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083191B1 - 다기능이 구비된 원예용 전지가위 - Google Patents

다기능이 구비된 원예용 전지가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3191B1
KR101083191B1 KR1020090028008A KR20090028008A KR101083191B1 KR 101083191 B1 KR101083191 B1 KR 101083191B1 KR 1020090028008 A KR1020090028008 A KR 1020090028008A KR 20090028008 A KR20090028008 A KR 20090028008A KR 101083191 B1 KR101083191 B1 KR 101083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upport shaft
blade
blade member
suppo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9650A (ko
Inventor
최상열
Original Assignee
최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열 filed Critical 최상열
Priority to KR1020090028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3191B1/ko
Publication of KR20100109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3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319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2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 A01G3/021Secateurs; Flower or fruit shears characterized by the arrangement of piv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4Hand shears; Scissors with detachable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예용 각종 식물을 절단하면서 다듬거나, 꽃, 열매 등을 채취할 수 있는 전지가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칼날을 교체 사용할 수 있고 내부에 톱과 칼을 장치하여서 하나의 도구로서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절단시 작은 힘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이 구비된 원예용 전지가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좌우 길이 방향으로 된 손잡이부재(H)와, 지축을 지점으로 손잡이부재(H)에 의하여 작동되는 칼날부재(C)로 구성된 공지의 전지가위에 있어서,
손잡이부재(H)와 칼날부재(C)가 제1 지축(2a), 제2 지축(2b), 제3 지축(2c)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장치하며, 손잡이부재(H)의 내부에 구비된 수납실(11)에 공구(12)를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하며, 각각의 용도로 된 칼날부재(C)를 결합 분해할 수 있도록 장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Figure R1020090028008
전지가위

Description

다기능이 구비된 원예용 전지가위{an pruning shears of gardening required various function}
본 발명은 원예용 각종 식물을 절단하면서 다듬거나, 꽃, 열매 등을 채취할 때 사용하는 전지가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칼날을 교체 사용할 수 있고 내부에 톱과 칼을 장치하여 하나의 도구로서 여러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절단시 작은 힘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한 다기능이 구비된 원예용 전지가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예용 각종식물의 가지를 절단하거나, 과실을 채취하거나, 화초의 잎을 다듬는 등의 작업을 하기 위한 가위가 있으며, 이는 각종 작물을 재배하는 농촌은 물론, 일반 가정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가위는 손잡이의 작동에 따라 지축을 지점으로 칼날이 상하 작동되는 구조로 구성된 것으로서, 칼날을 이용하여 나무 가지나 과실,꽃 등을 절단 및 채취할 수 있으나, 절단 작업 시에 많은 힘이 소모될 뿐 아니라, 하나의 도구에 하나의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등 다음과 같은 문제가 제기되었다.
첫째, 종래 가위는 손으로 파지 된 손잡이가 상하로 작동됨에 따라 지축을 지점으로 교차 된 칼날이 중앙에 위치된 나무 가지 등을 절단하기 때문에 작업 시 큰 힘이 소모되어 노인이나 부녀자 등과 같이 힘이 약한 경우에는 작업이 어렵고 장시간 지속적인 작업을 하는 경우에 손잡이를 파지한 손바닥과 손목에 무리가 되므로 체력 손실이 많고 작업효율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었다.
둘째, 상기 가위의 칼날은 하나의 가위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실제 작업현장에서는 여러 가지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즉 과실을 채취하기 위하여 꼭지를 절단하는 작업 중에 나무 가지를 절단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 되고 나무 가지의 전지작업 중에 열매의 꼭지나 잎사귀 등을 절단하여야 하는 경우 등과 같이 작업 중에 다른 기능의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여야 할 경우, 각각의 칼날이 장치된 각각의 가위를 사용하여야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가위를 일일이 휴대하기가 불편할 뿐 아니라, 작업 여건에 적합한 가위가 준비되지 않을 경우, 용도에 맞지 않는 가위로 작업하므로써 작업이 원활하지 못하고 능률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셋째, 상기한 가위는 휴대와 취급이 간편하도록 소형이기 때문에 비교적 직경이 큰 나무 가지나 많은 양의 잡초 등을 절단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때문에 이러 한 작업을 위하여는 별개의 톱이나, 칼을 준비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작업현장에서 시 톱이나 칼을 준비 및 휴대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작업에 어려움이 많았다.
상기한 문제들로 인하여, 근래에는 수동식 가위를 전동식으로 개발된 것이 있으나, 이는 현장에서 전기와 같은 동력원을 준비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지속적인 동력의 공급이 어려웠으며, 또한 구조가 복잡하여 중량이 무겁고 고장 발생원인이 많을 뿐 아니라, 제조원가가 고가임으로 농가의 실정에 적합하지 않아 제한된 곳에서만 사용될 뿐 실용화되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된 것으로서, 전지가위의 칼날이 3개의 지축을 지점으로 작동되게 함으로서 작은 힘으로 나무 가지 등의 절단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지가위의 칼날을 필요에 따라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의 종류나 여건에 따라 적절한 칼날을 현장에서 쉽게 교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이 향상되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지가위의 손잡이에 톱과 칼을 내장하여서 필요할 때 사용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도구로서 여러 기능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좌우 길이 방향으로 된 손잡이부재와, 지축을 지점으로 손잡이부재에 의하여 작동되는 칼날부재로 구성된 공지의 전지가위에 있어서,
손잡이부재와 칼날부재가 제1 지축, 제2 지축, 제3 지축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장치하며, 손잡이부재의 내부에 구비된 수납실에 공구를 보관할 수 있도록 장치하며, 각각의 용도로 된 칼날부재를 결합 분해할 수 있도록 장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원예용 식물의 가지를 절단할 때에 작은 힘으로 작업할 수 있으므로 남여노소 누구나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하여도 피로감이 최소화됨으로 능률이 향상되면서 안전한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현장의 작업 여건에 따라 칼날을 간편하게 교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여러 개의 가위를 준비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하나의 가위로 여러 기능의 작업을 수행함으로 작업 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손잡이의 내측 빈 공간에 톱과 칼을 내장하여 평상시에 부피가 최소화된 상태로 외부에 노출되는 일 없이 휴대할 수 있으며, 필요 시에는 간단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작업 중에 필요한 도구를 준비하는 번거로움 없이 작업을 지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작업 여건이 좋지 않은 현장에서 간편하게 여러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를 보인 일부를 절결한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톱과 작업용 칼의 사용상태를 보인 중요부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B-B선 단 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길이 방향으로 된 손잡이부재(H)와, 지축을 지점으로 손잡이부재(H)에 의하여 작동되는 칼날부재(C)로 전지가위를 구성한다.
상기 손잡이부재(H)는 경량 금속재 인 알루미늄으로 된 상부 손잡이체(1a)와 하부 손잡이체(1b)를 제1 지축(2a)으로 연결하고 상부 손잡이체(1a)와 하부 손잡이체(1b)의 외면에 탄성질로 된 파지부(3)를 부착하며, 상단부에 나사부(4)가 형성된 지지봉(5)의 하단부를 하부 손잡이체(1b)에 연결하고 상부 손잡이체(1a)에 통공(6)을 형성하여 나사부(4)가 통공(6)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연결하고 노출된 나사부(4)에 조절너트(7)를 체결한다. 그리고 상하단부가 상부 손잡이체(1a)와 하부 손잡이체(1b)에 각각 지지되는 탄동스프링(8)을 지지봉(5)의 외측에 결합 구성한다.
또한, 상기 상부 손잡이체(1a)와 하부 손잡이체(1b)는 그 내부에 좌우길이방향으로 공간이 길게 구비된 수납실(11)을 형성하여 톱이나 칼등의 공구(12)를 수납실(11)에 보관할 수 있도록 장치하며, 수납실(11)에 외부와 관통되는 가이드홈(13)을 형성하고 공구(12)의 일측에 밀대(14)를 고정하여 가이드홈(13)을 따라 밀대(14)가 좌우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장치한다. 또한 가이드홈(13)의 출구측에 정지구(15)를 각각 고정 결합하고 각각의 정지구(15)에 걸림홈(16)과 걸고리(17)를 각각 장치한다. 또한, 수납실(11)의 외측에 출입구(18)를 형성하고 덮개(19)로써 출입구(18)를 여닫을 수 있도록 장치한다.
상기 칼날부재(C)는 전방측에 칼날부(21)가 각각 형성된 상하 몸체(22)를 제3 지축(2c)으로 연결하고 상하 몸체(22)의 후방 측에 결합공(23)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상부 손잡이체(1a)와 하부 손잡이체(1b)의 전방측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부(24)에 제2 지축(2b)을 결합하고 결합공(23)을 제2 지축(2b)에 연결하고 결합부재(25)로써 결합 분해할 수 있도록 장치한다. 또한 상하 몸체(22)의 일면에 내측으로 굴삭된 마찰감소부(26)를 형성한다.
상기 칼날부재(C)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지용 칼날부재(C1)와 알솎음용 칼날부재(C2)와 화훼용 칼날부재(C3)를 각각 구성하여 손잡이부재(H)에 결합 분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예용 각종 식물의 가지를 절단하기 위하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재(H)에 전지용 칼날부재(C1)를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각각의 칼날부(21) 사이의 간극(h)에 절단할 식물의 가지를 위치시킨 후에 손잡이부재(H)의 상부 손잡이체(1a)와 하부 손잡이체(1b)를 가압하면, 각각의 칼날부(21)에 의하여 나무 가지의 절단이 실행되는 것이다. 즉, 작업자가 손잡이부재(H)를 손으로 잡으면 파지부(3)가 손바닥에 위치됨으로 부드러운 촉감과 함께 파지력이 향상되며 파지부(3)를 가압하면 상부 손잡이체(1a)와 하부 손잡이체(1b)가 제1 지축(2a)을 지점으로 내측으로 이동된다. 상부 손잡이체(1a)와 하부손잡이체(1b)가 내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각각의 연결부(24)는 외측으로 이동됨으로 결합부재(25)의 제2 지축(2b)에 결합공(23)이 각각 연결된 칼날부재(C)의 상하 몸체(22) 후방 측이 외측으로 벌어지며, 계속하여 제3 지축(2c)을 지점으로 각각의 칼날부(21)가 내측으로 이동되어 간극(h)에 위치된 나무 가지가 절단되는 것이다. 이러한 절단과정은 손잡이부재(H)에서 가해지는 가압력이 제1 지축(2a)에 의하여 방향이 전환되고 제2 지축에 의하여 방향 전환과 함께 가압력이 전달되는 과정 중에 힘의 증대가 이루어지며, 제3 지축에 의하여 손잡이부재(H)에서 가했던 힘의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변환되면서 칼날부재(C)가 작동되는 것으로서, 제1 지축(2a)과 제2 지축(2b)과 제3 지축(2c)이 복합적인 지렛대 원리에 의하여 작동 됨으로 적은 힘의 가압력이 상승된 힘으로 칼날부재(C)에 전달되어 부녀자나 노인들이 작업이 가능할 뿐 아니라, 장시간 작업하여도 피로감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칼날부재(C)는 작업 여건과 필요에 따라 교체 사용하는 것으로서, 나무 가지를 자르는 경우와 같이 큰 힘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지용 칼날부재(C1), 과실의 꼭지를 자르는 경우와 같이 섬세한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알솎음용 칼날부재(C2), 화훼의 줄기나 잎을 자르는 경우와 같이 일시에 많은 절단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화훼용 절단부재(C3)를 현장에서 간단하게 교체하면서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칼날부재(C)의 교체는 제2 지축(2b)에 체결된 결합부재(25)를 분리한 후, 상하 몸체(22)의 후방 측에 형성된 각각의 결합공(23)을 각각의 제2 지축(2b)에 결합하고 결합부재(25)를 재차 체결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하 몸체(22)의 일면에 내측으로 굴삭된 마찰감소부(26)는 절단작업시 각각의 칼날부(21)이 교차 될 때에 마찰저항이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서, 불필요 한 힘의 낭비가 없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칼날부재(C)의 간극(h)은 절단할 나무 가지 등이 위치되는 것으로서, 조절너트(7)의 조절에 따라 그 넓이가 결정된다. 즉, 나사부(4)에 체결된 조절너트(7)를 회동하여 상부 손잡이체(1a)가 하강되면서 제1 지축(2a)과 제2 지축(2b), 제3 지축(2c)을 통하여 칼날부(21)의 간극(h)이 좁아지며, 또한 조절너트(7)를 상승시키면 상부 손잡이체(1a)가 상승 되면서 간극(h)이 넓어진다. 때문에 절단할 부위의 직경이나 두께에 따라 적절하게 간극을 조절하면서 사용한다. 상기 탄동스프링(8)은 가압력에 의하여 내측으로 이동되었던 상부 손잡이체(1a)와 하부 손잡이체(1b)가 가압력이 제거된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손잡이체(1a)와 하부 손잡이체(2a)의 수납실(11)에 보관된 톱과 칼 등의 공구(12)는 작업 여건에 따라 필요한 경우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즉, 상기 칼날부재(C)로 절단하기 곤란할 정도의 굵은 나무 가지의 경우에는 톱으로 절단하는 것이 작업성이 좋으므로 톱을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밀대(14)를 외측으로 밀면 가이드홈(13)을 따라 밀대(14)가 이동되고 밀대(14)에 고정된 톱이 이동되면서 출입구(18)를 통하여 외부로 인출되는 것이다. 또한,잡초나 줄기 등과 같이 많은 양를 절단하기 위하여는 칼이 사용되며, 이러한 칼은 상기 톱과 같은 방법으로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손잡이체(1a) 와 하부 손잡이체(1b)에 좌우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대(31)를 형성하고 손잡이부(32)의 내부에 슬라이딩부(33)를 형성하여서 지지대(31)에 슬라이딩부(33)를 결합하며, 지지대(31)를 따라 손잡이부(32)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장치한다. 그리고, 손잡이부(32)를 정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볼트(34)를 외부로 노출되도록 장치한다.
이러한 실시 예는 손잡이부재(H)의 길이를 조절하므로서 큰 힘이 필요한 절단 작업을 보다 작은 힘으로 할 수 있다. 즉, 평상시에는 손잡이부(32)가 전진 되어 전체 길이가 짧은 상태로 사용하며, 절단하고자 하는 소재에 큰 힘이 필요한 경우에 손잡이부(32)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면 전체 길이가 길어지면서 제1 지축(2a)으로부터 먼거리에서 가압력이 작용 되어 손잡이부(32)에 동일한 힘이 가해져도 칼날부재(C)에 작용되는 절단력이 증대되므로 단단하고 굵은 나무 가지 등과 같이 큰 힘이 필요한 경우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본 발명과 실시 예는 과수원이나 원예단지와 같이 전지가위의 사용이 많은 농촌 등에 적용하여 작업 능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를 보인 일부를 절결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톱과 작업용 칼의 사용상태를 보인 중요부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

Claims (6)

  1. 좌우 길이 방향으로 된 손잡이부재(H)와, 지축을 지점으로 손잡이부재(H)에 의하여 작동되는 칼날부재(C)로 구성되고, 손잡이부재(H)와 칼날부재(C)가 제1 지축(2a), 제2 지축(2b), 제3 지축(2c)에 의하여 작동되도록 장치하며, 손잡이부재(H)의 내부에 구비된 수납실(11)에 공구(12)를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하여 구성된 공지의 전지가위에 있어서,
    각각의 용도로 된 칼날부재(C)를 손잡이부재(H)에 결합 분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칼날부재(C)의 상하몸체(22) 후방측에 결합공(23)을 각각 형성하여 상부 손잡이체(1a)와 하부 손잡이체(2b)의 연결부(24)에 형성된 제2 지축(2b)에 결합공(23)을 연결하고 결합부재(25)로써 결합할 수 있도록 장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이 구비된 원예용 전지가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32)는 상부 손잡이체(1a)와 하부 손잡이체(1b) 사이에 지지봉(5)을 장치하고 상부 손잡이체(1a)의 통공(6)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나사부(4)에 조절너트(7)를 체결하며, 지지봉(5)의 외측에 탄동스프링(8)을 결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이 구비된 원예용 전지가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재(H)는 상부 손잡이체(1a)와 하부 손잡이체(1b)에 좌우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지지대(31)를 형성하고 손잡이부(32)의 내부에 슬라이딩부(33)를 형성하여 지지대(31)에 슬라이딩부(33)를 결합하며, 지지대(31)를 따라 손잡이부(32)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장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이 구비된 원예용 전지가위.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90028008A 2009-04-01 2009-04-01 다기능이 구비된 원예용 전지가위 Expired - Fee Related KR101083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008A KR101083191B1 (ko) 2009-04-01 2009-04-01 다기능이 구비된 원예용 전지가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008A KR101083191B1 (ko) 2009-04-01 2009-04-01 다기능이 구비된 원예용 전지가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650A KR20100109650A (ko) 2010-10-11
KR101083191B1 true KR101083191B1 (ko) 2011-11-11

Family

ID=43130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008A Expired - Fee Related KR101083191B1 (ko) 2009-04-01 2009-04-01 다기능이 구비된 원예용 전지가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831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796Y1 (ko) 2012-06-15 2013-11-05 전미진 전동 전지가위
KR101365342B1 (ko) 2012-03-06 2014-02-21 박은하 휴대용 전동 가위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495Y1 (ko) * 2011-07-21 2014-04-30 한숙현 조경용 전지 가위
KR101557609B1 (ko) * 2015-02-09 2015-10-06 송진철 가지치기용 줄기 미끌림 방지 및 절단 기능을 구비한 전지가위
KR102253035B1 (ko) * 2019-05-08 2021-05-17 조준래 집게 가위
KR20240150143A (ko) 2023-04-07 2024-10-15 조예지 소형 글라인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453Y1 (ko) * 2001-07-25 2001-11-22 최연군 전지가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1453Y1 (ko) * 2001-07-25 2001-11-22 최연군 전지가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342B1 (ko) 2012-03-06 2014-02-21 박은하 휴대용 전동 가위톱
KR200469796Y1 (ko) 2012-06-15 2013-11-05 전미진 전동 전지가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650A (ko) 2010-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3191B1 (ko) 다기능이 구비된 원예용 전지가위
CN201450913U (zh) 一种果树修剪、水果采摘器
CN103988719A (zh) 一种伸缩的修枝工具
CN201323793Y (zh) 可延伸的多功能树用剪
CN201609047U (zh) 植物剪叶器
KR200458892Y1 (ko) 전지가위
CN211378874U (zh) 一种可调节的园林用高处枝叶修剪装置
CN205902442U (zh) 一种新型多功能园林剪枝装置
CN210352271U (zh) 一种园丁修剪工具
CN201440836U (zh) 一种鹦嘴式增力高枝剪
CN210987158U (zh) 一种市政园林用园林剪
CN201986425U (zh) 多功能修花修木、修枝摘果、修理草坪剪
CN201450861U (zh) 一种水果采摘器
CN203688268U (zh) 橡胶树枝叶采样工具
CN201207829Y (zh) 家用多功能园艺剪
CN221082109U (zh) 一种石榴种植多功能修剪工具
CN214593014U (zh) 一种果树园艺的整形修剪装置
CN205794207U (zh) 一种苗木病虫害防护装置
CN219893934U (zh) 一种省力园艺剪
CN101248734A (zh) 家用多功能园艺剪
CN219876932U (zh) 一种用于园林工程建设的植被修剪装置
CN222564440U (zh) 一种弯头剪切式水果采摘器
CN215912614U (zh) 林业用可调节修枝装置
KR20110008301U (ko) 원예용 양손 가위
CN204762340U (zh) 一种园林用修剪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4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111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