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3728B1 - Bite Friction Cleaner - Google Patents
Bite Friction Clean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83728B1 KR101083728B1 KR1020080094430A KR20080094430A KR101083728B1 KR 101083728 B1 KR101083728 B1 KR 101083728B1 KR 1020080094430 A KR1020080094430 A KR 1020080094430A KR 20080094430 A KR20080094430 A KR 20080094430A KR 101083728 B1 KR101083728 B1 KR 1010837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p
- roller
- frame
- lever
- bel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46 bilat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7 han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Wire frames
- A47L13/253—Wire frames of adjustable or foldable type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상부에는 롤러(100)가 횡으로 설치되고, 하부에는 걸레 접촉판(200)이 횡으로 설치되는 프레임(300); 및 한쪽은 상기 롤러(100)에, 다른 쪽은 상기 걸레 접촉판(200)에 걸려 무한궤도를 이루는 벨트형 걸레(400)를 포함하는 청소 도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청소 도구는 걸레의 일부분만을 효율적으로 사용한 후 연속적으로 바닥 접촉 부분을 바꿈으로써 걸레의 전면(全面)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가구 등의 배치에 따른 좁은 틈의 바닥도 손쉽게 닦아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 도구는 롤러(100)를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어 벨트형 걸레(400)의 바닥 접촉 부분을신속히바꿀 수 있고, 걸레(400)의 전면(全面)을 모두 사용한 후 걸레(400)의 교체가 간편하다.
물걸레, 회전
A frame 300 having a roller 100 horizontally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mop contact plate 200 horizontally dispos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belt-type mop 400 which has one end in the roller 100 and the other end by the mop contact plate 200 to form an endless track.
Clean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utilize the entire surface of the mop by using only a portion of the mop efficiently after changing the bottom contact portion, and can also easily wipe the bottom of the narrow gap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furniture, etc. Can be.
In addition, the clean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otate the roller 100, so that the bottom contact portion of the belt-type mop 400 can be changed quickly, and after using the entire surface of the mop 400, the mop ( 400) easy to replace.
Mop, turn
Description
본 발명은 젖은 걸레를 이용한 청소 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eaning tool using a wet mop.
사용자가 엎드리지 않고 선 채로 걸레질할 수 있는 도구는 많이 알려져 있으나, 가구 등의 배치에 따른 좁은 틈 사이의 바닥을 닦아내기는 불가능 하며, 바닥 접촉부분을 신속히 바꿀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ere are many known tools that can mop a user without standing down, but it is impossible to wipe the floor between narrow gaps due to the arrangement of furniture, etc.,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loor contact part cannot be changed quickly.
본 발명의 목적은 걸레의 일부분만을 효율적으로 사용한 후 연속적으로 바닥 접촉 부분을 바꿈으로써 걸레의 전면(全面)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가구 등의 배치에 따른 좁은 틈의 바닥도 손쉽게 닦아낼 수 있는 청소 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ffectively use the entire surface of the mop by changing the bottom contact portion continuously after using only a part of the mop efficiently, and can easily wipe the bottom of the narrow gap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furniture, etc. To provide cleaning tool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롤러(100)를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어 벨트형 걸레(400)의 바닥 접촉 부분을 신속히 바꿀수 있고, 걸레(400)의 전면(全面)을 모두 사용한 후 걸레(400)의 교체가 간편한 청소 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otate th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상부에는 롤러(100)가 횡으로 설치되고, 하부에는 걸레 접촉판(200)이 횡으로 설치되는 프레임(300); 및A
한쪽은 상기 롤러(100)에, 다른 쪽은 상기 걸레 접촉판(200)에 걸려 무한궤도를 이루는 벨트형 걸레(400)를 포함하는 청소 도구가 제공된다.One side is provided with a cleaning tool including a belt-
상기 걸레 접촉판(200)의 양단에는 각각 높이 조절용 다리(210)가 상측 방향으로 연결되고,Both ends of the
상기 높이 조절용 다리(210)는 상기 프레임(300)의 하단 좌우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300)에 설치되며,The
상기 프레임(300)에는 U형 스프링(320)이 상기 높이 조절용 다리(210)의 삽입 시 변형되어 복원력을 갖도록 설치 되여 있다.U-shaped
상기 걸레 접촉판(200)은 양면에 스펀지(220)(sponge)가 형성되고, 상기 높이 조절용 다리(21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높이 조절용 다리(210)와 연결 되어 있다.Sponge 220 (spong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상기 롤러(100)는 상기 프레임(300) 내에서 일정 구간 상하 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The
상기 프레임(300)에는 상기 롤러(100)의 상향 이동에 따른 상기 롤러(1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수단 을 형성 하였다.The
상기 롤러(100)는 양단 중앙에 돌출된 축(110) 이 형성되고,The
상기 프레임(300)에는 상기돌출된 축(110)이 삽입되어상하 운동할 수 있는 롤러 가이드 홈(330)이 형성되며,The protruding
상기 프레임(300)의 중앙에는 길쭉한 중앙 회전편(340)이 그 중심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고,An elongated central rotating
상기 프레임(300)의 좌우에는 각각 V 형상 회전편(350)이 그 꼭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일단은 상기 롤러(100)의 일 단부와 측부 지지대(360)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중앙 회전편(340)의 일 단부와 중앙 지지대(370)로 연결되며,V-shaped rotating
상기 프레임(300)에는 일단이 상기 중앙 회전편(340)의 중심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300)의 측면 모서리까지 연장되는 레버(380)가 설치되고,One end of the
상기 프레임(300)의 측면 모서리에는 상기 레버(380)의 단부가 삽입되어 일정 구간 운동할 수 있는 레버 가이드 홈(390)이 형성되며,At the side edge of the
상기 레버 가이드 홈(390)의 하단에는 상기 레버(380)의 하향 이동에 따른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걸림 돌기 를 형성 하여 놓아야 한다.The lower end of the
벨트형 걸레(400)의 이송 방법은 고정되여 회전 할수 있는 장축(530)의 일측 단 에는 누름 판(520)을. 타단 에는 압송 레버(540)를 각각 고착 시키고. 압송 레버(540)의 단부 와 직선 래치 기어(510)의 일측에 축(500)으로 결합 시키고. 상기 롤러(100)의 일측 단 에 원형 래치 기어(550)를 부착 시켰으므로, 누름 판(520)을 누르면 직선 래치 기어(510)가 원형 래치 기어(550)와 교합을 하면서 진행을 하게 되므로 롤러(100)는 회전을 하므로 여기에 걸쳐 저 있는 벨트형 걸레(400)가 이송이 되는 것이다. (도 6참조)The conveying method of the belt-
본 발명에 따른 청소 도구는 걸레의 일부분 만을 효율 적으로 사용한후 연속적으로 바닥 접촉 부분을 바꿈으로써 걸레의 전면(全面)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가구 등의 배치에 따른 좁은 틈의 바닥도 손쉽게 닦아낼 수 있다.The clean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utilize the entire surface of the mop by changing the bottom contact part continuously after using only a part of the mop efficiently, and easily wipes the bottom of the narrow gap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furniture, etc. I can make i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청소 도구는 롤러(100)를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어 벨트형 걸레(400)의 바닥 접촉 부분을 신속히 바꿀수 있고, 걸레(400)의 전면(全面)을 모두 사용한 후 걸레(400)의 교체가 간편하다.In addition, the clean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rotate th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청소 도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the clean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청소 도구는 상부에는 롤러(100)가 횡으로 설치되고, 하부에는 걸레 접촉판(200)이 횡으로 설치되는 프레임(300); 및 한쪽은 상기 롤러(100)에, 다른 쪽은 상기 걸레 접촉판(200)에 걸려 무한궤도를 이루는 벨트형 걸레(400)를 포함한다. (도 1 참조)As shown in FIG. 1, the clean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프레임(300)의 상단에는 손잡이(310) 를 삽입한 상태도 이다.The top of the
상기 걸레 접촉판(200)의 양단에는 각각 높이 조절용 다리(210) 를 상기 프레임(300)의 하단 좌우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300)에 설치한다.Both ends of the
상기 걸레 접촉판(200)은 양면에 스펀지(220)(sponge) 종류를 부착 한다. 스펀지(220)는 벨트형 걸레(400)와의 접착력을 증대시켜 청소 작업시 벨트형 걸레 (400) 가 걸레 접촉판(200)과 절대로 미끄러지지 않으며, 또는 청소할 바닥면이 다소 굴곡진 곳에서 수축 및 복원력을 갖게하여 균일한 마찰 면을 이루게 한다.The
상기 걸레 접촉판(200)은 상기 높이 조절용 다리(210)의 하측에서 회전 할 수 있도록 상기 높이 조절용 다리(210)의 말단부에 축(230)으로 연결 하였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프레임(300)을 임의의 각도로 경사지게 들더라도 걸레 접촉판(200)은 수평 상태를 유지하여 바닥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것이다.The
걸레 접촉판(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주 얇게 형성 시켰으므로 좁은 틈에도 쉽게 삽입 시켜 청소를 할수 있다.
프레임(300)의 상측면 좌우의 외측에는 쿠션이 형성된 재질(300a)을 부착하여, 벽이나 가구에 부딪히더라도 부딪힌 물체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는것이다.Cushioned material (300a) is attach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and left sides of the
상기 롤러(100)는 양단 중앙에 돌출된 축(110)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300)에는 상기 돌출된 축(110)이 삽입되어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는 롤러 가이드 홈(330)을 형성 시킨다.The
이와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도 2는 본 발명 의 청소 도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lean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형 걸레(400)는 한쪽은 상기 롤러(100)에, 다른 쪽은 상기 걸레 접촉판(200)에 걸려 무한궤도를 이루므로, 바닥에 접촉하는 부분이 사용에 따라 더러워지면 롤러(100)를 회전시켜 손쉽게 깨끗한 면으로 교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ure 2, the belt-
도 3은 본 발명의 따른 청소 도구를 도시하는 정면도로서, 벨트형 걸레가 설 치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 한다.3 is a front view showing a clean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no belt-type mop is installed.
도 3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300)에는 U형 스프링(320)이 상기 높이 조절용 다리(210)의 삽입 시 변형되어 복원력을 갖도록 설치 되여 있다. 도 3은 좌측에 설치된 U형 스프링(320)만이 변형된 모습을 도시한다.As shown in FIG. 3, the
본 발명 에 청소 도구의 걸레 접촉 판(200)으로 바닥을 닦으면서 전방으로 진행할 때 전방의 벽면과 걸레 접촉 판(200)의 좌우가 평행을 이루지 못하고 걸레 접촉 판(200)의 일측 단이 먼저 벽면에 닿을 시에는 해당 측의 U형 스프링 (320)이 수축되면서 상대측의 걸레 접촉판(200)과 프레임(300)은 다소 더 진행을 하며 벽에 근접하여 닿을 수 있으므로 좌우전면(全面)의 바닥을 효율적으로 함께 닦을 수 있다.( 도 3참조)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moving forward while wiping the floor with the
U형 스프링(320)의 또 다른 역할은 청소 작업을 활발하게 수행 할 때 걸레 접촉 판(200)이 전방의 벽면과 자주 충돌을 하게 되는데, 이때 몸체의 충격을 흡수하여 본 기구의 파손을 방지 하게 된다.Another role of the U-shaped
이를 위해 걸레 접촉 판(200) 양단의 높이 조절용 다리(210)가 각각 독립적으로 프레임(300)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높이 조절용 다리(210)는 옆으로 다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형성 하였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높이 조절용 다리(210)는 두 부분으로 구성되고, 이 두 부분은 축(215)으로 연결 하여 각 각 회전할수 있도록 형성 하였다To this end, the
걸레 접촉 판(200)이 전방의 벽면과 평행을 이루면서 바닥을 닦은 후, 후진 할 때 U형 스프링 (320)의 복원력에 의해 높이 조절용 다리 (210) 는 프레임 (300) 으로부터 빠져 나오고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청소 도구는 본래의 좌우 대칭 모습을 되 찾는다.After the
도 4에 도시한 완충 패드(325)는 U형 스프링(320)이 압축되거나 복원 될 때 스프링의 변형 이동부 일측 단이 프레임(300)과 접촉 시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는 목적으로U형 스프링(320)의 이동부 의 상 하에 설치 한다.The
상기의 U형 스프링(320)의 일측의 고정 단은 프레임(300)에 고정이 되고 변형 이동부 일측 단은 높이 조절용 다리 (210)의 측면에 여러개 로 천공 하여놓은 구멍에 삽입만 하면 고정 이 되도록 형성 하였다.The fixed end of one side of the U-shaped
높이 조절용 다리(210)에는 벨트형 걸레(400)의 길이 편차를 보정하기 위하여 여러개 로 천공한 구멍 을 형성시켰다.(미 도시)In order to correct the length deviation of the belt-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 에 청소 도구를 도시하는 정면도로서, 벨트형 걸레(400)가 설치 되지 않는 상태를 도시 한다.4 and 5 is a front view showing a cleaning tool in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elt-
상기 롤러(100)는 상기 프레임(300) 내에서 일정 구간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 하였는데The
도 4에 도시된 화살표는 롤러(100)의 상하 운동 방향을 도시한다. 도 4는 롤러가 하강한 상태를, 도 5는 롤러가 상승한 상태를 도시한다.An arrow shown in FIG. 4 shows a vertical movement direction of the
롤러(100)의 상하 운동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하 롤러(100)의 상하 운동 제어의 구체적인 예를 설명한다.The vertical motion of the
상기 프레임(300)의 중앙에는 길쭉한 중앙 회전편(340)이 그 중심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 하였다.In the center of the
상기 프레임(300)의 좌우에는 각각 V 형상 회전편(350)이 그 꼭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어, 일단은 상기 롤러(100)의 일 단부와 측부 지지대(360)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중앙 회전편(340)의 일 단부와 중앙 지지대(370)로 연결 하였다.V-shaped
상기 프레임(300)에는 일단이 상기 중앙 회전편(340)의 중심부애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프레임(300)의 측면 모서리까지 연장되는 레버(380)를 형성시켜 설치하였다.One end of the
상기 프레임(300)의 측면 모서리에는 상기 레버(380)의 단부가 삽입되어 일정 구간 운동할 수 있는 레버 가이드 홈(390)을 형성 하여 놓았다. (미 도시)The end of the
상기 프레임(300)에는 상기 롤러(100)의 상향 이동에 따른 상기 롤러(1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 수단을 설치 해야 되는데, 예를 들어 상기 레버 가이드 홈(390)의 하단에는 상기 레버(380)의 하향 이동에 따른 위치를 고정할 수 있는 걸림 돌기(미도시) 를 형성 하여 놓았다.Fixing means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중앙 회전편(340)에는 U형 스프링(401)이 설치되어 중앙 회전편(340)에 작용을 돕는데, 도 7은 도 5와 같이 상기 롤러(100)가 상승 되고 레버(380)의 단부를, 레버 가이드 홈((390)의 하단 에 걸어서 고정 시킨 상세도 인데,The central
벨트형 걸레(400)의 길이가 사용중에 길어 지면 U형 스프링(401)의 인장력으로 한쪽 끝에 삽입 하여서 결합한 중앙 회전편(340)의 끝 부분이 화살표 방향으로 떠 밀리므로 옆에 나란히 결합된 중앙 지지대(370)로 연결된 V형상 회전편(350)을 작용시키면서 측부 지지대(360)로 연결된 롤러(100)를 상승시키므로 벨트형 걸레 (400)는 항시 탄력을 가지게 된다.(도 7참조)When the length of the belt-
벨트형 걸레(400)의 길이가 많이 길어졌을 때에는 U형 스프링(320)의 한쪽 끝을 높이 조절용 다리(210)의 임의 삽입 위치에서 상측의 구멍으로 옮겨 삽입을 하면, 높이가 높아지므로 장력이 강화 하여 필요한 탄력을 얻을수 있다.When the length of the belt-
이러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연동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interworking of these components is as follows.
사용자는 롤러(100)가 하강한 상태에서 전면(全面)을 모두 사용한 벨트형 걸레를 지퍼를 해지하여 탈착하고 새로운 벨트형 걸레(400)로 교체할 수 있다.The user can remove the belt-type mop using the entire surface in the state where the
벨트형 걸레(400)의 교체가 끝난 후, 사용자는 레버(380)의 손잡이 끝을 잡고 레버(380)를 하강 시키면, 중앙 회전편(340)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After the replacement of the belt-
중앙 회전편(340)의 회전에 따라 중앙 회전편(340)과 중앙 지지대(370)로 연결된 V형상 회전편(350)이 그 꼭지점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는데, 좌측의 V형 회전편(350)은 시계방향으로, 우측의 V형상 회전편(35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central
이와 같은 V형상 회전편(350)의 회전에 따라 V형상 회전편(350)과 측부 지지대(360)로 연결된 롤러(100)는 상승한다.As the V-shaped
도 6은 벨트형 걸레(400)를 이송 시키는 실시도 로서 외부를 절개한 측단면도 이다.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cutting the outside as an embodiment to convey the belt-type mop (40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축공에 삽입한 길다란 장축(530)의 일 단에는 누름 판(520)을 삽입 하여 고정 하고, 타단 에는 압송 레버(540)를 삽입 하여 고정 시켰으며. 압송 레버(540)의 일측에 축(500)과 결합 시킨 직선 래치 기어(510)가 형성 되고.상기 롤러(100)의 일측 단부에는 원형 래치 기어(550)를 부착 시컸다.As shown in Figure 6, one end of the long
사용자가 손잡이를 쥔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 으로 누름 판(520)을 누르면 장축(530)으로 연결된 압송 레버(540)의 일측에 축(500)과 결합된 직선 래치 기어(510)가 원형 래치 기어(550)와 교합을 하면서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을 하므로 상기 롤러(100)는 회전을 하는것이다, 압송 레버(540)의 일측에 축(500)에는 크럿치 와 같이 마찰력을 형성 시켜서 축(500)이 원활 하게 돌지 않으므로, 직선 래치 기어(510)가 후진 할때는 원형 래치 기어(550)와 자연 적으로 이탈 하여 접촉부(M)에 접촉 하면서 후진 하게 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반대로 누름 판(520)을 누를 때에는 직선 래치 기어(510)가 원형 래치 기어(550)와 교합 하여 직선 으로 진행 하는데 본 원리는 축(500)에 마찰력 을 형성시켰기 때문이며. 누름 판(520)이 복원 되도록 장축(530)에는스프링(S)을 삽설하여 누름 판(520)이 항시 원 위치에 복원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이런 구성은 사용자가 롤러(100)에 걸처있는 걸레(400)를 두손가락으로 쥐면서 롤러(100)를 회전 시킬수 있으나. 잠시 사용하면 더렵혀 진 걸레(400)가 상승(도래) 하므로, 깨끗한 손을 즉접 대지 않고 걸레를 이송 시킬수 있도록 하기 위함 이며. 또 한가지 방법으로 롤러(100)의 끝 단부 에. 외주면에 돌기가 형성된 원형 손잡이를 형성하여 롤러(100)를 일측 방향으로 회전 시켜서 벨트형 걸레(400)를 이송 시키는방법 이다.(도 1 참조)This configuration allows the user to rotate the
본 실시 형대에 따른 청소 도구는 벨트형 걸레(400)의 일부분만을 효율적으로 사용한후 연속적으로 바닥 접촉 부분을 바꿈으로써 걸레의전면 (全面)을 효율 적으로 활용 할수 있고, 가구 등의 배치에 따른 좁은 틈의 바닥도 용이하게 닦아 낼수 있다. 또한 로러(100)를 손쉽게 회전 시킬수 있어 벨트형 걸레(400)의 바닥 접촉부분을 신속하게 바꿀수 있어서 시간절약의 이득이 며, 바닥 접촉부분의 면적이 좁으므로(길다란 직4각형) 힘드려 누르지 않아도 청소할 바닥과의 마찰력이 자연 강하게 되며. 또는 기존의 청소기 와는 달리, 벽밑과 바닥과의 직각을 이루는 구석진 홈(ㄴ) 까지도 완전히 닦을수 있으며. 벨트형 걸레(400)의전면 (全面)을 차레로 균일 하게 횔용 하므로 마지막에 청소를 할 부분까지도 더렵혀 지지 않은 깨끗한 걸레(400)로 닦게 된다.The clean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effectively use the entire surface of the mop by effectively changing only the bottom part of the belt-
본 발명은 젖은 걸레를 이용한 청소 도구 에 활용 할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in a cleaning tool using a wet mop.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에 따른 청소 도구를 도시하는 측면도 이다.1 is a side view showing a cleaning 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청소 도구를 도시 하는 정면도 이며.2 is a front view showing a clean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는 본 발명의 따른 청소 도구를 도시 하는 정면도 로서, 벨트형 걸레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 를 도시 한다.3 is a front view showing a clean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no belt-type mop is installed.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따른 청소 도구를 도시 하는 정면도 로서 벨트형 걸레 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다.4 and 5 are front views showing the clean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in which no belt-type mop is installed.
도 6은 본 발명의 따른 청소 도구를 설명 하기 위하여 절개한 측 단면도 이다.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cut away to illustrate a clean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따른 청소 도구를 설명하기 위한 중요부 의 부분도 이다.7 is a partial view of an important part for explaining the clean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4430A KR101083728B1 (en) | 2008-09-25 | 2008-09-25 | Bite Friction Clea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4430A KR101083728B1 (en) | 2008-09-25 | 2008-09-25 | Bite Friction Clean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92904A KR20080092904A (en) | 2008-10-16 |
KR101083728B1 true KR101083728B1 (en) | 2011-11-16 |
Family
ID=40153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94430A Expired - Fee Related KR101083728B1 (en) | 2008-09-25 | 2008-09-25 | Bite Friction Clean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83728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2737Y1 (en) | 2000-02-29 | 2000-08-16 | 김하영 | Floorcloth with combination and separation of dustcloth |
KR200209699Y1 (en) | 2000-07-20 | 2001-01-15 | 김하영 | Floorcloth with combination and separation of dustcloth |
KR200273480Y1 (en) | 2002-01-15 | 2002-04-26 | 박홍재 | Mop structure with belt type mop |
KR200294691Y1 (en) * | 2002-07-09 | 2002-11-13 | 조명석 | Mop |
-
2008
- 2008-09-25 KR KR1020080094430A patent/KR10108372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2737Y1 (en) | 2000-02-29 | 2000-08-16 | 김하영 | Floorcloth with combination and separation of dustcloth |
KR200209699Y1 (en) | 2000-07-20 | 2001-01-15 | 김하영 | Floorcloth with combination and separation of dustcloth |
KR200273480Y1 (en) | 2002-01-15 | 2002-04-26 | 박홍재 | Mop structure with belt type mop |
KR200294691Y1 (en) * | 2002-07-09 | 2002-11-13 | 조명석 | Mop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92904A (en) | 2008-10-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688975C1 (en) | Vacuum cleaner nozzle | |
US8166597B2 (en) | Flat mop with abrasive pad | |
JP4672553B2 (en) | Suction port and vacuum cleaner | |
US7797793B2 (en) | Mechanism for moving a wiping/raising insert of a suction nozzle for a vacuum cleaner | |
KR101712941B1 (en) | Mop having a low-center design | |
JP4861247B2 (en) | Mop wiper mount | |
KR20160008647A (en) | Detachable fabric for mop holder | |
KR101083728B1 (en) | Bite Friction Cleaner | |
KR20140033983A (en) | Window cleaner having rubber blade which can be stably attached and detached | |
JP2005103196A (en) | Mop base | |
JP2007054337A (en) | Head for cleaning and cleaning tool | |
JP3133579U (en) | Flooring wiper | |
US8011061B2 (en) | Nozzle assembly of vacuum cleaner | |
JP2006006464A (en) | Squeegee | |
JP2002102133A (en) | Cleaning tool | |
KR20150144062A (en) | Mop holder for cleaning | |
KR101521181B1 (en) | A cleaner head | |
CN204049513U (en) | Multifunctional dust vacuum cleaner scrubbing brush | |
KR101519330B1 (en) | Floorcloth Installation Structure of Vacuum Cleaner | |
JP3135125U (en) | Flooring wiper | |
JP2013094260A (en) | Longitudinally mountain-shaped holder for cleaning, and cleaning utensil | |
KR100535789B1 (en) | Apparatus rotating dust-cloth of the mop | |
KR101625400B1 (en) | Mop holder for cleaning | |
JP2016043190A (en) | Treating material holding head and treating device | |
CN104808805B (en) | A kind of frictional electrostatic precipitation keyboar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2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8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1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1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