 단계 (1)에서 약 22.73 중량%의 코트오실®, 약 31.82 중량%의 TRIS 및 약 45.45 중량%의 에틸렌계 불포화 친수성 단량체가 균질하게 혼합되고 NVP/HEMA(즉, 에틸렌계 불포화 친수성 단량체)의 중량비가 19/6이라는 점을 제외하고 실험예 1의 제조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Figure 112011011945242-pat00036
접촉각 , 수분 함량(%) 및 산소 투과성에 대한 분석
실험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수득된 샘플들의 접촉각을 각각 분석하고 상기 샘플들의 수분 함량(%) 및 산소 투과성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접촉각 분석은 하이드로겔 샘플의 습윤성을 특징 지웠다. 시험의 결과는 하기 표 3에 기재되어 있다.
콘택트 렌즈의 제조에 현재 사용되는 물질의 접촉각은 10° 내지 90°이다.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샘플들의 접촉각은 30° 내지 60°이므로 현재 요건을 충족시킴이 하기 표 3으로부터 확인된다. 상기 하이드로겔 샘플의 수분 함량은 40% 내지 60%이고 산소 투과성은 30 Dk 내지 60 Dk이다.
Figure 112008088753980-pat00020
기계적 성질 시험
실험예 1 내지 3, 실험예 5 내지 8, 실험예 10, 및 비교예 1 및 2에서 수득한 하이드로겔 샘플(두께 = 0.4 mm)의 연신율 및 인장 탄성률을 ASTM D1780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기재되어 있다.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샘플들의 인장 탄성률은 1 Mpa보다 낮다. 따라서, 상기 하이드로겔 샘플로부터 형성된 콘택트 렌즈는 보다 우수한 착용감을 나타낸다. 또한, 모든 샘플들의 연신율이 150%를 초과한다. 특히 주목할만한 것은 표 3 및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및 2의 산소 투과성 값이 실험예 1 내지 8의 산소 투과성 값보다 더 높고, 비교예 1 및 2의 연신율이 단지 76.853% 및 58.55%(표 2 참조)인데, 이러한 연신율은 비교예 1 및 2가 낮은 내구성을 가짐을 의미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본 발명이 외부 연신력에 노출될 경우 깨질 가능성이 더 적고 더 우수한 내구성을 가짐을 입증한다.
Figure 112008088753980-pat00021
세포독성 시험
실험예 6에서 수득한 샘플에 대해 세포독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생물학적 평가에 따라, 세포의 수 및 형태를 관찰하고 지수 정의 ISO 10993-5를 참조함으로써 구역 지수 및 세포용해 지수를 산출하였다. 이어서, 반응 지수(RI) 값을 식 RI = 구역 지수/세포용해 지수를 이용하여 상기 두 지수로부터 산출하였다. RI 값이 낮을수록 세포독성이 낮다.
세포독성 시험에서 사용된 샘플은 (1) 실험예 6에서 수득된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로부터 절삭된 직경 1.1 cm의 샘플; (2) 1% 페놀 용액 중에 침지되고 양성 대조군으로서 사용된 동일 크기의 샘플; 및 (3) 음성 대조군으로서 사용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EE) 샘플을 포함한다.
먼저, L-929 섬유모세포를 10%의 태아소 혈청을 함유하는 최소 필수 배지(MEM) 중에 1x105 세포/㎖의 농도로 희석한 후, 6-웰 배양 플레이트에 웰 당 2 ㎖씩 접종하였다. 그 다음, 상기 배양액을, 37℃로 설정되고 5% CO2로 충전된 항온처리기 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어서, MEM을 제거하고 45℃로 가열된 아가 배지(액체 형태) 2 ㎖를 상기 6-웰 배양 플레이트의 각 웰에 첨가하였다. 상기 아가 배지의 온도가 실온으로 떨어졌을 때, 아가 배지가 응집됨으로써 세포-함유 고체 아가 배지가 수득되었다.
이어서, 실험예 6에서 수득된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 샘플, 양성 대조군 샘플 및 음성 대조군 샘플을 세포-함유 아가 배지 상에 각각 배치하고 37℃로 설정되고 5% CO2로 충전된 항온처리기 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샘플 각각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배양 플레이트의 각 웰의 후면 상에 샘플의 프로파일 및 이 프로파일을 갖되 상기 프로파일보다 더 큰 반경을 가진 동심원을 그렸다. 상기 프로파일 내의 면적은 샘플 구역이었고, 상기 동심원 내에 포함되되 상기 프로파일 외부에 있는 면적은 확산 구역이었다. 그 다음, 각 샘플을 아가 배지의 표면으로부터 제거하고, 아가 배지를 중성 적색 용액을 사용하여 염색하였다. 이어서, 샘플 구역 및 분산 구역 내의 세포의 수 및 형태를 200X 배율로 설정된 역상 현미경 하에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는 도 2 내지 7에 나타나 있다. 도 2는 실험예 6에 대한 샘플 구역 내의 염색된 세포의 사진이고, 도 3은 실험예 6에 대한 확산 구역 내의 염색된 세포의 사진이다. 도 4는 양성 대조군 샘플에 대한 샘플 구역 내의 염색된 세포의 사진이고, 도 5는 양성 대조군 샘플에 대한 확산 구역 내의 염색된 세포의 사진이다. 도 6은 음성 대조군 샘플에 대한 샘플 구역 내의 염색된 세포의 사진이고, 도 7은 음성 대조군 샘플에 대한 확산 구역 내의 염색된 세포의 사진이다.
각 샘플에 대한 구역 지수 및 세포용해 지수를 실험예 6에서 수득된 하이드로겔 샘플, 양성 대조군 샘플 및 음성 대조군 샘플에 대한 샘플 구역 및 확산 구역 내의 세포의 수 및 형태로부터 산출하였고, RI를 상기 두 지수로부터 산출하였다. 실험예 6, 양성 대조군 및 음성 대조군에 대한 RI는 0/0, 5/5 및 0/0이었다. 이 결과는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이 ISO 10993-5에 따른 세포독성 시험을 통과하였으므로 무독성을 나타냄을 보여준다.
요약하건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샘플에 대해 얻은 접촉각, 수분 함량 및 산소 투과성의 값들은 현재 콘택트 렌즈에 의해 요구되는 기준을 충족시킨다. 게다가, 샘플의 연신율 및 인장 탄성률도 상기 샘플이 우수한 착용감 및 내구성을 제공함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친수성 규소-함유 다작용성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가 우수한 습윤성, 우수한 산소 투과성 및 원하는 기계적 성질(예를 들어, 인장 탄성률 및 연신율)을 가진 하이드로겔 샘플을 제공함이 분명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하이드로겔은 ISO 10993-5에 따른 세포독성 시험도 통과하였다.
본 발명이 가장 실용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양태인 것으로 간주되는 실시양태와 관련하여 기술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양태로 한정되지 않고 모든 변형물 및 균등물을 포괄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는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양한 변형물 및 균등물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샘플의 실시양태의 제조에 사용되는 성형 장치를 보여주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샘플에 대한 샘플 구역 내의 세포를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겔 샘플에 대한 확산 구역 내의 세포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4는 양성 대조군 샘플에 대한 샘플 구역 내의 세포를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5는 양성 대조군 샘플에 대한 확산 구역 내의 세포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6은 음성 대조군 샘플에 대한 샘플 구역 내의 세포를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7은 음성 대조군 샘플에 대한 확산 구역 내의 세포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Claims (9)

  1. (a)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되는 테트라-알콕시실란 화합물; (b)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에틸렌계 불포화 유기실록산 단량체; 및 (c)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친수성 규소(silicon)-함유 다작용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제1 혼합물의 가수분해-축합에 의해 제조된 3-차원적 네트워크 구조를 가진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
    화학식 I
    Figure 112008088753980-pat00022
    화학식 2
    Figure 112008088753980-pat00023
    화학식 3
    Figure 112008088753980-pat00024
    상기 식에서,
    R11, R12, R13 및 R14는 독립적으로 C1-C8 알킬 기이고;
    R21, R22 및 R23은 독립적으로 C1-C6 알킬 기이며;
    R24는 C1-C6 알킬 기, 시아노 기 또는 수소이고;
    X는 C1-C4 알킬렌, 단일 결합,
    Figure 112008088753980-pat00025
    또는
    Figure 112008088753980-pat00026
    이며;
    Y는 C2-C4 알킬렌 기이고;
    Z1 및 Z2는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또는 C1-C4 알킬렌 기이며;
    R31, R32, R33, R34, R35 및 R36은 독립적으로 C1-C6 알킬 기이고;
    d는 3 내지 90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제1 혼합물 중의 친수성 규소-함유 다작용성 단량체 : 테트라-알콕시실란 : 에틸렌계 불포화 유기실록산 단량체의 몰비가 1 : 2 내지 22 : 2 내지 40인,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테트라-알콕시실란이 테트라에톡시실란인,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
  4. 제1항에 있어서,
    에틸렌계 불포화 유기실록산 단량체가 비닐 트라이메톡시실란인, 폴리실록산계 전 구중합체.
  5. (a) 제1항의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 (b)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아크릴화된 규소-함유 단량체; 및 (c) 에틸렌계 불포화 친수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제2 혼합물의 중합에 의해 제조된, 콘택트 렌즈의 제조에 사용되는 하이드로겔:
    화학식 4
    Figure 112011011945242-pat00027
    상기 식에서,
    D는 O, NH, S 또는 CH2이고;
    E는 O 또는 단일 결합이며;
    R60은 H, CH3, ph, (CH2)iCH3, CH(CH3)2, C(CH3)3 또는 Cph2CH3이고;
    R61, R62 및 R63은 독립적으로 H, CH3, (CH2)iCH3, CH(CH3)2, C(CH3)3, Cph2CH3, O[Si(CH3)2O]jSi(CH3)3 또는 OSiR66R67R68이며;
    이때, R66, R67 및 R68은 독립적으로 H, CH3 또는 (CH2)iCH3이고;
    R64 및 R65는 독립적으로 H, OH, CH3, ph, (CH2)iCH3, CH(CH3)2, C(CH3)3 또는 Cph2CH3이며;
    g는 0 내지 2의 정수이고;
    e는 0 내지 5의 정수이며;
    f는 0 내지 10의 정수이고;
    ph는 페닐이며;
    i 및 j는 독립적으로 1 내지 10의 정수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가 제2 혼합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3 내지 50 중량%의 양으로 존재하는, 하이드로겔.
  7. 제5항에 있어서,
    아크릴화된 규소-함유 단량체가 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트라이메틸실록시)메틸실릴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메틸다이실록산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메틸다이실록사닐 메틸메타크릴레이트, 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옥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 메트아크릴옥시에틸카바메이트, 트리스(트라이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 글리세롤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폴리다이메틸실록시)실릴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이드로겔.
  8. 제5항에 있어서,
    에틸렌계 불포화 친수성 단량체가 하이드록시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 산, N-비닐 피롤리돈, N,N'-다이메틸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에틸아크릴아마이드, N-아이소프로필아크릴아마이드, 2-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비닐 아세테이트, N-아크릴오일모르폴린, 2-다이메틸아미노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이드로겔.
  9. 제5항에 있어서,
    제2 혼합물이 하기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직쇄 실리콘(silicone)-함유 예비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화학식 6
    Figure 112008088753980-pat00028
    상기 식에서,
    na1/nb는 0 내지 1.5이고,
    na2/nb는 0 내지 1.5이며,
    nb는 4 내지 50의 정수이다.
KR1020080133231A 2007-12-28 2008-12-24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 및 하이드로겔 Expired - Fee Related KR1010849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6150791A TW200927792A (en) 2007-12-28 2007-12-28 Silicon-containing prepolymer and silicon containing hydrogel and contact lens made therefrom
TW096150791 2007-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004A KR20090073004A (ko) 2009-07-02
KR101084932B1 true KR101084932B1 (ko) 2011-11-17

Family

ID=40651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231A Expired - Fee Related KR101084932B1 (ko) 2007-12-28 2008-12-24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 및 하이드로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06563B2 (ko)
EP (1) EP2077292B1 (ko)
JP (1) JP4950168B2 (ko)
KR (1) KR101084932B1 (ko)
ES (1) ES2430690T3 (ko)
TW (1) TW20092779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49273A1 (en) 2009-03-31 2010-09-30 Scales Charles W Polymeric articles comprising oxygen permeability enhancing particles
SG173578A1 (en) * 2009-09-22 2011-09-29 Coopervision Int Holding Co Lp Wettable hydrogel materials for use in ophthalmic applications and methods
CN102115515B (zh) * 2010-01-05 2014-06-18 远东新世纪股份有限公司 增进硅酮水胶润湿性的共聚物、包含其的硅酮水胶组合物及由此制得的眼用物品
TWI421306B (zh) * 2011-02-21 2014-01-01 Far Eastern New Century Corp 具有高含水率之聚矽氧水膠
TWI444432B (zh) * 2011-04-08 2014-07-11 Rise technology co ltd 新穎矽水膠隱形眼鏡
TWI496838B (zh) * 2012-11-30 2015-08-21 Pegavision Corp 矽水膠組成物及以該組成物製備之矽水膠鏡片
TW201422685A (zh) * 2012-12-05 2014-06-16 Shi Yue Technology Co Ltd 反應性聚矽氧烷之製備與應用
US9486311B2 (en) 2013-02-14 2016-11-08 Shifamed Holdings, Llc Hydrophilic AIOL with bonding
US10195018B2 (en) 2013-03-21 2019-02-05 Shifamed Holdings, Ll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CA2907441C (en) 2013-03-21 2023-05-23 Shifamed Holdings, Llc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US9221939B2 (en) 2013-06-14 2015-12-29 Benq Materials Corporation Fluoro-containing ether monomer for fabricating contact lenses, contact lenses materials and contact lenses obtained therefrom
TWI612093B (zh) 2014-08-15 2018-01-21 望隼科技股份有限公司 含矽水膠隱形眼鏡及含矽水膠之製法
JP6267832B2 (ja) 2014-08-26 2018-01-24 シファメド・ホールディングス・エルエルシー 調節式眼内レンズ
US11141263B2 (en) 2015-11-18 2021-10-12 Shifamed Holdings, Llc Multi-piece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
KR101841016B1 (ko) * 2016-02-18 2018-03-22 주식회사 인터로조 실록산 단량체, 이를 포함하는 실리콘하이드로겔 렌즈 제조용 조성물 및 실리콘하이드로겔 렌즈
US10350056B2 (en) 2016-12-23 2019-07-16 Shifamed Holdings, Llc Multi-piece accommodating intraocular lense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same
JP6954679B2 (ja) 2016-12-23 2021-10-27 シファメド・ホールディングス・エルエルシー マルチピース調節式眼内レンズ、及び同を作成し、使用するための方法
EP3634308A4 (en) 2017-05-30 2021-02-24 Shifamed Holdings, LLC SURFACE TREATMENTS FOR ACCEPTING INTRAOCULAR LENSES AND RELATED PROCEDURES AND DEVICES
CA3066081A1 (en) 2017-06-07 2018-12-13 Shifamed Holdings, Llc Adjustable optical power intraocular lenses
JP2024103000A (ja) * 2023-01-20 2024-08-01 デクセリアルズ株式会社 共重合体、親水撥油組成物、親水撥油膜、親水撥油積層体、及び物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7632A (en) 1992-05-15 1995-02-07 Bausch & Lomb Incorporated Surface wettable silicone hydrogels
US20020128414A1 (en) 2000-12-19 2002-09-12 James Bonafini A. Polymeric biomaterials containing silsesquixane monomers
US20040046932A1 (en) 2000-04-18 2004-03-11 Ocular Sciences, Inc. Ophthalmic lenses an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90976A (fr) * 1971-11-06 1973-05-07 Bayer Ag Derives silyles de l'uree et leur preparation
JPS57164123A (en) * 1981-04-02 1982-10-08 Toshiba Silicone Co Ltd Production of silicon-containing polyoxyalkylene
US5902847A (en) * 1995-07-31 1999-05-11 Kansai Paint Co., Ltd. Coating composition
AU713509B2 (en) 1995-12-07 1999-12-02 Bausch & Lomb Incorporated Monomeric units useful for reducing the modulus of silicone hydrogels
KR100212534B1 (ko) * 1997-08-12 1999-08-02 이서봉 졸-겔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분자 이온 전도막
JPH11255889A (ja) * 1998-03-13 1999-09-21 Ge Toshiba Silicone Kk ポリオキシアルキレン鎖を有する球状粉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602964B2 (en) * 1998-04-17 2003-08-05 Crompton Corporation Reactive diluent in moisture curable system
US6451420B1 (en) * 2000-03-17 2002-09-17 Nanofilm, Ltd. Organic-inorganic hybrid polymer and method of making same
DE10237270A1 (de) * 2002-08-14 2004-03-04 Consortium für elektrochemische Industrie GmbH Silanvernetzbare Beschichtungsformulierungen
DE10339912B4 (de) * 2003-08-29 2016-07-21 Ivoclar Vivadent Ag Dentale Beschichtungsmaterialien, deren Verwendung sowie Verfahren zur Beschichtung einer Substratoberfläche
US7345130B2 (en) * 2005-10-25 2008-03-18 Dow Global Technologies Inc. Silane functional prepolymer and isocyanate functional prepolymer blend based adhesive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87632A (en) 1992-05-15 1995-02-07 Bausch & Lomb Incorporated Surface wettable silicone hydrogels
US20040046932A1 (en) 2000-04-18 2004-03-11 Ocular Sciences, Inc. Ophthalmic lenses an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producing same
US20020128414A1 (en) 2000-12-19 2002-09-12 James Bonafini A. Polymeric biomaterials containing silsesquixane monom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27792A (en) 2009-07-01
EP2077292A1 (en) 2009-07-08
EP2077292B1 (en) 2013-08-14
US20090170976A1 (en) 2009-07-02
JP2009215533A (ja) 2009-09-24
TWI363069B (ko) 2012-05-01
KR20090073004A (ko) 2009-07-02
ES2430690T3 (es) 2013-11-21
JP4950168B2 (ja) 2012-06-13
US7906563B2 (en) 201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932B1 (ko) 폴리실록산계 전구중합체 및 하이드로겔
US5358995A (en) Surface wettable silicone hydrogels
US8129442B2 (en) Hydrophilic polysiloxane macromonomer, and production and use of the same
KR101617831B1 (ko) 친수성 실리콘 단량체, 그 제조 방법 및 그것을 함유하는 박막
US5336797A (en) Siloxane macromonomers
US7960447B2 (en) Cationic end-capped siloxane prepolymer for reduced cross-link density
JP5074205B2 (ja) 生物医学的装置用ポリシロキサンプレポリマー
KR20020016922A (ko) 콘택트 렌즈 재료
KR101771564B1 (ko) 가수분해 저항성 카보실록산 연쇄를 포함하는 실론산 모노머,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콘텍트 렌즈용 박막
KR20070089722A (ko) 생체의료 장치용 하이드로겔 공중합체
EP1706438B1 (en) Novel prepolymers for improved surface modification of contact lenses
US10101499B2 (en) Hydrophilic macromers and hydrogels comprising the same
US7084188B2 (en) Surface modification of contact lenses
CN113544176A (zh) 隐形眼镜用单体组合物、隐形眼镜用聚合物及其制备方法、以及隐形眼镜及其制造方法
US20080097002A1 (en) Novel prepolymers for improved surface modification of contact lenses
CN101469068B (zh) 含硅预聚物及使用其制得的含硅水胶与隐形眼镜
WO2015092859A1 (ja) 眼用レンズ
US8101698B2 (en) Surface active prepolymers with both fluorine-containing groups and hydrophilic groups
MXPA06006230A (en) Novel prepolymers for improved surface modification of contact lenses
WO2009005954A2 (en) Novel polymerizable surface active monomers with both fluorine-containing groups and hydrophilic groups
HK1160414B (en) Hydrophilic silicone monomer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in films contain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9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0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1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