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1896B1 - Laser Pointer - Google Patents
Laser Poin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81896B1 KR101081896B1 KR1020090046929A KR20090046929A KR101081896B1 KR 101081896 B1 KR101081896 B1 KR 101081896B1 KR 1020090046929 A KR1020090046929 A KR 1020090046929A KR 20090046929 A KR20090046929 A KR 20090046929A KR 101081896 B1 KR101081896 B1 KR 1010818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laser
- module
- pointer
- laser ligh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1 acryl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952 polymer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NIXOWILDQLNWCW-UHFFFAOYSA-N acrylic acid group Chemical group C(C=C)(=O)O NIXOWILDQLNW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76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60 hair shin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 G02B27/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optical projection, e.g. combination of mirror and condenser and objective for imaging minute objects, e.g. light-pointer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26—Glass filter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laser output parameters, e.g. by operating on the active medium
- H01S5/068—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 H01S5/06825—Protecting the laser, e.g. during switch-on/off, detection of malfunctioning or degrad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s Of Meas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포인터에 관한 것으로서, 레이저 광을 출광하는 레이저 모듈과; 상기 레이저 모듈을 수용하며, 일측에 캡 결합부가 형성된 포인터 케이스와; 상기 레이저 모듈로부터 출력된 상기 레이저 광이 통과하는 광 통과홀이 형성되며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레이저 광이 입사될 때 상기 레이저 광을 확산시키는 재질로 마련되는 광확산 모듈과, 일측은 상기 광 확산 모듈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포인터 케이스의 상기 캡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듈 연결캡을 갖는 광확산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 통과홀의 상기 레이저 광이 입사되는 입구 측의 사이즈는 상기 레이저 광이 출사되는 출구 측의 사이즈보다 작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레이저 모듈로부터 레이저 광이 출광되면 해당 레이저 광 중 일부는 광 통과홀을 통해 조사되어 포인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레이저 광 중 일부는 광확산캡부에 의해 확산되어 발광함으로써 레이저 포인터에서 레이저 광이 조사되고 있음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ser pointer, comprising: a laser module for emitting laser light; A pointer case accommodating the laser module and having a cap coupling portion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light diffusion module in which a light passing hole through which the laser light output from the laser module passes, is forme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diffusion module is formed of a material for diffusing the laser light when the laser light is incident;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light diffusion cap portion having a module connection cap detachably coupled to the cap coupling portion of the pointer case, the size of the entrance side through which the laser light of the light passing hole is inciden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exit side exited. Accordingly, when the laser light is emitted from the laser module, some of the laser light is irradiated through the light passing hole to perform a function as a pointer, and some of the laser light is diffused by the light diffusion cap to emit light. It is easy to visually confirm that this is being investiga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레이저 포인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 포인터에서 실제로 레이저 광이 조사되고 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레이저 포인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레이저 다이오드(Laser diode)는 레이저를 발생시킬 수 있는 반도체 레이저 발생 소자로서, CD 플레이어와 같은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광 픽업 소자나 레이저 포인터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general, a laser diode is a semiconductor laser generating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 laser, and is widely used in an optical pickup device, a laser pointer, or the like of an optical disk player such as a CD player.
레이저 다이오드는 그 광량이 큰 경우, 사람의 눈에 치명적일 수 있다. 이에, IEC 표준 60825-1에서는 레이저 다이오드에서 발광하는 레이저 광에 의해 사람의 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칙을 준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단지 회로의 정상적인 동작에서 뿐만 아니라, 예상 가능한 회로 상의 결함, 예컨대, 특정 소자에 쇼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만족시켜야 하는 규정이다. 또한, 한국에서도 IEC 60825-1에 대응하여 레이저 안전 규격(KS C IEC 60825-1)을 정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레이저의 출력을 1mW 이하(Class Ⅱ 기준)로 제안하고 있다. 레이저 포인터의 경우에도 레이저 다이오드를 사용하고 있어서 이와 같은 규정을 준수하여야 한다.Laser diodes can be fatal to the human eye if their amount of light is large. Therefore, the IEC standard 60825-1 requires that the user observe the rules for preventing the human eye from being damaged by the laser light emitted from the laser diode. This is a regulation that must be satisfied not only in the normal operation of the circuit, but also in the event of a foreseeable fault on the circuit, for example a short on a particular device. In addition, Korea has established a laser safety standard (KS C IEC 60825-1) in accordance with IEC 60825-1, which proposes a laser output of 1 mW or less (Class II standard). Laser pointers also use laser diodes and must comply with these regulations.
도 1은 종래의 레이저 포인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레이저 포인터(100)는 펜 형태를 가지며, 일측에 형성된 구멍(미도시)을 통해 내부에 수용된 레이저 모듈(미도시)로부터 출광된 레이저 광이 외부로 조사되어 포인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통상 레이저 포인터(100)에는 버튼(110)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버튼(110)을 누르면 레이저 광이 조사되고, 누르고 있던 버튼(110)을 놓으면 레이저 광의 조사가 중단되는 방식이 사용된다.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laser pointer. As shown in the figure, the
여기서, 레이저 포인터(100)에서 출광되는 레이저 광은 스크린이나 벽에 닿았을 때에만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고, 대기를 통과하는 레이저 광은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가 레이저 포인터(100)에서 레이저 광이 조사되고 있는지 여부는 레이저 포인터(100)에 마련된 버튼(110)을 누르고, 레이저 광이 벽 등에 닿아 표시되는 것으로 확인하게 된다.Here, the laser light emitted from the
그런데, 레이저 포인터(100)의 작동 오류나, 또는 정상적인 작동에서도 레이저 포인터(100)에서 레이저 광이 조사되고 있는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지 못하여 레이저 포인터(100)로 다른 사람을 가리키는 경우, 레이저 광이 다른 사람의 눈에 조사되어 눈에 손상을 줄 우려가 있다.By the way, when the
이에, 일본 등과 같이 몇몇 국가에서는 사용자가 쉽게 레이저 포인터(100)에서 레이저 광이 조사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레이저 포인 터(100)에 마련하도록 규정하고 있다.Thus, in some countries, such as Japan, the user is provided with a method for the
이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레이저 포인터(100)에는 사용자가 버튼(110)을 누르는 경우 버튼(110) 근처에 마련된 LED(111)가 발광하여 레이저 포인터(100)에서 레이저 광이 조사되고 있다는 것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To this end, as shown in FIG. 1, when the user presses the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레이저 포인터(100)에서 레이저 광이 조사되고 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레이저 광을 조사하기 위한 버튼(110)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LED(111)가 적용되어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The
그런데, 상기와 같이 LED(111)를 이용하여 레이저 광이 조사되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However, the method of displaying whether or not the laser light is irradiated using the
첫째,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레이저 모듈과 레이저 광의 조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LED(111)는 별도의 회로 구성을 통해 동작하므로 LED(111)가 고장 등에 의해 사용자가 버튼(110)을 누르더라도 발광하지 않게 되는 경우, 사용자는 레이저 포인터(100)에서 레이저 광이 조사되지 않고 있다고 판단하는 오류를 범하게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사고의 위험성은 그대로 존재하게 된다.First, since the laser module for generating the laser light and the
둘째, LED(111)가 고장 등에 의해 버튼(110)의 작동과 무관하게 발광하는 경우, 사용자는 레이저 포인터(100)에서 레이저 광이 조사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레이저 광이 조사된 것으로 판단하여 레이저 광이 조사된 위치를 찾으려는 불필요한 노력을 하게 된다.Second, when th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레이저 모듈로부터 출광되는 레이저 광의 일부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게 함으로써, 레이저 광이 실제로 조사되는 경우에만 사용자가 레이저 광이 조사되는 것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는 레이저 포인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allowing the user to visually identify a part of the laser light emitted from the laser module, the laser light is irradiated only when the laser light is actually irradiat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aser pointer capable of recognizing an object.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레이저 포인터에 있어서, 레이저 광을 출광하는 레이저 모듈과; 상기 레이저 모듈을 수용하며, 일측에 캡 결합부가 형성된 포인터 케이스와; 상기 레이저 모듈로부터 출력된 상기 레이저 광이 통과하는 광 통과홀이 형성되며 적어도 일 부분이 상기 레이저 광이 입사될 때 상기 레이저 광을 확산시키는 재질로 마련되는 광확산 모듈과, 일측은 상기 광 확산 모듈과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포인터 케이스의 상기 캡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듈 연결캡을 갖는 광확산캡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 통과홀의 상기 레이저 광이 입사되는 입구 측의 사이즈는 상기 레이저 광이 출사되는 출구 측의 사이즈보다 작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저 포인터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aser pointer, comprising: a laser module for emitting laser light; A pointer case accommodating the laser module and having a cap coupling portion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light diffusion module in which a light passing hole through which the laser light output from the laser module passes, is formed,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diffusion module is formed of a material for diffusing the laser light when the laser light is incident; And the other side includes a light diffusion cap portion having a module connection cap detachably coupled to the cap coupling portion of the pointer case, the size of the entrance side through which the laser light of the light passing hole is incident It is achieved by a laser pointer characterized by being provided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exit side exiting.
여기서, 상기 레이저 광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따른 상기 광 통과홀의 단면의 사이즈가 상기 레이저 광의 진행 방향을 따라 커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light passing hole along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may be formed to increase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그리고, 상기 광확산 모듈은, 상기 광 통과홀이 형성되고 상기 레이저 광이 입사되는 경우 상기 레이저 광을 확산시키는 재질로 마련되는 광 확산부와; 상기 광 확산부의 외경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투명한 재질의 광 투과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diffusion module may include: a light diffusion part formed of a material for diffusing the laser light when the light passing hole is formed and the laser light is incident; It may include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of a transparent material formed to surround the outer diameter of the light diffusing portion.
여기서, 상기 광 확산부는 아크릴, AB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SPR(Super Polymer Resin),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유리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The light diffusing unit may be formed of acrylic, ABS, polycarbonate, polypropylene, SPR (Super Polymer Resin), polyethylene, or glass.
그리고, 상기 포인터 케이스의 상기 캡 결합부에는 상기 레이저 모듈로부터 출광된 상기 레이저 광이 상기 광확산캡부로 향하도록 상기 광확산캡부를 향해 광 통과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light passing hole may be formed in the cap coupling part of the pointer case toward the light diffusion cap part so that the laser light emitted from the laser module is directed to the light diffusion cap part.
상기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 모듈로부터 출광되는 레이저 광의 일부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식별 가능하게 함으로써, 레이저 광이 실제로 조사되는 경우에만 사용자가 레이저 광이 조사되는 것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어 레이저 광의 조사 여부에 대한 사용자의 판단 오류를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above configuration, by allowing the user to visually identify a part of the laser light emitted from the laser module, the user can recognize that the laser light is irradiated only when the laser light is actually irradiated, so that The user's determination of whether or not to investigate can be eliminated.
또한, 레이저 광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광 통과홀의 단면의 사이즈가 레이저 광의 진행 방향을 따라 커지도록 형성됨으로써 광확산 모듈에 의해 레이저 광의 일부가 확산되면서도 스크린이나 벽에 조사되는 레이저 광의 형태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ze of the cross section of the light passing hol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is formed to increase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laser light, so that a part of the laser light is diffused by the light diffusing module while being irradiated to the screen or the wall. It can be avoided.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1)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1)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1)는 포인터 케이스(10), 레이저 모듈(31,32,33) 및 광확산캡부(20)를 포함한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레이저 모듈(31,32,3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 케이스(10)에 수용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1)는 팬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포인터 케이스(10)의 형상이 팬 형태를 갖는다.The
광확산캡부(20)는 포인터 케이스(10)의 일측, 즉 포인터 케이스(10) 중 레이저 광이 출광되는 일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광확산캡부(20)는 포인터 케이스(1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를 가지며, 본 발명에서는 포인터 케이스(10)가 팬 형태를 가지므로 이에 대응하여 대략 원통 형태를 갖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다.The
그리고 광확산캡부(20)에는 레이저 모듈(31,32,33)로부터 발생되어 포인터 케이스(10)로부터 출광하는 레이저 광이 통과하는 광 통과홀(25)이 형성된다. 여기서, 광 통과홀(25)을 통과하는 레이저 광은 대기 중으로 방출되어 포인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the light
또한, 광확산캡부(20)의 적어도 일 부분은 레이저 광이 입사될 때, 입사되는 레이저 광을 확산시키는 재질로 마련된다. 이에 따라, 광확산캡부(20) 내부로 입사되는 레이저 광은 확산되고, 사용자는 레이저 광의 확산에 의해 광확산캡부(20)가 빛나는 것을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t least one portion of the light
따라서 레이저 모듈(31,32,33)로부터 실제로 레이저 광이 출광되는 경우에만 광확산캡부(20)가 빛나게 되고, 사용자는 광확산캡부(20)가 빛나는 경우에만 레이저 포인터(1)에서 레이저 광이 조사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어, 레이저 광의 조사 여부에 대한 판단 오류가 발생할 여지를 제거하게 된다.Therefore,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1)의 광확산캡부(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 케이스(10)의 일측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포인터 케이스(10)의 일측에는 광확산캡부(20)가 결합되는 캡 결합부(11)가 형성된다. 그리고 광확산캡부(2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확산 모듈(22)과 모듈 연결캡(21)을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광확산 모듈(22)은 광확산캡부(20)로 입사되는 레이저 광을 실질적으로 확산시키는 부분으로, 적어도 일 부분이 레이저 광이 입사될 때 레이저 광을 확산시키는 재질로 마련되며, 포인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레이저 광이 통과하는 광 통과홀(25)이 형성되어 있다.The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광 통과홀(25)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광이 입사되는 입구 측의 사이즈(a)가 레이저 광이 출사되는 출구 측의 사이즈(b)보다 작게 마련된다. 본 발명에서는 레이저 모듈(22)로부터 출광된 레이저 광의 진행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광 통과홀(25)의 단면의 사이즈가 레이저 광의 진행 방향을 따라 커지도록 형성된다.Here, the
이에 따라, 레이저 모듈(22)로부터 출광된 레이저 광의 일부는 광 통과홀(24)의 입구 측을 형성하는 광 확산 모듈(22)의 표면으로 입사되어 확산되고, 레이저 광의 나머지, 즉 광 통과홀(24)의 입구 측을 통해 광 통과홀(24)을 따라 진행하는 레이저 광이 광 통과홀(24)의 출구 측으로부터 출사되어 스크린이나 벽에 조사된다.Accordingly, a part of the laser light emitted from the
이 때, 스크린이나 벽에 조사되는 레이저 광은 광 통과홀(24)의 입구 측에서 만 광 통과홀(24)을 형성하는 광확산 모듈(22)에 간섭을 받게 되고, 광 통과홀(24)의 입구를 통과하는 레이저 광은 광 통과홀(24)이 출구 측으로 갈수록 그 사이즈가 커지므로 광 통과홀(24)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광확산 모듈(22)의 표면에 닫지 않아 그 진행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스크린이나 벽에 조사되는 레이저 광의 형태가 광확산 모듈(22)의 광 통과홀(24)을 통과하면서 영향을 받지 않아 보다 명확한 포인터로 인식 가능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laser light irradiated to the screen or the wall is interfered by the
여기서, 광확산 모듈(22)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 확산부(23)와 광 투과부(24)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광 확산부(23)는 광 통과홀(25)이 형성되고, 레이저 광이 입사되는 경우 레이저 광을 확산시킨다. 여기서, 광 확산부(23)는 레이저 광을 확산시킬 수 있는 재질로 마련되며, 일 예로 아크릴, AB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SPR(Super Polymer Resin),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유리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광 투과부(24)는 광 확산부(23)의 외경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투명한 재질로 마련된다.The
여기서, 레이저 광이 광 확산부(23) 측으로 입사 및 확산되어 광 투과부(24) 쪽으로 방출되고, 광 확산부(23)로부터 방출된 광은 투명한 광 투과부(24)를 통과하므로 투명한 재질의 광 투과부(24) 내에서 광 확산부(23)가 발광하는 형태를 갖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1)의 실제 제작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광 투과부(24)와 광 확산부(23)가 다른 재질로 마련되어 구분되어짐을 알 수 있다.Here, the laser light is incident and diffused toward the
한편, 모듈 연결캡(21)의 일측에는 광확산 모듈(22)이 결합되고, 모듈 연결캡(21)의 타측은 포인터 케이스(10)에 형성된 캡 결합부(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1)가 팬 형태로 마련되는 경우, 모듈 연결캡(21)의 타측은 포인터 케이스(10)의 캡 결합부(11)가 삽입되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광확산 모듈(22) 또한 모듈 연결캡(21)의 일측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모듈 연결캡(21)의 내벽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으로 연장된 연장 플레이트(21a)가 형성될 수 있다. 연장 플레이트(21a)는 모듈 연결캡(21)에 광확산 모듈(22) 및 포인터 케이스(10)의 캡 결합부(11)가 양측에서 각각 삽입될 때, 광확산 모듈(22)과 캡 결합부(11)의 경계가 된다. 그리고 연장 플레이트(21a)에는 레이저 모듈(31,32,33)로부터의 레이저 광이 통과하는 플레이트 통과공(21b)이 형성된다.Here, as shown in FIGS. 3 and 4, an
여기서, 플레이트 통과공(21b)의 내경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확산 모듈(22)에 형성된 광 통과홀(25)의 내경, 즉 광 통과홀(25)의 입구 측의 내경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레이저 모듈(31,32,33)로부터 출광하여 포인터 케이스(10)의 광 통과공(12)을 통과하여 직진하는 레이저 광의 일부는 광 통과홀(25)을 통과하여 포인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플레이트 통과공(21b)을 통해 노출되는 광확산 모듈(22)의 일부 영역,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확산 모듈(22)의 광 확산부(23)의 일부 영역으로 입사되어 확산된다.Here, the inner diameter of the plate through-
또한, 광확산 모듈(22)에 형성된 광 통과홀(25)의 내경은 포인터 케이스(10) 의 캡 결합부(11) 측에 형성된 광 통과공(12)의 내경보다 작게 마련된다. 이를 통해, 레이저 모듈(31,32,33)로부터 출광하여 포인터 케이스(10)의 광 통과공(12)을 통과한 광의 단면적이 광 통과홀(25)의 내경보다 크게 되어, 레이저 광의 일부는 광 통과홀(25)을 통과하고 나머지 일부는 플레이트 통과공(21b)을 통해 노출되는 광확산 모듈(22)의 일부 영역,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광확산 모듈(22)의 광 확산부(23)의 일부 영역으로 입사되어 확산된다.In addition, the inner diameter of the
한편, 레이저 모듈(31,32,33)은 사용자가 버튼(13)을 누르는 경우 레이저 광을 출광한다. 여기서, 레이저 모듈(31,32,3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광을 발생하는 광원부(32)와, 사용자가 버튼(13)을 누르는 경우 광원부(32)에서 레이저 광이 방출되도록 광원부(32)를 제어하는 제어부(3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모듈(31,32,33)에는 광원부(32)의 전방에 위치하여 광원부(32)로부터 출광된 레이저 광을 광 통과공(12) 쪽으로 집광시키는 렌즈(33)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레이저 모듈(31,32,33)의 구성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일 뿐이며, 레이저 광을 광 통과공(12)을 통해 외부로 조사할 수 있다면 다른 형태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Meanwhile, the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광확산 모듈(22)이 광을 확산시키는 재질의 광 확산부(23)와, 투명한 재질의 광 투과부(24)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광확산 모듈(22) 전체가 광을 확산시키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별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Although som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pirit of the invention. . The scope of the alias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도 1은 종래의 레이저 포인터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laser pointer,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의 사시도이고,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aser po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의 분해 사시도이고,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aser po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의 단면도이고,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ser po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의 광확산캡부를 포인터 케이스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바라본 평면도이고,5 is a plan view of the light diffusion cap portion of the laser po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inter case is insert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포인터의 실제 제작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n actual manufacturing example of a laser poin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번호에 대한 설명><Description of Major Numbers in Drawing>
1 : 레이저 포인터 10 : 포인터 케이스1: laser pointer 10: pointer case
11 : 캡 결합부 12 : 광 통과공11
13 ; 버튼 20 : 광확산캡부13; Button 20: Light Diffusion Cap
21 : 모듈 연결캡 22 : 광확산 모듈21: module connection cap 22: light diffusion module
23 : 광 확산부 24 : 광 투과부23: light diffusing portion 24: light transmitting portion
25 : 광 통과홀25: light passing hole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6929A KR101081896B1 (en) | 2009-05-28 | 2009-05-28 | Laser Poin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46929A KR101081896B1 (en) | 2009-05-28 | 2009-05-28 | Laser Poin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8507A KR20100128507A (en) | 2010-12-08 |
KR101081896B1 true KR101081896B1 (en) | 2011-11-09 |
Family
ID=43505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46929A Active KR101081896B1 (en) | 2009-05-28 | 2009-05-28 | Laser Poin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8189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848165A (en) * | 2015-05-12 | 2015-08-19 | 上海华测导航技术股份有限公司 | Device for avoiding divergence of laser lamp |
JP7122247B2 (en) * | 2018-12-27 | 2022-08-19 | ローランドディー.ジー.株式会社 | Inkjet printer with pointer and point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47567A (en) * | 2004-08-03 | 2006-02-16 | Sony Corp | Laser irradiation apparatus |
-
2009
- 2009-05-28 KR KR1020090046929A patent/KR10108189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6047567A (en) * | 2004-08-03 | 2006-02-16 | Sony Corp | Laser irradiation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128507A (en) | 2010-1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405522B2 (en) | Photoelectric smoke sensor and lighting equipment | |
US10963104B2 (en) | Optical coupling in touch-sensing systems | |
US6923372B2 (en) | Card gate mechanism in card reader | |
JP6145041B2 (en) | Scattered light smoke detector | |
US7444887B2 (en) | Touch sensor using optical fiber | |
JP2007329091A (en) | Operation switch and game switch | |
KR100923494B1 (en) | Laser pointer | |
CN108692224A (en) |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 |
EP2157366A1 (en) | Light guide assembly | |
TWI681423B (en) | keyboard | |
KR20140067013A (en) | Pointer-type display device | |
JP6870583B2 (en) | Push button for gaming machines | |
KR101081896B1 (en) | Laser Pointer | |
TW201414957A (en) | Illumination device | |
CN202796586U (en) | Luminous keyboard device | |
KR20230044400A (en) | building | |
JP4660746B2 (en) | Laser irradiation device | |
CN109117708A (en) | Fingerprint identification device and mobile device using same | |
CN112181170B (en) | Optical mouse and light pipe and optical device of optical navigation device | |
JP6363397B2 (en) | Light pointer | |
JP2014011003A (en) | Luminaire | |
JP3176825U (en) | Optical fingerprint recognition device | |
CN221900952U (en) | Vehicle-mounted camera | |
TW202320104A (en) | Wiring device | |
JP4604780B2 (en) | Lighting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5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1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110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11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11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3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7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0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0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