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83451B1 - 언어 변경키를 구비한 리모컨에 의하여 표출 데이터를 제어하는 전광판 시스템 - Google Patents

언어 변경키를 구비한 리모컨에 의하여 표출 데이터를 제어하는 전광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3451B1
KR101083451B1 KR1020090117522A KR20090117522A KR101083451B1 KR 101083451 B1 KR101083451 B1 KR 101083451B1 KR 1020090117522 A KR1020090117522 A KR 1020090117522A KR 20090117522 A KR20090117522 A KR 20090117522A KR 101083451 B1 KR101083451 B1 KR 101083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phabet
modified
language
control signal
basic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1014A (ko
Inventor
차진길
Original Assignee
진영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영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영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7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451B1/ko
Priority to US12/628,981 priority patent/US20110128217A1/en
Publication of KR20110061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45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리모컨 입력에 따라 전광판의 데이터 표출을 제어하는 전광판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광판 시스템은 전광판에 기초 알파벳을 표출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이 구비되는 문자 입력부, 표출된 기초 알파벳을 변형 알파벳으로 변경하기 위한 언어 변경키, 사용자의 문자 입력부 또는 언어 변경키 입력에 따른 제어 신호를 전광판에 전송하는 발신부를 구비하는 리모컨 및 발신부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가 표출되는 LED 모듈부, 수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언어 변경키의 입력에 따라 LED 모듈부에 표출 중인 기초 알파벳에 대응하는 변형 알파벳 군(群) 중 어느 하나의 변형 알파벳을 선택하여 LED 모듈부를 통하여 선택된 변형 알파벳의 표출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하는 전광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언어 변경키를 통하여 표출 언어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광판, 리모컨, 언어 변경, 알파벳

Description

언어 변경키를 구비한 리모컨에 의하여 표출 데이터를 제어하는 전광판 시스템{DISPLAY SYSTEM CONTROLLING DISPLAY DATA USING REMOTE CONTROLLER HAVING LANGUAGE CONVERSION KEY}
본 발명은 리모콘에 구비된 언어 변경키를 통하여 사용자가 표출되는 알파벳의 언어를 변경할 수 있는 전광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간판이나 현수막보다는 전광판을 통하여 다양한 문자 및/또는 이미지를 표출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광판은 기존의 현수막이나 간판보다 표출 데이터를 수시로 변경할 수 있어 높은 홍보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러나 전광판은 표출 데이터를 변경하기 위하여 연결된 컴퓨터를 활용하여야 하므로 컴퓨터에 익숙하지 못한 사용자는 그 이용이 제한적이었다.
최근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리모컨 제어가 가능한 전광판이 출시되어 시장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사용자는 리모컨을 이용하여 표출을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여 손쉽게 전광판에 원하는 문자를 표출할 수 있다.
한편, 미국과 같은 다문화 다언어 사회에서 이용되는 전광판은 표출 언어를 영어로 국한하기 보다는 다양한 언어를 표출할 수 있어야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리모컨 제어 방식은 그 편리함에 비하여 다양한 메뉴 사용의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리모컨 제어 방식의 전광판은 다양한 언어를 표출하기 부적합한 면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전광판은 사용자가 영어 이외의 언어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타 언어로 전광판에 문자를 표시하기에 그 어려움이 큰 것이 현실이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리모컨 제어가 가능한 전광판에 대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전광판에 표출된 알파벳을 타 언어 알파벳으로 변경하는 전광판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사용자의 리모컨(110) 입력에 따라 전광판의 데이터 표출을 제어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광판 시스템은 상기 전광판에 기초 알파벳을 표출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이 구비되는 문자 입력부(210), 상기 표출된 기초 알파벳을 변형 알파벳으로 변경하기 위한 언어 변경키(111), 사용자의 상기 문자 입력부(210) 또는 상기 언어 변경키(111) 입력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상기 전광판에 전송하는 발신부(230)를 구비하는 리모컨(110); 및 상기 발신부(230)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240),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가 표출되는 LED 모듈부(260), 상기 수신부(240)에 의하여 수신된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언어 변경키(111)의 입력에 따라 상기 LED 모듈부(260)에 표출 중인 기초 알파벳에 대응하는 변형 알파벳 군(群) 중 어느 하나의 변형 알파벳을 선택하여 상기 LED 모듈부(260)를 통하여 상기 선택된 변형 알파벳의 표출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50)를 구비하는 전광판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변형 알파벳 군은 상기 기초 알파벳에 하나 이상의 점 또는 획 추가를 통하여 언어의 변경을 가져오는 하나 이상의 변형 알파벳 모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러(250)는 상기 언어 변경키(111)의 복수회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표출된 기초 알파벳에 대응하는 변형 알파벳 군의 변형 알파벳으로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표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초 알파벳은 영어 알파벳이고, 상기 변형 알파벳은 상기 기초 알파벳을 근간으로 하는 스페인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러시아어, 라틴어, 그리스어, 터키어 중 어느 하나의 언어의 알파벳 중 상기 기초 알파벳에 대응하는 알파벳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페인어 등의 영어 이외의 언어를 모르는 경우에도 영어 알파벳에 기초하여 손쉽게 타 언어의 알파벳을 전광판에 표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전광판 시스템은 리모컨과 전광판으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리모컨을 사용하여 전광판에 표출되는 데이터를 원격으로 입력할 수 있다. 전광판은 LED 모듈을 구비하여 다수의 LED를 점등함으로써 다양한 문자를 표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광판은 RGB 3색 전광판으로부터 풀컬러 전광판까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전광판 및 리모컨의 구현 방식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초 알파벳은 영어 알파벳인 “a, b, c, d ...”을 의미하고, 변형 알파벳은 각 기초 알파벳에 대응하는 타 언어 알파벳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기초 알파벳“a”에 대응하는 변형 알파벳은 “
Figure 112009074025450-pat00001
”, “
Figure 112009074025450-pat00002
”, “
Figure 112009074025450-pat00003
”, “
Figure 112009074025450-pat00004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변형 알파벳은 기초 알파벳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점 또는 획 추가를 통하여 언어의 변경을 가져오는 알파벳을 의미한다. 또한, 이러한 변형 알파벳의 모음을 변형 알파벳 군(群)이라 칭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광판에 표출되는 데이터의 언어 변경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출 데이터 변경의 예시도이다. 우선, 사용자가 전광판에 영어 알파벳인 “abc"가 표출시킨 경우를 가정하자. 이때, 전광판은 문자 입력 상태로서 커서가 표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커서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입력에 의하여 전광판은 전광판 표출 예시 120과 같이 “abc”를 표출시킨다.
이 경우, 사용자는 “a”를 영어가 아닌 타 언어로 변경하고 싶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리모컨(110)의 언어 변경키(111)를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언어 변경키(111) 입력에 따라 전광판은 “a”를 “
Figure 112009074025450-pat00005
”로 변경 표출한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전광판의 표출 데이터는 전광판 표출 예시 130과 같이 변경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광판 시스템은 전광판에 표시되는 알파벳을 리모컨(110)에 구비된 언어 변경키(111)의 입력만으로 여러 언어로 변경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사용자가 커서의 이동 없이 언어 변경키(111) 를 재입력하는 경우, 전광판은 “
Figure 112009074025450-pat00006
”를 “
Figure 112009074025450-pat00007
”로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광판 시스템은 언어 변경키(111)의 입력만으로 순차적으로 표출된 알파벳의 언어 변경을 수행한다. 이때, 언어 변경은 알파벳 매핑 테이블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알파벳 매핑 테이블은 영어 알파벳을 기준으로 변형 알파벳을 매핑시킨 테이블로서, 도 3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광판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광판 시스템은 리모컨(110) 및 전광판(270)을 포함한다. 이때, 리모컨(110)은 문자 입력부(210), 언어 변경키(111), 리모컨 제어부(220) 및 발신부(230)를 포함한다.
문자 입력부(210)는 전광판(270)에 기초 알파벳을 표출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문자 입력부(210)는 휴대폰 등과 같이 하나 이상의 기초 알파벳에 대응하는 복수의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문자 입력부(210)를 이용하여 전광판(270)에 표출하기 위한 기초 알파벳을 입력할 수 있다.
언어 변경키(111)는 표출된 기초 알파벳을 변형 알파벳으로 변경하기 위하여 리모컨(110)에 구비된 버튼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리몬컨과 달리, 언어 변경키(111)를 별도로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광판 시스템은 사용자가 하나의 버튼(언어 변경키(111))을 입력함으로써 알파벳 단위로 언어를 손쉽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광판 시스템이 미국과 같은 다문화 국가에서 이용되는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사용자는 영어뿐만 아니라 스페인어와 같이 여러 언어가 전광판(270)에 표출되기를 원할 것이다. 그러나 전광판(270)에 타 언어를 표출하고자 하는 경우, 종래에는 우선 언어를, 예를 들어 스페인어를 메뉴를 통하여 설정하고 모든 메뉴가 스페인어로 표신된 스페인어 모드에서 입력을 수행하여야 한다.
또한, 리모컨(110)의 문자 입력부(210)는 모든 표출 가능한 언어들의 알파벳을 표시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어느 버튼이 영어가 아닌 타 언어의 알파벳 입력 버튼인지를 인지하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전광판 시스템에 따르면 리모컨(110)의 문자 입력부(210)는 영어 알파벳과와의 매핑만 이뤄지면 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굳이 표출하고자 하는 타 언어를 숙지할 필요가 없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스페인어로 인사말의 스펠링만 인지하고 있어도 해당 인사말의 스펠링에 유사한 영어 알파벳(기초 알파벳) 입력 후 언어 변경키(111)를 입력하여 스페인어의 인사말을 전광판(270)에 표출할 수 있다.
한편, 리모컨(110)은 문자 입력부(210)나 언어 변경키(111) 이외에도 전원 온/오프 버튼, 이미지나 효과 입력 버튼, 문자 입력 모드 등의 모든 선택을 위한 메뉴 버튼 등의 다양한 버튼을 구비할 수 있으나, 이는 종래의 전광판(270) 제어를 위한 리모컨(110)의 일반적인 구성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리모컨 제어부(220)는 문자 입력부(210) 및/또는 언어 변경키(111)의 입력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후술할 발신부(230)를 통하여 전광판(270)으로 생성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본 명세서에서 리모컨 제어부(220)는 단순히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발신부(230)로 전달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언어 변경키(111)의 입력에 따라 후술할 전광판(270)의 컨트롤러(250)가 수행하는 기초 알파벳의 변형 알파벳으로의 변경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발신부(230)를 통하여 전광판(270)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여기서, 발신부(230)는 예를 들어, IR(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 RF 통신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광판(27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통신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리모컨 제어부(220) 및 발신부(230)는 종래의 리모컨(110) 제어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전광판(270)은 수신부(240), 컨트롤러(250) 및 LED 모듈부(260)를 포함한다.
수신부(240)는 리모컨(110)의 발신부(230)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발신부(230)는 상술한 리모컨(110)의 발신부(230)와 대응하는 통신 방식을 채용하여야 한다. 즉, 발신부(230)는 상술한 리모컨(110)의 발신부(230)가 IR 통신 방식을 채용한 경우, 최소한 IR 통신 방식을 채용하여야 한다. 혹은 수신부(240)는 다양한 리모컨(110) 제어의 수행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수신부(240)는 발신부(230)가 채용한 통신 방식을 포함한 복수의 통신 방식을 채용하여야 한다.
LED 모듈부(26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가 표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LED 모듈부(260)는 다수의 LED로 구성되며, 3색 표출부터 풀컬러 표출까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컨트롤러(250)는 수신부(240)에 의하여 수신된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언어 변경키(111)의 입력에 따라 LED 모듈부(260)에 표출 중인 기초 알파벳에 대응하는 변형 알파벳 군(群) 중 어느 하나의 변형 알파벳을 선택하여 선택된 변형 알파벳을 표출한다.
컨트롤러(250)는 수신부(240)에 의하여 수신된 제어 신호를 분석한다. 이때, 수신된 신호가 언어 변경키(111)인 경우, 컨트롤러(250)는 현재 커서가 지시하는 기초 알파벳을 확인한다. 그리고 컨트롤러(250)는 커서가 지시 중인 기초 알파벳에 대응하는 변형 알파벳을 추출한다. 여기서, 컨트롤러(250)는 알파벳 매핑 테이블을 이용할 있으며, 알파벳 매핑 테이블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이어서, 컨트롤러(250)는 해당 기초 알파벳을 변형 알파벳으로 변경하여 표출한다. 여기서, 리모컨(110)으로부터 언어 변경키(111) 입력에 따라 제어 신호가 재차 수신되는 경우, 컨트롤러(250)는 해당 변형 알파벳과 동일한 변형 알파벳 군에 속한 다른 변형 알파벳으로 재차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파벳 매핑 테이블의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알파벳 매핑 테이블은 기초 알파벳과 이에 대응하는 변형 알파벳들의 모음(변형 알파벳 군)을 매칭한 테이블임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초 알파벳인 A는 “
Figure 112009074025450-pat00008
”, “
Figure 112009074025450-pat00009
”, “
Figure 112009074025450-pat00010
”, “
Figure 112009074025450-pat00011
”, “
Figure 112009074025450-pat00012
” 등의 변형 알파벳을 포함하는 변형 알파벳 군과 매칭되어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기초 알파벳인 “U”는 “
Figure 112009074025450-pat00013
”, “
Figure 112009074025450-pat00014
”, “
Figure 112009074025450-pat00015
”과 매칭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광판(270)에 포함된 컨트롤러(250)는 이러한 알파벳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언어 변경키(111) 입력이 있는 경우, 기초 알파벳을 변형 알파벳으로 변경하여 표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언어 변경키(111) 입력시 컨트롤러(250)는 커서가 지시하는 기초 알파벳을 확인한다. 그리고 컨트롤러(250)는 확인된 기초 알파벳에 대응하는 변형 알파벳 군을 도시된 알파벳 매핑 테이블을 이용하여 확인한다. 이어서 컨트롤러(250)는 확인된 변형 알파벳 군 중 어느 하나의 변형 알파벳으로 기초 알파벳을 변경하여 표출한다.
또한, 사용자의 반복적인 언어 변경키(111) 입력이 있는 경우, 컨트롤러(250)는 해당 변형 알파벳 군에 포함된 다수의 변형 알파벳을 순차적으로 변경 표출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언어의 알파벳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알파벳 매핑 테이블은 예시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출 데이터 변경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광판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파벳 매핑 테이블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리모컨 111: 언어 변경키
120, 130: 전광판 표출 예시
210: 문자 입력부 220: 리모컨 제어부
230: 발신부 240: 수신부
250: 컨트롤러 260: LED 모듈부
270: 전광판

Claims (4)

  1. 사용자의 리모컨 입력에 따라 전광판의 데이터 표출을 제어하는 전광판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전광판에 기초 알파벳을 표출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이 구비되는 문자 입력부, 상기 표출된 기초 알파벳을 변형 알파벳으로 변경하기 위한 언어 변경키, 및 사용자의 상기 문자 입력부 또는 상기 언어 변경키 입력에 따른 제어 신호를 상기 전광판에 전송하는 발신부가 포함된 리모컨; 및
    상기 발신부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문자가 표출되는 LED 모듈부, 및 상기 수신부에 의하여 수신된 제어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언어 변경키의 입력에 따라 상기 LED 모듈부에 표출 중인 기초 알파벳에 대응하는 변형 알파벳 군(群) 중 어느 하나의 변형 알파벳을 선택하여 상기 LED 모듈부를 통하여 상기 선택된 변형 알파벳의 표출을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포함된 전광판을 포함하되,
    상기 변형 알파벳은 상기 기초 알파벳의 언어와 상이한 타 언어의 알파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알파벳 군은
    상기 기초 알파벳에 하나 이상의 점 또는 획 추가를 통하여 언어의 변경을 가져오는 하나 이상의 변형 알파벳 모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언어 변경키의 복수회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표출된 기초 알파벳에 대응하는 변형 알파벳 군의 변형 알파벳으로 미리 설정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표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 알파벳은 영어 알파벳이고, 상기 변형 알파벳은 상기 기초 알파벳을 근간으로 하는 스페인어, 독일어, 이탈리아어, 러시아어, 라틴어, 그리스어, 터키어 중 어느 하나의 언어의 알파벳 중 상기 기초 알파벳에 대응하는 알파벳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광판 시스템.
KR1020090117522A 2009-12-01 2009-12-01 언어 변경키를 구비한 리모컨에 의하여 표출 데이터를 제어하는 전광판 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083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522A KR101083451B1 (ko) 2009-12-01 2009-12-01 언어 변경키를 구비한 리모컨에 의하여 표출 데이터를 제어하는 전광판 시스템
US12/628,981 US20110128217A1 (en) 2009-12-01 2009-12-01 Display system controlling display data using remote controller having language conversion ke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522A KR101083451B1 (ko) 2009-12-01 2009-12-01 언어 변경키를 구비한 리모컨에 의하여 표출 데이터를 제어하는 전광판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014A KR20110061014A (ko) 2011-06-09
KR101083451B1 true KR101083451B1 (ko) 2011-11-16

Family

ID=44068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522A Expired - Fee Related KR101083451B1 (ko) 2009-12-01 2009-12-01 언어 변경키를 구비한 리모컨에 의하여 표출 데이터를 제어하는 전광판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10128217A1 (ko)
KR (1) KR1010834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396B1 (ko) 2006-01-17 2006-10-24 (주)컴텔싸인 리모컨으로 제어되는 2단형 발광다이오드 전광판 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75527A (ja) * 1997-12-15 1999-07-02 Fujitsu Ltd 出力制御装置及び出力制御方法
KR100698316B1 (ko) * 2006-01-10 2007-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문자 입력 방법과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396B1 (ko) 2006-01-17 2006-10-24 (주)컴텔싸인 리모컨으로 제어되는 2단형 발광다이오드 전광판 시스템 및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014A (ko) 2011-06-09
US20110128217A1 (en) 201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6238B1 (ko) 한자 입력 장치 및 제어 방법
CN101398717B (zh) 可变显示键盘及输入方法
US7693552B2 (en) Text messaging device
CN101251781A (zh) 通过手机横屏状态显示的虚拟键盘进行输入和功能操作
WO2009074278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combined characters
KR101242210B1 (ko) 성조 선택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 방법
US2004025203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putting Chinese pinyin with tone markers
JP2004523034A (ja) 文字生成システム
CN100456216C (zh) 以英文韵母组为基础的中文双拼输入法
KR101083451B1 (ko) 언어 변경키를 구비한 리모컨에 의하여 표출 데이터를 제어하는 전광판 시스템
JP2005215728A (ja) ソフトキーボード機能付電子フォームシステム
KR102222770B1 (ko) 메시지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TW200517876A (en) Digital electronic apparatus for inputting Chinese Pinyin and Chinese Pinyin input method using the same
CN101951472A (zh) 一种应用在显示产品上利用遥控器实现输入的文字输入法
CN1811669B (zh) 汉字输入装置、汉字输入方法和相关的存储介质
KR101526063B1 (ko) 메시지 표시장치 및 메시지 표시 제어방법
KR101477639B1 (ko) 리모콘을 이용하여 전광판에 중국어를 입력하는 방법
CN101105722A (zh) 用于输入多种语言的文本的方法
KR101861792B1 (ko) 간체자 학습 정보 제공 시스템
KR100609020B1 (ko)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CN101436102A (zh) 多种设备通用多文种输入法及其专用小数字键盘
KR20200012102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20170132403A (ko) 중국어 발음기호인 주음부호와 병음 중 한 가지를 이미 아는 자가 다른 한 가지 발음기호를 습득하기 위한 두 가지 발음기호 학습방법, 그를 이용한 학습 방법, 기록매체, 저장매체 및 저장매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20170127859A (ko) 중국어 발음기호인 주음부호와 병음 중 한 가지를 이미 아는 자가 다른 한 가지 발음기호를 습득하기 위한 두 가지 발음기호 배열 방법, 그를 이용한 학습 방법, 기록매체, 저장매체 및 저장매체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WO2016103017A1 (en) Input device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09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1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1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