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4859B1 - touch screen - Google Patents
touch scree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84859B1 KR101084859B1 KR1020100026797A KR20100026797A KR101084859B1 KR 101084859 B1 KR101084859 B1 KR 101084859B1 KR 1020100026797 A KR1020100026797 A KR 1020100026797A KR 20100026797 A KR20100026797 A KR 20100026797A KR 101084859 B1 KR101084859 B1 KR 1010848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parent substrate
- transparent
- piezoelectric
- conductive film
- touch scree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2981 polyvinylidene fluor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033 PVDF bin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451 lead zirconate tita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089 Cyclic olefin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40 conductive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HFGPZNIAWCZYJU-UHFFFAOYSA-N lead zirconate titanate Chemical compound [O-2].[O-2].[O-2].[O-2].[O-2].[Ti+4].[Zr+4].[Pb+2] HFGPZNIAWCZYJ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229 poly(methyl 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467 poly(styrenesulfonates)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39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020 polyethylene tere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26 polymethyl methacry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GKWLILHTTGWKLQ-UHFFFAOYSA-N 2,3-dihydrothieno[3,4-b][1,4]dioxine Chemical compound O1CCOC2=CSC=C21 GKWLILHTTGWKL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09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523 barium zirc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DQBAOWPVHRWLJC-UHFFFAOYSA-N barium(2+);dioxido(oxo)zirconium Chemical compound [Ba+2].[O-][Zr]([O-])=O DQBAOWPVHRWL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1 depo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46 gravure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AMGQUBHHOARCQH-UHFFFAOYSA-N indium;oxotin Chemical compound [In].[Sn]=O AMGQUBHHOARCQ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41 inkjet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45 offset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287 pola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767 polyanil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12 polyethylene naphtha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796 polystyrene sulfo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970 polystyrene sulf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9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3 quartz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341 toughened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일면에 투명도전막이 형성된 두 장의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에 형성되되 상기 투명도전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상기 투명도전막 및 상기 전극이 형성된 상기 투명기판 간 형성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의 내부에 형성되되 사용자에게 진동을 제공하는 압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투명기판 간 접착층의 내부에 압전체를 설치하여 휴대장치의 박형화 및 소형화를 구현하고, 사용자가 느끼는 터치감을 향상시키는 터치스크린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creen, wherein two transparent substrates having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 electrode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formed between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on which the electrode is formed. And a piezoelectric body formed inside the adhesive layer and providing vibration to the user. The piezoelectric body is installed inside the adhesive layer between the transparent substrates to realize thinner and smaller portable devices, and a user feels a touch. It provides a touch screen that enhances the feel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screen.
전자기술이 계속 발전함에 따라, 키보드, 마우스, 디지타이저(Digitizer) 등의 다양한 입력 장치(Input Device)를 이용하여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전송장치 등은 텍스트 및 그래픽 처리 등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입력 장치들은 개인용 컴퓨터의 용도 확대에 따라 개발된 것으로서 최근의 소형화, 박형화 추세에 있는 휴대용 기기에 적용되기에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기기에 적합한 입력 수단으로 터치스크린이 대두되고 있다.As electronic technology continues to develop, personal computers, portable transmission devices, and the like perform text and graphic processing using various input devices such as a keyboard, a mouse, and a digitizer. However, these input devices have been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expansion of the use of personal computers,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y are applied to portable devices which are recently miniaturized and thinned. Accordingly, a touch screen is emerging as an input means suitable for a portable device.
터치스크린은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는데 이용되는 장치로서,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전기자기장 방식(Electro-Magnetic Type), 소오 방식(Saw Type), 및 인프라데드 방식(Infrared Type)으로 구분된다.A touch screen is generally installed in a display device and used to select information desired by a user. The touch screen is a resistive type, a capacitive type, an electro-magnetic type, or a method. (Saw Type) and Infrared Type.
터치스크린은 간단하면서도 오조작이 적고 공간 절약이 가능하며, IT 기기와의 연동성이 용이한 점 등 다양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장점으로 인해 산업, 교통, 서비스, 의료, 모바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Touch screen has various advantages such as simple, less misoperation, space saving, and easy interoperability with IT devices. Because of these advantages, they are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industry, transportation, service, medical care, and mobile.
한편, 터치스크린의 발전과 함께, 사용자에게 주는 터치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햅틱 피드백(Haptic Feedback)을 제공하는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햅틱 피드백은 회전자의 무게 중심을 일방향으로 편심되게 구성하여 회전시 회전 불균형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는 ERM(Eccentric Rotating Mass) 모터 또는 전자기 모터에 의해 터치스크린에 진동을 발생시키고 이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구현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ouch screen, research is being actively conducted on devices that provide haptic feedback to improve the user's sense of touch. In general, the haptic feedback generates the vibration in the touch screen by an ERM (Eccentric Rotating Mass) motor or an electromagnetic motor, in which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rotor is eccentrically formed in one direction and the vibration is generated by rotational imbalance during rotation. Implemented in a way that is passed to.
또한, 최근에는 모터를 이용하는 방법 외에 햅틱 피드백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압전 현상을 이용하는 압전 액추에이터(Piezo Actuator)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압전 액추에이터란 압전체의 압전현상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액추에이터를 의미한다. 수정이나 로셀염 등의 결정에 압력을 가하면 전압이 발생하는데, 이를 압전 직접효과라 한다. 이와 반대로 전압을 인가하면 결정체가 변형을 일으키는 현상을 압전 역효과라 한다. 이러한 압전 역효과를 이용하여 압전 액추에이터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고, 종래의 모터에 비해서 큰 토크, 작은 사이즈, 작은 구동 전력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n recent years, a piezoelectric actuator (Piezo Actuator) using a piezoelectric phenomenon in order to generate haptic feedback in addition to the method using a motor has been in progress. A piezoelectric actuator means an actuator which drives using the piezoelectric phenomenon of a piezoelectric body. When pressure is applied to crystals such as quartz or rosell salt, voltage is generated, which is called the piezoelectric direct effect. On the contrary, a phenomenon in which crystals deform when a voltage is applied is called a piezoelectric adverse effect. By using such a piezoelectric adverse effect, the piezoelectric actuator can generate vibrations, and can operate with a large torque, a small size, and a small driving power, compared to a conventional moto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터치스크린 모듈(10)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고하여, 종래의 압전 액추에이터를 구비한 터치스크린 모듈(10)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전 액추에이터(40)는 터치스크린(20)과 디스플레이(30) 간에 형성된다. 이때, 압전 액추에이터(40)를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플레이트(미도시)를 형성하거나, 접착층(미도시)을 이용한다.
As shown in FIG. 1, the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터치스크린 모듈(10)은 압전 액추에이터(40)가 형성되는 공간을 휴대장치에 별도로 만들어야 했으며, 이에 따라, 휴대장치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또한, 사용자가 터치하는 지점인 터치스크린(20)의 상면과 압전 액추에이터(40) 간의 거리가 멀어 사용자에게 터치감이 충분하게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전 액추에이터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휴대장치의 박형화와 소형화를 구현하는 터치스크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screen that realizes thinning and miniaturization of a portable device by minimizing an installation space of a piezoelectric actuator.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전 액추에이터를 사용자가 터치하는 지점에 가깝게 설치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터치감을 향상시키는 터치스크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ouch screen to install a piezoelectric actuator close to the point where the user touches, to improve the touch feeling the user feel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은, 일면에 투명도전막이 형성된 두 장의 투명기판, 상기 투명기판에 형성되되 상기 투명도전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상기 투명도전막 및 상기 전극이 형성된 상기 투명기판 간 형성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의 내부에 형성되되 사용자에게 진동을 제공하는 압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uch screen includes two transparent substrates having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formed on one surface thereof, an electrode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having the electrode formed there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dhesive layer formed between the liver, and a piezoelectric body formed inside the adhesive layer to provide vibration to the user.
여기서, 상기 접착층은 상기 투명기판의 외측 간에 형성되는 양면 접착 테이프이고, 상기 투명기판의 내측 간에는 절연성의 스페이서가 형성되는 저항막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adhesive layer is a double-sided adhesive tape formed between the outsid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ulating film type is formed between the insulating spacer between the insid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또한, 상기 접착층은 상기 투명기판의 전면 간에 형성되는 광학 투명 접착제이고, 상기 압전체는 상기 접착층 내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정전용량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is an optical transparent adhesive formed between the entire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the piezoelectric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acitive typ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adhesive layer.
또한, 상기 압전체는 상기 투명기판 외측의 네 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iezoelectric body may be formed on four sides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또한, 상기 압전체는 상기 투명기판 외측의 대향하는 두 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iezoelectric body is formed on two opposite sides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또한, 상기 압전체는 상기 투명기판 외측의 네 꼭지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iezoelectric body is formed at four vertices of the outer sid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또한, 상기 압전체는 상기 투명기판 외측의 대각선 방향의 두 꼭지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iezoelectric body may be formed at two vertices in a diagonal direction outside the transparent substrate.
또한, 상기 압전체는, 압전층, 및 상기 압전층의 양면에 형성되고 상기 압전층에 전압을 전달하는 전극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iezoelectric body may include a piezoelectric layer and electrode layers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piezoelectric layer and transferring voltage to the piezoelectric layer.
또한, 상기 압전층은 PZT, PLZT, BZT-BCT, 또는 PVDF로 구성되고, 상기 전극층은 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iezoelectric layer is composed of PZT, PLZT, BZT-BCT, or PVDF, the electrode layer is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silver.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in a conventional and dictionary sense,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은, 투명기판 간에 압전체를 설치하여, 별도의 압전체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는바, 휴대장치의 박형화 및 소형화를 구현하는 장점이 있다.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stalling a piezoelectric material between the transparent substrate, does not require a separate piezoelectric installation space, there is an advantage to implement a thinner and smaller size portable devic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터치하는 지점인 제1 투명기판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압전체가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느끼는 터치감 및 조작감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ezoelectric body is install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first transparent substrate, which is a point touched by the user, thereby improving the touch feeling and the operation feeling felt by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투명기판 외측의 대향되는 변 또는 꼭지점에 압전체를 설치하여 사용자에게 입체적인 터치감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of providing a three-dimensional touch to the user by installing a piezoelectric member on opposite sides or vertices of the outer sid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압전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터치스크린 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에 도시한 터치스크린에 형성되는 압전체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의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uch screen module having a piezoelectric actu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to 3D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n arrangement of piezoelectric elements formed on the touch screen shown in FIG.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ouch screen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s, particular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have the same number as possible. In additio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First 실시예Example - - 저항막Resistance film 방식의 터치스크린 Touch screen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00a)의 단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에 도시한 터치스크린(100a)에 형성되는 압전체(150)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00a)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스크린(100a)이 저항막 방식인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다른 터치스크린(100a)는 투명기판(110), 투명도전막(120), 전극(140), 접착층(130a), 및 압전체(15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2, the
투명기판(110)은 제1 투명기판(111)과 제2 투명기판(112)의 두 장으로 구성된다.The
여기서, 제1 투명기판(111)은 사용자의 신체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의 특정 물체로부터 압력을 입력받는 부재로서 일면에 제1 투명도전막(121)이 형성된다. 제1 투명기판(111)은 입력을 인가받아 휘어지는 곳이므로, 입력이 해제되면 다시 원위치가 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갖는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투명기판(111)은 투명하고 탄성이 있는 물질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테르술폰(PES) 또는 고리형 올레핀 고분자(COC)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유리(Glass) 또는 강화유리를 활용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투명기판(111)의 상부에는 별도의 윈도우판(미도시)이 형성되어 터치스크린(100a)을 보호할 수 있다.Here, the first
제2 투명기판(112)은 터치스크린(100a)의 최하부에 위치되는 부재로서 일면에 제2 투명도전막(122)이 형성된다. 제2 투명기판(112)은 제1 투명기판(111)과 동일하게 투명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 투명기판(112)의 타면에는 예를 들어,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EL(Electroluminescense) 등의 디스플레이(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투명기판(112)과 디스플레이(미도시)는 예를 들어, 양면 접착 테이프(DAT) 또는 광학 투명 접착제(OCA)로써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한편, 투명기판(110)에는 투명도전막(120)이 각각 형성되는바, 투명도전막(120)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고주파 처리 또는 프라이머(Primer) 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투명도전막(120)은 투명기판(110)에 형성되어 제1 투명기판(111)으로부터 입력받은 신호를 인지하는 부재이다.The transparent
여기서, 투명도전막(120)은 제1 투명도전막(121)과 제2 투명도전막(122)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투명도전막(121)은 제1 투명기판(111), 제2 투명도전막(122)은 제2 투명기판(112) 상에, 상호 대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투명도전막(121)은 투명기판(110)에 가해진 압력에 의해 제2 투명도전막(122)과 접촉하여 전압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를 기초로 제어부(미도시)에서 눌림 좌표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제어부(미도시)는 눌림 위치의 좌표를 인식하여 원하는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Here, the transparent
또한, 제1 투명도전막(121)과 제2 투명도전막(122)은 X축 좌표와 Y축 좌표를 각각 인식할 수 있도록 서로 직교하는 막대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마름모형, 육각형, 팔각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ransparent
한편, 투명도전막(120)은 하부의 디스플레이를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투명한 물질로 구성되고, 도전성이 있는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투명도전막(120)은 인듐-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등의 금속 산화물, 또는 폴리-3, 4-에틸렌디옥시티오펜/폴리스티렌술포네이트(PEDOT/PSS), 폴리 아닐린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한 전도성 고분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투명도전막(120)이 금속 산화물로 구성된 경우 증착, 현상, 에칭 등을 통해 투명기판(110)에 코팅할 수 있고, 전도성 고분자로 구성된 경우 실크스크린 인쇄법, 잉크젯 인쇄법, 그라비아 인쇄법, 오프셋 인쇄법 등을 통하여 투명기판(110)에 형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transparent
접착층(130a)은 투명도전막(120)이 형성된 투명기판(110) 간 외측에 형성되고, 스페이서(132)는 투명기판(110) 간 내측에 형성되는 부재이다.The
여기서, 접착층(130a)은 예를 들어, 양면 접착 테이프(DAT)로 구성되어 제1 투명기판(111)과 제2 투명기판(112)을 상호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층(130a)은 외부 압력에 의해 제1 투명도전막(121)과 제2 투명도전막(122)이 접촉될 수 있도록 투명기판(110)의 외측 간에 형성되므로, 내측에는 개구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이 경우, 투명기판(110)의 내측 간에는 스페이서(132)가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132)는 도트 스페이서(Dot Spacer)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투명도전막(121)과 제2 투명도전막(122)이 접촉할 때의 충격을 완화하고, 압력이 해제되면 제1 투명기판(111)이 원위치될 수 있도록 반발력을 제공한다. 또한, 외부 압력이 없는데 제1 투명도전막(121)과 제2 투명도전막(122)이 접촉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평소에는 투명도전막(120) 간 절연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In this case, a
전극(140)은 투명도전막(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투명도전막(120)에 전압을 공급하는 부재이다.The
여기서, 전극(140)은 투명도전막(120)에 전압을 공급하고, 투명도전막(120)이 인지한 전압 변화를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할 수 있도록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전극(140)은 은 페이스트(Ag Paste) 또는 유기은으로 조성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극(140)은 투명기판(110)의 외측에 형성되는 바, 반드시 투명한 물질로 구성될 필요는 없다.
Here, the
압전체(150)는 접착층(130a)의 내부에 형성되는 부재로서, 사용자에게 진동감을 부여하는 부재이다.The
여기서, 압전체(150)는 압전층(151)과 압전층(151)의 양면에 형성된 전극층(15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압전층(151)은 예를 들어, PZT(Lead Zirconate Titanate; 티탄지르콘산연), PLZT(Lanthanum-doped Lead Zirconate Titanate), BZT-BCT(Barium Zirconate Titanate-Barium Calcium Titanate), 또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등의 압전 물질로 구성될 수 있고, 전극층(152)은 예를 들어, 은(Ag)과 같은 전기전도성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또한, 전극층(152)은 전압을 외부로부터 인가받아 이를 압전층(151)에 전달한다. 이때, 압전층(151)은 전압을 인가받아 분극(Polling) 현상에 의해 수직 또는 수평으로 신축하여 진동을 발생하고, 이러한 진동은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한 층의 압전층(151)으로 구성된 압전체(150)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진동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압전층(151)을 다층으로 구성하고, 다수의 압전층(151)간 내부 전극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한편, 압전체(150)는 투명기판(110) 외측 간에 형성된 접착층(130a)의 내부에 형성된다. 접착층(130a)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100㎛의 내외이므로, 압전체(150)는 100㎛ 이하의 박막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압전체(150)가 투명기판(110) 간 접착층(130a)의 내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기존의 공간에 압전체(150)를 수용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터치스크린 모듈을 더욱 얇고 작게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자가 입력하는 부분인 제1 투명기판(111)과 가까운 곳에 압전체(150)가 설치되기 때문에, 터치감 또는 조작감이 향상될 수 있다.
Since the
한편,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전체(150)는 투명기판(110) 외측 간 다양한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3A to 3D, the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전체(150)는 투명기판(110) 외측 간 네 변 모두에 형성되거나,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하는 두 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전체(150)는 투명기판(110) 외측 간 네 꼭지점 모두에 형성되거나,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하는 두 꼭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압전체(150)가 네 변 또는 네 꼭지점 모두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다양한 방향에서 진동을 사용자에게 인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입체적인 햅틱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3A, the
또한, 사용자가 터치한 지점에 가까운 방향에 있는 압전체(150)가 진동할 수 있도록 제어부(미도시)를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위치감을 부여할 수 있다.
In addition, a control unit (not shown) may be configured to give the user a sense of position so that the
제2 2nd 실시예Example -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 -Capacitive touch scree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00b)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100b)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스크린(100b)이 정전용량 방식인 경우를 설명하도록 한다.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다른 터치스크린(100b)은 투명기판(110), 투명도전막(120), 전극(140), 접착층(130b), 및 압전체(150)를 포함한다. 투명기판(110), 및 전극(140)의 내용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 생략하도록 하겠다.
As shown in FIG. 4, the
투명도전막(120)은 제1 투명도전막(121)과 제2 투명도전막(122)으로 구성되며, 각각 제1 투명기판(111)과 제2 투명기판(112)에 형성된다.The transparent
여기서, 본 실시예의 터치스크린(100b)은 정전용량 방식인바, 제1 투명도전막(121)과 제2 투명도전막(122)은 신체 등이 접촉하면 정전용량 값의 변화를 감지하여 이를 제어부(미도시)에 전달하고,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값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눌림 위치의 좌표를 인식할 수 있다.
Here, the
접착층(130b)은 제1 투명기판(111)과 제2 투명기판(112)을 접착시키는 부재이다.The
여기서, 접착층(130b)은 투명기판(110) 간 전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투명도전막(121)과 제2 투명도전막(122)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접착층(130b)은 투명기판(110)의 전면에 형성되는바, 디스플레이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해야 하고, 이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예를 들어, 광학 투명 접착제(OCA; Optical Clear Adhesive)로 구성될 수 있다. Here, the
한편, 접착층(130b)이 투명기판(110)의 전면에 형성되므로,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별도의 스페이서는 필요치 않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압전체(150)는 접착층(130b)의 내부 영역 중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The
여기서, 접착층(130b)의 내측 부분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보기 위한 부분으로서 투명하여야 하므로, 압전체(150)는 접착층(130b)의 내부 중 외측 부분에 형성된다. 한편,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압전체(150)가 사용자의 터치 지점과 가까운 영역에 형성되어 조작감이 향상되고, 압전체(150)를 다수 구성하여 사용자에게 입체적인 터치감을 제공할 수 있다.
Here, since the inner portion of th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mbodiments, this is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touch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ar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hat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are possible by the person.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All simpl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pecific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appended claims.
110 : 투명기판 111 : 제1 투명기판
112 : 제2 투명기판 120 : 투명도전막
121 : 제1 투명도전막 122 : 제2 투명도전막
130a, 130b : 접착층 131 : 개구부
132 : 스페이서 140 : 전극
150 : 압전체 151 : 압전층
152 : 전극층110: transparent substrate 111: first transparent substrate
112: second transparent substrate 120: transparent conductive film
121: first transparent conductive film 122: second transparent conductive film
130a, 130b: adhesive layer 131: opening
132
150: piezoelectric 151: piezoelectric layer
152: electrode layer
Claims (9)
상기 투명기판에 형성되되 상기 투명도전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상기 투명도전막 및 상기 전극이 형성된 상기 투명기판 간 형성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의 내부에 형성되되 사용자에게 진동을 제공하는 압전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투명기판의 외측 간에 형성되는 양면 접착 테이프이고, 상기 투명기판의 내측 간에는 절연성의 스페이서가 형성되는 저항막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Two transparent substrates on one surface of which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recognizing an input signal;
An electrode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 adhesive layer formed between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on which the electrode is formed; And
A piezoelectric body formed inside the adhesive layer to provide vibration to a user;
Including,
The adhesive layer is a double-sided adhesive tape formed between the outer sid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the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istive type of the insulating spacer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상기 투명기판에 형성되되 상기 투명도전막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
상기 투명도전막 및 상기 전극이 형성된 상기 투명기판 간 형성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의 내부에 형성되되 사용자에게 진동을 제공하는 압전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투명기판의 전면 간에 형성되는 광학 투명 접착제이고, 상기 압전체는 상기 접착층 내부의 외측에 형성되는 정전용량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Two transparent substrates on one surface of which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recognizing an input signal;
An electrode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 adhesive layer formed between the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the transparent substrate on which the electrode is formed; And
A piezoelectric body formed inside the adhesive layer to provide vibration to a user;
Including,
The adhesive layer is an optical transparent adhesive formed between the front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the piezoelectric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acitive typ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inside of the adhesive layer.
상기 압전체는 상기 투명기판 외측의 네 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And the piezoelectric body is formed on four sides of the outer sid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상기 압전체는 상기 투명기판 외측의 대향하는 두 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And the piezoelectric body is formed on two opposite sides of the outer sid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상기 압전체는 상기 투명기판 외측의 네 꼭지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And the piezoelectric body is formed at four vertices of the outer sid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상기 압전체는 상기 투명기판 외측의 대각선 방향의 두 꼭지점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And the piezoelectric body is formed at two vertices of a diagonal direction outside the transparent substrate.
상기 압전체는,
압전층; 및
상기 압전층의 양면에 형성되고 상기 압전층에 전압을 전달하는 전극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The piezoelectric body,
Piezoelectric layer; And
Electrode layers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piezoelectric layer and transferring voltage to the piezoelectric layer;
Touch screen comprising a.
상기 압전층은 PZT, PLZT, BZT-BCT, 또는 PVDF로 구성되고, 상기 전극층은 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The piezoelectric layer is PZT, PLZT, BZT-BCT, or PVDF, the electrode layer is a touch screen, characterized in that composed of silv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6797A KR101084859B1 (en) | 2010-03-25 | 2010-03-25 | touch scree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26797A KR101084859B1 (en) | 2010-03-25 | 2010-03-25 | touch scree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7588A KR20110107588A (en) | 2011-10-04 |
KR101084859B1 true KR101084859B1 (en) | 2011-11-21 |
Family
ID=45025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26797A Active KR101084859B1 (en) | 2010-03-25 | 2010-03-25 | touch scree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8485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7641B1 (en) * | 2013-05-31 | 2020-02-1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Touch Display Device Including cover windows integrated Haptic Actuator |
KR101920013B1 (en) * | 2015-12-04 | 2018-11-19 | 주식회사 모다이노칩 | Touch screen apparatus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86990A (en) | 2005-09-21 | 2007-04-05 | Smk Corp | Touch panel |
-
2010
- 2010-03-25 KR KR1020100026797A patent/KR10108485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086990A (en) | 2005-09-21 | 2007-04-05 | Smk Corp | Touch pane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7588A (en) | 2011-10-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997248B (en) |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CN104750304B (en) | Touch panel | |
KR101055510B1 (en) | Touch panel | |
CN106990862A (en) | Contact-sensing device including its display device and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 |
KR101119355B1 (en) | Touch panel | |
US20150102947A1 (en) | Film-type haptic device, haptic feedback electronic device and haptic keyboard | |
KR20140047936A (en) | Tou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KR101140949B1 (en) | Touch screen | |
US20150116231A1 (en) | Haptic touch module | |
US11256348B2 (en) |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
KR20110133840A (en) | Touch panel | |
KR20110108703A (en) | touch screen | |
KR20110121662A (en) |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 |
US20120062504A1 (en) | Touch scree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110108707A (en) | touch screen | |
KR101109312B1 (en) | Touch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 |
JP2015018532A (en) | Touch sensor | |
JP2012064189A (en) | Resistive film type touch screen | |
CN102346610A (en) | Capacitive touch panel | |
KR101084859B1 (en) | touch screen | |
US20110080368A1 (en) | Input device of touch scree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2012064211A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electrostatic capacitive touch screen | |
JP2012038288A (en) | Touch screen device | |
US10928962B2 (en) | Electronic device and touch sensing module of electronic device | |
KR101055524B1 (en) | touch scree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5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